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페어차일드 반도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페어차일드 반도체는 1957년 윌리엄 쇼클리의 쇼클리 반도체 연구소를 떠난 8명의 연구원들이 설립한 회사이다. 실리콘 트랜지스터 개발을 시작하여 플래너 공정, 집적회로, 연산 증폭기, 전하결합소자 등 다양한 기술을 개발했다. 페어차일드는 1960년대에 급성장했지만, 이후 여러 차례 인수 합병을 거쳤으며, 2016년 온세미컨덕터에 인수되었다. 이 회사는 로버트 노이스, 고든 무어 등 실리콘 밸리의 주요 인물들을 배출했으며, 인텔, AMD 등 여러 기업의 설립에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57년 설립된 전자 기업 - 카시오
    카시오는 1946년 설립된 일본 전자 제품 제조 회사로, 계산기 산업 진출 후 세계 최초 전동식 소형 계산기를 출시하며 기술력을 인정받았고, G-SHOCK 시계와 CLASSWIZ 계산기 등의 성공으로 현재는 시계, 계산기, 전자 악기 사업을 중심으로 운영하고 있다.
  • 1957년 설립된 전자 기업 - 펠코
    펠코는 1957년 항공기 부품 제조사로 시작하여 카메라 기술을 기반으로 보안 시장에 진출, 혁신적인 기술을 통해 전 세계 주요 시설에 보안 시스템을 공급하는 기업으로 성장했으며, 슈나이더 일렉트릭과 트랜섬 캐피털 그룹을 거쳐 2020년 모토로라 솔루션에 인수되었다.
  • 1957년 설립된 컴퓨터 기업 - 컨트롤 데이터 코퍼레이션
    컨트롤 데이터 코퍼레이션(CDC)은 1957년 미국에서 설립된 컴퓨터 회사로, 슈퍼컴퓨터 개발에 주력했으며, 1960년대 시모어 크레이를 영입하여 CDC 6600 등 혁신적인 컴퓨터를 출시하며 슈퍼컴퓨터 시장을 선도했으나, 1980년대 경영난으로 사업 축소를 겪었다.
  • 1957년 설립된 컴퓨터 기업 - 디지털 이큅먼트 코퍼레이션
    디지털 이큅먼트 코퍼레이션(DEC)은 1958년 설립된 미국의 컴퓨터 회사로, 미니컴퓨터 시대를 개척하고 VAX 시리즈와 알파 프로세서를 개발하며 전성기를 누렸으나, 개인용 컴퓨터 시장 변화에 대응하지 못하고 1998년 컴팩에 인수되었다.
  • 산호세 (캘리포니아주)의 기업 - 페이팔
    페이팔은 1998년 컨피니티로 설립되어 이베이에 인수되었다가 독립한 온라인 전자 자금 이체 서비스로, 전 세계 200여 개 국가에서 결제 시스템을 제공하며 개인 및 기업 간 금융 거래를 용이하게 한다.
  • 산호세 (캘리포니아주)의 기업 - 3dfx
    3dfx는 1990년대 후반 Voodoo 가속기 칩과 Glide API로 PC 3D 그래픽 시장을 선도했지만, 종합 그래픽 카드 제조사 전환 후 경쟁 심화와 경영 실패로 2000년 엔비디아에 인수된 팹리스 그래픽 칩 벤더이다.
페어차일드 반도체
회사 정보
회사명페어차일드 반도체 인터내셔널, Inc.
페어차일드 반도체 로고
페어차일드 반도체 로고
유형상장 회사
설립일1957년 10월 1일
해체일2016년 9월
해체 사유온 세미컨덕터에 인수됨
창립자셔먼 페어차일드
아서 록
본사 위치캘리포니아주 서니베일
서비스 지역전 세계
주요 인물마크 톰슨 (회장 & 최고 경영자)
마크 S. 프레이 (부사장, 최고 재무 책임자 & 재무 담당자)
산업반도체
컴퓨터 네트워크
조명
회로 보호
제품집적 회로
신호 처리
모터 제어기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
매출13억 7000만 미국 달러 (2015년)
영업 이익630만 미국 달러 (2015년)
순이익–1510만 미국 달러 (2015년)
자산15억 8000만 미국 달러 (2015년)
자본11억 미국 달러 (2015년)
직원 수6,379명 (2015년)
모회사온 세미컨덕터
홈페이지페어차일드 반도체 공식 홈페이지
역사적 장소
명칭최초의 상업적으로 실용적인 집적 회로 발명 장소
지정 국가캘리포니아
지정 번호1000
지정 날짜1991년 5월 8일
기타 정보
외부 링크온 세미컨덕터, 페어차일드 반도체 인수 완료 (2016년 9월 19일)
유튜브 링크1968년에도 기술로 대체될까 봐 걱정했던 노동자들 - RetroFocus

2. 역사

팰러앨토 844 찰스턴가에 세워진 건물. 여기서 처음으로 상업적으로 실용적인 집적회로를 발명하였다.


1955년, 윌리엄 쇼클리는 벡맨 인스트루먼츠의 자금 지원을 받아 캘리포니아주 마운틴 뷰에 쇼클리 반도체 연구소를 설립했다.[5] 쇼클리는 당시 트랜지스터보다 빠르고 용도가 많은 새로운 유형의 "4층 다이오드"를 개발하고자 했다. 벨 연구소의 전 동료를 고용하려 했지만 실패했고, 대신 미국 공과대학을 졸업한 뛰어난 졸업생들을 모아 회사를 구성했다.

