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힘 (국제 관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힘 (국제 관계)은 국제 관계에서 국가 또는 행위자가 다른 행위자에게 영향력을 행사하고 자신의 목표를 달성하는 능력을 의미한다. 힘은 목표, 영향력, 안보, 역량, 지위 등 다양한 관점에서 정의되며, 현실주의 정치 이론가들은 힘을 국가의 목표로, 정치학자들은 영향력을 행사하는 능력으로, 그리고 군사적 승리와 국가 안보를 확보하는 능력으로 간주한다. 힘의 분류에는 극초강대국, 초강대국, 강대국, 지역 강국, 중견국 등이 있으며, 문화 강대국, 에너지 강대국과 같은 특정 분야의 강국 표현도 사용된다. 힘은 경성 권력과 연성 권력으로 구분되며, 국력은 자연 환경, 인구, 군사력, 경제력, 기술력 등의 요소로 구성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힘 (국제 관계) - 샤프 파워
    샤프 파워는 권위주의 정부가 민주주의 국가의 여론을 조작하고 자유 시스템을 훼손하기 위해 사용하는 공격적이고 전복적인 정책이다.
  • 지정학적 경쟁 - 시리아 내전
    시리아 내전은 2011년 아사드 정권에 대한 반정부 시위에서 시작되어 무력 분쟁으로 확대, 다수 국가 개입과 극단주의 세력 부상으로 국제적인 대리 전쟁 양상을 띠며 수많은 인명 피해와 난민을 발생시켰으나, 2024년 반군 공세로 아사드 정권이 붕괴되며 종식되었다.
  • 지정학적 경쟁 - 군비 경쟁
    군비 경쟁은 국가 간 군사력 증강 경쟁으로, 전쟁의 원인이 되거나 국제 관계를 악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며, 냉전 시대 핵무기 경쟁이나 최근 동아시아 군사적 긴장 고조와 자율 무기 시스템 개발 경쟁 등의 양상을 보인다.
  • 국제 관계 - 국빈 방문
    국빈 방문은 한 국가의 원수가 다른 국가를 공식적으로 방문하여 양국 간의 우호 증진과 관계 발전을 목표로 하는 외교 행사이다.
  • 국제 관계 - 지역 강국
    지역 강국은 특정 지역에서 중요한 영향력을 행사하지만 세계적인 규모의 능력은 갖추지 못한 국가를 의미하며, 경제력, 군사력, 인구, 정치력 등을 갖추고 지역 내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힘 (국제 관계)
개념
정의국제 관계에서의 힘은 국가 또는 행위자가 다른 행위자의 행동에 영향을 미치거나 통제할 수 있는 능력임.
중요성국제 관계, 외교 정책, 국가 안보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개념임.
힘의 요소
유형군사력
경제력
소프트 파워 (문화적 영향력, 외교력)
지정학적 위치
인구
천연 자원
기술력
군사력군사 규모 및 기술 수준
핵무기 보유 여부
군사 동맹
경제력국내 총생산 (GDP)
무역 규모
금융 시장의 안정성
자원 통제력
소프트 파워문화적 영향력
외교적 관계
국제 기구에서의 역할
원조 제공 능력
힘의 수준
초강대국전 세계적으로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하는 국가 (예: 미국)
강대국국제 질서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국가 (예: 중국, 러시아, 영국, 프랑스)
지역 강국특정 지역에서 영향력을 행사하는 국가 (예: 인도, 브라질, 남아프리카 공화국)
중견국국제 문제에서 특정 역할을 수행하는 국가
소국국제 관계에서 제한적인 영향력을 행사하는 국가
힘의 측정
방법다양한 지표와 모델을 사용하여 측정 (예: 복합 역량 지수 (Composite Index of National Capability, CINC))
복잡성힘은 다면적이고 변화하는 개념이므로 정확한 측정이 어려움.
힘의 균형
정의국가 간 힘의 분포 상태를 의미하며, 안정적인 국제 질서를 유지하는 데 중요함.
전략세력 균형을 유지하거나 변화시키기 위한 국가들의 외교적, 군사적 노력
힘의 투사
정의국가가 자국의 국력 (군사, 경제, 외교)을 사용하여 다른 지역이나 국가에 영향력을 행사하는 것을 의미함.
방법군사적 개입
경제적 지원 또는 제재
문화적 영향력 확산
외교적 압력
힘의 변화
요인기술 혁신
경제 성장 또는 쇠퇴
인구 변화
정치적 변동
사회적 변화
결과국제 질서의 재편, 새로운 강대국의 등장, 기존 강대국의 쇠퇴
비판적 관점
구성주의힘은 물질적 요소뿐만 아니라 국가 간의 상호작용, 규범, 정체성에 의해 구성된다고 주장함. 테드 호프의 연구 참조.
사회적 구성힘은 고정된 실체가 아니라 사회적으로 구성되는 개념이라는 비판적 시각. 마이클 바넷과 레이먼드 듀발의 연구 참조.
관련 용어
초강대국초강대국 참조.
강대국강대국 참조.
중견국중견국 참조.
소프트 파워소프트 파워 참조.

