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 국제금융센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2 국제금융센터(IFC)는 홍콩 센트럴에 위치한 복합 건물로, 매립지 위에 건설되었으며, 홍콩역 위에 자리 잡고 있다. 1996년 개발권을 정부로부터 매입하여, 1IFC와 2IFC 두 개의 타워로 구성되었다. 1IFC는 1998년에, 2IFC는 2003년에 완공되었으며, 2IFC는 홍콩에서 두 번째로 높은 건물이다. IFC는 IFC 몰, 포시즌스 호텔 홍콩, 홍콩역 등과 연결되어 있으며, 2IFC 건설로 인해 조망권 침해 논란이 있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홍콩의 관광지 - 옹핑 360
옹핑 360은 홍콩 란타우섬의 퉁충과 옹핑을 잇는 5.7km 곤돌라 리프트 시스템으로, 보련선사와 천단대불까지 연결하며 독특한 경관을 제공하지만, 초기에는 사고와 시스템 오류로 논란이 있었고 현재는 MTR 공사에서 스탠다드 캐빈과 크리스탈 캐빈을 운영한다. - 홍콩의 관광지 - 빅토리아 피크
빅토리아 피크는 홍콩 섬 서부에 위치한 산으로, 과거 타이핑산으로 불렸으며 빅토리아 여왕의 이름을 따 명명되었고, 피크 트램 산정역 일대는 대표적인 관광 명소이며, 고급 주택가와 다양한 관광 시설, 그리고 다양한 동식물의 서식지이다. - 심포니 오브 라이츠 - 홍콩문화중심
홍콩문화중심은 침사추이에 위치한 공연 예술 센터로, 콘서트 홀, 대극장 등을 갖추고 홍콩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의 본거지이자 영화상 시상식 장소로 활용되며, 아시아 최대 규모의 파이프 오르간이 설치된 콘서트 홀과 편리한 접근성을 자랑한다. - 심포니 오브 라이츠 - 더 센터
더 센터는 1998년 홍콩 셩완에 완공된 건물이며, 밤에는 네온 조명으로 화려한 일루미네이션을 연출하고, 2017년에는 세계에서 가장 비싼 부동산 거래를 기록했다. - 홍콩의 쇼핑 센터 - 타임스 스퀘어 (홍콩)
타임스 스퀘어 (홍콩)는 홍콩 코즈웨이 베이에 위치한 복합 상업 시설로, 1974년 홍콩 트램웨이 부지에 건설되어 쇼핑몰과 오피스 타워로 구성되며, 코즈웨이 베이의 핵심 부동산으로 자리 잡았다. - 홍콩의 쇼핑 센터 - 실버코드
실버코드는 지하, 저층, 1층, 2층, 3층으로 구성된 쇼핑 센터이며, 다양한 브랜드와 레스토랑이 입점해 있었다.
제2 국제금융센터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위치 | 홍콩 센트럴 금융가 8번지 |
상태 | 완공 |
착공 | 1996년 (제1 국제금융센터) 2000년 (제2 국제금융센터) |
완공일 | 1998년 |
개장일 | 1998년 7월 6일 (제1 국제금융센터) 2003년 10월 18일 (제2 국제금융센터) |
용도 | 상업 사무실 |
첨탑 높이 | 412m |
지붕 높이 | 407m |
최상층 높이 | 387.6m |
지상 층수 | 88층 |
지하 층수 | 6층 |
엘리베이터 수 | 62대 |
바닥 면적 | 185,805m² |
건축가 | 세자르 펠리 & 어소시에이션 아키텍츠 |
