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정조암살미스터리: 8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정조암살미스터리: 8일》은 2006년 오세영의 소설 《원행》을 바탕으로 제작된 드라마로, 1795년 정조가 혜경궁 홍씨의 회갑연을 기념하고 사도세자의 회갑을 기리기 위해 화성으로 행차한 8일 동안 일어나는 암살 시도를 다룬다. 드라마는 정조, 혜경궁 홍씨, 정약용 등 주요 인물과 함께, 《한중록》, 《원행을묘정리의궤》, 《화성성역의궤》 등의 역사적 자료를 활용하여 당시의 정치적 갈등과 암살 미스터리를 그린다. 이 드라마는 종종 '정조 암살 미스터리: 8일'로 번역되지만, 정조가 1795년의 위기를 극복하고 1800년에 사망했기에 오해의 소지가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선 정조를 소재로 한 작품 - 영원한 제국
    《영원한 제국》은 19세기 초 조선의 정치적 격변기를 배경으로 안성기, 조재현, 김혜수 등 유명 배우들이 출연하여 정조와 정적들의 권력 투쟁과 음모를 그린 영화로, 1995년 대종상에서 최우수작품상을 수상하며 작품성을 인정받았다.
  • 조선 정조를 소재로 한 작품 - 성균관 스캔들
    《성균관 스캔들》은 조선시대 성균관을 배경으로 여성이 남장하여 입학해 벌어지는 이야기를 그린 드라마로, 역사적 배경 묘사와 여성의 사회적 지위 메시지로 인기를 얻었으나 역사적 사실과의 차이에 대한 논란도 있으며, 한류 드라마로서 성공을 거두었다.
  • 김원석 시나리오 작품 - 임꺽정 (1996년 드라마)
    1996년 SBS 드라마 《임꺽정》은 백정 출신 임꺽정의 성장 과정을 다루며, 정흥채, 차광수, 김원희 등이 출연했고 선정성 및 초상권 침해 논란이 있었다.
  • 김원석 시나리오 작품 - 행촌 아파트
    행촌 아파트는 강남길, 양미경, 김상순 등 다수의 출연진 정보를 포함하는 문서이다.
정조암살미스터리: 8일 - [TV프로그램]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Eight Days (TV series) poster.jpg
포스터
원제정조암살미스터리 8일
로마자 표기Jeongjoamsalmiseuteori 8il
영제Eight Days Mystery of Jeongjo Assassination
장르시대극
드라마
방송 국가대한민국
방송 채널CJ CGV
방송 기간2007년 11월 17일 ~ 2007년 12월 16일
방송 시간매주 토요일, 일요일 밤 11시 (KST)
방송 횟수10부작
제작진
원작오세영의 《여행》
극본김원석
연출박종원
책임 프로듀서한창훈
프로듀서고장원
김도연
안상휘
이주형
촬영장성백, 김재호
음악전창엽
편집강미자
출연
출연자김상중
박정철
정애리
이선호
희원
박수현
관련 정보
관련 작품정조암살미스터리: 8일 (뮤지컬)

2. 등장인물

wikitext

이 드라마는 정조 시대를 배경으로 하며, 정조, 정약용, 혜경궁 홍씨, 심환지 등 실제 역사적 인물들과 함께 드라마의 극적 구성을 위해 창작된 가상 인물들이 함께 등장하여 이야기를 전개한다. 각 인물에 대한 상세한 정보는 아래 하위 문단에서 다룬다.

2. 1. 주요 인물


  • 김상중 : 정조 역 (아역 박건우) - 조선의 제22대 임금. 끊임없는 암살 위협 속에서도 개혁 정치를 추진하려는 군주로, 드라마의 중심에서 이야기를 이끌어간다.
  • 정애리 : 혜경궁 홍씨 역 - 사도세자의 부인이자 정조의 어머니. 아들인 정조를 아끼는 마음과 정치적 현실 사이에서 고뇌하는 인물이다.
  • 박정철 : 정약용 역 - 실학을 집대성한 학자이자 정조의 깊은 신임을 받는 관리. 명석한 두뇌와 추리력으로 정조를 도와 사건의 진상을 파헤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 박찬환 : 심환지 역 - 병조판서이자 보수적인 노론 세력의 핵심 인물. 정조의 개혁 정책에 반대하며 정조와 날카롭게 대립하여 극의 갈등을 심화시킨다.
  • 이선호 : 장인형 역 - 문인방에 의해 비밀 결사에 가담하게 되는 인물. 사건의 진실에 다가가면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 희원 : 소향비 역 - 장인형의 연인. 사건 전개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인물로 등장한다.

