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신분당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신분당선은 서울특별시 강남과 경기도 수원, 용인을 잇는 광역철도로, 2005년 강남~정자 구간 착공을 시작으로 여러 단계를 거쳐 개통되었다. 1단계는 강남~정자 구간으로 2011년 개통되었으며, 2단계는 정자~광교 구간으로 2016년 개통되었다. 3단계는 강남~신사 구간으로 2022년 개통되었고, 4단계는 광교중앙~호매실 구간 연장이 계획되어 있다. 신분당선은 무인 운전 시스템과 별도의 운임 체계를 갖추고 있으며, 광역철도로 분류되어 도시철도법의 적용을 받지 않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신분당선 - 신분당선 D000호대 전동차
    신분당선 D000호대 전동차는 신분당선에서 운행하는 6량 1편성의 무인 운전 전동차로, 도입 시기에 따라 소속이 나뉘며 대한민국 최초로 문자 편성번호를 사용하고 RF-CBTC 기반 무인운전 시스템과 AUTS 기술이 적용되었다.
  • 신분당선 - 경기철도
    경기철도는 신분당선 2단계 구간 건설 및 운영을 담당하는 회사이며, 신분당선 열차 운행 및 관련 업무를 수행하고, 신분당선 · 경기철도 D000호대 전동차를 운행한다.
  • 2011년 개통한 철도 노선 - 타슈켄트-사마르칸트 고속철도
    타슈켄트-사마르칸트 고속철도는 2011년 개통된 우즈베키스탄의 고속철도 노선으로, 아프로시욥 열차 운행을 시작으로 카르시, 부하라까지 연장되었으며, 현재 우르겐치, 히바까지 공사 중이고 2024년 KTX-이음 기반 열차 도입 예정이나 티켓 구매의 어려움이 존재한다.
  • 2011년 개통한 철도 노선 -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은 수원시와 인천광역시를 잇는 수인선과 성남시와 서울특별시를 잇는 분당선을 2020년 9월 12일 통합 개통한 광역철도 노선으로, 수도권 서남부와 동남부를 연결하는 주요 교통축을 형성하며, 향후 학익역 개통 예정 및 인천역-경부고속철도 연결 계획 검토와 함께 소음 문제 및 콘크리트 도상 사용 등 논란도 존재한다.
  • 2022년 개통한 철도 노선 - 서울 경전철 신림선
    서울 경전철 신림선은 영등포구 샛강역에서 관악구 관악산(서울대)역까지 7.6km를 운행하는 노선으로, 2022년 5월 개통되었으며 11개 역으로 구성, 기존 지하철 노선과의 환승을 통해 서울 남부 지역의 교통 편의를 개선하고 서울대학교 접근성을 향상시켰으며, 무인 자동운전 K-AGT 방식의 고무차륜 전동차를 운영한다.
  • 2022년 개통한 철도 노선 - 수도권 전철 4호선
    수도권 전철 4호선은 경기도 남양주시 진접역에서 시흥시 오이도역을 잇는 노선으로, 진접선, 서울 지하철 4호선, 과천선, 안산선으로 구성되어 남양주도시공사, 서울교통공사, 한국철도공사가 구간별로 운영하며, 완행과 급행이 운행되고 통행 방식 및 전철화 방식이 구간별로 다르다는 특징이 있다.
신분당선
노선 정보
노선 이름신분당선 (DX선)
원어 이름ko: 신분당선(新盆唐線)
ko_rr: Sinbundangseon
노선 종류수도권 전철
노선 체계광역철도
상태영업 중
기점신사역
종점광교역
역 수16
개통일2011년 10월 28일 (강남 ~ 정자)
2016년 1월 30일 (정자 ~ 광교)
2022년 5월 28일 (신사 ~ 강남)
소유자대한민국 정부 (국가철도공단 위탁)
운영자신분당선 (강남 ~ 정자 간 건설)
네오트랜스 (전 구간 열차 운행, 선로 유지보수운영 업무)
경기철도 (정자 ~ 광교 간 건설)
새서울철도 (용산 ~ 강남 간 건설)
노선 길이33.4 km
궤간1,435 mm (표준궤)
선로 수2
전철화 방식가공강체가선, 교류 25,000V, 60Hz
신호 방식CBTC [무인 반자동운전]
영업 최고 속도CBTC 구간 90 km/h (1단계 구간) ~ 120 km/h (2단계 구간)
설계 최고 속도120 km/h
노선 번호320
신분당선 열차
신분당선 전동차
기타 정보
차량 기지광교차량사업소
로고[[파일:South Korea subway logo.svg|x40px]]
[[파일:Shinbundang Line.svg|x40px]]
역 목록
D04신사역
D05논현역
D06신논현역
D07강남
D08양재역
D09양재시민의숲역
D10청계산입구역
D11판교
D12정자역
D13미금역
D14동천
D15수지구청역
D16성복역
D17상현역
D18광교중앙역
D19광교역

2. 역사

1997년 IMF 외환위기로 백지화된 수도권 3기 지하철 11호선 노선을 단축하고 판교 방면으로 연장하여 광역철도로 기획된 노선이다. BTO 방식으로 건설되었으며, 준공과 동시에 시설은 국가로 귀속되었다. 사업 시행자는 신분당선, 경기철도, 새서울철도이고 운영 사업자는 네오트랜스이며, 서울 지하철 9호선 운영 방식과 동일하게 운영된다. 운행 차량은 현대로템이 납품하였다.

