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차 세계 대전 연표 (1944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44년 제2차 세계 대전은 유럽, 태평양 전선에서 연합군의 공세가 강화되며, 전쟁의 종말을 향해 나아가는 해였다. 유럽 전선에서는 노르망디 상륙 작전(D-Day)을 통해 서부 전선이 열리고, 소련군의 대규모 공세로 동부 전선에서 독일군이 밀려났다. 이탈리아 전선에서는 몬테카시노 전투와 안치오 상륙 작전 등 격전이 벌어졌다. 태평양 전선에서는 미군이 마셜 제도, 마리아나 제도, 필리핀 등 주요 섬들을 공격하며 일본군을 압박했고, 레이테 만 해전에서의 승리는 일본 해군에 치명타를 입혔다. 전쟁의 참상 속에서 홀로코스트가 자행되었고, 민간인 피해가 속출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44년 군사사 - V-2 로켓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나치 독일이 개발한 세계 최초의 장거리 탄도 미사일인 V-2 로켓은 베르너 폰 브라운 연구팀에 의해 개발되어 액체 추진제를 사용, 최대 320km 사거리와 1톤의 탄두 운반 능력을 갖췄으나, 연합국 도시 공격에 사용되며 막대한 피해를 야기했고, 전후 미사일 및 우주 기술 발전에 영향을 미쳤지만, 개발 과정에서 강제 수용소 수감자들의 노예 노동이 동원되는 윤리적 문제와 군사적 효용성 논란이 있었다. - 1944년 군사사 - 영국 공군의 라케인 본부 공습
영국 공군의 라케인 본부 공습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연합군이 독일 서부 기갑군 사령부가 있던 프랑스 라 케인을 공격하여 독일군 지휘부에 큰 피해를 주고 작전 수행 능력을 저하시킨 사건이다. - 제2차 세계 대전 연표 - 제2차 세계 대전의 원인
제2차 세계 대전의 원인은 팽창주의, 군국주의, 파시즘, 민족주의, 인종차별주의 등의 복합적인 이념과 정책, 그리고 베르사유 조약의 문제점, 국제연맹의 기능 부전, 자원 및 시장 경쟁 심화, 국제 관계 불안정성 등이 작용하여 발생했다. - 제2차 세계 대전 연표 - 아시아의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아시아의 제2차 세계 대전 종전은 1945년 일본의 항복으로 이루어졌으며, 미국은 원자폭탄 투하, 소련은 만주 침공, 한반도는 분단되었고, 일본은 연합군 점령, 비무장화, 민주화, 전범 재판을 겪은 후 샌프란시스코 강화 조약으로 독립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연표 (1944년) | |
---|---|
제2차 세계 대전 연표 (1944년) | |
1월 | |
1월 4일 | 몬테카시노 전투: 연합군이 독일의 겨울 전선인 구스타프 선을 공격함. |
1월 17일 | 몬테카시노 전투: 연합군이 구스타프 선을 돌파하기 위해 새로운 공세를 시작함. |
1월 22일 | 싱글 작전: 연합군이 안치오에 상륙하여 이탈리아 전선에서 새로운 전선을 형성함. |
1월 24일 | 나르바 전투 (1944년): 소련군이 나르바에서 독일군에 대한 대규모 공세를 시작함. |
1월 25일 | 코르순-체르카시 전투: 소련군이 코르순-체르카시 포위망을 형성하여 수만 명의 독일군을 포위함. |
1월 27일 | 레닌그라드-노브고로드 공세: 소련군이 레닌그라드 포위전을 완전히 해제함. |
2월 | |
2월 3일 | 홀로코스트: 얀 카르스키가 프랭클린 D. 루스벨트 미국 대통령에게 폴란드에서 벌어지는 홀로코스트에 대해 보고함. |
2월 4일 | 코르순-체르카시 전투: 코르순-체르카시 포위망에 갇힌 독일군이 포위망 돌파를 시도함. |
2월 8일 | 몬테카시노 전투: 몬테카시노 수도원이 연합군 폭격으로 파괴됨. |
2월 18일 | 소련의 발트 3국 재점령: 소련군이 독일군으로부터 루가를 탈환함. |
2월 20일 | 혼성폭격기 공세: 영국이 슈투트가르트에 대한 첫 번째 대규모 폭격을 감행함. 대륙타통작전: 일본군이 중국 중부에서 새로운 공세를 시작함. |
3월 | |
3월 6일 | 몬테카시노 전투: 연합군이 독일의 구스타프 선을 돌파하기 위해 새로운 공세를 시작함. |
