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트모던 문학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포스트모던 문학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모더니즘에 대한 반발로 등장한 문학 사조로, 기존의 문학적 형식과 가치에 도전하며 다양한 특징을 보인다. 아이러니, 유희, 블랙 유머, 상호 텍스트성, 메타픽션, 파스티슈(혼성 모방), 시간 왜곡, 매직 리얼리즘 등을 주요 기법으로 사용하며, 기술 문화와 초현실, 편집증, 극대주의, 극소주의, 단편화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룬다. 주요 작가로는 호르헤 루이스 보르헤스, 가브리엘 가르시아 마르케스, 윌리엄 S. 버로스, 커트 보네거트, 토머스 핀천 등이 있으며, 한국 문학에서도 1980년대 후반부터 논의가 시작되어 1990년대에 다양한 작품들이 등장했다. 포스트모던 문학은 비판과 논쟁의 대상이 되기도 하지만, 현대 문학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예술 운동 및 장르 - 포스트모더니즘
포스트모더니즘은 20세기 중반 근대주의의 한계를 극복하려는 사상으로, 보편적 진리에 의문을 제기하며 다양한 분야에 영향을 미쳤지만, 1990년대 후반 유행이 지나 새로운 흐름이 등장하고 있다. - 사회와 사회 과학 사이드바 - 포스트모더니즘
포스트모더니즘은 20세기 중반 근대주의의 한계를 극복하려는 사상으로, 보편적 진리에 의문을 제기하며 다양한 분야에 영향을 미쳤지만, 1990년대 후반 유행이 지나 새로운 흐름이 등장하고 있다. - 포스트모더니즘 문학 - 비트 세대
비트 세대는 1940년대 후반부터 1960년대 초까지 미국에서 일어난 문학 운동이자 문화 현상으로, 기성 사회에 반항하며 자유로운 삶을 추구하고 개인의 자유와 영적 탐구를 강조했다. - 포스트모더니즘 문학 - 부조리극
부조리극은 20세기 중반 프랑스 파리에서 발생한 연극 운동으로, 실존주의 사상과 제2차 세계대전의 영향을 받아 인간 존재의 부조리함과 무의미한 삶, 소통의 붕괴를 비논리적인 구조와 언어로 표현하며, 사뮤엘 베케트, 외젠 이오네스코 등이 대표 작가이고 현대 연극과 다양한 미디어에 영향을 주고 있다.
포스트모던 문학 | |
---|---|
포스트모더니즘 문학 | |
![]() | |
개요 | |
이전 시기 | 모더니즘 |
포스트모더니티 | |
관련 개념 | 탈구축 하이퍼모더니티 초현실 포스트휴머니즘 탈구조주의 |
분야 | |
관련 분야 | 인류학 고고학 건축 미술 범죄학 무용 여성주의 영화 텔레비전 문학 (그림책) 음악 국제 관계 철학 아나키즘 마르크스주의 실증주의 심리학 정치학 연극 신학 및 종교 |
반응 | |
비판 및 대안 | 비판 메타모더니즘 포스트-포스트모더니즘 리모더니즘 |
관련 주제 | |
관련 개념 | "사회 구성주의" 와 사회적 구성주의 자연의 사회적 구성 젠더의 사회적 구성 기술의 사회적 구성 언어적 전환 |
주요 특징 | |
특징 | 아이러니 유희성 자기 반영성 패스티시 절충주의 상호 텍스트성 초소설 단편화 반서사성 권위에 대한 불신 |
영향 받은 작가 | |
작가 | 커트 보니것 존 바스 도널드 바셀미 로버트 쿠버 조지프 헬러 토머스 핀천 존 파울즈 윌리엄 개디스 돈 드릴로 필립 K. 딕 폴 오스터 캐시 애커 레이먼드 카버 데이비드 포스터 월리스 제니퍼 이건 데이브 에거스 |
이론 | |
이론가 | 자크 데리다 미셸 푸코 장프랑수아 리오타르 장 보드리야르 |
용어 및 스타일 | |
용어 | 블랙 유머 자기 참조 단편화 무의미 혼란 반어법 패러디 메타픽션 콜라주 |
한국어 | |
한국어 | 포스트모더니즘 문학 |
일본어 | |
일본어 | 포스토모단 분가쿠 |
2. 배경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의 급격한 사회 변화, 냉전, 탈식민주의, 대중문화의 발달, 정보화 사회의 도래 등 다양한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포스트모더니즘 문학의 배경이 되었다. 이러한 변화는 기존의 가치관과 세계관에 대한 근본적인 의문을 제기했으며, 문학에서도 새로운 형식과 내용, 기법의 실험을 촉진하는 계기가 되었다.[14]
아우구스트 스트린드베리,[9] 루이지 피란델로,[9] 베르톨트 브레히트[10]는 19세기 후반~20세기 초의 극작가들로, 후기 모더니즘 미학에 영향을 주었다. 예술가의 권위에 도전하고 우연, 변덕, 패러디, 풍자를 강조한 다다이즘[11]은 후기 모더니즘의 또 다른 선구자로 평가받는다. 트리스탄 차라는 "다다이스트 시를 만드는 방법"에서 모자에 무작위로 단어를 넣고 하나씩 꺼내는 방식으로 시를 창작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다다이즘은 콜라주, 특히 광고나 인기 소설의 그림을 활용한 콜라주 개발에도 영향을 주었다. 막스 에른스트의 콜라주가 그 예이다.[11]
초현실주의[12]는 다다이즘에서 발전하여 우연과 패러디를 실험하고 무의식의 흐름을 기념했다. 앙드레 브르통은 자동기술법과 꿈의 묘사가 문학 창작에서 더 큰 역할을 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그는 자동기술법을 사용하여 소설 ''나자''를 창작했고, 사진을 사용하여 묘사를 대체함으로써 과도하게 묘사적인 소설가들을 풍자했다.[12] 르네 마그리트의 의미화 실험은 자크 데리다와 미셸 푸코에 의해 예시로 사용된다.[13] 푸코는 또한 많은 후기 모더니즘 소설 작가들에게 직접적인 영향을 준 호르헤 루이스 보르헤스를 예시로 사용한다.[13] 보르헤스는 1920년대에 글쓰기를 시작했지만, 메타픽션과 매직 리얼리즘에 대한 그의 실험은 후기 모더니즘 시대까지 영미권에서 완전히 실현되지 않아, 때때로 후기 모더니즘 작가로 분류되기도 한다.[14]
