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핀치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핀치역은 캐나다 토론토의 지하철역으로, 1974년 개통되었다. 영 / 핀치 지역에 위치하며, 토론토 지하철 1호선 영-유니버시티 노선의 북쪽 종착역이다. 핀치역은 토론토 교통국(TTC) 버스 터미널과 요크 지역 교통국(YRT) 및 GO 트랜싯 버스 터미널과 연결되어 광역 교통의 중심지 역할을 한다. 핀치역은 지하철, 버스, 환승 주차장, 키스 앤 라이드 시설을 갖추고 있으며, 향후 1호선 연장 및 핀치 웨스트 LRT 노선 계획에 따라 추가적인 교통 허브로의 발전이 예상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영-유니버시티 선 - 세인트패트릭역
    세인트패트릭역은 키치너 선 광역철도, TTC 버스, 505번 던다스 노면 전차가 지나고 지하철 1호선 환승이 가능한 캐나다 토론토의 대중교통 환승역으로, 주변에 성 패트릭 성당, 미술관, 박물관 등 다양한 명소가 있으며 접근성 및 플랫폼 외관 개선 공사가 진행 중이다.
  • 영-유니버시티 선 - 세인트조지역
    세인트조지역은 토론토 지하철 1호선과 2호선이 만나는 환승역으로, 토론토 대학교 인근에 위치하여 많은 승객들이 이용하며, 폴 아서가 디자인한 표지판과 접근성 및 승객 흐름 개선을 위한 지속적인 개선이 이루어지고 있다.
  • 1974년 개업한 철도역 - 남영역
    남영역은 서울특별시 용산구에 위치한 수도권 전철 1호선의 지상역으로, 1974년 개통되었으며, 섬식 승강장 구조를 갖추고 있으며, 경부선과 경원선을 연결하는 중요한 환승 거점 역할을 한다.
  • 1974년 개업한 철도역 - 종각역
    종각역은 서울 종로2가에 위치한 수도권 전철 1호선 역으로, 1974년 개통 이후 서울교통공사에서 운영하며, 주변에 보신각, 영풍문고 등 주요 시설과 역사적 장소가 있고, SC제일은행이 부역명으로 병기되어 있으며, 제야의 종 행사 때는 무정차 통과한다.
  • 토론토 교통국의 철도역 - 던랜즈역
    던랜즈역은 1904년에 개통된 토론토 지하철역으로, 그린우드 차량기지 연결 분기점 역할과 교통약자 접근성 개선을 위한 공사가 완료되었으며, 주변 시설 및 버스 노선과의 연계, 온타리오 선 건설 계획으로 토론토 교통 허브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 토론토 교통국의 철도역 - 아이온뷰역
    아이온뷰역은 에글린턴 크로스타운 선의 역으로, 5호선 개통 시 34번 에글린턴 버스와 연결되어 마운트데니스역과 케네디역을 잇고, 동쪽으로는 로렌스 파크 역, 서쪽으로는 데이비스빌 역과 인접해 있다.
핀치역 - [지명]에 관한 문서
개요
핀치역 승강장, 2021년 11월
승강장
주소5600 Yonge Street
도시토론토, 온타리오
국가캐나다
웹사이트공식 역 페이지
운영 정보
구조지하
승강장 형태섬식 승강장
선로 수2
주차 대수3,227
개업일1974년 3월 29일
접근성이용 가능
이용객 통계
승객 수}}
노선 정보
운영 기관토론토 교통국
노선영-유니버시티선
이전 역노스요크센터
버스 환승
노선 목록핀치 웨스트
핀치 이스트
쿠머
스틸스 이스트
스틸스 웨스트

드루리
" 영"
" 핀치 웨스트"
" 핀치 이스트"
핀치 익스프레스
스틸스 이스트 익스프레스
스틸스 웨스트 익스프레스
기타핀치 버스 터미널

2. 역사

핀치역은 영 / 핀치 북쪽과 서쪽에 위치해있으며 뉴튼브루크라고 불렸던 역사적인 마을에 위치해있다. 이 마을은 19세기 초반에 군사용 고속도로로 지어졌던 영 스트리트를 따라 형성되었으며 근처에 돈강이 존재했던 관계로 제분소가 지어졌고 영 스트리트는 이후 여관과 상점 등으로 북적였다.[12] 1848년, 오늘날의 영 / 핀치에 존 핀치라는 사람이 2층 규모의 여관을 지었는데, 도로 이름을 핀치 호텔 (Finch's Hotel)의 이름을 따서 오늘날의 핀치 애비뉴가 되었다.[12] 20세기에 들어서는 자족형 마을인 뉴튼빌이 영 스트리트를 따라 세워졌고 영 스트리트를 가로지르던 노면 전차는 서튼까지 이어졌다.[12]

1950년대에 들어서서, 토론토의 도시 팽창으로 기존 마을의 흔적은 사라졌고 대신 토론토 교외 지역의 중심부로 다시 자리잡게 되었다. 1960년대에 들어서서 이 지역은 노스요크에서 인구가 늘어나고 있는 또다른 동네였고 이에 따라 토론토 통합시는 영 지하철을 에글린턴 북쪽으로 연장하는 방안을 추진하였다.[12]

1961년, 토론토 교통국과 통합시 당국의 도시 설계자들은 영 지하철을 2단계에 걸쳐 연장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는데, 1970년에 셰퍼드 애비뉴까지, 1980년에 스틸즈 애비뉴까지 연장하는 것이였다.[12] 1964년에 이루어진 조사에 따르면 마컴의 하수관이 지하철 연장 이후 발전을 제대로 감당할 여력이 되지 않아 셰퍼드까지만 연장하는 게 타당하다고 결론을 내렸다.[12] 통합시는 1967년 셰퍼드 연장 방안을 승인하였고 이듬해 10월 3일에 온타리오주 지방자치청에서도 이를 승인하여 본격적으로 공사가 시작되었다.[12]

1969년 10월 17일, 통합시는 영 지하철을 셰퍼드에서 핀치까지 또다시 연장하는 것을 승인하였는데, 3750만 달러 규모의 공사를 승인하게 된 이유는 셰퍼드 역 환승 주차장 위치 때문이였다.[12] 셰퍼드 역에는 주차 공간이 부족하였고 노스요크 시의회는 이 지역을 노스요크의 중심가로 개발하는 방안을 추진하였다. 하수관이 핀치 애비뉴 북쪽을 따라 동서로 가로지르기 때문에 핀치역에 환승 주차장을 지을 공간이 충분히 되었으며 이에 따라 토론토 북쪽 교외 지역의 운전자들이 이 역에서 지하철로 갈아탈 수 있게 되었다.[12]

공사는 이후 구덩이를 판 다음에 메우는 개착식 공법으로 이루어졌고 복잡한 공사 기법과 노사 분쟁으로 공사가 지연되어[12] 1974년 3월 29일에 빌 데이비스 온타리오 주 총리와 멜 라스트만 구청장에 의해 개통되었다.[1] 800대의 주차 공간으로 개장한 이 역은 오늘날 31대의 휠체어 운전자 전용 공간을 포함한 총 3258대의 주차 공간이 있다. 이 역은 또한 토론토 교통국에서는 처음으로 환승객 맞이를 위한 정차 공간인 키스 앤드 라이드가 설치된 역인데 이후 키플링과 케네디 역이 개통할 때에도 이 시설이 도입되었다. 이는 이즐링턴과 워든 역으로 마중 나오는 차량들에 따른 교통 정체를 줄이기 위함이기도 하다.[12]

