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바지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하바지섬은 인천광역시 옹진군 덕적면에 위치한 특정도서로, 관목형 혼합활엽수림의 자연성이 우수하여 「독도 등 도서지역의 생태계보전에 관한 특별법」에 따라 지정되었다. 지정번호는 제24호이며, 면적은 29,632m²이다. 건축물 신축, 개간, 토지 형질 변경 등과 같은 행위가 법적으로 금지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옹진군 (인천광역시)의 지리 - 뭉퉁도
전라남도 신안군에 위치한 뭉퉁도는 물수리와 괭이갈매기 번식지로서 특정도서로 지정되어 환경 오염 행위가 제한되고 자연환경이 보호되는 섬이다. - 옹진군 (인천광역시)의 지리 - 모도
모도는 입자 크기가 비교적 크고 부분적으로 반상 조직을 보이는 특징을 가진 대보 화강암에 속하는 중립질흑운모화강암으로 이루어진 섬이다. - 인천광역시의 섬 - 묘도 (인천광역시)
인천광역시 서구 묘도는 괭이부리말 체험 시설 설치 계획이 주민 반발로 무산된 사건을 통해 지역 사회 의견 수렴의 중요성을 보여주는 곳이다. - 인천광역시의 섬 - 우도 (강화군)
우도는 연평도에서 동남쪽 25km 떨어진 서해 5도 중 하나로, 북방한계선과 인접하고 간석지 발달, 희귀식물 석위의 대규모 분포, 범게의 대량 서식 등으로 특정 도서로 지정되어 관리되는 0.211km² 면적의 섬이다. - 대한민국의 특정도서 - 독도
독도는 동해에 위치한 화산섬으로, 한국, 일본,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사이에서 영유권 분쟁이 있으며, 한국은 역사적 기록과 실효 지배를 근거로 영토임을 주장하고 일본은 1905년 시마네현 편입을 근거로 영유권을 주장한다. - 대한민국의 특정도서 - 다라도
다라도는 뛰어난 자연경관과 가마우지, 바다제비 서식지로 인해 특정도서로 지정되어 생태계 보전을 위한 다양한 행위가 제한되는 섬이다.
하바지섬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 |
![]() | |
기본 정보 | |
이름 | 하바지섬 |
위치 | 황해 |
나라 | 대한민국 |
면적 | 29,632m2 |
행정 구역 | |
시 | 인천광역시 |
군 | 옹진군 |
2. 특정도서
하바지섬은 관목형 혼합활엽수림의 자연성이 우수하여 독도 등 도서지역의 생태계보전에 관한 특별법에 의거 특정도서로 지정되었다.
- 지정번호 : 제24호
- 면적 : 29,632m2
- 지번 : 인천광역시 옹진군 덕적면 울도리 산3
3. 행위 제한
하바지섬은 「독도 등 도서지역의 생태계보전에 관한 특별법」에 의해 특정도서로 지정되어 관리되고 있다. 따라서 다음 행위는 엄격히 금지된다.
