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제1함대 (일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1함대 (일본)는 1903년 일본 제국 해군이 상비 함대를 분할하여 창설한 함대이다. 러일 전쟁에서 주력 함대로 활약하며 황해 해전, 쓰시마 해전 등 주요 해전에 참전하여 승리에 기여했다. 제1차 세계 대전, 중일 전쟁, 태평양 전쟁에도 참전했으며, 1944년 해체될 때까지 일본 해군의 주요 전력으로 활동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러일 전쟁에 참전한 일본의 함대 - 제2함대 (일본)
    제2함대는 일본 제국 해군이 창설한 기동 함대로, 러일 전쟁부터 태평양 전쟁까지 참전하며 핵심 전력으로 활동했으나, 주요 해전에서 큰 손실을 입고 1945년 해체되었다.
  • 러일 전쟁에 참전한 일본의 함대 - 제3함대 (일본)
    제3함대 (일본)는 일본 제국 해군의 함대로, 러일 전쟁, 태평양 전쟁 등 다양한 시기에 걸쳐 여러 차례 재편성되었으며, 특히 태평양 전쟁 시기에는 항공모함 기동 부대로 활약하다가 레이테 만 해전을 마지막으로 해체되었다.
  • 중일 전쟁에 참전한 일본의 함대 - 제2함대 (일본)
    제2함대는 일본 제국 해군이 창설한 기동 함대로, 러일 전쟁부터 태평양 전쟁까지 참전하며 핵심 전력으로 활동했으나, 주요 해전에서 큰 손실을 입고 1945년 해체되었다.
  • 중일 전쟁에 참전한 일본의 함대 - 제5함대 (일본)
    제5함대는 중일 전쟁과 태평양 전쟁 당시 일본 제국 해군 함대로 두 차례 창설되었으며, 중일 전쟁 지원과 알류샨 열도 공략 및 북동부 해역 경계 임무 등을 수행하다 해체되었다.
제1함대 (일본) - [군대/부대]에 관한 문서
부대 정보
명칭제1함대
원어 명칭第一艦隊 (다이 이치 칸타이)
영문 명칭1st Fleet
국가대일본제국
소속대일본제국 해군
종류상설 함대
역할전함 결전부대
활동 기간1903년 12월 28일 ~ 1944년 2월 25일
지휘관
주요 지휘관도고 헤이하치로
후지이 고이치
나가노 오사미
야마모토 이소로쿠
나구모 주이치
참전 전투

2. 역사

1903년 12월 26일 상비함대를 둘로 나누어 제2함대와 함께 편성되었고, 러일 전쟁에서 활약했다. 이후 여러 차례 제2함대와 함께 연합함대를 편성했다.

태평양 전쟁 중에는 작전 기회가 적었고, 세토 내해에서 훈련함대로 취급되었다. 1944년 2월 25일 해체되었다.

제1함대는 러일 전쟁, 중일 전쟁, 태평양 전쟁등의 주요 전쟁에 참여했다.

쓰시마 해전에서 일본 함대가 러시아 제국 해군에 승리한 것은 함대 결전 교리를 입증하는 것이었으며,[1] 일본 제국 해군은 이 교리에 맞춰 해군력을 증강했다.[2][3]

연합함대가 상설화된 이후에도 연합함대 사령부가 오랫동안 제1함대(및 제1전대)를 직접 지휘했지만, 1941년 전시 편제 발령으로 다수의 함대가 편성되어 연합함대 규모가 확대되자 제1함대 사령부를 분리했다.

태평양 전쟁 중, 전함 중심의 제2전대는 하시라지마에 주로 정박해 있어 "하시라지마 함대"라는 비아냥을 받았다.

2. 1. 창설과 러일 전쟁 (1903년 ~ 1905년)

1903년 12월 28일, 상비함대를 둘로 나누면서 제1함대가 창설되었다. 제2함대와 함께 상설 함대가 되었고, 러일 전쟁에서 주력 함대로 활약했다.

