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주가지수선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주가지수선물은 미래의 주가지수를 대상으로 매매하는 파생상품으로, 주식시장의 변동성에 대한 헤지, 투기, 차익거래 등에 활용된다. 1996년 대한민국에 처음 도입된 이후,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주가지수 선물 상품이 거래되고 있다. 주가지수선물은 증거금 거래 방식을 통해 레버리지 효과를 높이며, 만기일에 현금으로 차액을 결제하는 특징을 갖는다. 주요 주가지수 선물로는 코스피200 선물, S&P 500 선물, 닛케이 225 선물 등이 있으며, 거래 시간, 증거금, 가격 변동 제한 등 거래 제도가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주가 지수 - SET 지수
    SET 지수는 태국 증권거래소에 상장된 모든 보통주를 대상으로 하며, 태국 주식 시장의 흐름을 파악하는 데 활용되는 중요한 주가지수이다.
  • 주가 지수 - 유로 스톡스 50
    유로 스톡스 50은 유로존 내 우량 기업 50개사로 구성되어 스톡스(Stoxx)가 산출하는 주가 지수이며, 유럽 파생상품 시장의 유동성을 대표하는 지표로 활용된다.
  • 파생 상품 - 파생상품
    파생상품은 기초 자산의 가격 변동에 따라 가치가 결정되는 금융 상품 또는 계약으로, 헤지, 투기, 자산 배분 등의 목적으로 활용되며, 높은 위험성으로 인해 강화된 규제를 받고 있다.
  • 파생 상품 - 금융상품
    금융상품은 시장에서 거래되는 상품으로, 시장 가치에 따라 결정되는 현금 상품(증권, 대출, 예금 등)과 기초 자산 가치에 따라 결정되는 파생 상품(선물, 옵션, 스왑 등)으로 나뉜다.
  • 주식시장 - 서킷브레이커 (주식 시장)
    서킷브레이커는 주식 시장의 급격한 가격 변동을 막기 위해 도입된 제도로, 지수 하락 시 거래를 일시 중단하거나 종료하는 조치를 통해 투자자에게 냉정을 되찾을 시간을 주지만, 매도세 가속화나 가격 발견 지연의 비판도 존재하며, 한국은 코스피 및 코스닥 지수 하락폭에 따라 3단계로 구분하여 거래를 중단 또는 종료하는 제도를 운영하고 선물 시장에는 사이드카 제도를 병행하고 있다.
  • 주식시장 - 내부자 거래
    내부자 거래는 상장 회사 관계자가 미공개 정보를 이용하여 유가 증권을 거래하는 불법 행위로, 여러 국가에서 규제되고 있으며, 정보 비대칭성, 규제의 실효성 등 쟁점을 야기한다.
주가지수선물
개요
유형선물
기초 자산주가 지수
거래 단위주가 지수 × 1 계약당 가격 승수
가격 표시지수 포인트
최소 가격 변동폭0.01 (원/엔/달러)
0.05 (기타)
계약 월3월, 6월, 9월, 12월 (통상)
최종 거래일계약 월의 세 번째 금요일 (통상)
결제 방법현금 결제
거래 시간해당 거래소 규정에 따름
관련 용어
관련 용어선물 거래
파생 상품
주식 시장
주가 지수
증거금
결제
만기일
차익 거래
헤지
참고 사항
참고 사항주가지수선물은 주가지수의 미래 가치에 대한 계약이며, 투자 및 헤지 수단으로 활용된다.

2. 역사

(내용 없음)

2. 1. 대한민국

1996년 5월 3일 대한민국 최초로 주가지수 선물시장이 개설되었다. 이 시장은 종합주가지수(KOSPI)가 아닌 KOSPI 200을 기초자산으로 하며, 대한민국 최초의 선물시장이다.

2001년 한국선물거래소에 코스닥 50 지수선물거래가 도입되었으나, 2006년 중단되었다.

2004년 한국증권거래소의 주가지수선물옵션 매매시스템이 한국선물거래소로 이관되었다.

2006년 코스닥50 선물은 상장 폐지되고, 다음날 코스닥 스타지수 선물거래가 도입되었다.