레이몽 루셀의 Impressions d'Afrique프랑스어(1910)과 ''로쿠스 솔루스''(1914), 조르조 데 키리코의 ''헤브도메로스''(1929)와 같은 20세기 초의 다른 소설들도 중요한 "후기 모더니즘의 선구자들"로 여겨진다.[15][16]
2. 1. 모더니즘 문학과의 비교
모더니즘 문학과 포스트모더니즘 문학은 모두 19세기 사실주의에서 벗어나 주관주의를 탐구한다는 공통점을 지닌다. 제임스 조이스와 버지니아 울프가 사용한 "의식의 흐름" 기법이나 T. S. 엘리엇의 시 ''황무지''에서처럼, 이들은 외부 현실보다는 의식의 내면 상태를 주로 다룬다.[14] 또한, 서술과 인물 구성에서 단편성을 추구한다는 점도 유사하다.[14]''황무지''는 모더니즘 문학과 포스트모더니즘 문학의 특징을 모두 보여주는 예시로 자주 언급된다. 이 시는 단편적이며 혼성모방(파스티슈)를 사용하지만, 화자는 "나는 이 파편들을 내 폐허에 기대어 쌓았다"라고 말한다.[14] 즉, 모더니즘 문학은 단편성과 극단적인 주관성을 실존적 위기나 프로이트적인 내적 갈등, 즉 해결해야 할 문제로 보았고, 예술가가 그 해결사 역할을 한다고 여겼다.[14]
그러나 포스트모더니스트들은 이러한 혼돈을 극복할 수 없다고 본다.[14] 예술가는 무력하며, "폐허"에 대항하는 유일한 방법은 혼돈 속에서 유희를 즐기는 것이다.[14] 조이스의 ''피네간의 경야''나 울프의 ''올란도''처럼 많은 근대주의 작품에도 유희성이 나타나지만, 포스트모더니즘에서는 유희성이 중심이 되며, 질서와 의미를 찾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여긴다.[14] 거트루드 스타인의 ''앨리스 B. 토클라스의 자서전''(1933)은 메타픽션과 장르에 대한 유희적인 실험을 담고 있어 포스트모더니즘으로 해석되기도 한다.[17]
2. 2. 주요 영향
아우구스트 스트린드베리,[9] 루이지 피란델로,[9] 베르톨트 브레히트[10]는 19세기 후반~20세기 초의 극작가들로, 후기 모더니즘 미학에 영향을 주었다. 다다이즘[11]은 예술가의 권위에 도전하고 우연, 변덕, 패러디, 풍자를 강조하여 후기 모더니즘의 또 다른 선구자로 평가받는다. 트리스탄 차라는 "다다이스트 시를 만드는 방법"에서 모자에 무작위로 단어를 넣고 하나씩 꺼내는 방식으로 시를 창작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다다이즘은 콜라주, 특히 광고나 인기 소설의 그림을 활용한 콜라주 개발에도 영향을 주었다. 예를 들어 막스 에른스트의 콜라주가 있다.[11]초현실주의[12]는 다다이즘에서 발전하여 우연과 패러디를 실험하고 무의식의 흐름을 기념했다. 초현실주의 창시자 앙드레 브르통은 자동기술법과 꿈의 묘사가 문학 창작에서 더 큰 역할을 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그는 자동기술법을 사용하여 소설 ''나자''를 창작했고, 사진을 사용하여 묘사를 대체함으로써 과도하게 묘사적인 소설가들을 풍자했다.[12] 초현실주의 화가 르네 마그리트의 의미화 실험은 자크 데리다와 미셸 푸코에 의해 예시로 사용된다.[13] 푸코는 또한 많은 후기 모더니즘 소설 작가들에게 직접적인 영향을 준 호르헤 루이스 보르헤스를 예시로 사용한다.[13] 보르헤스는 1920년대에 글쓰기를 시작했지만, 메타픽션과 매직 리얼리즘에 대한 그의 실험은 후기 모더니즘 시대까지 영미권에서 완전히 실현되지 않아, 때때로 후기 모더니즘 작가로 분류되기도 한다.[14]
레이몽 루셀의 Impressions d'Afrique프랑스어(1910)과 ''로쿠스 솔루스''(1914), 조르조 데 키리코의 ''헤브도메로스''(1929)와 같은 20세기 초의 다른 소설들도 중요한 "후기 모더니즘의 선구자들"로 여겨진다.[15][16]
3. 특징
포스트모더니즘 문학은 19세기 사실주의에서 벗어나, 주관주의를 탐구하며 외부 현실보다는 의식의 내면 상태를 검토한다. 근대주의의 영향을 받아 서술과 인물 구성의 단편성을 탐구한다. T. S. 엘리엇의 ''황무지''는 근대주의와 포스트모더니즘 문학을 구분하는 예시로 자주 언급된다. 근대주의 문학은 단편성과 주관성을 해결해야 할 문제로 보지만, 포스트모더니스트들은 이러한 혼돈을 극복할 수 없다고 여기며, 혼돈 속에서 유희하는 것을 유일한 방책으로 제시한다. 거트루드 스타인의 ''앨리스 B. 토클라스의 자서전''은 메타픽션과 장르에 대한 유희적인 실험으로 포스트모더니즘으로 해석되기도 한다.[17]
포스트모더니즘 문학은 부조리 연극, 비트 세대, 매직 리얼리즘 등 전후 문학의 발전과 유사점을 보인다. 사무엘 베케트, 윌리엄 S. 버로우즈, 호르헤 루이스 보르헤스, 훌리오 코르타사르, 가브리엘 가르시아 마르케스 등이 포스트모던 미학에 중요한 기여를 한 인물로 언급된다.
알프레드 자리 등 초현실주의자들의 작품은 부조리 연극에 영향을 미쳤다. 마틴 에슬린은 알베르 카뮈의 부조리 개념과 연관 지어 1950년대 연극 경향을 "부조리 연극"이라 칭했다. 외젠 이오네스코의 ''대머리 여가수''처럼 부조리 연극은 포스트모던 소설과 유사한 점이 많다. 사무엘 베케트는 모더니즘에서 포스트모더니즘으로의 전환을 보여주는 주요 작가로, 언어의 빈곤과 인간의 실패에 초점을 맞추고, 벗어날 수 없는 상황 속에서 소통하려는 인물들을 묘사한다. 한스-페터 바그너는 베케트가 소설과 희곡에서 서사 형식과 등장인물의 붕괴를 실험하여 1969년 노벨 문학상을 수상했으며, 그의 후기 작품은 메타 문학적 시도로 문학 형식과 장르를 탈구조화하려 했다고 평가한다.[23]
비트 세대는 1950년대 미국의 물질주의에 불만을 품은 젊은이들을 지칭하며, 잭 케루악은 자동기술법을 발전시켜 마르셀 프루스트의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 형식으로 듈루아즈 전설을 창작했다. 블랙 마운틴 시인들, 뉴욕 스쿨, 샌프란시스코 르네상스 등 전후 미국 작가 그룹도 "포스트모더니스트"라고 불리기도 하며, 존 애슈베리, 리처드 브로티건, 길버트 소렌티노 등이 포스트모던 작가 목록에 자주 등장한다. 윌리엄 S. 버로우즈는 ''벌거벗은 점심''을 통해 최초의 진정한 포스트모던 소설을 썼다고 평가받으며, 브라이언 기신과 함께 컷업 기법을 창안했다.
