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입헌정우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입헌정우회는 메이지 시대부터 쇼와 시대 초기에 걸쳐 존재했던 일본의 정당이다. 1900년 이토 히로부미를 초대 총재로 창당되었으며, 이후 사이온지 긴모치, 하라 다카시 등을 거치며 일본 정치의 주요 세력으로 활동했다. 게이엔 시대에는 가쓰라 다로와 사이온지 긴모치가 번갈아 정권을 잡았고, 다이쇼 데모크라시 시기에는 하라 다카시 내각을 출범시키며 정당 내각을 실현했다. 1920년대 이후 당내 갈등과 분열을 겪었으며, 1930년대 군부의 영향력 증대와 중일 전쟁 발발을 거치며 1940년 대정익찬회에 흡수되어 해산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00년 설립된 정당 - 노동당 (영국)
    영국 노동당은 노동계급의 정치적 대변을 위해 노동조합과 좌파 단체들이 결성한 사회민주주의 정당으로, 램지 맥도널드, 클레멘트 애틀리, 토니 블레어 등의 지도자 아래 정부를 구성하며 국민보건서비스 설립 등 사회 개혁을 추진했고, 마거릿 대처 시대 이후 야당 생활, 내부 갈등, 이념적 분열, 그리고 키어 스타머 당수 선출 후 중도 노선 회귀를 거쳐 2024년 총선에서 정권을 탈환했다.
  • 다이쇼 시대의 정치 - 입헌국민당
    입헌국민당은 1910년 헌정본당 등을 중심으로 결성되어 헌정주의와 책임내각제 수립을 주장하며 이누카이 쓰요시가 주도했지만, 다이쇼 정변 이후 쇠퇴하여 1922년 해산되었다.
  • 다이쇼 시대의 정치 - 다이쇼 데모크라시
    다이쇼 데모크라시는 러일 전쟁 이후 시민 계급 성장과 국제 정세 변화를 배경으로 일본에서 일어난 민주주의 운동 및 사회 변혁으로, 민본주의, 천황기관설 등의 이론적 토대 위에 호헌 운동, 쌀 소동, 보통선거법 제정 등을 통해 정당 내각제 발전과 의회 정치 확립을 가져왔으나 만주사변을 기점으로 몰락하며 군국주의로 이행, 전후 민주주의 기반 형성이라는 긍정적 평가와 파시즘으로 이어진 측면에 대한 비판적 평가가 공존한다.
  • 1940년 해산된 정당 - 입헌민정당
    입헌민정당은 1927년부터 1940년까지 일본에 존재했던 정당으로, 헌정회와 정우본당의 합당으로 창당되어 의회 중심 정치와 자유주의적 경제 정책을 표방하며 입헌정우회와 경쟁했지만 군부의 대두와 당내 분열로 해산되었다.
  • 1940년 해산된 정당 - 사회주의혁명당
    사회주의혁명당은 1900년대 초 러시아에서 결성되어 농민 사회주의를 주창하며 1905년 혁명과 1917년 제헌 의회 선거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으나, 볼셰비키 혁명 이후 분열과 탄압으로 정치적 영향력을 상실하고 당원들은 망명하거나 숙청당했다.
입헌정우회
기본 정보
입헌정우회 로고
로고
국어 이름立憲政友会 (릿켄세이유카이)
한자 표기立憲政友會
창립일1900년 9월 15일
해산일 (정통파)1940년 7월 16일
해산일 (혁신파)1940년 7월 30일
해산 이유대정익찬회 합류
전신 정당헌정당
제국당 (일부)
민당 계열 정파
후신 정당동교회 (인맥상 일본자유당 → 민주자유당 → 자유당 → 자유민주당)
본부 위치도쿄 시
기관지『정우』
『중앙신문』
정치 성향
이념보수주의
자유보수주의
헌법 준수
황실 중심주의
수정자본주의
정치적 위치중도우파 ~ 우익
주요 인물
지도자이토 히로부미
사이온지 긴모치
하라 다카시
다카하시 고레키요
다나카 기이치
이누카이 쓰요시
스즈키 기사부로
기타
합병 정당헌정당
제국당 (파벌)
혁신클럽 (파벌, 1925년)
파벌세이유혼토 (주류 파벌, 1924년, 신세 클럽 경유)
쇼와카이 (도코나미 지지 파벌, 1935년)

2. 역사

메이지 유신 이후 일본 정부는 번벌이라 불리는 웅번 출신 인사들이 독점했다. 그러나 일본 제국 헌법 제정 및 제국의회 창설 이후, 자유 민권 운동 세력(민당)이 중의원을 장악하면서 번벌은 민당과의 협력 없이는 예산과 법률을 통과시키기 어려워졌다.

원로이자 번벌 출신인 이토 히로부미는 초연주의를 주장했으나, 이후 정당내각제로의 이행을 모색했다. 제2차 이토 내각 시절 헌정당과 제휴하고 호시 도루 등과 관계를 맺으며 신당 창당을 준비했다. 제국당 등이 참여했으며, 이노우에 가오루의 도움으로 실업계의 지지도 얻었다. 이토는 정부 요직을 사임하여 창당 준비에 매진했고, 메이지 천황은 2만을 하사했다.[30]

1900년 9월 15일, 이토 히로부미를 초대 총재로 하여 입헌정우회가 창당되었다. 당시 중의원 의석 수는 152석이었다. 창당 당시 당 규칙은 총재에게 전제적인 권한을 부여했고, 당직 인선도 총재에게 일임했다.[30]

야마가타 아리토모는 총리직을 포기하고 이토를 후임 총리로 천거했는데, 이는 정당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강했던 야마가타가 정우회를 무너뜨리고자 한 술책이었다. 1900년 10월 19일 제4차 이토 내각이 출범했고, 육군대신·해군대신·외무대신 외의 각료직은 모두 정우회 당원이었다.[30]

하지만 야마가타는 귀족원을 움직여 내각에 반대하도록 했으며, 도쿄시 의옥 사건으로 호시 도루가 체신대신직을 사임하는 등 혼란이 끊이지 않았다. 청나라에서 의화단의 난이 일어나 일본이 출병했는데, 군비 마련을 위한 증세안이 1901년 3월 부결되었다. 와타나베 구니타케 대장대신이 긴축 재정을 주장하여 내각 내 의견 불일치까지 연출되자 이토는 내각 총사퇴를 결정했다.[30]

이토는 이노우에 가오루를 후임 총리로 삼고자 했지만 조각에 실패했고, 가쓰라 다로가 총리직을 물려받았다. 이로써 정우회는 8개월 만에 야당이 되었다.[30]