쇼클리의 경영 방식에 불만을 품은 줄리어스 블랭크, 빅터 그리니치, 장 호에르니, 유진 클라이너, 제이 라스트, 고든 무어, 로버트 노이스, 셸던 로버츠 등 8명("배신의 여덟 명")은 1957년 페어차일드 카메라 앤드 인스트루먼트의 지원을 받아 페어차일드 반도체 부서를 설립했다.[6] 이들은 게르마늄 대신 실리콘 트랜지스터를 생산할 계획이었다. 셔먼 페어차일드는 노이스의 비전 발표에 감명받아 투자를 결정했다.[7] 노이스는 실리콘이 저렴하여 일회용 전자제품 시대를 열 것이라고 예측했다.

초기 페어차일드의 트랜지스터는 실리콘 메사 방식이었으나, 곧 장 호에르니가 개발한 혁신적인 플래너 공정으로 전환했다. 1958년 무어가 개발한 2N697 메사 트랜지스터는 IBM과 오토네틱스에 판매되며 큰 성공을 거두었다.[8][9] 플래너 트랜지스터는 제조가 쉽고 성능이 우수하여 다른 트랜지스터를 구식으로 만들었다.

1960년, 페어차일드는 단일 실리콘 웨이퍼에 4개의 트랜지스터를 집적한 최초의 실리콘 집적 회로를 만들었다. (텍사스 인스트루먼츠의 잭 킬비는 1958년에 게르마늄 집적 회로를 개발했지만, 페어차일드의 공정이 업계 표준이 되었다.) 회사는 급성장하여 직원 수 1만 2천 명, 연간 1.3억달러 매출을 달성했다.

1960년대 페어차일드는 밥 위들러의 μA702, μA709 (1964년), 데이비드 풀래거의 μA741 (1968년) 등 최초의 연산 증폭기 IC를 출시하며 아날로그 집적회로 시장을 선점했다.[26] 초기 디지털 집적회로 시장 진출은 소극적이었으나, 이후 DTL을 출시하여 RTL보다 큰 노이즈 내성을 확보했다.[30]

1960년대 로버트 노이스고든 무어1968년 인텔을 창립하는 등, 초기 창립자들이 회사를 떠나 새로운 회사를 설립하기 시작했다. 1965년 페어차일드는 뉴멕시코주 쉽록에 나바호 족을 고용한 조립 공장을 설립했으나, 1975년 폐쇄되었다.[29]

1967년, 페어차일드는 수익 감소, 내부 문제, 경쟁 심화로 어려움을 겪었다. 찰스 E. 스포크 등 경영진은 내셔널 세미컨덕터로 이직했고,[31] 회사는 1958년 이후 처음으로 손실을 기록했다. 또한, 텍사스 인스트루먼츠의 TTL에 기술 주도권을 빼앗겼다.

1970년대 페어차일드는 1973년 전하결합소자(CCD)를 상용화한 최초의 회사가 되었고, 페어차일드 F8 8비트 마이크로프로세서를 개발했다. 1976년에는 채널 F 게임기를 출시했으나, 아타리 2600에 밀려 실패했다. 1979년 슐룸베르제에 인수되었다.

1980년대 1987년 내셔널 세미컨덕터에 매각되었다가, 1997년 독립 기업으로 재탄생했다. 1990년대 1999년 뉴욕 증권거래소에 상장되었다.

2000년대 이후 2016년 온세미컨덕터에 인수되었다.

2. 1. 1950년대: 창립과 초기 혁신

1956년 윌리엄 쇼클리마운틴뷰에 벡맨 코울터의 부서로 쇼클리 세미컨덕터 래버러토리를 설립하였다. 쇼클리는 기존 트랜지스터보다 빠르고 사용하기 쉬운 새로운 "4-레이어 다이오드" 개발을 목표로 했다. 쇼클리는 벨 연구소의 이전 동료들을 고용하려 했으나 실패하고, 대신 미국 공과대학의 우수한 졸업생들을 고용했다.

1년 후, 쇼클리의 경영 방식에 불만을 품은 줄리어스 블랭크, 빅터 그리니치, 진 호에니, 유진 클라이너, 제이 라스트, 고든 무어, 로버트 노이스, 셸던 로버츠 8명의 엔지니어는 쇼클리를 떠나 새로운 회사를 설립하기로 결정했다. 이들은 배신자 8인으로 알려지게 된다. 이들은 셔먼 페어차일드의 페어차일드 카메라 앤 인스트루먼트의 지원을 받아 1957년 페어차일드 반도체를 창립했다. 당시 반도체 재료로 저마늄이 일반적이었지만, 페어차일드는 실리콘 트랜지스터 제조를 시작했다.

배신자 8인의 첫 트랜지스터는 실리콘 메사 방식이었으나, 곧 진 호에니가 개발한 플래너 공정을 통해 선두 기업이 되었다. 플래너 공정은 트랜지스터 제조를 더 쉽고 저렴하게 만들고 성능을 향상시킨 혁명적인 기술이었다. 다른 트랜지스터 설계는 플래너 공정으로 인해 구식이 되었다.

처음 시장에 출시된 플래너 트랜지스터(초기에는 메사 트랜지스터[75]라고 함) 2N697은 크게 성공했다. 100개의 1차분은 아이비엠에 개당 150USD에 판매되었다. 2년 후, 페어차일드는 4개의 트랜지스터 회로를 하나의 실리콘 웨이퍼에 집적하여 최초의 실리콘 집적회로를 만들었다. (텍사스 인스트루먼트잭 킬비1958년 9월 12일에 저마늄 집적회로를 개발하여 미국 특허를 등록했다.) 페어차일드 반도체는 종업원 수가 12명에서 12,000명으로 늘었고, 연간 1.3억달러를 벌어들였다.