신분당선 건설 및 개통과 관련된 주요 사건들은 다음과 같다.

날짜사건
2005년 6월 24일강남 ~ 정자 구간 착공
2009년 2월 10일강남 ~ 정자 구간 역명 결정[54]
2010년 7월 29일정자 ~ 광교 구간 착공
2011년 10월 28일강남 ~ 정자 구간 개통
2011년 10월 29일철도거리표 고시 및 정식 영업으로 운임 징수 개시[55]
2013년 2월 28일미금역 추가 설치 공사 착공
2015년 9월 4일정자 ~ 광교 구간 사용개시 고시[56]
2016년 1월 30일정자 ~ 광교 구간 개통 (미금역 제외)
2016년 8월 30일강남 ~ 신사 구간 착공
2018년 4월 28일미금역 개통
2019년 4월 17일철도 노선번호 320으로 변경[57]
2022년 3월 2일 ~ 5월 27일강남 ~ 신사 구간 시운전
2022년 5월 28일강남 ~ 신사 구간 개통
2024년 1월광교중앙역 ~ 호매실역 구간 착공



신분당선 1단계 구간(17.3km)은 서울특별시 남동부의 여러 지하철 노선과 분당선을 연결하여 서울 시내 교통량을 완화하는 데 기여했다. 건설은 2005년 중반에 시작되어 2011년 10월 말에 완료되었으며, 총 비용은 11.69조으로 추산된다.[8][9][10]

2단계 구간은 용인시 수지구광교신도시서울특별시와 연결하여 교통 혼잡을 완화하기 위해 설계되었다. 그러나 1, 2단계 구간의 투자자와 소유주가 달라 정자역 통과 시 추가 요금이 부과되어 요금 차별 논란이 발생했다.[11] 국토교통부는 요금 인하를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최종 결정까지는 시간이 걸릴 것으로 예상된다.[12]

성남시수원시는 2단계 연장에 미금역 포함 여부를 두고 논쟁을 벌였다.[13][14] 미금역은 2018년 4월 28일에 개통되었다.

3단계 구간은 강남역에서 신사역을 거쳐 용산역까지 연장될 예정이다. 신사역 연장 구간은 2022년 5월 28일에 개통되었으며,[4] 용산역 연장 구간은 2027년 이후에 개통될 예정이다.[16]

4단계 구간은 광교중앙역에서 호매실역까지 연장될 예정이며, 2020년대에 건설될 예정이다.[17]

용산역에서 광화문역, 경복궁역까지 노선을 연장하는 방안도 고려되었으나, 현재는 불분명한 상태이다.[18]

2. 1. 1단계 (강남 - 정자)

2005년 6월 24일강남역 - 정자역 구간이 착공되어,[54] 2009년 2월 10일에 역명이 결정되었다.[54] 2011년 10월 28일에 강남 - 정자 구간이 개통되었고,[55] 다음 날인 10월 29일부터 정식 영업을 시작하여 운임을 징수하기 시작했다. 총 비용은 1조 1,690억 원으로 추산된다.[8][9][10]

강남역 승강장


무인 운전 덕분에 지하철 전면이 보인다.


현대 로템에서 제작한 2011년 도입 지하철 차량 내부


1단계 구간(17.3km)은 분당으로 향하는 서울 시내 교통량을 완화하기 위해 건설되었으며, 서울 지하철 2호선 (강남역), 서울 지하철 3호선 (양재역), 서울 지하철 7호선 (논현역), 서울 지하철 9호선 (신논현역) 등 여러 지하철 노선과 분당선 (정자역)을 연결한다. 강남역에서 정자역까지 이동 시간은 16분이다.

이후 2013년 2월 28일에는 미금역 추가 설치 공사가 시작되어 2018년 4월 28일에 개통되었다.

2. 2. 2단계 (정자 - 광교)

2010년 7월 29일 정자 ~ 광교 구간이 착공되었으며, 2016년 1월 30일에 개통되었다.( 미금역 제외)[56] 2015년 9월 4일 정자 ~ 광교 구간 사용개시가 고시되었다.[56] 이후 2018년 4월 28일미금역이 개통되었다.

2단계 구간은 용인시 수지구와 분당, 서울 간의 극심한 교통 혼잡을 완화하고, 광교신도시를 서울과 신속하게 연결하기 위해 건설되었다. 수지구는 분당과 달리 대규모 아파트 단지 위주로 개발되어 주거 지역이 밀집해 있고, 이로 인해 연결 도로의 교통 혼잡이 심각했기 때문이다.

1단계와 2단계의 투자자와 소유주가 달라, 정자역을 통과할 경우 900원에 300원이 추가 부과되었다. 수지와 광교 주민들은 요금 차별을 비판했고, 판교역과 동천역, 수지구청역(동천역 200원, 수지구청역 100원) 사이의 단골 승객에게는 환불이 제공되었다.[11] 용인시장과 수원시장은 경기도 관계자들과 함께 국토교통부에 요금 인하를 요청했다.[12]

성남시수원시는 신분당선 2단계 연장에 미금역을 포함할지를 두고 논쟁을 벌였다.[13][14] 성남시는 정자역과 SB01역(현재 미금역) 사이의 거리가 3.76km로 길고, 미금역 추가 설치로 교통 혼잡이 완화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반면 수원시는 미금역 설치로 광교까지의 이동 시간이 지연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결국 미금역은 추가 설치되었으며, 2013년 2월 28일 착공하여 2018년 4월 28일 개통되었다.

