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르파티아 우크라이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카르파티아 우크라이나는 현재 우크라이나의 자카르파티아주에 해당하는 지역으로, 역사적으로 다양한 국가의 지배를 받았다. 9세기부터 헝가리 왕국에 편입되기 전까지 모라바 왕국, 불가리아 제국, 키예프 대공국 등의 지배를 받았으며,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붕괴 이후 체코슬로바키아에 편입되었다. 1938년 자치권을 얻어 카르파토-우크라이나로 불렸으나, 1939년 헝가리의 침공으로 멸망하고 헝가리에 병합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에는 소련에 편입되었고, 1946년 우크라이나 SSR의 자카르파티아주가 되었다. 카르파토-우크라이나 공화국은 1939년 독립을 선언하고 헌법을 제정했지만, 헝가리의 침공으로 단기간에 소멸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39년 우크라이나 - 서벨라루스 및 서우크라이나 인민회의 선거
서벨라루스 및 서우크라이나 인민회의 선거는 1939년 소련의 폴란드 침공 후 소련이 점령한 지역을 합병하기 위해 NKVD의 감시와 통제 아래 조작된 선거이며, 이를 통해 설립된 서벨라루스 인민회의와 서우크라이나 인민회의는 소련 가입을 요청하고 결국 소련에 합병되었다. - 1939년 3월 - 1939년 독일의 리투아니아 최후 통첩
1939년 독일의 리투아니아 최후 통첩은 독일이 무력 사용을 위협하여 리투아니아에 클라이페다 지역을 양도할 것을 요구한 사건으로, 리투아니아는 이를 수용하여 발트해 항구를 잃고 경제적 타격을 입어 소련의 영향력 아래 놓이게 되었다. - 1939년 3월 - 슬로바키아-헝가리 전쟁
슬로바키아-헝가리 전쟁은 1939년 슬로바키아 독립 직후 헝가리의 침공으로 발발한 국경 분쟁으로, 헝가리의 선제공격으로 시작되어 양국 간 공중전과 지상전이 벌어졌으나 독일의 개입으로 슬로바키아가 영토 일부를 헝가리에 할양하며 종결되었다.
카르파티아 우크라이나 - [옛 나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일반 명칭 | 카르파토-우크라이나 |
존속 기간 | 1938년 12월 30일 ~ 1939년 3월 15일 |
지위 | 제2 체코슬로바키아의 자치 지역 (1938년–1939년) 미승인 국가 (1939년) |
시대 | 전간기 |
국가 | "우크라이나 국가" |
공용어 | 우크라이나어, 헝가리어 |
수도 | 후스트 |
최대 도시 | 후스트 |
![]() | |
정치 | |
정부 형태 | 단원제 공화국 (1938년), 일당제 공화국 (1939년) |
대통령 | 아우구스틴 볼로신 (1939년) |
총리 | 아우구스틴 볼로신 (1938년–1939년) 율리안 레바이 (1939년) |
입법부 | 소임 |
면적 및 인구 | |
면적 | 13,352km² |
인구 | 796,400명 (1939년) |
통화 | |
통화 | 체코슬로바키아 코루나 |
역사 | |
주요 사건 | 카르파츠카 우크라이나 선포 (1938년 12월 30일) 독립 선언 (1939년 3월 15일) 폐지 (1939년 3월 15일) |
이전 및 이후 | |
이전 | 체코슬로바키아 |
이후 | 헝가리 |
현재 국가 | |
현재 국가 | 우크라이나 |
2. 역사적 배경
9세기경 모라바 왕국, 10세기 이후 불가리아 제국의 지배를 받았다. 12세기에는 블라디미르 2세 모노마흐에 의해 키예프 대공국에 속하게 되었다. 13세기 러요시 4세에 의해 헝가리 왕국의 영토로 편입되면서, '성 이슈트반의 왕관 영토' 중 하나로 헝가리의 고유 영토로 인식되었다.