2009년 미국 시카고 상업거래소(Chicago Mercantile Exchange)의 글로벡스(Globex) 매매시스템을 이용한 야간(대한민국 시간) 코스피200선물 거래가 시작되었다.

3. 특징

주가지수선물은 미래의 특정 시점(만기일)에서의 주가 지수를 현재 시점에서 미리 정한 가격으로 매매하기로 약정하는 선물 거래의 일종이다.[1][2] 실제 주식을 주고받는 대신, 만기일에 현금으로 차액만을 결제하는 현금 결제 방식을 주로 사용한다. 거래 시에는 전체 계약 금액이 아닌 일정 비율의 증거금만을 납부하므로 레버리지 효과가 발생하며, 이는 적은 자본으로 큰 규모의 거래를 가능하게 하지만 동시에 높은 위험을 수반하기도 한다.

선물 가격은 현재의 주가 지수, 금리, 배당 등을 고려하여 이론적으로 결정되며, 만기가 다른 선물 간에는 가격 차이가 존재한다. 투자자들은 만기가 도래하기 전에 보유 계약을 다음 만기 계약으로 교체하는 롤오버를 통해 투자 기간을 연장할 수 있다. 주가지수선물은 헤지 목적이나 투기 목적으로 다양하게 활용된다.

3. 1. 거래 방식

주가지수선물은 특정 시점(만기일)의 주가 지수를 미리 정한 가격으로 사고 팔기로 약속하는 선물 거래이다. 실제 주식을 주고받는 대신, 만기 시점에 현금으로 차액을 결제하는 방식(현금 결제 방식)을 사용한다.

이때 사용되는 SQ 값(특별 청산 지수, Special Quotation|스페셜 쿼테이션eng)은 SQ일(정해진 기일)의 주가 지수 시가를 기준으로 결정된다. 결제월이란 SQ일이 속한 달을 의미한다. SQ일까지 보유한 선물 계약은 SQ일에 결정된 SQ 값으로 청산된다.

일본의 경우, 오사카 거래소에서 주가지수선물을 취급한다. 3월, 6월, 9월, 12월결제월 중 가까운 시점의 계약들이 거래되며, 종류는 다양하다(예: 닛케이 225 선물 19종류, 닛케이 225 미니 선물 16종류[6]). 결제는 해당 결제월의 두 번째 금요일에 이루어지며, 이날의 시초가를 기준으로 차액 결제가 진행된다. 이 날은 주가 지수 옵션 거래의 결제도 함께 이루어지기 때문에 SQ 산출일이라고도 불린다.

3. 2. 거래 금액

거래 금액(상정 원본, notional value|노셔널 밸류eng[3])은 선물 주가 지수 가격에 거래 단위의 승수(multiplier)를 곱하여 계산한다. 거래 단위의 승수는 상품 및 거래소마다 다르다. 예를 들어, 오사카 거래소의 닛케이 225 선물은 1,000배, 닛케이 225 mini 선물은 100배이며, 시카고 상품 거래소의 E-mini S&P 500은 50배, Micro E-mini S&P 500은 5배이다.

이에 따라, 닛케이 225 mini 선물의 지수 가격이 2만이라면 거래 금액은 200만(20,000엔 × 100)이 되고, Micro E-mini S&P 500의 지수 가격이 3천달러이라면 거래 금액은 1.5만달러(3,000달러 × 5)가 된다.

주요 주가지수 선물의 거래 단위 승수는 다음과 같다.