2. 3. 미금역 추가

2013년 2월 28일 미금역 추가 설치 공사가 착공되어, 2018년 4월 28일에 개통되었다.

2. 4. 3단계 (강남 - 신사)

2016년 8월 30일 강남 ~ 신사 구간 공사가 시작되어, 2022년 5월 28일에 개통되었다.[4] 용산역까지의 추가 연장 구간은 착공하였으나 2027년 이전에는 개통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16] 이 구간 건설에는 최소 4,000억 원 가량이 소요될 것으로 추산된다.[15]

서울 지하철 2호선으로 환승하는 강남역 환승 통로


강남역 승강장

2. 5. 4단계 (광교중앙 - 호매실)

2024년 1월, 광교중앙역~호매실역 구간이 착공되었다.[16][17]

2. 6. 기타

신분당선은 무인 운전 시스템을 갖추고 있어, 열차 전면에서 터널 풍경을 볼 수 있다. 또한 현대 로템에서 제작한 2011년 도입 지하철 차량 내부를 갖추고 있다.

신분당선 건설 및 개통과 관련된 주요 사건들은 다음과 같다.

날짜사건
2005년 6월 24일강남 ~ 정자 구간 착공
2009년 2월 10일강남 ~ 정자 구간 역명 결정[54]
2010년 7월 29일정자 ~ 광교 구간 착공
2011년 10월 28일강남 ~ 정자 구간 개통
2011년 10월 29일철도거리표 고시 및 정식 영업으로 운임 징수 개시[55]
2013년 2월 28일미금역 추가 설치 공사 착공
2015년 9월 4일정자 ~ 광교 구간 사용개시 고시[56]
2016년 1월 30일정자 ~ 광교 구간 개통 (미금역 제외)
2016년 8월 30일강남 ~ 신사 구간 착공
2018년 4월 28일미금역 개통
2019년 4월 17일철도 노선번호 변경에 따라 320으로 변경[57]
2022년 3월 2일 ~ 5월 27일강남 ~ 신사 구간 시운전
2022년 5월 28일강남 ~ 신사 구간 개통
2024년 1월광교중앙역 ~ 호매실역 구간 착공



신분당선 1단계 구간은 17.3km이며, 서울특별시 남동부의 여러 지하철 노선과 분당선을 연결하여 서울 시내 교통량을 완화하는 데 기여했다. 1단계 건설은 2005년 중반에 시작되어 2011년 10월 말에 완료되었으며, 총 비용은 11.69조으로 추산된다.[8][9][10]

신분당선 2단계 구간은 용인시 수지구광교신도시서울특별시와 연결하여 교통 혼잡을 완화하기 위해 설계되었다. 그러나 1단계와 2단계 구간의 투자자와 소유주가 달라 정자역 통과 시 추가 요금이 부과되어 요금 차별 논란이 발생했다.[11] 국토교통부는 요금 인하를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최종 결정까지는 시간이 걸릴 것으로 예상된다.[12]

성남시수원시는 신분당선 2단계 연장에 미금역 포함 여부를 두고 논쟁을 벌였다.[13][14] 미금역은 결국 2018년 4월 28일에 개통되었다.

신분당선 3단계 구간은 강남역에서 신사역을 거쳐 용산역까지 연장될 예정이다. 신사역 연장 구간은 2022년 5월 28일에 개통되었으며,[4] 용산역 연장 구간은 2027년 이후에 개통될 예정이다.[16]

신분당선 4단계 구간은 광교중앙역에서 호매실역까지 연장될 예정이며, 2020년대에 건설될 예정이다.[17]

추가적으로 용산역에서 광화문역, 경복궁역까지 노선을 연장하는 방안도 고려되었으나, 현재는 불분명한 상태이다.[18]

3. 운영

1997년 IMF 외환위기로 백지화된 수도권 3기 지하철 11호선 노선을 단축하고 판교 방면으로 연장하여 광역철도로 기획된 노선이다. BTO 방식으로 건설되었으며, 준공과 동시에 시설은 국가로 귀속되었다. 사업 시행자는 신분당선, 경기철도, 새서울철도이고 운영 사업자는 네오트랜스이며, 서울 지하철 9호선 운영 방식과 동일하게 운영된다. 운행 차량은 현대로템이 납품하였다.[10][21][22]

분당선의 혼잡 완화 등을 목적으로 건설되었으며, 민간 사업자가 건설하고 완공 후 정부에 소유권을 이전한 뒤, 정부로부터 30년간 운영권을 얻어 민간 사업자가 철도를 운영하는 BTO방식으로 계획되었다.

노선 소유는 한국철도시설공단이다. 시설 관리 업무는 민간 기업인 신분당선(주)(1단계 구간), 경기철도(주)(2단계 구간)이 담당하고, 시설 운영은 두 회사로부터 위탁받은 네오트랜스(주)가 담당하고 있다.

전 구간 무인 운전을 하고 있지만, 비상시 대응을 위해 운전사 자격을 가진 승무원이 탑승하고 있다.