2. 2. 1960년대: 성장과 위기

1960년대에 페어차일드는 밥 위들러의 µA702와 µA709 (1964년)를 포함한 최초의 연산 증폭기(OP AMP) IC를 출시하며 아날로그 집적회로 시장을 선점했다. 1968년에는 데이비드 풀래거의 µA741을 발표했는데, 이는 당대 가장 유명한 OP AMP IC가 되었다.[26] 1963년, 페어차일드는 밥 위들러를 고용하여 아날로그 연산 증폭기를 설계하도록 했다. 페어차일드의 공정이 디지털 회로에 최적화되었기 때문에, 위들러는 공정 엔지니어 데이브 탈버트와 협력하여 μA702와 μA709라는 두 가지 혁신적인 제품을 개발했다.[25]

페어차일드는 초기에 디지털 집적회로 시장 진출에 소극적이었다. 최초의 디지털 집적회로 제품군은 아폴로 유도 컴퓨터에 사용된 "마이크로로직" RTL 제품군이었다. RTL은 하나의 트랜지스터와 두 개의 저항으로 구성되어 단순하게 반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었지만, 상업적, 군사용으로 한계가 있었다. RTL 논리는 노이즈에 약하여 100mV 정도만 수용 가능했다. 이후 DTL이 출시되어 RTL보다 큰 노이즈 내성을 갖게 되었다.[30]

1960년대에 초기 창립자들이 페어차일드를 떠나 새로운 회사들을 설립하기 시작했다. "페어차일드런"으로 알려진 이들은 1970년대에 크게 성장한 많은 회사를 창립했다. 초기 창립자 중 마지막으로 회사를 떠난 사람은 로버트 노이스고든 무어로, 1968년에 인텔을 창립했다. 이 시기를 기점으로 많은 인재들이 회사를 떠났다.[34] 인텔은 페데리코 파긴이 페어차일드 연구개발 연구소에서 만든 혁신적인 MOS 실리콘 게이트 기술(SGT)을 활용하여 메모리 개발에 주력했다. 파긴은 1970년 페어차일드를 떠나 인텔에 합류하여 SGT를 사용한 최초의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설계했다.[34]

1965년까지 페어차일드의 공정 개선으로 반도체 제조 비용이 저렴해졌고, 미국에서 거의 유일하게 수익성 있는 반도체 제조업체가 되었다. 페어차일드는 DTL, OP AMP 및 메인프레임 컴퓨터 맞춤 회로 시장을 장악했다.[29] 1965년, 페어차일드는 뉴멕시코주 쉽록의 나바호 족 보호구역에 반도체 조립 공장을 설립했다. 최고조에 달했을 때 이 공장은 1,000명이 넘는 나바호 족 사람들(대부분 여성)을 고용했다. 그러나 이 공장은 1975년에 문을 닫았다.[29]

페어차일드 반도체 부문의 매출은 매년 두 배로 증가하여 1960년대 중반에는 모회사 총 매출의 3분의 2를 차지했다. 1966년 페어차일드의 매출은 텍사스 인스트루먼츠에 이어 2위, 모토롤라가 3위였다.

그러나 1967년부터 수익 감소와 함께 내부 문제가 발생하기 시작했다. 신생 기업과의 경쟁이 심화되었고, 캘리포니아의 반도체 부문을 뉴욕의 임원들이 관리하면서 소통 문제가 발생했다. 당시 페어차일드 사장 존 카터는 모든 이익을 수익성 없는 사업 인수에 사용했다.

찰스 E. 스포크를 비롯한 많은 관리자들은 회사의 방침에 불만을 품고 1967년 3월 내셔널 세미컨덕터로 이직했다.[31] 1967년 가을, 페어차일드는 1958년 이후 처음으로 손실을 기록했고, 과잉 생산능력으로 인해 400만 달러의 감액을 발표하여 총 760만 달러의 손실을 기록했다. 이익은 주당 3달러에서 0.50달러로, 주가는 절반으로 떨어졌다. 1967년 10월, 이사회는 카터에게 모든 수익성 없는 사업을 매각하라고 명령했고, 카터는 사임했다.[61]

또한, 페어차일드의 DTL 기술은 텍사스 인스트루먼츠의 더 빠른 TTL에 의해 추월당하고 있었다.

2. 3. 1970년대: 변화와 쇠퇴

벨 연구소에서 전하결합소자(CCD)를 발명한 이후, 페어차일드는 1973년에 상업용 CCD를 생산한 최초의 회사가 되었다. 디지털 이미지 센서는 오늘날에도 그 후신 회사인 페어차일드 이미징에서 생산되고 있다. 그러나 CCD 출시는 순탄치 않았고, 1973년 석유 위기 이후 발생한 1973년-1975년 불황으로 페어차일드는 큰 타격을 입었다.[38]

인텔이 8008 8비트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출시한 후, 페어차일드는 페어차일드 F8 8비트 마이크로프로세서를 개발했다. CPU 박물관에 따르면 1977년 F8은 CPU 판매량에서 세계 최고의 마이크로프로세서였다고 한다.[39]

1976년, 회사는 F8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사용하는 최초의 ROM 카트리지를 사용하는 비디오 게임 시스템인 페어차일드 비디오 엔터테인먼트 시스템(VES)을 출시했고, 나중에 채널 F로 이름이 변경되었다.
페어차일드의 게임기 「채널 F」
이 시스템은 처음에는 성공적이었지만, 아타리 2600 비디오 컴퓨터 시스템(VCS)이 출시되면서 빠르게 인기를 잃었다.

1970년대 말까지 페어차일드는 개발 중인 새로운 제품이 거의 없었고, 기존 제품 라인을 사용하여 틈새 시장으로 점차 눈을 돌렸는데, 특히 군사 및 우주 응용 분야의 "강화된" 집적 회로와 크레이 컴퓨터와 같은 특수 응용 분야에 사용되는 등면 ECL 제품이었다.[40] 페어차일드는 손실을 보고 운영되었고, 수익은 대부분 특허 라이선스에서 나왔다.

