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죽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죽지는 신라 시대의 인물로, 김술종의 아들이다. 649년 백제 은상의 침략을 막는 전투에서 김유신 휘하 장군으로 활약하였으며, 이후 집사부 시중을 역임하며 정치 활동을 했다. 백제 부흥 운동 진압, 고구려 정벌 등에도 참여하여 공을 세웠다. 득오와의 관계를 통해 《모죽지랑가》의 주인공으로도 알려져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파진찬 - 거칠부
    거칠부는 신라의 관리, 장군, 상대등으로, 승려였다가 환속 후 진흥왕 때 국사 편찬과 고구려와의 전쟁에 공을 세웠으며, 576년 상대등에 임명되었고, 그의 딸들은 미생, 문노와 혼인하여 신라 사회에 영향력을 행사했다.
  • 이찬 - 김천존
    김천존은 7세기 중후반 신라의 장군으로, 도살성 전투 승리, 황산벌 전투 참전, 당나라와의 협력, 백제 부흥군 진압, 당나라, 백제와의 화친, 고구려 정벌 등 다양한 공을 세웠다.
  • 신라의 총관 - 김흠순
    김흠순은 신라의 왕족이자 장군으로, 김유신의 동생이며 황산벌 전투에서 아들의 죽음으로 신라군의 사기를 진작시키고 고구려 정벌에 참여하여 삼국 통일에 기여한 후 승상에 올랐으나 당나라에 억류되기도 했고, 그의 삶은 여러 작품에서 재조명되었다.
  • 신라의 총관 - 김서현
    김서현은 가락국 구형왕의 손자이자 신라 각간을 지낸 인물로, 김유신의 아버지이며, 각간, 소판, 대량주도독 등을 역임하며 군사적으로 공헌했고, 그의 딸 문명왕후는 태종 무열왕과 혼인했다.
죽지 - [인물]에 관한 문서
죽지
원어 이름죽지
별호죽만(竹曼), 지관(智官), 죽지랑(竹旨郞)
복무신라군
관직
작위신라의 제1대 중시
재임 기간651년~655년
군주신라 태종무열왕
군주 칭호국왕
후임자문충
개인 정보
출생일미상
출생지미상
사망일미상
사망지미상
국적신라
아버지술종(述宗)
성별남성
참전
주요 참전 전투/전쟁제3차 고구려-당 전쟁
나당 전쟁

2. 생애

죽지는 진덕여왕, 태종무열왕, 문무왕, 신문왕의 4대에 걸쳐 재상이 되어 나라를 안정케 하였다고 전해진다.[2] 651년(진덕여왕 5년) 파진찬 관등으로 새로 설치된 집사부의 중시가 되어[5] 655년(태종무열왕 2년) 1월까지[4] 기밀사무를 관장하였다.[5]

2. 1. 초기 생애와 백제와의 전투

김술종이 삭주도독이 되어 임지로 가던 중 죽지령(竹旨嶺)[1]이라는 곳에서 한 거사(居士)를 만났고, 부임한 지 1달이 되었을 즈음에 거사가 죽었는데, 곧 김술종의 부인이 기이한 꿈을 꾸고는 아들을 낳았다. 술종공은 이를 거사가 환생한 것이라 여기고는 거사와 처음 만났던 곳의 지명을 따서 이름을 '''죽지'''라 했다.[2]

649년(진덕여왕 3년) 8월, 백제의 장군 은상이 쳐들어오자, 진춘, 천존 등과 함께 김유신의 휘하 장군으로 참전하여 도살성에서 대승을 거두었다.[3] 661년(문무왕 원년) 4월에는 여러 장수들과 함께 백제부흥군과 싸웠다가 패하였으나,[6] 7월에는 천품과 함께 귀당총관(貴幢摠管)에 임명되어 다시 전선에 나섰다.[7]