16세기부터 헝가리는 합스부르크 제국의 통치를 받았으나, 곧 오스만 제국의 지배를 받게 되었다. 18세기 이후에는 오스트리아 제국의 일부로 통치되었다.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성립 이후에는 제국 내 헝가리 왕국의 일부였다.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이 붕괴하면서 서우크라이나 인민 공화국이 독립을 선언했지만, 폴란드-우크라이나 전쟁의 결과로 분할되었다. 카르파티아 루테니아는 트리아농 조약과 생제르맹 조약에 따라 체코슬로바키아에 편입되었다. 카르파티아 산맥이라는 장벽으로 인해 역사적으로 우크라이나와 다른 국가에 계속 통치되었던 카르파티아 루테니아는, 헝가리 왕국의 판도에 편입된 이후 헝가리의 고유 영토로 인식되었다.
생제르맹 조약에 따라 카르파티아 루테니아는 완전한 자치권을 부여받을 예정이었다. 1920년에 제정된 체코슬로바키아 헌법에서도 카르파티아 루테니아에 자치권을 부여하는 규정이 있었지만, 독자적인 의회를 소집하는 것도 대통령의 지명도 할 수 없어, 자치는 사실상 유명무실했다.
이 때문에 중앙 정부에 대한 반발이 강했고, 1935년 총선 당시에도 중앙 정부를 지지하는 정당에는 카르파티아 루테니아 전체의 35%의 표밖에 모이지 않았다.
2. 1. 헝가리 왕국 시대
9세기경 모라바 왕국, 10세기 이후 불가리아 제국의 지배를 받았다. 12세기에는 블라디미르 2세 모노마흐에 의해 키예프 대공국에 속하게 되었다. 13세기 러요시 4세에 의해 헝가리 왕국의 영토로 편입되면서, '성 이슈트반의 왕관 영토' 중 하나로 헝가리의 고유 영토로 인식되었다.16세기부터 헝가리는 합스부르크 제국의 통치를 받았으나, 곧 오스만 제국의 지배를 받게 되었다. 18세기 이후에는 오스트리아 제국의 일부로 통치되었다.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성립 이후에는 제국 내 헝가리 왕국의 일부였다.
2. 2.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이 붕괴하면서 서우크라이나 인민 공화국이 독립을 선언했지만, 폴란드-우크라이나 전쟁의 결과로 분할되었다. 카르파티아 루테니아는 트리아농 조약과 생제르맹 조약에 따라 체코슬로바키아에 편입되었다. 카르파티아 산맥이라는 장벽으로 인해 역사적으로 우크라이나와 다른 국가에 계속 통치되었던 카르파티아 루테니아는, 헝가리 왕국의 판도에 편입된 이후 헝가리의 고유 영토로 인식되었다.2. 3. 체코슬로바키아 시대
생제르맹 조약에 따라 카르파티아 루테니아는 완전한 자치권을 부여받을 예정이었다. 1920년에 제정된 체코슬로바키아 헌법/Czechoslovak Constitution of 1920영어에서도 카르파티아 루테니아에 자치권을 부여하는 규정이 있었지만, 독자적인 의회를 소집하는 것도 대통령의 지명도 할 수 없어, 자치는 사실상 유명무실했다.이 때문에 중앙 정부에 대한 반발이 강했고, 1935년 총선 당시에도 중앙 정부를 지지하는 정당에는 카르파티아 루테니아 전체의 35%의 표밖에 모이지 않았다.
3. 정치적 자치와 독립
뮌헨 협정이 1938년 9월 30일에 체결되어 체코슬로바키아가 국경 지역의 상당 부분을 나치 독일에 할양한 직후, 일련의 정치 개혁이 시작되었고, 제2 체코슬로바키아 공화국이 수립되었다. 여기에는 슬로바키아 자치 지역과 자치 카르파토루스 (루신어로 ''Підкарпатьска Русь'')를 포함한 세 개의 자치 정치 실체가 포함되었다.
1938년 10월 11일에 임명된 자치 카르파토루스의 첫 번째 지방 정부는 안드레이 브로디 총리가 이끌었다. 친루신 파와 친우크라이나 파 간의 갈등이 벌어져 10월 26일에 브로디 정부가 사임했다. 아우구스틴 볼로신이 이끄는 새로운 지방 정부는 친우크라이나 성향을 채택하고 지역의 이름을 "카르파토루스"에서 "카르파티아 우크라이나"로 변경했다.
1938년 11월 22일, 제2 체코슬로바키아 공화국은 "카르파토루스의 자치에 관한 헌법 법률" (체코어로 ''Ústavní zákon o autonomii Podkarpatské Rusi'')을 채택하여 "루신인"의 자결권을 공식적으로 재확인하고 (서문) 카르파토루스의 완전한 행정 및 정치 자치권을 확인했으며, 자체 의회와 정부를 두었다. 이는 중앙 정부가 친루신 파를 지지한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으로 여겨졌다.