사이온지 긴모치가 이토의 뒤를 이어 정우회 총재로 취임했다. 가쓰라 다로와 사이온지 긴모치가 번갈아 정권을 담당하는 '게이엔 시대'가 약 10년간 이어졌는데, 이 기간 동안 정우회는 원내 제1당의 지위를 유지했다.[30]

1904년 2월 러일 전쟁이 발발하자 정우회는 내각의 전쟁 수행에 협력했다. 그해 11월 사이온지, 하라 다카시, 마쓰다 마사히사 등 간부 3명이 가쓰라와 비밀리에 접촉하여 전쟁이 끝나면 정권을 정우회에 넘기겠다는 합의가 이루어졌다. 1905년 8월 28일 포츠머스 조약이 체결되었지만 이에 반대하는 민중들이 히비야 방화 사건을 일으켰다. 정우회는 하라가 단속에 나서 여기에 참여하지 않았지만, 가쓰라 내각은 방화 사건의 해결을 이유로 정권 이양을 늦추다가 1906년 1월 7일에서야 제1차 사이온지 내각이 출범했다.

제1차 사이온지 내각은 철도 국유화 등 적극적인 정책을 추진하며 당세를 확장했다.[34]

제3차 가쓰라 내각 출범 후, 정우회는 호헌 운동을 조직하여 가쓰라 내각을 붕괴시켰다. (다이쇼 정변)

다이쇼 천황사이온지 긴모치에게 제3차 가쓰라 내각에 협력할 것을 지시했지만 하라 다카시는 이를 무시했다. 사이온지는 책임을 지고 총재직에서 물러났고, 1914년 하라가 정식으로 총재직에 올랐다. 다이쇼 데모크라시의 물결을 타고 당세 회복에 성공한 정우회는 1917년 원내 1당에 복귀했고, 1918년 쌀 소동하라 내각이 수립되어 일본 헌정 사상 최초로 본격적인 정당 내각이 등장했다.[30]

다이쇼 시대의 정우회는 하라 다카시를 중심으로 야마모토 다쓰오, 미즈노 렌타로, 다카하시 고레키요이토 히로부미 계열의 정치인들과 야마가타 아리토모 계열에 속하지 않았던 관료들을 중심으로 성장했으며, 지방 이익 확충에 적극적으로 나서 당세를 확대해나갔다. 하지만 하라가 암살된 후에는 당인파(총재파)와 관료파(비총재파) 간의 대립이 첨예화되기 시작했다.

하라 다카시 암살 이후 다카하시 고레키요가 총재직을 이어받았으나, 당내 갈등이 심화되었다. 1921년 다카하시는 내각 개조를 단행하려 했으나, 모토다, 나카하시 등의 반대로 내각이 총사퇴하였다. 다카하시는 개조에 반대한 의원 6명을 제명하였으나, 이들은 반년 뒤 복당하였다.

해군 출신인 가토 도모사부로 내각과 야마모토 곤노효에의 2차 내각이 연이어 들어서면서 정우회에는 정권이 돌아오지 않았고, 당내 갈등은 더욱 심해졌다.[40] 1923년 12월 개혁파 의원들이 총무위원에 참여하는 것으로 타협을 보았으나, 귀족원 의원 출신인 기요우라 게이고가 수상이 되면서 정우회는 3번 연속 정권을 차지하지 못하게 되었다.

1924년 정우회는 기요우라 내각에 대한 반대와 다카하시 총재의 거취 문제를 둘러싸고 분열되었다. 탈당파는 정우본당을 결성하여 기요우라 내각의 여당이 되었으며, 정우회는 원내 제2당으로 밀려났다.[40] 이에 정우회는 헌정회, 혁신구락부와 함께 호헌 3파를 결성하여 내각 불신임 운동을 전개했다.

기요우라 내각은 선거법 개정에 나섰고, 정우회는 이에 반대하여 1924년 1월 31일 내각불신임안을 제출했다. 내각은 중의원을 해산했고, 5월 10일에 치러진 총선거에서 헌정회가 153석을 얻어 크게 약진했으며 정우본당이 114석, 정우회가 101석, 이누카이 쓰요시가 이끄는 혁신구락부가 30석을 얻었다.

1927년 2월 25일 헌정회와 정우본당이 합당하여 입헌민정당을 창당하면서 정우회는 다시 야당이 되었다.[41]

쇼와 시대에 들어서면서 정우회는 민정당과 교대로 수년 간 정권을 담당하게 되었다. 하지만 정우회는 1930년 하마구치 오사치 총리 저격 사건이나 1932년 이누카이 쓰요시 암살 사건(5·15 사건)을 정당 정치의 위기로 파악하지 못한 채 민정당 추방을 획책하며 친군적·보수적 성격을 강화하여 국민의 신임을 잃어갔다.[42] 이누카이 암살 후, 헌정의 상도에도 불구하고 정권을 잃었고, 1936년 제1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 총재 스즈키 기사부로가 낙선하는 등 대참패를 당했다. 1937년 하마다 구니마쓰가 반파쇼적 자세를 보이면서 일시적으로 태도를 전환했지만, 루거우차오 사건을 계기로 중일 전쟁이 일어나자 전쟁에 협력하는 자세로 다시 돌아왔다.

1937년 스즈키 기사부로 총재 사임 이후, 하토야마 이치로, 마에다 요네조, 시마다 도시오, 나카지마 지쿠헤이 4명이 총재 대행위원이 되어 집단지도체제로 정우회를 이끌었다. 하지만 1939년 4월 30일 나카지마가 일방적으로 정우회 혁신 동맹을 결성하여 그 총재가 되었다. 이에 하토야마 등은 와병 중인 스즈키를 움직여 구하라 후사노스케, 미쓰치 추조, 요시자와 겐키치 등 3명을 새로운 총재 대행위원으로 임명했다.[43]

이후 정우회는 다음과 같이 분열되었다.

파벌중심 인물설명
정통파구하라 후사노스케, 하토야마 이치로, 미쓰치 추조, 요시자와 겐키치, 히다 다쿠지 등구하라를 총재로 추대.
혁신파나카지마 지쿠헤이, 마에다 요네조, 시마다 도시오, 다나베 시치로쿠, 도고 미노루 등나카지마 지쿠헤이를 총재로 추대. 정식 명칭은 입헌정우회 혁신 동맹
중립파 → 통일파가네미쓰 쓰네오, 이누카이 다케루, 오타 마사타카 등사이토 다카오 제명에 찬성했던 정통파 의원들이 합류하여 통일파로 발전.



이는 다이쇼 말기 정우본당과의 분열과 구분하기 위해 제2차 분열로 불린다.

