맨위로가기

정병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정병국은 1958년 경기도 양평군 출생으로, 성균관대학교 사회학과를 졸업하고 민주화 운동에 참여했다. 이후 김영삼 정부에서 청와대 제2부속실장을 역임했으며, 제16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당선되어 5선 국회의원을 지냈다. 한나라당, 새누리당, 바른정당, 바른미래당, 새로운보수당, 미래통합당 등 여러 정당에서 활동했으며, 문화체육관광부 장관과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위원장을 역임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봉화 정씨 - 정문형
    정문형은 조선 시대 여러 관직을 거쳐 우의정에 이른 문신으로, 청백리에 선정될 만큼 청렴했으며 당파 싸움에 휘말리지 않고 자신의 역할을 묵묵히 수행하여 정치적 균형 감각을 인정받아 사후 양경이라는 시호를 받았다.
  • 봉화 정씨 - 정종명
    정종명은 《사자(死者)의 춤》으로 등단하여 《거인》, 《아들 나라》 등의 작품을 발표한 대한민국의 소설가이자 문인으로, 문예지 편집부 근무, 경기대학교 겸임교수, 국제펜클럽 부이사장, 한국문인협회 이사장 등을 역임하며 문단 발전에 기여하여 2013년 대통령상을 수훈했다.
  • 대한민국의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 도종환
    도종환은 충청북도 청주시 출신의 시인이자 정치인으로, 시집 《접시꽃 당신》을 발표하고 국회의원과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을 역임했으며, 2024년 총선에서 공천을 받지 못했다.
  • 대한민국의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 조윤선
    조윤선은 대한민국의 변호사이자 정치인으로, 박근혜 정부에서 여성가족부 장관, 대통령비서실 정무수석,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을 역임하고 문화예술계 블랙리스트 사건에 연루되었으며, 김앤장 변호사, 한나라당 대변인, 제18대 국회의원을 지냈다.
  • 용문중학교 (서울) 동문 - 황선홍
    황선홍은 대한민국 국가대표팀의 핵심 공격수로 활약하며 4회 연속 월드컵에 출전하고 2002년 월드컵 4강에 기여했으며, J리그 득점왕, K리그 구단 감독, 아시안 게임 금메달, 국가대표팀 임시 감독 등을 역임한 대한민국 대표 축구 선수이자 감독이다.
  • 용문중학교 (서울) 동문 - 최승돈
    최승돈은 1994년 KBS 공채 아나운서로 입사하여 스포츠 캐스터로 활동하며, 여러 국제 스포츠 대회를 중계하고, 저서를 출간했으며, 현재는 KBS 1라디오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다.
정병국
기본 정보
존칭존경하는
이름정병국
원어 이름 (언어)ko
국적대한민국
출생일1958년 2월 10일
출생지부리, 개군면, 양평군, 경기도, 대한민국
정당국민의힘
학력성균관대학교 (박사)
군 복무대한민국 해병대 병장 (만기 전역)
종교천주교(세례명: 이냐시오)
본관봉화
로마자 표기Jeong Byeongguk
한자 표기}}
국회 의원 정보
직위국회의원
임기 시작2000년 5월 30일
임기 종료2020년 5월 29일
이전 의원김길환
다음 의원김선교
선거구 (2016~2020)경기도 여주시-양평군
선거구 (2012~2016)경기도 여주시-양평군-가평군
선거구 (2000~2012)경기도 양평군-가평군
의원 선수5
의원 대수16·17·18·19·20
지역구 (16대)경기 가평군·양평군
지역구 (17·18대)경기 양평군·가평군
지역구 (19대)경기 여주군·양평군·가평군
지역구 (20대)경기 여주시·양평군
장관 정보
직위문화체육관광부 장관
임기 시작2011년 1월 27일
임기 종료2011년 9월 19일
대통령이명박
이전 장관유인촌
다음 장관최광식
경력
주요 경력통일민주당 총재 비서관
민주자유당 대표 비서관
민주화추진협의회 공동상임의장
청와대 제2부속실장
제16·17·18대 국회의원(양평군·가평군)
한나라당 원내부총무
한나라당 사무총장
국회 문화체육관광방송통신위원회 위원장
경희대학교 겸임교수
제45대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제19대 국회의원(여주군·양평군·가평군)
대한민국 국회 군 인권개선 및 병영문화혁신 특별위원장
제20대 국회의원(여주시·양평군)
바른정당 창당준비위원장
바른정당 당대표
국민의힘 인재영입위원장
웹사이트정병국 의원 블로그