기존 개통 및 신규 개통 구간 운영 및 관리와 노선 소유
 용산신사강남정자광교
3단계 개통 구간
건설 중
3단계 개통 구간
개통 완료
(운영 중)
1단계 개통 구간
개통 완료
(운영 중)
2단계 개통 구간
개통 완료
(운영 중)
운영네오트랜스(주)
건설·시설 관리신서울철도(주)신분당선(주)경기철도(주)
소유한국철도시설공단


3. 1. 운임 체계

민자 사업으로 건설되어 별도의 운임 체계를 가진다.[58] 기본 운임, 추가 운임, 환승 관련 내용 등을 표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구분내용
기본 운임 (10km 이내)티머니 카드: 2,400원 (수도권 전철 기본 운임 1,400원 + 추가 운임 1,000원)
거리 추가 운임 (10km 초과 시)5km마다 100원씩 추가
수도권 전철 환승1,000원 추가 (3기 구간은 700원 추가)
광역버스(경기) 환승광역버스 기본 운임(30km까지 2,800원) + 신분당선 별도 운임 1,000원 = 총 3800KRW
환승 시 운임 차감 방식다른 노선→신분당선: 운임 차감 없음
동일 역 집표별도 운임 부과되지 않음 (단, 신분당선 별도 운임 미포함 1회권은 신분당선 게이트 통과 불가)
수도권 전철 정기권최소 거리비례 9단계 이상 (1, 2단계 구간 복합 이용 시 12단계 이상)



수도권 통합요금제에 따라 총 이용 거리가 10km를 초과하면 5km당 100원, 50km 초과 시 8km당 100원의 거리 운임이 추가된다. 타 수도권 전철 및 수도권 시내버스와 환승 할인이 가능하다.

노인, 장애인, 국가유공자 등은 다른 수도권 전철과 동일하게 무임으로 이용 가능하며, 환승 게이트는 태그해야 하지만 별도 운임은 부과되지 않는다.

무임 승차 손실 보전 문제로 2017년 무임 승차 제도 폐지를 표명했으나, 국가와의 협의 난항으로 행정 소송이 진행되었다. 2023년 서울행정법원은 신분당선 주식회사에 37750000000KRW의 손실을 보전하라는 판결을 내렸다.[30]

3. 2. 차량

신분당선 · 경기철도 D000호대 전동차가 사용되고 있으며, 열차는 무인 자동 운전 방식으로 운행된다. 러시아워에는 5분 간격, 비첨두 시간에는 8분 간격으로 운행된다.[10][21][22]

신분당선의 신호 시스템은 최첨단 통신 기반 열차 제어(CBTC) 기술을 기반으로 하며, 지능형 열차와 선로측 장비 간의 양방향 디지털 무선 통신 및 매우 높은 시스템 신뢰성과 가용성을 위해 설계된 ATS/ATO 컴퓨터 네트워크를 활용한다.[10][21][22]

탈레스 RF-CBTC 방식(무인 운전. 단, 회송 시에는 유인 운전)이며, 전 구간이 복선 구간이다. 차량기지는 광교차량사업소를 사용하며, 1단계 개통 당시에는 한국철도공사(KORAIL) 분당선분당차량사업소를 임시로 사용하였다. 지상 구간은 광교역·광교차량사업소이며, 주행 방향은 좌측 통행이다.

승강장은 200m의 10량 열차를 수용할 수 있지만, 초기에는 6량 열차가 운행될 예정이다.[10][21][22]

3. 3. 운행

운전실이 없는 신분당선 전동차


항목내용
영업 시간평일 05:30 ~ 01:00
영업 시격출퇴근시 5분, 평시 8분
운행 소요 시간42분
운행 회수평일 312회, 휴일 276회
열차 편성6량 1편성, 총 138량 23편성


  • 신분당선은 '''CBTC (RF-Communication Based Train Control)''' 시스템을 기반으로 하는 무인운전 시스템이 적용되었다. RF-CBTC 방식은 지상에 설치된 RF-TAG를 수신받아 위치를 파악하고 차내에 설치된 차상 신호 장치 (VOBC)를 통해 지상의 관제 설비 (VCC)와 무선통신으로 교신하여 열차 간격 조정과 차내 설비 감시 - 제어가 가능하다.[10][21][22]
  • 다만 각 열차에는 기관사 면허를 가진 안전요원 1명이 항시 객실 내 승무한다.
  • 신분당선의 신호 시스템은 최첨단 통신 기반 열차 제어(communications-based train control, CBTC) 기술을 기반으로 하며, 지능형 열차와 선로측 장비 간의 양방향 디지털 무선 통신 및 매우 높은 시스템 신뢰성과 가용성을 위해 설계된 ATS/ATO 컴퓨터 네트워크를 활용한다.[10][21][22]
  • 강남역에서는 평일 05:30부터 24:50까지, 주말 및 공휴일에는 23:48까지 열차를 이용할 수 있다. 단, 광교역행 열차는 평일에는 24:26이 마지막이며, 주말에는 23:48까지 운행하고, 그 이후에는 정자역까지만 운행한다.

3. 4. [[광역철도]]로서의 특징

신분당선은 1997년 IMF 외환위기로 백지화된 수도권 3기 지하철 11호선 노선을 단축하고 판교 방면으로 연장하여 광역철도로 기획된 노선이다. BTO 방식으로 건설되었으며, 준공과 동시에 시설은 국가로 귀속되었다. 사업 시행자는 신분당선, 경기철도, 새서울철도이고 운영 사업자는 네오트랜스이며, 서울 지하철 9호선 운영 방식과 동일하게 운영된다. 운행차량은 현대로템이 납품하였다.

4. 노선

1997년 IMF 외환위기로 백지화된 수도권 3기 지하철 11호선 노선을 단축하고 판교 방면으로 연장하여 광역철도로 기획되었다. 분당선 혼잡 완화와 표정 속도 증가를 목적으로 건설되었으며, 서울특별시 강남구, 강북구의 연결 역할을 겸하고 있다.

