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여남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여남군은 중국의 행정 구역으로, 전한 시대에 설치되어 수나라 때 폐지되었다. 예주에 속했으며, 여러 차례 행정 구역 개편을 겪었다. 전한 시대에는 37개의 현을 관할했으며, 신나라 때는 여분군으로 개칭되었다. 후한 시대에는 다시 여남군으로 복귀하였고, 이후 진, 남북조 시대를 거치며 관할 현의 변화가 있었다. 수나라 때에는 채주로 개칭되었고, 607년에 여남군으로 다시 바뀌었지만, 621년 당나라가 예주로 개칭하면서 여남군의 명칭은 사라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안후이성의 군 - 패군
    패군은 중국의 옛 행정 구역으로, 진나라 시기 사수군에서 유래하여 한나라, 왕망 시대, 후한, 삼국 시대를 거치며 명칭과 관할 구역이 변경되다가 남북조 시대 북주에 의해 펑청군에 통합되어 소멸되었다.
  • 안후이성의 군 - 양군 (행정 구역)
    양군은 기원전 225년 진나라가 위나라를 멸망시키고 설치한 탕군에서 유래한 중국의 옛 행정 구역으로, 전한 시대에는 양효왕의 아들 유매가 봉해지면서 양군 또는 양국으로 불렸으며, 왕조의 변화에 따라 명칭과 범위가 달라졌고 한국사와도 다양한 연관을 맺었다.
  • 허난성의 군 - 하남군
    하남군은 전국 시대 한나라에서 처음 설치되어 진나라를 거쳐 전한 시대에는 삼하로 불렸으며, 후한 시대에는 하남윤으로 개칭되어 낙양을 관할하는 중요한 지역으로 위진 시대까지 존속한 군이다.
  • 허난성의 군 - 남양군 (중국)
    남양군은 기원전 272년 진나라 소양왕 때 설치되어 한수 북쪽의 옛 초나라 땅을 관할했던 군으로, 시대에 따라 소속과 영역이 변하다 수나라 때 잠시 등주로 바뀌었다가 당나라 때 폐지되었다.
  • 오호 십육국 시대의 군 - 태산군
    태산군은 중국의 행정 구역으로, 진나라의 제북군을 전신으로 하여 전한 시대에 설치되어 예주에 속했으며, 후한, 서진, 남조 송, 북위 시대를 거치며 관할 현의 변화와 명칭 변경을 겪다가 북제 시대에 동평군으로 개칭되었다.
  • 오호 십육국 시대의 군 - 하남군
    하남군은 전국 시대 한나라에서 처음 설치되어 진나라를 거쳐 전한 시대에는 삼하로 불렸으며, 후한 시대에는 하남윤으로 개칭되어 낙양을 관할하는 중요한 지역으로 위진 시대까지 존속한 군이다.
여남군
개요
유형중국의 옛 군
존속 기간기원전 196년 ~ 583년
중심지상채 (上蔡)
위치현재의 허난성 동남부, 안후이성 북부
역사
설치기원전 196년 (한나라)
폐지583년 (수나라)
행정 구역
속현상채 (上蔡)
평여 (平輿)
신양 (新陽)
부양 (富陽)
정양 (定陽)
고시 (固始)
궐구 (궐丘/궐邱)
안풍 (安 풍)
박양 (博陽)
여양 (汝陽)
륜씨 (륜氏)
낭릉 (狼陵)
신채 (新蔡)
남돈 (南頓)
비양 (比陽)
평춘 (平春)
양성 (陽城)
신식 (新息)
舞陽 (무양)
慎陽 (신양)
弋陽 (익양)
朗陵 (낭릉)
灈陽 (관양)
鮦陽 (동양)
西平 (서평)
召陵 (소릉)
遂平 (수평)
褒信 (포신)
silk (견)
安昌 (안창)
인구
호구19만 8200호 (후한 영화 5년 (150년))
인구수144만 3800명 (후한 영화 5년 (150년))

2. 역사

전한 고조 때 여남군이 설치되었다. 여남군은 예주에 속했으며, 37개 현을 관할했다. 《한서》에 따르면 전한 말에 46만 1587호, 259만 6148명이 있었다.[22]

왕망 때, 여분군(汝汾郡) 혹은 여분(汝坟)으로 이름이 바뀌었고, 일부 지역이 분리되어 상도군(賞都郡)이 신설되었다.

후한 건국 후, 여남군으로 이름이 되돌아갔다. 37개 현을 관할했다.[24] 후한말 213년경, 일부 현이 익양군과 초군으로 분리되었다. 222년(위 문제 황초 3년), 동부 지역 10개 현이 여음군으로 분리되었다가 얼마 못가 폐지되었다.

203년(후한 헌제 건안 8년), 조조유표를 점령하기 위해 서평현에 주둔했고, 원담, 원상 형제가 기주를 두고 내전을 벌였다.[25]

채나라의 옛 땅인 상채현에는 문소황후 견씨의 아버지 견일(甄逸)이 현령으로 있었으나, 견황후가 3살일 때 사망했다.[26]

266년(진 무제 태시 2년), 여음군양군으로 일부 현이 이관되면서 군역이 크게 줄었다. 15개 현을 거느렸다. 진 혜제 시기인 302년(진 혜제 영녕 2년), 일부 지역이 남돈군으로 분리되면서 군역이 더욱 줄었다.[27]

영가의 난 이후 후조석륵왕미를 격파하고 예주를 차지하면서 후조의 땅이 되었다. 잠시 동진이 수복했으나 북조에게 상실했다.[28] 유유가 수복하면서 동진의 땅으로 재편입되었고, 406년(동진 안제 의희 2년), 대뢰 이북에 예주를 복구하면서 예주의 속군이 되었다.[29]

남북조 시대 북위는 여남군을 점령한 뒤 군의 치소를 상채현으로 옮겼다. 8개 현을 거느렸다.[30]

동위 때 행태(行台)가 설치되었고 북주에서 총관부가 설치되었다. 여남군이 속한 예주는 일시적으로 서주(舒州)로 불렸다가 낙주를 예주로 고치면서 잠시 진주(溱州)로 개명되고 후에 채주(蔡州)로 개명되었다. 11개 현을 거느렸다.[31]

580년(대상 2년), 북주에 의해 서주가 설치되자, 여남군은 서주에 속했다.

수나라 건국 후, 서주는 예주로 개칭되었고, 여남군은 예주에 속했다. 583년(개황 3년), 수나라가 군제를 폐지하자, 여남군은 폐지되어 예주에 편입되었다. 602년(인수 2년)에 예주는 진주로 개칭되었고, 606년(대업 2년)에 채주로 개칭되었다. 607년(대업 3년)에 주가 폐지되어 군이 설치되자, 채주는 여남군으로 개칭되었다. 11개 현을 관할했다.

