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한국의 천문학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한국의 천문학은 선사시대 고인돌 덮개돌의 별자리 묘사에서 시작되어, 삼국시대에는 천문 현상을 국가의 안위를 점치는 데 활용하며 발전했다. 고구려, 백제, 신라에 천문대가 존재했으며, 특히 신라의 첨성대가 대표적이다. 고려시대에는 천체 관측 기술이 발달하여 개성 첨성대가 건립되었고, 조선시대에는 서운관을 설치하여 천문 관측과 역법 체계 확립에 힘썼다. 세종 시대에 혼천의, 간의, 앙부일구, 자격루 등을 제작하고 《칠정산내외편》을 편찬하여 독자적인 역법을 구축했다. 임진왜란 이후 서양 천문학이 도입되어 우주관 변화를 겪었으며, 시헌력 시행과 함께 태양력 사용으로 이어졌다.

2. 선사시대

고인돌 덮개돌에서 별자리 모양이 발견되었다.

2. 1. 고인돌과 별자리

선사 시대 고인돌 덮개돌에서 별자리 모양이 발견되었다.

3. 삼국시대

삼국시대에는 천문학이 국가와 왕의 권위를 상징하는 중요한 요소로 여겨졌다. 하늘의 현상을 관측하고 예측하는 것은 국가의 안녕과 직결된다고 믿었기 때문이다. 특히 일식월식 예언은 백성들에게 국가의 권위를 과시하는 수단이 되었다.[1]

기원전 108년 한사군 설치 이후, 중국 한나라의 문화가 유입되면서 개천설(蓋天說)과 혼천설(渾天說) 같은 중국의 우주관이 고구려, 백제, 신라 삼국의 천문학에 영향을 주었다. 고구려 고분에 그려진 일월성신도(日月星辰圖)와 백제, 신라의 천문대에서 이러한 영향을 확인할 수 있다.[1]

3. 1. 천문 관측과 국가 권위

한국의 역대 왕조는 하늘의 현상을 국가와 왕의 안위를 예측하는 점성술적인 것으로 보았으며, 특히 일식월식의 예언은 백성들에게 국가적 권위를 과시하는 결과가 되었다. 이러한 하늘의 현상에 대한 민감성은 천문학을 발전시키는 주요 원인이 되었다.[1]

기원전 108년 한사군 설치 이후 중국 한대문화(漢代文化)가 유입되면서 중국의 우주관인 개천설(蓋天說)과 혼천설(渾天說)이 들어와 4·5세기경에는 고구려, 백제, 신라 삼국의 천문학 속에 토착화되었다. 고구려의 여러 고분(古墳)에 그려진 일월성신도(日月星辰圖)와 그 구조의 특징에서, 특히 백제와 신라의 천문대에서 제1차적 개천설, 즉 하늘은 둥글고 땅은 네모나다는 천원지방(天圓地方)의 사상적 상징을 찾을 수 있다.[1]

대표적인 천문대로는 신라의 첨성대, 고구려의 첨성대와 백제의 점성대를 들 수 있다. 이 중 고구려의 첨성대는 그 터가 발굴되었다는 보도가 있으며[2], 백제의 점성대(占星臺)는 기록만 남아 있다.

3. 2. 중국 천문학의 영향

한국의 역대 왕조는 하늘의 현상을 국가와 왕의 안위를 예측하는 점성술적인 것으로 보았으며, 특히 ·월식의 예언은 국가적 권위를 백성들에게 과시하는 결과가 되었다. 이러한 하늘의 현상에 대한 민감성은 천문학을 발전시키는 주요 원인이 되었다. 기원전 108년 한사군 설치 이후 중국 한대문화(漢代文化)가 유입되면서 중국의 우주관인 개천설(蓋天說)과 혼천설(渾天說)이 들어와 4·5세기경에는 고구려, 백제, 신라의 천문학 속에 토착화되었다. 그것은 먼저 고구려, 다음에는 백제신라에서 그 영향이 발견된다. 고구려의 여러 고분(古墳)에 그려진 일월성신도(日月星辰圖)와 그 구조의 특징에서, 특히 백제와 신라의 천문대에서 제1차적 개천설, 즉 천원지방(天圓地方)의 사상적 상징을 찾을 수 있다.[1]