3월 8일 | 혼성폭격기 공세: 미국이 베를린에 대한 첫 번째 폭격을 감행함. |
3월 15일 | 몬테카시노 전투: 연합군이 몬테카시노를 점령함. |
3월 19일 | 나치 독일의 헝가리 점령: 독일군이 헝가리를 점령함. |
3월 23일 | 라플란드 전쟁: 핀란드가 독일에 대한 전쟁을 공식적으로 선언함. |
4월 | |
4월 8일 | 크로스보우 작전: V-1 로켓 발사 기지에 대한 연합군의 폭격이 시작됨. |
4월 10일 | 오데사 공세: 소련군이 오데사를 탈환함. |
4월 17일 | 소련의 크림 반도 재점령: 소련군이 크림 반도를 완전히 탈환함. |
20일 | 혼성폭격기 공세: 스위스는 실수로 샤프하우젠을 폭격한 미국에 400만 달러를 지불함. |
24일 | 혼성폭격기 공세: 미국은 뮌헨을 폭격함. |
27일 | 소련의 루마니아 재점령: 소련군이 루마니아를 완전히 탈환함. |
5월 | |
5월 9일 | 세바스토폴 공세 (1944년): 소련군이 세바스토폴을 탈환함. |
5월 11일 | 몬테카시노 전투: 연합군이 독일의 구스타프 선을 돌파함. |
5월 12일 | 크림 반도의 마지막 독일군이 항복함. |
15일 | 대륙타통작전: 일본군이 뤄양을 점령함. |
18일 | 몬테카시노 전투: 폴란드 군인들이 몬테카시노 수도원을 점령함. |
6월 | |
4일 | 로마가 연합군에 함락됨. |
6일 | 오버로드 작전: 연합군이 노르망디 상륙을 감행하여 서부 전선에서 새로운 전선을 형성함 (해왕성 작전이라고도 함). |
9일 | 바그라티온 작전: 소련군이 벨라루스에서 대규모 공세를 시작함. |
15일 | 마리아나·팔라우 제도 전역: 미국 해병대가 사이판에 상륙함. |
20일 | 혼성폭격기 공세: 일본의 야와타가 처음으로 폭격을 받음. |
22일 | 바그라티온 작전: 소련군이 보브루이스크를 탈환함. |
23일 | 바그라티온 작전: 소련군이 비테프스크를 탈환함. |
26일 | 바그라티온 작전: 소련군이 모길료프를 탈환함. |
28일 | 바그라티온 작전: 소련군이 민스크를 포위함. |
7월 | |
3일 | 바그라티온 작전: 소련군이 민스크를 탈환함. |
9일 | 리비우-산도메시우 공세: 소련군이 서우크라이나에서 새로운 공세를 시작함. |
13일 | 리비우-산도메시우 공세: 소련군이 리비우를 탈환함. |
18일 | 바그라티온 작전: 소련군이 그로드노를 탈환함. |
20일 | 7월 20일 음모: 클라우스 폰 슈타우펜베르크 대령이 아돌프 히틀러를 암살하려다 실패함. |
21일 | 바그라티온 작전: 소련군이 루블린을 탈환함. |
23일 | 마이단네크 강제 수용소가 소련군에 의해 해방됨. |
24일 | 바그라티온 작전: 소련군이 프스코프를 탈환함. |
25일 | 코브라 작전: 연합군이 노르망디에서 독일군을 돌파하기 위한 공세를 시작함. |
27일 | 바그라티온 작전: 소련군이 스타니스와우를 탈환함. |
8월 | |
1일 | 템페스트 작전: 폴란드 국내군이 바르샤바 봉기를 시작함. |
4일 | 혼성폭격기 공세: 미국이 함부르크를 폭격함. |
5일 | 바르샤바 봉기: 독일군이 바르샤바에서 대규모 학살을 시작함. |
8일 | 윈난 서부-버마 북부 전투: 중국군이 미치나를 점령함. |
9일 | 제2차 이야시-키시네프 공세: 소련군이 루마니아 동부에서 새로운 공세를 시작함. |
15일 | 용기병 작전: 연합군이 프랑스 남부에 상륙함. |
16일 | 제2차 이야시-키시네프 공세: 소련군이 키시네프를 탈환함. |
20일 | 혼성폭격기 공세: 일본의 기타큐슈가 폭격을 받음. |
23일 | 제2차 이야시-키시네프 공세: 루마니아가 추축국에서 연합국으로 전향함. |
25일 | 파리 해방: 연합군이 파리를 해방함. |
29일 | 슬로바키아 국민봉기: 슬로바키아인들이 나치 정권에 대항하여 봉기를 일으킴. |
31일 | 혼성폭격기 공세: 소련이 탈린을 폭격함. |
9월 | |
1일 | 연합군이 디에프를 점령함. |
4일 | 핀란드가 소련과 휴전 협정을 체결함. |
5일 | 소련이 불가리아에 전쟁을 선포함. |
8일 | 불가리아가 추축국에서 연합국으로 전향함. |
15일 | 고딕선: 연합군이 고딕선을 돌파함. |
17일 | 마켓 가든 작전: 연합군이 네덜란드에서 대규모 공수 작전을 시작함. |
18일 | 탈린 공세: 소련군이 에스토니아의 탈린을 점령함. |