1979년, 페어차일드 카메라 앤드 인스투르먼트는 석유 시추장 서비스 회사인 슐룸베르제에 4.25억달러에 인수되었다. 이때 페어차일드가 의존해왔던 페어차일드의 지적 재산권은 만료되고 있었다.

2. 4. 1980년대 ~ 1990년대: 인수 합병과 재탄생

1980년, 슐럼버거(Schlumberger) 경영 하에 페어차일드 연구소 내에 페어차일드 인공지능 연구소(FLAIR, Fairchild Laboratory for Artificial Intelligence Research)가 설립되었다.[41] 1985년, 이 연구소는 분리되어 슐럼버거 팔로알토 연구소(SPAR, Schlumberger Palo Alto Research)가 되었다.

페어차일드 연구소는 1980년대에 32비트 RISC 유사 컴퓨터 아키텍처인 클리퍼 아키텍처(Clipper architecture)를 개발하여 1986년 C100 칩을 출시하였다. 이 기술은 나중에 주요 고객인 인터그래프(Intergraph)에 매각되었다.

1987년, 슐럼버거는 페어차일드를 내셔널 세미컨덕터(National Semiconductor)에 2억달러에 매각하였다.[42] 이 매각에는 반도체 제조업계를 위한 자동 시험 장비(automated test equipment)(ATE)를 설계 및 생산하는 페어차일드의 테스트 부서와 슐럼버거 팔로알토 연구소는 포함되지 않았다.

1997년, 재편된 페어차일드 반도체는 커크 폰드(Kirk Pond)를 CEO로 하여 메인주 사우스 포틀랜드에 본사를 둔 독립 기업으로 재탄생했다. 1997년 3월 11일, 내셔널 세미컨덕터는 시티코프 벤처 캐피탈(Citicorp Venture Capital)의 자회사인 스털링 LLC(Sterling LLC)의 지원을 받아 페어차일드 경영진에게 재편된 페어차일드를 5.5억달러에 매각한다고 발표했다. 페어차일드는 주로 길 아멜리오(Gil Amelio)가 이전에 분리했던 표준 제품 그룹을 보유하고 있었다.

1997년 11월 27일, 페어차일드 반도체는 레이시온(Raytheon Corporation)의 반도체 부문을 약 1.2억달러에 인수한다고 발표했으며, 1997년 12월 31일에 인수가 완료되었다.[44]

1998년 12월, 페어차일드는 파워 MOSFET, IGBT 등을 생산하는 삼성전자의 파워 부문을 인수한다고 발표했다.[45] 이 거래는 1999년 4월 4.5억달러에 최종 확정되었으며,[46] 페어차일드는 삼성전자의 중요한 공급업체로 남았다.[47]

1999년 8월, 페어차일드 반도체는 뉴욕 증권거래소에 FCS라는 티커 심볼로 상장되어 다시 공개 상장 기업이 되었다.

2. 5. 2000년대 이후: 현재

2001년 3월 19일, 페어차일드 반도체는 약 3.38억달러의 현금으로 인터실의 분산 전력 사업 인수를 완료했다. 이 인수를 통해 페어차일드는 세계 2위의 전력 MOSFET 공급업체가 되었으며, 전년 대비 40% 성장한 30억 달러 규모의 시장에서 20%의 점유율을 차지하게 되었다.[76]

2001년 9월 6일, 페어차일드 반도체는 캘리포니아주 산호세에 본사를 둔 임팔라 리니어(Impala Linear Corporation)를 주식과 현금 약 600만달러에 인수했다. 임팔라는 노트북, MP3 플레이어, 휴대전화, 휴대용 시험 장비 및 PDA와 같은 휴대용 기기에 대한 아날로그 전력 관리 반도체 설계 전문 지식을 보유하고 있었다.

2004년 1월 9일, 페어차일드 반도체의 최고경영자(CEO) 커크 폰드(Kirk Pond)가 회원 은행의 선출을 통해 3년 임기의 보스턴 연방준비은행 이사로 임명되었다.[48]

2005년 4월 13일, 페어차일드는 마크 톰슨(Mark Thompson)을 최고경영자(CEO)로 임명했다. 톰슨은 페어차일드 반도체 인터내셔널의 사장, 최고경영자(CEO)이자 이사회 이사를 맡게 되었다. 그는 원래 페어차일드의 제조 및 기술 그룹 부사장으로 합류했다.[49]

2006년 3월 15일, 페어차일드 반도체는 커크 P. 폰드(Kirk P. Pond)가 2006년 5월 3일 연례 주주총회에서 회장직에서 은퇴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폰드는 회사 이사회 이사직을 유지할 것이었다.[50] 마크 톰슨(당시 CEO)이 회장이 되었다.

2007년 9월 1일, 뉴저지주에 본사를 둔 RF 반도체 공급업체인 아나디직스(Anadigics)가 매사추세츠주 팅스보로에 위치한 페어차일드 반도체의 RF 설계팀을 240만달러에 인수했다.

2011년 4월, 페어차일드 반도체는 스웨덴에 본사를 둔 실리콘 카바이드 전력 트랜지스터 회사인 TranSiC을 인수했다.

2015년 11월 18일, 온세미컨덕터(ON Semiconductor)는 페어차일드가 인수 후보를 찾고 있다는 몇 달간의 추측 끝에 24억달러(주당 20달러)에 페어차일드 반도체를 인수하기 위한 제안을 했다.

2016년 4월 10일, 페어차일드 반도체는 본사를 산호세(3030 Orchard Pkwy.)에서 서니베일(1272 Borregas Ave.)로 이전했다.

2016년 9월 19일, 온세미컨덕터와 페어차일드 반도체는 온세미컨덕터가 발표된 24억달러 현금 인수를 완료했다고 공동 발표했다.