2. 힘의 개념

국제 관계에서 '힘'은 다양한 의미로 사용되며, 학자마다 그 정의가 다르다.

정치학자들은 주로 국제 관계에서 다른 행위자에게 영향력을 행사하는 능력을 '힘'이라고 정의한다. 이러한 영향력은 강제, 관심, 협력, 경쟁 등 다양한 방식으로 나타날 수 있으며, 위협, 경제적 압박, 외교, 문화 교류 등을 통해 작동한다.

'힘'은 국가의 자원과 역량을 나타내는 데 사용되기도 한다. 토머스 홉스는 힘을 "미래에 얻을 수 있는 현재의 몇 가지 수단은 명백한 이익"이라고 정의했다. 지정학자나 군부는 힘을 측정하고, 검량하고, 양으로 나타낼 수 있는 자산으로 간주한다. 중국 전략가들은 종합국력이라는 지수를 통해 국력을 양적으로 측정하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힘'은 국가가 군사적 승리나 안전을 달성했음을 묘사하는 데 사용된다. 예를 들어, 군사 행동에서 승리한 국가는 힘이 강력하다고 묘사될 수 있다. 또한, 중대한 도전으로부터 안전, 주권, 전략적 이익을 지키는 데 성공한 행위자도 힘이 강력하다고 평가받을 수 있다.

마이클 바넷과 레이몬드 듀발은 권력을 "사회적 관계를 통해 행위자가 자신의 상황과 운명을 결정하는 능력을 형성하는 효과의 생산"으로 정의한다.[4] 이들은 권력을 모든 효과와 동일시하거나, 설득을 권력의 정의에 포함하는 것을 거부한다.[4]

2. 1. 목표로서의 힘

니콜로 마키아벨리, 한스 모건소와 같은 현실주의 정치 이론가들은 힘을 국가의 본질적인 목표로 간주한다. 이들은 경제 성장, 군사력 증강, 문화 전파 등이 모두 궁극적으로 국제적인 힘을 얻기 위한 노력으로 본다.[4]

2. 2. 영향력으로서의 힘

정치학자들은 국제 관계에서 다른 행위자에게 영향력을 행사하는 능력을 힘으로 정의한다. 이러한 영향력은 강제적이거나, 매력적이거나, 협력적이거나, 경쟁적인 방식으로 행사될 수 있다. 영향력의 메커니즘에는 무력 위협 또는 사용, 경제적 상호 작용 또는 압력, 외교, 문화 교류 등이 포함될 수 있다.[4]

특정한 상황에서 국가는 세력권이나 블록을 형성하여 지배적인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다. 유럽 회의에서 인정된 세력권이나 얄타 회담 이후 냉전 시기의 세력권 인정이 역사적인 예시이다. 동구권, 서방 세계, 비동맹 운동은 냉전 경쟁에서 발생한 블록이었다. NATO바르샤바 조약 기구와 같은 군사 동맹도 영향력 행사의 또 다른 형태이다.

2. 3. 안전 보장으로서의 힘

힘은 국가 안보를 확보하고 군사적 승리를 달성하는 능력으로도 사용된다. 역사적으로 많은 국가들이 군사적 승리를 통해 힘을 과시해 왔다. 마이클 바넷과 레이몬드 듀발은 권력을 "사회적 관계를 통해 행위자가 자신의 상황과 운명을 결정하는 능력을 형성하는 효과의 생산"으로 정의한다.[4] 그들은 권력을 모든 효과와 동일시하는 권력 정의를 거부하는데, 그렇게 하면 권력이 인과 관계와 동의어가 되기 때문이다.[4] 또한 새로운 정보가 제시된 후 행위자가 자유롭고 자발적으로 생각을 바꾸는 것에 초점을 맞추기 때문에 설득을 권력의 정의에서 제외한다.[4]