621년 (무덕 4년), 왕세충을 평정하자, 여남군은 예주로 개칭되었고, 예주총관부가 설치되었다. 742년 (천보 원년), 예주는 여남군으로 개칭되었다. 758년 (건원 원년), 여남군은 예주로 개칭되었고, 여남군의 명칭은 사라졌다.

2. 1. 전한

한서》에서는 고조가 설치했다 하고[22]수경》 〈여수〉의 주에서는 설치 시기를 고제 4년(기원전 204년)으로 보았으나[17] 왕국유는 이를 부정했으며, 주진학은 문제 전12년(기원전 168년) 유무를 회양나라에서 양나라로 옮겨 봉하면서 회양군을 나누어 설치되었을 것으로 추정했다.[18] 경제가 자기 아들 유비를 여남왕으로 봉했다가, 오초칠국의 난 이후 옛 오나라를 강도나라로 고쳐 유비에게 주는 대신 여남나라는 거두어 군으로 돌렸다.[19]

예주자사부에 속했다. 원시 2년(2년)의 인구조사에 따르면 46만 1587호, 259만 6148명이 있었다. 아래의 속현 목록은 《한서》 지리지의 순서를 따른 것으로 원연·수화 간(기원전 8년) 무렵의 상황으로 여겨지며, 일반적으로 첫 현이 군의 치소이다.[22] 총 38현(28현 10후국)이다. 오늘날의 주마뎬 시의 대부분, 저우커우 시의 남부와 뤄허 시의 일부, 신양 시 북부, 그리고 푸양 시 일대에 해당한다.

현명한자대략적 위치비고
평여현平輿縣주마뎬 시 핑위 현 북응소에 따르면 옛 심 자국(子國: 자작의 봉국)이 바로 이 현의 심정(沈亭)이다.
양안현陽安縣주마뎬시 남응소에 따르면 옛 도 자국이 바로 이 현의 도정(道亭)이다.
양성후국陽城侯國저우커우 시 상수이 현 서유덕의 후국이다.
은강현㶏強縣뤄허 시 린잉 현 동응소에 따르면 은수(㶏水)는 영천군 양성에서 나온다.
부피현富波縣푸양시 푸난 현 남동
여양현女陽縣저우커우시 상수이 현 서응소에 따르면 여수(汝水)는 홍농에서 나와서 회수로 들어간다.
주양현鮦陽縣푸양시 린취안 현 서응소에 따르면 주수의 북쪽[陽]에 있다.
오방현吳房縣주마뎬시 쑤이핑 현 서맹강에 따르면 본디 방 자국인데, 초 영왕이 방나라 자작을 초나라로 옮겼고, 오왕 합려의 아우 부개(夫概)가 초나라로 달아나자 이곳을 부개에게 봉하니, 부개는 당계씨(堂谿氏)가 되었고, 이 땅이 오나라 사람에게 봉해진 고로 오방이라 했으니, 오방성 당계정이 바로 그곳이다.
안성후국安成侯國주마뎬시 루난 현 남동왕숭의 후국이다.
남돈현南頓縣저우커우시 샹청 시 서옛 돈 자국으로 희성이다. 응소에 따르면 돈나라는 진나라의 핍박을 받아 남쪽으로 옮겼기 때문에 남돈이라 하는 것이고, 옛 성이 여전히 있었다.
낭릉현朗陵縣주마뎬시 췌산 현 남서응소에 따르면 낭릉산이 서남쪽에 있다.
세양현細陽縣푸양시 타이허 현 남동안사고에 따르면 거세수(居細水)의 북쪽이라서 세양이라 한다. 세수는 신처(新郪)에서 나온다.
의춘후국宜春侯國주마뎬시 루난 현 남서위항왕흔의 후국이다.
여음현女陰縣푸양시옛 호(胡)나라다. 도위의 치소가 있다.
신채현新蔡縣주마뎬시 신차이 현채 평후가 채(蔡)에서 여기로 옮겼고, 2대 후에는 하채(下蔡)로 옮겼었다.
신식현新息縣
(新鄎縣)[20]
신양 시 시 현맹강에 따르면 옛 식(息)나라인데 나중에 동쪽으로 옮겨서 신(新)을 덧붙였다.
구양현灈陽縣주마뎬시 쑤이핑 현 동응소에 따르면 구수는 오방(吳房)에서 나와 동으로 친수(瀙水)로 들어간다.
기사현期思縣신양 시 구스 현 북서안사고에 따르면 옛 장(蔣)나라다.
진양현愼陽縣주마뎬시 정양 현응소에 따르면 진수(愼水)가 동북에서 나와 회수로 들어간다. 안사고는 진(愼)은 원래 진(滇)인데 나중에 잘못된 것이며, 여전히 진구(眞丘), 진양현(眞陽縣)이 있다고 한다. 감인(闞駰)은 영평 5년에 도장을 잃어버렸다가 다시 파면서 “水”가 “心”으로 잘못됐다고 한다.
신현愼縣푸양시 잉상 현 북서
소릉현召陵縣뤄허 시 옌청 구 동안사고에 따르면 제 환공이 초나라를 치려고 주둔한 그 소릉이다.
익양후국弋陽侯國신양 시 황촨 현 서안사고에 따르면 익산(弋山)이 서북쪽에 있으며, 옛 황(黃)나라가 이 현의 황성(黃城)이다. 임궁의 후국이다.
서평현西平縣주마뎬시 시핑 현 서철관이 있다. 응소에 따르면 백(柏) 자국이 이 현의 백정(柏亭)이다.
상채현上蔡縣주마뎬시 상차이 현 남서채나라로, 채중 호 이래 18세를 지나 신채로 옮겼다.
침현𥧲縣푸양시 린취안 현응소에 따르면 손숙오의 아들이 받은 침구(浸丘) 땅이다.
서화현西華縣저우커우시 시화 현 남
장평현長平縣저우커우시 시화 현 북동
의록현宜祿縣저우커우시 단청 현 남동
항현項縣저우커우시 선추 현옛 나라다.
신처현新郪縣푸양시 타이허 현 북응소에 따르면 진나라위나라를 쳐 취한 처구(郪丘)인데 한나라에서 이름을 고쳤다.
귀덕후국歸德侯國?선제가 설치했다. 선현전의 후국이다.
신양현新陽縣푸양시 제서우 시 북응소에 따르면 신수의 북쪽이다.
안창후국安昌侯國주마뎬시 췌산 현 서장우의 후국이다.
안양후국安陽侯國주마뎬시 정양 현 남유발·주좌거·왕음의 후국이다. 응소에 따르면 옛 강(江)나라는 바로 이 현의 강정(江亭)이다.
박양후국博陽侯國저우커우시 상수이 현 동병길의 후국이다.
성양후국成陽侯國신양 시 북해의(奚意)·조림·유중(劉衆)의 후국이다.
정릉현定陵縣뤄허 시 옌청 구 북서고릉산(高陵山)이 있고, 여수(汝水)가 나와, 동남으로 신채에 이르러 회수로 들어가며, 남양·하남·영천·여남 네 군을 지나 1340리를 간다.
악창후국[21]樂昌侯國?세양현의 지양향(池陽鄕)이었다. 장수(張壽), 왕무(王武)의 후국이다.

