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추크주 (미크로네시아 연방)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추크주는 미크로네시아 연방을 구성하는 4개 주 중 하나로, 오스트로네시아인이 정착한 기원전 2세기부터 역사가 시작되었다. 16세기 스페인의 지배를 거쳐 독일, 일본의 식민 통치를 받았으며,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에는 미국의 신탁 통치를 받았다. 1979년 미크로네시아 연방이 설립되었고, 1986년 미국과의 자유 연합 협정을 통해 독립했다. 현재 추크주는 미크로네시아 연방으로부터의 독립을 추진하고 있으며, 40개의 기초 자치 단체로 구성되어 있다. 주요 산업은 관광업이며, 특히 제2차 세계 대전 난파선이 있는 추크 석호에서의 다이빙 관광이 유명하다. 추크어와 기독교가 주를 이루며, 전통적인 영혼 숭배 신앙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추크주 (미크로네시아 연방) - 웨노
    웨노는 미크로네시아 연방 추크주 주도로, 추크 제도에 속하며 추크 국제공항이 위치하고, 열대 우림 기후를 띠며 다이빙 관광이 발달했고, 여러 학교와 미크로네시아 연방 칼리지가 있는 섬이다.
  • 추크주 (미크로네시아 연방) - 추크어
    추크어는 오스트로네시아어족 미크로네시아어군에 속하며, 어두에 겹자음이 오는 특징을 가진 언어이다.
  • 미크로네시아 연방의 주 - 폰페이주
    폰페이주는 미크로네시아 연방의 네 개 주 중 하나로, 태평양 중서부 캐롤라인 제도 동쪽 끝에 위치하며 폰페이 섬과 여러 섬, 환초로 구성되어 다양한 식민 통치 역사를 거쳤고 난마돌 같은 미크로네시아 문명 유적을 보유하고 있다.
  • 미크로네시아 연방의 주 - 야프주
    야프주는 미크로네시아 연방 최서단에 위치한 네 개 주 중 하나로, 네 개의 주요 섬과 134개의 작은 섬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과거 돌 화폐를 사용했고 여러 나라의 통치를 거쳐 1986년에 독립한 민주주의 국가이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추크주 (미크로네시아 연방) - [지명]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추크 주의 기
추크 주의 기
이름추크 주
현지 이름Chuuk State
별칭영어: State of Chuuk
일본어: チューク州
행정 구역
행정 유형
주도웨노
지리
면적121.5 km²
인구
총 인구48,654명 (2010년)
인구 밀도자동 계산
인구 통계추크인
정치와 행정
주지사알렉산더 R. 나르훈 (2021년 이후)
공용어영어, 추크어
헌법CONSTITUTION OF THE STATE OF CHUUK
역사
지구로1947년 4월 2일
주 설립1979년 5월 10일
기타 정보
시간대+10
우편 번호96942
ISO 코드FM-TRK
웹사이트공식 웹사이트

2. 역사

오스트로네시아인들이 섬 멜라네시아의 라피타 문화에서 와서 추크주에 처음 정착한 것으로 여겨진다. 이후 스페인독일 제국의 식민 통치를 거쳤다. 제1차 세계 대전이 시작되자 일본 제국 해군이 추크주를 무혈 점령하여 1914년에 트루크 관구를 설정하고 군정을 시작, 1918년에 민정으로 이행했다.[30] 1922년 국제 연맹의 위임 통치 행정 기관으로 남양청이 발족하자 트루크 지청 관할 지구로 편입되었다.[30]

위임 통치 하에서 전기, 수도, 학교병원 등 근대적인 사회 기반 시설이 확충되었고, 현지에서의 농업과 어업을 중심으로 하는 산업 개발이 추진되었다.[30] 제2차 세계 대전 중인 1943년에는 지청들이 통합되어 동부 지청 관할 지구의 일부가 되었다.[30]

1945년 9월 2일 일본이 항복한 후, 미국 육군의 통치하에 놓였다가 1947년 태평양 제도 신탁통치령을 구성하는 6개 지구 중 하나인 트럭 지구가 되었다. 1979년 5월 10일, 미크로네시아 연방 헌법 발효와 동시에 트럭 주가 탄생했으며, 1989년 10월 1일 주 명칭을 현지어 명칭인 "추크"로 변경하는 것을 포함한 새로운 주 헌법이 발효되었다.