22일 | 탈린 공세: 소련군이 에스토니아 본토를 점령함. |
26일 | 마켓 가든 작전: 연합군이 아른험에서 퇴각함. |
28일 | 라플란드 전쟁: 핀란드 군인들이 토르니오를 점령함. |
10월 | |
2일 | 바르샤바 봉기가 독일군의 진압으로 끝남. |
4일 | 혼성폭격기 공세: 영국이 카셀을 폭격함. |
6일 | 듀클라 고개 작전: 체코슬로바키아 군인들이 듀클라 고개를 점령함. |
9일 | 모스크바 회담 (1944년): 윈스턴 처칠과 이오시프 스탈린이 전후 유럽의 분할에 대해 논의함. |
13일 | 소련군이 리가를 점령함. |
15일 | 헝가리의 미클로시 호르티 섭정이 소련에 항복하려다 실패함. |
16일 | 독일군이 헝가리의 페렌츠 살라시를 수장으로 하는 파시스트 정부를 수립함. |
19일 | 베오그라드 공세: 소련군이 유고슬라비아의 베오그라드를 파르티잔과 함께 점령함. |
20일 | 미국군이 아헨을 점령함. |
23일 | 레이테만 전투: 미국군이 레이테섬에 상륙함. |
25일 | 레이테만 전투: 일본 해군이 레이테만 해전에서 패배함. |
29일 | 부다페스트 공세: 소련군이 헝가리의 부다페스트를 포위함. |
11월 | |
7일 | 혼성폭격기 공세: 영국이 쾰른을 폭격함. |
8일 | 혼성폭격기 공세: 미국이 레오폴드샤펜을 폭격함. |
12일 | 영국이 티르피츠를 격침시킴. |
14일 | 혼성폭격기 공세: 영국이 에센을 폭격함. |
16일 | 독일이 서부 전선에서 공세를 시작함. |
17일 | 혼성폭격기 공세: 미국이 인스부르크를 폭격함. |
22일 | 혼성폭격기 공세: 영국이 메르세부르크를 폭격함. |
23일 | 혼성폭격기 공세: 미국이 나우루를 폭격함. |
26일 | 혼성폭격기 공세: 영국이 힐데스하임을 폭격함. |
12월 | |
16일 | 벌지 전투: 독일군이 아르덴에서 연합군에 대한 대규모 공세를 시작함. |
17일 | 보텐플라테 작전: 독일 특수 부대가 벌지 전투의 일환으로 연합군 전선 뒤에 침투함. |
18일 | 혼성폭격기 공세: 미국이 본을 폭격함. |
26일 | 벌지 전투: 연합군이 독일군의 진격을 저지하고 반격을 시작함. |
2. 유럽 전선
1944년 유럽 전선에서는 연합군과 추축국 간의 격렬한 전투가 계속되었다. 특히 노르망디 상륙 작전과 동부 전선에서의 소련군의 대규모 공세는 전쟁의 흐름을 바꾸는 중요한 사건이었다.
- 1월 17일 ~ 5월 18일: 몬테카시노 전투에서 연합군과 독일군 간의 치열한 공방전이 벌어졌다.
- 1월 22일: 연합군이 이탈리아 안치오에 상륙하여 싱글 작전을 시작했다.[2][4][5]
- 6월 6일: 노르망디 상륙 작전 (코드명: 오버로드 작전) 개시.
- 6월 22일: 소련군이 벨라루스에서 바그라티온 작전을 개시하여 독일군에 큰 타격을 입혔다.
- 8월 25일: 파리 해방.
- 9월 17일: 마켓 가든 작전 개시
- 12월 16일: 독일군의 아르덴 대공세 (벌지 전투) 시작.
2. 1. 노르망디 상륙 작전과 서부 전선
1944년 6월 6일, 제2차 세계 대전의 연합군은 노르망디 상륙 작전(코드명 오버로드 작전)을 개시하여 프랑스 노르망디 해안에 상륙했다. 이는 역사상 가장 큰 규모의 수륙 양용 군사 작전이었다.[2][4] 연합군은 대서양 방벽을 돌파하고 내륙으로 진격하기 시작했다.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 장군은 연합군 최고사령관으로서 작전을 총지휘했다.[1] 버나드 몽고메리 장군은 지상군을 지휘하며, 초기 상륙과 이후 팔레즈 포위전까지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독일군은 에르빈 롬멜 원수가 서부 전선 방어를 담당했다. 롬멜은 연합군의 상륙을 해안에서 저지하려 했으나, 연합군의 제공권 장악과 기만 작전에 의해 저지 전략은 실패했다. 롬멜은 7월 20일 히틀러 암살 미수 사건에 연루되었다는 의혹을 받고, 1944년 10월 14일 강요에 의해 자살했다.[2]
6월 7일, 영국군은 바유를 해방시켰고, 6월 26일에는 셰르부르가 미군에 의해 해방되었다. 그러나 내륙 진격은 헤지 지형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었다. 7월 18일, 생로가 함락되면서 연합군의 돌파구가 마련되었다.
