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육군단 (독일 제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1육군단은 독일 제국 육군의 군단으로, 1814년에 창설되어 제1차 세계 대전 종전 시까지 존속했다. 프로이센-오스트리아 전쟁, 프랑스-프로이센 전쟁, 제1차 세계 대전에 참전했으며, 특히 제1차 세계 대전 초 동프로이센 방어전에 투입되었다. 평시에는 제1사단과 제2사단을 주력으로 쾨니히스베르크에 주둔했으며, 1914년 동원령에 따라 기병 여단이 재편성되고, 24개 보병 대대, 8개 기관총 중대 등으로 구성되었다. 역대 군단장으로는 프리드리히 빌헬름 폰 뷜로프 남작, 알렉산데르 폰 클루크 등이 있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독일 제국군의 군단 - 근위군단
근위군단은 프로이센-독일 제국의 정예 부대 또는 대한민국 육군에서 대통령 경호 및 특수 임무를 수행하는 부대를 의미한다. - 독일 제국군의 군단 - 근위예비군단
제1차 세계 대전 중 독일 제국과 러시아 제국 육군에서 운용된 군단급 부대인 근위예비군단은 1914년 독일이 러시아 제국군의 공격에 대비해 예비군을 기반으로 창설되었으며, 막스 폰 갈비츠가 초대 사령관을 맡아 동부 전선에서 활동하다 1916년 서부 전선으로 이동하여 종전까지 활약했다. - 1814년 설립 - 웰링턴 공작
웰링턴 공작은 아서 웰즐리에게 수여된 영국 귀족 작위로, 초대 공작은 "나폴레옹 정복자"로 불리는 뛰어난 군인이었으며 현재는 9대 웰링턴 공작 아서 찰스 발레리언 웰즐리가 작위를 계승하고 햄프셔주와 런던에 주요 저택을 소유하고 있다. - 1814년 설립 - 로즈 크리켓 그라운드
로즈 크리켓 그라운드는 1787년 토마스 로드가 설립한 잉글랜드 런던의 크리켓 경기장으로, 메릴본 크리켓 클럽의 홈 구장이며, 크리켓 역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 1919년 폐지 - 제1기 잉만 내각
제1기 잉만 내각은 잉만 대통령 당선 이후 구성되었으며, 진보적인 정책 추진을 통해 국민 삶의 질 향상에 기여했으나 보수 진영의 반발을 불러일으키기도 했다. - 1919년 폐지 - 핀란드 왕국 (1918년)
핀란드 왕국(1918년)은 핀란드가 러시아 제국으로부터 독립 후 독일의 지원을 받아 군주국으로 전환하려 했으나, 독일의 패배와 내부 혼란으로 왕 추대가 무산되고 공화국으로 재전환된 시기이다.
제1육군단 (독일 제국) - [군대/부대]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명칭 | 제1군단 |
원어 명칭 | I. Armee-Korps (독일어) |
약칭 | I AK |
부대 휘장 | 장군사령부 참모기 |
창설 | 1814년 |
해체 | 1919년 |
국가 | 프로이센 / 독일 제국 |
종류 | 군단 |
규모 | 1914년 동원 시 약 44,000명 |
주둔지 | 쾨니히스베르크 (현재 러시아의 칼리닌그라드)/Vorder-Roßgarten 54 |
어깨끈 파이핑 색상 | 흰색 |
지휘부 | |
주요 참전 | |
보오전쟁 | 트라우테나우 전투 쾨니히그레츠 전투 |
보불전쟁 | 노이세빌레 전투 그라벨로테 전투 메츠 공방전 아미앵 전투 (1870년) 알루에 전투 생캉탱 전투 (1871년) |
제1차 세계 대전 | 슈탈루푀넨 전투 굼비넨 전투 타넨베르크 전투 (1914년) 제1차 마수리안 호 전투 |
2. 역사
2. 1. 창설 배경
2. 2. 주요 참전 전쟁
2. 2. 1. 프로이센-오스트리아 전쟁 (1866)
프로이센-오스트리아 전쟁에서 제1군단은 오스트리아 제국을 상대로 트라우테나우 전투와 쾨니히그레츠 전투에서 싸웠다.[4]2. 2. 2. 프랑스-프로이센 전쟁 (1870-1871)