매직 리얼리즘은 라틴 아메리카 작가들 사이에서 인기 있는 스타일로, 초자연적인 요소를 평범하게 다룬다. 가브리엘 가르시아 마르케스, 훌리오 코르타사르 등 라틴 아메리카 "붐"의 주요 인물들은 포스트모더니스트로 분류되기도 하지만, 옥타비오 파스는 포스트모더니즘이 라틴 아메리카 문화와 양립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블라디미르 나보코프는 베케트, 보르헤스와 함께 전환기 인물로 언급되며, ''롤리타''는 모더니스트 또는 포스트모더니스트 소설로 간주되지만, 후기 작품은 더 명확하게 포스트모던적이다.[24]
3. 1. 아이러니, 유희성, 블랙 유머
포스트모더니즘 문학은 진지함과 권위를 거부하고, 아이러니, 유희성, 블랙 유머를 적극적으로 활용한다.[14] 롤랑 바르트가 ''텍스트의 쾌락''에서 주장한 "유희"는 블랙 코미디와 더불어 포스트모더니즘의 가장 두드러지는 특징이다.[29] 이러한 요소들은 포스트모더니즘 이전에도 존재했지만, 많은 포스트모더니즘 작품에서 중심적인 특징이 되었다.[14] 실제로, 나중에 포스트모더니스트로 분류된 존 바스, 조셉 헬러, 윌리엄 개디스, 커트 보네거트, 브루스 제이 프리드먼 등의 여러 소설가들은 처음에 블랙 코미디 작가로 분류되었다.포스트모더니스트들은 심각한 주제를 유희적이고 유머러스한 방식으로 다루는 경향이 있다. 예를 들어, 헬러와 보네거트는 제2차 세계 대전 사건을 유머러스하게 다룬다.[30] 헬러의 ''캐치-22''는 "22 법칙"이라는 아이러니를 중심으로 이야기가 전개되며, 유사한 아이러니가 계속해서 나타난다. 토머스 핀천의 ''제49호 품목의 경매''는 심각한 맥락 속에서도 마이크 팔로피안, 스탠리 코텍스, KCUF 라디오 방송국 등과 같은 어리석은 말장난을 포함하여 유희성을 보여준다. 소설은 전반적으로 심각한 주제와 복잡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14]
3. 2. 상호텍스트성
탈근대주의 문학 연구는 상호텍스트성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상호텍스트성은 하나의 텍스트와 다른 텍스트 간의 관계, 또는 문학사의 얽히고설킨 구조 내의 텍스트를 연구하는 것이다. 탈근대 문학에서 상호텍스트성은 다른 문학 작품에 대한 언급, 평행 관계, 작품에 대한 장황한 논의, 특정 스타일 채택 등으로 나타난다. 예를 들어 마거릿 애트우드, 도널드 바르텔메 등의 작품에서는 동화, 공상과학 소설, 탐정 소설 등 대중적인 장르를 언급한다.[31][32][33]로버트 쿠버의 『베니스의 피노키오』는 피노키오를 토마스 만의 『베니스의 죽음』과 연결한다. 움베르토 에코의 『장미의 이름』은 탐정 소설 형식을 취하며 아리스토텔레스, 아서 코난 도일 경, 보르헤스 등을 언급한다.[34] 보르헤스의 "돈키호테를 저술한 피에르 메나르"는 『돈키호테』와 중세 로맨스를 언급하며 상호텍스트성의 좋은 예시이다. 캐시 에이커의 소설 『돈키호테: 꿈이었던 것』, 폴 오스터의 『유리 도시』, 존 바스의 『소트위드 팩터』도 상호텍스트성을 보여준다.[35]
3. 3. 메타픽션
메타픽션은 글쓰기 자체에 대한 글쓰기로, 허구의 허구성을 의도적으로 드러내는 기법이다.[38] 이는 독자에게 예술의 인공성이나 소설의 허구성을 명확하게 보여주며, "자발적 믿음의 유예"를 무시하는 경향이 있다. 포스트모던 감성과 메타픽션은 패러디 작품이 패러디 자체의 개념을 패러디해야 한다고 본다.[39][40][41]메타픽션은 작가의 권위를 약화시키거나, 예상치 못한 서사적 변화를 주거나, 독자와 감정적 거리를 두거나, 이야기 전달 행위에 대해 논평하기 위해 사용된다. 예를 들어, 이탈로 칼비노의 1979년 소설 ''겨울밤 여행자를 위하여''는 같은 제목의 소설을 읽으려는 독자에 관한 이야기이다. 커트 보네거트는 ''제5도살장''의 첫 장에서 소설을 쓰는 과정을 보여주고, 소설 전체에서 자신의 존재를 강조한다. 소설은 드레스덴 폭격 당시 보네거트의 경험을 다루지만, 외계인과 시간 여행 같은 허구적 요소를 통해 중심 서사의 인공성을 지속적으로 지적한다.