1999년에는 엘리베이터를 설치하여 접근성을 개선했고, 2007년 1월에는 핌버턴 애비뉴(Pemberton Avenue) 서쪽 선로에서 버스 터미널의 새로운 출구를 만들어 완공하였다. 이 새로운 출구는 출퇴근 시간대에 발생하는 승객 및 차량 정체를 해소하기 위해 만들어졌다.[2]

2. 1. 초기 역사와 뉴튼브룩

핀치역은 영 / 핀치 북쪽과 서쪽에 위치해있으며 뉴튼브룩이라고 불렸던 역사적인 마을에 위치해있다. 이 마을은 19세기 초반에 군사용 고속도로로 지어졌던 영 스트리트를 따라 형성되었으며 근처에 돈강이 존재했던 관계로 제분소가 지어졌고 영 스트리트는 이후 여관과 상점 등으로 북적였다.[12]

1848년, 오늘날의 영 / 핀치에 존 핀치라는 사람이 2층 규모의 여관을 지었는데, 도로 이름을 핀치 호텔 (Finch's Hotel)의 이름을 따서 오늘날의 핀치 애비뉴가 되었다. 20세기에 들어서는 자족형 마을인 뉴튼빌이 영 스트리트를 따라 세워졌고 영 스트리트를 가로지르던 노면 전차는 서튼까지 이어졌다.[12]

1950년대에 들어서서, 토론토의 도시 팽창으로 기존 마을의 흔적은 사라졌고 대신 토론토 교외 지역의 중심부로 다시 자리잡게 되었다. 1960년대에 들어서서 이 지역은 노스요크에서 인구가 늘어나고 있는 또다른 동네였고 이에 따라 토론토 통합시는 영 지하철을 에글린턴 북쪽으로 연장하는 방안을 추진하였다.[12]

1961년, 토론토 교통국과 통합시 당국의 도시 설계자들은 영 지하철을 2단계에 걸쳐 연장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는데, 1970년에 셰퍼드 애비뉴까지, 1980년에 스틸즈 애비뉴까지 연장하는 것이였다.[12] 1964년에 이루어진 조사에 따르면 마컴의 하수관이 지하철 연장 이후 발전을 제대로 감당할 여력이 되지 않아 셰퍼드까지만 연장하는 게 타당하다고 결론을 내렸다.[12] 통합시는 1967년 셰퍼드 연장 방안을 승인하였고 이듬해 10월 3일에 온타리오주 지방자치청에서도 이를 승인하여 본격적으로 공사가 시작되었다.[12]

1969년 10월 17일, 통합시는 영 지하철을 셰퍼드에서 핀치까지 또다시 연장하는 것을 승인하였는데, 3750만 달러 규모의 공사를 승인하게 된 이유는 셰퍼드 역 환승 주차장 위치 때문이였다.[12] 셰퍼드 역에는 주차 공간이 부족하였고 노스요크 시의회는 이 지역을 노스요크의 중심가로 개발하는 방안을 추진하였다. 하수관이 핀치 애비뉴 북쪽을 따라 동서로 가로지르기 때문에 핀치역에 환승 주차장을 지을 공간이 충분히 되었으며 이에 따라 토론토 북쪽 교외 지역의 운전자들이 이 역에서 지하철로 갈아탈 수 있게 되었다.[12]

핀치 역은 당시 노스욕 구였던 지역에 1974년 3월 29일에 빌 데이비스 온타리오 주 총리와 멜 라스트만 구청장에 의해 개통되었다. 이 역은 노선의 북쪽 종착역으로서 요크 밀스 역을 대체했다. 핀치 역은 비용을 절감하기 위해 개착식 공법을 사용하여 건설되었다.[1] 공사는 이후 구덩이를 판 다음에 메우는 절개 공법으로 이루어졌고 복잡한 공사 기법과 노사 분쟁으로 공사가 지연되어 1974년 3월 30일에 본격적으로 개장하였다.[12] 800대의 주차 공간으로 개장한 이 역은 오늘날 31대의 휠체어 운전자 전용 공간을 포함한 총 3258대의 주차 공간이 있다.[12] 이 역은 또한 토론토 교통국에서는 처음으로 환승객 맞이를 위한 정차 공간인 키스 앤드 라이드가 설치된 역인데 이후 키플링과 케네디 역이 개통할 때에도 이 시설이 도입되었다. 이는 이즐링턴과 워든 역으로 마중 나오는 차량들에 따른 교통 정체를 줄이기 위함이기도 하다.[12]

1999년에 이 역은 엘리베이터를 설치하여 접근성을 개선하였다.

2006년 4월, 핌버턴 애비뉴(Pemberton Avenue)의 서쪽 선로에서 버스 터미널의 새로운 출구를 만드는 작업이 시작되었다. 이 새로운 출구는 출퇴근 시간에 발생하는 승객 및 차량 정체 때문에 만들어졌다.[2] 아침 출퇴근 시간대에는 버스가 역에서 영 스트리트까지 40미터를 이동하는 데 평균 1분 58초가 걸렸으며, 일부는 최대 4분까지 대기했다.[2] 새로운 출구는 2007년 1월에 완공되었다.

2. 2. 도시 팽창과 지하철 연장

핀치역은 영 / 핀치 북쪽과 서쪽에 위치해있으며 뉴튼브루크라고 불렸던 역사적인 마을에 위치해있다. 이 마을은 19세기 초반에 군사용 고속도로로 지어졌던 영 스트리트를 따라 형성되었으며 근처에 돈강이 존재했던 관계로 제분소가 지어졌고 영 스트리트는 이후 여관과 상점 등으로 북적였다.[12] 1848년, 오늘날의 영 / 핀치에 존 핀치라는 사람이 2층 규모의 여관을 지었는데, 도로 이름을 핀치 호텔 (Finch's Hotel)의 이름을 따서 오늘날의 핀치 애비뉴가 되었다.[12] 20세기에 들어서는 자족형 마을인 뉴튼빌이 영 스트리트를 따라 세워졌고 영 스트리트를 가로지르던 노면 전차는 서튼까지 이어졌다.[12]

1950년대에 들어서서, 토론토의 도시 팽창으로 기존 마을의 흔적은 사라졌고 대신 토론토 교외 지역의 중심부로 다시 자리잡게 되었다. 1960년대에 들어서서 이 지역은 노스요크에서 인구가 늘어나고 있는 또다른 동네였고 이에 따라 토론토 통합시는 영 지하철을 에글린턴 북쪽으로 연장하는 방안을 추진하였다.[12]