BTO 방식으로 건설되어 준공과 동시에 시설은 국가로 귀속되었다. 사업 시행자는 신분당선, 경기철도, 새서울철도이고 운영 사업자는 네오트랜스이며, 서울 지하철 9호선 운영 방식과 동일하게 운영된다.

차량기지는 2016년 1월 30일 정자~광교 구간 개통 전까지 분당차량사업소를 사용하였으나, 이후 광교차량사업소로 이관되었다. (단, 일부 전동차는 제외) 수인분당선과의 연계를 위하여 전 구간 교류로 건설되었으며, 좌측통행이다.

노선 소유, 운영 및 관리
구분용산 - 신사 구간신사 - 강남 구간강남 - 정자 구간정자 - 광교 구간
운영네오트랜스(주)
건설·시설 관리신서울철도(주)신분당선(주)경기철도(주)
소유한국철도시설공단

4. 1. 역 목록

역 번호역명로마자 역명한자 역명접속 노선역간 거리영업 거리소재지
D04신사Sinsa新沙3호선-0km서울특별시강남구
D05논현Nonhyeon論峴7호선0.7km0.7km
D06신논현Sinnonhyeon新論峴9호선0.8km1.5km
D07강남Gangnam江南2호선0.9km2.4km
D08양재(서초구청)Yangjae(Seocho-gu Office)良才(瑞草區廳)3호선1.5km3.9km서초구
D09양재시민의숲(매헌)Yangjae Citizen's Forest(Maeheon)良才市民의숲(梅軒)1.6km5.5km
D10청계산입구Cheonggyesan淸溪山入口2.9km8.4km
D11판교(판교테크노밸리)Pangyo(Pangyo Techno Valley)板橋(板橋테크노밸리)경강선, 중부내륙선8.2km16.6km경기도성남시
D12정자Jeongja亭子수인분당선3.1km19.7km
D13미금(분당서울대병원)Migeum(Seoul Nat'l Univ. Bundang Hospital)美金수인분당선1.9km21.6km
D14동천Dongcheon東川1.6km23.2km용인시
D15수지구청Suji-gu Office水枝區廳2.1km25.3km
D16성복Seongbok星福1.7km27km
D17상현Sanghyeon上峴2.1km29.1km
D18광교중앙(아주대)Gwanggyo Jungang(Ajou Univ.)光敎中央(亞洲大)2.4km31.5km수원시
D19광교(경기대)Gwanggyo(Kyonggi Univ.)光敎(京畿大)1.9km33.4km


4. 2. 연장 계획

신분당선의 연장 계획은 현재 여러 구간에서 논의 및 추진되고 있다.

'''북부 연장'''

3단계 북쪽 연장 구간은 강남에서 용산역까지 이어진다. 이 구간은 용산기지 위치 문제로 인해 두 구간으로 나뉘어 진행된다.

  • '''강남-신사 구간''': 2016년 착공하여 2022년 5월 28일에 개통되었다.[4]
  • '''신사-용산 구간''': 착공 예정이며, 2027년 이전에는 개통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16]


용산역을 넘어 광화문역, 경복궁역 부근까지 연장하는 방안도 고려되었으나,[18] 녹사평역, 서울역, 서울시청역을 경유하여 고양 삼성역까지 연결하는 분기 계획이 제시되면서[23][24] 현재는 용산 연장선이 우선 착공될 예정이다.

역 번호역 이름역 이름
한국어
역 이름
한자
환승거리
(km)
총 거리위치
D01용산역용산龍山{{lang


-0.0서울 용산구
D02용산공원용산공원龍山公園
D03동빙고동빙고東氷庫



'''남부 연장'''


  • '''광교-호매실 구간''': 2019년 말 경제성 평가를 통과하여 2023년 착공, 2027년 개통을 목표로 하고 있다.[25]
  • '''호매실-봉담 구간''': 화성시 봉담까지의 추가 연장선이 제안되었으나, 아직 평가되지 않았다.[26]


역 번호역 이름역 이름
한국어
역 이름
한자
환승거리
(km)
총 거리위치
D20수원월드컵경기장수원월드컵경기장水原월드컵競技場경기도 수원시
D21장안장안長安
D22화서역화서華西
D23호매실역호매실好梅實



'''추가 연장'''

광교중앙역에서 수원월드컵경기장역, 화서역을 거쳐 호매실역까지 연장하는 구간 외에, 오목천역을 지나 화성시 봉담역, 왕림역, 향남역까지 연장하는 방안이 제시되어 있다.

역 번호역 이름역 간 거리 (km)누계 거리 (km)환승 노선소재지
한국어영어
 수원월드컵경기장역Suwon World Cup Stadium2027년
개업 예정
 수원시 팔달구
 동수원역Dongsuwon 
 화서역Hwaseo

5. 논란 및 문제점

성남시수원시 간의 미금역 추가 설치 논란,[66][67][68] 겨울철 과도한 난방 및 여름철 냉방 부족에 대한 민원 대응 미흡,[60][61][62] 판교신도시 주민들의 '판교선' 명칭 변경 요구,[69] 북부 연장 노선 계획에서 이촌역 환승 요구와 국립중앙박물관의 반대,[70][71] 용인시 시민 단체의 감사 청구,[72] 용산국제업무지구 개발 무산에 따른 북부 연장 구간 추진 문제 제기[73] 등 여러 논란 및 문제점이 있었다.