[22][23]

2. 2. 신나라

왕망이 군의 이름을 여분(汝汾), 혹은 여분(汝坟)으로 바꾸고 일부를 분할해 새로 상도(賞都)군을 세웠다. 다음은 전한의 현 이름을 신나라에서 바꾼 것이다.

전한
양성(陽城)신안(新安)
안성(安成)지성(至成)
세양(細陽)낙경(樂慶)
의춘(宜春)선잔(宣孱)
여음(女陰)여분(汝墳)
신채(新蔡)신천(新遷)
신식(新息)신덕(新德)
신(愼)신치(愼治)
서평(西平)신정(新亭)
침(浸)윤치(閏治)
서화(西華)화망(華望)
장평(長平)장정(長正)
의록(宜祿)상도정(賞都亭)
신처(新郪)신연(新延)
귀덕(歸德)귀혜(歸惠)
신양(新陽)신명(新明)
안창(安昌)시성(始成)
안양(安陽)균하(均夏)
박양(博陽)낙가(樂家)
성양(成陽)신리(新利)



신나라 말기, 전한의 종실인 유망이 이 군을 점거하고 황제를 칭했으나, 현한의 공격을 받아 패망했다.[1]

2. 3. 후한, 조위

후한 건국 후, 여남군은 평여, 신양, 서평, 상채, 남둔, 여음, 여양, 신식, 북의춘, 강, 거양, 기사, 양안, 항, 서화, 세양, 안성, 오방, 동양, 신양, 신, 신채, 안양, 부피, 의록, 랑릉, 익양, 소릉, 정강, 사선, 송, 포신, 원록, 정의, 고시, 산상, 성보의 37개 현을 관할했다.[24] 후한말 213년경, 익양현과 기사현은 익양군으로, 송, 산상, 성부현은 초군으로 분리되었다. 222년(위 문제 황초 3년), 동부지역 10개 현이 여음군으로 분리되었다가 얼마 못가 폐지되었다.

203년(후한 헌제 건안 8년), 조조유표를 점령하기 위해 서평현에 주둔했다. 원담, 원상기주를 두고 내전을 벌였다.[25]

채나라의 옛 땅인 상채현에는 문소황후 견씨의 아버지 견일(甄逸)이 현령으로 있었으나, 견황후가 3살일 때 사망했다.[26]

여남군 소속 현 (후한, 조위)
현명한자대략적 위치비고
평여현平輿縣주마뎬시 핑위현 북
신양후국新陽候國푸양시 제서우시 북
서평현西平縣뤄허시 우양현 동남
상채현上蔡縣주마뎬시 상차이현 서남
남돈현南頓縣저우커우시 샹청시돈나라(頓國)의 고지. 222년 여음군으로 분리.
여음현女陰縣푸양시호나라(胡國)의 고지. 222년 여음군으로 분리.
여양현女陽縣저우커우시 서남원소, 원술 형제의 원적지. 222년 여음군으로 분리.
신식후국新息候國신양시 시현
북의춘현北宜春縣주마뎬시 췌산현 서후한대 의춘현이 개명됨.
은강후국㶏強候國뤄허시 린잉현 동
구양현灈陽縣주마뎬시 쑤이핑현 동북
기사현期思縣신양시 화이빈현 기사진(期思鎭)현내 장향(蒋鄕)은 장나라(蒋國)의 고지.
양안현陽安縣주마뎬시 췌산현 북과거 도정(道亭)에 나라가 있었음.
항현項縣저우커우시 선추현222년 여음군으로 분리.
서화현西華縣저우커우시 시화현 남
세양현細陽縣푸양시 타이허현 동 관집진
안성후국安成侯國주마뎬시 핑위현 서남현내 무성정(武城亭)이 있었음.
오방현吳房縣주마뎬시 쑤이핑현 동북현내 당계정(棠谿亭)이 있었음.
주양후국鮦陽候國푸양시 린취안현 서
진양현愼陽縣주마뎬시 정양현 북
신현愼縣푸양시 잉상현 북222년 여음군으로 분리.
신채현新蔡縣주마뎬시 신차이현현내 대려정(大吕亭)이 있었음. 222년 여음군으로 분리.
안양후국安陽侯國신양시 시현 서강정(江亭)은 과거 영성(嬴)을 쓰는 제후의 나라.
부파후국富波候國푸양시 푸난현 동남후한 초기 폐지, 영원연간 복구.
의록현宜祿縣저우커우시 단청현 의로진(宜路鎭)일대후한 초기 폐지, 영원연간 복구.
낭릉후국朗陵候國주마뎬시 췌산현 남
익양후국弋陽侯國신양시 황촨현 융고향 익양고성황나라(黃)가 본현 황정(黄亭)에 있었음.
소릉현召陵縣뤄허시 동현내 경정(陘亭), 안릉향(安陵鄕)이 있었음.
정강후국征羌候國저우커우시 상수이현 서현내 안릉정(安陵亭)이 있었음.
사선후국思善候國보저우시 차오청구 고성진(古城鎭)
송공국宋公國푸양시 타이허현 예구진(倪邱鎭)일대79년(후한 장제 건초 4년), 구현(丘縣)에서 개명. 현내 번양정(繁陽亭)이 있음. 조조에 의해 초군으로 분리.
포신후국褒信候國주마뎬시 신차이현 남현내 뇌정(賴亭)이 있었음.
원록후국原鹿候國푸양시 푸난현 남222년 여음군으로 분리.
정영후국定潁候國주마뎬시 시핑현 동북
고시후국固始候國푸양시 린취안현광무제 시기 침현(𥧲縣)에서 개명. 현내 침구(𥧲丘)가 있음. 222년 여음군으로 분리.
산상후국山桑候國보저우시 멍청현 북본래 패군에 속함. 현내 하성부취(下城父聚), 수혜취(垂惠聚)가 있음. 조조에 의해 초군으로 분리.
성부현城父縣보저우시 차오청구 성부진(城父鎭)본래 패군에 속함. 본래 이족 차지. 현내 장화태(章華台)가 있음. 조조에 의해 초군으로 분리.