1938년 12월 30일, 지방 정부는 지역 이름을 "카르파티아 우크라이나"로 변경하는 임시 법령을 발표했다. 이는 독특한 용어적 이중성을 낳았다. 제2 체코슬로바키아 공화국의 헌법 체계에서 지역은 계속 카르파토루스로 알려졌지만, 지역 자체는 "카르파티아 우크라이나"라는 이름을 사용했다.
3. 1. 자치 정부 수립 (1938)
뮌헨 협정으로 체코슬로바키아가 약화되자 1938년 10월 8일, 카르파토루테니아는 슬로바키아와 함께 자치권을 획득했다. 아우구스틴 볼로신이 카르파토루테니아의 대통령으로 선출되었다. 10월 11일, 안드레이 브로디 총리가 이끄는 자치 카르파토루스의 첫 번째 지방 정부가 임명되었다. 그러나 친루신 파와 친우크라이나 파 간의 갈등으로 10월 26일 브로디 정부는 사임했다. 볼로신이 이끄는 새로운 지방 정부는 친우크라이나 성향을 채택하고 지역의 이름을 "카르파토루스"에서 "카르파티아 우크라이나"로 변경했다.
1938년 11월 22일, 제2 체코슬로바키아 공화국은 "카르파토루스의 자치에 관한 헌법 법률"을 채택하여 루신인의 자결권을 공식적으로 재확인하고 카르파토루스의 완전한 행정 및 정치 자치권을 확인했다. 12월 30일, 지방 정부는 지역 이름을 "카르파티아 우크라이나"로 변경하는 임시 법령을 발표했다.
한편, 나치 독일이 체코슬로바키아의 주데텐란트를 요구하는 상황에서, 헝가리 왕국 역시 카르파토루테니아와 슬로바키아를 요구하며 국경 지대에 군대를 집결시켰다. 헝가리의 영토 요구는 계속되었고, 체코슬로바키아 정부는 독일과 이탈리아 왕국에 중재를 요청, 빈에서 회의가 열렸다.
3. 2. 제1차 빈 중재
1938년 9월 말, 헝가리는 체코슬로바키아 문제가 외교적으로 해결되지 않을 경우를 대비해 체코슬로바키아 국경에 20만에서 35만 명 사이의 병력을 동원했다. 헝가리군은 뮌헨 협정 이후에도 체코슬로바키아 국경에서 위협적인 태세를 유지했다.[1] 헝가리 내무부 장관 미클로시 코즈마는 카르파티아 출신으로, 1938년 중반 그의 부서는 '롱요스 가르다'(Rongyos Gárda)를 무장시켜 체코슬로바키아의 남부 국경, 슬로바키아와 카르파티아에 게릴라 침투를 시작했다.[1]뮌헨 협정 부록에 따르면, 체코슬로바키아와 헝가리는 상호 협상을 통해 분쟁을 해결해야 했지만, 최종 합의에 도달하지 못했다. 결국 헝가리와 체코슬로바키아 정부는 프랑스와 영국이 참여를 거부했기 때문에 독일-이탈리아의 빈 중재를 수용했고, 이는 제1차 빈 중재로 이어졌다.[1]
빈 중재 결과, 헝가리는 11,927 평방 킬로미터를 돌려받았다. 12월 중순 인구 조사에서 재병합된 지역의 인구는 1,041,401명이었으며, 이 중 879,007명(84.4%)이 헝가리인이었고 123,864명(11.9%)이 슬로바키아인이었다.[1]
하지만 빈 중재는 어느 쪽에도 완전히 만족스럽지 못했고, 1938년 11월 2일부터 1939년 1월 12일 사이에 22번의 국경 충돌이 발생하여 5명의 체코슬로바키아인이 사망하고 6명이 부상당했다. 슬로바키아 민병대 흘린카 가드가 이 충돌에 참여했다. 프라하 정부가 슬로바키아와 우크라이나의 이익을 보호하는 데 무능력한 것은 슬로바키아와 우크라이나 민족주의를 더욱 자극했다.[2] 1939년 1월 6일, 레프 프르찰라 장군이 지휘하는 체코슬로바키아군은 카르파티아 시치도 관련된 무카체보시(현재 무카체베)를 기습 공격했지만, 롱요스 가르다가 지역 경찰의 도움을 받아 그들을 물리쳤다.[2]