명칭거래소주가지수거래 단위 승수호가의 단위코드
닛케이 225 선물[8]오사카 거래소닛케이 평균 주가1,000엔10엔
닛케이 225 mini 선물[9]오사카 거래소닛케이 평균 주가100엔5엔
TOPIX 선물[10]오사카 거래소도쿄 증권 주가 지수10,000엔0.5포인트
미니 TOPIX 선물[11]오사카 거래소도쿄 증권 주가 지수1,000엔0.25포인트
NY 다우 선물[12]오사카 거래소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100엔1포인트
닛케이 평균 VI 선물[13]오사카 거래소닛케이 평균 VI10,000엔0.05포인트
E-mini S&P 500[14]시카고 상품 거래소S&P 500$50$0.25ES
Micro E-mini S&P 500[15]시카고 상품 거래소S&P 500$5$0.25MES
E-mini NASDAQ 100[16]시카고 상품 거래소나스닥 100 지수$20$0.25NQ
Micro E-mini NASDAQ 100[17]시카고 상품 거래소나스닥 100 지수$2$0.25MNQ
E-mini Dow[18]시카고 상품 거래소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5$1YM
Micro E-mini Dow[19]시카고 상품 거래소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0.5$1MYM
Nikkei 225 Dollar[20]시카고 상품 거래소닛케이 평균 주가$55포인트NKD
Nikkei 225 Yen[21]시카고 상품 거래소닛케이 평균 주가500엔5포인트NIY


3. 3. 증거금

주가지수선물거래도 다른 선물거래와 마찬가지로 증거금을 징수한다. 전 세계적으로 개시증거금은 계약금액(선물지수 × 포인트당 가격 × 수량)의 3%에서 15% 수준이며, 유지증거금은 개시증거금의 3분의 2 수준이다.

대부분의 선물 거래는 증거금을 예치하고 그 차액으로 차액 결제를 한다. 오사카 거래소나 시카고 상품 거래소(Chicago Mercantile Exchange, CME) 등은 SPAN 시스템에 기초한 계산식으로 거래에 필요한 증거금을 결정한다.[6] 일본에서는 일본 증권 클리어링 기구가 SPAN의 계산 결과를 발표하고 있다.[4] 증권 회사에 따라서는 SPAN으로 계산된 증거금보다 더 높은 최저 증거금을 설정하는 경우도 있다. 필요 증거금은 거래 금액의 대략 수십 분의 1 정도이다.

증거금에 의한 차액 결제이므로 매수 포지션부터 시작하는 것도, 매도 포지션부터 시작하는 것도 가능하다.

3. 4. 이론 가격

주가지수선물의 가격은 해당 지수를 구성하는 주식들을 계속 보유하는 데 드는 유지 비용을 고려하여 결정된다. 이 유지 비용은 일반적으로 무위험 이자율에서 해당 지수의 예상 배당 수익률을 뺀 값으로 계산한다. 이는 주식 투자자가 지수 구성 종목들로부터 배당금을 받기 때문이다. 하지만 배당금은 지급 시기가 다르고 예측하기 어려워, 특히 지수 구성 종목 수가 적을 경우 선물 가격을 정확히 추정하기 어려울 수 있다.

주요 선물 지수로는 S&P 500, FTSE, DAX, CAC 40 등 잘 알려진 지수들과 기타 G12 국가들의 지수가 사용된다. OTC 상품의 지수도 이와 유사하지만, 좀 더 유연한 특징을 가진다.

이론적으로 주가지수선물의 가격은 원래 주가 지수 가격에 무위험 금리를 더하고 특별 배당을 뺀 값으로 계산된다.[5]

선물 매수 포지션을 보유하는 경우, 투자자는 가격에 포함된 무위험 금리를 간접적으로 지불하는 셈이 된다. 그러나 선물 거래는 증거금을 사용하므로, 증거금 계좌에 이자가 발생하면 이 비용이 어느 정도 상쇄될 수 있다. 이는 현물 주식을 직접 매수하는 것과 큰 차이가 없도록 설계된 방식이다.

3. 5. 롤오버

일반적으로, 최종 거래일까지 보유하지 않고 최종 거래일 전에 다음 만기로 교체하는 것을 롤오버(rollover|롤오버eng)라고 한다. 무위험 금리 및 배당으로 인해, 전후 만기의 선물 간에는 가격 차이가 존재한다. 롤오버 시에는 전후 만기의 선물을 직접 매매하여 교체할 수도 있지만, 롤오버를 위한 캘린더 스프레드 거래[6]를 사용하면 순간적인 가격 변동 등에 영향을 받지 않고 안전하게 롤오버를 할 수 있다.

어떤 시점에 롤오버할지는 자유이지만, 시카고 상품 거래소에서는 관습적인 롤오버일을 정하고 있으며, 이는 최종 거래일 4일 전이다[7].