8월 15일, 드래군 작전을 통해 연합군은 남부 프랑스에도 상륙하여 독일군을 압박했다. 8월 19일, 프랑스 레지스탕스는 파리에서 봉기했고, 8월 25일 파리가 해방되었다. 샤를 드 골은 파리 시청에서 승리 연설을 했다.[2]
연합군은 빠르게 진격하여 9월 3일 브뤼셀과 리옹을 해방시켰고, 9월 5일에는 앤트워프가 영국군에 의해 해방되었다. 그러나 9월 17일 시작된 마켓 가든 작전은 아른험 해방에 실패하면서 큰 피해를 입었다.[2]
12월 16일, 독일군은 아르덴 지역에서 마지막 대규모 반격인 벌지 전투를 개시했다. 초기 독일군의 진격은 연합군의 강력한 저항과 12월 26일 바스토뉴 포위망 돌파로 인해 저지되었다.
2. 2. 동부 전선
1944년, 소련군은 동부 전선에서 대규모 공세를 펼쳐 독일군을 몰아냈다.- 레닌그라드-노브고로드 공세 (1월 14일 ~ 3월 1일): 레닌그라드 포위전을 872일 만에 종식시키고, 독일군을 나르바까지 밀어냈다. 이 과정에서 약 200만 명이 사망했는데, 대부분 기아와 질병 때문이었다.[2]
- 드네프르-카르파티아 공세 (1943년 12월 24일 ~ 1944년 4월 17일): 제1 우크라이나 전선이 폴란드에 진입하고(1월 4일), 코르순-체르카시 포위전(1월 28일)에서 독일군 2개 군단을 포위했다. 독일군은 2월에 돌파 과정에서 대부분의 중장비를 잃고 탈출했다.
- 오데사 공세 (3월 26일 ~ 4월 14일): 소련군이 오데사에 진입했다.(4월 10일)[2][4]
- 크림 공세 (4월 8일 ~ 5월 12일): 크리미아 반도를 탈환하고, 케르치를 점령했다.(4월 11일)[2][4] 얄타를 점령했고(4월 16일), 세바스토폴을 탈환했다.(5월 9일)[2] 크림반도 전체가 소련의 통제하에 들어갔다.(5월 13일)[2][4][14]
- 비보르크-페트로자보츠크 공세 (6월 10일 ~ 8월 9일): 소련은 핀란드를 상대로 공세를 시작했으나(6월 9일), 상호 국경 합의 실패로 핀란드를 격파하려 했다. 탈리-이한탈라 전투(6월 25일)는 북유럽 국가에서 벌어진 가장 큰 전투였다. 핀란드는 소련의 평화 조건을 거부했다.(3월 21일)
- 바그라티온 작전 (6월 22일 ~ 8월 19일): 벨라루스에서 독일군을 몰아내기 위한 총공격으로, 민스크가 해방되었다(7월 3일). 독일 중부 집단군이 파괴되어 제2차 세계 대전 중 독일 국방군에게 가장 큰 패배 중 하나가 되었다.
- 리비우-산도미에르츠 공세 (7월 13일 ~ 8월 29일): 소련군이 리투아니아 빌뉴스를 점령했다.(7월 13일)
- 발트 공세 (9월 14일 ~ 11월 24일): 개시(9월 14일)로 붉은 군대가 카우나스를 점령하여 발트 3국을 동프로이센으로부터 고립시켰다.(8월 1일) 탈린을 점령하고(9월 22일), 문순드 상륙 작전을 통해 서부 에스토니아 군도를 점령했다.(9월 29일) 사레마 섬을 점령하여 에스토니아의 마지막 주요 독일 전초 기지를 점령했다.(11월 25일)
- 동카르파티아 공세 (9월 8일 ~ 9월 28일): 소련군과 체코슬로바키아군이 슬로바키아 북동부에 진입했다.(10월 6일)
- 베오그라드 공세 (9월 14일 ~ 11월 24일): 소련군이 유고슬라비아에 진입하고(10월 1일), 요시프 브로즈 티토가 지휘하는 유고슬라비아 파르티잔과 함께 베오그라드를 해방했다.(10월 20일)
- 데브레첸 전투 (10월 6일 ~ 10월 28일): 독일군과 소련군이 헝가리 동부에서 격돌했다. 붉은 군대는 헝가리에 진입했다.(10월 5일)
- 페차모-키르케네스 공세 (10월 7일 ~ 10월 29일): 붉은 군대가 프로이센의 네만강에 도달했다.(10월 10일)
- 부다페스트 공세 (10월 29일 ~ 1945년 2월 13일): 소련군은 부다페스트 포위전을 시작했다.(12월 29일)
2. 3. 이탈리아 전선
1944년 초, 이탈리아 전선은 연합군과 독일군 사이에 치열한 격전이 벌어지는 곳이었다. 특히 몬테카시노 전투와 안치오 상륙 작전은 이 시기 이탈리아 전선의 주요 사건이었다.1944년 1월 17일, 몬테카시노 전투가 시작되었다.[2][4][3] 영국 제10 군단은 독일 구스타프 선 서쪽 끝에 있는 가릴리아노 강을 따라 공격을 시작했다. 1월 20일, 이탈리아의 미국 제36 보병 사단이 가리 강을 건너려다 막대한 손실을 입었다. 1월 24일, 연합군은 이탈리아 가리 강에서 큰 좌절을 겪는다.