팀 오브라이언의 1990년 단편 소설집 ''그들이 가져간 것들''은 베트남 전쟁 당시 한 소대의 경험을 다루며, 팀 오브라이언이라는 인물이 등장한다. 오브라이언은 베트남 참전 용사였지만, 이 책은 허구이며, 오브라이언은 등장인물과 사건의 허구성에 의문을 제기한다. "진짜 전쟁 이야기를 하는 방법"이라는 이야기는 이야기 전달의 본질에 대해 질문하며, 사실적인 전쟁 이야기는 믿기 어렵고, 영웅적이고 도덕적인 전쟁 이야기는 진실을 담아내지 못한다고 말한다. 데이비드 포스터 월리스는 ''희미한 왕''에서 저작권 페이지에 법적 목적으로만 허구라고 주장하고 소설 내 모든 내용이 논픽션이라고 쓴다. 그는 소설 속에 데이비드 포스터 월리스라는 인물을 등장시킨다. 지아니나 브라스키 또한 ''요요 붕!''과 ''바나나 합중국''에서 메타픽션과 파스티슈를 사용하며 동명의 인물을 등장시킨다.[42][43]
3. 4. 파스티슈 (혼성모방)
파스티슈는 여러 요소들을 결합하거나 "붙여넣는" 것을 의미한다. 포스트모더니즘 문학에서 이것은 과거 스타일들에 대한 오마주이거나 패러디일 수 있다. 이는 포스트모더니즘 사회의 혼란스럽고, 다원적이며, 정보로 가득 찬 측면들을 보여주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독특한 서사를 만들거나 포스트모더니티의 상황에 대해 논평하기 위해 여러 장르를 결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윌리엄 S. 버로스는 과학 소설, 탐정 소설, 서부극을 사용하고; 마거렛 애트우드는 과학 소설과 동화를 사용하고; 움베르토 에코는 탐정 소설, 동화, 과학 소설 등을 사용한다.[14][36][37] 파스티슈는 일반적으로 장르의 혼합을 포함하지만, 다른 많은 요소들도 포함된다(메타픽션과 시간적 왜곡은 포스트모던 소설의 광범위한 파스티슈에서 흔히 볼 수 있다). 로버트 쿠버의 1977년 소설 ''더 퍼블릭 버닝(The Public Burning)''에서 쿠버는 역사적으로 부정확한 리처드 닉슨의 역사적 인물 및 엉클 샘과 베티 크로커와 같은 허구의 인물과의 상호작용에 대한 이야기를 섞는다. 파스티슈는 대신 작곡 기법을 포함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버로스가 사용한 컷업 기법이 그렇다. 또 다른 예로 B. S. 존슨의 1969년 소설 ''더 언포처네이츠(The Unfortunates)''가 있는데, 이 소설은 독자들이 원하는 대로 조립할 수 있도록 제본되지 않은 상자에 담겨 출시되었다.[14][36][37]3. 5. 역사적 메타픽션
린다 허치언(Linda Hutcheon)은 실제 역사적 사건이나 인물을 허구화하는 작품을 가리키는 용어인 "역사적 메타픽션(historiographic metafiction)"을 만들었다. 이는 역사가 단일하고 고정된 진실이 아니라, 다양한 관점과 해석에 따라 구성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49] 주목할 만한 예는 다음과 같다.- 가브리엘 가르시아 마르케스의 『미궁 속의 장군』(The General in His Labyrinth, 시몬 볼리바르에 관한 작품)
- 줄리언 반즈의 『플로베르의 앵무새』(Flaubert's Parrot, 귀스타브 플로베르에 관한 작품)
- E. L. 도크터로우의 『랙타임』(Ragtime, 해리 후디니, 헨리 포드, 오스트리아의 프란츠 페르디난트 대공, 북커 T. 워싱턴, 지그문트 프로이트, 칼 융 등의 역사적 인물이 등장)
- 라비 알라메딘의 『쿨에이드: 전쟁의 예술』(Koolaids: The Art of War, 레바논 내전과 여러 실존 정치 인물들을 언급)
토머스 핀천의 『메이슨과 딕슨』(Mason and Dixon)도 이 개념을 사용하는데, 예를 들어 조지 워싱턴이 마리화나를 피우는 장면이 포함되어 있다.[49] 존 파울스는 『프랑스 중위의 여자』(The French Lieutenant's Woman)에서 비슷하게 빅토리아 시대를 다룬다.[49] 컬트 폰네귿의 『도살장 다섯』(Slaughterhouse-Five)은 소설이 제2차 세계 대전의 실제 역사적 사건을 나타내려고 하는 동시에, 그렇게 하는 개념 자체에 문제를 제기하는 방식으로 메타픽션적인 "야누스적인(Janus-headed)" 관점을 보여준다고 한다.[49]
3. 6. 시간 왜곡
린다 허치언은 실제 역사적 사건이나 인물을 허구화하는 작품을 가리키는 용어인 "역사적 메타픽션"을 만들었다. 주목할 만한 예로는 가브리엘 가르시아 마르케스의 『미궁 속의 장군』(시몬 볼리바르에 관한 작품), 줄리언 반즈의 『플로베르의 앵무새』(귀스타브 플로베르에 관한 작품), E. L. 도크터로우의 『랙타임』(해리 후디니, 헨리 포드, 오스트리아의 프란츠 페르디난트 대공, 북커 T. 워싱턴, 지그문트 프로이트, 칼 융 등의 역사적 인물이 등장), 라비 알라메딘의 『쿨에이드: 전쟁의 예술』(레바논 내전과 여러 실존 정치 인물들을 언급)이 있다. 토머스 핀천의 『메이슨과 딕슨』도 이 개념을 사용하는데, 예를 들어 조지 워싱턴이 마리화나를 피우는 장면이 포함되어 있다. 존 파울스는 『프랑스 중위의 여자』에서 비슷하게 빅토리아 시대를 다룬다. 컬트 폰네귿의 『도살장 다섯』은 소설이 제2차 세계 대전의 실제 역사적 사건을 나타내려고 하는 동시에, 그렇게 하는 개념 자체에 문제를 제기하는 방식으로 메타픽션적인 "야누스적인" 관점을 보여준다고 한다.[49]3. 7. 매직 리얼리즘