2. 1. 원주민 정착

오스트로네시아인들이 섬 멜라네시아의 라피타 문화에서 와서 추크주에 처음 정착한 것으로 여겨진다.[2] 고고학적 증거에 따르면 페펜과 위네 섬에는 기원전 2세기와 1세기에 인류가 정착했다. 이후 14세기경 추크 문화가 형성되면서 추크 전역에 광범위한 인류 정착지가 나타났다.[3]

2. 2. 스페인 식민 통치 (16세기~19세기)

1528년 8월 또는 9월, 스페인의 알바로 데 사아베드라[4][5]가 ''플로리다'' 호를 타고 항해하면서 유럽인에게 처음 목격되었다. 1565년 1월 15일에는 스페인인 알론소 데 아레야노[6][7]가 갤리온선 파타체 산 루카스를 타고 추크를 방문했다.

캐롤라인 제도[8]의 일부로서 추크는 스페인 제국의 영토였으나, 19세기 후반까지 실질적인 통치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당시 추크에는 오스트로네시아인계 추크인들이 거주하며 간헐적인 전쟁을 벌였고, 소수의 외국 상인과 가톨릭교회 선교사들이 있었다. 스페인의 통제는 명목상에 그쳤으며, 1886년에 국기를 게양하고 1895년에 부족 간 분쟁 중재를 시도했으나, 주요 정착지는 건설되지 않았다. 추크의 전통적인 생활 방식은 독일 식민 시대까지 계속되었다.

2. 3. 독일 식민 통치 (1899년~1914년)

1899년 스페인-미국 전쟁에서 필리핀을 잃은 스페인이 태평양에서 철수하면서 캐롤라인 제도독일 제국에 매각했다.[9] 독일은 이 영토를 독일령 뉴기니에 편입시켰다.[10]

2. 4. 일본 위임 통치 (1914년~1945년)

제1차 세계 대전이 시작되자 일본 해군이 추크주를 무혈 점령하여, 1914년에 트루크 관구를 설정하고 군정을 시작했으며, 1918년에 민정으로 이행했다.[30] 1922년 국제 연맹의 위임 통치 행정 기관으로 남양청이 발족하자 트루크 지청 관할 지구로 편입되었다.[30]

위임 통치 하에서 전기, 수도, 학교병원 등 근대적인 사회 기반 시설이 확충되었고, 동시에 현지에서의 농업, 어업을 중심으로 하는 산업 개발이 추진되었다.[30] 제2차 세계 대전 중인 1943년에는 지청들이 통합되어 동부 지청 관할 지구의 일부가 되었다.[30]

추크주의 인구 추이[30]
연도인구
192014,788
192514,961
193015,200
193515,129



일본의 통치는 현지 주민들의 문화와 전통을 존중하지 않았으며, 강제 노동과 차별 정책을 시행했다는 비판도 있다.

2. 5. 미국 신탁 통치 (1947년~1986년)

미크로네시아 연방추크주, 얍주, 코스라에주, 폰페이주를 포함하여 1979년에 설립되었으며, 1986년 11월 3일 미국과 자유 연합 협정을 체결했다.[11]

2. 6. 미크로네시아 연방 독립 (1979년~현재)

미크로네시아 연방은 1979년에 추크주, 얍주, 코스라에주, 폰페이주를 포함하여 설립되었으며, 1986년 11월 3일에 발효된 자유 연합 협정을 미국과 체결했다.[11]

최근 추크주는 독립을 더욱 강력하게 추진하고 있다. 독립 주민투표는 원래 2015년 3월 3일 연방 선거와 동시에 실시될 예정이었으나, 2019년 3월 5일로 연기되었다. 독립 주민투표는 2022년 3월로 다시 연기되었으며, 날짜는 추후 발표될 예정이고, 제안된 분리 독립의 합헌성이 결정될 것이다.[11]

2. 7. 독립 운동 (2015년~)

최근 추크주에서는 미크로네시아 연방으로부터의 독립을 요구하는 움직임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독립 주민투표는 원래 2015년 3월 3일 연방 선거와 동시에 실시될 예정이었으나, 2019년 3월 5일로 연기되었다. 독립 주민투표는 2022년 3월로 다시 연기되었으며, 날짜는 추후 발표될 예정이고, 제안된 분리 독립의 합헌성이 결정될 것이다.[11]

