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차 야마모토 내각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1차 야마모토 내각은 1913년 2월 20일부터 1914년 4월 16일까지 존속했으며, 야마모토 곤베가 내각총리대신을 맡았다. 이 내각은 번벌과 입헌정우회의 연립으로 안정적으로 운영되던 일본 정치 상황에서, 가쓰라 타로 내각의 붕괴 이후 정우회의 지지를 받아 출범했다. 주요 정책으로는 군부대신 현역 무관제 개정, 추밀원 정원 삭감, 중화민국 승인 등이 있었으나, 지멘스 사건으로 인해 해군 예산이 삭감되고 내각 불신임으로 이어져 1914년 3월 24일 총사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13년 일본 - 요시다 암굴왕 사건
요시다 암굴왕 사건은 1913년 요시다 이시마츠가 허위 자백과 자백 편중 수사로 인해 억울하게 옥살이를 한 살인 사건으로, 50년 만에 무죄 판결을 받아 일본 사법 제도의 문제점을 드러내고 인권 옹호의 중요성을 일깨운 계기가 되었으며, 《몽테크리스토 백작》에 빗대어 "현대의 암굴왕"으로 불린다. - 1913년 일본 - 제3차 가쓰라 내각
가쓰라 다로가 이끈 제3차 가쓰라 내각은 다이쇼 정변으로 62일 만에 총사직하며 단명 내각으로 기록되었고, 신당 창당 시도와 호헌 운동, 다이쇼 천황의 조칙 등으로 다이쇼 데모크라시 시기의 정치적 혼란을 야기했다. - 1914년 일본 - 칭다오 전투
칭다오 전투는 1914년 제1차 세계 대전 중 일본 제국이 영일동맹을 명분으로 독일 제국의 조차지 칭다오를 점령한 전투로, 일본군의 승리로 끝났으나 중국에게는 국가적 수치로 인식되며 동아시아 국제 질서에 영향을 미쳤다. - 1914년 일본 - 지멘스 사건
지멘스 사건은 1914년 일본에서 지멘스사의 뇌물 제공으로 인해 발생한 해군 군수품 조달 비리 사건으로, 정계, 군부, 재계에 파문을 일으키고 야마모토 곤베에 내각이 총사퇴하는 결과를 초래하며 일본 해군의 부패상과 군부-재벌 간 유착 관계를 드러낸 사건이다. - 다이쇼 시대의 내각 - 제3차 가쓰라 내각
가쓰라 다로가 이끈 제3차 가쓰라 내각은 다이쇼 정변으로 62일 만에 총사직하며 단명 내각으로 기록되었고, 신당 창당 시도와 호헌 운동, 다이쇼 천황의 조칙 등으로 다이쇼 데모크라시 시기의 정치적 혼란을 야기했다. - 다이쇼 시대의 내각 - 제1차 와카쓰키 내각
제1차 와카쓰키 내각은 와카쓰키 레이지로가 총리대신을 맡아 1926년부터 1927년까지 재임하며 보통선거법 시행 후 정치적 혼란과 금융 공황을 겪었으며, 타이완 은행 구제안 부결로 인해 총사퇴했다.
제1차 야마모토 내각 | |
---|---|
제1차 야마모토 내각 | |
![]() | |
내각 정보 | |
내각 번호 | 16대 |
관할 | 일본 |
국기 | [[파일:Flag of Japan.svg|일본의 국기]] |
총리 | 야마모토 곤노효에 |
수상 재임 기간 | 시작: 1913년 2월 20일 종료: 1914년 4월 16일 |
국가 원수 | 다이쇼 천황 |
내각 형태 | 알 수 없음 |
총 인원 | 알 수 없음 |
이전 구성원 수 | 알 수 없음 |
정당 | 중의원 블록: |border=darkgray}} 입헌정우회 귀족원 블록: 코우유 클럽 |
의회 상태 | 알 수 없음 |
야당 내각 | 알 수 없음 |
야당 | 알 수 없음 |
야당 대표 | 알 수 없음 |
선거 | 알 수 없음 |
마지막 선거 | 알 수 없음 |
의회 임기 | 30회 제국의회 31회 제국의회 |
예산 | 알 수 없음 |
조언 및 동의1 | 알 수 없음 |
이전 내각 구성 | 제3차 가쓰라 내각 |
다음 내각 구성 | 제2차 오쿠마 내각 |
2. 재직 기간
1913년(다이쇼 2년) 2월 20일 ~ 1914년(다이쇼 3년) 4월 16일
3. 내각의 구성과 인사
제1차 야마모토 내각은 1913년 2월 20일에 야마모토 곤노효에를 내각총리대신으로 하여 출범하였다.[3] 야마모토 내각은 입헌정우회와 군부, 귀족원 출신 인사들이 주요 직책을 맡았다.