1월 22일, 연합군은 싱글 작전을 시작하여 이탈리아 안치오에 상륙했다.[2][4][5] 그러나 연합군은 교두보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5월 말까지 전선이 유지되었다.
2월 15일, 몬테카시노의 역사적인 베네딕토회 수도원이 연합군의 폭격으로 파괴되면서 2차 몬테카시노 전투가 시작되었다.[2][4][6] 연합군은 해당 부지가 독일군의 관측소로 사용되었다고 믿었다.
3월 15일, 몬테카시노 제3차 전투가 시작되었다. 카시노의 작은 마을은 연합군 폭격기에 의해 파괴되었다.[2][4][10]
5월 11일, 몬테카시노 전투의 네 번째 전투가 시작되었다.[2][4][13] 5월 18일, 몬테카시노 전투는 연합국의 승리로 끝났다. 폴란드 제2군단은 몬테카시노를 점령했다. 서부 이탈리아의 독일군은 히틀러 선으로 후퇴했다.
5월 23일, 연합군은 안치오에서 새로운 돌파구를 시작했다.[2][4] 5월 25일, 안치오의 연합군은 이탈리아 남부의 연합군과 연결되었다.[2][4][15]
6월 4일, 연합군은 로마에 진입했다.[2][4] 독일군은 트라시메네 선으로 후퇴했다.
2. 4. 기타 유럽 지역
1944년, 발칸 반도와 그리스, 헝가리 등 유럽의 여러 지역에서 중요한 군사적, 정치적 변화가 있었다.9월 26일, 이탈리아 카세르타에서 그리스 망명 정부는 여러 게릴라 지도자들과 합의를 맺었다. 그러나 공산주의 통제하의 그리스 민족 해방 전선과 영국 지원 정부 사이의 화해가 이루어지지 않아 그리스 내전의 징후가 나타났다.[2]
10월 1일, 헝가리 대표단이 소련과의 휴전 협상을 위해 모스크바에 도착했다.[2][4] 10월 15일, 헝가리 섭정 호르티 미클로시는 독일군에 의해 축출되고 셜러시 페렌츠로 교체되었다.[2][4]
12월 3일, 그리스 수도 아테네에서 좌익 민족해방전선 회원들과 영국 지원 정부군 사이에 데케브리아나(12월 사건)가 시작되며 충돌이 발생했다. 그러나 이 충돌은 아테네에 국한되었고, 나머지 지역은 비교적 평온했다.[2] 같은 날, 영국군과 경찰은 아테네에서 비무장 시위대에 발포했다. 시위대는 그리스, 미국, 영국, 소련 국기를 들고 "처칠 만세, 루즈벨트 만세, 스탈린 만세"를 외쳤다.
3. 태평양 전선
1944년 태평양 전선에서는 연합군의 공세가 강화되면서 일본군이 수세에 몰리는 상황이 이어졌다.
1944년 1월 31일, 미군은 플린트록 작전을 개시하여 콰잘린 환초와 마셜 제도의 여러 섬에 상륙했다. 미국 해병대는 2월 1일 로이 섬과 나무르 섬을 점령하고, 2월 4일에는 세계 최대의 환초이자 일본 해군 기지였던 콰잘레인을 확보했다.[2] 2월 17일에는 에니웨토크에 상륙하여 일본군을 격파하고, 이곳을 B-29 기지로 활용했다.
2월 29일, 미군은 아드미럴티 제도를 침공하여 로스 네그로스 전투와 브루어 작전을 통해 일본군을 몰아냈다. 이로써 라바울은 완전히 고립되었다.