외장 설계 책임 건축가 | Adamson Associates Architects |
구조 엔지니어 | 오브 아룹 & 파트너스 |
주요 계약자 | 이 맨 - 샌필드 조인트 벤처 |
개발사 | 썬 훙 카이 프로퍼티즈, 헨더슨 랜드 및 타운가스 |
![]() | |
중국어 명칭 | |
정체자 | 國際金融中心 |
간체자 | 国际金融中心 |
광둥어 병음 | Gwokjai Gāmyùhng Jūngsām |
예일 음역 | Gwok3zai3 Gam1jung4 Zung1sam1 |
표준 중국어 병음 | Guójì jīnróng zhōngxīn |
기타 정보 | |
웹사이트 | 국제금융센터 기본 정보 |
엠포리스 ID | 100614 |
스카이스크래퍼 페이지 ID | 11 |
스트럭투래 ID | 20004822 |
2. 역사적 배경
제1 국제금융센터(1IFC)는 1997년 아시아 금융 위기가 끝날 무렵인 1998년 12월에 문을 열었다. 초기 입주자로는 ING 은행, 스미토모 미쓰이 은행, 피델리티 인터내셔널, 강제성 공적 기금 관리국[14], 파이낸셜 타임스 등이 있었다.[11]
제2 국제금융센터(2IFC)는 SARS 유행이 한창일 때 완공되었다.[14] 홍콩 금융 관리국은 2IFC의 14개 층을 매입했고,[11] 홍콩 모기지 공사는 약 2229.67m2 규모의 공간을 12년간 임차했다.[12] 노무라 그룹은 약 5574.18m2 규모의 공간을, 1IFC의 기존 임차인이었던 파이낸셜 타임스는 약 929.03m2를 추가로 임대했다.[11] 언스트 & 영은 6개 층(11층~18층), 약 약 16722.55m2 규모를 임대하여 최대 임차인이 되었다.[13] 완공 초기 2IFC의 임대료는 평방피트당 25HKD에서 35HKD 사이였다.[15] 그러나 2007년 경제 상황이 호전되면서 고급 사무 공간 수요가 늘어났고, 임대료는 평방피트당 150HKD까지 상승했다.[16]
국제금융센터 단지 전체는 쇼핑몰 부분을 포함하여 2003년 7월에 완전히 개장했으며, 포시즌스 호텔까지 포함하면 2005년에 최종 완공되었다.
건물의 영어 명칭에 사용된 'Centre'는 미국식 영어 철자인 'Center' 대신 영국식 철자를 따른 것인데, 이는 과거 홍콩이 영국의 식민지였던 역사의 흔적이다. 홍콩에는 'Centre'라는 명칭을 사용하는 건물이 다수 존재한다.
2. 1. 건설 배경
홍콩의 주요 공항이었던 카이탁 공항이 란타우섬 첵랍콕섬을 매립하여 만든 인공섬으로 이전하면서, 새로운 홍콩 국제공항과 시내를 연결하는 공항철도(Airport Express) 노선 건설이 필요해졌다. 이 노선의 종착역인 홍콩역은 센트럴의 정치, 경제, 금융 중심지에 위치하며, MTR 센트럴역, 페리 터미널, 버스 노선 등이 집결하는 교통의 요충지였다. 이러한 입지적 가치를 활용하기 위해 공항철도 건설과 함께 홍콩역 위에 복합 시설을 건설하는 계획이 세워졌다.국제금융센터(IFC)는 완전히 매립지 위에 들어섰으며, 공항철도 홍콩역 역사 복합 건물 형태로 지어졌다. 총 건축비는 400억홍콩 달러였다. 개발은 센트럴 워터프론트 프로퍼티(Central Waterfront Property영어)가 맡았는데, 이 회사는 핸더슨 랜드 디벨롭먼트와 순 훙 카이 프로퍼티즈의 합작 회사였다. 1996년 순 훙 카이가 개발 권리를 55억홍콩 달러에 홍콩 정부로부터 매입했다. MTR 코포레이션이 일정 지분을 유지했으며, 지분 구조는 순 훙 카이 47.5%, 핸더슨 랜드 디벨롭먼트 32.5%, 관련사인 홍콩 차이나 가스 컴패니 15%, 중국 은행 5%로 구성되었다.[31]