4. 거래 제도

주가지수선물 거래는 다른 선물거래와 마찬가지로 특정한 거래 제도를 따른다. 거래 참여자는 계약 이행을 보증하기 위해 증거금을 납부해야 하며, 이는 실제 계약 금액보다 훨씬 적은 금액으로 거래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현물시장의 거래 시간과 다르게 운영되는 경우가 많아 투자자에게 추가적인 거래 기회를 제공하기도 한다. 시장의 급격한 변동성으로부터 투자자를 보호하고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해 서킷브레이커사이드카와 같은 거래 중단 제도가 마련되어 있으며, 가격 변동에 대한 제한 규정도 존재한다. 이러한 거래 제도들은 시장의 효율성과 안정성을 높이는 데 기여한다.

4. 1. 증거금

주가지수선물거래도 다른 선물거래와 마찬가지로 증거금을 징수한다. 전 세계적으로 개시증거금은 계약금액(선물지수 * 포인트당 가격 * 수량)의 3%에서 15% 수준이며, 유지증거금은 개시증거금의 3분의 2 수준이다.

대부분의 선물 거래는 증거금을 예치하고 그 차액으로 차액 결제를 한다. 오사카 거래소나 시카고 상품 거래소(Chicago Mercantile Exchangeeng, CME) 등은 CME SPAN|SPANeng이라는 시스템에 기초한 계산식으로 거래에 필요한 증거금을 결정한다.[6] 일본에서는 일본 증권 클리어링 기구가 SPAN의 계산 결과를 발표하고 있다.[4] 증권 회사에 따라서는 SPAN으로 계산된 증거금보다 최저 증거금을 더 높게 설정하는 경우도 있으며, 필요 증거금은 거래 금액의 대략 수십 분의 1 정도이다.

증거금에 의한 차액 결제 방식이므로 매수 포지션부터 시작하거나 매도 포지션부터 시작하는 것이 모두 가능하다.

4. 2. 거래 시간

주가지수선물의 거래 시간은 현물 주식시장이 열리기 전이나 닫힌 후에도 상당 시간 동안 이어지는 경우가 많다. 이는 확정되었거나 확정될 현물 포트폴리오에 대해 선물 포트폴리오를 조정할 기회를 주기 위해서이다. 예를 들어, 미국의 E-S&P500이나 E-NASDAQ100 선물은 ECN(Electronic Communication Network), 즉 야간 전자거래시장에서 거래되기 때문에 이름 앞에 'E-'가 붙었다. 이러한 미국의 야간시장 상품들은 아시아 증권 시장의 거래 시간 중에 거래되기 때문에, 상품이 처음 도입되었을 때는 아시아 증권 시장에 영향을 미치기도 했다.

4. 3. 거래 중단 제도

주가지수선물 시장은 과도한 가격 변동으로부터 시장을 보호하고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해 거래를 일시적으로 중단하는 제도를 운영한다. 대표적으로 서킷브레이커사이드카 제도가 있다.
서킷브레이커서킷브레이커는 주식 시장뿐만 아니라 주가지수선물 시장에도 존재한다. 현물 주식 시장에서 서킷브레이커가 발동되어 거래가 중단되면, 이와 연계된 주가지수선물 시장의 거래도 함께 멈춘다. 또한, 주가지수선물 시장이 독자적인 기준에 따라 서킷브레이커를 발동하는 경우도 있다.

한국의 주가지수선물 시장에서는 다음 경우에 서킷브레이커가 발동된다.

  • 현물지수(코스피200)가 기준가격 대비 10% 이상 상승하거나 하락한 상태가 1분간 지속될 경우, 선물 시장 전체의 거래가 5분간 중단된다.
  • 전날 거래량이 가장 많았던 선물 종목(일반적으로 최근월물)의 가격이 기준가격 대비 10% 이상 급등하거나 급락한 상태가 1분간 지속될 경우, 해당 특정 종목의 거래만 10분 동안 중단된다.

사이드카사이드카는 주로 프로그램매매로 인한 시장 충격을 완화하기 위한 제도이다. 한국 시장에서는 다음 조건 중 하나라도 충족되면 사이드카가 발동된다.