5. 1. 미금역 추가 설치 논란

성남시수원시미금역을 신분당선의 추가 환승역으로 설치하는 방안을 두고 갈등을 빚었다.[66] 수원시는 신분당선의 표정속도 저하를 우려하며, 다른 지역 주민들도 정차역 설치를 요구할 수 있어 운행 속도가 더욱 저하될 수 있다는 입장이었다.[66] 또한 미금역이 추가될 경우, 성남시가 전체 사업비의 33%인 4519억에 대한 분담금 반환 소송을 제기하겠다고 밝혔다.[66]

그러나 성남시는 인근 용인시 지역에서 발생하는 미금역 주변의 잦은 정체 및 많은 이용객을 고려하면 경제성이 있으며, 전체적인 소요 시간도 1분밖에 증가하지 않는다는 입장이었다.[67]

2011년 10월 27일, 신분당선 개통 하루 전에 국토해양부는 지자체 간의 갈등을 해소하기 위해 경기도, 성남시, 수원시 측과 회의를 통해 신분당선 미금역 설치에 합의하였다.[68] 2013년에 착공하여 2017년 11월 기본역사가 준공되었고, 2018년 4월 환승 통로 준공과 함께 분당선과의 환승역으로 개통하였다.[68]

5. 2. 온도 민원 논란

겨울철 과도한 난방 또는 여름철 냉방 부족으로 인해 덥다는 민원이 많으나, 이에 대한 대응이 미흡하다는 지적이 많다.[60][61] 냉난방 관련 민원은 계절에 관계없이 발생하며, 특히 출근 시간대인 8시 전후에는 덥다는 민원이 춥다는 민원보다 6배가량 많은 실정이다.[62]

5. 3. 기타 논란

판교신도시 주민들이 분당선 연장선과 혼동된다는 이유로 신분당선의 이름을 ‘판교선’으로 바꿔 달라고 요구하였으나, 국토해양부(현 국토교통부)에서는 또 다른 민원 제기 가능성 등을 근거로 이를 반대하였다.[69]

북부 연장 노선 계획에서 이촌동 주민들은 국립중앙박물관 북편에 역을 만드는 대신 기존 이촌역과 환승하는 노선을 요구하였으나, 국립중앙박물관은 이를 반대하였다.[70] 민자사업투자 심의에 따르면 박물관 북편에 만드는 역으로 확정되었지만[71], 군 당국은 용산기지 문제로 반대하였다.

2010년 10월 용인시 지역 시민 단체가 신분당선 북부 연장 구간 타당성 조사 결과와 실제 교통 여건과 차이가 커 수요가 왜곡되었다고 주장하며 감사원에 감사를 청구하였으나[72], 각하되었다.

국토교통부가 용산역 연장의 주요 근거로 내세우는 용산국제업무지구 개발이 무산되어 신분당선 북부 연장 구간 추진에 대한 문제가 제기되었으나, 국토교통부 관계자는 아시아경제와의 인터뷰에서 “용산은 역세권 개발이 아니어도 지속적으로 교통 수요가 늘어나는 지역이므로 기존 계획대로 건설한다.”라고 밝힌 후[73] 사업을 추진 중에 있다.

6. 관련 사업자

1997년 IMF 외환위기로 백지화된 수도권 3기 지하철 11호선 노선을 단축하고 판교 방면으로 연장하여 광역철도로 기획된 노선이다. BTO 방식으로 건설되었으며, 준공과 동시에 시설은 국가로 귀속되었다. 사업 시행자는 신분당선㈜, 경기철도㈜, 새서울철도㈜이고 운영 사업자는 네오트랜스이며, 서울 지하철 9호선 운영 방식과 동일하게 운영된다. 운행차량은 현대로템이 납품하였다.[31]

노선 소유는 한국철도시설공단이다. 시설 관리 업무는 민간 기업인 신분당선㈜(1단계 구간), 경기철도㈜(2단계 구간)가 담당하고, 시설 운영은 두 회사로부터 위탁받은 네오트랜스㈜가 담당하고 있다.[31]

신분당선 구간별 운영 및 관리 주체
구분운영건설·시설 관리소유
용산 - 신사 구간네오트랜스㈜새서울철도㈜한국철도시설공단
신사 - 정자 구간신분당선㈜
정자 - 광교 구간경기철도㈜



분당선의 혼잡 완화 등을 목적으로 건설된 신분당선은 수익형 민자 사업(BTO) 방식으로 계획되어 민간 사업자가 건설하고, 완공 후 정부에 소유권을 이전한 뒤, 정부로부터 30년간 운영권을 얻어 민간 사업자가 철도를 운영한다.[31]

6. 1. 신분당선 (주)

'''신분당선주식회사'''(新盆唐線株式會社, Shinbundang Railroad Co., Ltd.영어)는 신분당선 1단계 구간인 강남역 - 정자역 구간의 건설 및 시설 관리를 담당하는 대한민국의 철도 사업자이다.

설립2005년 6월
대표자정민철[34]
소재지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대왕판교로 606-33[32]


  • 2005년 6월 - 두산, 대림, 대우 등 건설사 7개사를 중심으로 한 컨소시엄에 의해 설립되었다.
  • 2009년 10월 - 본사를 분당구 현재 위치로 이전하였다.