제1군단은 1870년부터 1871년까지 프랑스를 상대로 한 프랑스-프로이센 전쟁에 참전했다. 노아즈빌 전투, 그라벨로트 전투, 메츠 포위전, 아미앵 전투, 알루 전투, 생캉탱 전투 등 여러 전투에서 활약했다. 이 전쟁에서 프로이센 왕국이 승리하면서 독일 제국이 수립되었다.2. 2. 3. 제1차 세계 대전 (1914-1918)
동원령에 따라 제1군단은 제8군에 배속되어 동프로이센을 방어했으며, 1914년 8월 나머지 군은 슐리펜 계획 공세를 수행했다. 스탈루페넨 전투, 굼비넨 전투, 탄넨베르크 전투 및 제1차 마주르 호수 전투에 참전했다.[3] 군단은 전쟁이 끝날 때까지 존속했다.[3]2. 3. 해체
3. 편성
3. 1. 평시 편성 (1914년 이전)
1914년 이전, 제1육군단은 제1사단과 제2사단을 핵심 전력으로 보유했다.[22] 각 사단은 2개의 보병 여단, 1개의 야전 포병 여단, 1개의 기병 여단으로 구성되었다.[8]제1사단은 제1, 제2보병여단, 제1야전포병여단, 제1기병여단으로 구성되었다. 각 여단은 2개의 연대로 구성되어, 제1사단은 총 4개의 보병 연대(제1척탄병연대, 제41보병연대, 제3척탄병연대, 제43보병연대), 2개의 야전포병연대(제16야전포병연대, 제52야전포병연대), 2개의 기병 연대(제3흉갑기병연대, 제1용기병연대)를 보유했다.[22]
제2사단은 제3, 제4보병여단, 제2야전포병여단, 제2, 제43기병여단으로 구성되었다. 제2사단은 총 4개의 보병 연대(제4척탄병연대, 제44보병연대, 제33수발총병연대, 제45보병연대), 2개의 야전포병연대(제1야전포병연대, 제37야전포병연대), 4개의 기병 연대(제12창기병연대, 제9기마엽병연대, 제8창기병연대, 제10기마엽병연대)를 보유했다.[22]
군단 직할 부대로는 제5기관총분견대, 제1요새기관총분견대, 제1보병포연대, 제1공병대대, 제18공병대대, 제5요새전화중대, 제5비행선대대, 제1훈련대대가 있었다.[22]
군단급 | 사단급 | 여단급 | 예하부대 | 주둔지 |
---|---|---|---|---|
제1육군단 | 제1사단 | 제1보병여단 | 제1(제1동프로이센)척탄병연대 "황태자" | 쾨니히스베르크 |
제41(제5동프로이센)보병연대 "폰 보이엔" | 틸시트 | |||
제2보병여단 | 제3(제2동프로이센)척탄병연대 "프리드리히 빌헬름 1세 국왕" | 쾨니히스베르크 | ||
제43(제6동프로이센)보병연대 "카를 폰 메클렌부르크 공작" | 쾨니히스베르크 | |||
제1야포여단 | 제16(제1동프로이센)야포연대 | 쾨니히스베르크 | ||
제52(제2동프로이센)야포연대 | 쾨니히스베르크 | |||
제1기병여단 | 제3(동프로이센)흉갑기병연대 "브랑겔 백작" | 쾨니히스베르크 | ||
제1(리투아니아)용기병연대 "알브레히트 폰 프로이센 대공" | 틸시트 | |||
제2사단 | 제3보병여단 | 제4(제3동프로이센)척탄병연대 "프리드리히 데어 그로스 국왕" | 라슈텐부르크 | |
제44(제7동프로이센)보병연대 "된호프 백작" | 골다프 | |||
제4보병여단 | 제33(동프로이센)수발총병연대 "룬 백작" | 굼비넨 | ||
제45(제8동프로이센)보병연대 | 인슈터부르크, 다르케흐멘 | |||
제2야포여단 | 제1(제1리투아니아)야포연대 "아우구스트 폰 프로이센 대공" | 굼비넨, 인슈터부르크 | ||
제37(제2리투아니아)야포연대 | 인슈터부르크 | |||
제2기병여단 | 제12(리투아니아)창기병연대 | 인슈터부르크 | ||
제9기마엽병연대 | 인슈터부르크 | |||
제43기병여단 | 제8(동프로이센)창기병연대 "추 도흐나 백작" | 굼비넨, 슈탈루푀넨 | ||
제10기마엽병연대 | 앙거부르크, 골다프 | |||
군단 직속부대 | 제5기관총분견대 | 인슈터부르크 | ||