2. 4. 진 (서진)

266년(진 무제 태시 2년), 여음군으로 여음, 신현, 원록, 고시, 주양, 신채, 송, 포신현이 분리되고, 항현이 양군으로 이관되면서 군역이 크게 줄었다. 15현 21,500호를 거느렸다. 진 혜제 시기인 302년(진 혜제 영녕 2년), 일부 지역이 남돈군으로 분리되면서 군역이 더욱 줄었다.[27] 왕기의 손자였던 왕미가 본군의 태수로 있었다가 혜제 말기 본군을 공략하고 그 지역의 태수와 현령을 살해했다. 영가의 난 이후 후조석륵이 왕미를 격파하고 예주를 차지하면서 후조의 땅이 되었다. 이후 조적의 항쟁으로 잠시 동진이 수복했으나 북조에게 상실했다.[28] 동진 말기, 비수 대전으로 전진이 무너지고 후진, 후연 등으로 인해 화북이 혼란스러워진 틈을 타 유유가 수복하면서 동진의 땅으로 재편입되었고, 406년(동진 안제 의희 2년), 대뢰 이북에 예주를 복구하면서 예주의 속군이 되었다.[29]

진(서진) 시기 여남군 현 목록
현명한자대략적 위치비고
신식현新息縣신양시 시현군의 치소가 있었다.
남안양현南安陽縣신양시 시현안양현이 지금의 이름으로 개명되었다.
안성현安成縣주마뎬시 핑위현 서남
진양현愼陽縣주마뎬시 정양현
북의춘현北宜春縣주마뎬시 췌산현
낭릉현朗陵縣주마뎬시 췌산현
양안현陽安縣주마뎬시 췌산현과거 강나라(江國)가 있었고 현내에 강정(江亭)이 있었다.
상채현上蔡縣주마뎬시 상차이현 서남317년 주마뎬시 루난현으로 교치되어 복구되었다.
평여현平輿縣주마뎬시 핑위현과거 침자국(沈子國)이 있었고 현내에 침정(沈亭)이 있었다.
정영현定潁縣주마뎬시 시핑현 동북
구양현灈陽縣주마뎬시 쑤이핑현 동북
남돈현南頓縣저우커우시 샹청시혜제 시기 남돈군이 분리되면서 남돈군의 치소가 되었다.
여양현女陽縣저우커우시 서남
오방현吳房縣주마뎬시 쑤이핑현 동북과거 방자국(房子國)이 있었다.
서평현西平縣뤄허시 우양현 동남과거 백나라(柏國)가 있었고 현내에 용천(龍泉)이 있었다.


2. 5. 남북조 시대, 수나라

南北朝중국어 시기 북위는 여남군을 점령한 뒤 군의 치소를 상채현으로 옮겼다. 8현 15,889호 37,061명을 거느렸다.[30]

북위 시기 여남군 속현
현명한자대략적 위치비고
상채현上蔡縣주마뎬시 상차이현 서남
임려현臨汝縣
평여현平輿縣주마뎬시 핑위현
안성현安成縣주마뎬시 핑위현 서남
서평현西平縣뤄허시 우양현 동남
구양현瞿陽縣주마뎬시 쑤이핑현 동북
양안현陽安縣주마뎬시 췌산현
보성현保城縣주마뎬시 루난현 남 삼교진(三橋鎭)일대



동위 때 행태(行台)가 설치되었고 북주에서 총관부가 설치되었다. 여남군이 속한 예주는 일시적으로 '''서주(舒州)'''로 불렸다가 낙주를 예주로 고치면서 잠시 '''진주(溱州)'''로 개명되고 후에 '''채주(蔡州)'''로 개명되었다. 11현 152,785호를 거느렸다.[31]

동위, 북주 시기 여남군 속현
현명한자대략적 위치비고
여양현汝陽縣주마뎬시 루난현상채현에서 지금의 이름으로 바뀌었고 보성현(保城縣)이 통폐합되었다. 현내에 홍극피(鴻郤陂)가 있었다.
성양현城陽縣주마뎬시 비양현 서남양나라 때 설치된 현이다. 의흥현(義興縣)이 있었는데, 이 현은 초주에 소속되었다. 동위에서 서초주(西楚州)로 소속이 바뀌었고 북제 때 영주(永州)로 바뀌었다. 589년(수 문제 개황 9년), 순주(純州)가 통폐합되었다. 598년(수 문제 18년), 의흥현이 순의현으로 개명되었다. 대업초기 해당주현이 모두 통폐합되었다. 북제 때 오성군(伍城郡)이 통폐합되었다. 현내에 십장산(十丈山), 대목산(大木山)이 있었다.
진양현真陽縣주마뎬시 루난현 양축진(梁祝鎭)일대동위 때 영주(郢州)가 폐지되고 의양군이 설치되었고 북제 때 군이 보성현에 통폐합되었다. 591년(수 문제 개황 11년) 현이 폐지되었으나 596년(수 문제 개황 16년) 진구현으로 개명되었다. 대업초기 지금의 이름으로 개명되었다. 양나라 때 백구현(白狗縣)이 있었는데, 이 현은 회주에 소속되었으나 북제 때 회주가 폐지되고 제흥군(齊興郡)이 설치되면서 제흥군의 속현이 되었다. 이 제흥군은 얼마못가 폐지되었고 개황초기 백구현이 회천현으로 개명되었으나 얼마못가 통폐합되었다. 또한 북위의 안양현(安陽縣)이 있었으나 폐지되었다. 현내에 문수(汶水)가 있었다.
신식현新息縣신양시 시현북위 때 동예주가 설치되었고 양나라 때 서예주로 바뀌었다. 이후 서예주는 회주로 바뀌었고 동위는 다시 동예주로 이름을 바꿨다가 북주에서 식주(息州)로 개명되었다. 대업초기 식주가 폐지되었다. 양나라 때 설치된 전주(滇州), 북광성군(北光城郡), 북신식현(北新息縣)이 모두 통폐합되었다.
포신현褒信縣신양시 포신진(包信鎭)유송대 포신현(包信縣)으로 개명되었으나 대업초기 지금의 이름으로 개명되었다. 북제시기 장릉군(長陵郡)이 현으로 강등되 통폐합되었고, 개황초기 양나라 때 신설된 양안군(梁安郡)이 통폐합되었다. 대업초기 장릉현이 통폐합되었다.
상채현上蔡縣주마뎬시 상차이현 황부진 남일대북제 때 임려현이 폐지되었다. 개황중에 무진현(武津縣)이란 이름으로 설치되었고 대업초기 지금의 이름으로 개명되었다.
평여현平輿縣주마뎬시 핑위현 마장촌(馬庄村)일대현내에 갈피(葛陂)가 있었다.
신채현新蔡縣주마뎬시 신차이현북위 이전까지 신채군이었다가 동위 때 채주가 설치되었다. 북제 때 채주가 폐지되고 광녕군이 설치되었다. 개황초기 광녕군이 폐지되었고 596년 서주와 서현, 광녕현이 설치되었다. 601년(수 문제 인수 원년), 광녕현이 여북현(汝北縣)으로 개명되었다. 개황초기 주가 폐지되면서 여북현이 지금의 이름으로 바뀌었다. 또한 북제 때 영강현이 설치되었는데, 후에 장수현(澺水縣)으로 개명되었고 서현이 통폐합되었다.
낭산현朗山縣주마뎬시 췌산현개황초기 초안군(初安郡)이 폐지되었고 598년 안창현(安昌縣)이 지금의 이름으로 개명되었다. 양나라 때 제주(除州)가 설치되었는데 북위에서 폐지되었고 북제 때 형주가 설치되었으나 얼마못가 폐지되었다. 북주시기 위주(威州)가 설치되었으나 후에 폐지되었다.
오방현吳房縣주마뎬시 쑤이핑현본래 수녕현(遂甯縣)으로 북제시기 수의현(綏義縣)이 통폐합되었다. 대업초기 지금의 이름으로 바뀌었다.
서평현西平縣주마뎬시 시핑현 주범촌(周范村)일대북위 때의 양성군(襄城郡)이 북제 때 문성군(文城郡)으로 바뀌었으나 개황초기 폐지되었다. 598년 무양현이 지금의 이름으로 바뀌었으나 대업초기 폐지되었다. 현내에 옛 유주(洧州, 첨주(灊州)가 있었으나 북제 때 설치되었다가 개황초기 폐지되었다.