일부 주민들은 폰페이 주 중심의 미크로네시아 연방 정치와 연방 정부에 불만을 품고 독립 운동을 전개하고 있다. 2015년 3월 3일에 독립 여부를 묻는 주민 투표가 실시될 예정이었으나,[31] 직전에 연기 발표되었다.[32] 다시 2019년 3월 5일에 실시될 예정이었지만, 역시 연기되었고,[33][34] 2020년 3월에 실시될 예정이었다.[35] 그러나 연방 정부의 동의를 얻지 못했다며 세 번째 연기가 결정되었고,[36] 2022년 안에 투표가 실시될 예정이었다. 하지만, 추크주가 미크로네시아로부터 독립하는 데 필요한 법안 심의는 진전되지 않고, 정치적으로 우선해야 할 과제로도 인식되지 않아 성립될 전망이 없는 데다, 투표 실시에 필요한 조직이나 시스템 검토도 진행되지 않아 주민 투표는 사실상 좌절된 상태에 있다.[37]

2018년에는 주미크로네시아 미국 대사 로버트 라일리(Robert Riley)는 독립한 추크주에는 미크로네시아나 마셜 제도, 팔라우와 같은 자유 연합 지위는 부여되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을 제시했다.[37]

3. 지리

추크주의 웨노 섬


추크주의 지프 섬


추크 주는 미크로네시아 연방의 한 주로, 서쪽에는 얍 주, 동쪽에는 폰페이 주가 있다. 더 동쪽에는 코스라에 주가 위치한다.

추크 주의 주요 인구 중심지는 추크 석호이며, 산악 섬들이 보초 위에 섬들이 줄지어 있는 대규모 군도이다. 추크 석호는 서쪽의 파이추크와 동쪽의 나모네아스로 나뉜다. 추크 주는 추크 제도 외에도 남동쪽의 모틀록 제도, 북쪽의 홀 제도(파펭), 북서쪽의 나모누이토 환초, 서쪽의 파티우 지역 등 여러 "외곽 섬" 그룹을 포함한다. 파티우 지역은 폴라프, 타마탐, 폴루와트, 후크 섬을 포함하며, 얍의 외딴 섬과 문화적으로 관련이 깊고 태평양에서 가장 전통적인 섬들 중 일부를 가지고 있다.

추크 주는 경도를 호주 시드니와 공유하며, 특히 CBD를 포함한 도시의 동부 지역과 동일하다. 추크 주(미크로네시아 연방)의 영역은 동경 148도 동쪽, 154도 서쪽, 적도 북쪽, 북위 11도 남쪽에 위치한다. 서쪽은 얍 주, 동쪽은 폰페이 주, 남쪽은 파푸아뉴기니의 뉴아일랜드 주와 접한다. 에서 약 1,000km 동남쪽에 위치해 있다.

3. 1. 추크 제도



추크 제도는 주 인구의 약 4분의 3이 거주하며, 장경 약 64km의 보초로 둘러싸인 화산섬 군이다. 동부의 나모네아스 제도(구 사계절 제도)와 서부의 파이추크 제도(구 칠요 제도)로 크게 나뉜다. 제주도성산일출봉처럼 화산 활동으로 형성된 섬들이 특징이다. 추크 제도 북쪽으로는 홀 제도, 북서쪽으로는 나모누이토 환초(구 오롤 제도), 서쪽으로는 프라프 환초, 풀루와트 환초(구 엔더비 제도), 풀루사크 환초, 동남쪽으로는 나모 섬, 로삽 환초, 나모루크 환초, 모트록 제도(사타완 환초 등)가 있다.

나모누이토 환초는 캐롤라인 제도 최대의 환초이다[29]

3. 2. 파이추크 제도

추크 제도 서쪽에 위치하며, 폴라프, 타마탐, 폴루와트, 후크 섬을 포함한다. 이 섬들은 태평양에서 가장 전통적인 섬들 중 일부이며, 얍의 외딴 섬과 문화적으로 관련이 있다. 특히 폴루와트와 폴라프는 태평양 최고의 항해사와 원양 아웃리거 카누를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파티우 지역의 섬과 얍의 일부 섬에는 마지막 두 개의 남은 항해 학교인 웨리엥과 파알루시가 있다. 후크는 파티우 지역에서 가장 접근하기 쉬운 비행장을 가지고 있으며, 비행기가 1~2주마다 착륙한다.[1]

3. 3. 노모네아스 제도

추크 석호의 주요 지리적 및 방언적 구분은 서쪽 섬인 파이추크와 동쪽 섬인 나모네아스이다.