2016년 가을, 페어차일드 '온' 세미컨덕터 인터내셔널은 유타주 웨스트 조던의 제조 공장을 폐쇄했다.[51]

3. 주요 기술 및 제품

페어차일드 반도체는 초기 반도체 산업의 선구자로서 다양한 기술과 제품을 개발하여 전자 산업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


  • 트랜지스터: 1957년 페어차일드 반도체는 실리콘 트랜지스터를 제조하기 시작했다. 배신자 8인이 개발한 초기 트랜지스터는 실리콘 메사 방식이었으나, 곧이어 진 호에니가 개발한 혁신적인 플래너 공정을 통해 생산된 플래너 트랜지스터가 출시되었다. 1958년에 출시된 2N697은 시장에서 큰 성공을 거두었으며, IBM에 개당 150달러에 판매되어 B-70 폭격기용 컴퓨터 제작에 사용되었다.[9] 오토네틱스에도 판매되어 미니트맨 탄도 미사일 유도 시스템에 사용되었다.[9]
  • 저항-트랜지스터 논리(RTL): 페어차일드는 초기에 "마이크로로직" RTL 제품군을 개발했다. RTL은 하나의 트랜지스터와 두 개의 저항으로 구성되어 단순하게 반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었지만, 노이즈에 약하고 상업용 및 국방산업용으로는 적합하지 않아 한계가 있었다. 이후 DTL (다이오드-트랜지스터 논리)가 출시되어 RTL보다 큰 노이즈 내성을 가지게 되었다.
  • 기타: 접합형 트랜지스터를 사용한 집적회로 개발을 선도했으며, 이는 크래이 슈퍼컴퓨터에 주로 사용되었다. 1970년대 말에는 파이프라인이 포함된 마이크로프로세서를 발표하고, 국방산업과 우주항공 분야에 사용되는 "내구성이 좋은" 집적회로를 통해 틈새시장을 공략했다.

3. 1. 플래너 공정

1958년 진 호에니가 개발한 플래너 공정은 트랜지스터 제조 방식을 혁신적으로 바꾸었다. 플래너 공정을 통해 더 쉽고, 저렴하며, 성능이 우수한 트랜지스터를 대량 생산할 수 있게 되었다.[55] 이로 인해 기존의 메사 트랜지스터와 같은 다른 트랜지스터 제조 방식은 경쟁력을 잃고 쇠퇴하였다.[55] 예를 들어, 필코는 PADT 공정 트랜지스터 생산 공장에 4000만달러를 투자했지만, 플래너 공정의 등장으로 쓸모없게 되었다.

플래너 공정은 실리콘 산화막을 이용하여 트랜지스터의 접합부를 보호하는 기술이다. 이 기술은 트랜지스터의 신뢰성과 성능을 크게 향상시켰다.[55]

페어차일드는 플래너 공정을 적용한 2N1613 트랜지스터를 성공적으로 출시하고, 이 기술을 다른 회사에도 라이선스하여 업계 전반에 확산시켰다.

1960년에는 플래너 공정을 이용하여 4개의 트랜지스터를 하나의 실리콘 웨이퍼에 집적한 최초의 실리콘 집적회로를 개발하였다.[59] 이는 텍사스 인스트루먼트잭 킬비1958년 9월 12일에 개발한 게르마늄 집적회로보다 발전된 형태였다. 킬비의 특허는 이른바 킬비 특허라고 불리었다.

플래너 공정은 현대 집적회로 제조의 기반이 되는 핵심 기술로, 페어차일드 반도체의 성장에 크게 기여하였다.

3. 2. 집적회로

1960년 페어차일드는 단일 실리콘 웨이퍼에 4개의 트랜지스터를 집적한 회로를 제작하여 최초의 실리콘 집적회로를 만들었다.[59] 이는 텍사스 인스트루먼트잭 킬비1958년 9월 12일에 개발한 게르마늄 집적회로에 이어 세계에서 두 번째였다. 잭 킬비는 자신의 발명으로 미국 특허를 획득하였으나, 킬비의 방법은 확장성이 없다는 한계가 있었다.[59]

로버트 노이스와 잭 킬비는 각각 독자적으로 집적 회로(IC)를 발명했다. 1960년, 노이스는 플래너 집적 회로를 발명했는데, 이는 진 호에르니가 개발한 플래너 공정 덕분이었다.[11] 업계는 텍사스 인스트루먼츠의 발명품보다 페어차일드의 발명품을 선호했는데, 플래너 IC의 트랜지스터는 박막 증착으로 상호 연결된 반면, 텍사스 인스트루먼츠의 발명품은 개별 회로를 연결하기 위해 미세 와이어가 필요했기 때문이다.

이러한 성과를 통해 페어차일드는 급성장하여, 직원 수는 12명에서 12,000명으로 늘었고, 연간 매출액은 1억 3천만 달러에 달하게 되었다.

3. 3. 연산 증폭기 (OP AMP)

1960년대에, 페어차일드는 밥 위들러가 개발한 μA702 (1964년)와 μA709를 출시하여 최초의 연산 증폭기(OP AMP) IC 시장을 선점하였다.[26] 데이비드 풀래거가 개발한 μA741은 1968년에 출시되었는데, 이는 역사상 가장 인기있는 IC OP AMP가 되었다.[26] 페어차일드의 공정은 디지털 회로에 최적화되어 있었기 때문에, 밥 위들러는 공정 엔지니어 데이비드 탈버트와 협력하여 아날로그 연산 증폭기를 개발하였다.[25]

3. 4. 전하결합소자 (CCD)

페어차일드는 1973년에 벨 연구소에서 발명된 전하결합소자(CCD)를 상업적으로 처음 생산한 기업이다.[38][62] 디지털 이미지 센서는 현재까지도 페어차일드의 자회사인 페어차일드 이미징에서 생산되고 있다.