580년(대상 2년), 북주에 의해 서주가 설치되자, 여남군은 서주에 속했다.

수나라가 건국되자, 서주는 예주로 개칭되었고, 여남군은 예주에 속했다. 583년(개황 3년), 수나라가 군제를 폐지하자, 여남군은 폐지되어 예주에 편입되었다. 602년(인수 2년)에 예주는 진주로 개칭되었고, 606년(대업 2년)에 채주로 개칭되었다. 607년(대업 3년)에 주가 폐지되어 군이 설치되자, 채주는 여남군으로 개칭되었다. 여양, 성양, 진양, 신식, 포신, 상채, 평여, 신채, 낭산, 오방, 서평의 11개 현을 관할했다.

3. 속현

전한 고제 때 여남군이 설치되었다.[22] 여남군은 예주에 속했으며, 한서 지리지에 따르면 평여, 양안, 양성 등 37개 현을 관할했고, 46만 1587호, 259만 6148명이 살았다.

왕망은 여남군을 여분(汝汾) 혹은 여분(汝坟)으로 고치고 일부를 분할해 상도군을 신설했다.

후한 건국 후 여남군으로 복구되었고, 평여, 신양, 서평 등 37개 현을 관할했다. 건안 연간에 2개 현이 분리되어 '''양안군'''이 설치되기도 했다.

진 대에는 신식, 남안양, 안성 등 15개 현을 관할했다.

남조 송 때는 예주 혹은 남예주에 속했으며, 상채, 평락, 북신식 등 11개 현을 관할했다.

북위예주에 속한 여남군에 상채, 임여, 평여 등 8개 현을 두었다.

580년 (대상 2년), 북주가 서주를 설치하면서 여남군은 서주에 속했다.

는 서주를 예주로 고쳤고, 583년 (개황 3년) 군제를 폐지하여 여남군을 예주에 편입시켰다. 이후 예주는 진주, 채주로 바뀌었다가 607년 (대업 3년) 다시 여남군이 되었다. 여남군은 여양, 성양, 진양 등 11개 현을 관할했다.

621년 (무덕 4년), 왕세충을 평정하고 여남군을 예주로 고치면서 예주총관부를 설치했다. 742년 (천보 원년) 예주가 다시 여남군으로 바뀌었다가, 758년 (건원 원년) 예주로 환원되면서 여남군은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3. 1. 전한

《한서》에서는 고제가 설치했다 하고[22] 《수경》 〈여수〉의 주에서는 설치 시기를 고제 4년(기원전 204년)으로 보았으나[17] 왕국유는 이를 부정했으며, 주진학은 문제 전12년(기원전 168년) 유무를 회양나라에서 양나라로 옮겨 봉하면서 회양군을 나누어 설치되었을 것으로 추정했다.[18] 경제가 자기 아들 유비를 여남왕으로 봉했다가, 오초칠국의 난 이후 옛 오나라를 강도나라로 고쳐 유비에게 주는 대신 여남나라는 거두어 군으로 돌렸다.[19]

예주자사부에 속했다. 원시 2년(2년)의 인구조사에 따르면 46만 1587호, 259만 6148명이 있었다. 아래의 속현 목록은 《한서》 지리지의 순서를 따른 것으로 원연·수화 간(기원전 8년) 무렵의 상황으로 여겨지며, 일반적으로 첫 현이 군의 치소이다.[22] 총 38현(28현 10후국)이다. 오늘날의 주마뎬 시의 대부분, 저우커우 시의 남부와 뤄허 시의 일부, 신양 시 북부, 그리고 푸양 시 일대에 해당한다.