  • 전날 거래량이 가장 많았던 종목 중 코스피200 선물이 5% 이상, 스타선물(현 코스닥150 선물)이 6% 이상 기준가격 대비 변동한 상태가 1분간 지속될 때
  • 선물 가격이 시장 상황을 반영한 이론가격과 3% 이상 차이가 날 때


사이드카가 발동되면 1분 동안 프로그램매매의 매수 또는 매도 호가의 효력이 정지되어 과도한 시장 쏠림 현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4. 4. 가격 변동

가격폭제한현물주식시장에 가격폭제한이 존재하는지에 따라 선물시장에 존재 여부가 결정된다.

5. 활용

주가지수선물은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된다. 주요 활용 분야는 위험 회피(헤지), 단기 매매(거래), 그리고 투자이다.[2] 또한 시장 참여자들의 심리를 파악하는 선행지표로 사용되기도 한다.[2]


  • 헤지: 보유 중인 주식 포트폴리오나 주식 지수 옵션의 가격 변동 위험을 관리하기 위해 사용된다. (자세한 내용은 헤지 (위험 회피) 섹션 참고)
  • 단기 매매(거래): 시장의 변동성을 이용한 전략 등 단기적인 가격 변동을 통해 이익을 추구하는 데 활용될 수 있다. (자세한 내용은 투기 거래 섹션 참고)
  • 투자: 개별 주식을 직접 매수하지 않고도 특정 시장 전체 또는 특정 산업 부문에 투자하는 효과를 얻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만기가 가까워진 주가지수선물 계약은 유동성이 풍부한 시장을 형성하며, 현금결제 방식으로 거래된다. 계약의 가치는 보통 기초가 되는 주가지수 값에 특정 배수(예: 지수 포인트당 10파운드)를 곱하여 산정된다.

이와 별도로 장외 파생상품 시장에서는 만기가 더 긴 주가지수 관련 상품들이 거래되기도 한다. 이는 주로 옵션 형태를 띠며, 특정 조건(만기일의 지수 가치와 미리 정한 행사가격 비교 등)에 따라 현금 결제가 이루어지는 권리(의무는 아님)를 부여한다. 이러한 장외 상품은 도매 시장에서 거래되지만, 소매 투자자를 대상으로 주가 지수 상승 시 수익을 제공하고 하락 시 원금 보장을 제공하는 보장형 주식 상품의 기초자산으로 자주 활용된다. 때로는 이러한 상품이 이국 옵션 (예: 아시아 옵션 또는 콴토 옵션)의 형태를 취할 수도 있다.

5. 1. 헤지 (위험 회피)

주가지수선물은 개별 주식이 아닌 주식 시장 전체를 거래하는 것과 같아서, 헤지, 거래, 투자 등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된다. 특히 시장 심리를 예측하는 선행 지표로 활용되기도 한다.[2]

이 중 헤지 기능은 주식 포트폴리오나 주식 지수 옵션에 대한 위험을 회피(헤지)하는 데 주로 사용된다. 법적으로 다양한 종목을 보유해야 하는 기관투자자들은 전체 시장 흐름에 따른 포트폴리오 가치 변동 위험에 노출되기 쉬워, 위험회피 거래를 활발히 수행한다.

주가지수선물을 이용한 주식 포트폴리오 헤지는 포트폴리오가 기초 지수를 얼마나 잘 반영하는지에 따라 효과가 달라진다.

  • 포트폴리오가 지수를 정확하게 반영하는 경우(실제로는 가능성이 낮음): 지수 선물을 통해 포트폴리오 위험을 거의 완벽하게 헤지할 수 있다.
  • 포트폴리오가 지수를 완전히 반영하지 못하는 경우(일반적인 경우): 기초 자산(포트폴리오)과 헤지 수단(지수 선물) 간의 상관관계가 완벽하지 않기 때문에 포트폴리오 위험을 완전히 제거하기는 어렵다. 이때 발생하는 오차를 '추적오차'라고 한다. 주가지수 자체를 현물로 보유할 수 없어 주식 포트폴리오를 현물로 설정하는데, 이 과정에서 추적오차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 차익거래 참여자의 비중을 높이는 요인이 되기도 한다.


