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산 전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케산 전투는 1968년 베트남 전쟁 중 북베트남군의 공세에 맞서 미국 해병대와 남베트남군이 케산 기지를 방어한 전투이다. 1967년 말부터 북베트남군은 국경 지역에서 공격을 시작했고, 케산 기지를 포위하여 1968년 1월 중순부터 본격적인 공격을 가했다. 이에 미군은 '나이아가라 작전'을 통해 대규모 폭격을 가하고, 4월에는 '페가수스 작전'을 통해 기지를 구원했다. 그러나 전투의 전략적 목표와 관련하여, 북베트남은 양동 작전이었다고 주장하는 반면, 미국은 케산 기지를 사수하려 했다. 결국 미군은 7월에 케산 기지를 폐쇄하고 철수했으며, 이 전투는 베트남 전쟁의 무의미함을 상징하는 사건으로 평가받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68년 남베트남 - 미라이 학살
1968년 베트남 전쟁 중 미군 찰리 중대가 꽝응아이성 미라이 마을에서 무방비 상태의 민간인들을 대량 학살한 사건으로, 은폐 시도에도 불구하고 폭로되어 전쟁 범죄에 대한 비판을 야기하며 전 세계에 충격을 주었다. - 1968년 남베트남 - 퐁니·퐁넛 마을 학살 사건
퐁니·퐁넛 마을 학살 사건은 1968년 베트남 전쟁 중 대한민국 해병대 청룡부대가 꽝남성 퐁니·퐁넛 마을에서 비무장 민간인을 학살하여 국제적 논란을 일으켰으며, 대한민국 법원은 한국군의 책임을 인정하고 정부에 배상을 명령했으나 정부는 항소했다. - 1968년 전투 - 후에 전투
후에 전투는 베트남 전쟁 중 테트 공세의 일환으로 후에 시에서 벌어진 전투로, 베트남 인민군과 베트콩의 공세에 맞서 남베트남군과 미국 해병대가 시가전을 벌여 막대한 피해와 논란을 야기하며 반전 여론을 확산시켰다. - 1968년 전투 - 바르샤바 조약군의 체코슬로바키아 침공
바르샤바 조약군의 체코슬로바키아 침공은 1968년 소련을 비롯한 바르샤바 조약 기구 4개국이 체코슬로바키아를 무력 침공하여 '프라하의 봄' 자유화 개혁 운동을 종식시킨 냉전 시대의 주요 사건이다. - 미국이 참가한 베트남 전쟁의 전투와 작전 - 프리퀀트 윈드 작전
프리퀀트 윈드 작전은 1975년 4월 사이공 함락 직전 남베트남에서 미국 시민과 우방국 국민을 대피시키기 위해 미국이 실행한 군사 작전으로, 헬기 대피를 주된 방식으로 떤선녓 공군 기지 공격 이후 진행되었으며 미 해군 제76기동부대와 에어 아메리카 헬리콥터가 동원되어 성공적으로 마무리되었으나, 베트남 전쟁에 대한 미국의 개입 실패를 상징하는 사건으로 남았다. - 미국이 참가한 베트남 전쟁의 전투와 작전 - 라인배커 II 작전
라인배커 II 작전은 1972년 12월 미국이 베트남 전쟁 종결을 위해 북베트남에 감행한 대규모 공습 작전으로, 파리 평화 협상 교착 상태를 타개하고 북베트남을 협상 테이블로 복귀시키기 위해 리처드 닉슨 대통령의 명령으로 시작되어 B-52 폭격기를 중심으로 북베트남의 주요 도시와 군사 시설에 집중적으로 폭격을 가했다.
케산 전투 - [전쟁]에 관한 문서 | |
---|---|
전투 개요 | |
명칭 | 케산 전투 (Battle of Khe Sanh) |
다른 이름 | 9번 도로 - 케산 작전 (Chiến dịch Đường 9 - Khe Sanh, 전역 당 9 - 계생) |
일부 | 베트남 전쟁 |
시기 | 1968년 1월 21일 – 1968년 7월 9일 |
장소 | 16 케산 전투 기지 (케산), 꽝찌성, 남베트남 UTM 좌표 XD 852-418 |
결과 | 양측 모두 승리 주장 북베트남군, 미국 철수 후 케산 지역 장악 맥나마라 라인 종결 북베트남의 통신선이 남베트남으로 확장 |
교전 세력 | |
교전 1 | 미국 남베트남 라오스 왕국 |
교전 2 | 베트콩 북베트남 파테트라오 |
지휘관 | |
지휘관 1 | 윌리엄 웨스트모어랜드 en:Rathvon M. Tompkins en:David E. Lownds |
지휘관 2 | 보응우옌잡 en:Trần Quý Hai en:Lê Quang Đạo |
병력 규모 | |
병력 1 | 총 45,000명 케산 전투 기지에 약 6,000명의 해병대 주둔 페가수스 작전: 약 20,000명 (제1 공수 기병대 및 해병대) 아크 라이트 작전 및 나이아가라 작전: 미 공군 |
병력 2 | 총 40,000명 케산 포위: 약 17,200명 (304사단 및 308사단) 9번 도로 방어: 약 16,900명 (320사단 및 324사단) PT-76 경전차 30대 |
피해 규모 | |
피해 1 | 미국 손실: 케산: 전사 274명 부상 2,541명 (ARVN 레인저, RF/PF, 전방 작전 기지 3 - 미 육군 및 라오스 왕국군 손실 제외) 스코틀랜드 1 작전 및 페가수스 작전: 전사 730명 부상 2,642명 실종 7명 스코틀랜드 2 작전 (1968년 4월 15일 – 1968년 7월): 전사 485명 부상 2,396명 미 공군: 전사 5 ~ 20명, 부상자 수 미상 마지막 철수 작전 찰리: 최소 해병대 11명 전사, 부상자 수 미상 공중 보급 중: KC-130 1대, C-123 3대 남베트남군 손실: 전사 229명, 부상 436명 (CIDG, RF/PF 및 SOG 손실 제외) CIDG 손실: 전사 또는 실종 1,000 – 1,500명, 최소 250명 포로 (랑베이에서), 부상자 수 미상 라오스 왕국: 미상 총 피해 (1월 21일 – 7월 9일): 12,000명 이상 사상 (전사 2,800–3,500명, 부상 9,000명 이상, 실종 7명, 포로 250명 이상) 북베트남 주장: 약 11,900명 사상 (미군 약 9,000명 포함), 항공기 197대, 탱크 78대, 대포 46문, 탄약고 50개 파괴 |