1961년, 토론토 교통국과 통합시 당국의 도시 설계자들은 영 지하철을 2단계에 걸쳐 연장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는데, 1970년에 셰퍼드 애비뉴까지, 1980년에 스틸즈 애비뉴까지 연장하는 것이였다.[12] 1964년에 이루어진 조사에 따르면 마컴의 하수관이 지하철 연장 이후 발전을 제대로 감당할 여력이 되지 않아 셰퍼드까지만 연장하는 게 타당하다고 결론을 내렸다.[12] 통합시는 1967년 셰퍼드 연장 방안을 승인하였고 이듬해 10월 3일에 온타리오주 지방자치청에서도 이를 승인하여 본격적으로 공사가 시작되었다.[12]

1969년 10월 17일, 통합시는 영 지하철을 셰퍼드에서 핀치까지 또다시 연장하는 것을 승인하였는데, 3750만 달러 규모의 공사를 승인하게 된 이유는 셰퍼드 역 환승 주차장 위치 때문이였다.[12] 셰퍼드 역에는 주차 공간이 부족하였고 노스요크 시의회는 이 지역을 노스요크의 중심가로 개발하는 방안을 추진하였다. 하수관이 핀치 애비뉴 북쪽을 따라 동서로 가로지르기 때문에 핀치역에 환승 주차장을 지을 공간이 충분히 되었으며 이에 따라 토론토 북쪽 교외 지역의 운전자들이 이 역에서 지하철로 갈아탈 수 있게 되었다.[12]

공사는 이후 구덩이를 판 다음에 메우는 개착식 공법으로 이루어졌고 복잡한 공사 기법과 노사 분쟁으로 공사가 지연되어[12] 1974년 3월 29일에 빌 데이비스 온타리오 주 총리와 멜 라스트만 구청장에 의해 개통되었다.[1] 800대의 주차 공간으로 개장한 이 역은 오늘날 31대의 휠체어 운전자 전용 공간을 포함한 총 3258대의 주차 공간이 있다. 이 역은 또한 토론토 교통국에서는 처음으로 환승객 맞이를 위한 정차 공간인 키스 앤드 라이드가 설치된 역인데 이후 키플링과 케네디 역이 개통할 때에도 이 시설이 도입되었다. 이는 이즐링턴과 워든 역으로 마중 나오는 차량들에 따른 교통 정체를 줄이기 위함이기도 하다.[12]

1999년에는 엘리베이터를 설치하여 접근성을 개선했고, 2007년 1월에는 핌버턴 애비뉴(Pemberton Avenue) 서쪽 선로에서 버스 터미널의 새로운 출구를 만들어 완공하였다. 이 새로운 출구는 출퇴근 시간대에 발생하는 승객 및 차량 정체를 해소하기 위해 만들어졌다.[2]

2. 3. 핀치역 개통과 구간 요금 문제

핀치역은 영 / 핀치 북쪽과 서쪽에 위치해있으며 19세기 초반 군사용 고속도로로 지어졌던 영 스트리트를 따라 형성되었던 뉴튼브루크에 위치해있다.[12] 1848년, 존 핀치가 오늘날의 영 / 핀치에 2층 규모의 여관을 지었고, 여관 이름을 따서 오늘날의 핀치 애비뉴가 되었다.[12] 1950년대에 들어서 토론토의 도시 팽창으로 기존 마을은 사라지고 토론토 교외 지역의 중심부로 자리잡았다.[12] 1960년대에 이 지역은 노스요크에서 인구가 늘어나는 지역이였고, 토론토 통합시는 영 지하철을 에글린턴 북쪽으로 연장하는 방안을 추진하였다.[12]

1961년, 토론토 교통국과 통합시 당국의 도시 설계자들은 영 지하철을 2단계에 걸쳐 연장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는데, 1970년에 셰퍼드 애비뉴까지, 1980년에 스틸즈 애비뉴까지 연장하는 것이였다.[12] 그러나 1964년 조사에 따르면 마컴의 하수관이 지하철 연장 이후 발전을 제대로 감당할 여력이 되지 않아 셰퍼드까지만 연장하는 게 타당하다고 결론을 내렸다.[12] 통합시는 1967년 셰퍼드 연장 방안을 승인, 1968년 10월 3일에 온타리오주 지방자치청에서도 이를 승인하여 공사가 시작되었다.[12]

1969년 10월 17일, 통합시는 셰퍼드 역 환승 주차장 위치 문제로 3750만 달러 규모의 영 지하철 핀치 연장 공사를 승인하였다.[12] 셰퍼드 역에는 주차 공간이 부족하였고, 핀치역에는 하수관이 핀치 애비뉴 북쪽을 따라 동서로 가로지르기 때문에 환승 주차장을 지을 공간이 충분하였다.[12] 이후 절개 공법으로 이루어진 공사는 복잡한 공사 기법과 노사 분쟁으로 지연되어 1974년 3월 30일에 개장하였다.[12] 핀치역에는 31대의 휠체어 운전자 전용 공간을 포함, 총 3258대의 주차 공간과, 키플링, 케네디 역에도 도입된 환승객 맞이를 위한 정차 공간인 키스 앤드 라이드가 설치되었다.[12]

핀치역 설계는 영 지하철 연장 구간의 다른 역과 손쉽게 맞물려 진행되었다. 당시 토론토 교통국은 구간제 요금으로 운행하였는데, 통합시 외곽 승객들은 도심으로 진입할 때 구간 변경 요금을 지불해야 했다.[12] 블루어-댄포스선이 이즐링턴과 워든 역으로 연장될 때 지하철이 2구간으로 뻗쳐나갔다.[12] 지하철에서 두 개 요금을 부과하는 혼동을 막기 위해 토론토 지하철을 1구간으로 편입하고 버스에 승차할 때 2구간 요금을 부과해 버스 정류장과 지하철역 사이에 개찰구를 설치하였다.[12]

요크밀스, 셰퍼드, 핀치역은 구간제 요금이 여전히 적용될 때 설계되었는데, 이에 따라 버스 터미널이 지하철역 개찰구 밖에 위치해있었고 버스 터미널과 지하철역 간에는 긴 보행자 통로로 연결되어 있었다.[12] 1972년에 구간제 요금이 폐지되면서 핀치역의 버스 환승객을 고려하여 터미널 출구에 역 본관으로 이어지는 무인 자동 개찰구가 설치되었고 본관 중앙에는 긴 분리벽이 지어졌다.[12] 핀치 역은 1974년 3월 29일에 빌 데이비스 온타리오 주 총리와 멜 라스트만 구청장에 의해 개통되었으며, 개착식 공법을 사용하여 건설되었다.[1]

1999년에 엘리베이터를 설치하여 접근성을 개선했고, 2006년 4월, 핌버턴 애비뉴(Pemberton Avenue)의 서쪽 선로에서 버스 터미널의 새로운 출구를 만드는 작업이 시작, 2007년 1월에 완공되었다.[2]

3. 역 구조

핀치역과 버스 터미널을 포함한 주변 구조. 빨간색으로 표시되어있는 부분은 펨버턴 애비뉴를 통해 버스가 영 스트리트로 빠져나오는 구간이다.