3. 3. 독립 선언과 헝가리 침공 (1939)
1939년 3월, 슬로바키아와 우크라이나 민족주의가 격화되면서 흘린카 경비대와 ''Volksdeutsche''는 체코슬로바키아로부터의 독립을 요구하며 시위를 벌였다. 이에 체코슬로바키아 정부는 3월 6일 카르파토루테니아 자치 정부를 금지했다. 3월 13일, 슬로바키아 지도자 요제프 티소는 아돌프 히틀러와 만나 슬로바키아의 독립 문제를 논의했다. 히틀러는 슬로바키아가 즉시 독립을 선언하고 독일과 연합하거나, 그렇지 않으면 헝가리가 카르파토루테니아를 점령하도록 허용할 것이라고 밝혔다.3월 14일, 슬로바키아가 독립을 선언하고, 3월 15일 나치 독일이 체코 영토를 점령하자, 카르파토-우크라이나는 아브구스틴 볼로신 신부를 국가 원수로 하여 "카르파토-우크라이나 공화국"으로 독립을 선언했다.[3] 1939년 3월 15일 제정된 카르파토-우크라이나의 첫 번째 헌법은 국가를 공화국으로 정의하고, 우크라이나어를 국어로, 파란색과 노란색을 국기로, 성 볼로디미르 대공의 삼지창 문양을 국장으로 규정했다.[4] 또한 국가(國歌)는 "우크라이나는 아직 멸망하지 않았다"로 정했다.[4] 선포된 카르파토-우크라이나 정부는 대통령 아브구스틴 볼로신,[4] 총리 율리안 레바위, 국방부 장관 스테판 클로추라크 등으로 구성되었다.
그러나 슬로바키아 독립 선언 직후, 헝가리는 독일이 카르파토-우크라이나 점령에 반대하지 않을 것이라는 사실을 인지하고 있었다. 헝가리 참모총장은 침공 준비에 최소 일주일이 필요하다고 요청했지만, 왕립 평의회는 단 12시간만을 허용했다.[2] 페렌츠 숨바텔리 중장(카사 제8군단 사령관)이 지휘하는 카르파티아 그룹은 보병, 기병, 자전거 부대, 기계화 부대, 국경 수비대, 포병대, 장갑 열차 등으로 구성되었으며, 피아트 CR.32 전투기의 지원을 받았다.[2]
1939년 3월 15일, 헝가리 왕립군은 카르파토-우크라이나를 침공하여 밤에 소요바로 진격했다.[4] 카르파티아 시치로 알려진 카르파토-우크라이나의 불규칙군은 제대로 된 지원 없이 헝가리군에 맞섰으나 신속하게 격파되었다.[4] 후스트 근처에서 벌어진 헝가리군과 우크라이나 병사 간의 전투에서 약 230명의 우크라이나인이 사망했다.[4] 헝가리군은 제1차 빈 중재를 통해 체코가 건설한 요새 지역을 점령할 수 있었기 때문에 큰 저항 없이 진격할 수 있었다.
1939년 3월 16일, 헝가리는 카르파토-우크라이나 영토를 공식적으로 병합했다. 헝가리 왕립군은 3월 17일 폴란드 국경에 도달했으며,[6] 카르파티아 산맥에서의 마지막 저항은 3월 18일에 제압되었다.[4] 카르파토-우크라이나 대통령 볼로신은 프라하로 망명했고, 카르파토-우크라이나 공화국은 며칠 만에 소멸했다.
4. 제2차 세계 대전과 그 이후
1944년 3월 독일의 헝가리 점령 이후, 아돌프 아이히만은 헝가리 유대인 거의 전체를 추방하는 것을 감독했으며, 홀로코스트에서 살아남은 사람은 거의 없었다. 1944년 10월 28일 두클라 고개 전투가 끝나면서 소련은 독일군과 헝가리군을 몰아내고 카르파티아 루테니아와 서부 우크라이나의 나머지를 점령했다. 따라서 카르파티아 루테니아의 지배권은 "명목상" 체코슬로바키아로 반환되었다. 소련과 체코슬로바키아 정부 간의 조약에 따라, 프란티셰크 네메츠 장관이 이끄는 망명 체코슬로바키아 정부 대표단이 임시 체코슬로바키아 행정부를 수립하기 위해 후스트에 도착했다.