피해 2 | 미상 (1,602구의 시신 수습, 미국 공식 추정 전사자 10,000–15,000명, MACV 비밀 보고서 1968년 3월 31일 기준 전사자 5,550명 추정) 북베트남 수치: 부상 1,436명 (3월 중순까지) 전사 2,469명 (1968년 1월 20일부터 7월 20일까지) |
관련 정보 | |
![]() |
2. 배경
케산 전투 기지는 1962년 8월 미 육군 특수부대가 마을 외곽의 옛 프랑스 요새에 비행장을 건설하면서 시작되었다. 이후 이 기지는 국경을 따라 PAVN의 침투를 감시하고 지역 주민들을 보호하기 위한 민간 불규칙 방어대의 특수 부대 전초 기지가 되었다.[21]
1964년, 당시 베트남 주둔 미국 사령관 윌리엄 웨스트모어랜드 장군은 케산이 라오스로부터의 적 침투를 막는 순찰 기지, 라오스에서 적을 괴롭히는 작전을 위한 기지, 호치민 루트를 정찰하기 위한 비행장, 비무장 지대 남쪽 방어의 서부 거점, 그리고 궁극적으로 호치민 루트를 차단하기 위한 지상 작전의 출발점이 될 수 있다고 보았다.[22] 그해 11월, 특수 부대는 캠프를 케산 전투 기지가 위치할 쭘 참 고원으로 이전했다.[23]
1964년 겨울, 케산은 극비리에 진행되던 주월 미군 군사원조사령부 - 연구관찰단의 발사 기지가 되었다. 처음에는 마을 근처에 세워졌다가 나중에 프랑스 요새로 옮겨졌으며, সেখান থেকে 정찰팀이 라오스로 출격하여 "쯔엉선 전략 보급로"라고도 알려진 PAVN의 호치민 루트를 탐사하고 정보를 수집했다.[23][24]
1966년, 웨스트모어랜드는 케산을 더 큰 전략의 일부로 고려하며, 호치민 루트 차단을 위한 라오스 진격 승인을 얻기 위해 기지 방어가 중요하다고 판단했다. 그는 미 해병대에 케산 주변 배치를 명령했고, 주월 미군 군사원조사령부는 라오스 침공을 계획, 10월에는 케산에 비행장 건설을 완료했다.[22]
1967년 미 해병대가 비행장 옆에 전초 기지를 건설하면서 고원 캠프는 영구 주둔하게 되었다. 이 기지는 남베트남 5개 최북단 성을 관할하는 해병대 부대의 서부 거점 (제1군단) 역할을 했다.[25][33] 해병대 방어 시스템은 DMZ 아래 해안에서 9번 국도를 따라 케산까지 뻗어 있었다. 같은 해, 정규 특수 부대 병력은 고원에서 물러나 라오스 국경에서 절반 정도 떨어진 랑 베이의 9번 국도 아래에 더 작은 캠프를 건설했다.
1967년 후반, 북베트남의 공격으로 국경 전투가 시작되었고, 이후 언덕 전투를 거쳐, 미국 고위 사령부는 케산 기지 방어에 대한 결정을 하게 된다.
2. 1. 국경 전투
1967년 후반, 북베트남은 남베트남 국경 지역에서 여러 전투를 시작했다. 이 전투들은 이전의 게릴라 전술과는 달리 연대 규모의 북베트남군(PAVN) 또는 베트콩(VC) 부대가 지속적이고 치열하게 참여했다.[26]10월 초, 북베트남군은 꽝찌 성 북부 비무장지대(DMZ) 남쪽에 위치한 해병대 방어 거점인 콘티엔에 대해 대대 규모의 지상 수색과 지속적인 포격을 가하며 공격 강도를 높였다.[27] 박격포, 포탄, 122mm 로켓탄이 기지에 끊임없이 쏟아졌다. 9월 한 달 동안 하루 평균 100~150발의 포탄이 떨어졌으며, 9월 25일에는 최대 1,190발이 쏟아졌다.[28]
이에 대응하여 웨스트모어랜드 장군은 공중 및 해상 폭격 작전인 작전 중화(Operation Neutralize)를 시작했다. 7주 동안 미군은 약 4,000회의 공습을 통해 35,000~40,000톤의 폭탄을 투하했다.[29]

10월 27일, 북베트남군 연대는 푸억롱 성의 수도인 송베의 남베트남군(ARVN) 대대를 공격했다.[29] 북베트남군은 며칠간 전투 후 후퇴했다. 이틀 뒤, 북베트남군 제273연대는 빈롱 성 국경 마을 록닌 근처의 특수부대 기지를 공격했다.[29] 미 제1 보병 사단 병력이 신속히 대응하여 10일간의 전투 끝에 북베트남군은 캄보디아로 밀려났다. 이 작전에서 북베트남군 최소 852명이 사망했고, 미군과 남베트남군은 50명이 사망했다.[29]
가장 치열한 전투는 중부 고원 지대 콘툼 성의 다크토 전투에서 벌어졌다. 북베트남군 제1 사단과의 22일간의 전투는 전쟁 전체를 통틀어 가장 치열한 근접전 중 하나였다.[30] 미 정보부는 북베트남군 1,200~1,600명이 사망한 것으로 추정했다. 미 제4 보병 사단, 제173 공수 여단, 남베트남군 공수 병력 362명이 전사했으며, 제4 보병 사단의 4개 대대 중 3개와 제173 여단 전체가 전투 불능 상태가 되었다.[31]
미국 정보 분석가들은 이러한 일련의 적대적 행동에 당황했다. 연합군에게 사상자를 입히는 것 외에, 북베트남군과 베트콩의 지속적인 공세에는 명확한 논리가 없어 보였다. 북베트남군이 입은 사상자는 그들이 얻었을지도 모르는 이점을 상쇄하는 것처럼 보였다. 그러나 국경 전투는 당시에는 인식되지 않았던 두 가지 중요한 결과를 가져왔다. 첫째, 미군 사령부의 관심을 국경 지역으로 집중시켰다. 둘째, 테트 공세를 준비하기 위해 미군과 남베트남군 병력을 해안 저지대와 도시에서 멀리 끌어냈다.[32]
2. 2. 언덕 전투
1967년 4월 24일, 브라보 중대의 정찰대가 861 언덕 북쪽에서 북베트남군(PAVN) 부대와 교전했는데, 그 규모는 알려지지 않았다. 이 교전으로 케산을 점령하려는 북베트남군의 공세가 조기에 시작되었다. 북베트남군은 본 공격을 시작하기 전에 고지대를 확보하려 했다.[36] 제3해병연대의 제2 및 제3 대대는 존 P. 라니건 대령의 지휘 하에 KSCB를 증원했으며, 북베트남군을 861 언덕, 881 북쪽, 881 남쪽에서 몰아내는 임무를 받았다. 북베트남군은 940명의 사상자를 낸 후 케산 주변 지역에서 쫓겨났다. 해병대는 155명이 전사하고 425명이 부상당했다.[37]
비행장 주요 기지에 대한 북베트남군의 관측과 화력 기지 사용을 막기 위해, 케산 계곡을 둘러싼 언덕들은 별도의 해병대 부대에 의해 지속적으로 점령되고 방어되어야 했다.
