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적의 황금시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해적의 황금 시대는 17세기 중반부터 18세기 초까지 대서양과 카리브해를 중심으로 해적 활동이 번성했던 시기를 일컫는 용어이다. 이 용어는 1894년 조지 파웰에 의해 처음 사용되었으며, 19세기 말 존 피스크에 의해 체계적으로 정의되었다. 이 시기는 유럽 열강 간의 무역 및 식민지 쟁탈전으로 인해 해적 활동이 증가했으며, 버커니어 시대, 해적 순항 시대, 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 이후 시대로 구분된다. 주요 해적으로는 헨리 모건, 헨리 에버리, 윌리엄 키드, 에드워드 티치 등이 있으며, 18세기 초 유럽 국가들의 해군력 강화와 해적 소탕으로 인해 점차 쇠퇴했다. 해적의 황금 시대는 대중 문화에 큰 영향을 미쳐 해적을 낭만적인 모험가로 묘사하는 경향을 낳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서양의 해상강도 - 바솔로뮤 로버츠
18세기 초 대서양과 카리브해에서 활동한 웨일스 출신의 해적 바솔로뮤 로버츠는 엄격한 해적 규약과 다양한 해적기 사용으로 유명하며, 그의 삶은 여러 대중문화 작품에 영감을 주었다. - 대서양의 해상강도 - 세코눙그
세코눙그는 란드베르, 라크니, 레이프니르 등 다양한 이름을 포함하는 이름 목록이다. - 18세기 - 18세기의 유럽 문화
18세기의 유럽 문화는 이성의 시대를 바탕으로 의회제 민주주의가 확립되고 세속주의가 발전했으며, 계몽주의 사상과 경험론, 비판 철학이 발달하고 로코코 양식의 예술과 과학 분야의 혁신적인 발전을 이룬 시기이다. - 18세기 - 문필공화국
18세기 유럽과 아메리카 지식인들이 학술지, 편지, 살롱 등으로 지식과 사상을 교류하며 지적 투명성과 세속화를 특징으로 한 문화적 현상이 문필공화국이다. - 카리브해의 해상강도 - 바솔로뮤 로버츠
18세기 초 대서양과 카리브해에서 활동한 웨일스 출신의 해적 바솔로뮤 로버츠는 엄격한 해적 규약과 다양한 해적기 사용으로 유명하며, 그의 삶은 여러 대중문화 작품에 영감을 주었다. - 카리브해의 해상강도 - 나소
나소는 바하마의 수도이자 최대 도시로서 뉴프로비던스 섬에 위치하며, 열대 몬순 기후와 복잡한 해안선을 가진 정치, 경제, 관광의 중심지이자 다양한 국적의 주민이 거주하는 다문화 도시다.
해적의 황금시대 | |
---|---|
개요 | |
![]() | |
위치 | 북대서양 인도양 태평양 |
시작 | 1650년대 |
종료 | 1730년대 |
주요 사건 | |
전투 및 사건 | 니카라과 호수 포르토 벨로 마라카이보 호수 파나마 만다브 해협 체포 해적 공화국 찰스 타운 케이프 피어 강 윌리엄호 나포 로페즈 곶 팬시호 나포 |
2. 용어의 역사
"해적의 황금 시대"라는 용어는 후대에 만들어진 말로, 1894년에 처음 문헌에 등장했다. 이 시기를 정의하는 범위는 학자마다 차이가 있지만, 넓게는 1650년경부터 1730년경까지를 가리킨다. 이 넓은 의미의 황금 시대는 보통 세 시기로 나뉜다.
- '''버커니어 시대''' (1650년 - 1680년경): 영국인과 프랑스인 선원들이 자메이카, 토르투가 섬을 거점으로 카리브해와 동태평양에서 스페인 식민지를 공격하던 시기.
- '''해적 순항 시대''' (1690년대): 북아메리카 등지에서 출발해 인도양과 홍해의 상선들을 습격하던 시기.
- '''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 이후 시대''' (1716년 - 1726년): 전쟁 후 일자리를 잃은 뱃사람과 사략선원들이 해적으로 변해 활동하던 시기.
좁은 의미로는 마지막 시기, 즉 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 이후 시대(1716년-1726년)만을 '해적의 황금 시대'로 보기도 한다. 현대 대중문화에서 접하는 해적의 이미지는, 비록 부정확한 부분도 있지만, 상당 부분 이 '황금 시대'에 그 기원을 두고 있다.
이 시대에 해적 행위가 성행했던 배경에는 여러 요인이 있다. 각 해역에서 유럽으로 운송되는 고가 화물의 양이 늘어났고, 일부 지역에서는 유럽 국가들의 해군력이 약화되었다. 또한, 많은 뱃사람들이 영국 해군 등에서 항해 및 전투 경험을 쌓았으며, 해외 식민지의 통치력이 미흡했던 점도 해적 활동을 부추겼다. 이 시기 식민지 군대는 해적들과 끊임없이 충돌했으며, 이는 여러 유명한 전투와 사건으로 기록되었다.
2. 1. 용어의 기원

"해적의 황금 시대"라는 용어는 후대에 만들어진 말로, 당시에 사용된 기록은 없다.[56] 이 용어가 처음 문헌에 등장한 것은 1894년으로, 영국의 저널리스트 조지 파웰(George Powell)이 "17세기 마지막 10년까지 이어진 해적 행위의 황금 시대와 같은 것"이라고 언급한 것이 시초이다.[1][57] 파웰은 찰스 레슬리(Charles Leslie)가 150여 년 전에 쓴 『자메이카의 새롭고 정확한 역사』(A New and Exact History of Jamaica)를 서평하면서 이 표현을 단 한 번 사용했으며, 이는 주로 1660년대의 사건들을 지칭하는 것으로 보인다.