3. 4. 외곽 섬

추크 주는 추크 석호 외에도 인구가 희소하고 접근성이 떨어지는 여러 "외곽 섬" 그룹을 포함하는데, 북쪽의 홀 제도(파펭), 북서쪽의 나모누이토 환초, 남동쪽의 모틀록 제도 등이 있다.

3. 4. 1. 모틀록 제도

추크 주는 남동쪽에 모틀록 제도를 포함한다.

3. 4. 2. 나모누이토 환초

나모누이토 환초는 캐롤라인 제도에서 가장 큰 환초이다.[29]

3. 4. 3. 파티우 지역

파티우 지역은 태평양에서 가장 전통적인 섬들 중 일부를 포함하고 있으며, 얍의 외딴 섬들과 문화적으로 관련이 있다는 점에서 특히 흥미롭다. 이 지역에는 폴라프, 타마탐, 폴루와트, 후크 섬이 속한다. 폴루와트와 폴라프는 태평양 최고의 항해사와 원양 아웃리거 카누를 보유한 곳으로 여겨질 만큼, 이 지역에는 전통 항해사들이 여전히 남아있다. 파티우 지역의 섬들과 얍의 일부 섬에는 마지막 두 개의 남은 항해 학교인 웨리엥과 파알루시가 있다. 그러나 교통 수단이 부족하여 서쪽 파티우 지역을 방문하기는 어렵다. 후크는 파티우 지역에서 가장 접근하기 쉬운 비행장을 가지고 있으며, 1~2주마다 비행기가 착륙한다.

4. 기후

추크주는 연중 고온 다습한 열대 해양성 기후를 보인다. 월평균 기온은 27.6°C로 연중 큰 변화가 없으며, 연 강수량은 3525mm에 달한다.

추크주 웨노의 기후[38][39]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연간
평균 최고 기온 (°C)29.9°C29.9°C30.2°C30.4°C30.7°C30.7°C30.6°C30.7°C30.7°C30.7°C30.7°C30.2°C30.4°C
평균 기온 (°C)27.4°C27.5°C27.6°C27.7°C27.8°C27.7°C27.4°C27.4°C27.5°C27.6°C27.7°C27.6°C27.6°C
평균 최저 기온 (°C)24.9°C25°C25.1°C25°C24.9°C24.6°C24.2°C24.2°C24.2°C24.3°C24.6°C25°C24.7°C
평균 강수량 (mm)228mm163mm230mm291mm354mm301mm365mm350mm307mm361mm282mm293mm3525mm
평균 상대 습도 (%)78.777.778.781.082.682.983.983.283.083.181.980.881.6
평균 월간 일조 시간195.3197.8217.0195.0192.2180.0195.3195.3177.0161.2162.0167.4


5. 정치

추크주는 미크로네시아 연방을 구성하는 4개의 주 중 하나이다. 민주주의 연방 국가의 특성상, 각 주는 상당한 수준의 자치권을 가지는데, 이는 한국의 특별자치도와 유사한 형태라고 볼 수 있다. 추크주의 행정 수반은 주지사이며, 양원제 입법부를 갖추고 있다. 주 정부는 삼권 분립 원칙에 따라 입법부, 행정부, 사법부로 구성된다.

5. 1. 행정

행정부 수장은 주지사(Governor)이며, 주 부지사(Lieutenant Governor)가 주지사를 보좌하고 대행한다. 주지사와 주 부지사는 18세 이상 주민 남녀의 직접 선거로 선출된다. 주지사 후보와 주 부지사 후보는 2인 1조로 출마하며, 유권자는 1표를 행사한다. 유효 투표수의 과반수를 얻은 조가 당선되지만, 과반수를 얻지 못할 경우에는 상위 2개 조가 결선 투표를 실시한다. 임기는 4년이다.[1]

주지사는 주의 헌법 및 법률을 집행하고, 주 최고 재판소 재판관 및 행정 각 부의 간부를 임명하며, 사면·집행 면제·감형을 결정한다. 행정 각 부의 간부들은 주지사가 교체되면 그 지위를 잃는다.[1]

현재 주지사는 존슨 엘리모(Johnson Elimo, 2011년 취임)이며, 부지사는 마리우스 아카피토(Marius Akapito, 2014년 취임)이다.[1]

5. 2. 입법

추크주의 의회는 양원제이며, 상원(Senate)과 하원(House of Representatives)으로 구성된다. 상원과 하원 의원 모두 주민(18세 이상 남녀)의 직접 선거로 선출된다. 상원 의원은 10명으로, 5개 선거구에서 각 2명씩 선출되며 임기는 4년이다. 하원 의원은 28명으로, 13개 선거구에 인구를 고려하여 1명에서 5명까지 선출되며 임기는 2년이다.

