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남관 전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진남관 전투는 1885년 3월, 청불 전쟁 중 프랑스군과 청나라군이 베트남 국경 근처 방보에서 벌인 전투이다. 프랑스군은 랑선 점령 후 진남관을 공격하려 했으나, 수적으로 우세한 청나라군의 반격에 직면하여 패배하고 랑선으로 퇴각했다. 이 전투는 프랑스군의 사기를 저하시켰고, 쥘 페리 내각의 붕괴를 가져왔으며, 청나라에게 유리한 조건으로 전쟁을 종결할 기회를 제공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랑선성 - 동당 전투
동당 전투는 1885년 청불 전쟁 중 프랑스군이 청나라군의 방어선을 뚫고 동당을 점령한 전투로, 프랑스군의 승리였으나 3주 후 진남관 전투 패배로 청불 전쟁 종결을 앞당기는 계기가 되었으며, 당시 동아시아 국제 정세의 불안정성을 보여주는 사례이다. - 랑선성 - 박레 매복
박레 매복은 1884년 6월 23일 프랑스군이 통킹 지역 박레에서 청나라 군대의 매복 공격을 받아 청불 전쟁의 직접적인 도화선이 된 사건이다. - 1885년 3월 - 풀럼타오 전투
풀럼타오 전투는 1885년 프랑스가 통킹 지역 점령을 위해 청나라와 벌인 전투로, 프랑스군이 패배하여 사기가 저하되고 쥘 페리 내각 붕괴 및 청불 전쟁 조기 종결에 영향을 미쳤다. - 1885년 3월 - 호아목 전투
호아목 전투는 1885년 청불 전쟁 중 프랑스군이 뚜옌꽝 포위 청나라군과 흑기군을 격파하기 위해 유옥 협곡의 청군 방어선을 공격, 점령하여 뚜옌꽝으로 향하는 길을 열고 포위전을 푸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 전투이다. - 1885년 베트남 - 청불 전쟁
청불 전쟁은 1880년대 프랑스가 베트남을 식민 지배하려는 과정에서 청나라와 무력 충돌한 사건으로, 프랑스의 승리로 끝나 베트남에 대한 프랑스의 보호국 지위를 인정하고 동아시아 국제 질서에 큰 영향을 미쳤다. - 1885년 베트남 - 동당 전투
동당 전투는 1885년 청불 전쟁 중 프랑스군이 청나라군의 방어선을 뚫고 동당을 점령한 전투로, 프랑스군의 승리였으나 3주 후 진남관 전투 패배로 청불 전쟁 종결을 앞당기는 계기가 되었으며, 당시 동아시아 국제 정세의 불안정성을 보여주는 사례이다.
진남관 전투 - [전쟁]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 | |
분쟁 명칭 | 진남관 전투 |
다른 명칭 | 방보 전투 |
일부 | 청불전쟁, 통킹 원정 |
날짜 | 1885년 3월 24일 |
장소 | 베트남 북부 랑선 북쪽 |
결과 | 청나라의 승리 |
교전 세력 | |
교전국 1 | [[파일:Flag of France.svg|25px]] 프랑스 |
교전국 2 | [[파일:Flag of China (1862–1889).svg|25px]] 청나라 |
지휘관 | |
프랑스군 지휘관 | 프랑수아 드 네그리에 |
청나라군 지휘관 | 반정신 |
병력 규모 | |
프랑스군 | 2,137명 |
청나라군 | 30,000명 |
피해 규모 | |
프랑스군 | 사망 74명 |
청나라군 | 사망 또는 부상 1,650명 |
추가 정보 |
2. 배경
1885년 2월, 프랑스군은 랑선을 점령하고 통킹 북부 지역을 장악했다.[22] 루이 브리에르 드 리즐 장군은 뚜옌꽝 포위전을 풀기 위해 로랑 조바니넬리 중령의 1여단을 파견하고, 프랑수아 드 네그리에 장군에게는 2여단을 이끌고 청나라 국경을 압박하도록 명령했다. 3월 초, 프랑스군은 호아목 전투와 동당 전투에서 승리했지만,[22] 전력 부족으로 인해 더 이상 진격하지 못하고 교착 상태에 빠졌다.