4월 22일, 미군은 래클리스 작전과 퍼시큐션 작전을 통해 홀란디아와 아이테이프에 상륙, 웨와크의 일본군을 차단했다.[2][4] 5월 27일에는 호릭스 작전을 개시하여 비악에 상륙, 8월까지 일본군의 완강한 저항을 제압했다.
3. 1. 미군의 진격
마셜 제도의 콰잘레인 환초와 에니웨토크 환초를 점령하고 1944년 2월에는 트루크 제도를 공격한 미군은, 1944년 6월 마리아나 제도의 사이판을 침공했다. 필리핀 해 해전에서 일본 해군에게 큰 타격을 입힌 미군은 1944년 7월 괌과 티니안을 점령하며 일본 본토 공습을 위한 전략적 요충지를 확보했다. 1944년 9월에는 펠렐리우를 점령했다. 1944년 10월, 더글러스 맥아더 장군이 이끄는 미군은 필리핀 레이테 섬에 상륙, 레이테 만 해전에서 일본 해군에 결정적인 승리를 거두었다. 체스터 니미츠 제독은 태평양 함대를 지휘하며 미군의 진격을 지원했다.3. 2. 일본군의 저항과 패퇴
1944년, 태평양 전선에서는 일본군의 저항이 계속되었지만, 연합군의 공세에 밀려 점차 패퇴하는 양상을 보였다.3월 7일, 일본군은 임팔 전투를 개시하여 인도를 침공하려 했으나, 4개월 간의 격전 끝에 큰 피해를 입고 실패했다.[2] 6월 20일, 임팔 전투 포위 공격이 해제되었다.[2] 7월 18일, 일본군의 패배가 계속되면서 도조 히데키가 일본 정부의 수상직에서 사임하고, 히로히토 천황은 고이소 구니아키 장군에게 새 정부 구성을 요청했다.[2] 8월 3일, 스틸웰 휘하의 미국과 중국 연합군은 버마 북부의 미치나를 점령했다.
일본군은 미치나 전투에서도 패배하며 전략적 요충지를 상실했다.
4. 전쟁의 참상
1944년은 전쟁의 참상이 극심했던 시기였다. 특히 민간인 피해가 컸다.
- 학살:
날짜 | 사건 | 장소 | 가해자 | 피해자 | 비고 |
---|---|---|---|---|---|
1월 30일 | 홈프레이간지 학살 | 인도 홈프레이간지 | 일본군 | 간첩 혐의자 44명 | [9] |
3월 24일 | 포세 아르데아티네 학살 | 이탈리아 로마 | 독일군 | 이탈리아인 335명 | 이탈리아 레지스탕스의 공격에 대한 보복[9] |
6월 10일 | 오라두르쉬르글란 학살 | 프랑스 오라두르쉬르글란 | 독일군 | 주민 642명 | [9] |
6월 10일 | 디스토모 학살 | 그리스 디스토모 | 불명 | 민간인 218명 | |
8월 5일 | 볼라 학살 | 바르샤바 볼라 지구 | 독일군, 러시아 협력군 | 민간인 4만~5만 명 | 바르샤바 봉기 진압 과정 |
8월 6일 | 발리그루드 학살 | 폴란드 | 우크라이나 반군 | 민간인 42명 | |
8월 18일 | 쿠르셀 학살 | 벨기에 | 파라밀리터리군 | 민간인 20명 | 레지스탕스에 의한 협력 정치인 암살에 대한 보복 |
12월 14일 | 팔라완 학살 | 필리핀 팔라완 | 일본군 | 미국인 전쟁 포로 100명 이상 | [2][4] |
12월 17일 | 말메디 학살 | 벨기에 | SS 부대 | 미국인 포로 84명 | 아르덴 공세 중 발생[2] |
- 강제 수용소:
날짜 | 사건 | 장소 | 비고 |
---|---|---|---|
7월 24일 | 마이다네크 강제 수용소 해방 | 폴란드 | 소련군에 의해 해방 |
10월 7일 | 아우슈비츠 강제 수용소 폭동 | 폴란드 | 존더코만도 유대인 협력자들의 폭동, 진압 과정에서 450명 이상 사망 |
11월 26일 | 아우슈비츠 강제 수용소 가스실 해체 | 폴란드 | 하인리히 힘러의 명령으로 가스실과 화장터 해체 및 폭파 |
- 기타:
- 3월 1일: 연합군이 바티칸을 폭격했다.
- 7월 1일: 레닌그라드의 일기 작가 타냐 사비체바가 14세의 나이로 기아로 사망했다.