핀치역은 지하철역, 토론토 교통국 버스 터미널, 맞은 편에 위치한 YRT와 GO 버스 터미널, 키스앤라이드 차량 픽업 장소, 택시 승강장 및 비숍 애비뉴에 위치해있는 동부, 서부 주차장으로 주변 구조가 다른 역에 비해 상당히 복잡하다.

== 버스 터미널 ==

버스 터미널은 지상에 위치해있으며 핀치 애비뉴와 비숍 애비뉴 사이에 위치해있다. 서쪽에는 상가와 버스 터미널이 펜스로 분리되어있으며, 동쪽에는 고층 건물과 버스 터미널 사이에 벽이 있다. 버스 터미널 바로 동쪽이 펨버턴 애비뉴가 끝나는 지점인데, 이 지점에는 또다른 출구가 위치해있으며, 여기로 진입할 경우 프레스토 카드와 티켓 사용자만 진입이 가능한 자동 개찰구가 있다.

버스 터미널 가운데에는 좁은 직사각형 모양의 건물이 있으며, 각 버스 노선별로 승강장이 배정되어있다.[13] 버스는 시계 방향으로 돌며 핀치 애비뉴 버스는 남쪽 핀치 애비뉴 출구로, 나머지 버스는 북쪽 비숍 애비뉴 또는 서쪽 펨버턴 애비뉴 출구를 이용한다. 지상에서 버스 터미널로 가는 출입구는 없으며, 버스를 이용하려면 지하 콩코스 개찰구 또는 펨버턴 애비뉴 입구에서 요금을 지불하고 터미널 건물로 진입할 수 있다.

== 지하철역 ==

지하철역은 크게 윗층 콩코스와 아랫층 콩코스로 나뉜다. 윗층 콩코스는 버스 터미널로 가는 통로와 동쪽 펨버턴 애비뉴 출입구가 있으며, 대부분의 역 시설은 아랫층 콩코스에 위치해있다. 아랫층 콩코스는 핀치역 지하철역의 중심지로 크게 개찰구 안과 밖으로 나뉘는데, 개찰구 밖에는 길다란 복도를 따라 몇몇 자동 개찰구와 /핀치에 있는 주변 건물로 이어진다. 핀치역에서 이어지는 건물은 노스 아메리칸 라이프, 플레이스 누보와 펨버턴 애비뉴의 콘도 건물 등이 있으며, 핀치 버스 터미널과 사거리 북서쪽에 위치한 차량 픽업 장소로도 통로가 있다. 개찰구 안에는 게이트웨이 뉴스탠드 편의점, 팀 홀튼, 꽃집, 옷가게 및 복권을 파는 곳이 있으며, 승강장으로 내려가는 계단과 에스컬레이터, 엘리베이터가 있다.

역 승강장은 섬식 승강장으로 남쪽 끝에 관제실이 있다. 양쪽 승강장은 유니언, 세인트클레어 웨스트역 (출퇴근 시간대 중간 종착역)[14] 거쳐 본 메트로폴리탄 센터역으로 가는 열차가 정차하며, 승강장 위에 있는 전광판은 어떤 열차가 먼저 출발하는지 알려준다.

개찰구 밖에는 또한 미술 작품이 하나 있는데, 이는 1965년에 폴란드의 미술 작가 크리스티나 사도스카가 만든 추상미술 작품인 '이국적인 식물의 리듬' (Rhythm of Exotic Plants) 을 핀치역 개통 시점에 맞춰서 토론토 교통국에 기증한 것이다.[15]

개찰구 밖에 위치한 크리스티나 사도스카의 추상미술 작품 '이국적인 식물의 리듬'


계단, 에스컬레이터, 엘리베이터는 버스 승강장에서 세 층 아래의 기차 승강장으로 연결된다. 버스 승강장 바로 아래 층인 상부 콘코스는 버스 승강장 전체 길이에 걸쳐 있는 복도이다. 이 복도는 터미널의 모든 계단과 에스컬레이터의 착륙 지점을 모아 하부 콘코스로 내려가는 다른 계단과 에스컬레이터로 연결된다.[3]

하부 콘코스 층은 지하철역의 주요 콘코스이다. 이곳은 요금 지불 구역과 미지불 구역으로 나뉜다. 미지불 구역은 긴 복도로, 일부는 여러 자동 프레스토 카드 요금 게이트와 직원이 있는 입구가 늘어선 요금 지불 구역을 따라 이어진다. 이곳에는 오피스 타워(노스 아메리칸 라이프, 플래스 누보, 펨버튼 애비뉴의 콘도), 광역 버스 터미널, "키스 앤 라이드" 승객 하차 시설로 연결되는 통로가 있으며, 프레스토 카드 요금 자동 판매기도 있다. 요금 지불 구역에는 게이트웨이 뉴스탠드와 팀 호튼, 꽃집, 복권 부스, 의류 매장, 지하철 승강장으로 내려가는 계단과 에스컬레이터 등 몇몇 상점이 있다.[3]

승객은 핀치 애비뉴(Finch Avenue)와 영 스트리트(Yonge Street) 지역에 위치한 8개의 서로 다른 출입구에서 역으로 들어갈 수 있다. 휠체어 접근 가능 출입구는 헨든 애비뉴(Hendon Avenue)의 영 스트리트(Yonge Street), 핀치 버스 터미널 근처, 그리고 노스 아메리칸 센터에서 찾을 수 있다. 그 외 휠체어 접근 불가 출입구는 5775 및 5765 영 스트리트(Yonge Street), 펨버튼 애비뉴(Pemberton Avenue), 그리고 영 스트리트(Yonge Street)와 핀치 애비뉴(Finch Avenue) 교차로의 북동쪽 코너에서 찾을 수 있다.[3]

핀치역과 역 사이에는 처치 애비뉴(Church Avenue)와 영 스트리트(Yonge Street)의 북동쪽 코너에 비상구가 있다. 이곳은 한때 지하철 건설을 위해 철거된 윌로우데일 연합 교회가 있던 자리였다. 지하철 터널에서 이어진 계단은 오래된 묘지의 벽돌 건물로 이어진다.

== 승강장 ==

계단, 에스컬레이터, 엘리베이터는 버스 승강장에서 세 층 아래의 기차 승강장으로 연결된다. 버스 승강장 바로 아래 층인 상부 콘코스는 버스 승강장 전체 길이에 걸쳐 있는 복도이다. 이 복도는 터미널의 모든 계단과 에스컬레이터의 착륙 지점을 모아 하부 콘코스로 내려가는 다른 계단과 에스컬레이터로 연결된다.[3]

하부 콘코스 층은 지하철역의 주요 콘코스이다. 이곳은 요금 지불 구역과 미지불 구역으로 나뉜다. 미지불 구역은 긴 복도로, 일부는 여러 자동 프레스토 카드 요금 게이트와 직원이 있는 입구가 늘어선 요금 지불 구역을 따라 이어진다. 이곳에는 오피스 타워(노스 아메리칸 라이프, 플래스 누보, 펨버튼 애비뉴의 콘도), 광역 버스 터미널, "키스 앤 라이드" 승객 하차 시설로 연결되는 통로가 있으며, 프레스토 카드 요금 자동 판매기도 있다. 요금 지불 구역에는 게이트웨이 뉴스탠드와 팀 호튼, 꽃집, 복권 부스, 의류 매장, 지하철 승강장으로 내려가는 계단과 에스컬레이터 등 몇몇 상점이 있다.[3]