1885년 3월, 통킹 국경 근처에는 9개의 청나라군 부대가 집결해 있었다. 광서군 사령관 반정신은 약 25,000명에서 30,000명의 병력을 보유하고 있었고, 이는 프랑스군보다 수적으로 우세했다.
1885년 3월 23일과 3월 24일, 프랑수아 드 네그리에 장군이 지휘하는 프랑스군 2여단은 진남관 근처 방보에서 광서군과 격전을 벌였다. 이 전투는 중국에서는 '진남관 전투'로, 유럽에서는 '방보 전투'로 알려져 있다.
3월 중순, 프랑스 증원군이 통킹에 도착하면서 상황이 바뀌었다. 브리에르 드 리즐은 증원군 대부분을 흥호아로 이동시켜 1여단을 강화하고 옌바이 너머로 당경숭의 운남군을 공격할 계획이었다. 그는 드 네그리에에게 랑선을 중심으로 반정신의 광서군을 감시하도록 명령했다.
한편, 청나라군의 첩보 활동으로 프랑스군은 4만 명의 청나라군과 대치하고 있다고 판단했지만, 실제로는 2만 명 정도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프랑스군보다 수적으로 우세했다.[9]
3. 프랑스군과 청나라군
9개의 분리된 청나라군 사령부는 통킹 국경 근처의 옌끄어아이와 방보의 거대한 진지 주변에 밀집해 있었다. 그곳에 6개의 청나라 정규군 부대가 집중되어 있었다. 옌끄어아이 진영은 풍자재의 지휘 아래 10개 대대, 왕효기(王孝祺)의 지휘 아래 소규모 병력이 주둔하고 있었다. 이 두 지휘부에는 7,500여 명에 달했다. 무푸 마을 근처에서 옌끄어아이 뒤쪽으로 2km에서 3km 떨어진 곳에는 소원춘(苏元春)과 진가(陳嘉)의 지휘부에 7,000명 정도가 있었다. 무푸 뒤에 15km 떨어진 곳에는 장종한(蔣宗汉)과 방우승(方友升)의 지휘부에도 7,000여 명이 있었으며 핑샹 마을(베트남어 발음으로 빈트엉이라고 함)에 배치되었다. 광서군 사령관 반정신은 무푸에서 30km 떨어진 하이쿤에 3,500명의 병력을 배치했다. 진남관에서 서쪽으로 50km 떨어진 곳에는 위강의 지휘하에 3,500명의 병력이 아이와 마을 주위에 배치되었다. 마지막으로 통킹 내부의 진남관 동쪽에서 15km 떨어진 곳에는 왕덕방이 3,500명의 병력을 가지고 점령하고 있었다.[10]
한편, 프랑스군 2여단은 약 1,500명의 병력으로 구성되어 있었고, 보급 문제로 인해 일부 병력은 랑선과 추 사이에 분산되어 있었다. 1885년 3월 프랑스군 2여단의 전투 부대는 다음과 같았다.부대 지휘관 3행진 연대 중령 에르빈제 * 보병 23 대대 중령 고다르 * 보병 111 대대 대대장 포르 * 보병 143 대대 대대장 파레 4행진 연대 중령 도니에르 * 외인부대 2대대 대대장 디구에 * 외인부대 3대대 중령 쇼에프 * 아프리카 경보병 2대대 대대장 세르비에르 1대대, 통킹 소총병 1연대 대대장 조르나 드 라깔르 포병대 3개 포대 로페르, 드 싹시 및 마르탱 대위
조바니넬리의 1여단 중 뤼셀의 포대도 랑선에 있었다. 포대는 랑선 원정 기간 중 낙오되었고, 조바니넬리는 뚜옌꽝을 구하기 위해 1여단과 함께 출발했을 때 랑선에 포대를 남겨두었다.
세르비에르의 아프리카 2대대 4개 중대는 랑선과 추 사이에서 쇠약해졌다. 그래서 랑선까지 필수적인 프랑스 보급선을 지키고 있었고, 2월에 원정군이 진군할 끔찍한 상태의 수레 길을 닦기 위해 노력했다.