2. 생애

정병국은 1958년 2월 10일 경기도 양평군에서 태어났다.[1] 그는 처음에는 개군초등학교에 다니다가 아버지의 양평 체류 의사에 반하여 서울 정덕초등학교로 전학했다.[1] 1970년 정덕초등학교 졸업 후, 1973년 용문중학교, 1977년 서라벌고등학교를 졸업했다. 1978년에는 성균관대학교 사회학과에 입학했다.

입학 후 그는 학생 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이 때문에 경찰의 수배를 받았고, 1979년 경찰을 피하던 중 박정희 대통령 암살 소식을 접하고 서울로 돌아와 박정희 독재 정권 하에 해체되었던 전국대학생대표자협의회(전대협) 복원을 위한 학생운동을 이끌었다.[2]

1980년 5·17 쿠데타 이후 전두환 장군이 이끄는 하나회에 체포되어 투옥 또는 징집 중 하나를 선택하라는 강요를 받았다. 정병국은 징집을 선택하고 대한민국 해병대에 자원 입대했다.[2]

제대 후 1984년 성균관대학교를 졸업하고 민주화 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체포 영장이 발부된 상태에서 정병국은 서울 대학생 단체에 반정부 자료를 공급하는 ‘세인출판사’를 운영하며 군부 정권에 대한 저항을 열렬히 지지했다.[2] 이후 1987년 6월 체포되어 18개월의 징역형을 선고받았다. 그는 국가정보원의 전신인 국가안전기획부에서 고문을 당했고, 6·29 선언 이후 형 집행 유예로 석방되었다.

2. 1. 출생과 성장 (1958~1977)

정병국은 1958년 2월 10일 경기도 여주군 개군면(현재는 양평군 관할)의 농가에서 태어났다.[1] 개군국민학교 재학 중이던 1969년 교육제도가 바뀌어 서울특별시에 있는 중학교에 진학하고자 하는 학생은 적어도 중학교 입학 1년 전에 서울로 이사를 가야 했다. 정병국은 서울에 있는 중학교 진학을 원했으나, 그의 아버지는 너무 어리다는 이유로 반대했다. 그러나 정병국은 새벽기차를 타고 서울로 전학, 서울정덕국민학교를 졸업하였다.[1] 이후 용문중학교와 서라벌고등학교를 졸업하였다.[1]

2. 2. 민주화 운동 (1978~1987)

정병국은 1978년 성균관대학교 사회학과에 입학하자마자 학생운동에 투신하였고, 이로 인해 경찰의 수배 명단에 올랐다.[2] 10·26 사태를 포항에서 도피하던 중 접하고, 곧바로 상경하여 전국 총학생회 부활 준비위원회 상임위원장을 맡아 활발한 활동을 전개하였다.[1] 총학생회는 부활하고 있었지만, 5·17 군사 정변 직후 신군부에게 검거되었다.[1][2] 신군부는 군 입대 또는 투옥을 선택하라는 조건을 내걸었고, 그는 군 입대를 결심하고 대한민국 해병대를 지원하여 헌병으로 사병 복무하였다.[1][2]

전역 후 복학하여 1984년에 성균관대학교를 졸업하고 본격적인 민주화 운동을 펼치게 된다.[1][2] 정병국은 수배를 받으면서도 '세인출판사'를 운영하며 서울 지역 대학교 총학생회에서 필요로 하는 거의 모든 인쇄물들을 공급하였고 군사 정권과 투쟁하고 있는 학생들을 꾸준히 지원하였다.[1][2] 그러다 1987년 6월 국가안전기획부에 의해 검거되어 고문을 받던 중 6·29 선언을 접하게 되었다.[1] 징역 1년 6개월의 실형을 선고받았으나 6·29 선언으로 인하여 집행유예로 풀려날 수 있었다.[1] 그 때 도움을 준 사람들은 그의 변론을 자청한 민주화추진협의회 소속 변호사들이었다.[1]