3. 5. F8 마이크로프로세서

인텔8008 8비트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출시한 후, 페어차일드는 페어차일드 F8 8비트 마이크로프로세서를 개발했다. F8은 독특한 구조를 지녔지만, 시장에서 큰 성공을 거두지는 못했다.[39] 비록 1977년 F8이 CPU 판매량에서 세계 최고였지만, 전반적인 시장 점유율은 낮았다.

3. 6. 채널 F



1976년, 페어차일드는 F8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사용하는 최초의 롬 카트리지 사용 비디오 게임 시스템인 페어차일드 비디오 엔터테인먼트 시스템(VES)을 출시했고, 나중에 채널 F로 이름을 변경했다.[39] 이 시스템은 처음에는 성공적이었지만, 아타리 2600 비디오 컴퓨터 시스템(VCS)이 출시되면서 빠르게 인기를 잃었다.[39]

4. 한국과의 관계

페어차일드는 대한민국 부천시에 생산 거점을 두고 있다. 1998년 12월, 페어차일드는 삼성전자의 파워 부문을 인수한다고 발표했으며,[45] 1999년 4월 4.5억달러에 이 거래가 최종 확정되었다.[46] 페어차일드는 삼성전자의 중요한 공급업체로 남았다.[47] 이는 한국 반도체 산업 발전에 기여한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5. 창립자 및 주요 인물

1956년 윌리엄 쇼클리마운틴뷰에 벡맨 코울터의 부서로 쇼클리 세미컨덕터 래버러토리를 설립하였다. 쇼클리는 기존 트랜지스터보다 빠르고 사용하기 쉬운 새로운 "4-레이어 다이오드" 개발을 목표로 했다. 그는 벨 연구소의 이전 동료들을 고용하려 했으나 실패하고, 대신 미국 공과대학 출신의 명석한 졸업생들을 채용했다.[5]

1년 후, 쇼클리의 경영 방식에 불만을 품은 8명의 엔지니어(줄리어스 블랭크, 빅터 그리니치, 진 호에니, 유진 클라이너, 제이 라스트, 고든 무어, 로버트 노이스, 셸던 로버츠)는 회사를 떠나 페어차일드 카메라 앤 인스트루먼트의 지원을 받아 페어차일드 반도체를 설립했다. 이들은 배신의 8인으로 알려지게 되었다.[6]

1960년대에 페어차일드는 OP AMP IC 개발을 선도했다. 1964년 밥 위들러가 설계한 µA702와 µA709는 아날로그 집적회로 시장을 장악하게 했다. 1968년에 출시된 데이비드 풀래거의 µA741은 가장 유명한 OP AMP IC가 되었다.

1960년대에, "페어차일드런"으로 알려진, 배신의 8인을 포함한 초기 창립자들은 페어차일드를 떠나 여러 기업들을 설립하였다. 페어차일드 광고에는 실리콘 밸리로고 콜라주와 함께 "우리가 시작했어요"라는 주석이 등장하기도 했다.

페어차일드 반도체의 주요 인물은 다음과 같다.


  • 길 아멜리오(Gil Amelio)
  • 줄리어스 블랭크(Julius Blank)
  • 리 보이셀(Lee Boysel)
  • 론 브래크먼(Ron Brachman)
  • 윌프리드 코리건(Wilfred Corrigan)
  • 앨런 L. 데이비스(Alan L. Davis)
  • 리처드 O. 두다(Richard O. Duda)
  • 제임스 M. 얼리(James M. Early)
  • 커크 에니스(Kirk Ennis)
  • 페데리코 파긴(Federico Faggin)
  • 잭 기포드(Jack Gifford)
  • 빅터 그리니치(Victor Grinich)
  • 앤드류 그로브(Andrew Grove)
  • 피터 E. 하트(Peter E. Hart)
  • 장 호에르니(Jean Hoerni)
  • 레스터 호건(Lester Hogan)
  • 유진 클라이너(Eugene Kleiner)
  • 피에르 라몽드(Pierre Lamond)
  • 헥터 레베스크(Hector Levesque)
  • 리처드 F. 라이언(Richard F. Lyon)
  • 고든 무어(Gordon Moore)
  • 로버트 노이스(Robert Noyce)
  • 스타브 프로드로무(Stav Prodromou)
  • 치-탕 사(Chih-Tang Sah)
  • 제리 샌더스(Jerry Sanders)
  • 에드윈 터니(Edwin Turney)/에드 터니(Ed Turney)
  • 레슬리 L. 바다스(Leslie L. Vadász)
  • 프랭크 완래스(Frank Wanlass)
  • 밥 위들러(Bob Widlar)
  • 앤드류 위트킨(Andrew Witkin)
  • 돈 발렌타인(Don Valentine)


“8명의 반역자”가 페어차일드를 창업하고 세계 최초의 상용 집적회로를 탄생시킨 장소를 알리는 기념비


5. 1. 배신의 8인

1955년 윌리엄 쇼클리마운틴뷰에 쇼클리 반도체 연구소를 설립하고, 벨 연구소에서 함께 일했던 동료들을 고용하려 했으나 아무도 따라오지 않았기 때문에 새로운 인력을 고용하였다. 이들 중 일부는 훗날 페어차일드 반도체를 설립하게 된다.

쇼클리는 경영자로서, 그리고 인격적으로도 문제가 있는 인물이었으며, 종종 부하 직원들과 투자자들과 충돌을 일으켰다. 더 이상 참을 수 없게 된 8명의 엔지니어들은 쇼클리를 떠나 새로운 회사를 설립하기로 결정한다. 이들은 나중에 "배신의 8인"으로 널리 알려지게 된다. 배신의 8인은 다음과 같다.

이들은 셔먼 페어차일드가 이끄는 페어차일드 카메라 앤 인스트루먼트사의 투자를 받아 1957년 페어차일드 반도체를 설립하였다. 페어차일드는 게르마늄이 일반적인 반도체 재료였던 당시에 실리콘 트랜지스터의 설계 및 제조를 시작했다.