4. 방보 전투 (진남관 전투)
프랑스군은 청나라군의 방어선을 돌파하기 위해 정면 공격과 후방 공격을 동시에 시도했다. 그러나 짙은 안개와 지휘 혼란으로 인해 공격은 실패로 돌아갔다. 특히, 포르가 이끄는 111 대대는 풍자재가 직접 지휘하는 청나라군의 강력한 저항에 부딪혀 큰 피해를 입었다. 111 대대는 배낭을 내려놓고 돌격했지만, 청나라군의 집중 포화와 측면 공격을 받아 많은 사상자를 냈다.
143 대대와 외인부대 2대대 역시 청나라군의 반격으로 어려움을 겪었다. 이들은 청나라 요새를 점령하는 데 성공했지만, 111 대대의 퇴각과 청나라군의 전면적인 반격으로 인해 고립될 위기에 처했다. 외인부대 장교 패트릭 코터(Patrick Cotter) 대위는 상관의 명령을 어기고 포위된 부대를 구출하다가 전사했다.
한편, 슈에프(Schoeffer)의 외인부대 3대대는 프랑스군의 퇴로를 확보하기 위해 헌신적으로 싸웠다. 이들은 청나라군의 강력한 공격을 막아내며 다른 부대들이 무사히 퇴각할 수 있도록 도왔다.
결국 프랑스군은 많은 사상자를 내고 랑선으로 퇴각했다. 이 전투는 프랑스군의 패배로 끝났으며, 이후 청불전쟁의 전황에 큰 영향을 미쳤다.
4. 1. 전투의 전개
3월 22일, 풍자재의 지휘 아래 청나라군은 랑선에서 북쪽으로 몇 킬로미터 떨어진 동당의 프랑스 전진 기지를 급습했다. 폴 귀스타브 에르빈제 중령이 지휘하는 프랑스 기지는 대대장 디구에의 외인부대 2대대가 청나라군의 공격을 어려움 없이 격퇴했다. 드 네그리에는 에르빈제를 지원하기 위해 랑선에서 2여단의 주력을 데려와야 했으며, 즉시 반격하기로 결정했다. 청나라군을 기습하기 위해, 그는 진남관 국경 고개 근처 방보에 주둔하고 있는 광서군을 공격하기로 결정했다. 그러나 광서 지방으로 대공세를 감행할 생각은 전혀 없었다. 그의 목표는 당대의 군사용어로 동당 주변에서 간단히 ‘바람 좀 쐬는 것’(''se donner de l'air'')이었다. 방보에서 청나라군의 코피를 터뜨려 동당에서 얼씬도 못하게 한 후, 2여단과 함께 랑선으로 돌아가면 되는 것이었다.[23]
대대장 세르비에에게 아프리카 대대 2중대와 마르탱과 뤼셀의 포대만 랑선을 지키도록 남겨두고, 보급선을 보호하기 위해 보병 23 대대를 동당에 배치하게 했다. 이후 3월 23일 아침, 그는 겨우 1,600명의 병력(111, 143대대, 외인부대 2, 3대대, 로페르)과 (드 싹시의 포병대) 대포 10문을 가지고 진남관의 청나라 국경으로 진격했다. 2여단을 위한 실질적인 증원군이 이미 랑선으로 가고 있었지만, 드 네그리에는 그들을 기다리지 않기로 결정했다. 그는 3월 22일 풍자재의 격퇴로 인해, 여전히 사기가 저하되어 있는 청나라군을 공격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고 판단했다.
3월 23일과 24일, 2여단은 진남관 근처에서 광서군과 치열한 전투를 벌였다. 중국에서는 ‘진남관 전투’라고 알려진 이 교전은 유럽의 자료에서는 전투가 가장 치열했던 청나라 진지의 가운데 있는 마을의 이름을 따서 보통 ‘방보 전투’라고 불리고 있다. 프랑스군은 3월 23일 외보의 상당수를 차지했다. 끄어아이에서 온 왕덕방은 프랑스군의 오른쪽 측면 공격을 시도했지만, 성공하지 못했다.[24]
3월 24일, 드 네그리에는 방보 주변의 광서군 주요 진지를 공격했다. 그의 계획은 풍자재 군에 대한 앞뒤 동시 공격을 요구했다. 풍자재는 프랑스군에게 ‘긴 참호’로 알려진 방보 앞에 참호를 설치해 두고 있었다. 포르의 111 대대와 디구에의 외인부대 2대대가 정면 공격을 하고, 파레(Farret)의 143대대가 후방 공격을 할 것이다. 디구에와 파레를 공격 진지로 안내하라는 지시를 받은 에르빈제는 짙은 안개 속에서 두 대대를 이끌고 광활한 외곽 행군을 하다가 길을 잃었다. 드 네그리에는 에르빈제가 자신의 진지에 도달하지 못한 것을 모르고, 긴 참호까지 올라오는 청나라군 부대를 에르빈제의 2개 대대로 착각해 111 대대 대대장 포르에게 계획된 정면 공격을 실행하라고 명령했다.