- 도시 폭격:
날짜 | 사건 | 장소 | 가해자 | 비고 |
---|---|---|---|---|
1월 20일 | 베를린 폭격 | 독일 베를린 | 영국 공군 | 2,300톤의 폭탄 투하 |
2월 26일 | 헬싱키 폭격 | 핀란드 헬싱키 | 소련 공군 | 핀란드의 평화 회담 지속 중 발생 |
3월 9일 | 탈린 폭격 | 에스토니아 탈린 | 소련 장거리 항공 | 약 800명 민간인 사망, 20,000명 이재민 발생[9] |
3월 30일 | 뉘른베르크 폭격 | 독일 뉘른베르크 | 영국 공군 | 대규모 공습으로 막대한 손실 |
4월 3일 | 부다페스트, 부쿠레슈티 폭격 | 헝가리 부다페스트, 루마니아 부쿠레슈티 | 연합군 | |
4월 5일, 15일 | 플로이에슈티 유전 폭격 | 루마니아 플로이에슈티 | 미 공군, 영국 공군 | 막대한 피해 |
4월 21일 | 파리 공습 | 프랑스 파리 | 연합군 | 많은 민간인 사망 |
7월 10일 | 도쿄 폭격 | 일본 도쿄 | 미군 | 1942년 4월 둘리틀 공습 이후 처음 |
이 외에도 바르샤바 봉기와 같이 특정 사건과 관련된 민간인 피해도 상당했다.
4. 1. 홀로코스트
나치 독일은 1933년 아돌프 히틀러가 정권을 장악하면서 유대인들을 사회에서 추방하기 시작했다. 뉘른베르크법으로 유대인들은 시민권을 박탈당했고, 1938년 수정의 밤 사건 이후 강제 수용소로 보내지기 시작했다. 1939년 제2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면서, 나치는 점령지에서 유대인들을 격리(게토)하고 학살(아인자츠그루펜)하기 시작했다. 1941년 바르바로사 작전 이후, 나치는 유대인 문제에 대한 최종 해결책을 실행하기 시작했고, 1942년 반제 회의에서 최종 해결책이 공식화되었으며, 절멸 수용소들이 건설되었다. 아우슈비츠 강제 수용소는 최대 규모의 절멸 수용소였으며, 1944년까지 가동되었다. 1944년 7월 24일 마이다네크 강제 수용소가 해방되었고, 11월 26일 하인리히 힘러는 아우슈비츠 강제 수용소의 가스실과 화장터를 해체하고 폭파하라고 명령했다. 1945년 1월 27일 아우슈비츠 강제 수용소가 해방되었다. 홀로코스트로 인해 600만 명의 유대인들이 학살당했다.1944년 7월 7일 아우슈비츠 강제 수용소에서 존더코만도 유대인 협력자들이 폭동을 일으켰으나, 진압 과정에서 450명 이상이 사망했다.[2]
4. 2. 기타 민간인 피해
1944년 연합군의 폭격으로 독일과 일본의 주요 도시들이 큰 피해를 입었다. 드레스덴 폭격(1945년 2월 13일~15일)과 도쿄 대공습(1942년 4월 18일, 1944년 11월 24일~1945년 8월)으로 수많은 민간인이 사망하고 도시 기반 시설이 파괴되었다.전쟁 중 민간인 학살 사건도 빈번하게 발생했다. 오라두르쉬르글란 학살(6월 10일)에서 독일군은 프랑스 오라두르쉬르글란 마을 주민 642명을 학살했다.[9] 포세 아르데아티네 학살(3월 24일)에서 독일군은 이탈리아 레지스탕스의 공격에 대한 보복으로 이탈리아인 335명을 처형했다.[9] 바르샤바 봉기(8월 1일~10월 2일) 진압 과정에서도 독일군과 그 협력자들에 의해 수많은 폴란드 민간인이 학살당했다.
5. 국제 관계 및 전후 구상
1944년 제2차 세계 대전이 막바지로 치달으면서, 연합국 간에는 전쟁 수행을 위한 협력과 더불어 전후 세계 질서를 어떻게 구성할 것인가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게 진행되었다.
1944년 8월 21일부터 10월 7일까지 미국, 영국, 소련, 중국 대표들이 워싱턴 D.C.의 덤버턴오크스 회담에서 국제연합(UN)의 기본 구조를 설정했다.[2] 9월에는 제2차 덤버턴오크스 회담이 열려 유엔의 지침을 설정했다.[21]
1944년 9월 12일 제2차 퀘벡 회담에서 루스벨트 미국 대통령과 윈스턴 처칠 영국 총리는 태평양 전쟁에서의 협력과 더불어 독일 처리 문제를 논의했다.[19] 1944년 10월 9일 모스크바 회담에서는 처칠과 스탈린이 전후 발칸 반도에서의 세력 분할에 대해 의견을 나누었다.[2]
이러한 회담들과는 별개로, 전쟁 중 연합국 간의 관계는 항상 원만하지 않았다. 발칸 반도에서의 영향력을 둘러싼 갈등은 냉전의 초기 징후를 보여주었다.