황해 해전쓰시마 해전 등 주요 해전에 참전했다. 특히 쓰시마 해전에서 러시아 발트 함대(러시아 제2태평양 함대)를 격파하여 일본 해군이 승리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1]

제1함대 주요 참전 해전 (1904년 ~ 1905년)
해전명날짜비고
황해 해전1904년 8월 10일
쓰시마 해전1905년 5월 27일러시아 발트 함대 격파


2. 2. 제1차 세계 대전과 전간기 (1905년 ~ 1937년)

1903년 12월 28일, 상비함대를 분할하여 제1함대가 창설되었다. 러일 전쟁에서 일본 해군은 주력함(제1함대)으로 러시아 태평양 함대의 전함결전 방식으로 유인하고, 순양함구축함으로 구성된 기동 타격대(제2함대)로 블라디보스토크에 기지를 둔 러시아 해군의 순양함 전대를 추격하는 전략을 사용했다. 이후 두 함대는 쓰시마 해전에서 연합함대로 통합되어 러시아 해군에 결정적인 승리를 거두었다.

일본해 해전의 승리는 일본 제국 해군 군령부에게 함대 결전 교리를 입증하는 계기가 되었고,[1] 이후 해군력 강화는 이 교리에 맞춰 진행되었다. 알프레드 테이어 메이한의 목표는 존재 함대, 즉 전략 예비로 보관된 해군력을 구축하는 것이었고, 순양함과 구축함 부대가 접근하는 적을 상대로 소모전을 벌인 후, 쓰시마 해전과 유사한 최종 전투에서 적을 격멸하는 전략이었다.[2][3]

이러한 교리의 영향으로, 제1함대는 특정 작전을 위해 파견되기도 했지만, 대부분 예비 전력으로 유지되었다.

  • 1904년 8월 10일: 황해 해전
  • 1905년 5월 27일: 일본해 해전
  • 1905년 12월 20일: 연합함대 해산. 이후 1922년까지 연합함대는 임시 편제로 운영됨.
  • 1914년 8월 18일: 제1차 세계 대전 발발에 따라 임시 편제로 전환. 이후 패전까지 유지.
  • 1916년 8월 10일: 잠수함 운용 시작. 제4수뢰전대를 편성하여 제1함대에 배치.
  • 1917년 12월 1일: 시베리아 출병 지원을 위해 3개 특무함대를 파견하면서, 제1함대는 제1전대(야마시로, 후소)와 제2전대(카와치, 세츠) 4척으로 축소됨.
  • 1922년 12월 1일: 연합함대 상설화. 제1함대 사령부가 연합함대 사령부를 겸임.
  • 1929년 11월 30일: 항공모함 운용 시작. 제1항공전대를 편성하여 제1함대에 배치.
  • 1933년 5월 20일: 연합함대 사령부가 제1함대 사령부를 겸임.
  • 1937년 10월 이후: 중일 전쟁 발발에 따라 다수의 전대를 제3함대와 지나 방면 함대에 임시 파견.

2. 3. 중일 전쟁과 태평양 전쟁 (1937년 ~ 1945년)

1937년 중일 전쟁 발발 이후, 제1함대는 다수의 전대를 제3함대 및 지나 방면 함대에 임시 파견하였다.[1] 1940년에는 제6함대 신설을 위해 잠수전대를, 1941년에는 제1항공함대 신설을 위해 항공전대를 제공하면서 전력이 약화되기 시작했다.[2]

1941년 8월 11일, 태평양 전쟁 발발 직전에 연합함대 사령부의 겸직이 해제되고 제1함대 사령부가 분리되었다.[3] 사령부 분리 후, 연합함대 사령부는 제1전대를, 제1함대 사령부는 제2전대를 직접 지휘하게 되었다.[4]

태평양 전쟁 초기, 제1함대는 1941년 11월 진주만 공격 기동부대 수용을 위해 일본 근해에 출동하고, 1942년 4월 2일 둘리틀 공습 작전 부대 추격을 위해 출동하는 등 제한적인 작전에 참여했다.[5] 1942년 6월 미드웨이 해전에는 주력 부대로 출동하였으나, 이후 전대 단위로 개별적인 행동을 하였다.[6]

1942년 7월 14일, 제3함대 편성을 위해 제3항공전대를 제공하고, 제1전대 소속이었던 나가토와 무츠가 제2전대로 전입되었다.[7] 또한, 항공전함 개조를 위해 이세와 휴가가 연합함대 부속으로 편입되었다.[8]

1943년 6월 8일, 전함 무츠가 폭침하면서 당시 사령관이었던 시미즈 미츠요시 중장이 경질되었다.[9] 이후 제1함대는 세토 내해에서 훈련함대로 취급되었으며, 전함 중심의 구식 함대라는 한계로 인해 큰 활약을 보이지 못했다.

1944년 2월 25일, 제1함대는 해체되었고, 소속 함정들은 제2함대로 편입되었다.