매직 리얼리즘은 초현실적인 방식으로 묘사된 인물과 사물의 정지되고, 선명하며, 매끄럽게 그려진 이미지를 사용하는 문학 작품일 수 있다. 주제와 소재는 종종 상상의 산물이며, 다소 기이하고 환상적이며, 어느 정도 꿈 같은 특성을 지닌다.[50] 이러한 종류의 소설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현실적인 것과 환상적이거나 기괴한 것들의 혼합 및 병치
- 능숙한 시간 전환
- 복잡하고 미궁 같은 서사 및 줄거리
- 꿈, 신화, 동화의 다양한 사용
- 표현주의적이고 초현실적인 묘사
- 신비로운 박식함
- 놀라움이나 갑작스러운 충격의 요소
- 끔찍하고 설명할 수 없는 것들
예를 들어, ''악명의 전사(Historia universal de la infamia)''(1935)의 저자인 호르헤 루이스 보르헤스의 작품은 세계 문학에서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 사이의 다리로 여겨진다.[50] 가브리엘 가르시아 마르케스는 특히 그의 소설 ''백년 동안의 고독''으로 이러한 종류의 소설의 주목할 만한 대표자로 여겨진다. 알레호 카르펜티에르(''이 세상의 왕국'', 1949)도 "마법적 사실주의자"로 묘사된다. 이탈로 칼비노(''나무 위의 남작'', 1957)와 살만 루슈디(''그녀 발 아래의 땅'', 1999)와 같은 포스트모더니스트들은 자신의 작품에서 일반적으로 마법적 사실주의를 사용한다.[14][33][51] 21세기 초 미국 단편 소설에서 마법적 사실주의와 우화의 융합은 케빈 브록마이어의 "천장", 댄 채온의 "빅 미", 제이콥 M. 애플의 "노출", 엘리자베스 그레이버의 "애도의 문"과 같은 작품에서 분명하다.[52]
3. 8. 기술문화와 초현실
포스트모더니즘 문학은 사회가 산업 시대를 지나 정보 시대로 이동하면서 나타난 여러 특징을 반영한다. 프레드릭 제이미슨은 포스트모더니즘을 "후기 자본주의의 문화적 논리"라고 칭했다.[53] 장 보드리야르는 포스트모더니티가 시뮬레이션이 현실을 대체하는 초현실(hyperreality)로의 전환으로 정의된다고 주장했다.[53]포스트모더니티 시대의 사람들은 정보에 압도되고, 기술은 많은 사람들의 삶에서 중심적인 초점이 되었으며, 현실에 대한 이해는 현실의 시뮬레이션에 의해 매개된다.[53] 이러한 포스트모더니티의 특징은 여러 소설 작품에서 특징적인 아이러니와 파스티슈를 통해 다루어졌다. 예를 들어, 필립 K. 딕의 소설 ''안드로이드는 전기양을 꿈꾸는가?''에서는 새로운 기술 기반 종교인 머서리즘이 등장하는 "공감 상자"의 가상 현실이 나타난다.[54] 돈 델리로의 ''화이트 노이즈''는 텔레비전, 제품 브랜드 이름, 그리고 진부한 표현들의 "화이트 노이즈"에 압도당하는 등장인물들을 보여준다.[55] 윌리엄 깁슨, 닐 스티븐슨 등 많은 작가들의 사이버펑크 소설은 과학소설 기법을 사용하여 이러한 포스트모더니즘적이고 초현실적인 정보 폭격을 다룬다.[55]
3. 9. 편집증
헬러의 캐치-22에서 가장 유명하고 효과적으로 보여주듯이, 세상의 혼돈 뒤에 질서 시스템이 있다는 믿음인 편집증은 또 다른 반복되는 포스트모더니즘 주제이다. 포스트모더니스트에게 있어 어떤 질서도 주체에 극도로 의존적이기 때문에, 편집증은 종종 망상과 탁월한 통찰력의 경계를 넘나든다.[56] 오랫동안 포스트모더니즘 문학의 원형으로 여겨져 온 핀천의 49번째 경매의 울음소리는 "우연인가, 음모인가, 혹은 잔인한 농담인가"일 수 있는 상황을 제시한다. 이것은 종종 기술문화와 초현실의 주제와 일치한다. 예를 들어, 폰 네거트의 챔피언의 아침식사에서 드웨인 후버라는 인물은 세상의 다른 모든 사람이 로봇이고 자신만이 인간이라고 확신하면서 폭력적으로 변한다.[14] 이러한 주제는 풍자적인 디스토피아 과학소설 탁상용 롤플레잉 게임 Paranoia에서도 마찬가지로 나타난다.3. 10. 극대주의와 시스템 소설
일부 비평가들은 데이브 에거스, 데이비드 포스터 월리스와 같은 작가들의 광범위한 서사와 단편적인 서술을 맥시멀리즘이라고 칭하며, 이는 시스템 소설이라는 용어와 겹친다고 보았다. 이러한 경향은 서사로서 소설의 "목적"과 평가 기준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57] 탈근대적 입장은 소설의 스타일이 그것이 묘사하고 나타내는 것에 적합해야 한다고 주장하며, 프랑수아 라블레의 『팡타그뤼엘』과 호머의 『오디세이』를 그 예시로 든다. 낸시 펠슨은 이를 다양한 독자와 작품과의 참여를 보여주는 전형으로 칭찬한다.스테파노 에르콜리노는 『맥시멀리스트 소설: 토마스 핀천의 무지개 중력에서 로베르토 볼라뇨의 2666까지』(2014)에서 맥시멀리즘을 "20세기 후반 미국에서 발전하여 21세기 문턱에서 유럽과 라틴 아메리카로 '이주'하는 현대 소설의 미학적으로 혼합된 장르"로 정의했다.[57] 그는 특히 『무지개 중력』, 『무한농담』, 『언더월드』, 『화이트 티스』, 『수정』, 『2666』, 그리고 바베트 팩토리의 『2005년 기원후』를 주목했다.
톰 르클레어는 1987년 저서 『루프 속에서: 돈 델리로와 시스템 소설』에서 시스템 소설이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했고, 1989년 저서 『과잉의 예술: 현대 미국 소설의 통달』에서 이 개념을 더 발전시켰다.[58] 돈 델리로와 관련하여 이 용어를 도입한 르클레어는 『과잉의 예술』에서 다음 7편의 소설을 선택했다.