언덕 전투 이후 케산 주변에서 북베트남군의 활동은 소강 상태에 접어들었다.
2. 3. 결정
미국 고위 사령부는 제1군단에 배치할 수 있는 제한된 병력을 케산 방어에 더 투입할지, 아니면 기지를 포기할지를 결정해야 했다.[41] 웨스트모어랜드는 케산을 지켜야 하는 이유를 다음과 같이 열거했다.> 케산은 라오스에서 9번 국도를 따라 침투하는 적을 차단하기 위한 순찰 기지 역할을 할 수 있다. 라오스의 적을 괴롭히기 위한 SOG 작전의 기지 역할을 할 수 있다. 호치민 루트를 정찰하는 정찰기의 활주로 역할을 할 수 있다. 비무장 지대 남쪽 방어의 서쪽 닻 역할을 할 수 있다. 그리고 호치민 루트를 차단하기 위한 지상 작전의 잠정적인 출발점이 될 수 있다.[42]
그러나 모든 주요 해병 장교들이 이에 동의한 것은 아니었다. 새로운 제3 해병대 작전군 사령관 쿠시만은 월트의 퇴임 후 육군/해병대 관계 개선을 위해 웨스트모어랜드를 지지했을 수 있다. 제기된 다른 우려 사항으로는 제1군단에 대한 실제 위협은 꽝찌 시와 다른 도시 지역에 대한 직접적인 위협이며, 북베트남군(PAVN) 병력이 케산을 쉽게 우회할 수 있기 때문에 침투에 대한 방어는 무의미할 것이라는 주장, 기지가 너무 고립되어 있다는 점, 해병대는 "이러한 작전을 수행할 헬리콥터 자원, 병력, 물류 기지를 가지고 있지 않다"는 점 등이 있었다.
제3 해병 사단 부사령관 로웰 잉글리쉬 준장은 고립된 전초 기지 방어가 터무니없다고 불평했다. "케산에 있을 때는 실제로 어디에도 없는 겁니다. 그걸 잃어도 정말 아무것도 잃지 않는 거죠."[33]
하지만 웨스트모어랜드는 북베트남이 정형화된 전투를 위해 대규모 병력을 집결시켰다는 사실을 인지하고 있었다. 그는 미국 화력이 민간인 사상자 없이 완전히 사용될 수 있는 비거주 지역에 기지가 있다는 사실이 이러한 전망을 더욱 매력적으로 만들었다고 판단했다. 고정된 위치로 이동하는, 이전에는 포착하기 어려웠던 적과 교전하여 파괴할 기회는 전례 없는 규모의 승리를 약속했다.[33]
3. 전투
웨스트모어랜드를 비롯한 미국 고위 사령부는 제1군단에 할당된 제한된 병력을 케산 방어에 더 투입할지, 아니면 기지를 포기할지 결정해야 했다.[41] 웨스트모어랜드는 케산이 라오스에서 9번 국도를 따라 침투하는 적을 차단하고, 라오스의 적을 괴롭히기 위한 SOG 작전의 기지 역할을 할 수 있으며, 호치민 루트를 정찰하는 정찰기의 활주로 역할을 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42]
그러나 제3 해병 사단 부사령관 로웰 잉글리쉬 준장은 고립된 전초 기지 방어가 터무니없다고 불평했다.[33] 그는 "케산에 있을 때는 실제로 어디에도 없는 겁니다. 그걸 잃어도 정말 아무것도 잃지 않는 거죠."라고 말했다.[33]
그럼에도 웨스트모어랜드는 북베트남군이 정형화된 전투를 위해 대규모 병력을 집결시켰다는 사실에 주목했다. 그는 비거주 지역에서 미국의 화력을 사용할 수 있다는 점이 매력적이라고 생각했다. 고정된 위치로 이동하는 전에는 포착하기 어려웠던 적과 교전하여 파괴할 기회는 전례 없는 규모의 승리를 약속했다.[33]
린든 B. 존슨 대통령은 케산이 디엔비엔푸 전투와 같이 되는 것을 용납하지 않겠다고 결심하고, 케산 사수를 명령했다.[72]
1967년 4월부터 5월에 걸쳐 케산 기지 주변에서 소규모 충돌이 있었지만, 북베트남이 1968년 1월 31일부터 시작된 테트 공세에 대비하여 본격적으로 이 지역을 공략하기 시작한 것은 1968년 1월 중순부터였다. 북베트남 정규군 제304사단이 기지 서쪽에서, 제325사단이 기지 북쪽에서 포격을 시작함과 동시에 참호를 이용하여 미국 해병대 2개 연대와 남베트남 정부군 레인저 부대가 지키는 케산 기지로 접근했다.