MTR 코포레이션은 1996년 "홍콩의 미래를 건설"("Building Hong Kong's Future"영어)이라는 책자를 통해 홍콩역 앞에 40층 규모, 200m 높이의 사무용 건물 두 동을 짓는 초기 계획을 발표했다. 하지만 부동산 전문가들의 조언에 따라 계획을 변경하여, 400m 높이의 단일 건물('메가타워', Megatower영어)을 건설하기로 결정했다. 이는 입주자들에게 더 나은 전망을 제공하고, 건물의 열린 공간(open space)을 두 배로 늘리며, 주차 공간을 50% 늘리기 위한 조치였다.[25]
1IFC와 2IFC는 모두 말레이시아의 페트로나스 타워 설계로 유명한 건축가 시저 펠리가 설계했다.[25] 1IFC는 시저 펠리가 설계한 미국 저지 시티의 30 허드슨 스트리트와 유사한 디자인을 가지고 있다. 2IFC 건설에는 195억홍콩 달러가 투입되었으며, 공사가 한창일 때는 최대 3,500명의 인력이 참여했다.[31]
2. 2. 논란

제2 국제금융센터는 건설 과정에서 여러 논란에 휩싸였다. 대표적으로 기존 도시 계획 규정을 어기고 빅토리아 픽 등 주요 지점의 경관을 해친다는 조망권 침해 비판이 제기되었다.[25][26] 또한, 건설 관련 의사 결정 과정이 투명하지 않다는 정책 투명성 부족 문제와[25] 공사 중 설계 기준에 미달하는 자재를 사용하는 등 짧은 말뚝 사고를 포함한 부실 시공 문제도 발생했다.[27]
2. 2. 1. 조망권 침해
이 메가타워는 최초 계획과 다르게 건설되었으며, 여러 주요 관광 지역에서 보이는 빅토리아 픽의 능선을 가리지 않아야 한다는 메트로플랜(Metroplan) 계획 규정을 준수하지 않았다.[25] 메트로플랜은 침사추이를 포함한 주요 해안 지역에서 새로 개발된 건축물 위로 언덕의 20~30%가 보여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26]더 스탠타드의 보도에 따르면, 제2 국제금융센터(IFC2)의 높이가 빅토리아 픽 전망대보다 약간 높아, 이곳에서 빅토리아항을 내려다볼 때 이전에는 잘 보이던 경관이 IFC2 때문에 가려지게 되었다. 이로 인해 현지 주민들과 관광객들의 불만이 제기되었다.[25] 많은 홍콩 주민들은 당시 계획 중이던 개발 계획에 대해 신문에 불만을 토로하는 글을 보내기도 하였으며, 지역 역사학자 제이슨 워디(Jason Wordie영어)는 IFC2가 홍콩 정부의 건물 고도 규정을 위반한 것이라고 지적했다.[25]
이에 대해 도시계획과의 장인 추 힝-인(Chu Hing-yin영어)은 "우리는 최대한 규정을 지키려고 힘썼다. 시각적 영향력과 도시적 디자인은 그것의 일부에 불과하다"고 해명했다.[26] 도시계획위원회는 1996년 8월에 해당 건물 건축 계획을 승인한 바 있다.[25]
2. 2. 2. 정책 투명성 결여
크리스틴 로는 제2 국제금융센터 건설 관련 의사 결정 과정의 투명성 부족을 비판했다. 도시계획위원회(The Town Planning Board|영어)가 종종 비공개로 회의를 진행했으며 관련 문서들도 기밀로 분류되었다는 점을 지적했다.[25] 당시 위원장이었던 퉁 치-화 역시 "어떤 종류의 개발 계획이 받아들여질 수 있었는지에 대해 지역 시민과 위원회 전문가 사이에 의견 불일치가 있었을 수 있다"고 인정했다.[25]2. 2. 3. 짧은 말뚝 사고