작가 | 작품 |
---|---|
토마스 핀천 | 『무지개 중력』 |
조셉 헬러 | 『무슨 일이 일어났는가』 |
윌리엄 개디스 | 『J R』 |
로버트 쿠버 | 『공공 화형』 |
조셉 맥엘로이 | 『여성과 남성』 |
존 바스 | 『편지들』 |
우르술라 K. 르 귄 | 『항상 돌아오는 고향』 |
르클레어의 시스템 소설은 모두 "길고, 크고, 밀집된" 것이었고, 어떤 방식으로든 "통달"을 추구하며, "참조 범위, 예술적 세련됨, 그리고 심오한 효과에 대한 욕구"에서 『모비딕』과 『압살롬, 압살롬!』과 유사성을 보였다.[58] 르클레어는 이 소설들이 "자아 통제, 경제적·정치적 패권, 역사와 문화, 과학과 기술의 변혁적인 힘, 정보와 예술의 통제 등 크고 작은 영역에서 권력, 힘, 권위의 과잉에 관한 것"이라고 썼다.[58]
에르콜리노는 르클레어의 시스템 소설과 자신의 맥시멀리스트 소설이 겹치지만, "통달"을 결정적인 특징으로 보지 않았다. 그는 "맥시멀리스트 서술 형식과 권력 사이의 '모호한' 관계에 대해 이야기하는 것이 더욱 합리적일 것이다."라고 말했다.[57]
B. R. 마이어스와 같은 많은 근대주의 비평가들은 맥시멀리스트 소설이 무질서하고, 내용이 빈약하며, 언어 유희만 가득하고, 감정적 헌신이 부족하여 소설로서 가치가 없다고 비난한다. 그러나 토마스 핀천의 『메이슨 & 딕슨』과 데이비드 포스터 월리스의 『무한농담』처럼 탈근대적 서사가 감정적 헌신과 공존하는 반례도 있다.[59][60]
2022년 GQ 기사 "시스템 소설은 소설의 미래인가?"에서 샘 리스는 톰 매카시의 『화신의 제작』과 데이브 에거스의 『모든 것』을 비교했다. 리스는 "궁극적으로 시스템 소설이 제기하거나 가리키는 질문은 소설이 사람 없이 가능한가이다. 이에 대한 답은 '완전히는 아니다'이다. 아마도 문제는 우리 마음 중 구식 소설에 반응하는 부분이 주변 세계만큼 빠르게 변하지 않았다는 것이다."라고 썼다.[61]
3. 11. 극소주의
극소주의(Minimalism) 문학은 독자가 이야기 창작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도록 만드는, 표면적 묘사에 초점을 맞춘 문학 경향이다. 극소주의 단편 소설과 장편 소설의 등장인물들은 보통 평범한 사람들이다. 일반적으로 단편 소설은 '일상의 한 조각'을 보여주는 이야기들이다. 극대주의(Maximalism)와 반대로 극소주의는 가장 기본적이고 필요한 부분만을 표현하여 말의 경제성을 추구한다. 극소주의 작가들은 형용사, 부사 또는 의미 없는 세부 사항을 사용하는 것을 꺼린다. 작가는 모든 세세한 부분을 제공하는 대신 일반적인 맥락(Context)을 제공하고, 독자의 상상력이 이야기를 형성하도록 한다. 포스트모더니즘으로 분류되는 작가들 중에서 극소주의 문학은 욘 포세와 특히 사무엘 베케트와 가장 흔히 연관된다.[62]3. 12. 단편화
단편화는 포스트모던 문학의 중요한 특징 중 하나이다. 줄거리, 등장인물, 주제, 이미지, 사실적 언급 등 다양한 요소들이 작품 전체에 걸쳐 파편화되어 나타난다.[63] 이러한 단편화는 사건, 등장인물의 성장, 행동 순서의 중단을 통해 혼란스럽고 불확실한 세계를 묘사하며, 언어, 문장 구조, 문법에서도 나타날 수 있다.그리스 작가 디미트리스 랴코스(Dimitris Lyacos)의 소설 Z213: Exit은 단편화의 대표적인 예시 중 하나이다.[64][65] 이 작품은 대부분의 관사와 접속사를 생략하고, 거의 전보와 같은 문체(telegraphic style영어)를 사용한다. 텍스트에는 라쿠나가 삽입되어 있으며, 일상 언어와 시, 성경적 언급이 섞여 문법의 붕괴와 왜곡으로 이어진다. 이는 주인공의 혼란스러운 세상 탐험 과정에서 그의 잠재의식적인 두려움과 편집증을 보여주며, 등장인물과 세계의 소외감을 형성한다.[66]
패트리샤 록우드(Patricia Lockwood)의 2021년 부커상 후보작인 No One Is Talking About This는 인터넷 사용이 삶의 질과 창작 과정에 미치는 영향을 표현하기 위해 단편화 기법을 사용한 최근 사례이다.
4. 주요 작가 및 작품
포스트모더니즘 문학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특히 1960년대와 1970년대에 두드러지게 나타난 문학 사조이다. 부조리 연극, 비트 세대, 매직 리얼리즘 등 전후 문학의 발전과 유사점을 가지며, 이들은 때때로 "포스트모던"으로 분류된다.[23]
사무엘 베케트, 윌리엄 S. 버로우즈, 호르헤 루이스 보르헤스, 훌리오 코르타사르, 가브리엘 가르시아 마르케스 등이 대표적인 작가로 언급된다. 알프레드 자리, 초현실주의자들, 앙토냉 아르토, 루이지 피란델로 등의 작품은 부조리 연극 작가들에게 영향을 미쳤다.
마틴 에슬린은 1950년대 연극 경향을 묘사하기 위해 "부조리 연극"이라는 용어를 만들었으며, 알베르 카뮈의 부조리 개념과 관련지었다. 부조리 연극은 포스트모던 소설과 여러 면에서 유사하다. 예를 들어 외젠 이오네스코의 ''대머리 여가수''는 언어 교과서에서 가져온 클리셰들의 연속이다.
사무엘 베케트는 모더니즘에서 포스트모더니즘으로의 전환을 이끈 중요한 인물로 평가받는다. 그는 제임스 조이스의 영향에서 벗어나 언어의 빈곤과 인간의 실패에 초점을 맞춘 작품을 썼다. 그의 후기 작품은 빠져나갈 수 없는 상황에 갇힌 인물들의 무력한 소통 시도를 특징으로 한다.[23]
"비트 세대"는 1950년대 미국의 물질주의에 반발한 젊은이들을 지칭한다. 잭 케루악은 자동기술법을 발전시켜 "자발적인 산문"이라는 개념을 만들었고, 마르셀 프루스트의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 형식으로 듈루아즈 전설이라는 다중 소설 서사시를 창작했다. 블랙 마운틴 시인들, 뉴욕 스쿨, 샌프란시스코 르네상스 등 여러 그룹의 작가들이 "포스트모더니스트"라고 불리기도 했다.
윌리엄 S. 버로우즈는 컷업 기법을 창안하여 ''노바 익스프레스'', ''폭발한 티켓'' 등의 소설을 창작했다. 매직 리얼리즘은 라틴 아메리카 작가들 사이에서 인기 있는 스타일로, 초자연적인 요소를 평범하게 다룬다. 가브리엘 가르시아 마르케스, 훌리오 코르타사르 등이 대표적인 작가이다.