정통파는 1939년 5월 20일 임시전당대회를 열어 구하라를 총재로 추대했다.[43] 혁신파는 모치즈키 케이스케, 야마자키 다쓰노스케 등을 영입했다.

제2차 분열 이후 당의 기관지였던 『정우』 등은 혁신파가 차지했다. 그래서 1943년에 완성한 『입헌정우회사』에는 나카지마를 8대 총재로 기록하고 있다. 정통파는 별도로 『입헌정우』라는 기관지를 만들어 『정우』에 대항했다.

1940년 7월 16일 66석을 가진 정통파와 10석을 가진 통일파가 탈당했고, 7월 30일에는 97석을 가진 혁신파도 탈당해 대정익찬회에 합류했다. 이로써 이토 히로부미가 창당하고 40년의 역사를 가진 정우회는 정식으로 소멸했다.

정우회 해산 1년 전, 제2차 분열로 거의 둘로 갈라진 정우회 소속 의원들의 행보는 해산 전 소속 파벌에 따라 달랐다. 친군파(親軍派)인 혁신파(革新派)와 중립파(中立派)에서 통일파(統一派)로 이어진 의원들은 익찬의회 하에서도 주류파인 익찬의원동맹→익찬정치회→대일본정치회에 소속되었고[44], 전후에는 일정회(日政會)를 모체로 결성된 일본진보당에 참여했다.[44]

반면 익찬정치(翼賛政治)에 비판적이었던 하토야마파(鳩山派)와, 친군파이면서도 혁신파에 대한 대항 의식에서 하토야마파와 행동을 함께 한 구하라파(久原派)로 이루어진 정통파(正統派)는 복잡한 행보를 보였다. 하토야마파는 익찬의원동맹 결성에 참여하지 않고 1941년 8월 2일에 국세조사회(國勢調査會)를 결성했고,[45] 이를 모체로 11월 10일에 동교회(同交會)를 결성했다.[45] 익찬선거에 동교회 소속으로 출마한 의원들은 비추천 후보였기 때문에 정부의 방해를 받았고,[46] 당선자는 9명에 불과했으며,[47] 1942년 5월 14일에 해산했다.[47] 동교회는 해산 후 고라쿠회(後樂會)로 바뀌었고,[47] 시세이회(思齊會)로 개명한 후,[48] 전후 일본자유당 결성의 모체가 되었다.[49][50]

정통파 소속이었던 구하라파 의원들은 하토야마파 의원들이 주로 참여한 동교회를 모체로 하는 자유당 결성에도, 혁신파·통일파 의원들이 주로 참여한 일정회를 모체로 하는 진보당 결성에도 참여하지 않았다.[51] 이들은 패전한 일본의 정치가가 자신의 정치적 책임을 명확히 하지 않은 채 정당 재건에 나서는 것은 타당하지 않다고 여겼고,[52] 중의원 의원들은 패전 책임을 지고 총사퇴해야 한다는 생각에서 호국동지회나 익장의원동지회 소속 의원들과 함께 원내 교파·무소속구락부 결성에 참여했다.[52]

2. 1. 창당 이전 (메이지 유신 ~ 1900년)

메이지 유신 이후 일본 정부는 번벌이라 불리는 웅번 출신 인사들이 독점하고 있었다. 그러나 일본 제국 헌법 제정 및 제국의회 창설 이후, 자유 민권 운동 세력(민당)이 중의원을 장악하면서 번벌은 민당과의 협력 없이는 예산과 법률을 통과시키기 어려워졌다.

원로이자 번벌 출신인 이토 히로부미는 초기에는 번벌과 정당의 대립을 전제로 한 초연주의를 주장했으나, 이후 정당내각제로의 이행을 모색했다. 제2차 이토 내각 시절 헌정당과 제휴하고 호시 도루 등과 긴밀한 관계를 맺으며 신당 창당을 준비했다. 제국당 등도 여기에 참여했으며, 이토의 맹우 이노우에 가오루의 도움으로 실업계의 지지도 얻었다. 각계 명사들에게 입당을 권유했고, 이토는 정부 요직을 사임하여 창당 준비에 매진했다. 메이지 천황은 칙허와 함께 2만을 하사했다.[30]

2. 2. 창당과 초기 활동 (1900년 ~ 1903년)

1900년 9월 15일, 이토 히로부미를 초대 총재로 하여 입헌정우회가 창당되었다. 당시 중의원 의석 수는 152석이었다. 창당 당시 당 규칙은 총재에게 전제적인 권한을 부여했고, 당직 인선도 총재에게 일임했다.[30]

야마가타 아리토모는 총리직을 포기하고 후임 총리로 천황에게 이토를 천거했는데, 이는 정당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강했던 야마가타가 정우회가 정당으로서의 형태를 제대로 갖추기 전에 정권을 떠넘겨 정우회를 무너뜨리고자 한 술책이었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1900년 10월 19일 제4차 이토 내각이 출범했고, 육군대신·해군대신·외무대신 외의 각료직은 모두 정우회 당원으로 채워졌다.[30]

하지만 야마가타는 이후에도 귀족원을 움직여 내각의 방침에 반대하도록 했으며, 도쿄시 의옥 사건으로 호시 도루가 체신대신직을 사임하는 등 혼란이 끊이지 않았다. 이 무렵 청나라에서 의화단의 난이 일어나 일본이 출병했는데, 군비를 마련하고자 의회에 증세안을 제출했으나 1901년 3월 부결되었다. 와타나베 구니타케 대장대신이 긴축 재정을 꾸준히 주장하여 내각 내 의견 불일치까지 연출되자 결국 이토는 내각 총사퇴를 결정했다.[30]

이토는 정우회 내각을 유지하기 위해 이노우에 가오루를 끌어들여 후임 총리로 삼고자 했지만 조각에 실패했고, 후임 총리직은 야마가타가 추천한 가쓰라 다로가 물려받았다. 이로써 정우회는 8개월 만에 야당이 되었다.[30]

2. 3. 게이엔 시대 (1903년 ~ 1913년)

사이온지 긴모치이토 히로부미의 뒤를 이어 정우회 총재로 취임했다. 가쓰라 다로와 사이온지 긴모치가 번갈아 정권을 담당하는 이른바 '게이엔 시대'가 약 10년간 이어졌는데, 이 기간 동안 정우회는 원내 제1당의 지위를 유지했다.[30]

1904년 2월 러일 전쟁이 발발하자 정우회는 내각의 전쟁 수행에 협력했다. 그해 11월 사이온지, 하라 다카시, 마쓰다 마사히사 등 간부 3명이 가쓰라와 비밀리에 접촉하여 전쟁이 끝나면 정권을 정우회에 넘기겠다는 합의가 이루어졌다. 1905년 8월 28일 포츠머스 조약이 체결되었지만 이에 반대하는 민중들이 히비야 방화 사건을 일으켰다. 정우회는 하라가 단속에 나서 여기에 참여하지 않았지만, 가쓰라 내각은 방화 사건의 해결을 이유로 정권 이양을 늦추다가 1906년 1월 7일에서야 비로소 제1차 사이온지 내각이 출범했다.