공사 현장의 일부에서 설계보다 짧은 길이의 파일이 시공되고, 콘크리트 사용 규정보다 적은 양의 콘크리트가 사용된 사실이 엔지니어들에 의해 발견되었다. 이로 인해 파일을 다시 시공하는 과정에서 많은 비용이 발생했다.[27]이 문제는 건물 북쪽에 위치한 9층 높이의 기단 부분에 영향을 미쳤다. 이 구역은 새로운 페리 부두와 가까운 곳이었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조사 결과, 암반까지 도달하지 못한 13개의 파일 양쪽에 각각 2개씩 새로운 파일을 추가로 시공해야 했다. 38층 높이의 남서 타워(South West Tower)는 이 문제의 영향을 받지 않았다. 센트럴 워터프론트 측은 북쪽 기단에 총 110개의 잘못된 파일이 사용되었다고 밝혔으며, 시공사였던 B+B 콘스트럭션을 비난했다.[27]
3. 주요 시설
제2 국제금융센터는 홍콩의 센트럴 지역에 위치한 대규모 복합 상업 시설이다. 이 단지는 크게 오피스 빌딩인 '''One IFC'''와 '''Two IFC''', 쇼핑몰인 '''IFC 몰''', 고급 호텔인 '''포시즌스 호텔 홍콩''', 그리고 교통 허브 역할을 하는 '''홍콩역''' 역 건물로 구성되어 있다.[10]
이 복합 단지는 홍콩 국제공항이 첵랍콕섬으로 이전하면서 신설된 공항철도의 종착역인 홍콩역 상부에 건설되었다. 1997년부터 개발이 시작되어 2003년 7월에 쇼핑몰을 포함한 주요 시설이 완공되었으며, 포시즌스 호텔은 2005년에 개장했다.
세계적인 건축가 시저 펠리와 그의 설계 사무소인 시저 펠리 & 어소시에이츠가 전체 설계를 담당했다. 주요 개발에는 홍콩의 지하철 운영사인 MTR 코퍼레이션과 부동산 개발업체인 신홍기부산(Sun Hung Kai Properties), 헝지 자오예 부동산 유한공사(Henderson Land Development) 등이 참여했다.
건물 명칭에 사용된 'Centre'는 영국식 영어 표기로, 과거 영국령이었던 홍콩의 역사적 배경을 반영한다.
3. 1. One IFC (국제금융센터 제1기)
'''국제금융센터 제1기'''(國際金融中心一期중국어, One International Finance Centre, One IFC, IFC1영어) 또는 '''원 인터내셔널 파이낸스 센터'''는 1998년에 완공되어 1999년에 문을 열었다. 건물 높이는 210m이며, 38층 규모로 이 중 4개 층은 거래실 용도로 사용된다. 연면적은 72850m2이며 약 5,000명을 수용할 수 있다.타워 1은 1IFC로도 알려져 있으며, 소문자로 "''One ifc''"로 표기하기도 한다.[10] 건물 내에는 4개 구역에 걸쳐 총 18대의 승객용 엘리베이터가 설치되어 있으며, 추가로 2대의 서비스용 엘리베이터와 2대의 자동차용 엘리베이터를 갖추고 있다.
철근 콘크리트(RC) 구조로 지어졌으며, 건물 외벽 전체는 하프 미러 유리로 마감되었다. 최하층부에는 버스 터미널 등 대중교통 이용객을 위한 서비스 공간이 마련되어 있다. 건물 꼭대기에는 빗살 모양의 장식이 특징이며, 야간에는 상공을 향해 라이트업 조명이 비춰진다.