한국에서는 주가지수선물 만기일에 코스피200 지수나 스타지수와 같은 현물 지수의 종가로 최종 결제가 이루어진다. 따라서 차익거래 등을 수행할 때 이 추적오차를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 한국 주식시장에서 프로그램매매의 영향력이 커지는 배경에는 이러한 주가지수선물을 활용한 거래 전략과 추적오차 관리의 필요성 등이 작용하는 것으로 분석된다.

5. 2. 투기 거래

투기거래자들은 개별 기업의 주가보다는 거시경제의 영향을 받는 주가지수의 방향 예측이 상대적으로 쉽다고 판단하여 주가지수선물 거래를 하는 경향이 있다. 주가지수선물을 이용한 거래의 한 예로는 변동성 거래가 있는데, 변동성이 클수록 차익 실현의 기회가 커진다고 보고 비교적 작지만 정기적인 이익을 추구하는 방식이다. 또한, 주가지수 선물은 시장 심리를 보여주는 선행 지표로 활용되기도 한다.[2]

5. 3. 차익 거래

주가지수선물에서도 현물과 선물의 가격 차이, 즉 베이시스가 존재한다. 이 가격 차이를 이용해 이익을 얻으려는 차익거래가 이루어진다. 하지만 주가지수 자체를 직접 보유할 수는 없기 때문에, 차익거래를 위해서는 주가지수를 추종하는 주식 포트폴리오를 구성하여 현물처럼 활용해야 한다.

이 과정에서 포트폴리오가 실제 주가지수 움직임을 완벽하게 따라가지 못하는 문제, 즉 추적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추적오차의 존재는 다른 금융상품에 비해 주가지수선물 차익거래에 기관투자자들이 더 많이 참여하게 만드는 요인 중 하나로 꼽힌다.

한국의 경우, 주가지수선물 만기일에 실제 현물지수(코스피200지수, 스타지수)의 종가를 기준으로 최종 결제가 이루어진다. 따라서 차익거래를 할 때 다른 복잡한 요인보다는 추적오차를 얼마나 잘 관리하느냐가 중요해진다. 이러한 구조적 특징은 한국 주식시장에서 프로그램매매의 영향력이 커지는 배경 중 하나로 설명되기도 한다.

6. 주요 주가지수 선물

세계 각국의 주요 증권거래소에서는 해당 국가의 대표적인 주가 지수를 기초자산으로 하는 다양한 주가지수선물이 거래되고 있다. 이러한 선물 상품은 투자자들에게 위험 관리 수단을 제공하고, 투기적 거래 기회를 열어주며 시장의 유동성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

대표적인 예로는 대한민국의 코스피200 주가지수선물, 일본의 닛케이 225 선물, 미국S&P 500 선물, 유럽의 유로 스톡스 50 지수 선물 등이 있다. 각 국가 및 지역별 주요 주가지수 선물에 대한 상세 내용은 아래 하위 섹션에서 다룬다.

6. 1. 대한민국

1996년 5월 3일 대한민국 최초로 주가지수 선물시장이 개설되었다. 이 시장은 종합주가지수(KOSPI) 전체가 아닌 KOSPI 200 지수를 기초자산으로 하며, 대한민국 최초의 선물시장이기도 하다.

2001년에는 한국선물거래소에 코스닥 50 지수선물거래가 도입되었으나, 2006년에 거래가 중단되었다. 2004년에는 한국증권거래소의 주가지수선물옵션 매매시스템이 한국선물거래소로 이관되었다.

2006년 코스닥 50 선물이 상장 폐지되고, 다음 날 코스닥 스타지수선물 거래가 새로 도입되었다.

2009년부터는 미국 시카고 상업거래소(Chicago Mercantile Exchange)의 글로벡스(Globex) 매매시스템을 이용하여 대한민국 시간 기준으로 야간에도 코스피200 선물 거래가 가능하게 되었다.

현재 대한민국에서 거래되는 주요 주가지수선물은 다음과 같다.