1897년, 역사가 존 피스크(John Fiske)는 "해적의 황금 시대"라는 용어를 더 체계적으로 사용하기 시작했다. 그는 "세계 역사상 17세기와 18세기 초만큼 해적 행위가 성행했던 시기는 없었다. 그 황금기는 대략 1650년경부터 1720년경까지 이어졌다고 볼 수 있다"고 기술했다.[2][58] 피스크는 이 시기에 바르바리 해적이나 동아시아 해적들의 활동도 포함시켰지만, "이슬람 해적이나 동아시아 해적들이 17세기에 다른 어느 시대보다 활발히 활동했다고 해서, 버커니어 시대가 해적의 황금 시대였다는 나의 주장이 약화되는 것은 아니다"라고 덧붙이며 카리브해의 버커니어 시대를 중심에 두었다.[3][59]
20세기 전반의 해적 역사가들은 피스크가 사용한 "황금 시대"라는 용어를 받아들였지만, 그가 제시한 시작과 끝나는 연도를 반드시 따르지는 않았다.[4][60] 해적 시대에 대한 가장 넓은 정의는 1951년 패트릭 프링글(Patrick Pringle)이 제시한 것으로, 그는 "해적 역사상 가장 번성했던 시기는 [...] 엘리자베스 1세 여왕 시대에 시작되어 1820년대에 끝났다"고 주장했다.[5][61] 이는 프랜시스 드레이크와 같은 엘리자베스 시대 인물들을 해적으로 보는 것을 강하게 부정했던 피스크의 관점과는 정면으로 배치되는 것이었다.[6][62]
그러나 프링글의 정의는 20세기 후반으로 갈수록 황금기를 더 좁게 정의하려는 전반적인 경향 속에서 예외적인 경우로 여겨진다.[7] 1924년 필립 고스(Philip Gosse)는 해적 행위가 "1680년부터 1730년까지" 절정에 달했다고 보았다. 1978년 더글러스 보팅(Douglas Botting)은 그의 유명한 저서 『해적』(타임라이프사 ''The Seafarers'' 시리즈 중 하나)에서 황금기를 "17세기 말에 시작하여 18세기 첫 4반세기가 끝날 무렵까지 이어진, 겨우 30년"으로 정의했다.[8][63] 프랭크 셰리(Frank Sherry)는 1986년에 보팅의 정의를 거의 그대로 따랐다.[9][64] 1989년 학술 논문에서 마커스 레디커(Marcus Rediker) 교수는 황금기가 1716년부터 1726년까지의 짧은 기간이라고 주장했다.[10][65] 앵거스 콘스탐(Angus Konstam)은 1998년에 이 시기를 1700년부터 1730년까지로 보았다.[11][66]
황금기를 가장 짧게 정의한 것은 콘스탐 자신으로, 2005년 저서 『해적의 역사』(The History of Pirates)에서 이전의 견해를 수정했다. 그는 1690년대부터 1730년대까지를 황금기로 보는 것조차 "관대한(generous)" 정의라고 평가하며, "이 해적들의 최악의 만행은 1714년부터 1722년까지의 8년 동안에 국한되었으므로, 진정한 황금 시대는 '황금의 10년(Golden Decade)'이라고 부르기에도 부족하다"고 결론지었다.[12][67]
2. 2. 다양한 정의
"해적의 황금 시대"라는 용어는 1894년에 처음 사용된, 후대의 명칭이다. 이 시기를 정의하는 범위는 학자마다 다양하며, 크게 넓게 보는 입장과 좁게 보는 입장으로 나뉜다.20세기 전반의 역사학자들은 해적의 황금 시대를 비교적 넓게 정의하는 경향이 있었으나, 1909년부터 1990년대까지는 점차 그 기간을 좁게 보려는 추세가 나타났다.[7] 하지만 이러한 경향 속에서도 예외는 있었다.
넓게 정의하는 대표적인 학자로는 데이비드 코딩리(David Cordingly)가 있다. 그는 1994년 저서 ''검은 깃발 아래에서''를 통해 황금 시대를 1650년대부터 1725년경까지로 보았는데, 이는 초기의 피스크(Fiske)가 제시한 정의와 유사하다.[13]
마커스 레디커(Marcus Rediker)는 2004년에 황금 시대를 "대략 1650년부터 1730년까지"로 정의하며, 이를 세 시기로 나누어 설명했다.[14] 이는 현재까지 제시된 정의 중 가장 복잡하고 세분화된 것으로 평가받는다. 레디커가 구분한 세 시대는 다음과 같다.
# '''버커니어 시대''' (1650년 - 1680년경): 영국인과 프랑스인 선원들이 자메이카와 토르투가 섬을 거점으로 삼아 카리브해와 동태평양을 항해하며 스페인 식민지를 공격하던 시기이다.
# '''해적 순항 시대''' (Pirate Round, 1690년대): 버뮤다와 북아메리카 등지에서 출발하여 인도양과 홍해까지 장거리 항해를 하며 무슬림 상선이나 동인도 회사 소속 선박을 습격하던 시기이다.
# '''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 이후 시대''' (1716년 - 1726년): 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이 끝나면서 일자리를 잃은 영국과 미국의 뱃사람 및 사략선원들이 해적으로 전향하여 카리브해, 북미 동부 해안, 서아프리카 해안 등지에서 활동하던 시기이다.