2. 4. 역량으로서의 힘

토머스 홉스는 힘을 "미래에 얻을 수 있는 현재의 몇 가지 수단은 명백한 이익"이라고 정의했다.[4] 힘은 국가의 자원과 역량을 나타내는 지표로 사용되기도 한다. 강성 권력은 잠재력으로 다룰 수 있으며, 국제 무대에서 자주 강요되지는 않는다. 중국 전략가들은 종합국력(綜合國力, comprehensive national power)이라는 지수를 통해 국력을 양적으로 측정하기도 한다.

2. 5. 지위로서의 힘

힘은 특정 국가가 소유한 지위를 나타내는 용어로 사용될 수 있다. 현대 지정학적 상황에서 다양한 유형의 힘을 설명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여러 용어들이 사용된다.

용어설명
극초강대국(極超強大國, hyperpower)초강대국을 능가하는 나라로서 냉전 후의 미국을 설명하기 위해 만들어낸 용어이며, 과거에 존재했던 대영 제국을 가리킬 때에도 쓰인다.
초강대국(超強大國, superpower)미국소련을 가리킬 때 쓰이던 용어이며, 과거에 존재하던 대영 제국을 가리킬 때에도 쓰였다.
강대국(強大國, great power(s))정치력이 강하고, 군사적 경제적 영향력이 이웃하는 다른 나라는 물론 전 세계에까지 퍼져 나가는 나라를 말한다.
지역 강국(地域強國, Regional power)한정된 지역에서 영향력과 힘을 행사하는 나라를 설명하는 데에 쓰이는 용어이다. 지역 강자, 지역 맹주, 지역 세력이라고도 부른다.
중간국(中間國, Middle power)강대국이나 지역 강국처럼 강력한 영향력은 없으나 그에 가까운 국제적 영향력을 가지고 있는 나라를 설명하는 용어이다. 중견국, 중견 국가라고 부르기도 한다.
패권국제 시스템을 형성하고 "다른 모든 국가의 외부 행동을 통제"할 수 있는 힘을 가진 국가이다.[32]
단극권력의 우위를 누리고 경쟁 국가가 없는 국가이다.[32]
약소국국제 시스템은 대부분 약소국으로 구성된다. 이들은 다른 강대국의 도구이며 때로는 지배당할 수 있지만 무시할 수는 없다.[47]



유럽 연합(EU)이나 독립 국가 연합(CIS)과 같은 국가 연합을 국가만큼의 일체성은 없지만 비슷한 세력으로 보는 견해가 있다.

또한, "'''지역 강국'''"이라는 표현도 있다. 이는 "강대국"이 전 세계적으로 영향력을 가지는 데 반해, 특정 지역 내에서 큰 영향력을 가진 나라를 가리킨다.

더 나아가, 그 나라의 특정 특징을 가리켜 "××강국"이라고 표현하는 경우가 있다. 특히, 복지, 군사, 경제 분야에서 많이 사용되며, "'''복지 강국'''"이나 "'''군사 강국'''", "'''경제 대국'''"으로 표현된다. 그 외에 "'''인구 대국'''", "'''스포츠 강국'''", "'''축구 강국'''" 등이 있다.

일본제2차 세계 대전에서 황폐해지고 패전으로 군사력과 국제적인 정치력을 상실하여 강대국의 지위를 잃었다. 하지만, 이후 부흥을 통해 "경제 대국"으로서 큰 영향력을 갖게 되어, 다시 강대국으로 여겨지게 되었다.

또한, "'''문화 대국'''"이라는 표현도 있다.

3. 힘의 분류

현대 국제 관계에서는 국가의 힘을 여러 범주로 나누어 설명한다.