1월 31일 테트 공세 개시 이후, 수세에 몰린 미군에 대해 북베트남군은 인명 피해를 개의치 않고 적극적으로 공격을 가했고, 2월 중순에는 북쪽에 대기하고 있던 사단 예비 병력 3,000명을 투입하여 한때 전력비가 4배에 달하는 병력을 투입했다. 이에 대해 미군은 77일간의 전투 기간 동안 B-52 전략 폭격기를 동원한 '''나이아가라 작전'''을 실시하여 약 약 103419090.00kg의 폭탄을 투하, 공격하는 북베트남군에게 막대한 피해를 입혔다.
4월에 들어서자 마침내 전력에 여유가 생긴 미군은 지상에서 '''케산 기지 해방 작전 "페가수스"'''를 발령하여, 북베트남군을 이 지역에서 철수시키는 데 성공했다.
3. 1. 전초기지 공격
1968년 1월, 북베트남군은 케산 주변에 포병, 로켓, 박격포 진지를 구축하고 기지에 대한 화력 공격을 시작했다. 1월 2일, 케산 기지 방어 철선 밖에서 북베트남군으로 추정되는 6명이 발견되어 사살되었다.[21] 1월 20일, 귀순한 북베트남군 장교가 공격 계획을 폭로하면서 미군은 방어를 강화했다.1월 21일, 북베트남군은 힐 861을 공격하고 주 기지에 대한 대규모 포격을 가했다. 이 공격으로 해병대 14명이 사망하고 43명이 부상당했다. 케산 마을 또한 북베트남군의 공격을 받았으며, 미군과 현지 병력은 큰 피해를 입고 기지로 철수했다. 1월 23일, 북베트남군은 라오스 9번 국도상의 반 호에이 사네를 공격했는데, 이는 북베트남군이 장갑 부대를 투입한 첫 사례였다.
2월 8일, 북베트남군은 케산 전투 기지 서쪽의 전초기지 알파-1을 공격했다. 안개와 박격포 포격 속에서 방어선을 돌파, 대부분의 진지를 점령하고 남은 병력을 남서쪽으로 몰아냈다. 그러나 북베트남군은 이점을 활용하지 않고 해병대에게 계속 수류탄을 던졌다. 이후 구원대가 출동해 북베트남군을 격퇴했다. 해병대는 전사 24명, 부상 27명의 피해를 입었고, 북베트남군 시신 150구가 발견되었으며, 기지는 버려졌다.
2월 23일, 케산 전투 기지는 가장 심한 포격을 받았다. 8시간 동안 1,307발의 포탄이 쏟아졌는데, 대부분 라오스에 위치한 130mm 포와 152mm 포에서 발사되었다. 이로 인해 10명이 사망하고 51명이 부상당했다. 2월 25일, 미군은 북베트남군 참호가 기지 경계에서 북쪽으로 25m까지 뻗어 있는 것을 발견했다. 이 참호들은 디엔비엔푸 전투에서 사용되었던 전술과 유사했다.[69] 같은 날, 제1대대 26연대 브라보 중대 3소대가 정찰 중 매복 공격을 받아 6명이 사망하고 24명이 실종, 1명이 포로가 되었다.


2월 말, 지상 센서가 제66연대 제304사단이 동쪽 경계의 제37 ARVN 레인저 대대 진지를 공격할 준비를 하고 있음을 감지했다. 2월 28일 밤 공격이 시작되었지만, 포병과 공습 지원을 받은 레인저의 소화기에 저지되었다. 이후 두 차례 더 공격이 있었으나 북베트남군이 철수하면서 중단되었다. 3월 동안에도 5번의 추가 공격이 있었다.
3월 중순, 해병대 정보국은 북베트남군 부대가 케산 지역에서 철수하는 것을 파악했다. 그러나 3월 22일, 1,000발 이상의 북베트남군 포탄이 기지에 떨어져 탄약고가 폭발했다. 3월 30일, 제26연대 브라보 중대는 2월 25일 매복 지역으로 공격을 시작, 북베트남군 115명을 사살하고, 해병대 10명 전사, 100명 부상, 2명 실종의 피해를 입었다.
3. 1. 1. 핵무기 사용 계획 (웨스트모어랜드)
웨스트모어랜드는 케산 전투가 격화되자 핵무기 사용을 고려했다. 기밀 해제된 문서에 따르면, 그는 1968년 1월 말 비무장 지대(DMZ) 근처와 케산의 상황이 급격히 악화될 경우 핵무기나 화학 무기를 사용해야 할 수도 있다고 경고했다.[50] 이로 인해 존 매코넬 공군 참모총장은 합동참모본부(JCS)가 태평양 사령부에 미 해병대 기지의 치명적인 손실을 막기 위해 저위력 핵무기 사용 계획을 준비하도록 요청할 권한을 요청하도록 압박했지만 실패했다.[50]그러나 1968년 2월 19일 로버트 맥나마라 미국 국방부 장관이 린든 B. 존슨 미국 대통령에게 보낸 비밀 각서(2005년 기밀 해제)에 따르면, 전술 핵무기의 효과를 감소시켰을 남베트남 고유의 지형적 고려 사항 때문에 핵 옵션은 고려 대상에서 제외되었다.[51] 맥나마라는 "남베트남에서의 작전에 특유한 지형 및 기타 조건으로 인해, 베트콩이나 북베트남군을 상대로 핵무기 사용이 권장될 수 있다고는 생각할 수 없다"고 썼다.[51] 맥나마라의 생각은 그의 보좌관 데이비드 모리스로의 영향도 받았을 수 있는데, 그의 형제 마이클 모리스로가 기지에서 복무하고 있었다.[51]
3. 1. 2. 나이아가라 작전 (Operation Niagara)
미군은 케산 주변 북베트남군의 활동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기 위해 '''나이아가라 작전'''을 실시했다. 이 작전은 케산 지역에 전례 없는 규모의 공중 화력을 집중시키는 결과를 가져왔다. 미 공군, 해군, 해병대는 전투 기간 동안 케산 지역에 막대한 양의 폭탄을 투하했다.[33] 윌리엄 웨스트모어랜드는 이러한 화력 집중이 정치적 재앙을 초래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33]한편, 케산 전투 지원을 위한 항공 자산 통제권을 두고 미군 내부에서 갈등이 벌어졌다. 웨스트모어랜드는 공군에 항공 자산 통제권을 부여하려 했으나, 해병대는 이에 반대했다. 결국 웨스트모어랜드의 주장이 받아들여져, 베트남 전쟁 중 처음으로 항공 작전이 단일 관리자의 통제를 받게 되었다.[33]
1968년 1월 31일부터 시작된 테트 공세 이후, 미군은 북베트남군에 대응하기 위해 총 2,700 소티에 달하는 B-52 전략 폭격기를 동원한 '''나이아가라 작전'''을 실시하여 약 약 103419090.00kg의 폭탄을 투하했다.[33]
3. 1. 3. 랑베이 함락
1968년 2월 7일 새벽, 북베트남군은 랑베이에 주둔한 특수 부대 캠프를 공격했다. 미군은 라오스 난민과 SOG 정찰팀을 통해 이 지역에 북베트남군 장갑차량이 있다는 정보를 사전에 입수했으나,[61] 실제로 장갑 부대를 투입할 것이라고는 예상하지 못했다.[25]북베트남군은 소련제 PT-76 수륙 양용 전차 12대를 앞세워 공격을 개시했다. 이 전차들은 203 장갑 연대 소속이었으며, 보병 부대(304 사단의 7대대, 66 연대 및 24 연대 4대대)의 지원을 받았다.[25] 보병들은 사첼 폭탄, 최루탄, 화염 방사기 등으로 무장하고 있었다.