- 건축물·공작물의 신축·개축·증축
- 개간·매립·준설 또는 간척
- 택지 조성·토지 형질 변경·토지 분할
- 공유수면 매립
- 입목·죽의 벌채 또는 훼손
- 도로 신설
- 흙·모래·자갈·돌 채취, 광물 채굴, 지하수 개발
- 가축 방목, 야생동물 포획·살생 또는 그 알 채취, 야생식물 채취
- 특정도서에 서식하거나 도래하는 야생 동·식물 또는 특정도서 안에 존재하는 자연적 생성물을 섬 밖으로 반출하는 행위
- 특정도서 안으로 생태계 위해 외래 동·식물을 반입하는 행위
- 폐기물 매립 또는 투기
- 인화물질을 이용하여 음식물을 짓거나 야영하는 행위
- 지질·지형·자연적 생성물의 형상 손괴 기타 이와 유사한 행위
4. 대한민국의 특정도서 목록
4. 1. 광역자치단체별 특정도서
4. 1. 1. 부산광역시
자료 없음.4. 1. 2. 인천광역시
특정도서로 지정된 섬으로, 지정번호는 제24호, 면적은 29,632m2이다. 행정구역상 주소는 인천광역시 옹진군 덕적면 울도리 산3이다. 하바지섬은 관목형 혼합활엽수림의 자연성이 우수하여 독도 등 도서지역의 생태계보전에 관한 특별법에 의거하여 지정되었다.4. 1. 3. 경기도
4. 1. 4. 충청남도
곳도(화창도), 나무섬(상목도), 나무섬(하목도), 납작도, 대길산도, 대청도, 동격렬비도, 묘도, 무명도2, 변도, 북격렬비도, 불안도, 서격렬비도, 석도, 소길산도, 솔섬, 아랫노랑이섬, 오도, 오력도, 옥도, 외횡견도, 윗노랑이섬, 중수도, 질마도, 추도(기름암 포함), 횡견도, 흑어도 등4. 1. 5. 전라북도
내조도, 달루도, 대형제도, 딴정금도, 보농도, 석도, 세항도, 소횡경도, 십이동파도1, 십이동파도2, 십이동파도4, 십이동파도6(병풍도), 십이동파도9, 외조도, 외치도(큰딴치도), 횡경도 등4. 1. 6. 전라남도
전라남도에는 가덕도, 각거도, 각흘도, 갈도, 갈마도, 갈매기섬, 갈매섬, 개린도, 고여, 곡두도, 골도, 구도, 국흘섬(국혈도), 납태기도(서대기도), 내매물도, 다라도, 다라지도(낙타섬), 대마도, 대병풍도, 대사도, 대삼도, 대섬, 대술개도, 대정섬, 대칠기도, 대항도, 두리도, 둔북섬, 매물도, 매섬, 목도, 문어남도, 문어북도, 밀매도, 바람막이도, 밖다리섬, 밖목섬, 백야도, 법고섬, 병풍도, 보든아기섬, 복생도, 부남섬, 부도, 불근도, 불무기도, 비도, 상방고도, 섬어두지(어두도), 소다랑도, 소덕우도, 소사도(거북섬), 소송도, 소연포초도, 소정섬, 소칠기도, 소평여도, 소허사도, 소화도, 솔섬, 송도, 아랫돈배섬, 안매도, 안목섬, 역도, 오도, 외엽산도(무명도), 왼섬, 원도2(두롱섬), 원도, 육각도, 육산도, 잠도, 장구도, 장구섬, 재도, 저도, 족도, 죽도, 중갈매기섬, 중결도, 중방고도, 중칠기도, 중화도, 지마도, 진목도, 진섬, 진지외도, 탄항도, 토도, 하방고도, 해1도, 해2도, 행금도, 혈도, 형제도, 형제도1, 호감섬, 화도, 흰여 등이 있다.4. 1. 7. 경상북도
요약(summary)과 원본 소스(source)에 주어진 정보가 없으므로, 해당 섹션에는 내용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4. 1. 8. 경상남도
갈도(갈곳도), 갈도쌍여, 갈산도1, 갈산도2, 고도, 곰섬(웅도), 네바위, 녹운도, 농가도, 대구을비도, 대병대도, 대혈도, 대호도, 돌거칠리도, 등대섬, 딴독섬, 마도, 마안도, 막도, 목도(부도), 문래섬, 백사도, 사도, 상비사도, 상장도, 샛개끝, 세존도, 소구을비도, 소다포도, 소덕도, 소마도, 소목과도, 소병대도, 소지도, 소첨도, 소초도, 소치도, 소치섬, 솔섬(악도), 솔여도, 송도, 악도(장구섬), 안거칠리도, 어유도, 오동도, 외부지도, 우무섬(우무도), 윗대호섬, 자사리제도(5), 장도, 적도, 좌사리도(자사리도), 죽암도(미도), 채도, 춘복도(충복도), 토도(토끼섬), 하비사도, 하서도(수렁여), 학섬(학도), 향기도, 혈도, 홍도4. 1. 9. 제주특별자치도
보론섬, 수령섬, 염섬, 직구도, 청도, 흑검도 등으로도 불린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