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제4차 이토 내각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4차 이토 내각은 1900년 10월 19일부터 1901년 5월 10일까지 이토 히로부미가 이끌었던 일본의 내각이다. 이 내각은 이토가 헌정당을 모체로 결성한 입헌정우회를 기반으로 한 최초의 정당 내각이었으며, 정당 내각제의 본격 도입을 시도했다. 주요 정책으로는 북청사변에 대한 증세안 제출이 있었으나 귀족원에서 부결되었고, 철도 신규 착공 예산을 둘러싼 갈등으로 내각이 분열되었다. 결국 이토는 1901년 5월 사임하고, 사이온지 긴모치가 임시 총리를 거쳐 가쓰라 다로가 총리가 되어 제1차 가쓰라 내각이 발족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00년 일본 - 제2차 야마가타 내각
    제1차 오쿠마 내각 붕괴 후 야마가타 아리토모를 총리로 출범한 제2차 야마가타 내각은 헌정당과의 제휴를 통해 안정적인 정권 운영을 꾀했으나 관계가 소원해져 이토 히로부미에게 정권을 이양하며 총사퇴했고, 지조 증징, 문관 임용령, 군부 대신 현역 무관제 등의 정책을 추진하며 일본 역대 내각 중 최장 각료 교체 없음 연속 재임 기간을 기록했다.
  • 1901년 일본 - 제1차 가쓰라 내각
    가쓰라 다로를 총리로 하는 제1차 가쓰라 내각은 상공업 발달, 해군 확장, 영일 동맹 체결, 러일 전쟁 승리, 한국 보호국화 등을 추진하여 일본의 국제적 위상을 강화했으나, 대한제국에 대한 강압적인 정책은 한일 관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 1901년 일본 - 헝클어진 머리칼
    요사노 아키코가 요사노 뎃칸과의 만남에 대한 사랑과 봉건적인 여성관에 도전하는 내용을 담아 여성의 성적 욕망을 솔직하게 표현한 시집 《헝클어진 머리칼》은 당대 사회에 큰 파장을 일으키며 일본 페미니즘 운동에 큰 영향을 미쳤다.
  • 메이지 시대의 내각 - 제2차 마쓰카타 내각
    마쓰카타 마사요시가 내각총리대신과 대장대신을 겸임하며 출범한 제2차 마쓰카타 내각은 진보당과의 연립, 금본위제 확립 등의 성과에도 불구하고, 당과의 갈등과 연립 실패, 중의원 해산 후 총사퇴로 막을 내리며 번벌 정치에 영향을 주었다.
  • 메이지 시대의 내각 - 제1차 오쿠마 내각
    오쿠마 시게노부가 총리대신과 외무대신을 겸임하며 출범한 제1차 오쿠마 내각은 일본 최초의 정당 내각이라는 역사적 의의를 지니나, 헌정당 내부 갈등으로 단명했으며 대한제국에 대한 영향력 확대 정책을 추진했다.
제4차 이토 내각
기본 정보
내각명제4차 이토 내각
한자 표기第4次伊藤内閣
일본어 표기だいよじ いとうないかく
내각 번호10대
천황메이지
내각총리대신이토 히로부미
전직원로, 입헌정우회 총재
이토 히로부미
이토 히로부미, 내각총리대신
내각 구성 시기
성립 년도1900년
성립 날짜10월 19일
내각 해산 시기
종료 년도1901년
종료 날짜6월 2일
정치 정보
여당입헌정우회
임기1900년 – 1901년
선거 정보
선거해당 사항 없음
해산해당 사항 없음
제국의회 회기1898년 8월–1902년
이전과 이후
이전 내각제2차 야마가타 내각
다음 내각제1차 가쓰라 내각
기타
관련 링크관저 공식 웹사이트

2. 성립 배경

1900년 9월 15일, 이토 히로부미는 정당정치 실현을 위해 구 헌정당 세력을 규합하여 입헌정우회를 창당하고 총재에 취임했다.[2] 당시 내각총리대신이었던 야마가타 아리토모입헌정우회의 창당을 견제하기 위해, 이토에게 총리직을 넘기고 자신은 막후에서 영향력을 행사하려 했다.[2] 야마가타는 이토에게 정권을 강제로 넘겨 입헌정우회를 흔들려고 시도했다.[2]

이토는 중의원은 장악했지만, 귀족원은 야마가타의 세력권이었기에, 귀족원은 내각과 입헌정우회를 공격했다. 체신대신 호시 도루가 도쿄 시의회 부정부패 사건으로 사임하자, 관료파와 당인파의 대립이 다시 불거졌고, 1901년 2월 귀족원에서 예산안이 부결되었다. 결국 메이지 천황조서에 의해 3월 16일에 귀족원도 예산안을 가결하여 겨우 사태를 수습했다.