PT-76 전차의 기습적인 공격으로 랑베이 캠프의 방어선은 순식간에 무너졌다. 특수 부대원과 브루족 CIDG는 격렬하게 저항하며 최소 5대의 전차를 파괴했지만, 역부족이었다.[25]
케산의 해병대는 랑베이 구원을 위한 지상군 투입 계획을 가지고 있었으나, 매복을 우려한 로운즈는 이를 실행하지 않았다. 또한 생존자 헬리콥터 탈출도 거부했다. 이는 특수 부대 지휘관들의 강한 반발을 샀다. 결국 웨스트모어랜드의 명령으로 SOG 정찰대가 헬리콥터를 이용하여 생존자들을 구출했다.[25]
랑베이 전투에서 CIDG 병력 500명 중 200명이 사망 또는 실종되었고, 75명이 부상당했다. 미군 24명 중 10명이 사망하고 11명이 부상당했다.[33]

이 사건으로 인해 랑베이 캠프는 함락되었고, 생존자들은 케산 기지로 이동했다. 그러나 케산 기지 사령관 로운즈는 북베트남군 침투를 우려하여 이들을 받아들이지 않았다. 이로 인해 특수 부대와 해병대 간의 불신은 더욱 깊어졌다.
3. 2. 보급 및 지원 사격
9번 국도의 폐쇄와 겨울 몬순 날씨로 인해 케산 전투 기지(KSCB)로의 물자 수송은 큰 어려움을 겪었다. 낮은 구름과 안개가 자주 발생하여 시야가 좋지 않아 공중 보급에 심각한 지장을 초래했다.대부분의 물자는 C-130 수송기에 의해 낙하산으로 투하되었으며, 주로 미 공군 승무원들이 이 임무를 수행했다. 이들은 해병대 항공 승무원보다 공중 투하 경험이 더 많았다.[33] 케산에서는 저고도 낙하산 추출 시스템과 같은 극적인 보급 방식도 사용되었다. 이 방식을 통해 팔레트화된 물품을 낮은 고도로 비행하는 수송기에서 부착된 낙하산을 이용해 꺼낼 수 있었다. 팔레트는 활주로에서 미끄러져 멈췄고, 항공기는 착륙할 필요가 없었다.[63] 미 공군은 14,356톤의 물자를 공중으로 케산에 보급했으며, 그 중 8,120톤은 낙하산 투하였다. 제1해병 항공단은 4,661톤의 화물을 KSCB로 수송했다.
고립된 언덕 초소들에 대한 재보급 역시 어려웠다. PAVN 대공포 사격은 헬리콥터에 큰 피해를 입혔다. 해병대는 "슈퍼 갱글" 개념을 통해 이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찾았다. 12대의 A-4 스카이호크 전투 폭격기 그룹이 12~16대의 헬리콥터 집단 비행에 대한 대공포 억제를 제공하여 언덕을 동시에 재보급하는 방식이었다. 2월 말 이 개념이 도입되면서 재보급 노력은 전환점을 맞았다. 2월 한 달 동안 해병대 헬리콥터는 465톤의 물자를 수송했다. 3월에 날씨가 맑아지자, 이 양은 하루 40톤으로 증가했다.

케산 방어를 위해 더 많은 보병 부대가 투입되면서 포병 지원도 강화되었다. 1월 초, 방어 병력은 다양한 구경의 46문 포, 90mm 포로 무장한 5대의 전차, 92문의 단일 또는 온토스 장착 106mm 무반동총의 화력 지원을 받을 수 있었다. 케산 동쪽에 위치한 캠프 캐롤의 미 육군 175mm 포도 화력 지원을 제공했다. 전투 기간 동안 해병대 포병은 158,891발의 포탄을 발사했다.[64][65] 4월 중순까지 미 공군, 해군, 해병대 항공기는 케산 주변 지역에 10만 톤 이상의 폭탄을 투하했다.[66] 이는 케산 전투에 투입된 것으로 추정되는 2만 명의 PAVN 병사 1명당 5톤에 해당하며, 하루 평균 약 1,300톤의 폭탄이 투하된 것이다.[67] 해병대 분석에 따르면, PAVN 포병은 전투 중 해병대 진지에 10,908발의 포탄, 박격포탄, 로켓을 발사했다.