111 대대의 병력들은 배낭을 내려놓고, 정렬을 한 뒤 돌격했다. 이 대대는 풍자재 보병의 집중포화를 받았고, 인근 야산에 있는 청나라 부대의 측면 포격을 받아 몇 초 만에 몇 명의 중대장을 잃었다. 111 대대의 4개 중대 중 2개 중대가 참호에 이르렀으나, 짧은 백병전을 벌인 뒤 풍자재가 직접 지휘하는 청나라군의 역공으로 저지당했다. 살아남은 프랑스 중대 선임 장교인 베르디에(Verdier, 이후 자크 아르망이라는 가명으로 《랑선 퇴각의 진실》(''La vérité sur la retraite de Lang-Son'')이라는 랑선 원정에 대한 자세한 설명을 썼음)는 흩어진 대대를 재집결시켰다. 청나라군은 프랑스군 부상자들을 참수하고 버려진 프랑스군 배낭을 약탈하는 데 열중했지만, 111 대대를 진지하게 추격하지 않았고 베르디에는 중대 패잔병들을 안전한 곳으로 철수시킬 수 있었다.
111 대대가 공격한 긴 참호 위에서 쓰러진 장교 중에는 르네 노르망(Rene Normand) 소위는 목에 총을 맞아 치명상을 입었다. 노르망은 최근 통킹에 도착한 후 1885년 2월 10일 포비의 교전에서 두각을 드러낸 신임 장교였다. 랑선을 점령하기 위한 2월 원정에 대한 생생한 설명을 포함하여 그가 통킹에서 보낸 편지 모음집은 1886년 프랑스에서 유고집으로 출판되었다.
전장의 오른쪽으로 143대 대대와 외인부대 2대대가 예상보다 몇 시간 지난 후에 도착하여 청나라 요새를 점령했다. 이것이 그날 프랑스군이 거둔 유일한 성공이었다. 오후 3시에 반정신은 111 대대가 완전히 퇴각했고, 에르빈제의 병력들이 지쳐있는 것을 보고 전면의 모든 전선에서 역공을 펼쳤다. 에르빈제의 명령은 거의 단절되었다. 143 대대 게용(Gayon) 대위의 중대는 청나라군에 포위당해 있었다. 디구에(Diguet) 외인부대 대대에 있는 아일랜드인 장교 패트릭 코터(Patrick Cotter) 대위는 게용을 운명에 맡기라는 에르빈제의 명령을 무시하고 그의 외인부대 중대를 구출하기 위해 갔다. 외인부대원들이 돌격해서, 성공적으로 게용의 병사들을 구해냈지만, 코터는 그 공격으로 사망했다. 디구에와 파레의 대대는 사다리꼴로 퇴각하며, 청나라군이 달려들지 못하게 뒤돌아 서서 계속 총을 쏘았다.
한편 동당 주변에서 프랑스 전열의 측면을 보호하라는 명령을 받은 슈에프(Schoeffer)의 외인부대 3대대는 2여단의 퇴각로를 확보하기 위해 필사적으로 싸웠다. 쇼에프의 부하들은 프랑스의 양 측면에서 공격하는 강력한 청나라군의 공격을 격퇴하여 나머지 3개 보병대대와 2개 포병대가 퇴각할 수 있게 했다. 드 네그리에 장군은 솔선수범을 보이며, 프랑스군 후위대와 함께 싸웠으며, 청나라군은 퇴각하는 프랑스군에게 결정타를 먹이지 못했다. 해질녘이 떨어지기 직전 마지막 발악을 하는 중에 쇼에프 대대의 브루네(Brunet) 대위가 총에 맞아 전사했다.[25]
패배한 프랑스군이 전투 후 다시 집결하면서 불길한 무질서 장면이 연출됐고, 드 네그리에는 그들을 진압하기 위해 날카롭게 개입해야 했다. 여단의 사기는 위태로웠고, 탄약마저 부족해지자 드 네그리에는 다시 랑선으로 퇴각하기로 결정했다. 3월 24일 저녁, 여단은 동당으로 돌아와 밤새 야영을 했다. 굶주리고, 지쳤으며, 패배로 충격을 받은 많은 프랑스군은 현실을 받아들이기 힘들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디구에의 외인부대 2대대 모리(Maury) 병장은 긴장된 반응으로 극복했다.