사이온지 긴모치는 의회 대책으로 정우회가 계속해서 각료 내 여당으로 지지할 것을 상정하고, 하라 다카시, 마쓰다 마사히사 등이 각료 외 협력을 원했던 것을 설득하여, 하라가 내무대신, 마쓰다가 사법대신으로, 모토다 하지메가 체신대신으로 각각 입각했다. 그 외, 야마모토 다쓰오 농상무대신, 다카하시 고레키요 대장대신, 오쿠다 요시토 문부대신은 후에 정우회에 입당했다. 마키노 노부아키 외무대신, 기고시 야스쓰나 육군대신, 사이토 마코토 해군대신도 하라와 친밀한 관계였기 때문에, 야마모토 총리를 제외하면 정우회 관계자가 내각을 차지하여 사실상의 정우회 내각이 되었다.
내각의 각료들은 다음과 같다.
야마노우치 가스시는 내각서기관장을 역임했다.[10] 오카노 케이지로는 1913년 9월 20일까지 법제국 장관을 역임했고, 이후 구라토미 유자부로가 법제국 장관에 임명되었다.[11]
3. 1. 국무대신
직책 | 성명 | 주요 경력 및 기타 | 재직 기간 | 비고 |
---|---|---|---|---|
내각총리대신 | 야마모토 곤노효에 | 해군 대장, 백작 | 1913년 2월 20일 ~ 1914년 4월 16일 | ![]() |
외무대신 | 마키노 노부아키 | 남작, 무소속 | 1913년 2월 20일 ~ 1914년 4월 16일 | ![]() |
내무대신 | 하라 다카시 | 입헌정우회 | 1913년 2월 20일 ~ 1914년 4월 16일 | ![]() |
대장대신 | 다카하시 고레키요 | 입헌정우회 | 1913년 2월 20일 ~ 1914년 4월 16일 | ![]() |
육군대신 | 기고시 야스쓰나 | 육군 중장, 남작 | 1913년 2월 20일 ~ 1913년 6월 24일 | ![]() |
구스노세 유키히코 | 육군 중장 | 1913년 6월 24일 ~ 1914년 4월 16일 | ![]() | |
해군대신 | 사이토 마코토 | 해군 중장, 남작 | 1913년 2월 20일 ~ 1914년 4월 16일 | ![]() |
사법대신 | 마쓰다 마사히사 | 입헌정우회 | 1913년 2월 20일 ~ 1913년 11월 11일 | ![]() |
오쿠다 요시토 | 입헌정우회 | 1913년 11월 11일 ~ 1914년 4월 16일 | ||
문부대신 | 오쿠다 요시토 | 입헌정우회 | 1913년 2월 20일 ~ 1914년 3월 6일 | |
오카 이쿠조 | 입헌정우회 | 1914년 3월 6일 ~ 1914년 4월 16일 | ![]() | |
농상무대신 | 야마모토 다쓰오 | 입헌정우회 | 1913년 2월 20일 ~ 1914년 4월 16일 | ![]() |
체신대신 | 모토다 하지메 | 입헌정우회 | 1913년 2월 20일 ~ 1914년 4월 16일 | ![]() |
3. 2. 기타 주요 직책
야마노우치 가스시는 내각서기관장으로 내무성 관료 출신이다.[10] 오카노 케이지로는 1913년 9월 20일까지 법제국 장관을 역임했고, 이후 구라토미 유자부로가 법제국 장관에 임명되었다.[11]직명 | 대 | 성명 | 출신 등 | 비고 | |
---|---|---|---|---|---|
내각서기관장 | 18 | 야마노우치 가스시 | -- | 내무성 | |
법제국 장관 | 15 | 오카노 케이지로 | -- | 귀족원 입헌정우회 (교우구락부) | [11] |
16 | 구라토미 유자부로 | -- | (사법성→) 귀족원[4][5] | [11] | |
4. 주요 정책
- '''군부대신 현역 무관제 개정''' : 종래 육해군 대신은 현역 대장/중장에 한정되었으나, 예비역 및 후비역까지 임관 자격을 확대하였다.[3] 이는 군부가 대신을 철수시켜 내각을 무너뜨릴 수 있는 점을 이용하여 군부에서 정당에 대한 견제 역할을 하게 된 것을 막기 위한 조치였다.