블라디미르 나보코프는 ''롤리타''(1955)를 통해 모더니스트 또는 포스트모더니스트 소설로 간주될 수 있는 작품을 썼으며, 그의 후기 작품들은 더욱 명확하게 포스트모던적인 특징을 보인다.[24]
윌리엄 개디스의 『인식』(1955), 블라디미르 나보코프의 『롤리타』(1955), 윌리엄 버로우즈의 『벌거벗은 점심』(1959) 등은 초기 포스트모더니즘 문학의 예이다.[25] 1960년대와 1970년대에는 조셉 헬러의 『캐치-22』(1961), 존 바스의 『재미있는 곳에서 길을 잃다』(1968), 커트 보네거트의 『도살장 다섯』(1969) 등이 출판되었다. 토머스 핀천의 『무지개 중력』(1973)은 포스트모더니즘 소설의 대표작으로 평가받는다.[26]
1980년대에는 돈 델리로의 『화이트 노이즈』, 폴 오스터의 『뉴욕 3부작』 등이 출판되었다. 데이비드 포스터 월리스, 윌리엄 T. 볼만, 데이브 에거스 등 새로운 세대의 작가들은 포스트모더니즘의 새로운 장 또는 포스트포스트모더니즘을 대표한다.[14][28]
4. 1. 영미권
- 캐시 애커(Kathy Acker)
- 마가렛 애트우드(Margaret Atwood)
- 폴 오스터(Paul Auster)
- J. G. 발라드(J. G. Ballard)
- 줄리언 반즈(Julian Barnes)
- 존 바스(John Barth)
- 도널드 바셀미(Donald Barthelme)
- 사뮈엘 베케트(Samuel Beckett)
- 찰스 부코스키(Charles Bukowski)
- 앤서니 버지스(Anthony Burgess)
- 윌리엄 S. 버로스(William S. Burroughs)
- 앤젤라 카터(Angela Carter)
- 로버트 쿠버(Robert Coover)
- 마크 Z. 다니엘레프스키(Mark Z. Danielewski)
- 사뮤엘 R. 딜레이니(Samuel R. Delany)
- 돈 드릴로(Don DeLillo)
- 필립 K. 딕(Philip K. Dick)
- 윌리엄 개디스(William Gaddis)
- 윌리엄 H. 개스(William H. Gass)
- 윌리엄 깁슨(William Gibson)
- 윌리엄 골딩(William Golding)
- 앨리스터 그레이(Alasdair Gray)
- 조지프 헬러(Joseph Heller)
- 존 어빙(John Irving)
- 어슐러 K. 르 귄(Ursula K. Le Guin)
- 코맥 매카시(Cormac McCarthy)
- 앨런 무어(Alan Moore)
- 블라디미르 나보코프(Vladimir Nabokov)
- 팀 오브라이언(Tim O'Brien)
- 척 팔라니크(Chuck Palahniuk)
- 리처드 파워스(Richard Powers)
- 토머스 핀천(Thomas Pynchon)
- 필립 로스(Philip Roth)
- 살만 루슈디(Salman Rushdie)
- J. D. 샐린저(J. D. Salinger)
- 윌 셀프(Will Self)
- 제임스 팁트리 주니어(James Tiptree Jr.)
- 커트 보네거트(Kurt Vonnegut)
- 데이비드 마크슨(David Markson)
- 데이비드 포스터 월리스(David Foster Wallace)
- 윌리엄 T. 볼먼(William T. Vollmann)
- 조셉 매켈로이(Joseph McElroy)
- 리처드 칼리치(Richard Kalich)
- 조너선 프랜즌(Jonathan Franzen)
- 재닛 윈터슨(Jeanette Winterson)
5. 한국의 포스트모더니즘 문학
한국 문학에서 포스트모더니즘 논의는 1980년대 후반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되었으며, 1990년대에 이르러 다양한 작품들이 등장했다. 한국의 포스트모더니즘 문학은 서구의 포스트모더니즘 문학의 영향을 받으면서도, 한국 사회의 특수한 역사적, 사회적, 문화적 맥락 속에서 독자적인 특징을 발전시켰다.
6. 비판과 논쟁
존 바스는 1967년 에세이 "소모된 문학"에서 모더니즘이 고갈된 후 새로운 문학 시대의 필요성을 언급했고, 1980년 "보충된 문학"에서는 이상적인 포스트모더니스트 작가가 사실주의와 비사실주의, 형식주의와 내용주의 등 여러 대립항을 넘어선다고 주장했다.[67] 조셉 헬러는 자신의 소설 ''캐치-22''를 포함한 많은 전후 미국 소설들이 한국 전쟁과 1950년대 냉전 등 전쟁 이후 시대의 믿음의 붕괴를 반영한다고 보았다.[68] 그는 J. P. 도널리비, 잭 케루악, 켄 케시, 토머스 핀천, 커트 보네거트 등도 비슷한 시기에 각자의 작품을 통해 이러한 경향을 드러냈다고 언급했다.[68]
움베르토 에코는 ''장미의 이름에 대한 성찰''에서 포스트모더니즘을 연대순이 아닌, 일종의 작동 방식, 즉 이중 코드화와 초역사적 현상으로 설명했다. 그는 포스트모더니즘적 태도를, 이미 바바라 카틀랜드가 쓴 말을 알고 있는 남자가 "당신을 열렬히 사랑합니다" 대신 "바바라 카틀랜드가 말했듯이, 당신을 열렬히 사랑합니다"라고 말하는 것에 비유하며, 순진함이 상실된 시대의 사랑을 표현하는 방식이라고 보았다.[69]
데이비드 포스터 월리스는 1990년 에세이에서 포스트모더니즘의 부상과 텔레비전의 부상 사이의 관계를 지적하며, 대중 문화 참조가 넘쳐나는 포스트모더니즘 문학의 경향을 설명했다.[70] 그는 블랙 유머 작가들과 메타픽션 작가들을 언급하며, 이들이 대중 매체를 통해 자신을 표현하는 새로운 세대의 작가들을 대표한다고 주장했다. 윌리엄 개디스, 존 바스, 토머스 핀천 등이 대표적인 예시이며, 로버트 쿠버의 작품들도 언급되었다.[70]
한스-페터 바그너는 포스트모더니즘을 1968년 이후의 모든 소설을 포괄하는 용어, 또는 1960년대부터 세기말까지의 매우 실험적인 문학을 지칭하는 용어로 구분했다. 그는 실험적인 작가들을 '포스트모더니스트'로, 덜 혁신적인 작가들을 '포스트모던'으로 분류했다.[71]
참조
[1]
서적
A Poetics of Postmodernism
Routledge
[2]
논문
Beyond Closure: Buried Alive with Hogg's Justified Sinner
https://www.jstor.or[...]
1985
[3]
웹사이트
Retroview: Our Hero?
https://www.the-amer[...]
2012-04-10
[4]
논문
"You're Putting Me on": Jack Kerouac and the Postmodern Emergence
https://www.jstor.or[...]
2000
[5]
뉴스
Looking Back at 'A Heartbreaking Work of Staggering Genius' (Published 2019)
https://www.nytimes.[...]
2019-03-22
[6]
논문
The Progression of Postmodern Irony: Jennifer Egan, David Foster Wallace and the Rise of Post-Postmodern Authenticity
https://dash.harvard[...]
2017-08-10
[7]
논문
Ned med oprøret! - David Foster Wallace og det postironiske
http://ojs.statsbibl[...]
[8]
논문
Assembling Postmodernism: Experience, Meaning, and the Space In-Between
[9]
논문
Strindberg's A Dream Play: Postmodernist Visions on the Modernist Stage
https://www.cambridg[...]
[10]
웹사이트
Postmodernity And Brecht In Contemporary Theatre Film Studies Essay
https://www.ukessays[...]
2020-10-20
[11]
웹사이트
Modernism and Post-Modernism History - HISTORY
https://www.history.[...]
