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정일성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정일성은 일제강점기 도쿄에서 태어나 광복 후 귀국한 대한민국의 영화 촬영 감독이다. 육군 장교로 복무하다가 영화계에 입문하여, 1957년 《가거라 슬픔이여》 촬영을 시작으로 《화녀》, 《만다라》, 《서편제》, 《개벽》, 《취화선》 등 수많은 작품의 촬영 감독을 맡았다. 그는 다수의 영화제에서 촬영상을 수상했으며, 대한민국 문화예술상 대통령상, 보관문화훈장, 서울시문화상 등을 수상하며 영화 발전에 기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촬영 감독 - 이형표
  • 대한민국의 촬영 감독 - 홍경표
    홍경표는 1999년 영화 《유령》으로 데뷔하여 《태극기 휘날리며》, 《마더》, 《설국열차》, 《곡성》, 《기생충》, 《버닝》 등 다수의 작품에 참여한 대한민국의 영화 촬영 감독이다.
  • 진주 정씨 - 정원식
    정원식은 대한민국의 교육학자, 대학교수, 정무직공무원, 정치인으로,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교수, 문교부 장관, 국무총리 서리 및 국무총리를 역임하며 전국교직원노동조합 관련 논란과 대학생 계란 투척 사건을 겪었고 서울특별시장 후보로 낙선하기도 했다.
  • 진주 정씨 - 정호준
    정호준은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부속고등학교를 졸업하고 한양대학교에서 사회학 학사 학위를, 뉴욕 대학교 대학원에서 그래픽커뮤니케이션학 석사 학위를 받았으며, 삼성전자, 열린우리당, 대통령비서실 등에서 활동하고 새정치민주연합 원내부대표 등을 역임했으며, 제19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당선되었다.
  • 서울공업고등학교 동문 - 추재엽
    추재엽은 국군보안사령부 중사 전역 후 대공수사관, 서울특별시의회 전문위원을 거쳐 한나라당 및 무소속으로 양천구청장에 세 번 당선되었으나, 보안사 재직 시절 민간인 고문 사실이 인정되어 구청장직을 상실한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
  • 서울공업고등학교 동문 - 신태악
    신태악은 일제강점기와 대한민국 제1공화국 시기에 활동하며 3·1 운동 참여, 변호사 활동, 친일 행적, 반민족행위특별조사위원회 조사, 대한변호사협회 회장 등을 역임한 법조인이자 정치인이다.
정일성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정일성
현지어 표기鄭一成
출생일1929년 2월 19일 ()
출생지일본 도쿄
배우자김용자
자녀정현주(장녀), 정현기(아들), 정현이(차녀)
친척성지훈(외손자)
산남(山南)
본관진주(晉州)
군 복무
근무주한미군사령부
주한 미8군 공보실
대한민국 국방부 정훈국
지휘주한미군사령부 공병장교
주한미군사령부 일본어 통역장교
주한 미8군 공보실 공보원
주한 미8군 공보실 정훈장교
대한민국 국방부 정훈국 정훈장교
주요 참전 전투/전쟁한국 전쟁
최종 계급[[파일:중위.JPG|25px]] 육군 중위
복무 기간1951년 ~ 1954년
경력
주요 경력영화촬영감독 겸 영화편집감독
서울예술전문대학 전임교수
한양대학교 강사
수상
수상 내역백상예술대상 영화부문 기술상
한국연극영화예술상
대한민국 문화예술상 대통령상
자랑스런 서울시민상
제20회 대한민국 문화예술상
청룡영화상 특별공로상
대한민국 보관문화훈장
한국영화평론가협회상 공로영화인상

2. 생애

정일성은 진주 정씨로 일본 도쿄에서 태어났으며, 1945년 8·15 광복 직후 대한민국으로 귀국하였다. 1951년 육군 갑종사관으로 육군 소위로 임관, 주한미군사령부 등에서 복무하였다. 1953년 육군 중위로 진급하였다. 1954년 공군 홍보 제작 영화 《출격명령(돌격명령)》으로 영화촬영조감독 데뷔를 하였고, 같은 해 육군 중위로 예편하였다.

2. 1. 생애 초기

본관은 진주이며 일본 도쿄에서 출생하였다. 1945년 8·15 광복 직후 대한민국으로 귀국하였다. 호(號)는 산남(山南)이며, 예비역 대한민국 육군 중위이다.