  • '''극초강대국'''(極超強大國, hyperpower): 초강대국을 능가하는 나라로서 냉전 후의 미국을 설명하기 위해 만들어낸 용어이며, 과거에 존재했던 대영 제국을 가리킬 때에도 쓰인다.[37] 극초강대국은 일극 체제(unipolar system)에서 유일한 초강대국을 설명하는 데 쓰이는 용어이다.
  • '''패권''': 국제 시스템을 형성하고 "다른 모든 국가의 외부 행동을 통제"할 수 있는 힘을 가진 국가이다.[32] 패권은 지역적 또는 세계적일 수 있다.[33] 단극과 달리, 패권은 가장 강력한 국가가 다른 국가를 통제할 수 있는 계층 구조를 가정한다.[32]
  • '''단극''''': 권력의 우위를 누리고 경쟁 국가가 없는 국가이다.[32][34] 단극 국가는 제국 또는 패권국과 동일하지 않다.[32][35][36]
  • '''약소국''''': 국제 시스템은 대부분 ''약소국''으로 구성된다. 이들은 다른 강대국의 도구이며 때로는 지배당할 수 있지만 무시할 수는 없다.[47]
  • '''에너지 초강대국'''(Energy superpower): 세계 에너지 공급에 막대한 영향을 끼치거나, 심지어 직접 제어하기도 하는 나라를 설명하는 용어이다. 러시아사우디아라비아는 현재 세계 에너지 초강대국으로서 일반적으로 인정을 받고 있다.[78][79]
  • '''문화 강대국''': 문화, 예술, 엔터테인먼트 분야에서 전 세계적인 매력을 가지고, 상당한 국제적 인기나 세계 대부분에 큰 영향을 미치는 국가를 지칭한다. 중국,[51][52] 프랑스,[53][54] 그리스,[55][56] 인도,[57][58][59] 이탈리아,[60][61][62] 자메이카,[63][58][64][65] 일본,[66][67][68][69][70] 대한민국,[71][58][72] 스페인,[73][74][75] 영국[76], 미국[77] 등이 문화 강대국으로 묘사되며, 이를 결정하는 기준은 때때로 논쟁의 대상이 된다. 문화 강대국이라는 용어는 국가의 소프트 파워 역량과 관련이 있다.


유럽 연합(EU)이나 독립 국가 연합(CIS)과 같은 국가 연합을 국가만큼의 일체성은 없지만 비슷한 세력으로 보는 견해가 있다.

그 외에 특정 특징을 가리켜 "××강국"이라고 표현하는 경우가 있는데, 복지, 군사, 경제 분야에서 많이 사용되며, "'''복지 강국'''", "'''군사 강국'''", "'''경제 대국'''"으로 표현된다. 그 외에 "소비 대국", "자원 대국", "'''인구 대국'''"(중국, 인도 등), "'''스포츠 강국'''"(올림픽 등의 국제 대회에서 좋은 성적을 거두는 나라), "'''축구 강국'''"(FIFA 월드컵에서 우승 또는 8강 이상 진출 횟수가 많은 나라) 등이 있다.

3. 1. 초강대국 (Superpower)

미국소련을 가리킬 때 쓰이던 용어이며, 과거에 존재하던 대영 제국을 가리킬 때에도 쓰였다. 초강대국은 일극 체제 또는 양극 체제(bipolar system)에서 극이 되는 나라를 설명하는 용어이다. 냉전 시대의 미국소련초강대국으로 불렸다. 냉전이 종식되고 소련 붕괴 이후 미국이 유일한 초강대국으로 여겨졌고, 2010년대 이후에는 중국도 두 번째 초강대국으로 여겨진다. 21세기 중반에는 미국중국 두 나라가 초강대국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98][99][100][101]

3. 2. 강대국 (Great power)

'''강대국'''(強大國, great power(s))은 정치력이 강하고, 군사적, 경제적 영향력이 이웃하는 다른 나라는 물론 전 세계에까지 미치는 나라를 말한다.[42][43][44]

현재 강대국 간의 상관도


세계에서 차지하는 강대국의 GDP와 군사비 (2008년)


강대국이라고 불리는 현재의 국가들은 정의나 연구자에 따라 다를 수 있지만, 주요 연구 기관[85]은 다음 7개국을 강대국으로 위치시키고 있다.[86][87][88][89][90][91][92]

향후 21세기 중반에는 미국, 중국, 러시아, EU, 영국, 일본, 인도의 7개국・지역이 강대국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93][94][95][96][97]

일본제2차 세계 대전에서 황폐해지고 패전으로 군사력과 국제적인 정치력을 상실하여 강대국의 지위를 잃었지만, 이후 부흥을 통해 "경제 대국"으로서 큰 영향력을 갖게 되어 다시 강대국으로 여겨지게 되었다.