One IFC는 1997년 아시아 금융 위기가 마무리될 무렵인 1998년 12월에 개장했다. 초기 입주사로는 ING 은행, 스미토모 미쓰이 은행, 피델리티 인터내셔널, 강제성 공적 기금 제도 관리국[14], 파이낸셜 타임스 등이 있었다.[11]
3. 2. Two IFC (국제금융센터 제2기)
2003년 완공된 '''국제금융센터 제2기'''(國際金融中心二期중국어, Two International Financial Center|투 인터내셔널 파이낸스 센터영어, '''Two IFC''', '''IFC2''')는 ifc 몰의 제2기 공사 때 완공되었다.[10] 2003년 10월 18일에 완공되었으며,[18] 이는 SARS 유행이 절정에 달했을 때였다.[14] 높이는 415m로,[34] 완공 당시 홍콩에서 가장 높은 건물이었으나 2010년 국제상업센터(ICC) 완공 후 홍콩 내 두 번째 높은 건물이 되었다.[10] 현재 홍콩 섬에서는 가장 높은 빌딩이다.[10]지상 88층, 지하 6층으로 구성되어 있다.[10] 88층은 중국 문화에서 길한 숫자로 여겨지지만,[34] 실제로는 금기시되는 14층, 24층, 44층이 빠져 실질적인 층수는 85층이다.[35] 이는 광둥어에서 해당 숫자들의 발음이 '죽음'과 관련된 단어와 유사하기 때문이다.[35][18]

건물은 주로 금융 기관 및 회사를 위해 디자인되었으며, 22개의 높은 천장을 가진 거래실용 층이 포함되어 있다.[35][18] 현대화된 통신 시설, 선로 가설을 위한 높은 천장 및 이중 바닥, 기둥이 거의 없는 넓은 공간을 제공한다.[35][18] 약 1만 5천 명을 수용할 수 있으며,[35][18] 7개 구역에 42대의 승객용 고속 엘리베이터와 1대의 임원 전용 엘리베이터를 갖추고 있다.[35] 또한, 전 세계적으로 드물게 더블 데크 엘리베이터를 설치한 건물 중 하나이다.[18] 외벽은 전면 하프 미러 유리로 되어 있으며, 건물 상부에는 빗살 모양의 장식이 있어 야간에는 조명으로 밝혀진다.[10]
홍콩 섬 중환 지구의 빅토리아 만 해안가 부두 돌출부에 위치하여, 구룡 지역에서도 잘 보이며 지역의 주요 랜드마크 역할을 한다.[10] 최상층 높이는 빅토리아 피크 전망대와 비슷하지만, 일반인을 위한 전망 시설은 설치되어 있지 않다.[10]
주요 금융 기관들이 입주해 있으며, 대표적으로 홍콩 금융관리국(HKMA)은 2001년 37억홍콩 달러에 55층, 56층(일부), 77층부터 88층까지 총 14개 층을 매입했다.[11][12] 55층에는 홍콩 통화 역사를 전시하는 공간과 HKMA 정보 센터 도서관이 있어 일반에게 공개된다.[18]
주요 입주 기관 및 사용 층수 또는 규모는 다음과 같다.[35][11][12][13][20]
기관/회사 | 사용 층수 또는 규모 |
---|---|
홍콩 금융관리국 (HKMA) | 55층, 56층(일부), 77층~88층 (총 14개 층) |
MTR 코퍼레이션 | 33층~52층 (총 20개 층) |
언스트 & 영 | 11층~18층 (총 6개 층, 약 약 16722.55m2) |
노무라 홀딩스 | 22층, 25층~27층, 30층~32층 (약 약 5574.18m2) |
BNP 파리바 | 59층~63층 (총 5개 층) |
허드슨 개발 회사 | 71층~76층 (총 6개 층) |
뱅크 오브 아메리카 | 42층 |
Banco Bilbao Vizcaya Argentaria | 10층, 43층 |
스탠다드차타드 은행 | 12층, 15층 |
블랙스톤 그룹 | 9층 |
코메르츠 방크 | 29층 |
파이낸셜 타임스 | 29층 (약 약 929.03m2) |
차터하우스 매니지먼트 | 19층, 31층 |
제너럴 애틀랜틱 | 58층 |
텍사스 퍼시픽 그룹 | 57층 |
홍콩 모기지 공사 | 약 약 2229.67m2 (12년 임대) |
산탄데르 은행 | - |
베어링 프라이빗 에쿼티 아시아 | - |