한편, 황금 시대를 더 짧은 기간으로 보는 학자들도 많다. 1924년 필립 고스(Philip Gosse)는 해적 활동이 "1680년부터 1730년까지" 절정에 달했다고 보았다.[7] 더글러스 보팅(Douglas Botting)은 1978년 저서 ''해적''(The Pirates)에서 황금기를 "17세기 말에 시작하여 18세기 초에 끝나는, 겨우 30년"으로 정의했다.[8][63] 프랭크 셰리(Frank Sherry)는 1986년에 보팅의 정의를 거의 그대로 따랐다.[9][64]
마커스 레디커는 1989년 논문에서는 황금기를 1716년부터 1726년까지의 10년으로 더 좁게 정의하기도 했다.[10][65] 앵거스 콘스탐(Angus Konstam)은 1998년에 이 시기를 1700년부터 1730년까지로 보았다.[11][66] 그러나 콘스탐은 2005년 저서 ''해적의 역사''(The History of Pirates)에서 자신의 이전 정의를 수정하여, 1690-1730년 정의는 "관대한(generous)" 것이며, "이 해적들의 최악의 행위는 1714년부터 1722년까지의 8년 동안으로 제한되었으므로 진정한 황금기는 '황금 십년(Golden Decade)'이라고 부르기도 어렵다"고 결론지으며 가장 짧은 정의를 내놓았다.[12][67]
일반적으로 좁은 의미의 '해적의 황금 시대'는 레디커가 구분한 세 시대 중 마지막 시기, 즉 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 이후 시대(1716년-1726년)만을 가리키는 경우가 많다. 현대인들이 가지고 있는 해적에 대한 이미지의 상당 부분은, 비록 부정확한 묘사도 많지만, 바로 이 '황금 시대'에 기원을 두고 있다.
3. 해적 황금 시대의 배경
해적 행위는 당시 영국, 스페인, 네덜란드, 포르투갈, 프랑스와 같은 유럽 강대국들 사이의 무역 및 식민지 지배를 둘러싼 경쟁과 갈등 속에서 발생했으며, 이는 강대국 간 분쟁의 축소판과 같은 성격을 지녔다. 이 시대 해적의 대부분은 웨일스, 잉글랜드, 네덜란드, 아일랜드, 프랑스 출신이었다. 많은 해적들은 돈을 벌고 고단한 삶에서 벗어나기 위해 가난한 도시 지역에서 왔다. 특히 런던은 높은 실업률, 혼잡한 환경, 만연한 빈곤으로 악명이 높았는데, 이러한 사회적 배경이 사람들을 해적의 길로 내몰기도 했다. 해적 행위는 또한 빠른 시간 안에 부와 권력을 얻을 수 있는 수단으로 여겨졌다.
4. 해적 황금 시대의 세 시기
해적 행위는 당시 영국, 스페인, 네덜란드, 포르투갈, 프랑스 등 경쟁 관계에 있던 유럽 열강들 사이의 무역 및 식민지 지배 경쟁 과정에서 발생했으며, 이러한 갈등을 소규모로 반영하는 양상을 보였다. 이 시대의 해적들 대부분은 웨일스, 잉글랜드, 네덜란드, 아일랜드, 프랑스 출신이었다. 많은 이들이 돈을 벌고 고된 삶에서 벗어나기 위해 빈곤한 도시 지역에서 해적의 길을 택했다. 특히 당시 런던은 높은 실업률과 혼잡, 빈곤으로 악명 높았는데, 이러한 환경이 사람들을 바다로 내몰아 해적 행위에 가담하게 만드는 요인이 되기도 했다. 해적 행위는 또한 빠른 시간 안에 부와 권력을 얻을 수 있는 수단으로 여겨졌다.
4. 1. 버커니어 시대 (1650년 ~ 1680년경)
일부 역사학자들은 종교 전쟁이 끝나 유럽 국가들이 식민지 개발을 재개하고 해상 무역이 활발해진 1650년경을 버커니어 시대의 시작으로 본다. 이 시기 신대륙의 식민지에서는 막대한 부가 창출되었고, 그 대부분은 선박으로 운반되었다.버커니어(buccaneer영어)는 카리브해를 중심으로 스페인 식민지와 상선을 공격한 해적 집단을 가리킨다. 이 용어는 원래 이스파니올라 섬 북부(현재의 아이티)에서 야생 소와 돼지를 사냥하여 훈제 고기('부칸', boucan프랑스어)를 만들던 프랑스계 사냥꾼들에서 유래했다.[39] 이들은 스스로를 "해안의 형제들"(Frères de la Côte|프레르 드 라 코트프랑스어)이라고 칭하기도 했다. 1625년경부터 이스파니올라 섬에 정착했던 이들 사냥꾼들은, 스페인 당국이 버커니어와 그들의 사냥감을 모두 소탕하려 하자 점차 전업 해적으로 변모했다. 이들은 스페인의 공격을 피해 더 방어하기 쉬운 외딴 섬인 토르투가 섬으로 거점을 옮겼으나,[40] 그곳은 자원이 부족했다. 생계 유지와 스페인에 대한 복수를 위해 버커니어들은 스페인 선박에 대한 약탈을 본격화했다. 버커니어 출신이자 역사가인 알렉상드르 엑스케멜랭에 따르면, 피에르 르 그랑은 스페인으로 돌아가는 갤리온을 공격한 초기 버커니어 중 한 명이었다.
