퀴네트 정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퀴네트 정리는 위상 공간의 곱의 호몰로지 또는 코호몰로지를 계산하는 데 사용되는 정리이다. 체, 주 아이디얼 정역, 호몰로지 스펙트럼 열 등 다양한 계수를 사용하여 정의되며, 호몰로지 및 코호몰로지 군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완전열과 스펙트럼 열을 제공한다. 이 정리는 1923년 헤르만 퀴네트에 의해 발표되었으며, K-이론과 코보디즘과 같은 일반화된 호몰로지 및 코호몰로지 이론에서도 유사한 형태로 증명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수적 위상수학 정리 - 렙셰츠 초평면 정리
렙셰츠 초평면 정리는 복소수체 위의 사영 대수다양체 와 초평면의 교집합 에 대해, 가 매끄러운 다양체일 때, 특이 호몰로지 군, 특이 코호몰로지 군, 호모토피 군 사이의 특정 군 준동형들이 동형사상 또는 전사 함수가 됨을 보이는 정리이며, 상대 호몰로지 군, 상대 코호몰로지 군, 상대 호모토피 군의 소멸 정리와 동치이다. - 대수적 위상수학 정리 - 보편 계수 정리
보편 계수 정리는 대수적 위상수학에서 호몰로지 군과 코호몰로지 군 사이의 관계를 Tor 및 Ext 함자를 통해 설명하며, 호몰로지 및 코호몰로지 보편 계수 정리로 나뉘고 여러 따름정리를 유도하거나 구체적인 예제 계산에 활용된다. - 호몰로지 이론 - 매시 곱
매시 곱은 미분 등급 대수 원소에 대한 연산으로 코호몰로지 곱으로 파악하기 어려운 위상수학적 불변량을 측정하며, 2항 곱과 3항 곱을 일반화한 형태로 불확정성을 가지지만, 브루니안 링크, 보로메오 고리 연구 및 꼬인 K-이론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된다. - 호몰로지 이론 - 베유 대수
베유 대수는 체 K 위의 리 대수 g에 대하여 정의되는 미분 등급 대수이며, g의 쌍대 공간과 그 등급 이동으로 생성되는 외대수와 대칭 대수의 텐서곱으로 표현되고, 리 군의 분류 공간의 주다발의 무한소 형태를 나타내는 완전열과 관련이 있다.
퀴네트 정리 |
---|
2. 정의
두 위상 공간 와 가 주어졌을 때, 특이 호몰로지를 사용하여 퀴네트 정리를 정의할 수 있다. 와 가 CW 복합체일 경우, 특이 호몰로지는 세포 호몰로지와 동형이므로 세포 호몰로지로 대체할 수 있다.
가장 간단한 경우는 호몰로지의 계수환이 체 인 경우이다. 이때 퀴네트 정리는 임의의 정수 에 대해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
이 동형 사상은 자연 동형이며, 합에서 곱의 호몰로지 군으로의 사상을 ''교차 곱''이라고 한다. 교차 곱 연산은 위의 -사이클과 위의 -사이클을 결합하여 위의 -사이클을 생성한다. 이를 통해 직접 합에서 로의 명시적인 선형 사상이 정의된다.
이 결과, 의 베티 수는 와 의 베티 수로부터 결정될 수 있다. 가 공간 의 베티 수 의 수열의 생성 함수라고 하면, 다음 항등식이 성립한다.
:
이는 와 의 베티 수가 유한하고 각각 가 아닌 자연수인 경우, 푸앵카레 다항식에 대한 항등식으로 읽힌다.
계수환이 주 아이디얼 정역(PID)인 경우, 위 방정식은 항상 참이 아니며, Tor 함자를 이용한 수정 인자가 필요하다. ''R''이 PID일 때, 퀴네트 정리는 모든 위상 공간 ''X''와 ''Y''에 대해 다음과 같은 자연스러운 짧은 완전열이 존재함을 나타낸다.
:
이 수열들은 분할되지만, 표준적으로 분할되지는 않는다.
2. 1. 체 계수
와 가 위상 공간이고, 가 체일 때, 특이 호몰로지에 대한 퀴네트 정리는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이는 베티 수의 생성함수에 대한 다음 항등식으로 표현될 수 있다.
:
코호몰로지 환에 대한 퀴네트 정리는 다음과 같다.
:
2. 2. 주 아이디얼 정역 계수
계수가 주 아이디얼 정역 인 경우, 퀴네트 정리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가군의 짧은 완전열이 존재한다.[1]:
여기서 는 Tor 함자다. 이 짧은 완전열은 분할 완전열이지만, 이 분할은 표준적(canonical)이지 않다.
마찬가지로, 주 아이디얼 정역 계수의 코호몰로지에 대하여, -가군의 짧은 완전열이 존재한다.[1]
:
여기서 는 Tor 함자다. 이 짧은 완전열 역시 분할 완전열이다.
2. 3. 호몰로지 스펙트럼 열
임의의 가환환 계수의 호몰로지에 대하여, 퀴네트 정리는 '''퀴네트 스펙트럼 열'''(Künneth spectral sequence영어) 로 표현된다.[7] 퀴네트 스펙트럼 열의 2번째 쪽은 다음과 같은 Tor 함자이다.:
이 스펙트럼 열은 곱공간의 호몰로지로 수렴한다.