3. 3. 기지 방어 전투
1967년 후반, 북베트남은 남베트남 국경 지역에서 일련의 공격을 시작했다. 이 공격들은 이전의 게릴라 전술과는 달리 지속적이고 많은 사상자를 냈다.[26] 10월 초, 북베트남군은 콘티엔에 대한 포격을 강화했다.[27] 윌리엄 웨스트모어랜드 장군은 작전 중화를 시작하여 대응했다.[29]10월 27일, 북베트남군 연대는 송베에서 남베트남군 대대를 공격했고,[29] 이틀 후에는 록닌 근처의 특수 부대 기지를 공격했다.[29] 미 제1 보병 사단이 신속하게 대응하여 10일간의 전투 끝에 공격자들을 캄보디아로 몰아냈다. 이 과정에서 북베트남군 852명이 사망하고, 미국 및 남베트남군은 50명이 사망했다.[29]
다크토 근처에서는 22일간의 치열한 전투가 벌어졌다.[30] 미 정보부는 1,200~1,600명의 북베트남군이 사망한 것으로 추산했으며, 미군과 남베트남군 362명이 전사했다.[31] 이러한 국경 전투는 테트 공세를 준비하기 위해 미국과 남베트남군 병력을 해안 저지대와 도시에서 멀리 끌어내는 결과를 가져왔다.[32]
1967년 4월 24일, 케산에서 북베트남군의 공세가 시작되었다.[36] 제3해병연대의 제2 및 제3 대대가 케산을 증원하여 북베트남군을 몰아냈다. 이 과정에서 북베트남군은 940명의 사상자를 냈고, 해병대는 155명이 전사하고 425명이 부상당했다.[37]
언덕 전투 이후 케산 주변에서 북베트남군의 활동이 소강 상태에 접어들었다. 8월 14일, 데이비드 E. 로운즈 대령이 제26해병연대의 사령관직을 맡았다. 늦여름과 초가을에 산발적인 작전이 수행되었으며, 9번 도로에서 보급 호송대를 매복 공격한 사건이 있었다.[25]
미국 고위 사령부는 케산 방어에 병력을 더 투입할지, 아니면 기지를 포기할지 결정해야 했다.[41] 웨스트모어랜드는 케산이 라오스에서 침투하는 적을 차단하고, 라오스의 적을 괴롭히기 위한 SOG 작전의 기지 역할을 할 수 있으며, 호치민 루트를 정찰하는 정찰기의 활주로 역할을 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42]
그러나 제3 해병 사단 부사령관 로웰 잉글리쉬 준장은 고립된 전초 기지 방어가 터무니없다고 불평했다.[33] 그럼에도 불구하고, 웨스트모어랜드는 북베트남군이 대규모 병력을 집결시켰다는 사실에 주목했다. 그는 비거주 지역에서 미국의 화력을 사용할 수 있다는 점이 매력적이라고 생각했다.[33]
린든 B. 존슨 대통령은 케산이 디엔비엔푸 전투와 같이 되는 것을 용납하지 않겠다고 결심하고, 케산 사수를 명령했다.[72]
3. 3. 1. 린든 B. 존슨 대통령의 기지 사수 명령
린든 B. 존슨 대통령은 케산 전투가 격화되면서, 케산이 1954년 프랑스군이 패배한 디엔비엔푸 전투와 같이 '미국의 디엔비엔푸'가 되는 것을 결코 용납하지 않겠다고 결심했다.[72] 그는 미군에 어떤 대가를 치르더라도 케산을 사수하라고 명령했다.[72] 그 결과, 괌, 오키나와, 태국에서 발진한 B-52 폭격기의 아크 라이트 작전이 케산 주변 정글을 초토화시켰다.[72]3. 4. 케산 구원 작전
케산 구원 작전은 1968년 4월, 미군이 케산 기지를 포위한 북베트남군을 격퇴하고 기지를 구출하기 위해 수행한 작전이다. 이 작전은 크게 페가수스 작전과 찰리 작전으로 나뉜다. 페가수스 작전은 미군과 남베트남군이 케산 기지로 진격하여 포위를 뚫는 작전이었고, 찰리 작전은 케산 기지를 철수하고 파괴하는 작전이었다.3. 4. 1. 페가수스 작전 (Operation Pegasus, 1968년 4월 1일 ~ 14일)
Operation Pegasus영어는 1968년 4월 1일에 시작된 케산 전투 기지 구원 작전이다. 미 육군 제1기병사단과 해병대가 9번 도로를 따라 케산으로 진격했다. 북베트남군의 저항은 미미했으며, 작전의 가장 큰 장애물은 악천후였다.4월 4일, 1/9 해병대는 471고지에 대해 공격을 시작했다. 해병대는 맹렬한 저항을 이겨내고 471고지를 확보했다.
4월 6일, 2/26 해병대 G 중대는 558고지에서 정찰 중 북베트남군의 매복 공격을 받았다. 치열한 전투 끝에 G 중대는 558고지로 철수했다. 같은 날, 1/26 해병대는 2월 25일과 3월 30일 작전 중 실종된 해병들의 유해를 수습했다. 제1기병사단 제3 여단은 9번 도로를 정리하며 강력한 북베트남군 차단 진지를 격파했다. 2대대, 제12기병이 471고지에 착륙하여 방어를 맡으면서 1/9 해병대원들은 케산 최초의 구원군이 되었다.
4월 7일, 2/26 해병대는 전날의 매복 현장으로 돌아가 북베트남군의 능선을 정리하고 실종된 해병 6명의 시신을 수습했다. 1/9 해병대는 저항 없이 552고지를 점령했다. 제1기병사단 제2여단은 케산 마을 근처의 옛 프랑스 요새를 점령했다.
4월 8일, 2대대, 제7기병이 케산 전투 기지에 도착하면서 구원군과 기지의 해병대가 연결되었다. 1/9 해병대는 689고지로 진격했다.
4월 9일, 비행장이 모든 유형의 항공기에 개방됨에 따라 공중 투하가 중단되었다. 4월 11일, 11공병은 9번 도로의 교통 개통을 선언했다.
4월 14일, 3/26 해병대는 881 북고지를 공격하여 점령했다.