1655년 영국이 스페인으로부터 자메이카를 점령하면서 버커니어 활동은 더욱 활발해졌다. 자메이카의 초기 영국 총독들은 토르투가의 버커니어들과 자국민들에게 기꺼이 사략 면허를 발급해주었다. 자메이카의 포트 로열은 버커니어들이 전리품을 판매하고 술집과 매춘 업소 등에서 유흥을 즐길 수 있는 주요 거점으로 빠르게 성장했다.[42] 1660년대에는 토르투가의 새로운 프랑스 총독 베르트랑 도게론 역시 프랑스인 식민자와 포트 로열의 영국인들에게 유사한 사략 면허를 발급해주었다.[41] 이러한 상황 속에서 카리브해의 버커니어 활동은 절정에 달했다. 이 시대에 활동한 유명한 버커니어로는 1666년 마라카이보를 잔혹하게 약탈한 프랑수아 로로네[43], 그리고 1671년 파나마를 약탈하여 막대한 부를 얻고 후에 자메이카 부총독까지 오른 헨리 모건 등이 있다. 헨리 모건의 파나마 원정은 버커니어 시대의 정점을 상징하는 사건으로 평가받는다.
4. 2. 해적 순항 시대 (1690년대)

1690년대가 시작되면서, 버커니어 시대의 종말을 맞이한 영국과 미국 출신 해적들 다수는 새로운 부를 찾아 카리브해 밖으로 눈을 돌리기 시작했다. 버커니어 시대가 저문 데에는 여러 이유가 있었다. 영국에서 스튜어트 왕조가 몰락하면서 오랜 영국-프랑스 간의 경쟁 관계가 다시 불붙었고, 이는 영국령 자메이카와 프랑스령 토르투가의 협력 관계를 무너뜨렸다. 또한 1692년 지진으로 해적들의 주요 근거지였던 포트 로열이 파괴되면서 약탈품을 거래할 시장을 잃었고[44], 카리브해 식민지 총독들이 기존의 "토르데시야스 조약 경계선 너머에서는 평화가 없다(No peace beyond the Line)"는 정책을 점차 폐기한 것도 영향을 미쳤다. 이 정책 하에서는 유럽 본국 간 평화 조약과 상관없이 신대륙에서는 전쟁 상태가 지속될 수 있다고 여겨졌으나, 이후 사략 면허 발급이 유럽에서의 전쟁 기간으로 제한되는 등 규제가 강화되었다. 더불어, 스페인령 주요 도시들이 반복된 약탈로 인해 고갈된 점도 큰 이유였다. 예를 들어, 마라카이보는 1667년부터 1678년 사이에 세 번, 리오아차는 다섯 번, 톨루는 여덟 번이나 약탈당했다[45][46]。
한편, 영국 본국이 여러 차례 항해법을 제정하면서 버뮤다, 뉴욕, 로드아일랜드 등 영국의 식민지들은 심각한 자금 부족에 시달렸다. 재화가 부족해진 상인들과 총독들은 해적 행위를 눈감아 주거나 심지어 이들의 항해에 자금을 대주기도 했다. 한 식민지 관리는 "영토 안으로 금을 가져오는 자들의 목에 밧줄을 거는 것은 잔인한 일"이라며 해적들을 옹호하기도 했다[47]。
이 시기 해적들 중 일부는 뉴잉글랜드나 중부 식민지(뉴욕, 뉴저지, 펜실베이니아, 델라웨어)에서 출발하여 멀리 스페인의 태평양 식민지를 노리기도 했지만, 대다수는 인도양에서 새로운 먹잇감을 찾았다. 당시 인도는 유럽보다 훨씬 높은 생산력을 가지고 있었으며, 특히 비단이나 캘리코 같은 고가품들이 많아 해적들에게 이상적인 약탈 대상이었다[48]。게다가 인도양에는 강력한 해군력이 존재하지 않아 무굴 제국의 선박이나 각국 동인도 회사의 상선들은 해적의 습격에 매우 취약했다. 아프리카 동쪽 해안의 마다가스카르 섬은 과거 카리브해의 토르투가처럼 해적들의 중요한 근거지 역할을 했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토머스 튜, 헨리 에이버리, Robert Culliford|로버트 컬리포드영어, 윌리엄 키드와 같은 유명 해적들이 활동했다. 하지만 1697년 프랑스군과 버커니어 연합군이 카르타헤나를 점령한 사건을 마지막으로, 버커니어 시대부터 이어져 온 해적 활동은 점차 쇠퇴의 길을 걷게 되었다[49]。
4. 3. 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 이후 시대 (1716년 ~ 1726년)
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신대륙에서는 앤 여왕 전쟁)은 1713년부터 1714년에 걸쳐 평화 조약이 체결되면서 종결되었다. 이로 인해 영국의 사략선원들은 군무에서 해제되어 일자리를 잃게 되었다. 결과적으로, 본국과 식민지 간 교역이 다시 활발해지기 시작한 대서양에는 수천 명의 훈련된 선원들이 일자리를 잃고 내몰렸다. 또한, 유럽 각국에서 직업을 잃고 선원이나 병사가 되어 노예 거래에 가담했던 이들도 해적이 되는 경우가 많았으며, 이들은 서아프리카 해역이나 연안에서 활동하는 해적 선장들에게 새로운 인력을 공급했다.1715년, 플로리다 근해에서 침몰선의 은을 회수하려던 스페인 잠수부들이 해적들에게 대규모 습격을 당했다. 이 습격에는 전직 사략선원이었던 영국인들이 다수 포함되어 있었는데, 헨리 제닝스, 찰스 베인, 새뮤얼 벨라미, 에드워드 잉글랜드 등이 여기에 속했으며, 이들은 이후 악명을 떨치게 된다. 공격은 성공했지만, 자메이카 총독은 이들의 상륙을 거부했다. 이에 따라 이들은 전시 중에 버려졌던 뉴프로비던스 섬의 나소 (현재 바하마의 수도)에 새로운 해적 기지를 건설했다. 나소는 이후 3년간 전 사략선 선장 우즈 로저스가 총독으로 부임하기 전까지 많은 신참 해적들의 거점이 되었다.