한편, 입헌정우회 내부에서는 철도의 신규 착공을 요구하는 예산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아졌고, 체신대신 하라 다카시가 이를 필사적으로 저지하고 있었다. 그러던 중 대장대신 와타나베 구니타케가 "공채에 의존한 사업의 전면 중지"를 제안했다. 당시 철도부설법에 의해 철도 건설은 철도 공채 발행으로 충당되었기에, 이 제안은 기존의 철도 공사도 모두 중지하겠다는 것과 같았다. 이에 격분한 각료들의 항의를 받은 와타나베가 고립되자, 이토는 5월 2일에 단독 사임하였다.

3. 내각 구성

제4차 이토 내각은 이전 세 차례의 이토 내각과 달리 이토 계열 관료와 구 헌정당이 결성한 입헌정우회가 여당인 사실상의 정당 내각이었다. 1900년 9월 15일 입헌정우회가 결성되자, 당시 내각총리대신이었던 야마가타 아리토모는 창당 직후의 입헌정우회를 흔들기 위해 총재였던 이토 히로부미에게 정권을 넘겨주었다. 외무대신, 육군대신, 해군대신을 제외한 전원이 입헌정우회 소속이었다.

그러나 야마가타 아리토모는 육군귀족원을 통해 입헌정우회를 공격했고, 메이지 천황의 조서로 겨우 사태를 수습했다. 또한 입헌정우회의 실력자였던 체신대신 호시 도루가 부패 혐의로 사퇴하면서, 이토 계열 관료와 구 헌정당 계열 간의 갈등이 표면화되었다.

한편, 입헌정우회 내부에서는 철도 신규 착공 예산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아졌고, 신임 체신대신 하라 다카시는 이를 저지하려 했다. 이때 대장대신 와타나베 구니타케가 공채에 의존한 사업의 전면 중단을 제안하면서 갈등이 커졌다. 당시 철도부설법에 따라 철도 건설은 철도 공채 발행으로 충당되었는데, 이는 신규는 물론 기존 철도 공사도 모두 중단하자는 의미였다. 이에 하라를 비롯한 각료들이 반발했고, 와타나베는 고립되어 결국 이토 히로부미가 사임하게 되었다. 1901년 5월 10일부터 추밀원 의장이자 무임소대신이었던 사이온지 긴모치가 내각총리대신을 임시 겸임하였다.

제4차 이토 내각
직책대신정당임기 시작임기 종료
내각총리대신이토 히로부미 공작입헌정우회1900년 10월 19일1901년 5월 10일
내각총리대신 (사무 대리)사이온지 긴모치 공작입헌정우회1900년 10월 27일1900년 12월 12일
외무대신가토 다카아키무소속1900년 10월 19일1901년 5월 10일
내무대신스에마쓰 겐초 남작입헌정우회1900년 10월 19일1901년 5월 10일
대장대신와타나베 구니타케 자작입헌정우회1900년 10월 19일1901년 5월 10일
육군대신가쓰라 다로 자작군부 (육군)1900년 10월 19일1900년 12월 23일
고다마 겐타로 남작군부 (육군)1900년 12월 23일1901년 5월 10일
해군대신야마모토 곤노효에 남작군부 (해군)1900년 10월 19일1901년 5월 10일
사법대신가네코 겐타로 남작입헌정우회1900년 10월 19일1901년 5월 10일
문부대신마쓰다 마사히사입헌정우회1900년 10월 19일1901년 5월 10일
농상무대신하야시 유조입헌정우회1900년 10월 19일1901년 5월 10일
통신대신호시 도루입헌정우회1900년 10월 19일1900년 12월 22일
하라 다카시입헌정우회1900년 12월 22일1901년 5월 10일
무임소대신사이온지 긴모치 공작입헌정우회1900년 10월 27일1901년 5월 10일
내각관방장관사메지마 다케노스케무소속1900년 10월 27일1901년 5월 10일
내각법제국 장관히라타 도스케사와카이1900년 10월 19일1900년 10월 24일
오쿠다 요시토무소속1900년 10월 24일1901년 5월 10일
출처: [1]


3. 1. 국무대신 (1900년 10월 19일 ~ 1901년 5월 10일)