1951년 육군 갑종사관으로 육군 소위로 임관, 주한미군사령부 공병장교 및 일본어 통역장교로 복무하였다. 이후 주한 미8군 경상남도 부산 주둔 부대에서 공보원(USIS) 및 정훈장교로 복무하였다. 1953년 육군 중위로 진급하였다.

1954년 육군 중위이자 대한민국 국방부 정훈국 정훈장교로 복무하던 중 공군 홍보 제작 영화 《출격명령(돌격명령)》으로 영화촬영조감독 데뷔를 하였고, 같은 해 육군 중위로 예편하였다.

3. 학력

4. 주요 작품

정일성 촬영감독은 수많은 영화에 참여했다. 다음은 그의 주요 작품 목록이다.

연도작품명감독비고
1957가거라 슬픔이여조긍하데뷔작
1962동경서 온 사나이박성복
1969지하실의 7인이성구
1971화녀김기영
1972충녀김기영
1975바보들의 행진하길종
1977이어도김기영
1980사람의 아들유현목
1980최후의 증인이두용제26회 아시아영화제 최우수작품상, 제19회 대종상 6개 부문 수상
1981만다라임권택베를린 영화제 경쟁 부문 초청
1981만추김수용
1982안개마을임권택
1985길소뜸임권택
1986황진이배창호
1987아다다임권택
1990장군의 아들임권택
1991장군의 아들 2임권택
1991개벽임권택
1992장군의 아들 3임권택
1993서편제임권택
1994태백산맥임권택
2000춘향뎐임권택
2002취화선임권택
2004하류인생임권택
2006천년학임권택


4. 1. 1950년대 ~ 1960년대

정일성은 1957년 조긍하 감독의 가거라 슬픔이여를 통해 촬영 감독으로 데뷔하였다. 이후 1962년 박성복 감독의 동경서 온 사나이, 1969년 이성구 감독의 지하실의 7인 등의 작품에서 촬영을 담당했다.

4. 2. 1970년대

정일성은 1970년대에 김기영 감독과 함께 《화녀》(1971), 《충녀》(1972)를 촬영했다. 이 두 영화는 독특한 영상미와 파격적인 내용으로 한국 영화사에 큰 영향을 미쳤다. 또한 하길종 감독의 《바보들의 행진》(1975)을 촬영하여 1970년대 청년 문화를 대표하는 영상을 만들어냈다. 김기영 감독과 다시 협업한 《이어도》(1977)는 제주도의 민속 신앙과 자연을 배경으로 한 독특한 작품이었다.

4. 3. 1980년대

정일성은 1980년대에도 임권택, 김수용, 이두용, 배창호 등 당대 한국 영화계를 대표하는 감독들과 협업하며 활발한 활동을 이어갔다.

1980년에는 유현목 감독의 《사람의 아들》과 이두용 감독의 《최후의 증인》 촬영을 맡았다. 특히 《최후의 증인》은 제26회 아시아영화제 최우수작품상, 제19회 대종상 6개 부문(작품, 감독, 남우주연, 촬영, 편집, 조명)을 수상하며 작품성을 인정받았다.

1981년에는 임권택 감독의 《만다라》와 김수용 감독의 《만추》 촬영을 담당했다. 《만다라》는 불교적 주제를 다룬 영화로, 베를린 영화제 경쟁 부문에 초청되었다. 《만추》는 김지헌, 김혜자 주연의 멜로 영화로, 김수용 감독 특유의 섬세한 연출이 돋보이는 작품이다.

1982년에는 임권택 감독의 《안개마을》 촬영을 맡았다. 정윤희, 안성기 주연의 이 영화는 한국 사회의 어두운 단면을 파격적으로 그려냈다는 평가를 받았다.

1985년에는 임권택 감독의 《길소뜸》 촬영을 담당했다. 김지미, 신성일, 한지일 등이 출연하여 화제를 모았던 이산가족 찾기를 소재로 한 영화이다.

1986년에는 배창호 감독의 《황진이》 촬영을 맡았다. 장미희, 안성기 주연의 이 영화는 황진이의 삶을 새로운 시각으로 조명하며 흥행에 성공했다.

1987년에는 임권택 감독의 《아다다》 촬영을 담당했다. 신혜수, 이경영 주연의 이 영화는 한국 전통 사회의 여성 수난사를 다룬 작품이다.