2. 2. 주변 인물

출연 배우배역실제 인물설명
이선호장인형문인방에 의해 동료 장 동지로 영입된 인물.
희원소향비멋진 모자를 쓴 여인으로, 장인형의 연인.
박찬환심환지심환지 (1730–1802)병조판서이자 노론의 수장. 정조와 대립하는 핵심 인물 중 하나이다.
이대연문인방떠오르는 해의 주동자로, 옥포 선생이라는 별명을 가졌다.
장기용홍재천대동 상단의 수장. 본명은 상필이며, 문인방에 의해 홍 동지로 영입된다.
박수현최기수왕의 경호 책임자인 최기총.
조달환김춘득왕실 호위대 장교이자 정약용의 경호원.
김태훈김한주정순왕후의 조카로, 정순왕후와 노론 세력 사이의 연결 고리 역할을 한다.
김성겸영조영조 (1694–1776)정조의 할아버지이자 조선의 제21대 국왕 (재위 1724–1776). 사도세자를 뒤주에 가둬 죽게 한 비극의 중심에 있다.
박웅채제공채제공 (1720–1799)시파의 지도자로, 드라마에서는 좌의정으로 등장하여 정조를 보좌한다.
김기현김정수노론 지도자.
김희정정순왕후정순왕후 (1745–1805)경주 김씨 출신으로 영조의 계비이자 정조의 할머니. 영조 사후 수렴청정을 하며 노론 벽파의 핵심 인물로 영향력을 행사한다.
조한준사도세자사도세자 (1735–1762)영조의 둘째 아들이자 정조의 아버지. 뒤주에 갇혀 사망한 비운의 세자. 본명은 이선이며, 사후 장헌세자로 추존되었다.
이용환구명록구선복의 숨겨진 아들로, 훈련도감의 훈련 담당관.
홍승일정한기
정용우홍병신병조 참의.
나재균홍인한홍인한 (1722–1776)1775년 좌의정을 지냈으며, 홍봉한의 동생. 정조의 즉위를 반대한 인물 중 하나이다.
허기호홍봉한홍봉한 (1713–1778)헌경왕후의 아버지이자 정조의 외할아버지. 사도세자 사건과 관련하여 복잡한 입장에 놓였던 인물이다.
최겅우이경무오군영훈련도감 지휘관.
이용진조심태수원부사.
김성일동중서팽호의 군주.
한철우장손이명사수.
정용주장손산수중 작전 전문가.
송영진홍상궁
이웅재홍수영홍수영 (1755–1798)홍낙인의 장남. 1795년 비망록 수령자.
홍애빈화완옹주화완옹주 (1737–1808)영조영빈 이씨 사이의 딸이자 사도세자의 누이동생. 정후겸을 양자로 들여 정조와 대립하기도 했다.
원종선심이지오군영 중 수어청 대장.
이형주이한풍오군영 중 어영청 대장.
박용진이명식왕실 호위대의 별감(제조).
오창경이유경조심태의 부관.
박종철유언호유언호노론의 일원.
김건호윤시동윤시동 (1729–1797)1795년 당시 우찬성.
최민서신대현오군영 중 총융청 지휘관.
김양우구선복구선복1762년 사도세자를 고발한 인물 중 하나. 드라마 1화에서 처형된 장군으로 등장한다.
신동훈막쇠척사단 행상.
김승훈대동 집사대동 상단의 수행원.
이재욱배정태
노익현한장복화성 행궁에 잠입한 대동 상단의 첩자.
정나온젊은 주모주막 주인.
오서연한매
설지윤청연공주청연공주 (1754–1821)사도세자와 헌경왕후 사이의 첫째 딸이자 정조의 누나.
박건우어린 정조이산. 왕의 계승자 시절 모습.
윤영민정복왕의 환관이자 정후겸의 형제.
석명식한주 집사김한주의 수행원.
양정현문중어른
이동연어린 수영홍수영의 어린 시절 모습.
김진희어린 혜경헌경왕후의 어린 시절 모습.
오현실혜경 상궁헌경왕후의 시녀.
신경선정조 상궁정조의 시녀.
변양호서유방경기감사. 비밀리에 노론을 돕는 인물.
손영권정후겸정후겸 (1750–1776)화완옹주의 양자로, 정조의 즉위를 방해했던 인물 중 하나.
한혁주김귀주김귀주 (1740–1786)정순왕후의 오빠. 정조 즉위 후 유배되었다.