670년(문무왕 10년) 7월, 천존과 함께 웅진도독부를 공격하여 7성을 빼앗고 2천 명을 죽였다.[10] 671년(문무왕 11년) 6월에는 백제 잔당들의 가림성으로 가서 그 곳의 를 짓밟아 식량보급을 차단했으며,[11] 당나라 군사와 석성[12]에서 싸워 5,300명의 목을 베고, 백제의 장군 두 명과 당나라의 과의(果毅) 여섯 명을 포로로 잡았다.[13]

2. 2. 집사부 시중과 정치 활동

죽지는 649년(진덕여왕 3년) 8월 백제의 장군 은상이 쳐들어오자 진춘, 천존 등과 함께 김유신의 휘하 장군으로 참전하여 도살성에서 대승을 거두었다.[3] 651년(진덕여왕 5년) 2월 집사부 중시가 되어[5] 655년(태종무열왕 2년) 1월까지[4] 기밀사무를 관장하였다.[5]

661년(문무왕 원년) 4월에는 여러 장수들과 함께 백제부흥군과 싸웠다가 패하였으나,[6] 7월에는 천품과 함께 귀당총관(貴幢摠管)에 임명되어 다시 전선에 나섰다.[7] 668년(문무왕 8년) 6월에는 이찬 관등으로 진춘과 함께 경정총관(京停摠管)에 임명되어[8] 같은 해 10월 고구려 정벌에서 공을 인정받아 각간 관등을 받았다.[9]

670년(문무왕 10년) 7월, 천존과 함께 웅진도독부를 공격하여 7성을 빼앗고 2천 명을 죽였다.[10] 671년(문무왕 11년) 6월에는 백제 잔당들의 가림성으로 가서 그 곳의 벼를 짓밟아 식량 보급을 차단했으며,[11] 당나라 군사와 석성[12]에서 싸워 5천 3백 명의 목을 베고, 백제의 장군 두 명과 당나라의 과의(果毅) 여섯 명을 포로로 잡았다.[13] 이후 기록이 없어 행적은 알 수 없지만, 진덕여왕, 태종무열왕, 문무왕, 신문왕의 4대에 걸쳐 재상이 되어 나라를 안정케 하였다고 전해진다.[2]

2. 3. 백제 부흥 운동 진압과 고구려 정벌

661년(문무왕 원년) 4월, 죽지는 여러 장수들과 함께 백제부흥군과 싸웠다가 패하였다.[6] 그러나 같은 해 7월, 천품과 함께 귀당총관(貴幢摠管)에 임명되어 다시 전선에 나섰다.[7]

668년(문무왕 8년) 6월, 이찬 관등으로 진춘과 함께 경정총관(京停摠管)에 임명되었고,[8] 같은 해 10월 고구려 정벌에서 공을 세워 각간 관등을 받았다.[9]

2. 4. 웅진도독부 공격과 백제 잔당 소탕

670년(문무왕 10년) 7월, 죽지는 천존과 함께 웅진도독부를 공격하여 7개 성을 빼앗고 2천 명을 죽였다.[10] 671년(문무왕 11년) 6월에는 백제 잔당들이 점거한 가림성으로 가서 그 곳의 를 짓밟아 식량 보급을 차단했으며,[11] 당나라 군사와 석성[12]에서 싸워 5천 3백 명의 목을 베고, 백제의 장군 두 명과 당나라의 과의(果毅) 여섯 명을 포로로 잡았다.[13]

3. 모죽지랑가의 주인공

모죽지랑가를 지은 곳으로 알려진 경주 부산성의 남문터


《모죽지랑가》는 신라 효소왕 때 득오(得烏)가 지은 향가로, 화랑 죽지랑을 사모하는 내용이다. 득오는 죽지랑의 낭도였으며, 죽지랑이 익선에게 부당하게 징발된 득오를 구출해 준 것에 대한 고마움과 존경의 마음을 담아 이 노래를 지었다.[14][16]