셔먼 페어차일드에 따르면, 로버트 노이스의 열정적인 프레젠테이션이 투자 결정의 결정적인 요인이었다고 한다. 노이스는 재료비가 거의 들지 않는다는 점을 들어 실리콘 사용을 주장했다.

1960년대에, "페어차일드런"으로 알려진, 배신의 8인을 포함한 초기 창립자들은 페어차일드를 떠나 여러 기업들을 설립하였다. 실리콘 밸리로고 콜라주와 함께 "우리가 시작했어요"라는 주석이 페어차일드 광고에 등장하기도 했다.

5. 2. 윌리엄 쇼클리

1955년 윌리엄 쇼클리는 벡맨 인스트루먼츠의 자금 지원을 받아 캘리포니아주 마운틴 뷰에 쇼클리 반도체 연구소를 설립했다.[5] 그의 계획은 당시의 트랜지스터보다 더 빠르고 용도가 많은 새로운 유형의 "4층 다이오드"를 개발하는 것이었다. 처음에 그는 벨 연구소의 전 동료 몇 명을 고용하려고 했지만, 그 당시 서해안으로 이주하거나 쇼클리와 다시 일하려는 사람은 없었다. 그러자 쇼클리는 미국 공과대학을 졸업한 최고의 뛰어난 졸업생들을 모아 새로운 회사의 핵심 인력을 구성했다.

쇼클리는 채용에는 효과적이었지만 경영에는 그렇지 못했다. 이후 "배신의 여덟 명"으로 알려진 쇼클리 직원들의 핵심 그룹은 그의 회사 경영에 불만을 품었다. 이 여덟 명은 줄리어스 블랭크, 빅터 그리니치, 장 호에르니, 유진 클라이너, 제이 라스트, 고든 무어, 로버트 노이스, 셸던 로버츠였다.

5. 3. 밥 위들러

1963년, 페어차일드는 아날로그 연산 증폭기 (op-amp) 설계를 위해 로버트 위들러를 고용했다. 페어차일드의 공정이 디지털 회로에 최적화되어 있었기 때문에, 위들러는 공정 엔지니어 데이브 탈버트와 협력했다. 이 협력을 통해 μA702와 μA709라는 두 가지 혁신적인 제품이 탄생했다.[25]

페어차일드는 밥 위들러의 μA702(1964년)와 μA709를 출시하여 아날로그 집적 회로 시장을 장악했다. 1968년에는 데이비드 풀래거의 μA741을 출시했는데, 이는 역사상 가장 인기 있는 IC op-amp가 되었다.[26]