주 법률은 양원에서 가결된 후 주지사가 서명하면 성립된다. 주지사에게는 거부권이 있지만, 양원에서 각각 3분의 2 이상 찬성으로 재가결하면 법률이 된다. 또한, 입법부는 주지사, 주 부지사, 주 최고 재판소 재판관에 대한 탄핵 권한이 있다. 하원이 소추하고, 상원이 재판을 한다.

5. 3. 사법

추크주의 사법권은 주 대법원, 주 법률에 따라 설치되는 하급 법원(미설치), 그리고 기초 자치 단체마다 설치되는 법원에 속한다.[1]

주 대법원은 재판장 1명, 기타 재판관 4명으로 구성된다.[1] 재판관은 상원의 승인을 조건으로 주지사에 의해 임명된다.[1] 종신제로, 입법부에 의한 탄핵 외에는 해임되지 않는다.[1] 위헌 법률 심사권을 가진다.[1]

자치 단체 법원(Municipal Court)은 1명 이상의 상근 재판관으로 구성된다.[1] 민사에서는 소송 가액 1000USD 이하, 형사에서는 벌금 1000USD 이하 또는 징역 1년 이하(또는 그 병과)의 재판을 관할한다.[1] 상소는 주 대법원에 제기할 수 있다.[1]

6. 경제

추크주의 주요 산업은 관광 산업이며, 특히 추크 석호(라군)에 침몰한 난파선을 활용한 렉 다이빙이 유명하여 전 세계 다이버들이 방문한다. 코프라 생산과 어업도 이루어지지만, 경제 규모는 작은 편이다.
한국과의 비교: 한국제주도처럼 관광 산업이 중요하지만, 추크주의 경제 규모는 훨씬 작다.

6. 1. 관광 산업

추크 주는 미크로네시아 연방에서 가장 많은 방문객을 유치하고 있지만, 관광 산업은 비교적 덜 발달되어 있다. 2016년에 발행된 추크 주 개발 계획에 따르면, 추크의 관광 개발을 저해하는 요인으로는 인프라 부족, 특히 섬 간 불규칙한 페리 운항과 웨노섬을 제외한 모든 섬에서 정기적인 전력 공급 부족 등이 포함되었다.[22] 보고서는 추크의 관광을 유치할 주요 자산은 해양 생물 다양성과 해안 주변에 있는 제2차 세계 대전 난파선을 포함한 수중 자산이라고 인식했다.[22]

관광 산업은 잠수 산업에 의존하고 있으며, 이는 키미우오 아이세크에 의해 섬에 설립되었다.[23] 추크를 다이빙 명소로 만들기 위한 그의 노력의 유산은 키미우오 아이세크 기념 박물관의 설립이었다.[24]

1944년 일본 해군에 대한 미국의 공격으로 오늘날 트루크 석호는 세계에서 가장 큰 수중 전쟁 묘지(수 킬로미터에 걸쳐 흩어져 있는 60척의 선박과 400대의 항공기)가 되었고, 이는 전 세계 다이버들을 끌어들인다. 다이빙 조건은 매우 좋다(시야 15m~40m, 깊이 변화, 미약한 조류, 700종의 물고기, 풍부한 산호). 하지만, 이 수입원은 빠르게 부식되는 잔해에서부터 다이너마이트 어업에 이르기까지 보존 문제로 인해 위협받고 있으며, 이로 인해 묘지 전체가 빠르게 파괴되고 있다.[25]

Nippo Maru에 있는 일본 전차. 제2차 세계 대전 중 침몰.


주요 산업은 관광 산업이며, 특히 추크 석호(라군)에 침몰한 난파선을 둘러싼 렉 다이빙 명소로 알려져 전 세계에서 다이버들이 방문한다.