5. 1. 연합국 회담
1944년 8월 21일부터 10월 7일까지 미국, 영국, 소련, 중국 대표들이 워싱턴 D.C.의 덤버턴오크스 회담에 모여 국제연합(UN)의 기본 구조를 설정했다.[2] 이 회담에서는 국제 평화와 안전 유지, 경제 및 사회 협력 증진을 위한 국제기구 창설의 필요성이 강조되었다. 주요 의제는 국제연합의 목적, 회원국, 주요 기관(총회, 안전보장이사회, 사무국 등), 의사 결정 절차 등이었다. 특히 안전보장이사회의 구성과 상임이사국의 거부권 문제가 핵심 쟁점이었다.9월에는 제2차 덤버턴오크스 회담이 열려 유엔의 지침을 설정했다.[21]
5. 2. 전후 처리 문제
1944년, 연합국은 전쟁 이후 세계 질서를 놓고 여러 차례 회담을 가졌다. 특히 독일과 일본의 처리 문제를 두고 강대국 간의 미묘한 입장 차이가 드러났다.1944년 9월 12일 제2차 퀘벡 회담에서 루스벨트 미국 대통령과 윈스턴 처칠 영국 총리는 태평양 전쟁에서의 협력과 더불어 독일 처리 문제를 논의했다.[19] 1944년 10월 9일 모스크바 회담에서는 처칠과 스탈린이 전후 발칸 반도에서의 세력 분할에 대해 의견을 나누었다.[2]
이러한 논의 과정에서 소련의 영향력 확대가 두드러졌다. 얄타 회담을 통해 소련은 동유럽에서의 지위를 강화했고, 이는 결국 냉전으로 이어지는 중요한 요인이 되었다.
참조
[1]
웹사이트
Record Breakers
http://www.armed-gua[...]
Project Liberty Ship
2016-03-05
[2]
웹사이트
1944 Timeline
http://ww2db.com/eve[...]
WW2DB
2014-02-19
[3]
웹사이트
Monday, January 17, 1944
http://www.onwar.com[...]
onwar.com
2014-02-20
[4]
웹사이트
Chronology of World War Two
http://homepage.ntlw[...]
andrew.etherington
2014-02-19
[5]
웹사이트
Saturday, January 22, 1944
http://www.onwar.com[...]
onwar.com
2014-02-19
[6]
웹사이트
Tuesday, February 15, 1944
http://www.onwar.com[...]
onwar.com
2014-02-20
[7]
서적
The Soviet-German War 1941–1945: Myths and Realities
http://www.strom.cle[...]
Strom Thurmond Institute of Government and Public Affairs, Clemson University
[8]
웹사이트
Friday, March 3, 1944
http://www.onwar.com[...]
onwar.com
2014-02-19
[9]
서적
The White Book: Losses inflicted on the Estonian nation by occupation regimes. 1940–1991
http://www.just.ee/o[...]
Estonian Encyclopedia Publishers
[10]
웹사이트
Wednesday, March 15, 1944
http://www.onwar.com[...]
onwar.com
2014-02-20
[11]
서적
Combat in Estonia in 1944. In: Toomas Hiio, Meelis Maripuu, Indrek Paavle (Eds.). Estonia 1940–1945: Reports of the Estonian International Commission for the Investigation of Crimes Against Humanity
[12]
서적
Army group North: the Wehrmacht in Russia, 1941–1945
Schiffer Books
[13]
웹사이트
Thursday, May 11, 1944
http://www.onwar.com[...]
onwar.com
2014-02-20
[14]
웹사이트
Saturday, May 13, 1944
http://www.onwar.com[...]
onwar.com
2014-03-27
[15]
웹사이트
Thursday, May 25, 1944
http://www.onwar.com[...]
onwar.com
2014-02-19
[16]
웹사이트
The Marianas Turkey Shoot
http://homepage.ntlw[...]
andrew.etherington
2014-03-05
[17]
웹사이트
Monday, June 19, 1944
http://www.onwar.com[...]
onwar.com
2014-03-05
[18]
웹사이트
Monday, September 4, 1944
http://www.onwar.com[...]
onwar.com
2014-03-24
[19]
웹사이트
BBC – WW2 People's War – Timeline
https://www.bbc.co.u[...]
bbc.co.uk
2014-09-11
[20]
서적
Otto Tief
https://books.google[...]
Royal Institute of International Affairs. Information Dept.
[21]
뉴스
Le Prince Charles est nommé Regent de la Belgique
1944-09-27
[22]
웹사이트
Chronology of Events in 1939–1945
http://www.historyco[...]
Estonian International Commission for the Investigation of Crimes Against Humanity
[23]
웹사이트
Friday, October 20, 1944
http://www.onwar.com[...]
onwar.com
2014-03-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