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하당신도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하당신도시는 전라남도 목포시에 조성된 신도시로, 1990년대부터 목포시의 도시 확장 계획의 일환으로 개발되었다. 1999년 택지 개발 사업이 완료되었으며, 무안군 상리 지역이 목포시에 편입되면서 규모가 커졌다. 하당신도시는 영암, 해남, 무안으로 가는 국도가 분기하는 지점에 위치하며, 갓바위 관광특구, 평화광장과 인접해 있다. 2005년 전라남도청이 남악신도시로 이전하면서 목포시의 원도심 인구 유출과 상권 침체가 발생했으나, 목포시는 원도심 활성화를 위해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목포시 - 목포극동방송
    목포극동방송은 1994년 아세아방송 호남본부로 개설되어 1999년 설립된 전남 목포 지역의 극동방송 방송국으로, FM 100.5㎒ 주파수로 목포시와 인근 지역에 방송을 송출하며, 2020년대에는 다양한 행사와 지역 사회 봉사 활동을 진행했고, 2024년 1월 1일에는 제15대 지사장이 부임했다.
  • 목포시 - KBS목포방송국
    KBS목포방송국은 1942년 개국한 한국방송공사의 지역 방송국으로, TV, 라디오, DMB 방송을 송출하며 목포 및 전남 서남부 지역에 뉴스와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 대한민국의 신도시 - 광교신도시
    광교신도시는 경기도 수원시, 용인시에 걸쳐 개발되었으며, 광교산 남쪽 원천리천 일대에서 이름을 따왔고, 높은 녹지율과 편리한 교통, 다양한 교육 및 첨단 시설을 갖춘 신도시이다.
  • 대한민국의 신도시 - 마린시티
    마린시티는 부산 해운대구 수영만 매립지에 조성된 고급 주거 단지이며, 초고층 주상복합 아파트와 호텔 등이 건설되었고, 대중문화 콘텐츠의 배경으로 활용되기도 한다.
하당신도시 - [지명]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지리적 구분도시 지역
국가대한민국
위치목포시
언어한국어
지리
면적 정보면적_각주:
총 면적_km2:
총 면적_ha:
토지 면적_km2:
토지 면적_ha:
물 면적 비율:
물 면적_km2:
물 면적_ha:
도시 면적_km2:
도시 면적_ha:
농촌 면적_km2:
농촌 면적_ha:
지하철 면적_km2:
지하철 면적_ha:
면적 순위:
면적_빈칸 제목1:
면적_빈칸 제목2:
면적_빈칸1_km2:
면적_빈칸2_km2:
면적_빈칸1_ha:
면적_빈칸2_ha:
길이길이_km
폭_km
크기 각주크기 각주
고도 각주고도 각주
인구
인구 각주인구 각주
인구 기준인구 기준
총 인구총 인구
인구 밀도_km2자동
인구 설명인구 설명
인구 통계인구 통계
행정
정부 각주정부 각주
기타 정보
단위 선호도미터법

2. 역사

1990년대부터 목포시는 동쪽으로 하당신도시와 남악신도시, 남쪽으로 대불국가산업단지, 북쪽으로 목포신항만, 고하도 해상신도시, 북항 등을 개발하며 도시를 확장했다. 1981년 영산강 하굿둑 완공으로 도시 동부와 영암군 삼호읍이 직접 연결되었다.

하당신도시 택지 개발 사업으로 대규모 아파트 공급이 이루어졌고, 면적 증가로 인해 영산강 하구까지 구역이 확대되었다. 2005년 하당동에 4개의 영화관이 건설되는 등 기본적인 시설들이 대거 유입되면서 저녁 시간대 구도심에서 젊은층의 모습이 현저히 줄어들었다. 이에 따라 구도심의 루체비스타 거리 조성 사업이 본격적으로 시작되었고, 상업 용지 임대료 지불 등을 통해 상업 지구를 활성화했다.

목포시는 2007년 8월 24일 하당신도시와 목포시청 및 KBS목포방송국이 위치한 구도심을 연결하는 양을산 터널을 개통했다. 또한 북항동의 북항과 유달동고하도를 연결하는 목포대교가 2012년 6월 29일 개통되어 고하대로까지 전 구간이 완공되면서 목포시의 실질적인 외곽 순환 교통망이 완성되었다.