다음은 1900년(메이지 33년) 10월 19일부터 1901년(메이지 34년) 5월 10일까지 존속한 제4차 이토 내각의 국무대신 명단이다.[2]

직명씨명출신 등특명 사항 등비고
내각총리대신10이토 히로부미--입헌정우회
후작
1901년 5월 10일[8]
입헌정우회 총재
외무대신16가토 다카아키
외무성첫 입각
내무대신15스에마쓰 겐초
귀족원
입헌정우회
(무회파)
남작
대장대신9와타나베 구니타케
입헌정우회
자작
육군대신5가쓰라 다로
육군 대장
자작
유임
1900년 12월 23일 면[5]
6고다마 겐타로
육군 중장
남작
타이완 총독첫 입각
1900년 12월 23일 임[5]
해군대신5야마모토 곤노효에
해군 중장
(해병 2기)
유임
사법대신10가네코 겐타로
귀족원
입헌정우회
(무회파)
남작
문부대신15마쓰다 마사히사
중의원
입헌정우회
농상무대신17하야시 유조
중의원
입헌정우회
체신대신10호시 도루
중의원
입헌정우회
첫 입각
1900년 12월 21일 면[6]
11하라 다카시
입헌정우회첫 입각
1900년 12월 22일 임[7]



1901년 5월 10일 이토 히로부미내각총리대신직에서 물러난 뒤, 사이온지 긴모치가 임시로 내각총리대신을 겸임하였다.

직명씨명출신 등특명 사항 등비고
내각총리대신
-사이온지 긴모치--입헌정우회
후작
임시 겸임
추밀원 의장
1901년 5월 10일 겸[8]
외무대신16가토 다카아키--외무성
내무대신15스에마쓰 겐초--귀족원
입헌정우회
(무회파)
남작
대장대신9와타나베 구니타케--입헌정우회
자작
1901년 5월 14일 면[9]
-사이온지 긴모치
입헌정우회
후작
임시 겸임
(내각총리대신 임시 겸임)

추밀원 의장
1901년 5월 14일 겸[9]
육군대신6고다마 겐타로--육군 중장
남작
타이완 총독
해군대신5야마모토 곤노효에--해군 중장
(해병 2기)
사법대신10가네코 겐타로--귀족원
입헌정우회
(무회파)
남작
문부대신15마쓰다 마사히사--중의원
입헌정우회
농상무대신17하야시 유조--중의원
입헌정우회
체신대신11하라 다카시--입헌정우회


3. 2. 사이온지 긴모치 임시 겸임기 (1901년 5월 10일 ~ 1901년 6월 2일)

1901년 5월 10일 이토 히로부미가 내각총리대신에서 사임한 후, 사이온지 긴모치1901년 5월 10일부터 1901년 6월 2일까지 내각총리대신 임시 대리를 맡았다.[1]

제4차 이토 내각 (사이온지 긴모치 임시 겸임기)
직책대신정당임기 시작임기 종료
내각총리대신사이온지 긴모치 공작 (임시 대리)입헌정우회1901년 5월 10일1901년 6월 2일
외무대신가토 다카아키무소속1901년 5월 10일1901년 6월 2일
내무대신스에마쓰 겐초 남작입헌정우회1901년 5월 10일1901년 6월 2일
대장대신와타나베 구니타케 자작입헌정우회1901년 5월 10일1901년 5월 14일
사이온지 긴모치 공작 (임시 대리)입헌정우회1901년 5월 14일1901년 6월 2일
육군대신고다마 겐타로 남작군부 (육군)1901년 5월 10일1901년 6월 2일
해군대신야마모토 곤노효에 남작군부 (해군)1901년 5월 10일1901년 6월 2일
사법대신가네코 겐타로 남작입헌정우회1901년 5월 10일1901년 6월 2일
문부대신마쓰다 마사히사입헌정우회1901년 5월 10일1901년 6월 2일
농상무대신하야시 유조입헌정우회1901년 5월 10일1901년 6월 2일
체신대신하라 다카시입헌정우회1901년 5월 10일1901년 6월 2일
내각관방장관사메지마 다케노스케무소속1901년 5월 10일1901년 6월 2일
내각법제국 장관오쿠다 요시토무소속1901년 5월 10일1901년 6월 2일


3. 3. 기타 관료

직책대수성명출신취임일퇴임일비고
내각서기관장11사메지마 다케노스케사쓰마번 / 귀족원1900년 10월 19일1901년 6월 2일[1]
법제국장관9오쿠다 기진돗토리번1900년 10월 24일1901년 6월 2일[1]


4. 주요 정책 및 사건

제4차 이토 내각은 이전 내각들과 달리 입헌정우회가 여당인 사실상의 정당 내각이었다. 1900년 9월 15일 입헌정우회가 결성되면서, 야마가타 아리토모 총리가 이토 히로부미에게 정권을 넘겨주면서 성립되었다. 외무대신, 육군대신, 해군대신을 제외한 각료 전원이 입헌정우회 소속이었다.