제1차 사이온지 내각은 철도 국유화 등 적극적인 정책을 추진하며 당세를 확장했다.[34]

제3차 가쓰라 내각 출범 후, 정우회는 호헌 운동을 조직하여 가쓰라 내각을 붕괴시켰다. (다이쇼 정변)

2. 4. 하라 다카시 총재 시대 (1914년 ~ 1921년)

다이쇼 천황은 조칙을 내려 사이온지 긴모치에게 제3차 가쓰라 내각에 협력할 것을 지시했지만 하라 다카시는 이를 무시했다. 공가 출신이었던 사이온지는 이에 대한 책임을 지고 총재직에서 물러났다. 마쓰다가 사이온지의 후임이 되길 원했지만 그 전에 급사해버렸고, 1914년 하라가 정식으로 총재직에 올랐다. 다이쇼 데모크라시의 물결을 타고 당세 회복에 성공한 정우회는 1917년 원내 1당에 복귀했고, 1918년 쌀 소동하라 내각이 수립되어 일본 헌정 사상 최초로 본격적인 정당 내각이 등장했다.[30]

다이쇼 시대의 정우회는 하라 다카시를 중심으로 야마모토 다쓰오, 미즈노 렌타로, 다카하시 고레키요이토 히로부미 계열의 정치인들과 야마가타 아리토모 계열에 속하지 않았던 관료들을 중심으로 의회 과반수를 차지한 대정당으로 성장했으며, 지방 이익 확충에 적극적으로 나서 당세를 확대해나갔다. 하지만 하라가 암살된 후에는 다카하시 고레키요, 오자키 유키오, 노다 우타로, 요코타 센노스케, 고이즈미 사쿠타로, 오가와 헤이키치, 오카자키 구니스케 등을 중심으로 한 당인파(총재파)와 야마모토, 도코나미 다케지로, 나카하시 도쿠고로, 모토다 하지메 등을 중심으로 한 관료파(비총재파) 간의 대립이 첨예화되기 시작했다.

2. 5. 당내 갈등과 분열 (1921년 ~ 1927년)

하라 다카시 암살 이후 다카하시 고레키요가 총재직을 이어받았으나, 당내 갈등이 심화되었다. 관료파(비총재파)와 당인파(총재파) 간의 대립이 격화되었으며, 이는 정우회 분열의 주요 원인이 되었다.[39] 1921년 다카하시는 내각 개조를 단행하려 했으나, 모토다, 나카하시 등의 반대로 내각이 총사퇴하였다. 다카하시는 개조에 반대한 의원 6명을 제명하였으나, 이들은 반년 뒤 복당하였다.

해군 출신인 가토 도모사부로 내각과 야마모토 곤노효에의 2차 내각이 연이어 들어서면서 정우회에는 정권이 돌아오지 않았고, 당내 갈등은 더욱 심해졌다.[40] 1923년 12월 개혁파 의원들이 총무위원에 참여하는 것으로 타협을 보았으나, 귀족원 의원 출신인 기요우라 게이고가 수상이 되면서 정우회는 3번 연속 정권을 차지하지 못하게 되었다.

1924년 정우회는 기요우라 내각에 대한 반대와 다카하시 총재의 거취 문제를 둘러싸고 분열되었다. 탈당파는 정우본당을 결성하여 기요우라 내각의 여당이 되었으며, 정우회는 원내 제2당으로 밀려났다.[40] 이에 정우회는 헌정회, 혁신구락부와 함께 호헌 3파를 결성하여 내각 불신임 운동을 전개했다.

기요우라 내각은 선거법 개정에 나섰고, 정우회는 이에 반대하여 1924년 1월 31일 내각불신임안을 제출했다. 내각은 중의원을 해산했고, 5월 10일에 치러진 총선거에서 헌정회가 153석을 얻어 크게 약진했으며 정우본당이 114석, 정우회가 101석, 이누카이 쓰요시가 이끄는 혁신구락부가 30석을 얻었다.

1927년 2월 25일 헌정회와 정우본당이 합당하여 입헌민정당을 창당하면서 정우회는 다시 야당이 되었다.[41]

2. 6. 양당제 시대와 군부의 영향력 증대 (1927년 ~ 1937년)

쇼와 시대에 들어서면서 정우회는 민정당과 교대로 수년 간 정권을 담당하게 되었다. 하지만 정우회는 1930년 하마구치 오사치 총리 저격 사건이나 1932년 이누카이 쓰요시 암살 사건(5·15 사건)을 정당 정치의 위기로 파악하지 못한 채 민정당 추방을 획책하며 친군적·보수적 성격을 강화하여 국민의 신임을 잃어갔다.[42] 이누카이 암살 후, 총리 서거를 계기로 내각이 총사직하면 후임 여당 총재가 정권을 계승한다는 헌정의 상도에도 불구하고 정권을 잃었고, 1936년 제1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 총재 스즈키 기사부로가 낙선하는 등 대참패를 당했다. 1937년 하마다 구니마쓰가 반파쇼적 자세를 보이면서 일시적으로 태도를 전환했지만, 루거우차오 사건을 계기로 중일 전쟁이 일어나자 전쟁에 협력하는 자세로 다시 돌아왔다.

2. 7. 2차 분열과 해산 (1937년 ~ 1940년)

1937년 스즈키 기사부로 총재 사임 이후, 하토야마 이치로, 마에다 요네조, 시마다 도시오, 나카지마 지쿠헤이 4명이 총재 대행위원이 되어 집단지도체제로 정우회를 이끌었다. 하지만 1939년 4월 30일 나카지마가 일방적으로 정우회 혁신 동맹을 결성하여 그 총재가 되었다. 이에 하토야마 등은 와병 중인 스즈키를 움직여 나카지마가 혁신 동맹 총재에 취임하기 이틀 전에 구하라 후사노스케, 미쓰치 추조, 요시자와 겐키치 등 3명을 새로운 총재 대행위원으로 임명했다.[43]

이후 정우회는 다음과 같이 분열되었다.