3. 3. 천문대

한국의 역대 왕조는 하늘의 현상을 국가와 왕의 안위를 예측하는 점성술적인 것으로 보았으며, 특히 ·월식의 예언은 국가적 권위를 백성들에게 과시하는 결과가 되었다. 이러한 하늘의 현상에 대한 민감성은 천문학을 발전시키는 주요 원인이 되었다. 기원전 108년 한사군 설치 이후 중국 한대(漢代) 문화가 유입되면서 중국의 우주관인 개천설(蓋天說)과 혼천설(渾天說)이 들어와 4·5세기경에는 삼국의 천문학 속에 토착화되었다. 고구려의 여러 고분(古墳)에 그려진 일월성신도(日月星辰圖)와 그 구조의 특징에서, 특히 백제신라천문대에서 제1차적 개천설, 즉 하늘은 둥글고 땅은 네모졌다(천원지방, 天圓地方)는 사상적 상징을 찾을 수 있다.[1]

대표적인 천문대로는 신라의 첨성대, 고구려의 첨성대와 백제의 점성대를 들 수 있다. 이 중 고구려의 첨성대는 그 터가 발굴되었다는 보도가 있으며[2], 백제의 점성대(占星臺)는 기록만 남아 있다.

4. 고려시대

고려시대에는 천문학, 특히 천체 관측 기술이 발달하였다. 고려의 천체 관측 기록은 독자적이면서도 정확하다고 알려져 있다.[3] 첨성대가 개성 만월대 서쪽에 세워졌다.

4. 1. 천체 관측 기술의 발전

천문학에서는 천체 관측이 특히 발달하였으며, 그 관측 기록은 독자적이고 정확한 것으로 정평이 있다.[3]

개성 첨성대가 현재까지 보존되어 있다.

4. 2. 개성 첨성대

개성 만월대 서쪽에 개성 첨성대가 보존되어 있다.[3]

5. 조선시대

조선의 천문학은 고려의 제도를 계승하여 서운관(書雲觀)을 두고 천체관측과 기상관측기계 제작 및 시설 정비, 관측 제도 완비, 자주적 역법체계(曆法體系) 확립을 위해 노력하였다.[4] 임진왜란 이후에는 조선 사회 내부의 요구와 청나라 문화의 영향으로 효종 대에 시헌력이 시행되었다.[7]

현종 대에는 천문시계가 제작되었고, 숙종 대에는 북극 고도를 새롭게 측정하고 천문도를 다시 새기는 등 새로운 기운이 싹텄다.[7] 1631년(인조 9년) 정두원 일행이 명나라에서 서양 천문학을 접하고, 이후 소현세자김육을 통해 서양 천문학 서적이 전해지면서 브라헤의 지구 중심 우주 구조 체계가 혼천설을 대체하기 시작했다.[8] [9]

임진왜란 이후 청나라시헌력으로 개력(改曆)하자, 조선에서도 김육 등의 노력으로 효종 4년(1653)에 시헌력을 시행하기로 결정하였다.[7] 이후 영조, 정조 대를 거치며 시헌역법을 기반으로 한 역서들이 간행되었고, 남병길은 《시헌기요》를 저술하여 철종 11년(1866)에 간행하였다.[10] 고종 31년(1894년)에는 서양의 태양력을 공식적으로 시행하였으나, 실생활에서는 시헌력이 계속 사용되었다.[10]

조선 전후기를 통틀어 일식 관측 기사는 《증보문헌비고》 〈상위고(象緯考)〉에 총 190회가 기록되어 있으며, 《조선왕조실록》에는 당시 관측 규정에 따라 식(蝕)의 시각과 시간, 방향, 정도 등을 관측하고 그림으로 나타낸 기록이 남아있다.[11] 혜성 관측 기록은 모두 103회이며, 이 밖에도 태양흑점, 유성, 성운유성우 등의 관측 기록이 수백 회 남아 있다.[11]