2020-10-20
[12]
웹사이트
Andre Breton, Nadja – Writing with Images
http://writingwithim[...]
2020-10-20
[13]
논문
Modernism/Postmodernism in "The Library of Babel": Jorge Luis Borges's Fiction as Borderland
https://www.jstor.or[...]
1995
[14]
서적
Postmodernism and Literature // The Routledge Companion to Postmodernism
Routledge
[15]
서적
Postmodernist Fiction
https://books.google[...]
Methuen
2004-06-19
[16]
웹사이트
Text by Jan Svenungsson
http://www.jansvenun[...]
Jansvenungsson.com
1999-04-18
[17]
서적
Tactical Readings: Feminist Postmodernism in the Novels of Kathy Acker and Angela Carter
Bucknell University Press
[18]
서적
Flann O'Brien: A Portrait of the Artist as a Young Post-Modernist
Cork University Press
[19]
웹사이트
Postmodern American Fiction: An Anthology
http://www.wwnorton.[...]
[20]
논문
Cyberpunk and the Dilemmas of Postmodern Narrative: The Example of William Gibson
[21]
웹사이트
Hypertext fiction: The latest in postmodern literary theory
http://findarticles.[...]
Findarticles.com
[22]
서적
Postmodernist Fiction
Routledge
[23]
서적
[24]
서적
Postmodernist Fiction & Constructing Postmodernism
Routledge
[25]
서적
Det etiske spejlkabinet
Department of Language and Culture
[26]
웹사이트
Gravity's Rainbow
http://www.litencyc.[...]
2006-10-24
[27]
서적
Dissident Postmodernists: Barthelme, Coover, Pynchon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28]
서적
Very Like an Elephant: Reality vs. Realism
Little, Brown and Company
[29]
서적
A Poetics of Postmodernism: History, Theory, Fiction
Routledge
[30]
서적
Postmodernism Revisited
Little, Brown and Company
[31]
서적
Intertextuality
Routledge
[32]
서적
Intertextuality: debates and contexts
Wiley-Blackwell
[33]
서적
The Penguin Dictionary of Literary Terms and Literary Theory
[34]
웹사이트
Acker: Don Quixote {{!}} The Modern Novel
https://www.themoder[...]
2020-10-20
[35]
서적
Encyclopedia of Contemporary Literary Theory: Approaches, Scholars, Term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Toronto Press
[36]
저자
Hutcheon
[37]
서적
Postmodernist Fiction
Routledge
2001
[38]
간행물
Isaac Julien in Conversation
https://books.google[...]
2004
[39]
서적
Puerto Rico in the American Century: A History since 1898
https://books.google[...]
Univ of North Carolina Press
2009-06-23
[40]
서적
Historias tremendas
Isla Negra
2005
[41]
서적
Complete Prose
Bompiani
2004
[42]
논문
Metafictions, Migrations, Metalives: Narrative Innovations and Migrant Women's Aesthetics in Giannina Braschi
2012
[43]
논문
United States of Banana (2011), Elizabeth Costello (2003) and Fury (2001): Portrait of the Writer as the ‘Bad Subject’of Globalisation
2014
[44]
서적
Metafiction: the theory and practice of self-conscious fiction
Routledge
1984
[45]
서적
The History of English Literature
Harvard University Press
1989
[46]
서적
Techniques of subversion in modern literature: transgression, abjection, and the carnivalesque
University Press of Florida
1991
[47]
서적
The History of English Literature
Harvard University Press
1989
[48]
웹사이트
Postmodernism
https://web.archive.[...]
www.westga.edu
2009-09-11
[49]
논문
Janus-Headed Postmodernism: The Opening Lines of Slaughterhouse-Five
https://doi.org/10.1[...]
2016-01-02
[50]
뉴스
Borges on the Couch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04-11-07
[51]
서적
Minority Theatre on the Global Stage: Challenging Paradigms from the Margins
Cambridge Scholars Program
2012
[52]
뉴스
Things That Fall From the Sky
The Village Voice
2002-05-07
[53]
서적
Postmodern American Fiction: A Norton Anthology
W. W. Norton & Company
1998
[54]
서적
Storming the Reality Studio: A Casebook of Cyberpunk and Postmodern Fiction
Duke University Press
1994
[55]
서적
Virtual Geographies: Cyberpunk at the Intersection of Postmodern and Science Fiction
[56]
웹사이트
The Crying of Lot 49. Thomas Ruggles Pynchon Jr.: Spermatikos Logos
http://www.themodern[...]
The Modern Word
2008-02-04
[57]
서적
The Maximalist Novel: From Thomas Pynchon's Gravity's Rainbow to Roberto Bolano's 2666
https://books.google[...]
Bloomsbury
2014
[58]
서적
The Art of Excess: Mastery in Contemporary American Fiction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1989
[59]
서적
Postmodern Narrative Theory
Palgrave
1998
[60]
서적
From Modernism to Postmodernism: Concepts and Strategies of Postmodern American Fiction: Postmodern Studies 38; Textxet Studies in Comparative Literature
[61]
뉴스
Is the ‘systems novel’ the future of fiction?
https://www.gq-magaz[...]
GQ
2022-01-04
[62]
서적
An Introduction to Literary Studies
[63]
서적
Postdramatic Theatre
Rutledge
2005
[64]
간행물
Preface to Dimitris Lyacos, Bitter Oleander Special Feature
2016
[65]
웹사이트
http://shodhganga.in[...]
[66]
웹사이트
Văn chương hậu hiện đại (phần I)
https://web.archive.[...]
Khoavanhoc-ngonngu.edu.vn
2014-06-21
[67]
서적
The Literature of Replenishment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984
[68]
서적
Reeling in Catch-22
Simon and Schuster
2003
[69]
서적
Reflections on The Name of the Rose
Secker and Warburg
1985
[70]
서적
E Unibus Pluram
Little, Brown and Company
1997
[71]
서적
A History of British, Irish and American Literature
Trier
[72]
서적
A Poetics of Postmodernism
Routledge
[73]
웹인용
Retroview: Our Hero?
https://www.the-amer[...]
2012-04-10
[74]
저널
"You're Putting Me on": Jack Kerouac and the Postmodern Emergence
https://www.jstor.or[...]
2000
[75]
뉴스
Looking Back at 'A Heartbreaking Work of Staggering Genius' (Published 2019)
https://www.nytimes.[...]
2019-03-22
[76]
학위논문
The Progression of Postmodern Irony: Jennifer Egan, David Foster Wallace and the Rise of Post-Postmodern Authenticity
https://dash.harvard[...]
2017-08-10
[77]
저널
Ned med oprøret! - David Foster Wallace og det postironiske
http://ojs.statsbibl[...]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