2. 3. 정계 입문과 청와대 시절 (1987~1999)

정병국은 1987년 김영삼 후보 캠프의 공보담당관으로 1987년 대한민국 대통령 선거에 참여했다.[3] 선거 후, 1988년부터 1990년까지 통일민주당 총재비서관을, 1990년부터 1992년까지 민주자유당(이후 신한국당) 대표비서관을 역임했다.[3] 1992년 대한민국 대통령 선거에서 김영삼이 승리하자, 1993년에 35세(만 36세)의 나이로 청와대 제2부속실장으로 임명되어 청와대 직원 중 최연소 기록을 세웠다.[3]

청와대 재직 시절 미국 국무부가 운영하는 국제 방문객 리더십 프로그램(IVP)에 참가했다.[3] 이 프로그램은 김영삼, 김대중 등 대한민국의 주요 정치인들도 참가했던 프로그램으로, 정병국은 이를 통해 국제 감각을 익혔다. 1998년 연세대학교 행정대학원을 졸업했다.

2. 4. 국회의원 및 장관 시절 (2000~2011)

2000년 제16대 총선에서 한나라당 소속으로 당선되어 국회의원이 되었다. 초선의원 시절부터 '소장파' 그룹의 일원으로 활동하며 '16대 국회 미래 연대', '17대 국회 새정치수요모임' 등을 이끌었다. 당시 '오세훈법'이라 불리는 「정치자금법개정안」의 초안을 만들어 적정 법정선거비용으로 정치권에서 돈 안 쓰는 선거가 자리를 잡을 수 있도록 하였고, 탄핵정국과 한나라당 차떼기 사건으로 당이 위기에 봉착했을 때 당 쇄신을 외치며 천막당사를 주도하였다.

2008년 제18대 국회의원에 당선된 정병국은 3선 국회의원으로 국회 문화체육관광방송통신위원회 위원장을 역임하였다. 그는 문화와 예술이 우리 사회에서 없어서는 안 되는 귀중한 가치라고 판단, 예술인들의 열악한 창작활동을 위해 고용·산재 보험 등 최소한의 사회보장 활동을 받을 수 있게 하는「예술인 복지법」과 방송·통신이 융합한 시대에 과거 규제로는 막강한 방송 권력을 제대로 규제하기 어렵다고 판단,「미디어법 개정안」을 발의하였다. 이후 한나라당 사무총장을 역임하였으며, 2011년 1월에는 이명박 대통령에 의해 제45대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으로 임명되었다.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으로서 2018년 동계 올림픽평창 유치를 성공시켰다. 또한, 대한민국의 국보급 문화재인 외규장각 의궤를 145년 만에 프랑스로부터 환수 받아오는 업적을 이뤄냈다. 재외 한국문화원을 24개로 확대시키며 K-POP, 드라마 등 한류를 세계에 확장하는데 노력했다.

2. 5. 4선, 5선 국회의원 및 바른정당 창당 (2012~2020)

2012년 제19대 국회의원선거에서 4선 국회의원이 된 정병국은 2013년 새누리당(전 한나라당) 지역공약실천특별위원회 위원장으로 역대정부 최초로 대통령의 공약에 대한 실천 로드맵을 구성하여 정부 공약실천에 대한 국민의 신뢰를 높였다. 또한 여야 의원 56명이 가입된 국회 최대의 의원단체인 인성교육실천포럼의 상임대표를 역임하며 세계최초로 인성교육을 법제화한 인성교육진흥법 제정에 앞장섰다. 해병대 출신으로 평소 군 장병들에 대한 관심이 각별했던 정병국은 국회 군 인권 개선 및 병영문화 혁신특별위원회 위원장을 역임하며 관련예산의 획기적 증액을 이뤄냈으며, 병영 독서운동의 확장을 위해 격오지 독서카페 나눔 운동을 주도하였다. 정병국은 19대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위원으로 한국식 공공외교 확장에 앞장섰으며, 국회의원축구연맹 회장으로 한일 국회의원 축구대회를 개최하며 한일 정상회담 개최의 포석을 마련하기도 하였다. 정병국은 2016년 20대 국회의원 선거에 당선, 5선 국회의원이 되었다.