파벌중심 인물설명
정통파구하라 후사노스케, 하토야마 이치로, 미쓰치 추조, 요시자와 겐키치, 히다 다쿠지 등구하라를 총재로 추대.
혁신파나카지마 지쿠헤이, 마에다 요네조, 시마다 도시오, 다나베 시치로쿠, 도고 미노루 등나카지마 지쿠헤이를 총재로 추대. 정식 명칭은 입헌정우회 혁신 동맹
중립파 → 통일파가네미쓰 쓰네오, 이누카이 다케루, 오타 마사타카 등사이토 다카오 제명에 찬성했던 정통파 의원들이 합류하여 통일파로 발전.



이는 다이쇼 말기 정우본당과의 분열과 구분하기 위해 제2차 분열로 불린다.

정통파는 1939년 5월 20일 임시전당대회를 열어 스즈키 전 총재의 지명이라는 형식을 빌려 구하라를 총재로 추대했다.[43] 혁신파는 모치즈키 케이스케, 야마자키 다쓰노스케 등을 영입했다.

제2차 분열 이후 당의 기관지였던 『정우』 등은 혁신파가 차지했다. 그래서 1943년에 완성한 『입헌정우회사』에는 나카지마를 8대 총재로 기록하고 있다. 정통파는 별도로 『입헌정우』라는 기관지를 만들어 『정우』에 대항했다.

1940년 7월 16일 66석을 가진 정통파와 10석을 가진 통일파가 탈당했고, 7월 30일에는 97석을 가진 혁신파도 탈당해 대정익찬회에 합류했다. 이로써 이토 히로부미가 창당하고 40년의 역사를 가진 정우회는 정식으로 소멸했다.

2. 8. 해산 이후

정우회 해산 1년 전, 제2차 분열로 거의 둘로 갈라진 정우회 소속 의원들의 행보는 해산 전 소속 파벌에 따라 달랐다. 친군파(親軍派)인 혁신파(革新派)와 소수파인 중립파(中立派)에서 통일파(統一派)로 이어진 의원들은 익찬의회 하에서도 주류파인 익찬의원동맹→익찬정치회→대일본정치회에 소속되었고[44], 전후에는 일정회(日政會)를 모체로 결성된 일본진보당에 참여했다.[44]

반면 익찬정치(翼賛政治)에 비판적이었던 하토야마파(鳩山派)와, 친군파이면서도 혁신파에 대한 대항 의식에서 하토야마파와 행동을 함께 한 구하라파(久原派)로 이루어진 정통파(正統派)는 더욱 복잡한 행보를 보였다. 하토야마파는 익찬의원동맹 결성에 참여하지 않고 1941년 8월 2일에 국세조사회(國勢調査會)를 결성했고,[45] 이를 모체로 같은 해 11월 10일에 동교회(同交會)를 결성했다.[45] 익찬선거에 동교회 소속으로 출마한 의원들은 모두 익찬정치체제협의회의 비추천 후보였기 때문에 정부의 방해를 받았고,[46] 당선자는 9명에 불과했으며,[47] 익찬선거 후인 1942년 5월 14일에 해산했다.[47] 동교회는 해산 후 친목 단체인 고라쿠회(後樂會)로 바뀌었고,[47] 다시 시세이회(思齊會)로 개명한 후,[48] 전후 일본자유당 결성의 모체가 되었다.[49][50]

정통파 소속이었던 구하라파 의원들은 하토야마파 의원들이 주로 참여한 동교회를 모체로 하는 자유당 결성에도, 혁신파·통일파 의원들이 주로 참여한 일정회를 모체로 하는 진보당 결성에도 참여하지 않았다.[51] 이들은 패전한 일본의 정치가가 자신의 정치적 책임을 명확히 하지 않은 채 정당 재건에 나서는 것은 타당하지 않다고 여겼고,[52] 차라리 중의원 의원들은 패전 책임을 지고 총사퇴해야 한다는 생각에서 호국동지회나 익장의원동지회 소속 의원들과 함께 원내 교파·무소속구락부 결성에 참여했다.[52]

3. 역대 선거 결과

선거득표수득표율의석 수증감
1902년433,76350.40%191 / 376
1903년373,02245.42%175 / 376-16
1904년217,69133.47%133 / 379-42
1908년649,85848.40%187 / 379+54
1912년689,61351.52%209 / 381+22
1915년446,93431.54%108 / 381-101
1917년504,72038.80%165 / 381+57
1920년1,471,72855.77%278 / 464+113
1924년666,31722.41%103 / 464-175
1928년4,244,38543.06%217 / 466+114
1930년3,925,98037.69%174 / 466-43
1932년5,683,13758.20%301 / 466+127
1936년4,188,02937.62%174 / 466-127
1937년3,594,86335.23%175 / 466+1


4. 지도부

입헌정우회는 여러 총재와 지도부를 거치며 운영되었다.

입헌정우회 역대 정무조사위원
직책이름재임 기간
정무조사위원원 경1900년 12월 19일 ~ 1900년 12월 22일[53]
정무조사위원말츠마 겐스이1903년 5월 1일 ~ 1903년 12월 3일[53]
정무조사위원쿠가 미치히사1903년 12월 3일 ~ 1904년 3월 31일[53]
정무조사위원원 경1904년 3월 31일 ~ 1905년 3월 1일[53]
정무조사위원키쿠테이 나가스에1905년 3월 1일 ~ 1905년 10월 8일 (재임 중 사망)[53]
정무조사위원코다마 준이치로1906년 3월 31일 ~ 1907년 3월 29일[53]
정무조사위원모토다 하지메1907년 3월 29일 ~ 1908년 3월 28일[53]
정무조사위원하세바 순쿄1908년 3월 28일 ~ 1908년 12월 24일[53]
정무조사위원스기타 테이이치1908년 12월 24일 ~ 1910년 3월 15일[53]
정무조사위원이토 다이하치1910년 3월 25일 ~ 1911년 3월 24일[53]
정무조사위원오쿠 시하사부로1911년 3월 24일 ~ 1912년 3월 25일[53]
정무조사위원노다 우타로1912년 3월 29일 ~ 1913년 3월 29일[53]
정무조사위원마쓰다 마사히사1913년 3월 29일 ~ 1914년 3월 5일 (재임 중 사망)[53]
정무조사위원무라노 조에몬1913년 3월 29일 ~ 1914년 3월 27일[53]
정무조사위원나가에 준이치1914년 3월 27일 ~ 1915년 5월 15일[53]
정무조사위원오가와 헤이키치1915년 5월 15일 ~ 1916년 3월 1일[53]
정무조사위원에토우 테츠조1916년 3월 1일 ~ 1917년 6월 19일[53]
정무조사위원요코타 센노스케1917년 6월 19일 ~ 1918년 10월 1일[53]
정무조사위원모치즈키 케이스케1918년 10월 1일 ~ 1920년 7월 31일[53]
정무조사위원히로오카 우이치로1920년 7월 31일 ~ 1922년 3월 27일[53]
정무조사위원요코타 센노스케1922년 3월 27일 ~ 1922년 6월 15일[53]
정무조사위원모치즈키 케이스케1922년 6월 15일 ~ 1924년 2월 1일[53]
정무조사위원이와사키 이사무1924년 2월 1일 ~ 1925년 4월 1일[53]
정무조사위원마에다 요네조1925년 4월 1일 ~ 1926년 3월 27일[53]
정무조사위원하토야마 이치로1926년 3월 27일 ~ 1927년 4월 16일[53]
정무조사위원야마모토 조타로1927년 4월 16일 ~ 1927년 7월 19일[53]
정무조사위원하타 토요스케1927년 7월 19일 ~ 1928년 5월 25일[53]
정무조사위원시마다 토시오1928년 5월 25일 ~ 1929년 4월 28일[53]
정무조사위원모리 카쿠1929년 4월 28일 ~ 1931년 3월 29일[53]
정무조사위원쿠하라 후사노스케1931년 3월 29일 ~ 1932년 3월 27일[53]
정무조사위원야마구치 기이치1932년 3월 27일 ~ 1934년 3월 27일[53]
정무조사위원와카미야 사다오1934년 3월 27일 ~ 1935년 3월 28일[53]
정무조사위원마쓰노 츠루헤이1935년 3월 28일 ~ 1936년 5월 28일[53]
정무조사위원안도 마사스미1936년 5월 28일 ~ 1937년 5월 11일[53]
정무조사위원마쓰노 츠루헤이1937년 5월 11일 ~ 1938년 3월 28일[53]
정무조사위원스나다 시게마사1938년 3월 28일 ~ 1939년 5월 1일[53]
정우회 혁신파 정무조사위원타나베 시치로쿠1939년 5월 ~ 1940년 3월[53]
정우회 혁신파 정무조사위원토고 마코토1940년 3월 ~ 1940년 7월[53]
정우회 정통파 정무조사위원오카다 타다히코1939년 5월 ~ 1940년 7월[53]
-사카키다 세이베이-