:
보다 일반적으로, 위상군 가 연속적으로 오른쪽에서 작용하는 위상 공간 및 연속적으로 왼쪽으로 작용하는 위상 공간 가 주어졌고, 가 -주다발을 이룬다고 하자. 이 경우 의 호몰로지 는 자연스럽게 환을 이루며, 이는 와 의 호몰로지에 각각 오른쪽 및 왼쪽에서 작용한다. 그렇다면 스펙트럼 열
:
은 다음과 같은 -곱공간의 호몰로지로 수렴한다.[7]
:
여기서
:
이다. 이는 가 자명군일 경우 단순한 곱공간이 된다.
2. 4. 코호몰로지 스펙트럼 열
마찬가지로, 코호몰로지의 경우 다음과 같은 스펙트럼 열이 존재한다.[7]:
만약 와 의 코호몰로지가 각 차수에서 -유한 생성 가군이라면, 이 스펙트럼 열은 의 코호몰로지로 수렴한다.
:
보다 일반적으로, 연속 함수 , 가 주어졌으며 는 올뭉치를 이룬다고 하자. 그렇다면 는 와 의 코호몰로지 위에 각각 오른쪽 · 왼쪽에서 작용한다. 다음 조건들을 가정하자.
그렇다면 스펙트럼 열
:
은 다음과 같은 당김의 코호몰로지로 수렴한다.[7]
:
여기서 는 범주론적 당김
:
이다. 이는 가 한원소 공간일 경우 단순한 곱공간이 된다.
3. 예시
두 개의 실사영 평면의 곱 의 정수 계수를 갖는 호몰로지 군 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이 공간은 CW 복합체이다. 편의상 호몰로지 군 를 로 표기하면, 세포 호몰로지를 사용해 간단히 계산하여 다음을 알 수 있다.
:,
:,
:의 다른 모든 값에 대해
이러한 값에서 형성될 수 있는 유일한 0이 아닌 Tor 군(비틀림 곱)은
:이다.
따라서 퀴네트 짧은 완전 순서는 각 차수에서 동형 사상으로 축소되는데, 그 이유는 순서의 왼쪽 또는 오른쪽에 각 경우에 0 군이 있기 때문이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
그리고 다른 모든 호몰로지 군은 0이다.
4. 일반화된 호몰로지와 코호몰로지 이론
K-이론과 코보디즘이 가장 잘 알려져 있는, 위상 공간에 대한 많은 일반화된 (또는 "특별한") 호몰로지 및 코호몰로지 이론이 존재한다. 일반 호몰로지 및 코호몰로지와 달리, 일반적으로 체인 복합체를 사용하여 정의할 수 없다. 따라서 퀴네트 정리는 상동 대수의 위 방법으로는 얻을 수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퀴네트 정리는 매우 많은 경우에 다른 다양한 방법으로 동일한 형태로 증명되었다. 최초의 것은 마이클 아티야의 복소 K-이론에 대한 퀴네트 정리와 피에르 코너와 에드윈 플로이드의 코보디즘에 대한 결과였다.[3][4] 이러한 모듈의 고도로 구조화된 링 스펙트럼에 대한 호모토피 이론을 기반으로 하는 일반적인 증명 방법이 나타났다.[5][6] 이러한 모듈의 호모토피 범주는 호몰로지 대수의 유도 범주와 매우 유사하다.
5. 역사
독일의 수학자 헤르만 퀴네트(Hermann Künneth|헤르만 퀴네트de)가 1923년에 발표하였다.[8][9]
6. 관련 수학 이론
공간 ''X'' × ''Y''의 사슬 복합체는 자연스러운 준동형사상에 의해 ''X''와 ''Y''의 사슬 복합체와 관련된다. 특이 사슬의 경우, 이것은 아일렌버그-질버 정리이다.[1] CW 복합체에 대한 세포 사슬의 경우, 이는 직접적인 동형사상이다. 그러면 오른쪽의 텐서 곱의 호몰로지는 호몰로지 대수의 분광 퀴네스 공식에 의해 주어진다.[1]
사슬 모듈의 자유성은 이 기하학적 경우에 초호몰로지나 전체 도출 텐서 곱을 사용할 필요가 없음을 의미한다.
위의 명제들은 특이 코호몰로지와 층 코호몰로지에도 유사하게 적용된다. 대수적 다양체에 대한 층 코호몰로지의 경우, 알렉산더 그로텐딕은 두 사슬 복합체의 가능한 초호몰로지 군과 이들의 텐서 곱의 초호몰로지 군을 관련시키는 여섯 개의 스펙트럼 열을 발견했다.[2]
참조
[1]
서적
Homology
Springer
[2]
간행물
Éléments de géométrie algébrique (rédigés avec la collaboration de Jean Dieudonné): III. Étude cohomologique des faisceaux cohérents, Seconde partie
http://www.numdam.or[...]
2008-07-29
[3]
서적
K-theory
W. A. Benjamin
[4]
서적
Differentiable periodic maps
Springer
[5]
논문
Derived tensor products in stable homotopy theory
[6]
서적
Rings, modules and algebras in stable homotopy theory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7]
서적
Spectral Sequences in Algebraic Topology
https://www.math.cor[...]
[8]
저널
Über die Bettischen Zahlen einer Produktmannigfaltigkeit
1923-03
[9]
저널
Über die Torsionszahlen von Produktmannigfaltigkeiten
1924-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