4월 15일, Operation Pegasus영어가 공식적으로 종료되었다. 미국은 92명 사망, 667명 부상, 5명 실종의 피해를 입었고, 남베트남군은 33명 사망, 187명 부상당했다.[75] 북베트남군의 사상자는 10,000~15,000명으로 추산된다.[76]
3. 4. 2. 찰리 작전: 기지 철수 (Operation Charlie)
1968년 구정 공세에서 북베트남군은 남베트남의 인구 밀집 지역에서 3만 명의 미국군을 끌어들이는 데 성공하여 전략적으로 승리했다. 미군은 주변이 공산 세력 하에 있는 케산 기지를 유지하는 비용이 많이 들고, 참호에 대한 항공 폭격의 위력이 비교적 낮다는 점 등을 이유로 7월에 케산 기지를 파괴하고 철수하기로 결정했다.[1] 최전선 케산 기지 포기는 구정 공세와 함께 미국 국민에게 큰 타격을 주었고, 미국 내 베트남 철수 지지층 증가로 이어졌다.[1]4. 스코틀랜드 작전 II (Operation Scotland II)
1968년 4월 15일, 제3해병사단은 케산 전투 기지(KSCB)에 대한 책임을 다시 맡았고, 페가수스 작전이 종료되면서 해병대가 주변 지역에서 북베트남군(PAVN)을 수색하는 스코틀랜드 작전 II가 시작되었다.[78] 이 작전은 1969년 2월 28일까지 계속되었으며, 해병 435명과 북베트남군 3,304명이 사망했다.[78]
피터 브러시는 1968년 6월 말까지 스코틀랜드 작전 II에서 해병 413명이 추가로 사망했다고 설명한다.[15] 그는 이어서 연중 나머지 기간 동안 스코틀랜드 작전 II의 일부로 72명이 더 사망했지만, 이 사망자는 케산 전투에 대한 공식적인 미군 사상자 목록에는 포함되지 않는다고 밝혔다. 사망한 25명의 미국 공군 인원도 포함되지 않았다.[15]
5. 영향 및 평가
케산 전투에서 북베트남의 전략적 목표는 여전히 논쟁의 대상이다. 일부는 북베트남이 케산을 점령하려 했으나 실패했다고 주장하는 반면, 다른 이들은 케산 전투가 테트 공세를 위한 양동 작전이었다고 주장한다.[25] 북베트남 자료는 케산 전투를 "군사적, 정치적 관점에서 쓰라린 패배"로 규정하고 있다.[11]
보 응우옌 지압 베트남 전선 사령관은 "케산 자체는 중요하지 않았고, 남베트남의 인구 밀집 지역에서 미군을 끌어내기 위한 양동작전이었을 뿐이다."라고 주장했다.[85] 이는 케산 포위전이 테트 공세의 주요 목표였던 도시에서 미군 3만 명을 분산시키면서 더 광범위한 북베트남 전략에 기여했다는 결론으로 이어진다.[86]
윌리엄 웨스트모어랜드 장군은 북베트남이 디엔비엔푸 전투를 재현하려 했다고 믿었다. 그는 하노이가 테트 공세를 위해 병력을 배치하는 대신 케산 지역에 그렇게 많은 병력을 투입할 다른 설명이 없다고 주장한다. 북베트남이 가용 병력의 약 절반(6~7만 명)만을 공세에 투입했으며, 대부분이 베트콩이었다는 사실이 그의 주장을 뒷받침하는 근거로 인용된다.[87] 그러나 케산 주변의 병력이 단순히 DMZ 지역에서의 국지적인 방어 조치였거나, 인천 상륙 작전과 같은 미국의 공세적 측면을 대비한 예비군 역할을 했다는 주장도 있다.[33]
또 다른 해석은 북베트남이 양쪽 끝을 중간에 맞서는, 옵션 플레이 전략을 계획하고 있었다는 것이다. 즉, 케산을 점령하려 하겠지만, 만약 그렇게 할 수 없다면 가능한 한 많은 미군과 남베트남군을 I군단에 묶어두어 테트 공세를 용이하게 하려 했을 것이다. 1974년 북베트남이 포획한 전투 연구는 북베트남군이 할 수 있었다면 케산을 점령하려 했지만, 지불할 대가에는 한계가 있었다고 밝혔다. 주요 목표는 미군에게 사상자를 입히고 그들을 외딴 국경 지역에 고립시키는 것이었다. 케산 주변의 행동과 국경에서의 다른 전투가 단순히 미군의 관심과 병력을 국경에 집중시키기 위한 기만 전술이었다는 이론도 있다.[89]
케산 전투는 미국 내 반전 여론을 확산시키는 데 기여했으며, 베트남 전쟁의 무의미함과 혼란을 상징하는 사건으로 인식되기도 한다.[82] 종군 기자 마이클 헤르는 이 전투에 대해 보도했으며, 그의 이야기는 영화 ''지옥의 묵시록''의 초현실적인 "롱 다리(Do Long Bridge)" 장면의 영감을 주었다.[83] 케산 전투 이후, 미군은 맥나마라 라인 구축을 중단하고, 보다 기동적인 전략을 채택했다.
5. 1. 람선 719 작전에서의 활용
1971년 1월 30일, 남베트남군과 미군은 9번 국도를 다시 열고 케산 지역을 확보하며, 람선 719 작전의 전방 보급 기지로서 케산 기지를 재점령하기 위해 듀이 캐니언 작전 II를 시작했다.[93][94] 1971년 2월 8일, 남베트남군 선두 부대가 9번 국도를 따라 라오스 남부로 진격했으며, 미국 지상군과 고문단은 라오스 진입이 금지되었다. 미국은 물류 지원, 공중 지원, 그리고 포병 지원을 제공했다.라오스에서 남베트남군이 패배한 후, 새로 재개통된 케산 기지는 북베트남군의 공격을 받았고, 1971년 4월 6일 다시 버려졌다.[95][96]
참조
[1]
웹사이트
The Battle of Khe Sanh 40th Anniversary: Casualties in May 1968
http://www.khesanh.o[...]
2017-10-04
[2]
웹사이트
The Battle of Khe Sanh 40th Anniversary: Casualties in June 1968
http://www.khesanh.o[...]
2017-10-03
[3]
문서
Kelley, p. 5.
[4]
문서
Willbanks, p. 104.
[5]
웹사이트
TheHistoryNet | Vietnam War | the Withdrawal from Khe Sanh
http://www.historyne[...]
[6]
웹사이트
Battle of Khe Sanh: Greatest U.S. Victory in Vietnam – or Worst Defeat?
https://www.historyn[...]
2007-06-26
[7]
웹사이트
The Withdrawal from Khe Sanh
https://www.historyn[...]
2006-06-12
[8]
웹사이트
The McNamara Line
http://www.u-s-histo[...]
2017-10-04
[9]
문서
Rottman, p. 90.
[10]
간행물
Khe Sanh: 6,000 Marines Dug In for Battle
https://books.google[...]
Time
1968-02-09
[11]
웹사이트
The Withdrawal from Khe Sanh
http://www.historyne[...]