  • '''니시조인 긴모치 총재 시대'''
  • 마쓰다 마사히사, 하라 다카시, 오오카 이쿠조, 모토다 하지메, 스기타 테이이치, 카와하라 시게스케, 요코타 센노스케, 나카무라 케이지로, 미토 타다조, 코사카 준조, 모치즈키 케이스케[54]
  • 협의원: 하라 다카시, 오자키 유키오, 마쓰다 마사히사, 스에마츠 겐스이[54]
  • 간사: 무라노 조에몬, 노다 우타로, 카스야 기사조, 마츠다 겐지, 오가와 헤이키치[54]

  • '''하라 다카시 총재 시대'''
  • 모토다 하지메, 오오카 이쿠조, 오쿠다 요시토, 타카하시 고레이, 오카자키 쿤스케, 야마모토 타츠오, 토코지 타케지로, 나카하시 토쿠고로, 오가와 헤이키치, 야마모토 테이지로

  • '''다카하시 고레이 총재 시대'''
  • 노다 우타로, 오카자키 쿤스케, 야마모토 테이지로, 토코지 타케지로, 카와하라 시게스케, 오가와 헤이키치, 미토 타다조, 모토다 하지메, 나카하시 토쿠고로, 토미야스 얏타로[54][55]

  • '''다나카 기이치 총재 시대'''
  • 모치즈키 케이스케, 야마모토 조타로, 하마다 쿠니마쓰, 와카오 쇼하치, 아키타 키요시, 미토 타다조, 야마모토 테이지로, 코이즈미 사쿠타로, 야마구치 코타로, 스가와라 덴, 카와하라 시게스케, 하타 토요스케, 동부(중의원 의원), 이소베 히사시, 키노시타 시게타로, 히로세 타메히사, 타나베 구마이치, 마츠우라 고베에, 나카무라 타카시, 와카미야 사다오, 카와카미 테츠타, 토미야스 얏타로[54][56]

  • '''총재 공석·모리 카쿠 간사장 시대'''
  • 타카하시 미츠카즈, 미야코 케이사부로, 마쓰모토 마고에몬, 히타 에이키치, 야마구치 기이치, 시마다 토시오, 타카야마 나가유키, 마쓰노 츠루헤이[54]

  • '''이누카이 쓰요시 총재 시대'''
  • 타카하시 미츠카즈, 시마다 토시오, 마쓰노 츠루헤이, 야마모토 테이지로, 하토야마 이치로, 야마자키 다츠노스케, 아키타 키요시, 우치다 신야, 칸코 요시오, 쿠마가이 나오타, 타키 마사오, 모리 카쿠, 하다 소우키치, 우에하라 에쓰지로, 카토 쿠메시로, 오카다 타다히코, 츠쿠모 쿠니토시, 야마자키 타케루, 마키노 료조[54]

  • '''스즈키 기사부로 총재 시대'''
  • 쿠하라 후사노스케, 하마다 쿠니마쓰, 나카지마 토쿠헤이, 시마다 토시오, 야마자키 다츠노스케, 마쓰노 츠루헤이, 안도 마사스미, 우치다 신야, 칸코 요시오, 타고 카즈타미, 타나베 나나로쿠, 아오키 세이이치, 쿠마가이 이와오, 오카다 이타로, 타나베 구마이치, 시미즈 긴조, 카와카미 테츠타, 도이 곤다이, 토고 미노루, 무라타 토라노스케, 이마이 켄히코, 시가 와타리, 키노시타 시게타로, 나카타니 사다요리, 동부, 타카하시 쿠마지로, 타카미 노리미치, 카토 쿠메시로, 야마구치 기이치, 오카다 타다히코, 노다 슌사쿠[54]

  • '''총재 대행 위원 시대'''
  • 마쓰노 츠루헤이, 안도 마사스미, 스나다 시게마사, 칸코 요시오, 호리키리 젠베에[54]

  • '''분열기 혁신파'''
  • 카와시마 마사지로, 타고 카즈타미, 미야자와 유타카, 야마자키 다츠노스케[54]