3. 지휘부

제1함대의 역대 사령장관과 참모장은 일본 제국 해군의 주요 인물들이 역임했다.

역대 사령장관과 참모장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각각 하위 문서를 참조하라.

3. 1. 역대 사령장관

제1함대 사령장관 (第一艦隊司令長官일본어)
계급성명취임일이임일추가 설명
중장도고 헤이하치로1903년 12월 28일1905년 12월 20일1904년 6월 6일 대장으로 승진, 연합함대 사령장관 겸임(~1905년 6월 14일)
중장가타오카 시치로1905년 12월 20일1906년 11월 22일
중장아리마 신이치1906년 11월 22일1908년 5월 26일
중장이쥬인 고로1908년 5월 26일1909년 12월 1일연합함대 사령장관 겸임 (1908년 10월 8일 ~ 11월 19일)
중장가미무라 히코노조1909년 12월 1일1911년 12월 1일
중장데와 시게토1911년 12월 1일1913년 12월 1일
중장가토 도모사부로1913년 12월 1일1915년 8월 10일
중장후지이 고이치1915년 8월 10일1915년 9월 23일
중장요시마쓰 시게타로1915년 9월 23일1917년 12월 1일연합함대 사령장관 겸임 (1915년 11월 11일 ~ 30일, 1916년 9월 1일 ~ 10월 13일, 1917년 10월 1일 ~ 20일)
중장야마시타 겐타로1917년 12월 1일1919년 12월 1일연합함대 사령장관 겸임 (1918년 9월 1일 ~ 10월 14일, 1919년 6월 1일 ~ 10월 27일)
대장야마야 다닌1919년 12월 1일1920년 8월 24일연합함대 사령장관 겸임 (1920년 5월 1일 ~)
대장도치나이 소지로1920년 8월 24일1922년 7월 27일연합함대 사령장관 겸임 (1920년 8월 24일 ~ 10월 30일, 1921년 5월 1일 ~ 10월 30일)
중장다케시타 이사무1922년 7월 27일1924년 1월 27일1923년 8월 3일 대장으로 승진
대장스즈키 간타로1924년 1월 27일1924년 12월 1일
대장오카다 게이스케1924년 12월 1일1926년 12월 10일
중장가토 히로하루1926년 12월 10일1928년 12월 10일1927년 4월 1일 대장으로 승진
대장다니구치 나오미1928년 12월 10일1929년 11월 11일
중장야마모토 에이스케1929년 11월 11일1931년 12월 1일1931년 3월 1일 대장으로 승진
중장고바야시 세이조1931년 12월 1일1933년 11월 15일1933년 4월 1일 대장으로 승진
중장스에쓰구 노부마사1933년 11월 15일1934년 11월 15일1934년 3월 30일 대장으로 승진
중장다카하시 산키치1934년 11월 15일1936년 12월 1일1936년 4월 1일 대장으로 승진
중장요나이 미쓰마사1936년 12월 1일1937년 2월 2일
대장나가노 오사미1937년 2월 2일1937년 12월 1일
중장요시다 젠고1937년 12월 1일1939년 8월 30일
중장야마모토 이소로쿠1939년 8월 30일1941년 8월 11일1940년 11월 15일 대장으로 승진
중장다카스 시로1941년 8월 11일1942년 7월 14일
중장기요미즈 미쓰미1942년 7월 14일1943년 10월 20일
중장나구모 주이치1943년 10월 20일1944년 2월 25일함대 해체