7. 교통

추크주의 주도인 웨노 섬 북서단에는 추크 국제공항(IATA 코드: TKK)이 있으며, 유나이티드 항공이 괌 국제공항을 기점으로 취항하고 있다.[2] 또한 남동부의 사타완 환초 및 서부의 호크섬에도 활주로가 있어, 추크 국제공항과 소형기가 운항하고 있다.[2]

8. 교육

추크주에는 미크로네시아 연방 대학교 추크 캠퍼스와 자비에르 고등학교 등 여러 교육 기관이 있다. 미크로네시아 연방 대학교 추크 캠퍼스는 2년제 대학이다.[20] 자비에르 고등학교는 과거 일본 통신 센터를 활용한 남녀공학 학교로, 미크로네시아 연방, 팔라우, 마셜 제도 등 다양한 지역의 학생들이 재학하고 있다. 교사진은 예수회원과 평신도로 구성되어 있으며, 미크로네시아, 미국, 인도네시아, 일본, 오스트레일리아 등 다양한 국적을 가지고 있다.

추크주 교육부는 공립 고등학교를 운영한다.[20]

학교명위치
추크 고등학교웨노
파이추크 고등학교
모크 고등학교
모틀록 고등학교
노스웨스트 고등학교오논 섬
서던 나모네아스 고등학교(SNHS)[21]
웨노 고등학교[21]



사립 중등학교는 다음과 같다.[21]

학교명위치
베레아 크리스찬 고등학교웨노
사라멘 추크 아카데미
자비에르 고등학교웨노
미즈파 크리스찬 고등학교
제칠일 안식일 예수 재림교 선교 학교[20]



사립 초등학교는 다음과 같다.[20]

학교명
오순절 등대 아카데미
성 세실리아 학교
제칠일 안식일 예수 재림교 선교 학교



추크주 해안

9. 문화

추크주는 전통적으로 모계 사회의 특성을 유지해 왔다. 현대에는 기독교가 널리 퍼져 있지만, 죽은 자의 영혼 빙의와 같은 전통 신앙도 여전히 남아있다.[17]

9. 1. 언어

추크어미크로네시아어에 속하며, 추크 주민들이 주로 사용한다.

9. 2. 종교

주민 대다수는 기독교 신자이며, 가톨릭개신교가 혼재되어 있다. 가톨릭은 스페인 식민지 시대에 도입되었으며, 이후 다양한 개신교 단체가 등장했다. 추크주의 주요 종교 건물로는 웨노 튜눅에 있는 성모 마리아 무염시태 대성당[15], 렉니오크 섬의 예수 성심 성당, 네이웨의 그리스도 왕 성당, 호크 가톨릭 교회, 웨노의 성가정 성당, 포토톤의 성 이냐시오 성당[16] 등이 있다.

9. 3. 전통 신앙

추크는 압도적으로 기독교 사회이지만, 죽은 자의 영혼 빙의에 대한 전통적인 믿음이 여전히 존재한다. 이러한 영혼들은 압도적으로 여성에게 빙의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영혼 빙의는 대개 가족 간의 갈등으로 인해 발생한다. 영혼들은 여성을 통해 말하며, 일반적으로 가족 구성원들에게 서로를 더 잘 대하라고 충고한다.[17]

10. 지방 자치 단체

지방 자치 단체인구 (2010년)
추크 석호 (36,158)
파이추크 (11,305)
에오트266
파나팡게스672
파타1,107
폴레1,498
로마눔865
4,579
우도트1,680
워네이638
북 노모네아스 (14,620)
포노388
피스-페나우376
웨노13,856
남 노모네아스 (10,233)
페판3,471
파람342
토노와스3,517
치스349
우만2,554
외곽 섬 (12,496)
모틀록스 (5,677)
에탈672
쿠투323
로삽248
루쿠노르848
모치932
나마676
나몰루크355
오네오프400
피스-로삽258
사타완692
273
북서부 (6,819)
파나누580
마구르159
무릴로329
놈윈763
오나리193
오노172
피사라스227
폴루와트745
풀라프1,168
호크 (구 풀루숙)1,116
루오241
타마탐493
울룰633



추크 주에는 40개의 기초 자치체가 있으며, 2010년 기준 인구가 가장 많은 곳은 웨노 (13,856명), 가장 적은 곳은 마구르 (159명)이다.[18]