BGC 파트너스 | - |
차이나 유니버설 자산 운용 | - |
시타델 | - |
코튜 매니지먼트 | - |
DST 어드바이저스 | - |
E 펀드 매니지먼트 | - |
힐하우스 캐피탈 | - |
호니 캐피탈 | - |
인베스텍 자산 관리 | - |
제퍼리스 | - |
라자드 | - |
렉싱턴 파트너스 | - |
밀레니엄 매니지먼트 | - |
시들리 오스틴 LLP | - |
실버 레이크 | - |
스테이트 스트리트 은행 앤 트러스트 컴퍼니 | - |
UBS | - |
워버그 핀커스 | - |
건물 소유주는 주요 임차인의 이름을 따서 건물명을 변경하는 것을 허용하지 않는 정책을 가지고 있다.[19] Two IFC는 종종 소문자로 "''Two ifc''"로 표기되기도 한다.[10]
완공 당시 SARS 유행으로 인해 초기 임대료는 평방피트당 25HKD~35HKD 수준이었으나,[15] 경제 회복 후 2007년에는 평방피트당 150HKD까지 상승했다.[16]
3. 3. IFC Mall

IFC 몰은 Two IFC 타워와 함께 2003년 7월에 개장한 쇼핑몰이다.[22] 홍콩 센트럴의 금융 중심지라는 지역적 특성을 살려, 외국인도 쉽게 방문할 수 있는 국제적인 스타일과 고급스러운 분위기를 지향한다. 몰의 전체 면적은 74000sqm에 달하며, 4개 층에 걸쳐 약 200여 개의 브랜드가 입점해 있다.[22]
몰 내부에는 패션, 헬스 & 스킨 케어, 보석, 액세서리 매장 등 다양한 상점과 함께 여러 종류의 레스토랑, 영화관 등이 자리 잡고 있다. 편리한 교통 덕분에 많은 관광객이 찾는 명소 중 하나이다. 특히 홍콩 내 세 번째 점포인 고급 슈퍼마켓 c!ty'super가 입점해 있으며, 시네마 콤플렉스인 브로드웨이 서킷(zh)이 운영하는 영화관 'PALACE IFC'도 이곳에 있다.
주요 핵심 임차인으로는 명품 백화점인 레인 크로포드, PALACE Cinema, c!ty'super 등이 있다. 홍콩 최초의 공식 애플 스토어도 3층 규모의 플래그십 스토어로 이곳에 위치해 있었으며,[22] 2018년 5월에는 홍콩 최초의 쉐이크쉑 레스토랑이 이곳에서 영업을 시작했다.[22]
=== 주요 입점 브랜드 ===
패션/잡화 | 식음료/기타 | 금융/서비스 |
---|---|---|
프라다 | 기화병가(zh, Kee Wah Bakery) | 홍콩 상하이 은행 |
KENZO | ISOLA bar + grill | 중국은행(홍콩) |
Anne Klein New York | Café Costa | 씨티은행 |
OZOC | せんりょう|센료일본어 | c!tysuper |
ZARA | 礼鮨|레이 스시일본어 (REI SUSHI JAPANESE RESTAURANT) | 더바디샵 |
휠라 | 퍼시픽 커피 | teuscher chocolates of Switzerland |
FRANCESCO BIASIA | 고디바 | |
에비수 | 복명당다장(zh, Fook Ming Tong Tea Shop) | |
로에베 | 하겐다즈 | |
Tiffany & Co. | Ben & Jerry's | |
애플 스토어 | 스타벅스 | |
맥도날드 |
3. 4. 포시즌스 호텔 홍콩
포시즌스 호텔 홍콩(eng)은 2005년 10월에 완공된 5성급 고급 호텔이다.[36] 홍콩 센트럴의 물가에 위치하며, 높이는 206m, 지상 55층 규모이다. 이 호텔은 홍콩에 처음으로 문을 연 포 시즌즈 호텔 브랜드이다.호텔은 43층까지 총 399개의 객실을 보유하고 있다. 또한 44층 이상에는 장기 체류객을 위한 콘도미니엄 형태의 서비스 아파트인 '포시즌스 플레이스 홍콩'이 있으며, 519개의 아파트를 갖추고 있다. 부대시설로는 프랑스 레스토랑 카프리스와 스파 등 세계적인 수준의 오락 시설이 포함되어 있다.[36]
포 시즌즈 호텔은 1992년부터 2001년까지 리젠트 홍콩(현 인터컨티넨탈 홍콩)을 운영한 경험이 있다.