2. 1. 하당신도시 개발

하당신도시는 전라남도 목포시의 신도심으로, 새로운 택지 조성을 위해 목포시에서 추진한 사업이다. 1999년까지 택지사업이 완료되었으며, 2003년 초까지 중심상업용지, 일반상업용지, 준주거 및 주거용지 등이 분양됐다.[4]

하당지구는 기존의 무안군 관할 지역이었던 상리가 목포시에 편입되면서 상동을 하당동으로 분리, 점차적으로 택지 매립과 함께 신흥동, 부흥동 등으로 나뉘면서 규모가 커졌다. 남악신도시와 전남도청은 하당지구와 시가지가 연결되어 있다. 2001년 기준 해당 택지 면적은 108만 6000평이었다.[4] 영암과 해남, 무안으로 가는 국도가 나뉘는 분기점이 신도심 끝부분에 자리하고 있어 대불산업단지의 배후도시는 물론 인구 확보를 위한 기지로 건설됐다. 하당신도심은 바다와 접하고 있어 갓바위터널을 지나면 바로 갓바위 관광특구 내 박물관 시설과 접할 수 있고[5] 바다 접안 일대에 지어진 평화광장은 기존에 미관광장이던 것을 김대중 대통령의 노벨평화상 수상과 발맞춰 평화광장으로 이름을 바꾼 뒤 야경 사업과 레저 중심 공원으로 쓰이고 있다.

2. 2. 남악신도시 개발

남악신도시는 2005년 전라남도청무안군 삼향읍 남악리로 이전하면서 계획된 신도시이다. 원래는 목포시 옥암동의 미개발 지구인 옥암지구를 개발할 계획이었다. 면적은 14.5km2이며, 계획 인구는 15만 명(4만 5천 가구)이다. 개발은 목포시와 전남개발공사가 담당하며, 일부 부지는 영산호 일부를 간척하여 조성되었다.[1]

도청 신도시는 목포시 부주동, 옥암동, 삼향동, 무안군 삼향읍 남악리, 오룡리에 분포된 갯벌을 간척하여 건설되고 있다.[1]

전라남도 서해안고속도로의 종점인 목포 톨게이트를 지나 일로 나들목에서 나오면 오른쪽에 "전남도청 이전 본부 8.5km"라고 적힌 커다란 간판이 보인다. 이 길을 따라 10분 정도 운전하면 목포시 옥암동과 무안군 일로읍, 삼향면 일대에 걸쳐 약 408773.38m2 규모로 건설 중인 남악신도시가 보인다. 안으로 들어가면 황무지 위에 우뚝 솟은 23층짜리 대형 건물인 새로운 전남도청 청사가 있다. 남악신도시 공사 현장에서는 포크레인과 굴착기 소리가 요란하게 울려 퍼졌다.[2]

남악신도시에는 국내 최초로 버스 전용 도로(폭 21m-25m)가 건설될 예정이다. 버스 터미널에서 시내 중심가와 목포 시내를 연결하는 5.5km 구간에 건설될 버스 전용 도로에는 자전거 전용 도로와 보행자 전용 도로도 확보된다.[3]

3. 지리

하당지구는 과거 무안군 관할이었던 상리가 목포시에 편입되면서 상동을 하당동으로 분리하고, 점차 택지를 매립하면서 신흥동, 부흥동 등으로 확장되어 규모가 커졌다.[4] 영암, 해남, 무안으로 가는 국도 분기점이 신도심 끝부분에 있다. 하당신도심은 바다와 접하고 있어 갓바위 관광특구, 평화광장과 가깝다.[5]

4. 행정 구역

하당동, 신흥동, 부흥동, 옥암동, 부주동, 상동, 삼향동

5. 원도심 쇠퇴와 균형 발전

하당신도시 개발로 인해 원도심의 인구가 급격히 줄어들면서 경제가 악화되었다.[6] 2005년 하당신도시에 극장 네 곳이 들어서는 등 주요 시설이 대거 이동하면서 저녁에는 원도심에서 젊은이들을 찾아보기 힘들어졌고, 상권 침체에 대한 상인들의 불만이 높았다.[6]

이에 목포시는 원도심 활성화를 위해 다음과 같은 정책들을 추진하였다.[6]


  • 루체비스타 빛의 거리 조성
  • 상업 용지 임대료 지원
  • 2008년 전국 최초로 원도심 활성화 조례 제정


2007년 양을산 터널 개통, 2012년 목포대교 개통으로 신도심과 원도심 간 교통망이 개선되었다.

참조

[1] 뉴스 "목포 하당신도시 택지분양"(in Korean) http://news.naver.co[...] Newsis 2001-02-26
[2] 뉴스 목포 하당신도시 3만2000평 분양 http://news.naver.co[...] Yonhap 2001-03-21
[3] 뉴스 원도심활성화, 또 하나의 신도시건설 http://www.asiae.co.[...] Asia today 2009-02-01
[4] 뉴스 2001-02-26 목포 하당신도시 택지분양 https://news.naver.c[...] 2001-02-26
[5] 뉴스 2001-03-21 목포 하당신도시 3만2000평 분양 https://news.naver.c[...] 2001-03-21
[6] 뉴스 2009-02-19 원도심활성화, 또 하나의 신도시건설 http://www.asiae.co.[...] 2009-02-19
[7] 간행물 국토교통부 정책자료 - 신도시 개념 및 건설현황 http://www.molit.go.[...] 국토교통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