6. 2. 경기철도 (주)

'''경기철도주식회사'''(Kyunggi Railroad Co., Ltd.)는 신분당선 2단계 구간인 정자역 - 광교역 구간의 건설과 시설 관리를 담당하는 대한민국의 철도 사업자이다.

  • 2009년 11월 30일 - 한국산업은행(KIAMCO) 경기도 철도 투자 사모 특별 자산 투자 신탁 등이 중심이 되어 설립[37]되었다.

6. 3. 새서울철도 (주)

'''새서울철도'''(New Seoul Railroad)는 신분당선 3단계 구간인 용산역 - 강남역 구간의 건설과 시설 관리를 담당하는 대한민국의 철도 사업자이다.

  • 2010년
  • * 8월 31일 - 두산건설 등의 컨소시엄이 용산 연장 구간의 민간 투자 사업 우선 협상권을 획득[38]
  • * 12월 27일 - 두산, KIAMCO 신서울철도투자사모특별자산투자신탁 등을 중심으로 한 컨소시엄의 공동 출자로 법인 설립[39]
  • 2016년 8월 12일 - 국토교통부 고시로 신분당선 3기 구간 복선 전철 민간 투자 사업의 시행 계획 승인을 획득[40]

6. 4. 네오트랜스 (주)

'''네오트랜스 주식회사'''(Neo Trans Co. Ltd.영어)는 신분당선을 운영하는 대한민국의 철도 사업자이다.[41] 본사는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대왕판교로 606-33에 있다.[42] 대표자는 정민철이다.[44]

연혁은 다음과 같다.

  • 2005년 6월 - 회사 설립[43]
  • 2011년 4월 - 신분당선 1단계 구간(강남역 - 정자역 구간) 운영에 대한 신분당선유한회사와 계약 체결
  • 2011년 10월 - 신분당선 1단계 구간 개통
  • 2016년 1월 - 신분당선 2단계 구간(정자역 - 광교역 구간) 운영에 대한 경기철도주식회사와 계약 체결(같은 달 중 개통)[45]
  • 2016년 8월 - 용인 경전철 운영 개시
  • 2023년 7월 - 용인 경전철 위탁 운영 종료.