4. 2. 주요 격전
3월 22일, 풍자재의 지휘를 받는 청나라군은 랑선에서 북쪽으로 몇 킬로미터 떨어진 동당에서 프랑스 전진기지를 급습했다. 폴 귀스타브 에르빈제 중령이 지휘하는 프랑스 기지는 외인부대 2대대가 청나라의 공격을 격퇴했다. 드 네그리에는 에르빈제를 지원하기 위해 랑선에서 대규모의 2여단을 데려와야 했으며 즉시 반격하기로 결정했다. 청나라군을 기습하기 위해, 그는 진남관 국경 고개 근처 방보에 주둔하고 있는 광서군을 공격하기로 결정했다. 그러나 광서 지방으로 대공세를 감행할 생각은 전혀 없었다. 그의 목표는 당대의 군사용어로 동당 주변에서 간단히 ‘바람 좀 쐬는 것’(''se donner de l'air'')이었다. 방보에서 청나라군의 코피를 터뜨려 동당에서 얼씬도 못하게 한 후, 2여단과 함께 랑선으로 돌아가면 되는 것이다.[23]
드 네그리에는 3월 23일 아침, 겨우 1600명의 병력(111, 143대대, 외인부대 2, 3대대, 로페르)과 (드 싹시의 포병대) 대포 10문을 가지고 진남관의 청나라 국경으로 진격했다. 2여단을 위한 실질적인 증원군이 이미 랑선으로 가고 있었지만, 드 네그리에는 그들을 기다리지 않기로 결정했다. 그는 3월 22일 풍자재의 격퇴로 인해, 여전히 사기가 저하되어 있는 청나라군을 공격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고 판단했다.
3월 23일과 3월 24일, 2여단은 진남관 근처에서 광서군과 치열한 전투를 벌였다. 중국에서는 ‘'''진남관 전투'''’라고 알려진 이 교전은 유럽의 자료에서는 전투가 가장 치열했던 청나라 진지의 가운데 있는 마을의 이름을 따서 보통 ‘'''방보 전투'''’라고 불리고 있다. 프랑스군은 3월 23일 외보의 상당수를 차지했다. 끄어아이에서 온 왕덕방은 프랑스군의 오른쪽 측면 공격을 시도했지만, 성공하지 못했다.[24]
3월 24일의 전투에서 프랑스군은 큰 피해를 입고 패배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의 하위 문단을 참고하라.
패배한 프랑스군이 전투 후 다시 집결하면서 불길한 무질서 장면이 연출됐고, 드 네그리에는 그들을 진압하기 위해 날카롭게 개입해야 했다. 여단의 사기는 위태로웠고, 탄약마저 부족해지자 드 네그리에는 다시 랑선으로 퇴각하기로 결정했다. 3월 24일 저녁, 여단은 동당으로 돌아와 밤새 야영을 했다. 굶주리고, 지쳤으며, 패배로 충격을 받은 많은 프랑스군은 현실을 받아들이기 힘들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디구에의 외인부대 2대대 모리(Maury) 병장은 긴장된 반응을 보였다.