5. 1. 조선 전기

세종 대에는 천문학 발전의 기틀이 마련되고 자주적 역법 체계가 확립되었다. 세종 15년(1433년) 혼천의를 완성하고 간의대와 간의를 설치하여 천문 관측 기술을 발전시켰다. 또한 앙부일구, 자격루와 같은 시계들이 제작되었고, 역서인 《칠정산내외편(七政算內外篇)》 편찬을 통해 조선의 역법이 정비되었다. 그러나 우주론은 여전히 중국 고대의 혼천설에서 벗어나지 못했다.[5]

조선은 고려의 대통력을 사용했으나, 일식월식, 다섯 행성의 운행 계산법은 곽수경의 수시력 이후 알지 못하여 세종 때까지 역서에 포함시키지 못했다. 세종은 이를 보완하고, 연경 중심의 역서에서 발생하는 오차를 바로잡기 위해 정인지, 정초, 김담, 이순지 등에게 《칠정산내외편(七政算內外篇)》을 편찬하도록 명하였다.[6]

《칠정산내외편》 완성 이후 대통력은 '중국력', 《칠정산내편》은 '본국력'으로 불리며 조선은 독자적인 역법 체계를 갖추게 되었다. 연산군 대에는 한글 역서 간행이 계획되는 등 역서 보급이 확대되었으나, 성종 이후 조선의 천문학과 수학은 쇠퇴하기 시작하여 선조임진왜란을 거치며 더욱 침체되어 독자적 역법 계산이 어려워졌다.[6]

5. 1. 1. 천문 관측 기구

세종 15년(1433년)에는 천문관측 의상(儀象)인 혼천의가 완성되었고, 간의대와 간의(簡儀)가 설치되어 조선 천문학 발전의 기틀이 확립되었다. 이어서 해시계인 앙부일구물시계자격루가 만들어졌고, 자주적 역법(曆法) 확립을 위해 역서인 《칠정산내외편(七政算內外篇)》이 간행되어 조선의 역법이 완전히 정비되었다. 그러나 우주의 본질과 체계에 관한 이론은 중국 고대의 혼천설(渾天說)에서 벗어나지 못했다.[5]

5. 1. 2. 역법

세종고려에 이어 대통력(大統曆)을 썼지만, 일식월식, 그리고 다섯 행성의 움직임은 곽수경의 수시력 시행 이후 그 계산법을 알지 못해 세종 때까지 조선의 역서(曆書)에는 이러한 내용을 싣지 못했다. 세종은 이를 보완하기 위해 세종 15년(1433년) 정인지, 정초, 김담, 이순지 등에게 그동안 연경(燕京)을 기준으로 계산한 역서에서 발생한 오차를 바로잡기 위해 《칠정산내외편(七政算內外篇)》을 편찬하도록 하였다.[6]

《칠정산내외편》의 완성으로 조선의 역법은 완전히 정비되어, 이때부터 대통력을 ‘중국력’이라 하고 《칠정산내편》은 본국력(本國曆)이라 불렀다. 이로써 조선은 오랫동안 중국 역법에 의존하던 것에서 벗어나 어느 정도 독자적인 역법을 만들어 낼 수 있게 되었다. 연산군 10년(1504년) 12월에는 처음으로 한글로 된 역서 간행을 계획하여 번역을 하게 하는 등 역서 보급이 일반화되어 갔다. 그러나 성종 때 이후 차츰 침체하기 시작한 조선의 천문학과 수학은 선조임진왜란을 겪으면서 더욱 급격히 쇠퇴하여 독자적인 역법 계산이 점점 어려워지게 되었다.[6]

5. 2. 조선 후기

임진왜란 이후 침체되었던 조선 사회의 내면적 요구와, 절정기에 들어선 청나라 문화의 외부적인 자극과 영향으로 효종 대에 시헌력이 시행되었다. 현종 대에는 천문시계가 제작되었고, 숙종 대에는 북극 고도를 새롭게 측정하고 천문도를 다시 새기는 등 새로운 기운이 싹트기 시작하였다.[7]