이 시기 해적들의 주요 표적은 아프리카, 카리브해, 유럽 사이를 오가며 급증한 해운 거래, 이른바 삼각 무역에 종사하는 상선들이었다. 삼각 무역은 유럽에서 공업품이나 무기를 싣고 아프리카 연안으로 가 노예와 교환한 뒤, 카리브해에서 노예를 팔고 설탕, 담배, 카카오 등을 싣고 유럽으로 돌아가는 경로였다. 또 다른 형태의 삼각 무역(설탕 무역)은 뉴잉글랜드의 농산물이나 보존식품인 대구를 카리브해로 운반하여 설탕이나 당밀과 교환하고, 이를 영국으로 가져가 공업 제품이나 럼주와 교환한 뒤 뉴잉글랜드로 돌아가는 방식이었다. 두 무역 모두 각 지점을 거칠 때마다 이익이 발생했다.[50][51]
전쟁 결과 영국은 아시엔토 (스페인 식민지에 노예를 공급할 권리)를 획득했다. 이는 이전까지 닫혀 있던 신대륙의 스페인 시장에 영국 상선과 밀수선의 진출을 가능하게 했으며,[52] 서대서양 해적 행위 확산에도 영향을 미쳤다. 전쟁 후 넘쳐나는 실업 해병들은 식민지 교역 확대를 부추겼고, 선주들은 노동력 과잉을 이유로 선원 임금을 삭감하고 가능한 한 절약하여 이익을 극대화하려고 했다. 이로 인해 선상 환경은 매우 열악해졌고, 승무원은 운반되는 노예 못지않게 비인간적인 대우를 받았다고 한다. 이러한 가혹한 환경은 많은 선원들이 상대적으로 자유로운 해적 생활을 선택하게 만들었다.
1719년부터 1721년 사이에는 에드워드 잉글랜드, 존 테일러, 올리비에 르바쇠르, 크리스토퍼 콘덴트 등이 마다가스카르를 거점으로 활동했다. 특히 테일러와 르바쇠르는 1721년 레위니옹에서 포르투갈 동인도 회사 소속 선박인 Nossa Senhora do Cabo|노사 세뇨라 도 카보pt를 약탈하여 당시 가치로 총 80만파운드 상당의 다이아몬드와 기타 보물을 획득하며 해적의 황금 시대 역사상 가장 큰 전리품 중 하나를 기록했다. 콘덴트 역시 성공적인 해적이었으나, 잉글랜드는 1721년 테일러와 르바쇠르에 의해 코모로 제도에 버려진 뒤 곧 사망했다.

이러한 성공에도 불구하고 해적 활동은 점차 쇠퇴하기 시작했다. 악명 높았던 "검은 수염" 에드워드 티치는 로버트 메이너드 중위가 이끄는 해군 함대와의 전투 끝에 사망했다. 그는 사망 당시 20번의 자상과 5번의 총상을 입었다고 전해진다.
5. 주요 해적
역사적 전설 속에 잘 알려진 해적들 중 상당수가 이 해적의 황금기 출신이다. 이 시기 해적들의 삶과 활동은 알렉상드르 엑스케멜랭의 『아메리카의 버커니어』나 캡틴 찰스 존슨의 『악명 높은 해적들의 강탈과 살인의 역사』(통칭 『해적사』)와 같은 기록을 통해 전해진다.
- '''헨리 모건''' - 버커니어 시대를 대표하는 인물 중 하나로, 스페인령 파나마 시티를 함락시키고 약탈한 것으로 유명하다. 이후 영국 본국으로 소환되었으나 처벌 대신 기사 작위를 받고 자메이카 부총독에 임명되었다. 해적 출신으로는 드물게 1688년 자연사했다.
- '''헨리 에버리''' - 체포되거나 전투에서 사망하지 않고 막대한 전리품과 함께 은퇴한 몇 안 되는 주요 해적 선장 중 한 명이다. 특히 1695년, 엄청난 보물을 실은 무굴 제국의 선박 ''간지-이-사와이''를 나포한 사건으로 유명하다.
- '''윌리엄 키드''' - 통칭 '''캡틴 키드'''로 더 잘 알려져 있다. 원래는 사략선 선장이었으나 해적 행위 혐의로 1701년 런던의 해적 처형장에서 처형되었다. 그의 유죄 여부에 대해서는 오늘날까지도 논란이 있으며, 그가 숨겼다는 소위 "캡틴 키드의 보물" 전설로 유명하다.
- '''새뮤얼 벨라미''' - 통칭 '''"블랙 샘" 벨라미'''. 해적선 와이다 갤리 호의 선장이었으며, 스스로를 "해적의 로빈 후드"라 칭하며 자신의 해적 행위를 정당화했다고 전해진다. 1717년 케이프 코드 근해에서 폭풍우를 만나 사망했다.
- '''스티드 보넷''' - 바베이도스의 부유한 지주 출신이었으나, 안정된 삶을 버리고 모험을 찾아 해적이 된 독특한 이력의 소유자다. 10문의 슬루프선 '리벤지' 호를 지휘하며 1717년 버지니아 해안에서 활동했다. 그러나 결국 체포되어 1718년 교수형에 처해졌다.
- '''"검은 수염" 에드워드 티치''' (또는 태치) - 1716년부터 1718년까지 활동했으며, 아마도 역사상 가장 악명 높은 해적일 것이다. 그의 위협적인 외모와 잔혹함에 대한 소문으로 공포의 대상이 되었다. 그의 기함은 앤 여왕 전쟁의 이름을 딴 앤 여왕의 복수호였다. 1718년, 버지니아 식민지 총독의 명령을 받은 로버트 메이너드 중위가 이끄는 영국 해군과의 전투 끝에 살해되었다. 전해지는 바에 따르면 그는 죽기 전 스무 번의 자상과 다섯 발의 총상을 입었다고 한다.