4. 1. 역대 총재

입헌정우회 역대 총재
대수총재재임 기간비고
초대이토 히로부미1900년 9월 15일 ~ 1903년
2대사이온지 긴모치1903년 ~ 1913년
3대하라 다카시1914년 ~ 1921년
4대다카하시 고레키요1921년 ~ 1925년
5대다나카 기이치1925년 4월 ~ 1929년 9월
6대이누카이 쓰요시1929년 10월 ~ 1932년 5월
7대스즈키 기사부로1932년 5월 ~ 1937년 2월
하토야마 이치로, 마에다 요네조, 시마다 도시오, 나카지마 지쿠헤이 (총재 대행위원, 1937년 2월 ~ 1939년 4월 30일)
-나카지마 지쿠헤이1939년 4월 30일 ~ 1940년 7월 30일혁신파 총재
쿠하라 후사노스케, 미쓰지 추조, 요시자와 겐키치 (구하라파 총재 대행위원, 1939년 4월 30일 ~ 1939년 5월 20일)
-쿠하라 후사노스케1939년 5월 20일 ~ 1940년 7월 16일정통파 총재


4. 2. 기타 지도부

직책이름재임 기간
정무조사위원원 경1900년 12월 19일 - 1900년 12월 22일[53]
정무조사위원말츠마 겐스이1903년 5월 1일 - 1903년 12월 3일[53]
정무조사위원쿠가 미치히사1903년 12월 3일 - 1904년 3월 31일[53]
정무조사위원원 경1904년 3월 31일 - 1905년 3월 1일[53]
정무조사위원키쿠테이 나가스에1905년 3월 1일 - 1905년 10월 8일 (재임 중 사망)[53]
정무조사위원코다마 준이치로1906년 3월 31일 - 1907년 3월 29일[53]
정무조사위원모토다 하지메1907년 3월 29일 - 1908년 3월 28일[53]
정무조사위원하세바 순쿄1908년 3월 28일 - 1908년 12월 24일[53]
정무조사위원스기타 테이이치1908년 12월 24일 - 1910년 3월 15일[53]
정무조사위원이토 다이하치1910년 3월 25일 - 1911년 3월 24일[53]
정무조사위원오쿠 시하사부로1911년 3월 24일 - 1912년 3월 25일[53]
정무조사위원노다 우타로1912년 3월 29일 - 1913년 3월 29일[53]
정무조사위원마쓰다 마사히사1913년 3월 29일 - 1914년 3월 5일 (재임 중 사망)[53]
정무조사위원무라노 조에몬1913년 3월 29일 - 1914년 3월 27일[53]
정무조사위원나가에 준이치1914년 3월 27일 - 1915년 5월 15일[53]
정무조사위원오가와 헤이키치1915년 5월 15일 - 1916년 3월 1일[53]
정무조사위원에토우 테츠조1916년 3월 1일 - 1917년 6월 19일[53]
정무조사위원요코타 센노스케1917년 6월 19일 - 1918년 10월 1일[53]
정무조사위원모치즈키 케이스케1918년 10월 1일 - 1920년 7월 31일[53]
정무조사위원히로오카 우이치로1920년 7월 31일 - 1922년 3월 27일[53]
정무조사위원요코타 센노스케1922년 3월 27일 - 1922년 6월 15일[53]
정무조사위원모치즈키 케이스케1922년 6월 15일 - 1924년 2월 1일[53]
정무조사위원이와사키 이사무1924년 2월 1일 - 1925년 4월 1일[53]
정무조사위원마에다 요네조1925년 4월 1일 - 1926년 3월 27일[53]
정무조사위원하토야마 이치로1926년 3월 27일 - 1927년 4월 16일[53]
정무조사위원야마모토 조타로1927년 4월 16일 - 1927년 7월 19일[53]
정무조사위원하타 토요스케1927년 7월 19일 - 1928년 5월 25일[53]
정무조사위원시마다 토시오1928년 5월 25일 - 1929년 4월 28일[53]
정무조사위원모리 카쿠1929년 4월 28일 - 1931년 3월 29일[53]
정무조사위원쿠하라 후사노스케1931년 3월 29일 - 1932년 3월 27일[53]
정무조사위원야마구치 기이치1932년 3월 27일 - 1934년 3월 27일[53]
정무조사위원와카미야 사다오1934년 3월 27일 - 1935년 3월 28일[53]
정무조사위원마쓰노 츠루헤이1935년 3월 28일 - 1936년 5월 28일[53]
정무조사위원안도 마사스미1936년 5월 28일 - 1937년 5월 11일[53]
정무조사위원마쓰노 츠루헤이1937년 5월 11일 - 1938년 3월 28일[53]
정무조사위원스나다 시게마사1938년 3월 28일 - 1939년 5월 1일[53]
정우회 혁신파 정무조사위원타나베 시치로쿠1939년 5월 - 1940년 3월[53]
정우회 혁신파 정무조사위원토고 마코토1940년 3월 - 1940년 7월[53]
정우회 정통파 정무조사위원오카다 타다히코1939년 5월 - 1940년 7월[53]
-사카키다 세이베이-


  • '''이토 히로부미 총재 시대'''
  • 니시조인 기미마사, 와타나베 구니타케, 가네코 켄타로, 스에마츠 겐스이, 하야시 유조, 하라 다카시, 호시 토오루, 오자키 유키오, 마츠다 마사히사[54]

  • '''니시조인 긴모치 총재 시대'''
  • 마쓰다 마사히사, 하라 다카시, 오오카 이쿠조, 모토다 하지메, 스기타 테이이치, 카와하라 시게스케, 요코타 센노스케, 나카무라 케이지로, 미토 타다조, 코사카 준조, 모치즈키 케이스케[54]
  • 협의원: 하라 다카시, 오자키 유키오, 마쓰다 마사히사, 스에마츠 겐스이[54]
  • 간사: 무라노 조에몬, 노다 우타로, 카스야 기사조, 마츠다 겐지, 오가와 헤이키치[54]

  • '''하라 다카시 총재 시대'''
  • 모토다 하지메, 오오카 이쿠조, 오쿠다 요시토, 타카하시 고레이, 오카자키 쿤스케, 야마모토 타츠오, 토코지 타케지로, 나카하시 토쿠고로, 오가와 헤이키치, 야마모토 테이지로

  • '''다카하시 고레이 총재 시대'''
  • 노다 우타로, 오카자키 쿤스케, 야마모토 테이지로, 토코지 타케지로, 카와하라 시게스케, 오가와 헤이키치, 미토 타다조, 모토다 하지메, 나카하시 토쿠고로, 토미야스 얏타로[54][55]

  • '''다나카 기이치 총재 시대'''
  • 모치즈키 케이스케, 야마모토 조타로, 하마다 쿠니마쓰, 와카오 쇼하치, 아키타 키요시, 미토 타다조, 야마모토 테이지로, 코이즈미 사쿠타로, 야마구치 코타로, 스가와라 덴, 카와하라 시게스케, 하타 토요스케, 동부(중의원 의원), 이소베 히사시, 키노시타 시게타로, 히로세 타메히사, 타나베 구마이치, 마츠우라 고베에, 나카무라 타카시, 와카미야 사다오, 카와카미 테츠타, 토미야스 얏타로[54][56]