현명한자대략적 위치비고
평여현平輿縣주마뎬시 핑위 현 북응소에 따르면 옛 심나라(자작 봉국)가 바로 이 현의 심정(沈亭)이다.
양안현陽安縣주마뎬시 남응소에 따르면 옛 도나라가 바로 이 현의 도정(道亭)이다.
양성후국陽城侯國저우커우시 상수이 현 서유덕의 후국이다.
은강현㶏強縣뤄허시 린잉 현 동응소에 따르면 은수(㶏水)는 영천군 양성에서 나온다.
부피현富波縣푸양시 푸난 현 남동
여양현女陽縣저우커우시 상수이현 서응소에 따르면 여수(汝水)는 홍농에서 나와서 회수로 들어간다.
주양현鮦陽縣푸양시 린취안 현 서응소에 따르면 주수의 북쪽[陽]에 있다.
오방현吳房縣주마뎬시 쑤이핑 현 서맹강에 따르면 본디 방나라(자작 봉국)인데, 초나라 영왕이 방나라 자작을 초나라로 옮겼고, 오왕 합려의 아우 부개(夫概)가 초나라로 달아나자 이곳을 부개에게 봉하니, 부개는 당계씨(堂谿氏)가 되었고, 이 땅이 오나라 사람에게 봉해진 고로 오방이라 했으니, 오방성 당계정이 바로 그곳이다.
안성후국安成侯國주마뎬시 루난 현 남동왕숭의 후국이다.
남돈현南頓縣저우커우시 샹청 시 서옛 돈나라로 희성이다. 응소에 따르면 돈나라는 진나라의 핍박을 받아 남쪽으로 옮겼기 때문에 남돈이라 하는 것이고, 옛 성이 여전히 있었다.
낭릉현朗陵縣주마뎬시 췌산 현 남서응소에 따르면 낭릉산이 서남쪽에 있다.
세양현細陽縣푸양시 타이허 현 남동안사고에 따르면 거세수(居細水)의 북쪽이라서 세양이라 한다. 세수는 신처(新郪)에서 나온다.
의춘후국宜春侯國주마뎬시 루난 현 남서위항왕흔의 후국이다.
여음현女陰縣푸양시옛 호(胡)나라다. 도위의 치소가 있다.
신채현新蔡縣주마뎬시 신차이 현채 평후가 채(蔡)에서 여기로 옮겼고, 2대 후에는 하채(下蔡)로 옮겼었다.
신식현新息縣
구양현灈陽縣주마뎬시 쑤이핑 현 동응소에 따르면 구수는 오방(吳房)에서 나와 동으로 친수(瀙水)로 들어간다.
기사현期思縣신양시 구스 현 북서안사고에 따르면 옛 장(蔣)나라다.
진양현愼陽縣주마뎬시 정양 현응소에 따르면 진수(愼水)가 동북에서 나와 회수로 들어간다. 안사고는 진(愼)은 원래 진(滇)인데 나중에 잘못된 것이며, 여전히 진구(眞丘), 진양현(眞陽縣)이 있다고 한다. 감인(闞駰)은 영평 5년에 도장을 잃어버렸다가 다시 파면서 “水”가 “心”으로 잘못됐다고 한다.
신현愼縣푸양시 잉상 현 북서
소릉현召陵縣뤄허시 옌청 구 동안사고에 따르면 제 환공이 초나라를 치려고 주둔한 그 소릉이다.
익양후국弋陽侯國신양시 황촨 현 서안사고에 따르면 익산(弋山)이 서북쪽에 있으며, 옛 황(黃)나라가 이 현의 황성(黃城)이다. 임궁의 후국이다.
서평현西平縣주마뎬시 시핑 현 서철관이 있다. 응소에 따르면 백(柏)나라(자작 봉국)가 이 현의 백정(柏亭)이다.
상채현上蔡縣주마뎬시 상차이 현 남서채나라로, 채중 호 이래 18세를 지나 신채로 옮겼다.
침현𥧲縣푸양시 린취안 현응소에 따르면 손숙오의 아들이 받은 침구(浸丘) 땅이다.
서화현西華縣저우커우시 시화 현 남
장평현長平縣저우커우시 시화 현 북동
의록현宜祿縣저우커우시 단청 현 남동
항현項縣저우커우시 선추 현옛 나라다.
신처현新郪縣푸양시 타이허 현 북응소에 따르면 진나라위나라를 쳐 취한 처구(郪丘)인데 한나라에서 이름을 고쳤다.
귀덕후국歸德侯國?선제가 설치했다. 선현전의 후국이다.
신양현新陽縣푸양시 제서우 시 북응소에 따르면 신수의 북쪽이다.
안창후국安昌侯國주마뎬시 췌산 현 서장우의 후국이다.
안양후국安陽侯國주마뎬시 정양 현 남유발·주좌거·왕음의 후국이다. 응소에 따르면 옛 강(江)나라는 바로 이 현의 강정(江亭)이다.
박양후국博陽侯國저우커우시 상수이 현 동병길의 후국이다.
성양후국成陽侯國신양시 북해의(奚意)·조림·유중(劉衆)의 후국이다.
정릉현定陵縣뤄허시 옌청 구 북서고릉산(高陵山)이 있고, 여수(汝水)가 나와, 동남으로 신채에 이르러 회수로 들어가며, 남양·하남·영천·여남 네 군을 지나 1340리를 간다.
악창후국[21]樂昌侯國?세양현의 지양향(池陽鄕)이었다. 장수(張壽), 왕무(王武)의 후국이다.

[22][23]

3. 2. 후한, 조위

후한이 건국되자, 원래의 여남군으로 되돌아갔다. 여남군은 평여, 신양, 서평, 상채, 남둔, 여음, 여양, 신식, 북의춘, 강, 거양, 기사, 양안, 항, 서화, 세양, 안성, 오방, 동양, 신양, 신, 신채, 안양, 부피, 의록, 랑릉, 익양, 소릉, 정강, 사선, 송, 포신, 원록, 정의, 고시, 산상, 성보의 37개 현을 관할했다. 건안 연간에는 2개 현이 분리되어, '''양안군'''이 설치되었다.[24]

후한말 213년경, 익양현과 기사현은 익양군으로, 송, 산상, 성부현은 초군으로 분리되었다. 222년(위 문제 황초 3년), 동부지역 10개 현이 여음군으로 분리되었다가 얼마 못가 폐지되었다.