- '''찰스 베인''' - 매우 폭력적이고 비타협적인 해적으로 알려져 있다. 처음에는 헨리 제닝스 밑에서 활동했으나 이후 독립했다. 잔혹한 성격과 리더십 부족으로 선원들에게 인기가 없었으며, 결국 선상 반란으로 축출된 후 체포되어 1721년 교수형에 처해졌다.
- '''존 래컴''' - 통칭 '''"캘리코 잭"'''. 화려한 옷을 즐겨 입어 이런 별명이 붙었다. 그의 이름은 유명한 여성 해적 앤 보니와 메리 리드와의 관계로 더욱 알려졌다. 1720년 자메이카에서 체포되어 포트 로열 인근에서 교수형에 처해졌고, 그의 시신은 본보기로 시체 효수형에 처해졌다.
- '''앤 보니'''와 '''메리 리드''' - 남장을 하고 존 래컴의 배에 승선하여 활동한 것으로 유명한 여성 해적들이다. 당시로서는 매우 파격적인 존재였으며, 용감하게 싸웠다고 전해진다.
- '''바솔로뮤 로버츠''' - 통칭 '''"블랙 바트"'''. 400척 이상의 선박을 나포한 것으로 추정되며, 역사상 가장 성공적인 서양 해적 중 한 명으로 꼽힌다. 그는 카리브해, 아프리카, 브라질 등 광범위한 지역에서 활동했다. 1722년 아프리카 해안에서 영국 해군과의 전투 중 사망했다.
- '''에드워드 로''' - 1721년부터 1724년까지 활동했으며, 극도의 잔혹함으로 악명이 높았다. 포로들을 살해하기 전에 고문하는 것을 즐겼으며, 귀나 코, 입술 등을 자르는 행위를 서슴지 않았다고 전해진다.[54][55] 그의 활동 범위는 서인도 제도에서 아조레스 제도, 뉴잉글랜드 해안까지 이르렀다.
- '''올리비에 르바쇠르''' - 통칭 '''La Buse|라 부즈fra'''("말똥가리"). 나소를 거점으로 활동했던 주요 프랑스 해적 중 한 명으로, 벤자민 혼리고드, 새뮤얼 벨라미 등과 연관되어 활동했다. 존 테일러와 함께 1721년 레위니옹 섬 근처에서 포르투갈 선박 ''노사 세뇨라 도 카보''를 나포하여 당시 가치로 약 80만 파운드에 달하는 막대한 보물을 손에 넣었다. 이는 해적 역사상 가장 큰 전리품 중 하나로 기록된다.
- '''벤자민 혼리고드''' - 해적 공화국 건설에 기여하고 검은 수염의 멘토 역할을 했던 영국 해적이다. 1718년 우즈 로저스 총독이 제시한 국왕의 사면을 받아들인 후, 오히려 다른 해적들을 소탕하는 해적 사냥꾼으로 활동했다.
- '''윌리엄 플라이''' - 1726년에 처형되었다. 일부 역사가들, 특히 마커스 레디커는 그의 처형을 해적의 황금시대가 실질적으로 막을 내리는 상징적인 사건으로 간주한다.
- '''아마로 파르고''' - 카나리아 제도 출신의 저명한 스페인 사략선으로, 카디스와 카리브해를 잇는 항로에서 활동하며 막대한 부를 축적했다. 그의 삶은 해적 행위, 숨겨진 보물, 로맨스 등 다양한 전설과 낭만적인 이야기로 각색되었다. 산 크리스토발 데 라 라구나에 있는 그의 묘비에는 해골과 엇갈린 뼈 문양이 새겨져 있다.
6. 해적 황금 시대의 종말
18세기 초가 되자 여러 국가에서 사략 활동에 대한 관용이 줄어들었다. 특히 위트레흐트 조약 체결 이후, 일자리를 잃고 넘쳐나는 숙련된 선원들은 해적들에게 양날의 검과 같았다. 처음에는 이 잉여 인력으로 인해 해적의 수가 크게 늘어났고, 이는 자연스럽게 더 많은 선박 약탈로 이어져 유럽 각국의 무역에 큰 부담을 주었다. 이에 대응하여 유럽 국가들은 상선을 보호하고 해적을 소탕하기 위해 해군력을 강화하기 시작했다. 또한, 숙련된 선원이 많다는 것은 국가 차원에서 해군으로 모집할 인력이 풍부하다는 의미이기도 했다.