참조

[1] 웹사이트 http://www.shinbunda[...] 전국매일 2018-09-10
[2] 뉴스 New Subway Line Shortens Bundang-Gangnam Trip http://english.chosu[...] 2011-07-15
[3] 웹사이트 http://www.hankookil[...] Hankook Ilbo 2016-01-12
[4] 뉴스 Shinbundang Line 'Gangnam~Shinsa' opens today... Gwanggyo → Shrine 42 minutes https://www.donga.co[...] 2022-05-28
[5] 웹사이트 Sin Bundang Line Set Back by Floods http://teflorbust.wo[...] 2011-08-01
[6] 웹사이트 New Sin Bundang Opening Date: Oct. 28 http://teflorbust.wo[...] 2011-09-04
[7] 웹사이트 https://blog.naver.c[...] 2016-02-19
[8] 웹사이트 http://shinbundang.c[...] DX LINE
[9] 웹사이트 http://shinbundang.c[...] DX LINE
[10] 간행물 Construction of Sin Bundang Line on Track for 2010 Launch http://www.industryk[...] IndustryKorea.net
[11] 웹사이트 http://shinbundang2.[...]
[12] 웹사이트 http://www.kyeongin.[...] 2016-02-04
[13] 웹사이트 http://news.naver.co[...] MK 2011-10-27
[14] 웹사이트 http://www.sujicity.[...] Korea Press Agency 2011-11-02
[15] 뉴스 Construction of Double Track Subway Line Between Gangnam and Yongsan Is Under Consideration http://english.donga[...] 2005-08-22
[16] 웹사이트 신분당선 '강남~용산' 2단계 연장 늦어져…2027년에나 개통 https://www.hankyung[...] 2020-05-26
[17] 웹사이트 KDI 신분당선(광교~호매실) 타당성 분석 내년 1월 재개 http://www.newsis.co[...] 2015-12-28
[18] 웹사이트 Yongsan-Gangnam-Bundang subway completed in 2017 http://seoulvillage.[...] Seoul Village 2010-01-29
[19] 웹사이트 Candidates Running In Key Districts of Seoul, Busan http://www.arirang.c[...] Arirang 2012-03-30
[20] 웹사이트 Official Campaigning Begins & Candidates http://www.arirang.c[...] Arirang 2012-03-29
[21] 웹사이트 http://shinbundang.c[...] DX LINE
[22] 간행물 THALES awarded CBTC signalling contract for SIN BUNDANG metro line in KOREA http://www.thalesgro[...] Thales
[23] 웹사이트 대중교통 커뮤니티 - SBM (철도, 버스 이용자들의 공간) : 네이버 카페 http://cafe.naver.co[...]
[24] 웹사이트 http://news1.kr/arti[...] News1 2016-02-11
[25] 웹사이트 http://www.gukjenews[...] Gukje News 2016-02-23
[26] 웹사이트 http://www.newsis.co[...] 2016-02-04
[27] 웹사이트 THALES AWARDED CBTC SIGNALLING CONTRACT FOR SIN BUNDANG METRO LINE IN KOREA http://www.thalesgro[...] 2010-09-29
[28] 뉴스 신분당선 연장 신사∼강남 구간 착공…2022년 개통 http://www.yonhapnew[...] 聯合ニュース 2016-08-29
[29] 뉴스 '강남역까지 19분' 신분당선 미금역 개통…분당선 환승 가능 http://www.yonhapnew[...] 聯合ニュース 2018-04-28
[30] 뉴스 신분당선 민자사업자 ‘무임승차 손실’ 338억, 정부가 메꿔준다 https://www.hani.co.[...] ハンギョレ 2024-01-03
[31] 웹사이트 회사소개>CI소개 http://www.shinbunda[...] 2018-08-20
[32] 웹사이트 회사소개>오시는길 http://www.shinbunda[...] 2018-08-20
[33] 웹사이트 회사소개>연혁 http://www.shinbunda[...] 2018-08-20
[34] 웹사이트 회사소개>CEO인사말 http://www.shinbunda[...] 2018-08-20
[35] 웹사이트 회사소개>찾아오시는길 http://www.shinbunda[...] 2018-08-23
[36] 웹사이트 회사소개>CEO인사말(会社紹介>CEOご挨拶) http://www.shinbunda[...] 2018-08-23
[37] 웹사이트 경기철도(주) http://www.saramin.c[...]
[38] 뉴스 두산건설, 1조3천억 신분당선 복선전철 사업 수주 http://www.ikld.kr/n[...] 국토日報 2010-08-31
[39] 웹사이트 새서울철도(주) http://www.saramin.c[...]
[40] 간행물 국토교통부고시제2016-541호(国土交通部告示第2016-541号) 신분당선(용산∼강남) 복선전철 민간투자사업(新盆唐線(龍山~江南) 複線電鉄民間投資事業) http://gwanbo.mois.g[...] 대한민국 전자관보 2016-08-12
[41] 웹사이트 CEO Greetings(CEOご挨拶) http://www.neotrans.[...] 2018-08-23
[42] 웹사이트 회사소개>오시는길(会社紹介>アクセス) http://www.neotrans.[...] 2018-08-23
[43] 웹사이트 회사소개>연혁(会社紹介>沿革) http://www.neotrans.[...] 2018-08-23
[44] 웹사이트 회사소개>CEO인사말(会社紹介>CEOご挨拶) http://www.neotrans.[...] 2018-08-23
[45] 웹사이트 회사소개>연혁(会社紹介>沿革) http://www.neotrans.[...] 2018-08-23
[46] 일반 강남~정자 간 건설
[47] 일반 전 구간 열차 운행, 선로 유지보수운영 업무
[48] 일반 정자~광교 간 건설
[49] 일반 용산~강남 간 건설
[50] 웹사이트 http://www.hyundai-r[...]
[51] 뉴스 신분당선 개통 내달 하순으로 연기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2011-09-02
[52] 뉴스 지하철 신분당선 시승식..내달 28일께 개통 http://app.yonhapnew[...] 연합뉴스 2011-09-28
[53] 웹인용 신분당선 강남역~신사역 공사 시작...2022년 1월 29일 개통 - 조선닷컴 - 땅집고 > 정책·일반 http://realty.chosun[...] 2018-07-10
[54] 간행물 국토해양부고시 제2009-55호 http://gwanbo.mois.g[...] 2009-02-10
[55] 간행물 국토해양부고시 제2011-624호 http://gwanbo.mois.g[...] 2011-10-28
[56] 간행물 국토교통부고시 제2015-620호 2015-09-04
[57] 간행물 국토교통부고시 제2019-173호 http://gwanbo.mois.g[...] 2019-04-17
[58] 일반 신분당선 요금 안내
[59] 일반 신분당선 요금 안내 (청소년, 어린이)
[60] 뉴스 "신분당선 고장 인가요?" 온라인에 불편함 호소 쏟아져 https://news.imaeil.[...] 매일신보 2022-12-07
[61] 뉴스 신분당선 왜 이러나…이번엔 '찜통철' http://www.incheonil[...] 인천일보 2022-12-07
[62] 논문 전동차 냉난방 만족도 향상을 위한 개선 방안 연구 https://www.dbpia.co[...]
[63] 뉴스 경기대, 전철역 유치 본격화 http://www.munhwa.co[...] 문화일보 2006-12-01
[64] 뉴스 꿈의 판교 '악몽의 교통대란' 오나 http://news.donga.co[...] 동아일보 2011-09-28
[65] 뉴스 성남 백현지구에 신분당선 백현역 신설 http://www.hankookil[...] 한국일보 2016-05-10
[66] 뉴스 [수도권]신분당선 연장선 ‘미금역’ 딜레마 http://news.donga.co[...] 동아일보 2011-02-16
[67] 뉴스 신분당선 미금역 설치 논란 http://news.mk.co.kr[...] 매일경제신문|매경이코노미 2011-03-16
[68] 뉴스 신분당선 연장 '미금역' 신설 http://news.mk.co.kr[...] 매일경제 2017-10-16
[69] 뉴스 판교신도시 주민 "신분당선? 판교선으로 바꿔라"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11-09-22
[70] 뉴스 국립박물관 앞이냐 이촌역이냐…신분당선 3단계역 설치 놓고 논란 https://news.naver.c[...] 매일경제 2011-11-20
[71] 뉴스 신분당선 “용산~강남” 구간 2018년 뚫린다! http://www.conslove.[...] 한국건설신문 2011-12-26
[72] 뉴스 “신분당선 용산연장 수요예측 왜곡” https://news.naver.c[...] 내일신문 2011-12-16
[73] 뉴스 "신분당선 도심연장, '동빙고~삼송' 노선으로 확정" http://www.asiae.co.[...] 아시아경제 2013-07-11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