제1함대 참모장 (第一艦隊参謀長일본어)
계급성명취임일이임일추가 설명
대좌시마무라 하야오1903년 12월 28일1905년 1월 12일연합함대 참모장 겸임
소장가토 도모사부로1905년 1월 12일1905년 12월 20일연합함대 참모장 겸임 (~1905년 6월 14일)
소장후지이 고이치1905년 12월 20일1906년 11월 22일
대좌야마시타 겐타로1906년 11월 22일1908년 12월 10일연합함대 참모장 겸임 (1908년 10월 8일 ~ 11월 19일)
대좌다카라베 다케시1908년 12월 10일1909년 12월 1일
소장노마구치 가네오1909년 12월 1일1911년 3월 11일
대좌아키야마 사네유키1911년 3월 11일1912년 12월 1일
대좌다케시타 이사무1912년 12월 1일1913년 12월 1일
소장사토 데쓰타로1913년 12월 1일1914년 4월 17일
대좌야마지 가즈요시1914년 4월 17일1914년 12월 1일
소장야마나카 시바키치1914년 12월 1일1915년 12월 13일연합함대 참모장 겸임 (1915년 11월 11일 ~ 30일)
소장호리노우치 사부로1915년 12월 13일1917년 12월 1일연합함대 참모장 겸임 (1916년 9월 1일 ~ 10월 13일, 1917년 10월 1일 ~ 20일)
소장사이도 한로쿠1917년 12월 1일1918년 12월 1일연합함대 참모장 겸임 (1918년 9월 1일 ~ 10월 14일)
소장후나코시 가지시로1918년 12월 1일1919년 12월 1일연합함대 참모장 겸임 (1919년 6월 1일 ~ 10월 27일)
소장요시오카 한사쿠1919년 12월 1일1921년 12월 1일연합함대 참모장 겸임 (1920년 5월 1일 ~ 10월 30일, 1921년 5월 1일 ~ 10월 30일)
소장시라네 구마조1921년 12월 1일1923년 12월 1일
소장가바야마 가나리1923년 12월 1일1924년 11월 10일
소장하라 간지로1924년 11월 10일1925년 12월 1일
소장오미나토 나오타로1925년 12월 1일1926년 11월 1일
소장다카하시 산키치1926년 11월 1일1927년 12월 1일
소장하마노 에이지로1927년 12월 1일1928년 12월 10일
소장데라지마 겐1928년 12월 10일1929년 11월 30일
소장시오자와 고이치1929년 11월 30일1930년 12월 1일
소장시마다 시게타로1930년 12월 1일1931년 12월 1일
소장요시다 젠고1931년 12월 1일1933년 9월 15일연합함대 참모장 겸임 (~ 1941년 8월 11일)
중장도요다 소에무1933년 9월 15일1935년 3월 15일
소장곤도 노부타케1935년 3월 15일1935년 11월 15일
소장노무라 나오쿠니1935년 11월 15일1936년 11월 16일
소장이와시타 야스타로1936년 11월 16일1937년 2월 18일
소장오자와 지사부로1937년 2월 18일1937년 11월 15일
소장다카하시 이보1937년 11월 15일1939년 11월 5일
대좌후쿠토메 시게루1939년 11월 5일1941년 4월 10일
소장이토 세이이치1941년 4월 10일1941년 8월 11일
대좌고바야시 겐고1941년 8월 11일1943년 1월 6일
소장다카야나기 기하치1943년 1월 6일1944년 2월 25일함대 해체


3. 2. 역대 참모장

第一艦隊参謀長일본어

제1함대 참모장은 주로 소장 또는 대좌급이 임명되었다. 시마무라 하야오, 가토 도모사부로 등 훗날 일본 해군의 고위직을 역임한 인물들이 참모장을 거쳐갔다. 1922년부터 1941년까지는 연합함대 참모장이 제1함대 참모장을 겸임했다.