1718년 후반의 사건들은 신세계 해적 역사의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다. 바하마 나소에 우즈 로저스 총독이 부임하여 해적 소탕에 나섰고, 악명 높은 해적 '검은 수염' 에드워드 티치가 로버트 메이너드 중위가 이끄는 영국 해군과의 격렬한 전투 끝에 사망한 것이 대표적이다. 티치는 사망하기 전 스무 번이나 칼에 찔리고 다섯 발의 총탄을 맞았다고 전해진다. 이러한 강력한 압박 속에서 해적들은 안전한 근거지를 잃고 점차 세력을 잃어갔다. 한때 해적들의 주된 목표였던 스페인 보물선의 매력도 줄어들었고, 사냥꾼이었던 해적들은 점차 사냥감 신세가 되었다. 1719년 초까지 살아남은 해적들은 대부분 도망쳐 서아프리카로 향했으며, 그곳에서 노예선을 장악하며 활동을 이어가려 했다.[35]
물론 일부 해적들은 잠시 활동을 이어가기도 했다. 1719년부터 1721년 사이 에드워드 잉글랜드, 존 테일러, 올리비에 르바쇠르, 크리스토퍼 콘덴트 등은 마다가스카르를 근거지로 활동했다. 특히 테일러와 르바쇠르는 1721년 레위니옹 섬 근처에서 포르투갈 동인도 회사 소속 선박 '노사 세뇨라 도 카보'(Nossa Senhora do Cabopt)를 약탈하여 약 80만파운드 상당의 다이아몬드와 보물을 손에 넣었는데, 이는 해적 황금 시대 역사상 가장 큰 전리품 중 하나로 기록된다. 콘덴트 역시 상당한 성공을 거두었으나, 에드워드 잉글랜드는 동료들에게 버림받는 등 불운을 겪었다. 그는 1721년 코모로 제도에 버려진 뒤 곧 사망했다. 이처럼 일부 성공 사례에도 불구하고, 해적 활동은 전반적으로 빠르게 쇠퇴하고 있었다.
이 시기에는 몇몇 주목할 만한 여성 해적들도 활동했다. 가장 잘 알려진 인물은 앤 보니, 메리 리드, 레이첼 월이다. 앤 보니는 바하마 나소에서 악명 높은 해적으로 이름을 날렸다. 그녀는 기존 결혼 생활에서 벗어나 연인인 해적 선장 칼리코 잭 래컴과 함께 도망쳐 해적 활동에 가담했다. 메리 리드는 어릴 적부터 어머니에 의해 남자로 위장되어 살았으며, 영국군에서 복무한 경험도 있었다. 이후 서인도 제도(카리브해)로 건너갔다가 자신이 탄 배가 래컴에게 나포되면서 그의 선원이 되었다. 처음에는 보니에게만 자신의 성별을 밝혔으나, 래컴이 보니와의 관계를 의심하자 결국 정체를 드러냈다.[27] 보니, 리드, 래컴 세 사람의 관계가 정확히 어떠했는지(연인 관계였는지 등)에 대해서는 여러 추측이 있지만 명확한 증거는 없다. 1720년, 그들이 타고 있던 배가 공격받았을 때 대부분의 선원들은 술에 취해 싸울 수 없었지만, 보니와 리드, 그리고 신원 미상의 남성 한 명만이 용감하게 맞서 싸웠다고 전해진다. 결국 그들은 체포되었고, 해적 혐의로 유죄 판결을 받아 사형을 선고받았다. 하지만 두 여성은 임신을 이유로 사형 집행을 연기시켰다. 리드는 몇 달 후 감옥에서 병(아마도 열병이나 출산 후유증)으로 사망했으며, 보니의 이후 행적은 기록에서 사라져 처형되었는지, 혹은 출산 후 어떻게 되었는지 알려지지 않았다.[28]
결론적으로 1720년경이 되자 해적 행위는 눈에 띄게 감소했다. 해적의 황금기는 길어야 10년 남짓 지속되었을 뿐이다. 역사가 데이비드 코딩리(David Cordingly)는 1995년 저서 《검은 깃발 아래(Under the Black Flag)》에서 "해적의 황금 시대"를 1650년대부터 1725년경까지로 정의했다.[68] 마커스 레디커(Marcus Rediker)는 2004년 황금 시대의 기간을 "대략 1650년부터 1730년대까지"로 보면서, 이를 다시 세 개의 "세대"로 나누었다. 즉, 1650년대부터 1680년대의 버커니어 시대, 1690년대의 인도양 해적 시대, 그리고 1716년부터 1726년까지의 마지막 시대로 구분했다.[69] 이 레디커의 정의가 현재 학계에서 가장 널리 받아들여지는 정의로 여겨진다.
7. 대중 문화에 미친 영향
황금 시대의 이야기와 역사는 오늘날 우리가 아는 해적의 모습과 해적 행위에 대한 많은 묘사의 기초를 형성한다. 특히 찰스 존슨 선장의 ''해적의 일반 역사''(1724년)는 이 시대에 대한 광범위한 설명을 제공하며, 잘 알려진 해적들의 많은 전기에 대한 중요한 출처이다.[36] 존슨은 악명 높은 영국 해적 검은 수염이나 칼리코 잭과 같이 실제보다 더 화려하게 묘사된 인물들에게 거의 신화적인 지위를 부여했다. 2002년, 영국의 해군 역사가 데이비드 코딩리는 존슨의 책 서문에서 "존슨 선장이 해적에 대한 현대적 개념을 창조했다"고 평가하기도 했다.[36] 존슨의 책은 이후 로버트 루이스 스티븐슨의 ''보물섬''이나 J. M. 배리의 ''피터 팬''과 같은 해적 문학 작품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36]
해적에 대한 신비로운 이미지는 실제 해적들의 속성과 일부 관련이 있기도 하다. 예를 들어, 해적들이 귀걸이를 착용한 것은 죽었을 때 금이나 은으로 장례 비용을 치르기 위함이었으며, 귀금속이 마법적인 치유력을 지녔다고 믿는 미신적인 이유도 있었다.[37]
하지만 대중 문화 속 해적의 모습, 예를 들어 외눈가리개를 한 모습은 실제 역사적 사실과는 거리가 멀다. 이는 주로 19세기 소설과 해적 이야기에서 유래한 신화이며, 실제로는 눈을 잃은 것에 대한 보상을 포함하는 경우가 더 많았다.[32] 18세기 아랍 해적 라흐마 이븐 자비르 알-잘라히마처럼 실제로 눈가리개를 착용한 역사적 해적도 있었지만, 이는 매우 드문 경우였다.[33]
오늘날에는 해적 말투의 날과 같이 역사적 사실과는 거리가 있는 해적 묘사가 나타나기도 하며, 대중 문화는 여전히 해적을 보물을 묻는 호쾌한 모험가의 낭만적인 이미지로 그리고 있다.[38]
8. 한국의 관점과 해적
버캐니어는 주로 카리브해에서 활동했다. 이들은 17세기경 토르투가에서 사냥꾼으로 시작했으나, 정부 관리들이 스페인 선박을 공격하고 약탈하도록 고용하면서 "해적"이 되었다. 이후 버캐니어들은 적아를 가리지 않고 가치 있는 선박이라면 무엇이든 공격하기 시작했다.