5. 2. 1. 서양 천문학의 도입

1631년(인조 9년) 7월, 정두원 일행이 명나라에서 육약한에게 서양 천문학의 추산법을 배우고 돌아올 때 가져온 양마낙의 《천문략》을 통해 서양 천문학이 조선에 처음 전해졌다. 그 후, 1645년(인조 23년) 소현세자가 청나라에서 돌아올 때 가져온 탕약망이 번역한 서양 천문학 서적과, 다음 해에 김육이 가져온 탕약망의 천문역학서를 통해 서양 천문학은 거의 완전하게 조선 천문학자들에게 전해져 수용되었다.[8]

이로 인해 브라헤의 지구 중심 우주 구조 체계는 1653년(효종 4년) 시헌력이 조선에 시행될 때를 즈음하여, 그 때까지의 전통적 우주관이었던 혼천설을 대체하기 시작했다. 18세기 초(영조 대)까지는 조선의 공인된 우주관으로 확정되어, 《문헌비고》 〈상위고〉에는 마테오 리치의 '12중천설'을 정설로 기술하기에 이르렀다.[9]

5. 2. 2. 역법

임진왜란 이후 청나라가 1636년에 시헌력으로 개력(改曆)하자, 조선에서도 김육, 김상원 등의 노력으로 효종 4년(1653)에 시헌력을 그 다음 해부터 시행하기로 결정하였다.[7] 영조 48년(1772)에는 칠정백중력(七政百中曆)을 시헌역법으로 편성하여 《시헌칠정백중력》을 간행하여 사용하였는데, 정조 5년(1781년)에 이 책의 사용이 끝나게 되자 정조 4년(1780)에는 백중력(百中曆)을 만들어 대통역법과 시헌역법을 함께 실어 간행하고, 이를 바탕으로 정조 6년(1782)에는 《천세력》을 간행하였다.[10] 남병길은 천문역법을 배우는 학생들이 가장 어려워하는 시헌역법의 산법(算法)을 가르치기 위한 교과서로 《시헌기요》 2권 2책을 저술하여 철종 11년(1866)에 간행하였다.[10] 고종 31년(1894년) 11월에는 서양의 태양력을 쓰되 시헌력을 참용(參用)하기로 결정하고 공식적으로는 태양력을 시행하였으나, 절후(節侯)와 기진(忌辰)·생일(生日) 등의 행사에는 모두 시헌력을 그대로 썼다.[10] 광무 8년(1904년) 《천세력》을 개정하여 《만세력》으로 하고 널리 간행하였다.[10]

5. 2. 3. 천체 관측

조선 전후기를 통틀어 일식 관측 기사는 《증보문헌비고》 〈상위고(象緯考)〉에 총 190회가 기록되어 있다. 《조선왕조실록》에 기록된 일월식 기사를 보면, 당시 관측 규정은 《서운관지》의 일월식 관측 규정대로 식(蝕)의 시각과 시간, 방향, 정도 등을 관측하고 그림으로 나타냈다.[11] 혜성 관측 기록은 모두 103회이다. 이 밖에도 태양흑점, 유성, 성운유성우 등의 관측 기록이 수백 회 남아 있다.[11]

참조

[1] 문서 삼국시대의 천문학 글로벌 세계 대백과
[2] 뉴스 北 “평양서 고구려 첨성대터 발굴” http://news.donga.co[...] 동아일보 2011-10-12
[3] 문서 고려시대의 과학기술 글로벌 세계 대백과
[4] 문서 조선 전기의 천문학 글로벌 세계 대백과
[5] 문서 조선 전기의 천문학 글로벌 세계 대백과
[6] 문서 조선전기의 역법 글로벌 세계 대백과
[7] 문서 조선후기의 과학기술 글로벌 세계 대백과
[8] 서적 숭정역서(崇禎曆書) 글로벌 세계 대백과
[9] 문서 서양천문학의 도입 글로벌 세계 대백과
[10] 문서 조선후기의 역법 글로벌 세계 대백과
[11] 문서 조선의 천체관측 글로벌 세계 대백과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