계급이름재임 기간
1元帥일본어海軍大将일본어시마무라 하야오1903년 12월 28일 ~ 1905년 1월 12일
2元帥일본어海軍大将일본어가토 도모사부로1905년 1월 12일 ~ 1905년 12월 20일
3海軍大将일본어후지이 고이치1905년 12월 20일 ~ 1906년 11월 22일
4元帥일본어海軍大将일본어야마시타 겐타로1906년 11월 22일 ~ 1908년 12월 10일
5海軍大将일본어다카라베 다케시1908년 12월 10일 ~ 1909년 12월 1일
6海軍大将일본어노마구치 가네오1909년 12월 1일 ~ 1911년 3월 11일
7海軍中将일본어아키야마 사네유키1911년 3월 11일 ~ 1912년 12월 1일
8海軍大将일본어다케시타 이사무1912년 12월 1일 ~ 1913년 5월 24일
-공석1913년 5월 24일 ~ 1913년 12월 1일
9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将일본어사토 데쓰타로1913년 12월 1일 ~ 1914년 4월 17일
10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将일본어야마지 가즈요시1914년 4월 17일 ~ 1914년 12월 1일
11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将일본어야마나카 시바키치1914년 12월 1일 ~ 1915년 12월 13일
12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将일본어호리우치 사부로1915년 12월 13일 ~ 1917년 12월 1일
13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将일본어사이토 한로쿠1917년 12월 1일 ~ 1918년 12월 1일
14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将일본어후나코시 가지시로1918년 12월 1일 ~ 1919년 12월 1일
15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将일본어요시오카 한사쿠1919년 12월 1일 ~ 1921년 12월 1일
16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軍中 প্রের|ja|海군 중장일본어시라네 구마조1921년 12월 1일 ~ 1923년 12월 1일
17海軍少将일본어가바야마 스케나리1923년 12월 1일 ~ 1924년 11월 10일
18海軍中将일본어하라 간지로1924년 11월 10일 ~ 1925년 12월 1일
19海軍中将일본어오미나토 나오타로1925년 12월 1일 ~ 1926년 11월 1일
20海軍大将일본어다카하시 산키치1926년 11월 1일 ~ 1927년 12월 1일
21海軍中将일본어하마노 에이지로1927년 12월 1일 ~ 1928년 12월 10일
22海軍中将일본어테라지마 겐1928년 12월 10일 ~ 1929년 10월 30일
23海軍大将일본어시오자와 고이치1929년 10월 30일 ~ 1930년 12월 1일
24海軍大将일본어시마다 시게타로1930년 12월 1일 ~ 1931년 12월 1일
25海軍大将일본어요시다 젠고1931년 12월 1일 ~ 1933년 9월 15일
26海軍大将일본어도요다 소에무1933년 9월 15일 ~ 1935년 3월 15일
27海軍大将일본어곤도 노부타케1935년 3월 15일 ~ 1935년 11월 15일
28海軍大将일본어노무라 나오쿠니1935년 11월 15일 ~ 1936년 11월 16일
29海軍少将일본어이와시타 야스타로1936년 11월 16일 ~ 1937년 2월 18일
30海軍中将일본어오자와 지사부로1937년 2월 18일 ~ 1937년 11월 15일
31海軍中将일본어다카하시 이보1937년 11월 15일 ~ 1939년 11월 5일
32海軍中将일본어후쿠도메 시게루1939년 11월 5일 ~ 1941년 4월 10일
33海軍大将일본어이토 세이이치1941년 4월 10일 ~ 1941년 8월 11일
34海軍中将일본어고바야시 겐고1941년 8월 11일 ~ 1943년 1월 6일
35海軍中将일본어다카야나기 기하치1943년 1월 6일 ~ 1944년 2월 25일


4. 주요 전투 서열

1903년 창설된 일본 제1함대는 여러 차례 편제 개편을 거쳤다. 주요 전투 서열 및 사건은 다음과 같다.

4. 1. 러일 전쟁 개전 직전 (1904년)

1903년 12월 28일, 상비 함대를 분할하여 제1함대가 창설되었다. 1904년에는 러일 전쟁에 참전하였다.

당시 제1함대의 전력은 다음과 같았다.

전대함종함명
제1전대전함미카사, 아사히, 후지, 야시마, 시키시마, 하쓰세
제3전대방호순양함지토세, 다카사고, 가사기, 요시노
구축대, 정대

[1]

4. 2. 제1차 세계 대전 (1914년)

1914년 8월 18일, 제1차 세계 대전에 대응하기 위해 임시 편제로 전환되었다. 이후 패전까지 임시 편제를 유지하였다. 당시 제1함대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전대구성
제1전대세쓰, 가와치, 아키, 사쓰마
제3전대구라마, 쓰쿠바, 곤고, 히에이
제5전대미카사, 히젠, 시키시마
제1수뢰전대오토와, 제1구축대, 제2구축대, 제16구축대, 제17구축대


4. 3. 연합함대 상설 (1922년)

1922년 12월 1일, 일본 제국 해군은 연합함대를 상설화하면서 제1함대 사령부가 연합함대 사령부를 겸임하도록 하였다. 당시 제1함대의 구성은 다음과 같았다.[1]

전대구성
제1전대나가토, 무쓰, 이세, 휴가
제3전대구마, 다마, 오이
제1수뢰전대다쓰타, 제25구축대, 제26구축대, 제27구축대, 제28구축대
제1잠수전대지쿠마, 만슈, 제4잠수대, 제6잠수대


4. 4. 항공전대 신설 (1929년)

1929년 11월 30일, 일본 해군항공모함 함대 운용을 시작하면서 제1항공전대를 편성하여 제1함대에 배치하였다.[8]

4. 5. 태평양 전쟁 개전 (1941년)

1941년, 제1함대는 태평양 전쟁에 대비하여 다음과 같은 주요 변화를 겪었다.