그러나 몇 주 후, 붉은 군대와 내무인민위원회는 대표단의 업무를 방해하기 시작했고, 결국 붉은 군대의 보호 아래 무카체보에 꼭두각시 "트란스카르파토-우크라이나 국민위원회"가 세워졌다. 11월 26일, 체코슬로바키아군에서 탈영한 루신인 이반 이바노비치 투리야니차가 이끄는 이 위원회는 체코슬로바키아로부터 분리되어 우크라이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에 합병하려는 "우크라이나 국민의 의지"를 선포했다. 두 달 간의 갈등과 협상이 실패한 후, 체코슬로바키아 정부 대표단은 1945년 2월 1일 후스트를 떠나 카르파토-우크라이나를 소련의 통제하에 두었다.
소련은 체코슬로바키아에 압력을 가했고, 1945년 6월 29일, 두 나라는 조약을 체결하여 카르파토-루테니아를 공식적으로 소련에 할양했다. 1946년, 이 지역은 자카르파티아주로서 우크라이나 SSR의 일부가 되었다.
4. 1. 헝가리 통치와 소련 점령
1944년 3월 독일의 헝가리 점령 이후, 아돌프 아이히만은 헝가리 유대인 거의 전체를 추방하는 것을 감독했으며, 홀로코스트에서 살아남은 사람은 거의 없었다. 1944년 10월 28일 두클라 고개 전투가 끝나면서 소련은 독일군과 헝가리군을 몰아내고 카르파티아 루테니아와 서부 우크라이나의 나머지를 점령했다. 따라서 카르파티아 루테니아의 지배권은 "명목상" 체코슬로바키아로 반환되었다. 소련과 체코슬로바키아 정부 간의 조약에 따라, 프란티셰크 네메츠 장관이 이끄는 망명 체코슬로바키아 정부 대표단이 임시 체코슬로바키아 행정부를 수립하기 위해 후스트에 도착했다.그러나 몇 주 후, 붉은 군대와 내무인민위원회는 대표단의 업무를 방해하기 시작했고, 결국 붉은 군대의 보호 아래 무카체보에 꼭두각시 "트란스카르파토-우크라이나 국민위원회"가 세워졌다. 11월 26일, 체코슬로바키아군에서 탈영한 루신인 이반 이바노비치 투리야니차가 이끄는 이 위원회는 체코슬로바키아로부터 분리되어 우크라이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에 합병하려는 "우크라이나 국민의 의지"를 선포했다. 두 달 간의 갈등과 협상이 실패한 후, 체코슬로바키아 정부 대표단은 1945년 2월 1일 후스트를 떠나 카르파토-우크라이나를 소련의 통제하에 두었다.
소련은 체코슬로바키아에 압력을 가했고, 1945년 6월 29일, 두 나라는 조약을 체결하여 카르파토-루테니아를 공식적으로 소련에 할양했다. 1946년, 이 지역은 자카르파티아주로서 우크라이나 SSR의 일부가 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헝가리 영토 카르파티아 루테니아로 취급되었다.
4. 2. 우크라이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편입
1944년 3월 독일의 헝가리 점령 이후, 아돌프 아이히만은 헝가리 유대인 거의 전체를 추방하는 것을 감독했으며, 홀로코스트에서 살아남은 사람은 거의 없었다. 1944년 10월 28일 두클라 고개 전투가 끝나면서 소련은 독일군과 헝가리군을 몰아내고 카르파티아 루테니아와 서부 우크라이나의 나머지를 점령했다. 이후 소련과 체코슬로바키아 정부 간의 조약에 따라, 프란티셰크 네메츠 장관이 이끄는 망명 체코슬로바키아 정부 대표단이 임시 체코슬로바키아 행정부를 수립하기 위해 후스트에 도착했다.그러나 몇 주 후, 붉은 군대와 내무인민위원회는 대표단의 업무를 방해하기 시작했고, 결국 붉은 군대의 보호 아래 무카체보에 꼭두각시 "트란스카르파토-우크라이나 국민위원회"가 세워졌다. 11월 26일, 체코슬로바키아군에서 탈영한 루신인 이반 이바노비치 투리야니차가 이끄는 이 위원회는 체코슬로바키아로부터 분리되어 우크라이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에 합병하려는 "우크라이나 국민의 의지"를 선포했다. 11월 19일, 자카르파트 우크라이나 내의 공산주의자들은 소련에의 병합을 요구했다. 이 과정에서 볼로신 등 독립파는 소련에 체포되어 소련 내 수용소에 수감되었다(볼로신은 1945년에 옥사).