- '''추밀원 정원 삭감'''
- '''중화민국의 국가 승인''' : 1913년 중화민국을 승인하였다.
- '''1913년도 및 1914년도 예산''' : 1913년도 예산안에는 해군 증강 예산 7400000JPY이 증액되었다.[2] 그러나 1914년도 예산안 심의 중 지멘스 사건이 발생하여 해군 예산이 대폭 삭감된 수정안이 귀족원에서 가결되었고, 결국 예산안은 불성립되었다.[4]
5. 내각의 몰락: 지멘스 사건
1914년 1월, 독일 지멘스 사와 관련된 해군 군함 및 무기 도입 과정에서의 뇌물 수수 사건(지멘스 사건)이 발각되었다. 이 사건은 야마모토 곤베 내각과 그 기반이었던 해군에 대한 불신을 증폭시켰고, 야당과 귀족원의 공격으로 이어졌다.
5. 1. 지멘스 사건과 한국
1914년 1월, 지멘스 사건이 발각되었다. 이 사건은 야마모토 곤베 내각의 모체였던 해군의 비리 사건이었기에, 야마모토 내각과 그를 지지하는 입헌정우회에 대한 비난 여론이 거셌다.[4] 야마가타 아리토모를 필두로 한 원로, 야당 입헌동지회, 귀족원 등이 내각과 정우회를 공격했다.[4] 예산안 불성립은 사실상의 내각 불신임으로 이어졌고, 결국 야마모토 내각은 총사직하게 되었다.[4]지멘스 사건은 일본 내 정치 부패 사건이지만, 한국의 입장에서도 주목할 필요가 있었다. 이 사건은 일본 군부의 팽창 정책과 그 과정에서의 비리를 드러냈으며, 이는 곧 조선에 대한 더욱 강압적인 정책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것을 시사했기 때문이다.
참조
[1]
서적
The Origins of the Modern Japanese Bureaucracy
https://books.google[...]
Bloomsbury Publishing
2019-10-31
[2]
웹사이트
First Yamamoto Cabinet
http://www.kantei.go[...]
[3]
간행물
『官報』号外「叙任及辞令」
1923-02-20 #大正2年2月20日
[4]
문서
1914년(大正3년)3월 31일 칙임
1914-03-31
[5]
간행물
『官報』第501号「帝國議会」
1914-04-02 #大正3年4月2日
[6]
간행물
『官報』号外「叙任及辞令」
1923-06-24 #大正2年6月24日
[7]
문서
병기료양 때문에 사임
[8]
간행물
『官報』号外「叙任」
1923-11-11 #大正2年11月11日
[9]
간행물
『官報』号外「叙任及辞令」
1914-03-06 #大正3年3月6日
[10]
간행물
『官報』第167号「叙任及辞令」
1923-02-21 #大正2年2月21日
[11]
간행물
『官報』第346号「叙任及辞令」
1923-09-22 #大正2年9月22日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