4. 2. 1. 111 대대의 공격
3월 24일, 드 네그리에는 방보 주변의 광서군 주 진지를 공격했다. 그의 계획은 풍자재 군에 대한 정면 및 후면 동시 공격이었다. 풍자재는 프랑스군에게 '긴 참호'로 알려진 방보 앞 참호에 병력을 배치했다. 포르의 111 대대가 정면 공격을, 파레(Farret)의 143대대가 후면 공격을 맡았다. 디구에와 파레를 공격 진지로 안내하라는 지시를 받은 에르빈제는 짙은 안개 속에서 두 대대를 이끌고 행군하다가 길을 잃었다.[24]
드 네그리에는 에르빈제가 제 위치에 도달하지 못한 것을 모르고, 긴 참호로 이동하는 청나라군 부대를 에르빈제의 부대로 착각하여 111 대대장 포르에게 계획된 정면 공격을 명령했다. 111 대대는 배낭을 내려놓고 정렬한 뒤 돌격했다. 이들은 풍자재 부대의 집중 포화와 인근 야산의 청나라 부대로부터 측면 포격을 받아 몇 초 만에 여러 중대장을 잃었다. 111 대대의 4개 중대 중 2개 중대가 참호에 도달했으나, 짧은 백병전 후 풍자재가 직접 지휘하는 청나라군의 역공으로 저지당했다.[24]
이후 랑선 원정에 대한 자세한 설명을 쓴 베르디에(Verdier, 이후 자크 아르망이라는 가명으로 《랑선 퇴각의 진실》(''La vérité sur la retraite de Lang-Son'')이라는 책을 썼다.)는 흩어진 대대를 재집결시켰다. 청나라군은 프랑스군 부상자들을 참수하고 버려진 프랑스군 배낭을 약탈하는 데 열중하여 111 대대를 추격하지 않았고, 베르디에는 중대 패잔병들을 안전한 곳으로 철수시킬 수 있었다.[24]
111 대대가 공격한 긴 참호에서 쓰러진 장교 중에는 르네 노르망(Rene Normand) 소위가 있었는데, 목에 총상을 입어 치명상을 입었다. 노르망은 최근 통킹에 도착한 후 1885년 2월 10일 랑선 원정 기간 동안 포비의 교전에서 두각을 드러낸 신임 장교였다. 랑선을 점령하기 위한 2월 원정에 대한 생생한 설명을 포함하여 그가 통킹에서 보낸 편지 모음집은 1886년 프랑스에서 유고집으로 출판되었다.[24]
4. 2. 2. 143 대대와 외인부대 2대대의 분투
3월 24일, 드 네그리에는 방보 주변의 광서군 주력 진지를 공격했다. 이 공격은 풍자재 군에 대한 정면 및 후면 동시 공격을 계획한 것이었다. 풍자재는 프랑스군에게 '긴 참호'로 알려진 방보 앞 참호를 설치해 두고 있었다. 포르의 111 대대와 디구에의 외인부대 2대대가 정면 공격을, 파레(Farret)의 143대대가 후방 공격을 맡을 예정이었다. 그러나 디구에와 파레를 공격 진지로 안내해야 했던 에르빈제는 짙은 안개 속에서 두 대대를 이끌고 행군하다 길을 잃었다.[24]
에르빈제가 제시간에 도착하지 못했음을 알지 못한 드 네그리에는 긴 참호로 접근하는 청나라군 부대를 에르빈제의 부대로 오인하고, 111 대대장 포르에게 정면 공격을 명령했다. 111 대대는 배낭을 내려놓고 정렬한 뒤 돌격했지만, 풍자재 보병의 집중 포화와 인근 야산의 청나라 부대의 측면 포격을 받아 큰 피해를 입었다. 111 대대의 4개 중대 중 2개 중대가 참호에 도달했으나, 풍자재가 직접 지휘하는 청나라군의 역공으로 저지당했다. 111대대의 베르디에(Verdier)는 흩어진 대대를 재집결시켰다. 청나라군은 프랑스군 부상자들을 참수하고 버려진 프랑스군 배낭을 약탈하는 데 열중하여 111 대대를 추격하지 않았고, 베르디에는 중대 패잔병들을 안전하게 철수시킬 수 있었다.[24] 이 공격에서 르네 노르망(Rene Normand) 소위는 목에 총상을 입고 치명상을 입었다.[24]
한편, 전장 오른쪽에서는 143 대대와 외인부대 2대대가 뒤늦게 도착하여 청나라 요새를 점령했다. 그러나 오후 3시, 반정신은 111 대대가 완전히 퇴각했고, 에르빈제의 병력이 지쳐있는 것을 보고 전면적인 반격을 펼쳤다. 143 대대 게용(Gayon) 대위의 중대가 청나라군에 포위당했으나, 외인부대 장교 패트릭 코터(Patrick Cotter) 대위가 에르빈제의 명령을 무시하고 자신의 외인부대 중대를 이끌고 구출에 성공했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코터는 전사했다. 디구에와 파레의 대대는 사다리꼴로 퇴각하며, 청나라군이 접근하지 못하게 뒤돌아 서서 계속 총을 쏘았다.[24]
