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수경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추수경은 명나라의 무관으로, 임진왜란과 정유재란에 참전하여 공을 세운 인물이다. 1552년에 음서로 관직에 입문하여, 임진왜란 당시 이여송의 부장으로 조선에 파병되어 곽산 전투, 평양성 전투 등에서 활약했다. 정유재란 때 전주 전투에서 중상을 입고 전주사고를 지키다 순국했으며, 사후 충장공의 시호를 받았다. 완산부원군에 추봉되었고 호성공신에 추서되었으며, 전라북도 완주군 봉동읍 은하리에 묘역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구이저우성 출신 - 류위신 (가수)
1997년 중국 구이저우성에서 태어난 류위신은 예술가 집안 출신으로 어린 시절부터 음악과 무용에 재능을 보였으며, 2016년 걸그룹 레이디비즈로 데뷔, 2020년에는 아이치이 서바이벌 프로그램 《청춘유니 시즌 2》에서 1위를 차지하며 프로젝트 걸그룹 THE9의 센터로 활동 후 솔로 가수로서 전통 중국 음악과 현대 팝을 결합한 실험적인 음악과 퍼포먼스로 활동하며 2024년 코첼라 밸리 뮤직 앤드 아츠 페스티벌에 출연하는 등 국제적인 활동도 펼치는 중국 가수이자 댄서, 배우이다. - 구이저우성 출신 - 허잉친
장제스의 심복이었던 허잉친은 중국 국민당의 군인이자 정치인으로, 국민혁명군 내 고위직을 역임하며 권력을 유지하는 데 기여했지만, 만주사변 이후 일본과의 협상에서 친일 행보를 보였다는 비판을 받기도 했으며, 중일 전쟁 종전 후 중국 육군 총사령관으로서 일본의 항복을 받고 국공내전 이후에는 타이완으로 이주했다. - 명나라의 군인 - 원숭환
원숭환은 명나라 말기에 활약한 장군으로, 닝위안 전투에서 후금 군대를 격퇴하고 요동 방어에 기여했으나 모반 혐의로 처형된 인물이다. - 명나라의 군인 - 양호 (명나라)
양호는 명나라의 군인이자 관료로, 임진왜란 당시 경리로서 조선에 파병되었으며, 요동 경략으로 후금 토벌에 나섰으나 사르후 전투에서 패배하여 처형되었다.
추수경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한글 | 추수경 |
한자 | 秋水鏡 |
문화관광부 2000년식 표기 | Chusu-gyeong |
매큔-라이샤워 표기 | Ch'usu-gyŏng |
인물 정보 | |
원어명 | 秋水鏡 |
임기 | 1592년 1월 19일 ~ 1598년 1월 31일 |
출생일 | 1530년 |
출생지 | 명나라 귀주성 오현군 칠성동 |
사망일 | 1600년 9월 9일 (70세) |
사망지 | 조선 전라도 전주부 |
본관 | 전주 |
자 | 청하(淸河) |
호 | 세심당(洗心堂) |
군주 | 만력제 |
직업 | 군인 겸 정치인 |
종교 | 유교(성리학) |
자녀 | 추로(秋蘆), 추적(秋荻), 추국(秋菊), 추지(秋芝), 추란(秋蘭) |
부모 | 아버지 추천일(秋天日) |
직책 | 前 명 제국 총병아장 |
정당 | 무소속 |
2. 생애
1552년 음서로써 명나라 관료 직에 입문한 그는 1591년(조선 선조 24) 명나라의 무강자사(武康刺史)가 되었다.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이여송의 부장(副將)으로서 명나라 총병아장(摠兵亞將)으로 아들 5형제와 함께 조선에 파병되었다.[2] 1593년 곽산 전투에서 왜적을 격파하고, 김응서와 함께 평양성을 탈환하였으며, 개성ㆍ한양 수복작전에 참여하는 등 전공을 세웠다.[2] 1598년 정유재란 때 전주 전투에서 왜군 기습을 받아 중상을 입고, 전주사고(全州史庫)를 지키다가 1600년 조선에서 순국했다.[2] 추수경 장군의 묘역은 전라북도 완주군 봉동읍 은하리에 있다.[3] 시호(諡號)는 충장공(忠壯公)이다.
2. 1. 임진왜란 참전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이여송의 부장(副將)으로서 명나라 총병아장(摠兵亞將)으로 아들 5형제와 함께 조선에 파병되었다.[2] 1593년 곽산 전투에서 왜적을 격파하고, 김응서와 함께 평양성을 탈환하였으며, 개성ㆍ한양 수복작전에 참여하는 등 전공을 세웠다.[2]2. 2. 정유재란 순국
1598년 정유재란 때 전주 전투에서 왜군 기습을 받아 중상을 입고, 전주사고(全州史庫)를 지키다가 1600년 조선에서 순국했다.[2] 추수경 장군의 묘역은 전라북도 완주군 봉동읍 은하리에 있다.[3] 시호(諡號)는 충장공(忠壯公)이다.3. 가계
고려 충렬왕 때 민부상서(民部尙書)·예문관제학(藝文館提學)을 지낸 추적의 7대손이다. 추적의 손자인 추유(秋濡)는 중국으로 건너가 명나라 개국공신이 되었고, 벼슬이 호부상서(戶部尙書)에 이르렀다.
- 증조부 : 추섭(秋燮)
- 조부 : 병부상서 추서(秋墅)
- 부 : 이부시랑 추천일(秋天日)
- 아들 : 추로(秋蘆)
- 아들 : 추적(秋荻)
- 아들 : 추국(秋菊)
- 아들 : 추지(秋芝)
- 아들 : 추란(秋蘭)
3. 1. 가족 관계
증조부는 추섭(秋燮)이다. 조부는 병부상서 추서(秋墅)이다. 아버지는 이부시랑 추천일(秋天日)이다. 아들로는 추로(秋蘆), 추적(秋荻), 추국(秋菊), 추지(秋芝), 추란(秋蘭)이 있다.4. 사후 추모 및 평가
추수경 장군은 용맹함과 충성심을 인정받아 사후 완산부원군에 추봉되었고,[4] 1604년(선조 37) 호성공신에 추서되었다.
4. 1. 제향
완산부원군(完山府院君)에 추봉되었고,[4] 1604년(선조 37) 호성공신에 추서되었다. 부여의 충현사(忠賢祠)에 제향되었다.5. 문화재
추수경 장군의 묘역은 전라북도 완주군 봉동읍 은하리에 있으며, 전라북도 지정문화재 기념물 제94호이다.[5]
6. 기타
6. 1. 더불어민주당과의 관계
참조
[1]
뉴스
추수경(秋水鏡) 장군 묘역 성역화 준공
https://n.news.naver[...]
2022-05-31
[2]
뉴스인용
壬亂 영웅 추수경 장군 충절 기린다
https://news.naver.c[...]
매일경제
2004-11-09
[3]
뉴스인용
임진난 왜적 물리친 추수경 장군 묘역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04-11-05
[4]
뉴스인용
추수경(秋水鏡) 장군 묘역 성역화 준공
http://news.naver.co[...]
연합뉴스
2004-11-05
[5]
문화재
문화재청 문화재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