== 환승 주차장 및 환승 정차 구역 ==

핀치역에는 지하철 및 버스를 이용하는 승객들을 위해 환승 주차장이 두 군데 마련되어 있다. 하나는 영 스트리트 서쪽 헨던 애비뉴에, 다른 하나는 영 스트리트 동쪽 비숍 애비뉴에 있어서 편의상 동편, 서편 주차장이라고 부른다. 두 주차장의 총 주차 공간은 3,227대 규모로, TTC 시설 중 가장 크다.[4] 동편 주차장은 1,675대, 서편 주차장은 1,552대의 주차 공간이 있으며, 양 주차장은 평일 오전 5시부터 오전 2시까지 유료로 운행하고, 주말과 공휴일에는 무료로 운행한다. 2018년 10월 기준 1일 주차 요금은 5달러이고, 오후 3시 이후에 주차할 경우 2달러이다. 요금 지불은 동전 또는 신용카드로 가능하다.[16]

핀치역 '키스앤라이드' 환승 정차 구역


또한 핀치역에는 지하철역까지 마중 나오는 차량을 위한 환승 정차 구역(키스 앤 라이드)이 서편 주차장 바로 옆에 위치해있는데, 동그란 모양의 이 건물은 콩코스 개찰구 밖으로 나와 지하 통로를 거쳐 진입할 수 있다. 이 구역에는 승객들을 위한 원형 실내 대기 공간이 있으며, 구조물을 원형으로 둘러싼 약 20개의 임시 주차 공간이 있다. 이 구역은 서쪽 주차장과 인접해 있다. 이곳에서의 주차는 불법이다.

한편 비숍 애비뉴 북쪽, 역에서 약간 동쪽(GO 버스 터미널의 남쪽 가장자리)에는 택시 승강장이 위치해있다. 핀치역에서 택시를 이용할 경우 지하철역에서 YRT/GO 버스 터미널이 있는 영/비숍 동북쪽 출입구로 나와 택시를 이용할 수 있다.

3. 1. 버스 터미널

버스 터미널은 지상에 위치해있으며 핀치 애비뉴와 비숍 애비뉴 사이에 위치해있다. 서쪽에는 상가와 버스 터미널이 펜스로 분리되어있으며, 동쪽에는 고층 건물과 버스 터미널 사이에 벽이 있다. 버스 터미널 바로 동쪽이 펨버턴 애비뉴가 끝나는 지점인데, 이 지점에는 또다른 출구가 위치해있으며, 여기로 진입할 경우 프레스토 카드와 티켓 사용자만 진입이 가능한 자동 개찰구가 있다.

버스 터미널 가운데에는 좁은 직사각형 모양의 건물이 있으며, 각 버스 노선별로 승강장이 배정되어있다.[13] 버스는 시계 방향으로 돌며 핀치 애비뉴 버스는 남쪽 핀치 애비뉴 출구로, 나머지 버스는 북쪽 비숍 애비뉴 또는 서쪽 펨버턴 애비뉴 출구를 이용한다. 지상에서 버스 터미널로 가는 출입구는 없으며, 버스를 이용하려면 지하 콩코스 개찰구 또는 펨버턴 애비뉴 입구에서 요금을 지불하고 터미널 건물로 진입할 수 있다.

3. 2. 지하철역

지하철역은 크게 윗층 콩코스와 아랫층 콩코스로 나뉜다. 윗층 콩코스는 버스 터미널로 가는 통로와 동쪽 펨버턴 애비뉴 출입구가 있으며, 대부분의 역 시설은 아랫층 콩코스에 위치해있다. 아랫층 콩코스는 핀치역 지하철역의 중심지로 크게 개찰구 안과 밖으로 나뉘는데, 개찰구 밖에는 길다란 복도를 따라 몇몇 자동 개찰구와 /핀치에 있는 주변 건물로 이어진다. 핀치역에서 이어지는 건물은 노스 아메리칸 라이프, 플레이스 누보와 펨버턴 애비뉴의 콘도 건물 등이 있으며, 핀치 버스 터미널과 사거리 북서쪽에 위치한 차량 픽업 장소로도 통로가 있다. 개찰구 안에는 게이트웨이 뉴스탠드 편의점, 팀 홀튼, 꽃집, 옷가게 및 복권을 파는 곳이 있으며, 승강장으로 내려가는 계단과 에스컬레이터, 엘리베이터가 있다.

역 승강장은 섬식 승강장으로 남쪽 끝에 관제실이 있다. 양쪽 승강장은 유니언, 세인트클레어 웨스트역 (출퇴근 시간대 중간 종착역)[14] 거쳐 본 메트로폴리탄 센터역으로 가는 열차가 정차하며, 승강장 위에 있는 전광판은 어떤 열차가 먼저 출발하는지 알려준다.

개찰구 밖에는 또한 미술 작품이 하나 있는데, 이는 1965년에 폴란드의 미술 작가 크리스티나 사도스카가 만든 추상미술 작품인 '이국적인 식물의 리듬' (Rhythm of Exotic Plants) 을 핀치역 개통 시점에 맞춰서 토론토 교통국에 기증한 것이다.[15]

계단, 에스컬레이터, 엘리베이터는 버스 승강장에서 세 층 아래의 기차 승강장으로 연결된다. 버스 승강장 바로 아래 층인 상부 콘코스는 버스 승강장 전체 길이에 걸쳐 있는 복도이다. 이 복도는 터미널의 모든 계단과 에스컬레이터의 착륙 지점을 모아 하부 콘코스로 내려가는 다른 계단과 에스컬레이터로 연결된다.[3]

하부 콘코스 층은 지하철역의 주요 콘코스이다. 이곳은 요금 지불 구역과 미지불 구역으로 나뉜다. 미지불 구역은 긴 복도로, 일부는 여러 자동 프레스토 카드 요금 게이트와 직원이 있는 입구가 늘어선 요금 지불 구역을 따라 이어진다. 이곳에는 오피스 타워(노스 아메리칸 라이프, 플래스 누보, 펨버튼 애비뉴의 콘도), 광역 버스 터미널, "키스 앤 라이드" 승객 하차 시설로 연결되는 통로가 있으며, 프레스토 카드 요금 자동 판매기도 있다. 요금 지불 구역에는 게이트웨이 뉴스탠드와 팀 호튼, 꽃집, 복권 부스, 의류 매장, 지하철 승강장으로 내려가는 계단과 에스컬레이터 등 몇몇 상점이 있다.[3]

승객은 핀치 애비뉴(Finch Avenue)와 영 스트리트(Yonge Street) 지역에 위치한 8개의 서로 다른 출입구에서 역으로 들어갈 수 있다. 휠체어 접근 가능 출입구는 헨든 애비뉴(Hendon Avenue)의 영 스트리트(Yonge Street), 핀치 버스 터미널 근처, 그리고 노스 아메리칸 센터에서 찾을 수 있다. 그 외 휠체어 접근 불가 출입구는 5775 및 5765 영 스트리트(Yonge Street), 펨버튼 애비뉴(Pemberton Avenue), 그리고 영 스트리트(Yonge Street)와 핀치 애비뉴(Finch Avenue) 교차로의 북동쪽 코너에서 찾을 수 있다.[3]

핀치역과 역 사이에는 처치 애비뉴(Church Avenue)와 영 스트리트(Yonge Street)의 북동쪽 코너에 비상구가 있다. 이곳은 한때 지하철 건설을 위해 철거된 윌로우데일 연합 교회가 있던 자리였다. 지하철 터널에서 이어진 계단은 오래된 묘지의 벽돌 건물로 이어진다.