박근혜 전 대통령의 정치 스캔들 폭로와 탄핵으로 이어지는 사태 속에서, 정병국 의원을 포함한 새누리당 의원 34명이 탈당했다. 2017년 1월, 그는 동료들과 함께 중도우파 성향의 바른정당을 창당했고, 초대 대표로 선출되었다.

2. 6. 현재 (2020~)

3. 학력

정병국은 1965년 개군국민학교에 전학을 하였다. 1970년 서울정덕국민학교를 졸업하였고, 1973년 용문중학교를 졸업하였다. 1977년 서라벌고등학교를 졸업하고, 1984년 성균관대학교에서 사회학 학사 학위를 취득했다. 1998년에는 연세대학교 행정대학원에서 행정학 석사 학위를 받았으며, 2004년 성균관대학교 대학원에서 정치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4. 경력


  • 재단법인 엄홍길휴먼재단 자문위원
  • 사단법인 민주화추진협의회 부이사장
  • 국회 국민통합위원회 정치분과위원
  • 미국 조지타운대학교 객원연구원
  •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책임연구원
  •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소 선임연구원
  • 경희대학교 겸임교수
  • 국민대학교 행정대학원 특임교수
  • 심산 김창숙 선생기념사업회장
  • 청년정치학교 교장
  • 새누리당 원내수석부총무
  • 새누리당 사무총장
  • 대한민국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위원장
  • 제45대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 새누리당 지역공약특별위원회 위원장
  • 국회 군인권개선 특별위원회 위원장
  • 대한민국 국회 4차산업혁명 특별위원회 위원장
  • [https://koreatimes.co.kr/www/news/nation/2018/01/113_243382.html [INTERVIEW] Lawmaker helps Ethiopian coffee industry]

4. 1. 국회의원 경력

정병국은 2000년 제16대 총선에서 한나라당 소속으로 경기 가평군·양평군에 출마하여 당선되며 국회의원 생활을 시작했다. 초선 의원 시절부터 '소장파' 그룹의 일원으로 활동하며 '16대 국회 미래 연대', '17대 국회 새정치수요모임' 등을 이끌었다. 당시 '오세훈법'이라 불리는 「정치자금법개정안」의 초안을 만들어 정치권에서 돈 안 쓰는 선거가 자리 잡을 수 있도록 기여했다.

2004년 제17대 총선에서 재선에 성공한 정병국은 한나라당 미디어산업발전특별위원회 위원장, 경기도당 조직본부장 등을 역임했다. 2008년 제18대 총선에서 3선 국회의원이 된 후에는 국회 문화체육관광방송통신위원회 위원장을 역임하며 「예술인 복지법」과 「미디어법 개정안」 발의를 주도했다. 이후 한나라당 사무총장을 역임했다.

2012년 제19대 총선에서 4선 국회의원이 된 정병국은 새누리당 지역공약실천특별위원회 위원장, 국회 군 인권개선 및 병영문화혁신 특별위원회 위원장 등을 역임했다. 또한, 국회 인성교육실천포럼 상임대표를 맡아 인성교육진흥법 제정을 이끌었다.

2016년 제20대 총선에서 5선 고지에 오른 정병국은 새누리당을 탈당하고 바른정당 창당에 참여하여 당 대표를 역임했다. 이후 바른미래당, 새로운보수당, 미래통합당 등에서 활동했다. 제20대 국회에서는 전반기 기획재정위원회 위원, 후반기 외교통일위원회 간사 및 4차 산업혁명 특별위원회 위원장 등을 역임했다.