후한, 조위 시기 여남군의 현 목록
현명한자대략적 위치비고
평여현平輿縣주마뎬시 핑위현 북
신양후국新陽候國푸양시 제서우시 북
서평현西平縣뤄허시 우양현 동남203년(후한 헌제 건안 8년), 조조유표를 점령하기 위해 본현에 주둔했다. 원담, 원상기주를 두고 내전을 벌였다.[25]
상채현上蔡縣주마뎬시 상차이현 서남채나라의 옛 땅이다. 문소황후 견씨의 아버지 견일(甄逸)이 본현의 현령이었으나 견황후가 3살일 때 사망했다.[26]
남돈현南頓縣저우커우시 샹청시돈나라(頓國)의 옛 땅이다. 222년 여음군으로 분리되었다.
여음현女陰縣푸양시호나라(胡國)의 옛 땅이다. 222년 여음군으로 분리되었다.
여양현女陽縣저우커우시 서남원소, 원술 형제의 원적지이다. 222년 여음군으로 분리되었다.
신식후국新息候國신양시 시현
북의춘현北宜春縣주마뎬시 췌산현 서후한대에 의춘현이 지금의 이름으로 개명되었다.
은강후국㶏強候國뤄허시 린잉현 동
구양현灈陽縣주마뎬시 쑤이핑현 동북
기사현期思縣신양시 화이빈현 기사진(期思鎭)현내의 장향(蒋鄕)은 장나라(蒋國)의 옛 땅이다.
양안현陽安縣주마뎬시 췌산현 북과거 도정(道亭)에 나라가 있었다.
항현項縣저우커우시 선추현222년 여음군으로 분리되었다.
서화현西華縣저우커우시 시화현 남
세양현細陽縣푸양시 타이허현 동 관집진
안성후국安成侯國주마뎬시 핑위현 서남현내에 무성정(武城亭)이 있었다.
오방현吳房縣주마뎬시 쑤이핑현 동북현내에 당계정(棠谿亭)이 있었다.
주양후국鮦陽候國푸양시 린취안현 서
진양현愼陽縣주마뎬시 정양현 북
신현愼縣푸양시 잉상현 북222년 여음군으로 분리되었다.
신채현新蔡縣주마뎬시 신차이현현내에 대려정(大吕亭)이 있었다. 222년 여음군으로 분리되었다.
안양후국安陽侯國신양시 시현 서강정(江亭)은 과거 영성(嬴)을 쓰는 제후가 다스린 나라가 있었다.
부파후국富波候國푸양시 푸난현 동남후한초기 폐지되었지만 영원연간에 복구되었다.
의록현宜祿縣저우커우시 단청현 의로진(宜路鎭)일대후한초기 폐지되었지만 영원연간에 복구되었다.
낭릉후국朗陵候國주마뎬시 췌산현 남
익양후국弋陽侯國신양시 황촨현 융고향 익양고성제후가 영씨성이었던 황나라(黃)나라가 본현 황정(黄亭)에 있었다.
소릉현召陵縣뤄허시 동현내에 경정(陘亭), 안릉향(安陵鄕)이 있었다.
정강후국征羌候國저우커우시 상수이현 서현내에 안릉정(安陵亭)이 있었다.
사선후국思善候國보저우시 차오청구 고성진(古城鎭)
송공국宋公國푸양시 타이허현 예구진(倪邱鎭)일대79년(후한 장제 건초 4년), 구현(丘縣)에서 지금의 이름으로 바뀌었다. 현내에 번양정(繁陽亭)이 있었다. 조조에 의해 초군으로 분리되었다.
포신후국褒信候國주마뎬시 신차이현 남현내에 과거 나라가 있었던 뇌정(賴亭)이 있었다.
원록후국原鹿候國푸양시 푸난현 남222년 여음군으로 분리되었다.
정영후국定潁候國주마뎬시 시핑현 동북
고시후국固始候國푸양시 린취안현광무제시기 침현(𥧲縣)에서 지금의 이름으로 바뀌었다. 현내에 침구(𥧲丘)가 있었다. 222년 여음군으로 분리되었다.
산상후국山桑候國보저우시 멍청현 북본래 패군에 속했다. 현내에 하성부취(下城父聚), 수혜취(垂惠聚)가 있었다. 조조에 의해 초군으로 분리되었다.
성부현城父縣보저우시 차오청구 성부진(城父鎭)본래 패군에 속했다. 본래 이족이 차지했다. 현내에 장화태(章華台)가 있었다. 조조에 의해 초군으로 분리되었다.


3. 3. 진 (서진)

266년(진 무제 태시 2년), 여음군으로 여음, 신현, 원록, 고시, 주양, 신채, 송, 포신현이 분리되고, 항현이 양군으로 이관되면서 군역이 크게 줄었다. 15현 21,500호를 거느렸다. 진 혜제 시기인 302년(영녕 2년), 일부 지역이 남돈군으로 분리되면서 군역이 더욱 줄었다.[27] 왕기의 손자였던 왕미가 본군의 태수로 있었다가 혜제 말기 본군을 공략하고 그 지역의 태수와 현령을 살해했다. 영가의 난 이후 후조석륵이 왕미를 격파하고 예주를 차지하면서 후조의 땅이 되었다. 이후 조적의 항쟁으로 잠시 동진이 수복했으나 북조에게 상실했다.[28] 비수 대전으로 전진이 무너지고 후진, 후연 등으로 인해 화북이 혼란스러워진 틈을 타 유유가 수복하면서 동진의 땅으로 재편입되었고, 406년(동진 안제 의희 2년), 대뢰 이북에 예주를 복구하면서 예주의 속군이 되었다.[29]

진(서진) 시기 여남군 속현
현명한자대략적 위치비고
신식현新息縣신양시 시현군의 치소가 있었다.
남안양현南安陽縣신양시 시현안양현이 지금의 이름으로 개명되었다.
안성현安成縣주마뎬시 핑위현 서남
진양현愼陽縣주마뎬시 정양현
북의춘현北宜春縣주마뎬시 췌산현
낭릉현朗陵縣주마뎬시 췌산현
양안현陽安縣주마뎬시 췌산현과거 강나라(江國)가 있었고 현내에 강정(江亭)이 있었다.
상채현上蔡縣주마뎬시 상차이현 서남317년 주마뎬시 루난현으로 교치되어 복구되었다.
평여현平輿縣주마뎬시 핑위현과거 침자국(沈子國)이 있었고 현내에 침정(沈亭)이 있었다.
정영현定潁縣주마뎬시 시핑현 동북
구양현灈陽縣주마뎬시 쑤이핑현 동북
남돈현南頓縣저우커우시 샹청시혜제 시기 남돈군이 분리되면서 남돈군의 치소가 되었다.
여양현女陽縣저우커우시 서남
오방현吳房縣주마뎬시 쑤이핑현 동북과거 방자국(房子國)이 있었다.
서평현西平縣뤄허시 우양현 동남과거 백나라(柏國)가 있었고 현내에 용천(龍泉)이 있었다.


3. 4. 유송

유송 시기 여남군 속현 목록
현명한자대략적 위치직위비고
상채현上蔡縣주마뎬시 루난현
평락현平樂縣
북신식현北新息縣
진양현愼陽縣주마뎬시 정양현 북
안성현安成縣주마뎬시 핑위현 서남
남신식현南新息縣신양시 시현
낭릉현朗陵縣주마뎬시 췌산현 남
양안현陽安縣주마뎬시 췌산현 북
서평현西平縣뤄허시 우양현 동남
구양현灈陽縣주마뎬시 쑤이핑현 동북
안양현安陽縣신양시 시현 서서진대의 남안양현이 지금의 이름으로 개명되었다.