참조

[1] 서적 Double Ghosts: Oceanian Voyagers on Euroamerican Ships https://books.google[...] M.E. Sharpe 1997-03-12
[2] 논문 The Austronesian Dispersal and the Origin of Languages 1991
[3] 서적 Under Heaven's Brow: Pre-Christian Religious Tradition in Chuuk https://books.google[...] American Philosophical Society 2002-01-01
[4] 서적 Landfalls of Paradise: Cruising Guide to the Pacific Island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Hawaii Press 2006-04-30
[5] 서적 Micronesia: A Guide Through the Centuries https://books.google[...] Close Up Foundation 2000
[6] 서적 Making Micronesia: A Political Biography of Tosiwo Nakayama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Hawaii Press 2014-04-30
[7] 서적 The Archaeology of Micronesia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4-06-03
[8] 서적 The Europa World Year Book 2002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Group 2002
[9] 서적 Oceanic Voices – European Quills: The Early Documents on and in Chamorro and Rapanui https://books.google[...] Walter de Gruyter GmbH & Co KG 2015-03-03
[10] 서적 The Archaeology of Micronesia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4-06-03
[11] 뉴스 Chuuk independence vote was to be today but citizens now have another year https://www.abc.net.[...] 2019-08-12
[12] 웹사이트 Climatological Information for Truk, Pacific Islands, United States http://www.weather.g[...] Hong Kong Observatory 2012-12-13
[13] 웹사이트 TRUK ISLAND/CAROLINE ISLANDS PI Climate Normals 1961–1990 ftp://dossier.ogp.no[...]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012-12-13
[14] 문서
[15] 웹사이트 Immaculate Heart of Mary Cathedral http://www.gcatholic[...] 2021-09-13
[16] 웹사이트 Saint Ignatius Catholic Church church, Chuuk, Micronesia https://fm.geoview.i[...] 2021-09-13
[17] 문서
[18] 웹사이트 2010 Census Basic Table - Chuuk https://www.fsmstati[...] 2021-10-08
[19] 웹사이트 Chuuk State – Legal Information System of the Federated States of Micronesia http://fsmlaw.org/ch[...]
[20] 웹사이트 School location http://chuuk.doe.fm/[...] Chuuk State Department of Education
[21] 웹사이트 Higher Education in the Federated States of Micronesia http://www.fsmembass[...] Embassy of the Federated States of Micronesia Washington, D.C.
[22] 서적 Chuuk State Regional Development Plan https://www.spc.int/[...] Chuck State Economic Development Commission 2016
[23] 웹사이트 Kimio Aisek – Submerged https://www.submerge[...] 2021-05-14
[24] 웹사이트 Internationally known, Chuukese-owned dive shop going strong past 45 years https://www.postguam[...] 2019-01-27
[25] 웹사이트 Le plus grand cimetière sous marin du monde en Micronésie https://www.leparisi[...] 2021-09-13
[26] 웹사이트 CONSTITUTION OF THE STATE OF CHUUK http://www.fsmlaw.or[...] 2019-12-17
[27] 웹사이트 Federated States of Micronesia (FSM) http://citypopulatio[...] Citypopulation.de 2019-12-17
[28] 웹사이트 WELCOME TO CHUUK STATE https://www.visit-ch[...] チューク観光局 2019-12-17
[29] 문서
[30] 웹사이트 States of Federated States of Micronesia http://statoids.com/[...] Statoids.com 2019-12-17
[31] 웹사이트 ミクロネシア連邦(FSM)情勢(2015 年 2 月分) https://www.micrones[...] 2019-12-17
[32] 웹사이트 Chuuk independence vote postponed https://www.rnz.co.n[...] ラジオ・ニュージーランド 2019-12-17
[33] 웹사이트 Breaking away from FSM? Think again, US envoy tells Chuuk https://www.pacifici[...] Pacific Island Times 2019-12-17
[34] 웹사이트 Vote on Micronesia state breakaway postponed https://www.channeln[...] CNA 2019-12-17
[35] 웹사이트 Chuuk legislature facing lawsuit over plebiscite delay https://www.pacifici[...] Pacific Island Times 2019-12-17
[36] 웹사이트 Micronesia’s Chuuk postpones once again its independence referendum https://www.national[...] Nationalia 2020-02-28
[37] 뉴스 An abandoned dream? https://www.pacifici[...] 2022-11-03
[38] 웹인용 Climatological Information for Truk, Pacific Islands, United States http://www.weather.g[...] Hong Kong Observatory 2012-12-13
[39] 웹인용 TRUK ISLAND/CAROLINE ISLANDS PI Climate Normals 1961–1990 ftp://dossier.ogp.no[...] 미국 해양대기청 2012-12-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