정병국의 의정 활동 기간은 다음과 같다:

대수임기지역구소속 정당비고
제16대2000년 5월 30일 ~ 2004년 5월 29일경기 가평군·양평군한나라당초선
제17대2004년 5월 30일 ~ 2008년 5월 29일경기 양평군·가평군한나라당재선
제18대2008년 5월 30일 ~ 2012년 5월 29일경기 양평군·가평군한나라당→새누리당3선
제19대2012년 5월 30일 ~ 2016년 5월 29일경기 여주군·양평군·가평군새누리당4선
제20대2016년 5월 30일 ~ 2020년 5월 29일경기 여주시·양평군새누리당→무소속바른정당바른미래당무소속새로운보수당→미래통합당5선


4. 2. 정당 및 기타 경력

정병국은 1987년 통일민주당 김영삼 총재 비서관으로 정치 경력을 시작했다. 1990년부터 1992년까지는 민주자유당 김영삼 대표최고위원 비서관을, 1993년부터 1997년까지는 대통령비서실 제2부속실장을 역임했다.

2000년 한나라당 소속으로 대한민국 제16대 국회의원 선거에 출마하여 당선된 후, 2016년 대한민국 제20대 국회의원 선거까지 내리 5선 국회의원을 지냈다. 이 기간 동안 한나라당 및 새누리당 경기도당 여주시·양평군 당원협의회 위원장 등을 역임했다. 2017년부터 2018년까지는 바른정당에서, 2018년에서 2019년까지는 바른미래당에서 활동했다. 2020년에는 새로운보수당 인재영입위원장, 미래통합당 창당준비위원회 공동위원장을 맡았다. 2021년부터 2023년까지 국민의힘 인재영입위원장을 역임했고, 2022년에는 대통령비서실 케냐 특사단장을 맡았다.

정병국은 국회의원 재임 중 새누리당 원내수석부총무, 새누리당 사무총장, 대한민국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위원장, 새누리당 지역공약특별위원회 위원장, 국회 군인권개선 특별위원회 위원장, 대한민국 국회 4차산업혁명 특별위원회 위원장 등을 역임했다. 2011년 1월부터 9월까지는 제45대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을 지냈다.

2023년 1월부터 현재까지 제8대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위원장을 맡고 있다. 이외에도 재단법인 엄홍길휴먼재단 자문위원, 사단법인 민주화추진협의회 부이사장, 심산 김창숙 선생기념사업회장, 청년정치학교 교장 등을 맡고 있다. 미국 조지타운대학교 객원연구원,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책임연구원, 경희대학교 겸임교수, 국민대학교 행정대학원 특임교수 등을 역임했다.

4. 3. 국회 상임위원회 경력

정병국은 새누리당 원내수석부총무 및 사무총장, 새누리당 지역공약특별위원회 위원장을 역임했다. 또한 대한민국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위원장, 국회 군인권개선 특별위원회 위원장, 대한민국 국회 4차산업혁명 특별위원회 위원장을 역임했다.

5. 역대 선거 결과

wikitable

선거명대수직책선거구정당득표수득표율순위당락비고
제16대 총선16대국회의원가평군·양평군한나라당31,013표46.32%1위당선초선
제17대 총선17대국회의원양평군·가평군한나라당39,280표59.00%1위당선재선
제18대 총선18대국회의원양평군·가평군한나라당38,393표65.03%1위당선3선
제19대 총선19대국회의원여주군·양평군·가평군새누리당71,544표67.46%1위당선4선
제20대 총선20대국회의원여주시·양평군새누리당59,625표63.51%1위당선5선


참조

[1] 웹사이트 21세기 문화강국 정병국 http://www.byounggug[...] 2015-12-23
[2] 웹사이트 21세기 문화강국 정병국 http://www.byounggug[...]
[3] 뉴스 서청원·김무성·정병국 등 Ys의 사람들 http://news.chosun.c[...] 2020-07-24
[4] 웹인용 정병국 공식 홈페이지 - 프로필 http://www.byounggug[...] 2016-04-24
[5] 법률 시·군관할구역변경및면의폐치에관한법률 1962-11-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