유송 시기 여남군은 11개 현, 11,291호, 89,349명을 거느렸다.[29]

3. 5. 북위

북위는 여남군을 점령한 뒤 군의 치소를 상채현으로 옮겼다. 8개 현, 15,889호, 37,061명을 거느렸다.[30]

북위 시대 여남군 속현
현명한자대략적 위치비고
상채현上蔡縣주마뎬시 상차이현 서남
임려현臨汝縣
평여현平輿縣주마뎬시 핑위현
안성현安成縣주마뎬시 핑위현 서남
서평현西平縣뤄허시 우양현 동남
구양현瞿陽縣주마뎬시 쑤이핑현 동북
양안현陽安縣주마뎬시 췌산현
보성현保城縣주마뎬시 루난현 남 삼교진(三橋鎭)일대


3. 6. 수

수나라 시기 여남군의 현
현명한자대략적 위치비고
여양현汝陽縣주마뎬시 루난현상채현에서 지금의 이름으로 바뀌었고 보성현(保城縣)이 통폐합되었다. 현내에 홍극피(鴻郤陂)가 있었다.
성양현城陽縣주마뎬시 비양현 서남양나라 때 설치된 현이다. 의흥현(義興縣)이 있었는데, 이 현은 초주에 소속되었다. 동위에서 서초주(西楚州)로 소속이 바뀌었고 북제영주(永州)로 바뀌었다. 589년(수 문제 개황 9년), 순주(純州)가 통폐합되었다. 598년(수 문제 18년), 의흥현이 순의현으로 개명되었다. 대업초기 해당 주현이 모두 통폐합되었다. 북제 때 오성군(伍城郡)이 통폐합되었다. 현내에 십장산(十丈山), 대목산(大木산)이 있었다.
진양현真陽縣주마뎬시 루난현 양축진(梁祝鎭)일대동위 때 영주(郢州)가 폐지되고 의양군이 설치되었고 북제 때 군이 보성현에 통폐합되었다. 591년(수 문제 개황 11년) 현이 폐지되었으나 596년(수 문제 개황 16년) 진구현으로 개명되었다. 대업초기 지금의 이름으로 개명되었다. 양나라 때 백구현(白狗縣)이 있었는데, 이 현은 회주에 소속되었으나 북제 때 회주가 폐지되고 제흥군(齊興郡)이 설치되면서 제흥군의 속현이 되었다. 이 제흥군은 얼마 못가 폐지되었고 개황 초기 백구현이 회천현으로 개명되었으나 얼마 못가 통폐합되었다. 또한 북위의 안양현(安陽縣)이 있었으나 폐지되었다. 현내에 문수(汶水)가 있었다.
신식현新息縣신양시 시현북위 때 동예주가 설치되었고 양나라 때 서예주로 바뀌었다. 이후 서예주는 회주로 바뀌었고 동위는 다시 동예주로 이름을 바꿨다가 북주에서 식주(息州)로 개명되었다. 대업 초기 식주가 폐지되었다. 양나라 때 설치된 전주(滇州), 북광성군(北光城郡), 북신식현(北新息縣)이 모두 통폐합되었다.
포신현褒信縣신양시 포신진(包信鎭)유송대 포신현(包信縣)으로 개명되었으나 대업 초기 지금의 이름으로 개명되었다. 북제 시기 장릉군(長陵郡)이 현으로 강등되 통폐합되었고, 개황 초기 양나라 때 신설된 양안군(梁安郡)이 통폐합되었다. 대업 초기 장릉현이 통폐합되었다.
상채현上蔡縣주마뎬시 상차이현 황부진 남일대북제 때 임려현이 폐지되었다. 개황 중에 무진현(武津縣)이란 이름으로 설치되었고 대업 초기 지금의 이름으로 개명되었다.
평여현平輿縣주마뎬시 핑위현 마장촌(馬庄村)일대현내에 갈피(葛陂)가 있었다.
신채현新蔡縣주마뎬시 신차이현북위 이전까지 신채군이었다가 동위 때 채주()가 설치되었다. 북제 때 채주가 폐지되고 광녕군이 설치되었다. 개황 초기 광녕군이 폐지되었고 596년 서주와 서현, 광녕현이 설치되었다. 601년(수 문제 인수 원년), 광녕현이 여북현(汝北縣)으로 개명되었다. 개황 초기 주가 폐지되면서 여북현이 지금의 이름으로 바뀌었다. 또한 북제 때 영강현이 설치되었는데, 후에 장수현(澺水縣)으로 개명되었고 서현이 통폐합되었다.
낭산현朗山縣주마뎬시 췌산현개황 초기 초안군(初安郡)이 폐지되었고 598년 안창현(安昌縣)이 지금의 이름으로 개명되었다. 양나라 때 제주(除州)가 설치되었는데 북위에서 폐지되었고 북제 때 형주가 설치되었으나 얼마 못가 폐지되었다. 북주 시기 위주(威州)가 설치되었으나 후에 폐지되었다.
오방현吳房縣주마뎬시 쑤이핑현본래 수녕현(遂甯縣)으로 북제 시기 수의현(綏義縣)이 통폐합되었다. 대업 초기 지금의 이름으로 바뀌었다.
서평현西平縣주마뎬시 시핑현 주범촌(周范村)일대북위 때의 양성군(襄城郡)이 북제 때 문성군(文城郡)으로 바뀌었으나 개황 초기 폐지되었다. 598년 무양현이 지금의 이름으로 바뀌었으나 대업 초기 폐지되었다. 현내에 옛 유주(洧州, 첨주(灊州)가 있었으나 북제 때 설치되었다가 개황 초기 폐지되었다.


4. 인물


  • 충황유(? ~ 기원전 114년)
  • 정당시(기원전 110년대? ~ ?)
  • 엄흔(? ~ 기원전 13년)
  • 양담(梁湛)
  • 종구
  • 전예

참조

[1] 서적 Book of Han
[2] 서적 Book of Han
[3] 서적 Book of Later Han
[4] 서적 Book of Jin
[5] 서적 Book of Wei
[6] 서적 Book of Sui
[7] 서적 New Book of Tang
[8] 서적 漢書 筑摩書房 1998
[9] 서적 漢書 筑摩書房 1998
[10] 서적 後漢書
[11] 서적 삼국지
[12] 서적 晋書
[13] 서적 宋書
[14] 서적 魏書
[15] 서적 隋書
[16] 서적 旧唐書
[17] 서적 수경주
[18] 서적 西汉政区地理 人民出版社 1987-08
[19] 서적 한서 https://zh.wikisourc[...]
[20] 서적 설문해자
[21] 문서
[22] 서적 한서
[23] 서적 汉书地理志汇释 安徽教育出版社 2006-06
[24] 서적 후한서 https://zh.wikisourc[...]
[25] 서적 삼국지 https://zh.wikisourc[...]
[26] 서적 삼국지 https://zh.wikisourc[...]
[27] 서적 진서 https://zh.wikisourc[...]
[28] 서적 진서 https://zh.wikisourc[...]
[29] 서적 송서 https://zh.wikisourc[...]
[30] 서적 위서 https://zh.wikisourc[...]
[31] 서적 수서 https://zh.wikisour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