3. 2. 1. 승강장

계단, 에스컬레이터, 엘리베이터는 버스 승강장에서 세 층 아래의 기차 승강장으로 연결된다. 버스 승강장 바로 아래 층인 상부 콘코스는 버스 승강장 전체 길이에 걸쳐 있는 복도이다. 이 복도는 터미널의 모든 계단과 에스컬레이터의 착륙 지점을 모아 하부 콘코스로 내려가는 다른 계단과 에스컬레이터로 연결된다.[3]

하부 콘코스 층은 지하철역의 주요 콘코스이다. 이곳은 요금 지불 구역과 미지불 구역으로 나뉜다. 미지불 구역은 긴 복도로, 일부는 여러 자동 프레스토 카드 요금 게이트와 직원이 있는 입구가 늘어선 요금 지불 구역을 따라 이어진다. 이곳에는 오피스 타워(노스 아메리칸 라이프, 플래스 누보, 펨버튼 애비뉴의 콘도), 광역 버스 터미널, "키스 앤 라이드" 승객 하차 시설로 연결되는 통로가 있으며, 프레스토 카드 요금 자동 판매기도 있다. 요금 지불 구역에는 게이트웨이 뉴스탠드와 팀 호튼스, 꽃집, 복권 부스, 의류 매장, 지하철 승강장으로 내려가는 계단과 에스컬레이터 등 몇몇 상점이 있다.[3]

3. 3. 환승 주차장 및 환승 정차 구역

핀치역에는 지하철 및 버스를 이용하는 승객들을 위해 환승 주차장이 두 군데 마련되어 있다. 하나는 영 스트리트 서쪽 헨던 애비뉴에, 다른 하나는 영 스트리트 동쪽 비숍 애비뉴에 있어서 편의상 동편, 서편 주차장이라고 부른다. 두 주차장의 총 주차 공간은 3,227대 규모로, TTC 시설 중 가장 크다.[4] 동편 주차장은 1,675대, 서편 주차장은 1,552대의 주차 공간이 있으며, 양 주차장은 평일 오전 5시부터 오전 2시까지 유료로 운행하고, 주말과 공휴일에는 무료로 운행한다. 2018년 10월 기준 1일 주차 요금은 5달러이고, 오후 3시 이후에 주차할 경우 2달러이다. 요금 지불은 동전 또는 신용카드로 가능하다.[16]

또한 핀치역에는 지하철역까지 마중 나오는 차량을 위한 환승 정차 구역(키스 앤 라이드)이 서편 주차장 바로 옆에 위치해있는데, 동그란 모양의 이 건물은 콩코스 개찰구 밖으로 나와 지하 통로를 거쳐 진입할 수 있다. 이 구역에는 승객들을 위한 원형 실내 대기 공간이 있으며, 구조물을 원형으로 둘러싼 약 20개의 임시 주차 공간이 있다. 이 구역은 서쪽 주차장과 인접해 있다. 이곳에서의 주차는 불법이다.

한편 비숍 애비뉴 북쪽, 역에서 약간 동쪽(GO 버스 터미널의 남쪽 가장자리)에는 택시 승강장이 위치해있다. 핀치역에서 택시를 이용할 경우 지하철역에서 YRT/GO 버스 터미널이 있는 영/비숍 동북쪽 출입구로 나와 택시를 이용할 수 있다.

4. 연결편

핀치역에서 갈아탈 수 있는 버스는 아래와 같다. 토론토 교통국 버스는 지하철역 지상층에 있는 TTC 터미널에서 탈 수 있고, YRT이나 GO 트랜싯 버스는 개찰구를 빠져나와 지하철역과 터널로 이어져있는 핀치 버스 터미널에서 탑승할 수 있다. YRT와 GO 버스 노선 목록은 핀치 버스 터미널#운행 버스 문서를 참조한다.

핀치역 TTC 버스 터미널


핀치 버스 터미널 내부


핀치역 입구 노스 아메리칸 센터


== TTC 버스 ==

아래는 2021년 10월 10일 기준 핀치역에서 갈아탈 수 있는 토론토 교통국의 일반 및 급행 버스이다.[17]

노선종점경유지비고
36A핀치 웨스트36/Finch West}}핀치 웨스트역핀치역핀치역닐슨 / 크로우 트레일핀치역다이내믹 / 맥니콜핀치역모닝사이드 / 스테인즈파이어니어빌리지역핀치역힐다 / 스틸즈로렌스역앙티브 / 토레스데일핀치역영 / 스틸즈영 / 퀸스키우드바인 경마장핀치역핀치역뉴게일 / 탭스콧핀치역스카버러센터역핀치역
AM

PM
모닝사이드 / 스테인즈파이어니어빌리지역핀치역{{토론토 시내버스 노선도영어2021년 10월 10일부터 평일 아침부터 이른 저녁까지, 주말 아침부터 오후까지 운행[17]



지하철 운행이 중단되면 버스는 역 안으로 들어가지 않으며, 길가에서 환승해야 한다.

4. 1. TTC 버스

핀치역에서 갈아탈 수 있는 버스는 아래와 같다. 토론토 교통국 버스는 지하철역 지상층에 있는 TTC 터미널에서 탈 수 있고, 요크 지역 교통국(YRT)이나 GO 트랜싯 버스는 개찰구를 빠져나와 지하철역과 터널로 이어져있는 핀치 버스 터미널에서 탑승할 수 있다.