참조
[1]
간행물
A Pirate's Paradise
The Gentleman's Magazine
1894-01
[2]
서적
Old Virginia and Her Neighbors
1897
[3]
문서
[4]
간행물
Cornelius Harnett: An Essay in North Carolina History
1909
[4]
간행물
Some Colonial History of Beaufort County, North Carolina
James Sprunt Studies in History and Political Science
1916
[5]
서적
Jolly Roger: The Story of the Great Age of Piracy
1951
[6]
문서
[7]
서적
Jolly Roger: The Story of the Great Age of Piracy
https://books.google[...]
Courier Corporation
1953-01-01
[8]
서적
The Pirates
1978
[9]
서적
Raiders and Rebels: The Golden Age of Piracy
1986
[10]
논문
"'Under the Banner of King Death': The Social World of Anglo-American Pirates 1716–1726"
1989
[11]
문서
[12]
서적
The History of Pirates
2005
[13]
서적
Under the Black Flag: The Romance and Reality of Life Among the Pirates
1995
[14]
서적
Villains of All Nations
2004
[15]
웹사이트
Tortuga – Pirate History – The Way of the Pirates
http://www.thewayoft[...]
2009-12-11
[16]
서적
Pirates: An Illustrated History
Arturus Publishing Ltd.
2005
[17]
뉴스
No Peace Beyond the Line
https://www.nytimes.[...]
2023-09-29
[18]
문서
[19]
서적
The Pirate Wars
2003
[20]
문서
[21]
서적
The World: An Illustrated History
Times Books Ltd.
1986
[22]
서적
Pirates and Buccaneers of the Atlantic Coast
https://archive.org/[...]
The Yankee Publishing Company
1944
[23]
서적
Cod: A Biography of the Fish That Changed the World
Penguin
1998
[24]
문서
2004
[25]
논문
"Under the Banner of King Death" The Social World of Anglo-American Pirates
1981
[26]
문서
1981
[27]
백과사전
Read, Mary and Anne Bonney
Gale
2002
[28]
ODNB
Bonny, Anne (1698–1782)
[29]
웹사이트
When Europeans were slaves: Research suggests white slavery was much more common than previously believed
http://researchnews.[...]
[30]
서적
Christian Slaves, Muslim Masters: White Slavery in the Mediterranean, the Barbary Coast and Italy, 1500–1800
https://archive.org/[...]
Palgrave Macmillan
2003
[31]
EB1911
Barbary Pirates
[32]
서적
The Golden Age of Piracy: The Truth Behind Pirate Myths
Skyhorse Publishing
2016
[33]
서적
The Pirate Coast
George Bell & Sons
1966
[34]
서적
Privateers & pirates, 1730-1830
Osprey Military
2001
[35]
문서
2009
[36]
서적
A general history of the robberies & murders of the most notorious pirates
https://books.google[...]
Conway Maritime Press
2002
[37]
웹사이트
Why Did Pirates Wear Earrings?
http://www.livescien[...]
2011-03-08
[38]
웹사이트
Why are pirates depicted with a parrot on their shoulder? What's the origin of the skull and crossbones pirate flag?
http://www.straightd[...]
2007-10-12
[39]
서적
海賊の世界史
中公文庫
2010
[40]
웹사이트
http://www.thewayoft[...]
[41]
서적
2010
[42]
서적
2010
[43]
서적
海賊
白水社(文庫クセジュ)
1965
[44]
서적
Pirates: An Illustrated History
Arturus Publishing Ltd.
2005
[45]
서적
[46]
서적
The Pirate Wars
2003
[47]
서적
[48]
서적
The World: An Illustrated History
Times Books Ltd.
1986
[49]
서적
2010
[50]
서적
略奪の海カリブ
岩波新書
1989
[51]
서적
Cod: A Biography of the Fish That Changed the World.
Penguin
1998
[52]
서적
1989
[53]
문서
2009
[54]
서적
図説 海賊大全
東洋書林
2000-11
[55]
서적
図説 海賊大全
東洋書林
2000-11
[56]
서적
Pirates: 1660–1730
1998
[57]
간행물
"A Pirate's Paradise," in The Gentleman's Magazine
1894-01/06
[58]
서적
Old Virginia and Her Neighbors
1897
[59]
서적
[60]
문서
Cornelius Harnett: An Essay in North Carolina History
1909
[61]
서적
Jolly Roger: The Story of the Great Age of Piracy
1951
[62]
서적
[63]
서적
The Pirates
1978
[64]
서적
Raiders and Rebels: The Golden Age of Piracy
1986
[65]
간행물
"'Under the Banner of King Death': The Social World of Anglo-American Pirates 1716–1726"
1981
[66]
문서
supra
[67]
서적
The History of Pirates
2005
[68]
서적
Under the Black Flag: The Roamnce and Reality of Life Among the Pirates
1995
[69]
서적
Villains of All Nations
20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