참조

[1] 웹사이트 About Fairchild - Overview of Fairchild Semiconductor Company https://web.archive.[...] Fairchild 2014-01-08
[2] 웹사이트 Fairchild Semiconductor Intl Inc Annual Report (Form 10-K) https://www.sec.gov/[...] U.S. Securities and Exchange Commission 2016-02-25
[3] 웹사이트 ON Semiconductor Successfully Completes Acquisition of Fairchild Semiconductor for $2.4 Billion in Cash https://www.business[...] 2020-01-28
[4] 웹사이트 Even back in 1968, workers were worried about being replaced by technology RetroFocus https://www.youtube.[...] 2018-09-11
[5] 웹사이트 ON Shockley Semiconductor https://www.pbs.org/[...] 2022-01-28
[6] 웹사이트 Robery Noyce and Fairchild Semiconductor, 1957-1968 https://web.archive.[...] Business History Review 2016-01-08
[7] 서적 Greatest Technology Stories https://archive.org/[...] John Wiley and Sons
[8] 웹사이트 Transistor Museum Photo Gallery Fairchild 2N697 Silicon Mesa Transistor http://semiconductor[...] 2016-01-08
[9] 웹사이트 Silicon Mesa Transistors Enter Commercial Production http://www.computerh[...] 2018-09-21
[10] 학술지 Surface Protection and Selective Masking during Diffusion in Silicon https://iopscience.i[...] 1957
[11] 서적 Making Silicon Valley: Innovation and the Growth of High Tech, 1930-1970 https://archive.org/[...] MIT Press
[12] 특허 Oxidation of semiconductive surfaces for controlled diffusion https://patents.goog[...]
[13] 학술지 Frosch and Derick: Fifty Years Later (Foreword) https://iopscience.i[...] 2007-09-01
[14] 서적 History of Semiconductor Engineering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007
[15] 학술지 Surface Protection and Selective Masking during Diffusion in Silicon https://iopscience.i[...] 1957
[16] 서적 Advanced Materials Innovation: Managing Global Technology in the 21st century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2016
[17] 서적 Makers of the Microchip: A Documentary History of Fairchild Semiconductor https://books.google[...] MIT Press 2010
[18] 서적 ULSI Process Integration III: Proceedings of the International Symposium https://books.google[...] The Electrochemical Society 2003
[19] 서적 History of Semiconductor Engineering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007
[20] 특허 Method of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s 1959-05-01
[21] 특허 Semiconductor device 1960-05-15
[22] 서적 AIP Conference Proceedings 2001
[23] 웹사이트 1963: Complementary MOS Circuit Configuration is Invented https://www.computer[...] 2019-07-06
[24] 학회 Nanowatt logic using field-effect metal-oxide semiconductor triodes 1963
[25] 서적 Current Sources and Voltage References: A Design Reference for Electronics Engineers https://books.google[...] Newnes 2005-08-22
[26] 서적 Basic Electronics https://books.google[...] Firewall Media 2008-01-01
[27] 웹사이트 Indigenous Circuits http://www.computerh[...] 2016-01-21
[28] 웹사이트 The Pentium as a Navajo weaving http://www.righto.co[...] 2024-09
[29] 학술지 Indigenous Circuits:Navajo Women and the Racialization of Early Electronic Manufacture https://lnakamur.fil[...] 2014-12
[30] 학술지 Indigenous Circuits: Navajo Women and the Racialization of Early Electronic Manufacture https://muse.jhu.edu[...] 2014-12-15
[31] 서적 Greatest Technology Stories https://archive.org/[...] John Wiley and Sons
[32] 서적 Making Silicon Valley: Innovation and the Growth of High Tech, 1930-1970 MIT Press
[33] 문서 National Semiconductor#Founding
[34] 웹사이트 Who named Silicon Valley? http://www.computerh[...] 2015-01-07
[35] 문서 A Legal Bridge Spanning 100 Years: From the Gold Mines of El Dorado to the "Golden" Startups of Silicon Valley http://www.netvalley[...]
[36] 웹사이트 The First Trillion-Dollar Startup https://techcrunch.c[...] 2014-07-26
[37] 뉴스 Lester Hogan's obituary - New York Times https://www.nytimes.[...] 2008-08-16
[38] 서적 We were burning: Japanese entrepreneurs and the forging of the electronic age https://books.google[...] Basic Books
[39] 웹사이트 8-bit Microprocessors - F8 (3850) http://www.cpu-museu[...]
[40] 웹사이트 The Legacy of Fairchild http://corphist.comp[...]
[41] 간행물 Research at Fairchild 1983-01-01 #Winter–Spring으로 추정
[42] 잡지 Do Oil and Data Mix? https://www.forbes.c[...]
[43] 뉴스 Toxic-Water Suit Is Settled https://www.nytimes.[...] 1986-07-05
[44] 뉴스 Acquisition of Raytheon's semiconductor division http://findarticles.[...] 1998-01-12
[45] 잡지 Fairchild acquires Samsung power group http://www.eetimes.c[...] 1998-12-21
[46] 웹사이트 Fairchild Semiconductor Completes the Acquisition of Samsung Electronics' Power Device Division. - Free Online Library http://www.thefreeli[...]
[47] 웹사이트 Electronics Engineering Blog | Fairchild - Samsung Mobile Rewards Fairchild As The Only Supplier To Consecutively Win Their Coveted Supply Chain Management Award! http://blog.fairchil[...]
[48] 뉴스 Kirk Pond appointed as a Director of the Federal Reserve Bank of Boston http://findarticles.[...] 2004-01-09
[49] 웹사이트 Fairchild announces appointment of Mark Thompson as CEO http://powerelectron[...]
[50] 웹사이트 Fairchild Semiconductor announces Kirk Pond's retirement as Chairman http://www.powerpuls[...] 2006-03-15
[51] 뉴스 Fairchild to Close Plants, Cut Up to 15% of Workforce https://www.bloomber[...] 2014-08-26
[52] 웹사이트 site of invention of the first commercially practicable integrated circuit https://ohp.parks.ca[...]
[53] 웹사이트 Company Overview / Quick Facts http://www.fairchild[...]
[54] 서적 Greatest Technology Stories https://books.google[...] John Wiley and Sons
[55] 간행물 半導体事始 - シリコントランジスタの開発とソニー http://www.shmj.or.j[...] 半導体産業人協会
[56] 웹사이트 CVD酸化膜を低雑音化プロセスに応用 http://www.shmj.or.j[...]
[57] 웹사이트 TRANSISTOR MUSEUM Historic Transistor Photo Gallery '''FAIRCHILD 2N697''' http://semiconductor[...]
[58] 서적 半導体のあゆみ C&C文庫 1987-06-30
[59] 웹사이트 世界で最初のプレーナー型集積回路の拡大写真 https://archive.comp[...] Computer History Museum
[60] 서적 Greatest Technology Stories https://books.google[...] John Wiley and Sons
[61] 서적 Making Silicon Valley: Innovation and the Growth of High Tech, 1930-1970 MIT Press
[62] 서적 We were burning: Japanese entrepreneurs and the forging of the electronic age https://books.google[...] Basic Books
[63] 간행물 Research at Fairchild 1983-01-01 #Winter/Spring으로 추정
[64] 웹사이트 Do Oil and Data Mix? http://www.forbes.co[...]
[65] 뉴스 Acquisition of Raytheon's semiconductor division http://findarticles.[...] 1998-01-12
[66] 웹사이트 티커 심볼 http://finance.googl[...]
[67] 뉴스 Kirk Pond appointed as a Director of the Federal Reserve Bank of Boston http://findarticles.[...] 2004-01-09
[68] 웹사이트 Fairchild announces appointment of Mark Thompson as CEO http://powerelectron[...]
[69] 웹사이트 Fairchild Semiconductor announces Kirk Pond's retirement as Chairman http://www.powerpuls[...]
[70] 웹사이트 온 세미컨덕터, 페어차일드 세미컨덕터사를 현금 24억 달러로 매수 http://www.onsemi.jp[...]
[71] 웹사이트 반도체의 미 페어차일드주가 대폭 상승 중국 기업의 새로운 인수 제안 지지 https://www.nikkei.c[...] 2016-01-21
[72] 웹사이트 미 페어차일드, 중국 투자가 집단에 의한 인수 제안이 "유리" http://www.bloomberg[...] 2016-01-16
[73] 웹사이트 Fairchild의 인수를 FTC가 승인 - ON Semiconductor의 노림수를 탐구 https://news.mynavi.[...] 2016-10-31
[74] 웹사이트 The Fairchild Deal : Trade War: When Chips Were Down http://articles.lati[...] 2016-10-31
[75] 웹사이트 트랜지스터 박물관™ 역사적인 트랜지스터 사진 갤러리 '''페어차일드 2N697''' http://semiconductor[...]
[76] 뉴스 온세미컨덕터, 페어차일드 인수 완료 http://www.zdnet.co.[...] Znet Korea 2016-09-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