제1요새기관총분견대 | 쾨니히스베르크 | |||
제1(동프로이센)보병포연대 "폰 링거" | 쾨니히스베르크, 뢰트첸 | |||
제1(동프로이센)공병대대 "라트치빌 대공" | 쾨니히스베르크 | |||
제18(자믈란트)공병대대 | 쾨니히스베르크 | |||
제5요새전화중대 | 쾨니히스베르크 | |||
제5비행선대대 | 그라우덴츠, 쾨니히스베르크, 슈나이데뮈흘 | |||
제1(동프로이센)훈련대대 | 쾨니히스베르크 |
3. 2. 전시 편성 (제1차 세계 대전)
1914년 8월 2일 동원령에 따라 제1군단은 재편성되었다. 제1 및 제2 기병 여단은 철수하여 제1 기병 사단[12]의 일부를 구성했으며, 제43 기병 여단은 해체되어 그 연대는 정찰대로 사단에 배속되었다. 각 사단은 공병대와 기타 지원 부대를 군단 본부로부터 받았다.[13]제1차 세계 대전 발발 직후, 제1군단은 24개 보병 대대, 8개 기관총 중대(48개 기관총), 8개 기병 대대, 24개 야전 포병대(144문), 4개 중(重) 포병대(16문), 3개 공병 중대, 1개 항공 분견대로 구성되었다.[13] 군단 직속부대로는 제1보병포연대 제1대대,[24] 제14항공분견대, 제1육군단 부잔교훈련대, 제1전화분견대, 제1공병탐조등과, 군수훈련종대가 있었다.[23]
제1사단은 제1보병여단과 제2보병여단, 제1야포여단, 그리고 지원부대로, 제2사단은 제3보병여단, 제4보병여단, 제2야포여단 및 지원부대로 구성되었다.
4. 역대 군단장
제1육군단은 창설부터 해체될 때까지 많은 군단장이 거쳐 갔다.[17][20][21]
취임일자 | 계급 | 성명 |
---|---|---|
1814년 3월 18일 | 보병대장 | 프리드리히 빌헬름 폰 뷜로프 남작 |
1816년 3월 5일 | 기병대장 | 루트비히 폰 보르슈텔 |
1825년 6월 18일 | 중장 | 카를 아우구스트 폰 크라프트 |
1832년 3월 30일 | 중장 | 올트비히 폰 나츠머 |
1839년 11월 29일 | 기병대장 | 프리드리히 폰 브랑겔 백작 |
1842년 4월 7일 | 기병대장 | 카를 프리드리히 에밀 추 도흐나슐로비텐 |
1854년 3월 28일 | 보병대장 | 프란츠 카를 폰 베르더 |
1863년 1월 29일 | 보병대장 | 아돌프 폰 보닌 |
1866년 10월 30일 | 보병대장 | 에두아르트 포겔 폰 팔켄슈타인 |
1868년 8월 4일 | 기병대장 | 에드윈 폰 만토우펠 남작 |
1873년 7월 15일 | 보병대장 | 알베르트 폰 바르네코프 남작 |
1883년 6월 5일 | 중장 | 발터 폰 고트베르크 |
1885년 6월 1일 | 중장 | 크리스티안 에발트 폰 클라이스트 |
1889년 6월 15일 | 보병대장 | 파울 브론자르트 폰 셸렌도르프 |
1891년 6월 29일 | 보병대장 | 한스 빌헬름 폰 베르더 |
1895년 1월 10일 | 보병대장 | 카를 핀크 폰 핀켄슈타인 백작 |
1902년 1월 27일 | 보병대장 | 콜마르 폰 데어 골츠 남작 |
1907년 9월 11일 | 보병대장 | 알렉산데르 폰 클루크 |
1913년 10월 1일 | 중장 | 헤르만 폰 프랑수아 |
1914년 10월 8일 | 중장 | 로베르트 코슈 |
1915년 6월 11일 | 보병대장 | 요하네스 폰 에벤 |
1917년 6월 5일 | 보병대장 | 아르놀트 폰 빈클러 |
1918년 2월 25일 | 중장 | 빌헬름 그뢰너 |
1918년 3월 28일 | 중장 | 테오도어 멩겔비어 |
1918년 12월 14일 | 보병대장 | 요하네스 폰 에벤 |
1919년 2월 25일 | 중장 | 루트비히 폰 에슈토르프 |
5. 전투서열
5. 1. 평화시