하지만 야마가타는 육군귀족원을 이용하여 입헌정우회를 공격했고, 메이지 천황의 조서로 겨우 사태를 수습하였다. 입헌정우회의 실력자였던 호시 도루 체신대신이 부패 혐의로 사퇴하면서, 이토 계열 관료와 구 헌정당 계열의 의견 대립이 표면화되었다.

한편, 입헌정우회 내부에서는 철도 신규 착공 예산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아졌고, 신임 체신대신 하라 다카시는 이를 필사적으로 저지하고 있었다. 이때 와타나베 구니타케 대장대신이 공채에 의존한 사업의 전부 정지를 제안했다. 당시 철도부설법에 따라 철도 건설은 철도 공채 발행으로 모두 충당되었으며, 이 제안은 신규는 물론 기존 철도 공사도 모두 중지하자는 말과 같았다. 이에 격분한 하라와 다른 각료들의 항의를 받은 와타나베는 고립되었고, 이토는 1901년 5월 2일 사임하였다. 5월 10일부터 사이온지 긴모치 추밀원 의장이 내각총리대신을 임시 겸임하였다.

4. 1. 입헌정우회 창당과 정당내각

1900년 9월 15일 이토 히로부미입헌정우회를 창당하자, 내각총리대신 야마가타 아리토모는 창당 직후의 입헌정우회를 흔들기 위해 이토에게 정권을 넘겨주었다.[2] 제4차 이토 내각은 외무대신, 육군대신, 해군대신을 제외한 각료 전원이 입헌정우회 소속이었기 때문에, 사실상 최초의 정당 내각이었다.

직명씨명출신 등특명 사항 등비고
내각총리대신10이토 히로부미--입헌정우회
후작
1901년 5월 10일[8]
입헌정우회 총재
-사이온지 긴모치--입헌정우회
후작
임시 대리
(반열 겸임)
추밀원 의장
1900년 10월 27일[3]
1900년 12월 12일[4]
외무대신16가토 다카아키외무성첫 입각
내무대신15스에마쓰 겐초귀족원
입헌정우회
(무회파)
남작
대장대신9와타나베 구니타케입헌정우회
자작
육군대신5가쓰라 다로육군 대장
자작
유임
1900년 12월 23일[5]
6고다마 겐타로육군 중장
남작
타이완 총독첫 입각
1900년 12월 23일[5]
해군대신5야마모토 곤노효에해군 중장
(해병 2기)
유임
사법대신10가네코 겐타로귀족원
입헌정우회
(무회파)
남작
문부대신15마쓰다 마사히사중의원
입헌정우회
농상무대신17하야시 유조중의원
입헌정우회
체신대신10호시 도루중의원
입헌정우회
첫 입각
1900년 12월 21일[6]
11하라 다카시입헌정우회첫 입각
1900년 12월 22일[7]
반열-사이온지 긴모치--입헌정우회
후작
내각총리대신 임시 대리
추밀원 의장
1900년 10월 27일[3]
1901년 5월 10일까지



그러나 야마가타는 육군귀족원을 통해 입헌정우회를 공격했고, 메이지 천황의 조서로 겨우 사태를 수습했다. 체신대신 호시 도루가 도쿄 시의회 부패 혐의로 사퇴하면서, 이토 계열 관료와 구 헌정당 계열의 대립이 표면화되었다. 입헌정우회 내부에서는 철도 신규 착공 예산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아졌고, 신임 체신대신 하라 다카시는 이를 막고 있었다. 대장대신 와타나베 구니타케는 공채에 의존한 사업의 전면 중지를 제안했고, 이는 철도 공사 중지를 의미했기에 하라를 비롯한 각료들의 항의를 받았다. 결국 이토는 사임했고, 1901년 5월 10일부터 사이온지 긴모치 추밀원 의장이 내각총리대신을 임시 겸임했다.