이처럼 정일성은 1980년대에도 다양한 장르의 영화 촬영을 맡으며 한국 영화계에 큰 족적을 남겼다. 특히 임권택 감독과의 꾸준한 협업은 그의 영화 인생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4. 4. 1990년대 이후

정일성은 1990년대에도 임권택 감독과 꾸준히 협업하며 한국 영화의 르네상스를 이끌었다. 1990년 《장군의 아들》을 시작으로, 1991년 《장군의 아들 2》, 1992년 《장군의 아들 3》까지 시리즈 전편의 촬영을 맡아 흥행에 기여했다. 특히, 역동적인 액션 장면과 배우들의 생동감 넘치는 표정을 포착하여 호평을 받았다.

1991년에는 임권택 감독의 또 다른 작품인 《개벽》의 촬영을 맡았다. 동학 농민 운동을 다룬 이 영화에서 정일성은 웅장한 스케일과 섬세한 영상미를 동시에 구현해냈다는 평가를 받았다.

1993년에는 한국 영화사에 한 획을 그은 작품인 《서편제》의 촬영을 담당했다. 판소리꾼의 삶과 예술혼을 담아낸 이 영화에서 정일성은 한국적인 색채와 정서를 아름다운 영상으로 표현해내며 깊은 감동을 선사했다.

1994년에는 임권택 감독의 《태백산맥》 촬영을 맡았다. 이 작품은 한국 현대사의 격동기를 배경으로 한 대작으로, 정일성은 이념 대립과 민족의 비극을 묵직한 영상으로 담아냈다.

2000년대에도 임권택 감독과의 협업은 계속되었다. 2000년 《춘향뎐》, 2002년 《취화선》, 2004년 《하류인생》, 2006년 《천년학》 등 다양한 작품에서 촬영 감독으로 참여하여 임권택 감독의 페르소나로서 굳건한 입지를 다졌다.

5. 수상 내역

정일성은 영화 촬영 감독으로서 여러 상을 받았다.

'''촬영상 부문'''에서는 1970년 백상예술대상 영화부문 기술상과 한국연극영화예술상 수상을 시작으로, 대종상영화제, 한국영화평론가협회상, 청룡영화상 등에서 촬영상을 받았다.

'''문화상 부문'''에서는 1993년 제20회 대한민국 문화예술상 대통령상을 받았고, 자랑스런 서울시민상, 보관문화훈장 등을 수상했다.

'''공로상 부문'''에서는 1997년 청룡영화상 특별공로상을 시작으로, 이천춘사대상영화제, 대한민국영화대상, 대종상영화제, 한국영화평론가협회상 등에서 공로상을 받았다.

5. 1. 촬영상 부문

연도상 이름작품
1970백상예술대상 영화부문 기술상
한국연극영화예술상
지하실의 7인
1971대종상영화제 촬영상화녀
1972백상예술대상 영화부문 기술상
한국연극영화예술상
부일영화상 촬영상
화녀
1974대종상영화제 촬영상국회푸락치
1977한국연극영화예술상
백상예술대상 영화부문 기술상
아시아영화제 촬영상
광화문통아이
가위바위보
1978대종상영화제 촬영상과부
1980한국영화평론가협회상 촬영상사람의 아들
1981한국연극영화예술상
한국영화평론가협회상 촬영상
만다라
1982대종상영화제 촬영상
백상예술대상 영화부문 기술상
만추
만다라
1983대종상영화제 촬영상안개마을
1987하와이국제영화제 촬영상(이스트만 코닥)황진이
1988백상예술대상 영화부문 기술상아다다
1990대종상영화제 촬영상젊은날의 초상
1991청룡영화상 촬영상
한국영화평론가협회상 촬영상
개벽
1993대종상영화제 촬영상
청룡영화상 촬영상
한국영화평론가협회상 촬영상
서편제
1994이천춘사대상영화제 촬영상태백산맥
2000이천춘사대상영화제 촬영상
한국영화평론가협회상 촬영상
춘향뎐
2002청룡영화상 촬영상
부산영화평론가협회상 촬영상 -이필우 기념상
한국영화평론가협회상 촬영상
취화선


5. 2. 문화상 부문

연도수상 내역
1993제20회 대한민국 문화예술상 대통령상
1993자랑스런 서울시민상
1993제20회 문화예술상
2000보관문화훈장
2002제3회 한국영화문화상
2002제1회 고려대언론대학원 언론문화인상
2011제60회 서울시문화상


5. 3. 공로상 부문

연도상 이름
1997청룡영화상 특별공로상
2002이천춘사대상영화제 춘사탄생100주년 기념공로상
2002대한민국영화대상 공로상 (MBC영화공로상)
2005단성사 개관 100주년기념 100인 공로상
2013대종상영화제 영화발전공로상
2014한국영화평론가협회상 공로영화인상
2017황금촬영상 공로상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