독일 제국 제1육군단은 평화시 쾨니히스베르크에 주둔했으며, 제1사단과 제2사단으로 구성되었다.[22]제1사단은 제1보병여단, 제2보병여단, 제1야포여단, 제1기병여단으로 구성되었다.[22] 제1보병여단은 제1(제1동프로이센)척탄병연대 "황태자"와 제41(제5동프로이센)보병연대 "폰 보이엔"으로, 제2보병여단은 제3(제2동프로이센)척탄병연대 "프리드리히 빌헬름 1세 국왕"과 제43(제6동프로이센)보병연대 "카를 폰 메클렌부르크 공작"으로 편성되었다.[22] 제1야포여단은 제16(제1동프로이센)야포연대와 제52(제2동프로이센)야포연대가, 제1기병여단은 제3(동프로이센)흉갑기병연대 "브랑겔 백작"과 제1(리투아니아)용기병연대 "알브레히트 폰 프로이센 대공"이 소속되어 있었다.[22]
제2사단은 제3보병여단, 제4보병여단, 제2야포여단, 제2기병여단, 제43기병여단으로 구성되었다.[22] 제3보병여단은 제4(제3동프로이센)척탄병연대 "프리드리히 데어 그로스 국왕"과 제44(제7동프로이센)보병연대 "된호프 백작"으로, 제4보병여단은 제33(동프로이센)수발총병연대 "룬 백작"과 제45(제8동프로이센)보병연대로 편성되었다.[22] 제2야포여단은 제1(제1리투아니아)야포연대 "아우구스트 폰 프로이센 대공"과 제37(제2리투아니아)야포연대가, 제2기병여단은 제12(리투아니아)창기병연대와 제9기마엽병연대가, 제43기병여단은 제8(동프로이센)창기병연대 "추 도흐나 백작"과 제10기마엽병연대가 소속되어 있었다.[22]
군단 직속부대로는 제5기관총분견대, 제1요새기관총분견대, 제1(동프로이센)보병포연대 "폰 링거", 제1(동프로이센)공병대대 "라트치빌 대공", 제18(자믈란트)공병대대, 제5요새전화중대, 제5비행선대대, 제1(동프로이센)훈련대대가 있었다.[22]
5. 2. 1차대전 동원시
1914년 8월 2일 동원령에 따라 제1군단은 재편성되었다. 제1 및 제2 기병 여단은 철수하여 제1 기병 사단[12]의 일부를 구성했으며, 제43 기병 여단은 해체되어 그 연대는 정찰대로 사단에 배속되었다. 각 사단은 공병대와 기타 지원 부대를 군단 본부로부터 받았다.[23]제1군단은 24개의 보병 대대, 8개의 기관총 중대(48개의 기관총), 8개의 기병 기병대, 24개의 야전 포병대(144문의 포), 4개의 중(重) 포병대(16문의 포), 3개의 공병 중대, 그리고 1개의 항공 분견대로 동원되었다.[13]
참조
[1]
웹사이트
German Administrative History
http://www.verwaltun[...]
2012-06-05
[2]
논문
[3]
논문
[4]
서적
Ruhmeshalle unserer alten Armee
Berlin
[5]
서적
Ruhmeshalle
[6]
논문
[7]
논문
[8]
논문
[9]
문서
Guards Cavalry Division (German Empire)
[10]
간행물
[11]
문서
Abteilung
[12]
논문
[13]
논문
[14]
문서
4 heavy artillery batteries (16 heavy field howitzers)
[15]
웹사이트
German War History
http://www.deutsche-[...]
2012-06-05
[16]
웹사이트
The Prussian Machine
http://home.comcast.[...]
2012-06-05
[17]
웹사이트
German Administrative History
http://www.verwaltun[...]
2012-06-05
[18]
논문
[19]
논문
[20]
웹사이트
German War History
http://www.deutsche-[...]
2012-06-05
[21]
웹사이트
The Prussian Machine
http://home.comcast.[...]
2012-06-05
[22]
간행물
[23]
논문
[24]
문서
4개 중포대 (중곡사포 16문)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