4. 2. 호시 도루 체신대신 스캔들과 사임

1900년 12월 22일, 입헌정우회호시 도루 체신대신이 도쿄 시의회 부정부패 사건으로 추궁을 받아 사임하였다.[12] 이는 이토 계열 관료와 구 헌정당 계열의 의견 대립을 표면화시키는 계기가 되었다.[12] 후임 체신대신으로는 관료파인 하라 다카시가 취임하였다.[12]

4. 3. 북청사변과 증세안

이토 내각은 북청사변에 대처하기 위해 증세안을 제출했지만, 1901년 2월 귀족원에서 부결되었다.[12] 가토 다카아키 외무대신은 해산 총선거를 통해 신임을 묻자고 제안했지만, 하라 다카시 체신대신은 입헌정우회의 조직이 정비되지 않았고, 다수를 얻더라도 귀족원 대책이 없다는 이유로 반대하여 해산은 좌절되었다.[12] 2월 27일부터 3월 8일까지 의회가 정회되었고, 그 사이에 이토는 야마가타 아리토모, 이노우에 가오루, 마쓰가타 마사요시, 사이고 주도 등 원로와 협의를 진행했다.[12] 3월 12일 메이지 천황조서에 의해 3월 16일에 귀족원도 예산안을 가결하여 겨우 사태를 수습했다.[12] 이는 귀족원이 여전히 야마가타 아리토모의 영향력 아래에 있음을 보여주었다.

4. 4. 철도 부설 논쟁과 내각 분열

입헌정우회 내부에서 철도 신규 착공 예산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아졌고, 하라 다카시 체신대신이 이를 저지하려 했다.[12] 와타나베 구니타케 대장대신은 공채에 의존한 사업 중단을 제안하여 내각 내 갈등이 심화되었다.[12] 당시 철도부설법에 따라 철도 건설은 철도 공채 발행으로 충당되었는데, 이 제안은 신규는 물론 기존 철도 공사도 모두 중지하자는 말과 같았다.[12] 이에 하라와 다른 각료들이 격렬하게 항의하면서 와타나베는 고립되었고, 이토 히로부미는 사임하였다.[12]

5. 내각 총사퇴와 이후 정국

1901년 5월, 이토 히로부미는 내각 내 갈등을 수습하지 못하고 총리직을 사임했다.[12] 내각 내에서는 입헌정우회 내부의 철도 신규 착공 예산 요구와 대장대신 와타나베 구니타케의 공채 의존 사업 전면 중지 제안이 충돌했다. 와타나베의 제안은 기존 철도 공사까지 중단시키는 것과 마찬가지였기 때문에, 하라 다카시를 비롯한 다른 각료들의 격렬한 반발을 샀다. 결국 와타나베는 고립되었고, 이토는 내각을 이끌 능력을 상실하고 사임을 결심하게 되었다.

이후 추밀원 의장 사이온지 긴모치가 임시로 내각을 이끌었고,[12] 6월에는 가쓰라 다로가 새로운 내각을 구성했다.[12] 이후 일본 정계는 가쓰라 다로와 사이온지 긴모치가 번갈아 가며 정권을 담당하는 '게이엔 시대'로 접어들었다.[12]

이토 히로부미의 사임은 메이지 유신을 이끌었던 원로 세대의 퇴조와 새로운 정치 세대의 등장을 상징하는 사건이었다.

참조

[1] 웹사이트 Fourth Itō Cabinet http://www.kantei.go[...]
[2] 간행물 『官報』号外「叙任及辞令」 NDLDC 1900-10-19
[3] 간행물 『官報』第5199号「叙任及辞令」 NDLDC 1900-10-29
[4] 간행물 『官報』第5236号「叙任及辞令」 NDLDC 1900-12-13
[5] 간행물 『官報』号外「叙任及辞令」 NDLDC 1900-12-23
[6] 간행물 『官報』第5244号「叙任及辞令」 NDLDC 1900-12-22
[7] 간행물 『官報』号外「叙任」 NDLDC 1900-12-22
[8] 간행물 『官報』号外「叙任及辞令」 NDLDC 1901-05-10
[9] 간행물 『官報』第5236号「叙任及辞令」 NDLDC 1901-05-14
[10] 간행물 『官報』第5192号「叙任及辞令」 NDLDC 1900-10-20
[11] 간행물 『官報』第5196号「叙任及辞令」 NDLDC 1900-10-25
[12] 문서 佐々木、P245 - P253、伊藤、P445 - P457、瀧井、P201 - P203
[13] 뉴스 【第4次安倍政権】新内閣が発足 安倍晋三首相、第98代首相に選出 https://www.sankei.c[...] 2017-11-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