동당 주변에서 프랑스 전열의 측면을 보호하라는 명령을 받은 슈에프(Schoeffer)의 외인부대 3대대는 2여단의 퇴각로를 확보하기 위해 필사적으로 싸웠다. 쇼에프의 부하들은 강력한 청나라군의 공격을 격퇴하여 나머지 3개 보병대대와 2개 포병대가 퇴각할 수 있게 했다. 드 네그리에 장군은 솔선수범을 보이며, 프랑스군 후위대와 함께 싸웠으며, 청나라군은 퇴각하는 프랑스군에게 결정타를 먹이지 못했다. 해질녘 직전 마지막 격전에서 쇼에프 대대의 브루네(Brunet) 대위가 총에 맞아 전사했다.[25]
4. 2. 3. 외인부대 3대대의 활약
쇼에프의 외인부대 3대대는 동당 주변에서 프랑스군의 퇴로를 확보하기 위해 헌신적으로 싸웠다.[25] 쇼에프의 부하들은 프랑스군 양쪽에서 공격해 오는 강력한 청나라군의 공격을 격퇴하여, 다른 3개 보병대대와 2개 포병대가 무사히 퇴각할 수 있도록 도왔다. 드 네그리에 장군은 솔선수범하여 프랑스군 후위대와 함께 싸웠으며, 청나라군은 퇴각하는 프랑스군에게 결정적인 타격을 주지 못했다. 해질녘 직전 마지막 공격에서 쇼에프 대대의 브루네 대위가 전사했다.[25]
5. 사상자
프랑스군은 이틀간의 전투에서 전사자 74명(장교 7명 포함), 부상자 213명(장교 6명 포함)으로 상당한 피해를 입었다.[14] 사상자 대부분(전사 70명, 부상 188명)은 3월 24일에 발생했다.[14] 가장 큰 피해를 본 부대는 111 대대(전사 31명, 부상 58명)와 외인부대 2대대(전사 12명, 부상 68명)였다.[14] 143 대대(전사 17명, 부상 48명)와 외인부대 3대대(전사 12명, 부상 34명)에서도 상당한 사상자가 발생했다.[14]
전사하거나 치명상을 입은 장교는 다음과 같다.
- 111 대대: 메일라(Mailhat) 대위, 라이노(Raynaud) 박사, 카넹(Canin) 중위, 르네 노르망(Rene Normand) 소위
- 143 대대: 테보(Thébaut) 중위
- 외인부대 2대대: 패트릭 코터(Patrick Cotter) 대위
- 외인부대 3대대: 브루네(Brunet) 대위[14]
부상당한 장교는 다음과 같다.
- 통킹 소총병 부대: 대대장 노토(Tonnot)
- 111 대대: 드 콜롬(de Colomb) 중위, 망젠(Mangin) 중위
- 143 대대: 브루노(Bruneau) 소위, 두리옹(Durillon) 중위
- 외인부대 2대대: 꼬미냥(Comignan) 소위[14]
망젠 중위는 전투 후 며칠 뒤 부상당한 다리를 절단하는 수술에 따른 쇼크로 랑선에서 사망했다.[14]
전투 중 청나라군 사상자에 대한 프랑스 측 추정치는 약 1,650명이었다.[20]
6. 랑선 퇴각
1885년 3월 28일, 낄루아 전투(기르아 전투)[17]에서 드 네그리에 장군이 심각한 부상을 입자, 폴 구스타브 에르빈제(Paul-Gustave Herbinger) 중령이 제2여단의 지휘권을 인수받았다. 에르빈제는 즉시 껩과 추로의 퇴각을 명령했다. 방보 전투의 패배는 에르빈제에게 제2여단이 랑선에서 고립될 수 있다는 확신을 심어주었다. 이 전투는 랑선 철수로 이어지는 길을 열었고, 쥘 페리 행정부가 통킹 사건으로 3월 30일에 붕괴되는 결과를 초래했다.[1]
7. 결과 및 영향
방보 전투와 랑선 철수는 프랑스군의 사기를 크게 떨어뜨렸고, 통킹에서의 프랑스군 지위를 약화시켰다.[18] 이 소식은 프랑스에 큰 충격을 주어, 쥘 페리 내각은 1885년 3월 30일 통킹 문제에 대한 불신임으로 붕괴되었다.[18] 이는 청나라에게 유리한 조건으로 전쟁을 종결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했다. 비록 전쟁의 대부분 전투에서 프랑스군이 승리했지만, 방보 전투의 패배는 청나라가 전쟁에서 거의 승리한 것과 같은 인상을 주었다.[18] 2017년, 이 전투를 배경으로 한 중국 영화 《용의 전쟁 1885》가 제작되었다.