아래는 2021년 10월 10일 기준 핀치역에서 갈아탈 수 있는 토론토 교통국의 일반 및 급행 버스이다.[17]

노선종점경유지비고
36A핀치 웨스트Finch West핀치 웨스트역핀치역평일 늦은 저녁을 제외하고 상시 운행. 토/일/공휴일 주간 운행. 험버우드, 밀번 드라이브 방면 버스 핀치 웨스트역에서 환승.
36B험버우드 루프평일 늦은 저녁과 주말 저녁에 운행
39A핀치 이스트Finch East핀치역닐슨 / 크로우 트레일매일 상시 운행
39B리틀스 / 슈얼스매일 오후 10시까지 운행
39C빅토리아파크 / 고든 베이커평일 러시 아워에만 운행
42A커머Cummer핀치역다이내믹 / 맥니콜매일 상시 운행
53A스틸즈 이스트Steeles East핀치역모닝사이드 / 스테인즈평일 늦은 저녁과 토, 일, 공휴일 저녁에 운행
53B패스모어 / 마컴 로드매일 상시 운행
60A스틸즈 웨스트Steeles West파이어니어빌리지역핀치역매일 상시 운행
60B스틸즈 / 마틴그로브평일 늦은 저녁과 토, 일, 공휴일 저녁에 운행
60D스틸즈 / 27번월-토 이른 아침에 운행
97FYonge힐다 / 스틸즈로렌스역매일 상시 운행. 스틸즈 방면 역 내부의 터미널에서, 데이비스빌 방면 역 밖의 정류장에서 승차.
125드루리Drewery앙티브 / 토레스데일핀치역매일 상시 운행
320Yonge영 / 스틸즈영 / 퀸스키매일 심야 시간대에 운행
336핀치 웨스트Finch West우드바인 경마장핀치역매일 심야 시간대에 운행
339핀치 이스트Finch East핀치역뉴게일 / 탭스콧매일 심야 시간대에 운행
939A핀치 급행Finch Express핀치역스카버러센터역평일 아침부터 이른 저녁까지, 주말 아침부터 오후까지 운행
939B핀치 웨스트역
939C핀치역나이트스타 / 모닝사이드
953A스틸즈 이스트 급행Steeles East Expres핀치역
AM

PM
모닝사이드 / 스테인즈2021년 10월 10일부터 평일 아침부터 이른 저녁까지, 주말 아침부터 오후까지 운행[17]
953B패스모어 / 마컴
960스틸즈 웨스트 급행Steeles West Express파이어니어빌리지역핀치역2021년 10월 10일부터 평일 아침부터 이른 저녁까지, 주말 아침부터 오후까지 운행[17]



지하철 운행이 중단되면 버스는 역 안으로 들어가지 않으며, 길가에서 환승해야 한다.

4. 2. YRT/GO 버스

핀치역에서 갈아탈 수 있는 버스는 아래와 같다. 토론토 교통국 버스는 지하철역 지상층에 있는 TTC 터미널에서 탈 수 있고, 요크 지역 교통국(YRT)이나 GO 트랜싯 버스는 개찰구를 빠져나와 지하철역과 터널로 이어져있는 핀치 버스 터미널에서 탑승할 수 있다. YRT와 GO 버스 노선 목록은 핀치 버스 터미널#운행 버스 문서를 참조한다.

아래는 2021년 10월 10일 기준 핀치역에서 갈아탈 수 있는 토론토 교통국의 일반 및 급행 버스이다.[17]

노선종점경유지비고
36A핀치 웨스트Finch West핀치 웨스트역핀치역평일 늦은 저녁을 제외하고 상시 운행. 토/일/공휴일 주간 운행. 험버우드, 밀번 드라이브 방면 버스 핀치 웨스트역에서 환승.
36B험버우드 루프평일 늦은 저녁과 주말 저녁에 운행
39A핀치 이스트Finch East핀치역닐슨 / 크로우 트레일매일 상시 운행
39B리틀스 / 슈얼스매일 오후 10시까지 운행
39C빅토리아파크 / 고든 베이커평일 러시 아워에만 운행
42A커머Cummer핀치역다이내믹 / 맥니콜매일 상시 운행
53A스틸즈 이스트Steeles East핀치역모닝사이드 / 스테인즈평일 늦은 저녁과 토, 일, 공휴일 저녁에 운행
53B패스모어 / 마컴 로드매일 상시 운행
60A스틸즈 웨스트Steeles West파이어니어빌리지역핀치역매일 상시 운행
60B스틸즈 / 마틴그로브평일 늦은 저녁과 토, 일, 공휴일 저녁에 운행
60D스틸즈 / 27번월-토 이른 아침에 운행
97FYonge힐다 / 스틸즈로렌스역매일 상시 운행. 스틸즈 방면 역 내부의 터미널에서, 데이비스빌 방면 역 밖의 정류장에서 승차.
125드루리Drewery앙티브 / 토레스데일핀치역매일 상시 운행
320Yonge영 / 스틸즈영 / 퀸스키매일 심야 시간대에 운행
336핀치 웨스트Finch West우드바인 경마장핀치역매일 심야 시간대에 운행
339핀치 이스트Finch East핀치역뉴게일 / 탭스콧매일 심야 시간대에 운행
939A핀치 급행Finch Express핀치역스카버러센터역평일 아침부터 이른 저녁까지, 주말 아침부터 오후까지 운행
939B핀치 웨스트역
939C핀치역나이트스타 / 모닝사이드
953A스틸즈 이스트 급행Steeles East Expres핀치역
AM

PM
모닝사이드 / 스테인즈2021년 10월 10일부터 평일 아침부터 이른 저녁까지, 주말 아침부터 오후까지 운행[17]
953B패스모어 / 마컴
960스틸즈 웨스트 급행Steeles West Express파이어니어빌리지역핀치역2021년 10월 10일부터 평일 아침부터 이른 저녁까지, 주말 아침부터 오후까지 운행[17]



지하철 운행이 중단되면 버스는 역 안으로 들어가지 않으며, 길가에서 환승해야 한다. 이 역을 경유하는 TTC 노선은 다음과 같다.

노선이름추가 정보
36A핀치 웨스트핀치 웨스트역 방면 서쪽
36B핀치 웨스트역 경유 험버우드 불러바드 방면 서쪽
39A핀치 이스트닐슨 로드 방면 동쪽
39B올드 핀치 애비뉴 및 모닝뷰 트레일 방면 동쪽
39C빅토리아 파크 애비뉴 및 고든 베이커 로드 방면 동쪽
42A커머미들필드 로드 및 다이내믹 드라이브 방면 동쪽
42C빅토리아 파크 애비뉴 방면 동쪽
53A스틸스 이스트스테인스 로드 방면 동쪽
53B모닝사이드 애비뉴 방면 동쪽
60A스틸스 웨스트파이오니어 빌리지역 방면 서쪽
60B파이오니어 빌리지역 경유 마틴 그로브 로드 방면 서쪽
60D파이오니어 빌리지역 경유 고속도로 27번 방면 서쪽
97A스틸스 애비뉴 방면 북쪽 및 세인트 클레어역 방면 남쪽
97B영 불러바드 경유 스틸스 애비뉴 방면 북쪽 및 영 불러바드 경유 세인트 클레어역 방면 남쪽
125드루리배서스트 스트리트 (토레스데일) 방면 서쪽
939A핀치 익스프레스케네디역 방면 동쪽
939B핀치 웨스트역 방면 서쪽
939C모닝사이드 하이츠 방면 동쪽
953A스틸스 이스트 익스프레스스테인스 로드 방면 동쪽
953B모닝사이드 애비뉴 방면 동쪽
960B스틸스 웨스트 익스프레스파이오니어 빌리지역 경유 마틴 그로브 로드 방면 서쪽
960D파이오니어 빌리지역 경유 고속도로 27번 방면 서쪽
320블루 나이트 서비스; 스틸스 애비뉴 방면 북쪽 및 퀸스 키 방면 남쪽
336핀치 웨스트블루 나이트 서비스; 우드바인 경마장 험버 칼리지 경유 방면 서쪽
339핀치 이스트블루 나이트 서비스; 마컴 로드 방면 동쪽


5. 인접한 역



역 북쪽에는 승강장 끝을 넘어 확장된 두 개의 유치선과 그 사이에 지하철 열차를 보관하기 위한 세 번째 유치선이 있다. 역 남쪽에는 도착 열차가 남행 선로로 건너갈 수 있도록 하는 다이아몬드 크로스오버가 있으며, 북행 선로에서 출발하는 열차가 남행 선로를 통해 출발할 수 있다.