  • 4월 10일: 제1항공함대가 신설되면서 기존의 항공 전력이 제1함대에서 빠져나갔다.[8]
  • 8월 1일: 태평양 전쟁 참전을 위한 준비를 마치고, 나가토와 무쓰로 구성된 제1전대를 연합함대에 배속시켰다.[8]
  • 8월 11일: 연합함대 사령부의 제1함대 사령부 겸직이 해제되고, 제1함대만의 독자적인 사령부가 설치되었다.[8]
  • 11월: 진주만 공격을 위해 출동하는 기동부대를 지원하기 위해 일본 근해에 배치되었다.[8]


당시 제1함대의 주요 구성은 다음과 같았다.[8]

제1함대 주요 구성 (1941년 태평양 전쟁 개전 당시)
전대함종함명
제2전대전함이세, 휴가, 후소, 야마시로
제3전대전함곤고, 하루나, 히에이, 기리시마
제6전대중순양함아오바, 기누가사, 후루타카, 가코
제9전대경순양함기타카미, 오이
제1수뢰전대경순양함아부쿠마 외 다수의 구축함
제3수뢰전대경순양함센다이 외 다수의 구축함
제3항공전대항공모함호쇼, 즈이카쿠 외 구축함 2척
부속특설수상기모함신슈마루


4. 6. 미드웨이 해전 이후 (1942년)

1942년 6월 미드웨이 해전 지원을 위해 출동하였다. 이후에는 전대 단위로 개별 행동하였다.[9]

  • 제2전대: 이세, 휴가, 후소, 야마시로 등 전함 4척[6]
  • 제6전대: 아오바, 키누가사, 후루타카, 가코 등 중순양함 4척[6]
  • 제9전대: 키타가미, 오이 등 경순양함 2척[6]
  • 제1수뢰전대, 제3수뢰전대[6]


1942년 7월 14일, 제3함대 편성을 위해 제3항공전대를 공출하였다. 제1전대로부터 나가토, 무츠가 제2전대에 전입되었고, 항공모함 개조를 위해 이세, 휴가가 연합함대 부속으로 편입되었다.[9] 11월 10일, 솔로몬 제도 방면에서 제8함대와 작전했던 제6전대가 괴멸되었기 때문에 해산되었다.[9] 11월 21일, 경순양함 키타카미, 오이로 구성된 제9전대는 용도가 없어 해체되어 연합함대 부속으로 편입되었다.[9]

5. 평가

일본 제국 해군의 제1함대는 러일 전쟁에서 주력 함대로 활약하며 쓰시마 해전 승리에 기여했다. 이러한 성과는 함대 결전 사상을 입증하는 것으로 여겨져, 이후 일본 해군의 전략과 전력 구성에 큰 영향을 미쳤다.[1] 그러나 태평양 전쟁 시기에는 전함 위주의 구식 전력 구성으로 인해 한계를 드러냈으며, 미드웨이 해전 이후에는 훈련함대로 취급받는 등 실질적인 전투력을 상실했다.

제1함대는 함대 결전 사상에 지나치게 의존한 나머지, 항공모함잠수함 등 새로운 전력의 중요성을 간과했다는 비판을 받기도 한다.[2][3] 1944년 2월 25일 제1함대의 해체는 일본 제국 해군 몰락을 상징하는 사건 중 하나로 평가된다.

6. 한국과의 관계

1903년 12월 26일 창설된 제1함대는 러일 전쟁에서 쓰시마 해전 등 주요 해전에 참여하여 일본의 승리에 기여했다.[1] 이 과정에서 제1함대는 대한제국식민지로 만드는 과정에 직간접적으로 관여했을 가능성이 있다. 특히, 쓰시마 해전에서 승리하여 러일 전쟁을 승리로 이끌었던 도고 헤이하치로는 이후 통감부조선총독부를 통해 한국을 지배하는 데 영향을 주었을 가능성이 있다.

참조

[1] 서적 Kaigun 2019-12-00 #날짜 정보가 불완전하여 00으로 표기
[2] 서적 After Midway: Japanese Naval Strategy 1942-45
[3] 서적 Kaigun 2019-12-00 #날짜 정보가 불완전하여 00으로 표기
[4] 웹사이트 Axis History Database
[5] 간행물 戦史叢書「大本営海軍部・連合艦隊(2)付表第2"
[6] 문서 7月5日に沈没しており、書類上の在籍
[7] 간행물 戦史叢書「大本営海軍部・連合艦隊(5)付表第3"
[8] 간행물 전史叢書「大本営해군部, 연합함대(2)付表제2"
[9] 간행물 전史叢書「大本営해군部, 연합함대(5)付表제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