3. 5. 홍콩 역

'''홍콩역'''에는 MTR 노선 중 공항철도와 둥충선 두 노선이 발착한다.
하나는 공항에서 약 35.3km 떨어진 시내 간을 최단 24분 만에 직통으로 연결하는 '''공항철도'''이다. 홍콩역 및 인접한 구룡역에서는 "인타운 체크인"이라 불리는, 항공기 체크인과 위탁 수하물 보관이 가능한 카운터가 설치되어 있다. 이 시설에는 공항철도 티켓을 구입해야 입장할 수 있으며, 체크인은 출발 시각 1시간 30분 전까지만 가능하다. 이 시간 이후의 체크인은 공항에서 해야 한다.
두 번째 노선은 이 공항철도와 평행하게 운행하는 통근 노선 '''둥충선'''이다. 이 노선은 공항 이외의 목적지로 향하는 공항철도 연선의 여객을 수송하기 위해 설정되었다. 또한, 공항 앞에서 분기되어 東涌|둥충중국어이라는 란타우 섬의 베드타운으로 향한다. 둥충선은 도중에 난창역에서 툰마선으로, 레이킹역에서 췬완선으로, 얀오역에서 디즈니선으로 연결된다.
홍콩역과 센트럴역은 다소 떨어져 있으며, 도보로 5분에서 10분 정도 걸린다. 이동 편의를 위해 도중에 여러 대의 무빙 워크가 설치되어 있다. 이 홍콩역은 제2 국제금융센터 내에서 가장 중요한 시설 중 하나이다.
4. 주변 시설
IFC와 주변 시설은 보행자 데크 (공중 회랑)로 연결되어 있어 우천 시에도 비를 피하며 인근 건물로 이동할 수 있다. 주요 주변 시설은 다음과 같다.
- MTR 센트럴역
- 홍콩 특별 행정구 입법회 의사당
- 홍콩 상하이 은행・홍콩 본점 (HSBC Headquarters)
- 중국은행 홍콩 지점 (중은 대하: Bank of China Tower)
- 스탠다드차타드 은행 (차타 은행: Standard Chartered Bank)
- 항생은행 본점 (Hang Seng Bank Headquarters)
- 홍콩 증권 거래소 (거래광장: Exchange Square)
- 자딘 하우스 (이대하: Jardine House)
- 대회당 (City Hall)
- 홍콩 우정 총국 (General Post Office)
- 프린스 빌딩 (Prince's Building)
- 청쿵 센터 (청쿵 집단 중심: Cheung Kong Center)
- 더 센터 (중환 중심: The Center)
- 차터 하우스 (Charter House)
- 중화인민공화국 인민해방군 주홍콩 부대 빌딩
- 만다린 오리엔탈 홍콩 (문화 동방: Mandarin Oriental Hong Kong)
- 알렉산더 하우스 (Alexander House)
- 란콰이퐁 (Lan Kwai Fong)
5. 문화적 영향
제2 국제금융센터(Two IFC)는 여러 할리우드 영화에 등장하며 홍콩의 랜드마크로서 인지도를 높였다. 영화 《툼 레이더 2》에서는 당시 공사 중이던 건물에서 주인공이 뛰어내려 가우룽 만의 배에 착지하는 장면이 나온다. 2008년 개봉한 영화 《다크 나이트》에서는 홍콩 마피아 라우가 소유한 기업이 입주한 건물로 등장하며, 배트맨이 라우를 잡기 위해 Two IFC 옥상에서 뛰어내려 활공하여 One IFC 사무실로 돌입하는 액션 장면의 배경이 되었다. 또한 《고질라 vs. 콩》에서도 주요 액션 장면의 배경으로 활용되었다.[23]
참조
[1]
웹사이트
Two International Finance Centre
https://skyscraperpa[...]
2024-10-01
[2]
웹사이트
Two International Finance Centre
https://cppwind.com/[...]
2024-10-01
[3]
웹사이트
International Finance Centre, Basic Information
http://www.hld.com/e[...]