  • 표에 기재된 출생 및 사망 연도는 해당 인물의 실제 생애를 기준으로 한다.

2. 3. 그 외 인물

마지막 회의 크레딧에 묘사된 바와 같이, 이 드라마는 다음과 같은 등장인물들을 포함한다.

출연등장인물실제 인물비고
김상중정조정조조선 시대의 왕 (1752~1800, 재위 1776~1800). 드라마의 중심 인물.
박정철정약용정약용실학 철학자 (1762~1836), 시파의 조정자, 호는 다산.
정애리혜경궁헌경왕후사도세자의 빈 (1735~1815), 정조의 어머니. 혜빈. 홍봉한의 딸.
이선호장인형장인형문인방에 의해 동료 장 동지로 영입.
희원소향비소향비멋진 모자를 쓴 여인, 장인형의 연인.
박찬환심환지심환지병조판서 (1730~1802), 노론의 수장.
이대연문인방문인방떠오르는 해의 주동자. 별명= 옥포 선생.
장기용홍재천홍재천대동 상인의 수장, 본명은 상필: 문인방에 의해 동료 홍 동지로 영입.
박수현최기수최기수최기총, 왕의 경호원.
조달환김춘득춘득왕실 호위대 장교, 정약용의 경호원.
김태훈김한주김한주정순왕후의 조카, 정순왕후와 노론 사이의 연결 고리.
김성겸영조영조전 국왕 (1694~1776, 재위 1724~1776).
박웅채제공채제공시파 지도자 (1720~1799), 좌의정으로 등장.
김기현김정수김정수전 노론 지도자.
김희종정순왕후정순왕후경주 김씨 (1745~1805), 영조의 계비, 정순왕대비.
조한준사도세자사도세자영조의 둘째 아들(영빈 이씨 소생) (1735~1762), 고 장헌세자, 정조의 아버지.
이용환구명록구명록구선복의 숨겨진 아들, 훈련도감의 훈련 담당.
홍승일정한기정한기.
정용우홍병신홍병신병조 참의. E05, 09:50.
나재균홍인한홍인한1775년 좌의정 (1722~1776): 홍봉한의 동생.
허기호홍봉한홍봉한헌경왕후의 아버지 (1713~1778), 정조의 외할아버지.
최정우이경무이경무오군영: 훈련도감 지휘관.
이용진조심태조심태수원부사.
김성일동중서동중서팽호의 군주.
한철우장손이장손이명사수.
장영주장손산장손산수중 작전 전문가.
송영진홍상궁홍상궁.
이용재홍수영홍수영홍낙인의 장남 (1755~1798). 1795년 비망록 수령자.
홍예빈화완옹주화완옹주영조와 영빈 이씨의 딸 (1737~1808).
원종선심이지심이지오군영: 수어사 대장.
이형주이한풍이한풍오군영: 어영청 대장.
박용진이명식이명식왕실 호위대 별감(제조).
오창경이유경이유경조심태의 부관.
박종철유언호유언호노론의 일원.
김권호윤시동윤시동1795년 우찬성 (1729~1797).
최민서신대현신대현오군영: 총융청 지휘관.
김양우구선복구선복1762년 사도세자 고변 관련 인물: E01에서 처형된 장군.
신동훈막쇠막쇠척사단 행상.
김승훈대동 집사대동 집사대동 수행원.
이재욱배정태배정태.
노익현한장복한장복화성 행궁의 대동 첩자.
정나온젊은 주모젊은 주모주막 주인.
오서연한매한매.
설지윤청연공주청연공주사도세자와 헌경왕후의 첫째 딸 (1754~1821).
박건우어린 정조정조 (어린 시절)이산, 왕세손, 훗날 정조가 됨.
윤영민정복정복왕의 환관, 정후겸의 형제.
석명식한주 집사한주 집사김한주 수행원.
양정현문중 어른문중 어른.
이동현어린 수영홍수영 (어린 시절)홍수영 (어린 시절).
김진희어린 혜경혜경궁 (어린 시절)혜경 (어린 시절).
오현실혜경 상궁혜경 상궁헌경왕후의 시녀.
신경선정조 상궁정조 상궁정조의 시녀.
변양호서유방서유방경기감사, 노론을 비밀리에 돕고 있음.
손영권정후겸정후겸화완옹주의 양자 (1750~1776).
한혁주김귀주김귀주정순왕후의 오빠 (1740~1786).