두 달 간의 갈등과 협상이 실패한 후, 체코슬로바키아 정부 대표단은 1945년 2월 1일 후스트를 떠나 카르파토-우크라이나를 소련의 통제하에 두었다. 소련은 체코슬로바키아에 압력을 가했고, 1945년 6월 29일, 두 나라는 조약을 체결하여 카르파토-루테니아를 공식적으로 소련에 할양했다. 1946년, 이 지역은 자카르파티아주로서 우크라이나 SSR의 일부가 되었다. 자카르파티아주는 소련 붕괴 후에도 우크라이나의 영토로 존속하고 있다.
4. 3. 현대 우크라이나
소련 붕괴 이후, 자카르파탸주는 우크라이나의 영토로 이어지고 있다. 한국은 우크라이나의 주권과 영토 보전을 확고히 지지하며, 러시아의 크림반도 합병과 우크라이나 침공을 국제법 위반으로 규정하고 강력하게 비판한다.5. 카르파토-우크라이나 공화국의 헌법
카르파토-우크라이나의 "소임"(Soim)은 1938년 11월 22일 체코슬로바키아 헌법에 의해 1939년 2월 12일에 설립되었다. 소임은 29명의 우크라이나인과 3명의 소수민족 대표로 구성된 32명의 대표로 구성되었다. 국회는 1939년 3월 15일 후스트에서 단 한 차례의 회의를 열었다.
의회 회의에서 카르파토-우크라이나의 주권 선언을 승인하고 헌법을 채택했으며, 대통령을 선출하고 율리안 레바이에 의해 구성된 신임 정부를 확정했다. 소임의 수장은 부의장 페디르 레바], [스테판 로소하와 함께 아우구스틴 슈테판이 맡았다. 소임의 의장단은 헝가리군의 카르파토-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국외로 망명했다.
카르파토-우크라이나 공화국은 독립 직후 헌법을 제정했다. 헌법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 카르파토-우크라이나는 독립 국가이다.
# 국명은 카르파토-우크라이나(Carpatho-Ukraine)로 한다.
# 카르파토-우크라이나는 공화국이며, 선거로 선출된 대통령이 국가 원수로서 통치한다.
# 카르파토-우크라이나의 공용어는 우크라이나어이다.
# 카르파토-우크라이나의 국기는 파란색을 상단에, 노란색을 하단에 둔다.
# 카르파토-우크라이나의 국장은 붉은 곰이 문장 측면에 서 있는 것으로 한다. 문장은 파란색 4개와 노란색 3개의 줄무늬로 구성된 성 블라디미르 대공이 사용한 것이다.
# 카르파토-우크라이나의 국가(國歌)는 『우크라이나는 멸망하지 않으리』로 한다.
# 이 규정은 공포 후 즉시 효력을 발생한다.
참조
[1]
웹사이트
72 éve írták alá az I. Bécsi döntést | Szent Korona Rádió
http://szentkoronara[...]
[2]
뉴스
The anniversary of the Hungarian troops invasion of Ukraine: how Carpathian Sich-men defended their native land (Річниця вторгнення угорських військ в Україну: як карпатські "січовики" боронили рідну землю)
https://zakarpattya.[...]
Zakarpattia Online
2020-03-14
[3]
웹사이트
Kárpátalja
https://www.arcanum.[...]
2024-05-11
[4]
웹사이트
Today is the 80th anniversary of the proclamation of Carpatho-Ukraine
https://ukrinform.ua[...]
2019-03-15
[5]
서적
A kivégzett, kárpátaljai lágerekben elhunyt magyar képviselők (1945-1949)
2017
[6]
간행물
Executed State
https://web.archive.[...]
Halytsky Korrespondent
[7]
서적
From Beskyds to Katyn
LvCSTEI
2006
[8]
웹사이트
Sevastian Sabol
https://web.archive.[...]
Territory of Terror Museum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