  • 코스피200 주가지수선물
  • 코스닥 스타지수선물

6. 2. 일본

일본에서는 주로 '''오사카 거래소'''에서 주가지수선물을 취급한다. 대표적인 상품으로는 닛케이 225 선물과 닛케이 225 미니 선물 등이 있다.

거래는 3월, 6월, 9월, 12월을 결제월로 하며, 이 중 가까운 결제월의 상품이 여러 종류 거래된다. 예를 들어, 닛케이 225 선물은 19종류, 닛케이 225 미니 선물은 16종류가 거래된다.[6] 결제는 해당 결제월의 두 번째 금요일 시초가를 기준으로 차액 결제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매월 두 번째 금요일은 주가 지수 옵션 거래의 결제도 함께 이루어지므로 SQ 산출일이라고 불린다.

6. 3. 미국

지수 선물거래소
S&P 500 선물시카고 상품 거래소
나스닥 100 지수 선물시카고 상품 거래소
다우 존스 산업 평균 지수 선물시카고 상품 거래소
VIX 선물시카고 상품 거래소


6. 4. 유럽

지수 선물국가
유로 스톡스 50 지수 선물유럽
독일 주가 지수 선물독일
FTSE 100 지수 선물영국
IBEX 35 선물스페인
FTSE MIB 지수 선물이탈리아
CAC 40 선물프랑스
OMX 스톡홀름 30 선물스웨덴
AEX 지수 선물네덜란드
PSI-20 선물포르투갈
SMI 선물스위스
MICEX 선물러시아
RTS 선물러시아


6. 5. 아시아 (대한민국, 일본 제외)

참조

[1] 간행물 Table 23A: Derivative financial instruments traded on organised exchanges http://www.bis.org/p[...] Bank for International Settlements
[2] 웹사이트 Stock Market Futures https://www.investor[...] Investors Underground 2017-02-25
[3] 웹사이트 About Contract Notional Value - INTRODUCTION TO FUTURES - CME Group https://www.cmegroup[...]
[4] 웹사이트 株式会社日本証券クリアリング機構 https://www.jpx.co.j[...]
[5] 웹사이트 日経225先物 | 日本取引所グループ https://www.jpx.co.j[...]
[6] 웹사이트 先物取引のすべて - 大阪取引所 https://www.jpx.co.j[...]
[7] 웹사이트 Equity Index Roll Dates - CME Group https://www.cmegroup[...]
[8] 웹사이트 日経225先物 | 日本取引所グループ https://www.jpx.co.j[...]
[9] 웹사이트 日経225mini | 日本取引所グループ https://www.jpx.co.j[...]
[10] 웹사이트 TOPIX先物 | 日本取引所グループ https://www.jpx.co.j[...]
[11] 웹사이트 ミニTOPIX先物 | 日本取引所グループ https://www.jpx.co.j[...]
[12] 웹사이트 NYダウ先物 | 日本取引所グループ https://www.jpx.co.j[...]
[13] 웹사이트 日経平均VI先物 | 日本取引所グループ https://www.jpx.co.j[...]
[14] 웹사이트 E-mini S&P 500 Futures Contract Specs - CME Group https://www.cmegroup[...]
[15] 웹사이트 Micro E-mini S&P 500 Index Futures Contract Specs - CME Group https://www.cmegroup[...]
[16] 웹사이트 E-mini NASDAQ 100 Futures Price https://www.cmegroup[...]
[17] 웹사이트 Micro E-mini Nasdaq-100 Index Futures Contract Specs - CME Group https://www.cmegroup[...]
[18] 웹사이트 E-mini Dow ($5) Futures Contract Specs - CME Group https://www.cmegroup[...]
[19] 웹사이트 Micro E-mini Dow Jones Industrial Average Index Futures Contract Specs - CME Group https://www.cmegroup[...]
[20] 웹사이트 Nikkei/USD Futures Contract Specs - CME Group https://www.cmegroup[...]
[21] 웹사이트 Nikkei/Yen Futures Contract Specs - CME Group https://www.cmegroup[...]
[22] 웹사이트 沿革 | 日本取引所グループ https://www.jpx.co.j[...]
[23] 글로벌2 주가지수 선물시장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