2016-10-29
[12]
문서
Gordan L Rottman, Osprey Campaign 150: The Khe Sanh 1967–68, p. 51
[13]
문서
Rottman, p. 51.
[14]
문서
Rottman, pp. 90–92.
[15]
웹사이트
Recounting the Casualties at Khe Sanh
http://www.library.v[...]
Jean and Alexander Heard Library, Vanderbilt University
[16]
문서
Tucker 2010, p. 2450.
[17]
문서
Prados and Stubbe, p. 454.
[18]
문서
TĐBKQS / Trung tâm TĐBKQS – BQP – Hà Nội: QĐND, 2004.
[19]
문서
Shulimson
[20]
문서
Khe Sanh 1967–68: Marines battle for Vietnam’s vital hilltop base. Gordon L. Rottman. Bloomsbury Publishing, 2012. P. 10
[21]
문서
Stanton, pp. 35–48.
[22]
웹사이트
Strategic Crossroads at Khe Sanh
http://www.historyne[...]
2017-10-04
[23]
문서
Boston Publishing Company, p. 131.
[24]
문서
US Military Assistance Command, Vietnam, ''Command History 1965, Annex N''. Saigon, 1966, p. 18.
[25]
문서
Prados
[26]
문서
Eggleston, pp. 16–122.
[27]
문서
Telfer, Rogers, and Fleming, pp. 129–131.
[28]
문서
Maitland and McInerney, p. 164.
[29]
문서
Maitland and McInerney, p. 165.
[30]
문서
Stanton, pp. 160–169.
[31]
문서
Maitland and McInerney, p. 183.
[32]
문서
Palmer, pp. 213–215.
[33]
문서
Dougan and Weiss
[34]
문서
Murphy 2003, pp. 3–7, 13–14.
[35]
문서
Telfer, Rogers, and Fleming, p. 33.
[36]
서적
Murphy 2003, p. 79.
[37]
문서
Shore
[38]
서적
Murphy 1997 p. 165.
[39]
서적
Long 2016, p. 125.
[40]
서적
Murphy 2003, p. 233.
[41]
서적
Prados and Stubbe, p. 159.
[42]
문서
Westmoreland
[43]
간행물
US Military Assistance Command, Vietnam Command History, 1966, Annex M
Saigon
1967
[44]
서적
Van Staaveren, pp. 230 & 290.
[45]
문서
Clarke
[46]
서적
Military Institute of Vietnam, p. 216.
[47]
서적
Prados and Stubbe, p. 215.
[48]
웹사이트
Khe Sanh: The Other Side Of The Hill
http://www.vva.org/v[...]
[49]
서적
Nalty, p. 107.
[50]
웹사이트
The US's secret plan to nuke Vietnam, Laos
http://www.atimes.co[...]
2017-10-03
[51]
웹사이트
Memorandum for the President, 19 February 1968
http://www103.pair.c[...]
2017-10-03
[52]
서적
Van Staaveren, p. 290.
[53]
서적
Pearson, p. 35.
[54]
서적
Nalty, pp. 66–67.
[55]
문서
Morocco
[56]
서적
Nalty, p. 95.
[57]
서적
Nalty, pp. 68–69.
[58]
서적
Donaldson, p. 115.
[59]
문서
Pisor
[60]
서적
Pike 2013, p. 35.
[61]
서적
Plaster, p. 154
[62]
서적
Military History Institute of Vietnam, p. 222.
[63]
웹사이트
Air Power in the Siege of Khe Sanh
http://www.historyne[...]
2017-10-08
[64]
웹사이트
Battlefields of Khe Sanh: Still One Casualty a Day
https://www.nytimes.[...]
2017-10-05
[65]
서적
Ankony, pp. 145–155.
[66]
웹사이트
The US Army Quartermaster Air Delivery Units and the Defense of Khe Sanh
http://www103.pair.c[...]
2017-10-05
[67]
웹사이트
Operation Niagara: Siege of Khe Sanh
http://www.historyne[...]
2017-10-05
[68]
웹사이트
1st Signal Brigade
https://armyhistory.[...]
Army Historical Foundation
2020-04-20
[69]
서적
Wirtz, p. 197.
[70]
서적
Ryan 1984, p. 75.
[71]
문서
Welburn 1996, p. 51.
[72]
문서
Johnson, Chapter 18.
[73]
문서
Murphy 2003, pp. 239–240.
[74]
문서
Murphy 2003, p. 240.
[75]
문서
Sigler, p. 72.
[76]
문서
Tucker 1998, p. 340.
[77]
문서
Jones, Chapters 21 & 22.
[78]
서적
U.S. Marines in Vietnam: High Mobility and Standdown 1969
https://archive.org/[...]
History and Museums Division, Headquarters, U.S. Marine Corps
[79]
서적
Victory in Vietnam: A History of the People's Army of Vietnam, 1954–1975
University of Kansas Press
[80]
문서
Long 2013, pp. 355–362.
[81]
문서
Stanton, p. 246.
[82]
웹사이트
5 things you didn't know about Khe Sanh
https://foreignpolic[...]
2014-06-05
[83]
서적
Apocalypse Now: A Bloomsbury Movie Guide
[84]
문서
Rottman, Opposing plans.
[85]
웹사이트
The Battle of Khe Sanh
http://www.library.v[...]
2012-09-10
[86]
문서
Page and Pimlott, p. 324.
[87]
웹사이트
Airpower at Khe Sanh
https://www.airandsp[...]
2023-01-27
[88]
문서
Warren, p. 333.
[89]
문서
Palmer, p. 219.
[90]
문서
Military History Institute of Vietnam, pp. 216–217.
[91]
문서
Krulak, p. 218.
[92]
문서
Murphy 2003, p. 235.
[93]
문서
Hinh, pp. 8–12.
[94]
문서
Nolan, p. 31.
[95]
웹사이트
Operational Report Lessons Learned, Headquarters, 8th Battalion 4th Artillery, Period Ending 30 April 1971
http://www.8th-4th-a[...]
Department of the Army
1971-05-09
[96]
웹사이트
Narrative of Events of Company B, 2nd Battalion, 506th Infantry, 101st Airborne Division (Airmobile) During LAM SON 719
http://old.506infant[...]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