  • 제공된 경우, 출생 및 사망 연도는 등장인물의 실제 생애에 따른다.

3. 줄거리

1795년, 정조는 어머니 혜경궁 홍씨의 회갑을 기념하고 아버지 사도세자의 묘를 참배하기 위해 8일간의 화성 행차에 나선다.[2] 이 행차 기간 동안 정조를 노린 여러 차례의 암살 시도가 벌어진다. 처음에는 문인방(밀교) 세력이 암살을 시도하지만, 곧 정조의 개혁 정치에 반대하는 노론 세력이 이 음모를 자신들의 목적 달성에 이용한다. 노론은 문인방의 시도를 빌미 삼아 시파 세력과 정조를 함께 제거하려는 계획을 세우고 실행에 옮긴다. 드라마는 8일이라는 시간 동안 궁궐 밖에서 벌어지는 암살 위협과 이를 둘러싼 정치 세력 간의 숨 막히는 대결을 그린다.

3. 1. 역사적 배경

이 드라마는 오세영 작가가 2006년에 쓴 소설 《원행》을 원작으로 한다. 드라마의 배경은 1795년, 정조가 어머니 혜경궁 홍씨의 회갑을 기념하고 아버지 사도세자의 회갑을 추존하기 위해 화성으로 행차했던 실제 사건이다.[2] 드라마는 정조가 궁궐을 떠나 8일간 의례를 치르는 동안 여러 차례 암살 위협에 직면하는 과정을 그린다. 처음에는 문인방(밀교) 세력이 암살을 시도하지만, 이후 노론 세력이 이 음모를 이용하여 시파와 정조를 제거하려 한다.

이 드라마는 허구적인 이야기 외에도 두 가지 중요한 역사 기록을 바탕으로 한다. 혜경궁 홍씨가 쓴 《한중록》은 사도세자의 죽음(1762년) 이전 사건들을 다루는 회상 장면에 주로 활용되었다. 또한, 조선 왕실의 공식 기록인 《원행을묘정리의궤》(1795년 행차 기록)와 《화성성역의궤》(화성 건설 기록)는 드라마 속 현재 사건들의 주요 참고 자료로 사용되었다.

드라마의 영어 제목은 종종 'Jeongjo Assassination Mystery: 8 Days'로 번역되는데, 이는 정조가 1795년의 위기를 극복하고 1800년에 사망했다는 역사적 사실을 고려할 때 오해의 소지가 있을 수 있다.[3]

3. 1. 1. 화성행행도 병풍

1795년 정조의 화성행행을 기록한 주요 자료는 8폭 병풍인 《화성행행도 병풍》이다. 현재 이 병풍은 세 가지 사본이 전해지는데, 하나는 흑백 사본,[4] 다른 하나는 청색 사본이며, 마지막은 채색된 어람용(왕의 사본)이다.[5] 이 채색 사본은 삼성미술관 리움에 소장되어 있으며, 2005년 4월 15일 국보 제1430호로 지정되었다.[6]

《화성행행도 병풍》의 각 폭 내용은 다음과 같다.

  • 화성성묘전배 (묘)
  • 낙남헌방방 (시험)
  • 봉수당진찬 (연회)
  • 낙남헌양로연 (어르신)
  • 서장대야조 (서장대)
  • 득중정어사 (화살)
  • 환어행렬 (행렬)
  • 한강주교환어 (다리)

3. 1. 2. 화성 지도

1800년 《원행을묘정리의궤》에 실린 화성의 지도이다.