  • '''총재 공석·모리 카쿠 간사장 시대'''
  • 타카하시 미츠카즈, 미야코 케이사부로, 마쓰모토 마고에몬, 히타 에이키치, 야마구치 기이치, 시마다 토시오, 타카야마 나가유키, 마쓰노 츠루헤이[54]

  • '''이누카이 쓰요시 총재 시대'''
  • 타카하시 미츠카즈, 시마다 토시오, 마쓰노 츠루헤이, 야마모토 테이지로, 하토야마 이치로, 야마자키 다츠노스케, 아키타 키요시, 우치다 신야, 칸코 요시오, 쿠마가이 나오타, 타키 마사오, 모리 카쿠, 하다 소우키치, 우에하라 에쓰지로, 카토 쿠메시로, 오카다 타다히코, 츠쿠모 쿠니토시, 야마자키 타케루, 마키노 료조[54]

  • '''스즈키 기사부로 총재 시대'''
  • 쿠하라 후사노스케, 하마다 쿠니마쓰, 나카지마 토쿠헤이, 시마다 토시오, 야마자키 다츠노스케, 마쓰노 츠루헤이, 안도 마사스미, 우치다 신야, 칸코 요시오, 타고 카즈타미, 타나베 나나로쿠, 아오키 세이이치, 쿠마가이 이와오, 오카다 이타로, 타나베 구마이치, 시미즈 긴조, 카와카미 테츠타, 도이 곤다이, 토고 미노루, 무라타 토라노스케, 이마이 켄히코, 시가 와타리, 키노시타 시게타로, 나카타니 사다요리, 동부, 타카하시 쿠마지로, 타카미 노리미치, 카토 쿠메시로, 야마구치 기이치, 오카다 타다히코, 노다 슌사쿠[54]

  • '''총재 대행 위원 시대'''
  • 마쓰노 츠루헤이, 안도 마사스미, 스나다 시게마사, 칸코 요시오, 호리키리 젠베에[54]

  • '''분열기 혁신파'''
  • 카와시마 마사지로, 타고 카즈타미, 미야자와 유타카, 야마자키 다츠노스케[54]

참조

[1] 웹사이트 立憲政友会 りっけんせいゆうかい https://kotobank.jp/[...] 2019-09-15
[2] 웹사이트 Rikken Seiyūkai https://www.britanni[...] Encyclopædia Britannica, Inc. 2019-09-15
[3] 웹사이트 立憲政友会(りっけんせいゆうかい)とは https://kotobank.jp/[...] 2019-09-15
[4] 웹사이트 中央新聞(ちゅうおうしんぶん)とは https://kotobank.jp/[...] 2019-09-15
[5] 웹사이트 Minseitō https://www.britanni[...] Encyclopædia Britannica, Inc. 2021-05-18
[6] 서적 The Problem of the Far East J.B. Lippincott 1935
[7] 서적 Development and Society - Volumes 35-36 Institute for Social Development and Policy Research, Center for Social Sciences, Seoul National University 2006
[8] 서적 Mental Maps in the Era of Two World Wars Palgrave Macmillan 2008
[9] 서적 Crisis and Compensation: Public Policy and Political Stability in Japan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21
[10] 서적 Asia after Versailles: Asian Perspectives on the Paris Peace Conference and the Interwar Order, 1919-33 Edinburgh University Press 2017
[11] 서적 The Linkage Between Domestic and International Conflict: The Case of Japanese Foreign Policy, 1890-1941 University of Michigan 2004
[12] 간행물 Some Thoughts on the Political Development of the Japanese People 1920-01
[13] 서적 (Unknown) 1991
[14] 서적 (Unknown) 1991
[15] 서적 (Unknown) 2012
[16] 서적 (Unknown) 2012
[17] 웹사이트 大辞林 第三版 https://kotobank.jp/[...] 2018-09-13
[18] 서적 (Unknown) 2012
[19] 웹사이트 Rikken Seiyūkai political party, Japan https://www.britanni[...] 2019-03-18
[20] 웹사이트 ブリタニカ国際大百科事典 小項目事典 https://kotobank.jp/[...] 2018-09-13
[21] 서적 (Unknown) 2012
[22] 서적 (Unknown) 2012
[23] 서적 Asia after Versailles: Asian Perspectives on the Paris Peace Conference and the Interwar Order, 1919-33 Edinburgh University Press 2017
[24] 서적 The Linkage Between Domestic and International Conflict: The Case of Japanese Foreign Policy, 1890-1941 University of Michigan 2004
[25] 서적 (Unknown) 2012
[26] 웹사이트 ブリタニカ国際大百科事典 小項目事典 - 中央新聞 https://kotobank.jp/[...] 2018-10-04
[27] 서적 日本政党変遷史 https://dl.ndl.go.jp[...] 安久社 1935
[28] 서적 (Unknown) 2012
[29] 웹사이트 せいゆうかい【政友会】 https://kotobank.jp/[...] 2019-12-11
[30] 기타
[31] 서적 日本政党史 吉川弘文館 2011
[32] 서적 (Unknown) 2012
[33] 서적 (Unknown) 2012
[34] 웹사이트 日本大百科全書(ニッポニカ) https://kotobank.jp/[...] 2019-03-18
[35] 웹사이트 百科事典マイペディア https://kotobank.jp/[...] 2018-10-04
[36] 논문
[37] 논문
[38] 논문
[39] 뉴스 政友会門前で警官と大衝突 : 立憲労働党日本労働組合の一団 : 壮士と門内で争闘す : 検挙十九名に上る https://www.kobe-u.a[...] 大阪朝日新聞 1920-02-12
[40] 일반
[41] 논문 大正デモクラシー期における政権再編
[42] 웹사이트 近代発 見果てぬ民主Ⅷ <10> 統帥権干犯 軍縮条約反対 倒閣の材料に https://www.hiroshim[...]
[43] 서적
[44] 서적
[45] 서적
[46] 서적
[47] 서적
[48] 서적
[49] 서적
[50] 서적
[51] 웹사이트 第八九回帝国議会 貴族院・衆議院解説 https://www.furuyate[...]
[52] 서적
[53] 서적 日本官僚制総合事典 1868-2000
[54] 서적 日本政党史辞典 下 国書刊行会
[55] 뉴스 総選挙に面して逸早く備えを立て直す各党 https://www.kobe-u.a[...] 大阪朝日新聞 1924-02-02
[56] 뉴스 現内閣を攻める時期は既に過ぎ去った : 田中総裁の演説 : 政友会臨時大会第二日 https://www.kobe-u.a[...] 大阪朝日新聞 1927-04-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