6. 미래

1호선 영-유니버시티 노선을 핀치역에서 리치먼드 힐까지 요크 지역으로 연장하는 계획은 최소 5개의 새로운 역을 추가할 예정이다.[6] 이 계획은 2007년 무브온타리오 2020의 일환으로 처음 제안되었으며,[7] 현재 계획은 2019년 4월 더그 포드 주지사가 발표하였다.[8] 2022년 9월, 메트로린스는 연장 공사 시작 전에 핀치역을 개선하기 위해 블랙 & 맥도날드 리미티드에 계약을 체결했다. 이 작업에는 열차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기 시스템 개선과 역 북쪽의 새로운 주 노선이 될 테일 트랙(tail tracks)에 무수 스프링클러 시스템을 연장하는 것이 포함될 예정이다.[9]

2007년, 트랜짓 시티 계획은 험버 칼리지역에서 핀치역까지 핀치 애비뉴를 따라 운행하는 새로운 경전철 노선인 에토비코-핀치 웨스트 LRT 노선을 제안했다. 험버 칼리지에서 핀치 웨스트 역까지의 구간은 2022년까지 6호선 핀치 웨스트로 건설 중이었지만, 온타리오주는 핀치 웨스트와 핀치 역 사이의 구간을 2019년 기준으로 건설할 계획이 없었다.[10]

6. 1. 영 북부 연장 계획

1호선 영-유니버시티 노선을 핀치역에서 리치먼드 힐까지 요크 지역으로 연장하는 계획은 최소 5개의 새로운 역을 추가할 예정이다.[6] 이 계획은 2007년 무브온타리오 2020의 일환으로 처음 제안되었으며,[7] 현재 계획은 2019년 4월 더그 포드 주지사가 발표하였다.[8] 2022년 9월, 메트로린스는 연장 공사 시작 전에 핀치역을 개선하기 위해 블랙 & 맥도날드 리미티드에 계약을 체결했다. 이 작업에는 열차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기 시스템 개선과 역 북쪽의 새로운 주 노선이 될 테일 트랙(tail tracks)에 무수 스프링클러 시스템을 연장하는 것이 포함될 예정이다.[9]

2007년, 트랜짓 시티 계획은 험버 칼리지역에서 핀치역까지 핀치 애비뉴를 따라 운행하는 새로운 경전철 노선인 에토비코-핀치 웨스트 LRT 노선을 제안했다. 험버 칼리지에서 핀치 웨스트 역까지의 구간은 2022년까지 6호선 핀치 웨스트로 건설 중이었지만, 온타리오주는 핀치 웨스트와 핀치 역 사이의 구간을 건설할 계획이 없었다.[10]

6. 2. 6호선 핀치 웨스트 연장 (미정)

핀치역에서 리치먼드 힐까지 1호선 영-유니버시티 노선을 요크 지역으로 연장하는 계획은 최소 5개의 새로운 역을 추가할 것이다.[6] 이 계획은 2007년 무브온타리오 2020의 일부로 처음 제안되었으며,[7] 현재 계획은 2019년 4월 더그 포드 주지사에 의해 발표되었다.[8] 2022년 9월, 메트로린스는 연장 공사 시작 전에 핀치역을 업그레이드하기 위해 블랙 & 맥도날드 리미티드에 계약을 체결했다. 이 작업에는 열차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기 시스템 개선과 역 북쪽의 새로운 주 노선이 될 테일 트랙(tail tracks)에 무수 스프링클러 시스템을 연장하는 것이 포함될 예정이었다.[9]

2007년, 트랜짓 시티 계획은 험버 칼리지역에서 핀치역까지 핀치 애비뉴를 따라 운행하는 새로운 경전철 노선인 에토비코-핀치 웨스트 LRT 노선을 제안했다. 험버 칼리지에서 핀치 웨스트 역까지의 구간은 2022년까지 6호선 핀치 웨스트로 건설 중이었지만, 온타리오주는 핀치 웨스트와 핀치 역 사이의 구간을 2019년 기준으로 건설할 계획이 없었다.[10]

7. 주변 명소

노스 아메리칸 라이프 빌딩이 핀치 역 근처에 있다. 또한 뉴턴브룩 플라자도 근처에 위치해있다. 핀치 호텔은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 역사적 랜드마크이다. 캐나다 전 총리 레스터 B. 피어슨의 출생지를 기념하는 노스 아메리카 생명 건물 기념비가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The North Yonge Extensions http://transit.toron[...] 2014-08-13
[2] 웹사이트 TTC Report: Transit benefits of a new bus exit at Finch Station http://www.ttc.ca/po[...] 2007-02-23
[3] 웹사이트 TTC Finch Station http://www.ttc.ca/Su[...] 2014-08-13
[4] 웹사이트 Finch Station https://www.ttc.ca//[...] 2022-04-16
[5] 웹사이트 TTC Reports and Statistics - Transit Toronto - Content https://transittoron[...] 2020-07-09
[6] 웹사이트 Clark Station to be included as fourth stop on Yonge North Subway Extension https://blog.metroli[...] Metrolinx 2021-07-16
[7] 웹사이트 MoveOntario 2020 Projects http://www.premier.g[...] Government of Ontario 2007-10-14
[8] 웹사이트 Doug Ford commits $11.2B for 4 major Toronto-area transit projects https://www.cbc.ca/n[...] 2019-04-10
[9] 웹사이트 Yonge North Subway Extension construction partner confirmed for early upgrades at Finch https://blog.metroli[...] Metrolinx 2022-09-29
[10] 뉴스 How Doug Ford's $28.5-billion transit overhaul compares with Toronto's existing plans https://www.thestar.[...] 2022-09-30
[11] 웹인용 TTC Reports and Statistics - Transit Toronto - Content https://transittoron[...]
[12] 웹인용 Finch https://transit.toro[...] Transit Toronto 2018-10-15
[13] 웹인용 핀치역 12번 승강장 (36 Finch West at Finch Station Bay 12) http://ttc.ca/Schedu[...] 2012-02-05
[14] 웹인용 지하철 잡상식 문답 아카이브(Subway Trivia Answers Archive) http://transit.toron[...] Transit Toronto 2011-01-10
[15] 웹인용 토론토 - 이국적인 식물의 리듬 (Toronto - Rhythm of Exotic Plants) https://web.archive.[...] Polish Heritage in Canada 2012-02-05
[16] 웹인용 TTC 핀치역 주차 (TTC Finch Station Parking) http://www.ttc.ca/Su[...] 토론토 교통국 2018-12-03
[17] 웹인용 TTC service changes https://web.archive.[...] 2021-10-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