8. 평가
청불전쟁에서 방보 전투와 랑선 퇴각은 중요한 전환점으로 평가된다. 프랑스군의 패배는 지휘관의 오판, 정보 부족, 그리고 청나라군의 강력한 저항 때문이었다.
1885년 3월, 프랑스군은 호아 목 전투와 동당 전투에서 승리했지만, 통킹의 군사 상황은 교착 상태였다. 증원군이 도착하여 프랑스군은 서부 공세를 계획했으나, 그동안 랑선 주변의 중국군은 병력을 증강했다. 프랑스군은 중국군의 병력을 과대평가했지만, 실제 병력도 프랑스군을 압도하기에 충분했다.
방보 전투에서 프랑스군이 패배하고, 기르아 전투에서 프랑수아 드 네그리에 장군이 부상을 입자, 후임 지휘관은 랑선에서 철수하기로 결정했다. 이는 쥘 페리 행정부의 붕괴를 초래한 통킹 사건으로 이어졌다.
이러한 사건들은 프랑스 국내 정치에 큰 영향을 미쳤고, 식민지 정책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1]
참조
[1]
서적
Late Ch'ing, 1800–1911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2-01-18
[2]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www.gmw.cn/01[...]
2004-10-13
[3]
웹사이트
蘇元春-中文百科在線
http://www.zwbk.org/[...]
2016-06-02
[4]
웹사이트
清朝抗法英雄---苏元春
http://www.360doc.co[...]
[5]
웹사이트
苏元春——清朝官员曾"蒙冤受诬"
http://www.365lishi.[...]
2016-06-02
[6]
간행물
戰爭事典:036
[7]
문서
Armengaud, 40–58; Bonifacy, 23–6; Harmant, 211–35; Lecomte, 428–53 and 455; Maury, 185–203; ''Notes'', 32–40
[8]
문서
Lecomte, 408–15; Thomazi, ''Conquête'', 250–2; ''Histoire militaire'', 110–11
[9]
문서
Lung Chang, 336
[10]
문서
Lung Chang, 334
[11]
문서
Armengaud, 39–40; Harmant, 203–9; Lecomte, 420–8; ''Notes'', 31–2
[12]
문서
Lecomte, 425–8
[13]
문서
Lecomte, 428–35
[14]
문서
Lecomte, 450–2
[15]
문서
Maury, 202–3
[16]
문서
Bonifacy, 25–6; Lecomte, 453
[17]
서적
Modern Chinese warfare, 1795–1989
https://books.google[...]
Psychology Press
2012-01-18
[18]
서적
Late Ch'ing, 1800-1911
https://books.google[...]
캠브릿지 대학교 출판부
2012-01-18
[19]
웹인용
Archived copy
https://www.manchuar[...]
2017-05-15
[20]
간행물
Shipborne Weapons Defense Review(舰载武器·军事评论)
2013-11
[21]
문서
Armengaud, 40–58; Bonifacy, 23–6; Harmant, 211–35; Lecomte, 428–53 and 455; Maury, 185–203; ''Notes'', 32–40
[22]
문서
Lecomte, 408–15; Thomazi, ''Conquête'', 250–2; ''Histoire militaire'', 110–11
[23]
문서
Armengaud, 39–40; Harmant, 203–9; Lecomte, 420–8; ''Notes'', 31–2
[24]
문서
Lecomte, 428–35
[25]
문서
Lecomte, 450–2
[26]
문서
Maury, 202–3
[27]
문서
Bonifacy, 25–6; Lecomte, 453
[28]
서적
Modern Chinese warfare, 1795-1989
https://books.google[...]
Psychology Press
2012-01-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