[4]
CTBUH
Two International Finance Centre
2012-05-01
[5]
웹사이트
Two International Finance Centre
https://www.emporis.[...]
2012-11-14
[6]
SkyscraperPage
Two International Finance Centre
2008-02-21
[7]
Structurae
Two International Finance Centre
2012-11-14
[8]
웹사이트
IFC owner opposes plan for neighbours
http://www.scmp.com/[...]
2009-03-03
[9]
웹사이트
Vertigo World's Largest Outdoor Advert
http://www.vertigo.n[...]
[10]
웹사이트
One and Two ifc
http://www.ifc.com.h[...]
2012-05-10
[11]
뉴스
SHKP net profit tipped to drop 24.6pc
http://www.thestanda[...]
2007-03-27
[12]
뉴스
HKMC 'to pay $90m' for lease at Two IFC
http://www.thestanda[...]
2007-03-27
[13]
뉴스
Interest grows in mega project
http://www.thestanda[...]
2007-03-27
[14]
뉴스
Tenanting tallest tower looks likely to be a tall order
http://www.thestanda[...]
2007-03-23
[15]
뉴스
2IFC optimism
http://www.thestanda[...]
2007-03-23
[16]
뉴스
Hong Kong's IFC gets $242 billion loan
http://www.iht.com/a[...]
International Herald Tribune
2007-03-24
[17]
뉴스
1 International Finance Centre
http://www.skyscrape[...]
[18]
뉴스
HKMA Information Centre
http://www.info.gov.[...]
Hong Kong Monetary Authority
2007-03-27
[19]
뉴스
Name of the game is signage rights
http://www.thestanda[...]
The Standard
2006-06-23
[20]
웹사이트
Two IFC Tenants
https://www.savvipro[...]
[21]
뉴스
Room at the top for elite
http://www.thestanda[...]
The Standard
2005-06-13
[22]
웹사이트
"It's official: we have the opening date of Shake Shack!"
https://www.timeout.[...]
2020-03-26
[23]
웹사이트
Top 10 films set in Hong Kong
https://www.theguard[...]
2015-10-27
[24]
웹인용
One & Two ifc
http://www.ifc.com.h[...]
2007-05-26
[25]
뉴스
A soaring blight on our skyline
http://www.thestanda[...]
홍콩 스탠더드
2007-03-27
[26]
뉴스
No room for a view
http://www.thestanda[...]
홍콩 스탠더드
2007-03-27
[27]
뉴스
Central complex undergoes repiling
http://www.thestanda[...]
홍콩 스탠더드
2007-03-27
[28]
뉴스
SHKP net profit tipped to drop 24.6pc
http://www.thestanda[...]
홍콩 스탠더드
2007-03-27
[29]
뉴스
HKMC 'to pay $90m' for lease at Two IFC
http://www.thestanda[...]
홍콩 스탠더드
2007-03-27
[30]
뉴스
Interest grows in mega project
http://www.thestanda[...]
홍콩 스탠더드
2007-03-27
[31]
뉴스
Tenanting tallest tower looks likely to be a tall order
http://www.thestanda[...]
홍콩 스탠더드
2007-03-23
[32]
뉴스
2IFC optimism
http://www.thestanda[...]
홍콩 스탠더드
2007-03-23
[33]
뉴스
Hong Kong's IFC gets $242 billion loan
http://www.iht.com/a[...]
International Herald Tribune
2007-03-24
[34]
문서
이 때문에 상하이에 위치한 [[진마오 타워]]도 88층 건물이며, [[다롄]]에 건설중인 다롄 그린랜드 센터도 88층으로 건설중이다.
[35]
문서
하지만 홍콩은 영국식 영어를 사용하는 관계로, 1층을 지상층(Ground Floor, G/F)으로, 2층을 1층(1st Floor, 1F)로 표기하고 있다. 따라 정확한 층수는 86층이라 할 수 있다.
[36]
뉴스
Room at the top for elite
http://www.thestanda[...]
더 스탠더드
2005-06-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