得烏去隱春皆林米|득오거은춘개림미|간 봄 그리워하매한국어

毛冬居叱哭屋尸以憂音|모동거질곡옥시이우음|(임께서 더) 못 살으사 울어 설워하더이다한국어

阿冬音乃叱好支賜烏隱|아동음내질호지사오은|애닯음 나토시던 모습이한국어

貌史年數就音墮支行齊|모사년수취음타지행제|해 거듭하는 즈음에 가이더이다한국어

目煙廻於尸七史伊衣|목연회어시칠사이의|눈 돌이킬 새한국어

逢烏支惡知作乎下是|봉오지악지작호하시|만나 뵙기 어찌 지으오리까한국어

郞也慕理尸心未 行乎尸道尸|랑야모리시심미 행호시도|낭이여, 그리는 마음에 가올 길한국어

蓬次叱巷中宿尸夜音有叱下是|봉차질항중숙시야음유질하시|다봊 마을에 잘 밤 있사오리까한국어

3. 1. 득오와의 관계와 익선의 횡포

효소왕 대 모량리(牟粱)에서 아찬 관등을 지내던 익선(益宣)은 죽지랑의 낭도인 '''득오'''(得烏)[14]를 차출하여 부역시켰다. 죽지랑은 익선에게 득오의 휴가를 청하여 함께 돌아오고자 하였으나 이를 거절당하였고, 사리(使吏) 간진(侃珍)의 도움으로 득오를 데려올 수 있었다.[16] 익선의 악행을 들은 화주(花主)는 익선을 벌하고자 하였으나 그가 도망치자 그 아들을 대신 벌하였다.[15] 이 일로 인해 모량리 사람은 벼슬할 수 없게 되었다.[16] 훗날 득오가 죽지랑을 기리며 《모죽지랑가》를 지었다.

3. 2. 모죽지랑가

효소왕 때 모량리(牟粱)에서 아찬 관등을 지내던 익선(益宣)은 죽지랑의 낭도인 '''득오'''(得烏)[14]를 차출하여 부역시켰다. 죽지랑은 익선에게 득오의 휴가를 청하였으나 거절당하였고, 사리(使吏) 간진(侃珍)의 도움으로 득오를 데려올 수 있었다.[16] 익선의 악행을 들은 화주(花主)는 익선을 벌하고자 하였으나 그가 도망치자 그 아들을 대신 벌하였다.[15] 이 일로 인해 모량리 사람은 벼슬할 수 없게 되었다.[16] 훗날 득오가 죽지랑을 기리며 《모죽지랑가》를 지었다.

4. 관련 작품

죽지와 관련된 작품은 다음과 같다.

종류제목방영/공연 일자기타
드라마삼국기1992년-1993년KBS 방영
창작 오페라신라향가 죽지랑2015년 9월 13일모죽지랑가를 바탕으로 함[17]


4. 1. 드라마 《삼국기》

1992년-1993년 KBS에서 방송한 드라마 삼국기에 등장한다.

4. 2. 창작 오페라 《신라향가 죽지랑》

2015년 9월 13일 모죽지랑가를 바탕으로 한 창작 오페라 《신라향가 죽지랑》이 공연되었다.[17]

5. 가계


  • 아버지: 김술종 (金述宗)

참조

[1] 문서 죽령
[2] 서적 삼국유사 http://db.history.go[...]
[3] 서적 삼국사기 http://db.history.go[...] 1145
[4] 서적 삼국사기 http://db.history.go[...] 1145
[5] 서적 삼국사기 http://db.history.go[...] 1145
[6] 서적 삼국사기 http://db.history.go[...] 1145
[7] 서적 삼국사기 http://db.history.go[...] 1145
[8] 서적 삼국사기 http://db.history.go[...] 1145
[9] 서적 삼국사기 http://db.history.go[...] 1145
[10] 서적 삼국사기 http://db.history.go[...] 1145
[11] 서적 삼국사기 http://db.history.go[...] 1145
[12] 서적 국역 삼국사기 을유문화사 1986
[13] 서적 삼국사기 http://db.history.go[...] 1145
[14] 문서 득곡, 득오곡
[15] 서적 삼국유사 http://db.history.go[...]
[16] 서적 삼국유사 http://db.history.go[...]
[17] 웹인용 오페라 '신라향가 죽지랑' 공연 http://www.cultureex[...] 2015-09-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