4. 제작진


  • 기획 : 김철연, 이성환
  • 프로듀서 : 고장원, 김도연, 안상휘, 이주형
  • 제작관리 : 이규환, 윤선영
  • 제작 : 이호찬
  • 제작이사 : 한창훈
  • 제작실장 : 최영윤
  • 극본 : 김원석, 오세영
  • 연출 : 박종원

5. 시청률

: 아래 표는 TNmS와 AGB닐슨 미디어리서치에서 조사한 전국 시청률을 나타낸다. 파란색 '''굵은 글씨'''는 최저 시청률, 빨간색 '''굵은 글씨'''는 최고 시청률을 의미한다. 시청률 조사 회사와 지역별로 시청률에 차이가 있을 수 있다.

2007년
회차방송일TNmS 시청률AGB닐슨 미디어리서치
대한민국(전국)대한민국(전국)
111월 17일15.5%16.1%
211월 18일16.9%16.4%
311월 24일18.8%19.3%
411월 25일17.1%17.5%
512월 1일17.5%19.8%
612월 2일17.8%17.7%
712월 8일17.0%16.8%
812월 9일15.4%15.8%
912월 15일15.7%15.5%
10 (마지막회)12월 16일21.4%21.2%


6. 역사적 사실과의 차이점

드라마의 내용 중 실제 역사 기록과 다른 부분들이 존재한다.


  • 혜경궁 홍씨가 쓴 한중록은 실제로는 여러 시기에 다른 독자를 대상으로 작성된 네 개의 문서를 모아놓은 것이다. 드라마의 배경이 되는 정조의 행차 시점(1795년)에 쓰인 한중록에는 사도세자의 행적에 대한 상세한 묘사가 나타나지 않는다. 사도세자와 관련된 논란성 내용은 행차 10년 후인 1805년에 작성된 부분에 주로 기록되어 있다.
  • 문인방(文人邦)이라는 인물은 극 중에서 1786년 농민 봉기와 연관된 것처럼 그려지지만, 정조실록에 따르면 문인방에 대한 첫 언급은 1782년 4월 4일에 나온다. 그는 같은 해 11월 20일에 정감록을 퍼뜨린 혐의 등 여러 죄목으로 재판을 받았다. 이후 기록에서 문인방의 이름은 특정 인물보다는 그가 연루된 죄를 상징적으로 나타내는 데 사용된 것으로 보인다.
  • 홍봉한은 드라마에서 영조정조 시대에 걸쳐 노론 세력의 핵심 인물로 묘사된다. 그러나 혜경궁 홍씨의 한중록을 포함한 여러 역사 기록에서는 그를 시파의 주요 인물로 분류하고 있다.
  • 궁중 관료들의 복식 또한 실제와 차이가 있다. 조선 시대에는 관복의 색깔로 품계를 구분했는데, 붉은색은 당상관 등 고위 관료, 푸른색은 당하관 중 중간 등급 관료, 녹색은 하위 관료에게 주어졌다. 드라마에서는 푸른색 옷을 주로 반대파 인물들이 입고, 붉은색 옷을 주인공 측 인물들이 입는 것으로 설정하여 선악 구도를 시각적으로 보여주고자 했다. 이는 시청자의 이해를 돕기 위한 극적 장치일 수 있으나, 실제 역사적 사실과는 다르다. 일각에서는 이러한 설정이 작가가 시파에 대해 가진 관점을 반영한 일종의 풍자일 수도 있다고 해석한다.[7]

참조

[1] 웹사이트 Performance Information http://eng.suwon.ne.[...] 2013-05-08
[2] 문서 Sagapyeon
[3] 웹사이트 Reformative King Jeongjo Was Not Fatally Poisoned https://www.koreatim[...] 2013-05-30
[4] 웹사이트 Hwaseong Haenghaeng http://gongu.copyrig[...] Korean Copyright Commission
[5] 웹사이트 Kim Deuksin Hwaseongneunghaengdo http://gongu.copyrig[...] Korean Copyright Commission 2013-05-31
[6] 웹사이트 Royal Parade to Hwaseong Fortress http://jikimi.cha.go[...]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2013-05-08
[7] 웹사이트 Renaissance of Joseon King Jeongjo https://www.koreatim[...] 2013-04-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