"'''문화 대국'''"이라는 표현도 있다. 어떤 기준으로 강대국으로 불릴 만큼의 거대한 영향력을 가지는지를 판단하는 것은 논란의 여지가 있지만, 기본적으로 세계의 많은 국가에 문화적 영향을 미치는지 여부로 판단된다.

유사한 표현으로, 주변국에 영향력이 있는 국가들을 열강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또한, 이러한 강대국에 이르는 과정, 또는 강대국을 목표로 하는 의지나 정책을 '''입국'''이라고 한다.

3. 3. 지역 강국 (Regional power)

지역 강국은 한정된 지역에서 영향력과 힘을 행사하는 나라를 설명하는 데 쓰이는 용어이다. 지역 강국의 존재는 위에서 분류한 바와 상호 배타적이지 않다. 따라서 초강대국이나 강대국은 기본적으로 지역 강국이다. '''지역 강자''', '''지역 맹주''', '''지역 세력'''이라고도 부른다.[42] 남아시아인도, 동남아시아인도네시아베트남, 남아메리카브라질 등이 지역 강국의 예시이다.

3. 4. 중견국 (Middle power)

강대국이나 지역 강국처럼 강력한 영향력은 없으나 그에 가까운 국제적 영향력을 가진 나라를 설명하는 용어이다.[45] '''중견국''', '''중견 국가'''라고 부르기도 하며, 중재와 중개 기능을 강조하여 '''중개국'''(仲介國, nation as an arbitrator)이라고도 부르기도 한다. 모든 중견 강국이 동일한 지위를 갖는 것은 아니며, 일부는 G20과 같은 포럼의 회원이며 유엔 및 WTO와 같은 다른 국제기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46]

3. 5. 기타 분류

4. 연성 권력(Soft power) 대 경성 권력(Hard power)

일부 정치학자들은 권력을 강압적 권력(Hard power)과 연성 권력(Soft power)의 두 가지 유형으로 구분한다.[80] 전자는 강압적(예: 군사 침략)인 반면, 후자는 매력적인(예: 방송 매체 또는 문화 침략) 성격을 띤다.[81]

강압적 권력은 군대의 위협 또는 사용, 경제적 압력 또는 제재, 암살 및 책략, 또는 기타 형태의 위협과 같은 강압적인 전술을 의미한다. 강압적 권력은 일반적으로 더 강력한 국가와 연관되며, 군사적 위협을 통해 다른 국가의 국내 문제를 변화시킬 수 있는 능력을 갖는다. 존 미어샤이머와 같은 현실주의자 및 신현실주의자는 국제 시스템의 균형을 위해 이러한 권력 사용을 옹호한다.

조지프 나이소프트 파워의 선도적인 지지자이자 이론가이다.[82][83] 소프트 파워의 도구에는 문화적 가치에 대한 논쟁, 이념에 대한 대화, 모범을 통해 영향을 미치려는 시도,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는 인간적 가치에 대한 호소가 포함된다. 소프트 파워를 행사하는 수단으로는 외교, 정보의 유포, 분석, 선전, 정치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문화적 프로그램 등이 있다.

다른 사람들은 소프트 파워와 강압적 권력을 통합했는데, 여기에는 스마트 파워 분야도 포함된다. 이는 소프트 파워에서 강압적 권력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국정 운영 도구를 전체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요구하는 경우가 많다.

5. 국력의 요소

국력은 국가가 사용할 수 있는 모든 수단을 의미한다. 국력의 제 요소로는 지리, 기후 등 자연 환경, 인구의 규모, 구성, 교육 수준, 경제력, 군사력, 기술력 등이 있다.

5. 1. 자연 환경

자연 환경은 위치, 지리, 기후, 식생, 국토 면적 등으로 구성되며, 국력에 많은 영향을 준다. 바다와의 접근성으로 해양 국가와 대륙 국가로 갈리고, 특히 섬나라의 독특한 문화적 환경에 일조한다. 또한 지정학적 위치는 군사적인 안전, 외세의 침략과 해당 국가의 진출 가능성 등에 큰 영향을 준다. 이러한 분야를 연구하는 학문이 지정학이다.

5. 2. 인구

인구는 그 나라의 국토와 관련된 군사, 경제, 기술 등 거의 모든 분야에 영향을 준다. 역사적으로도 인구 증감은 국력 증감과 상관관계가 있다. 또한 인구의 연령 구성과 교육 수준도 중요하며, 인구의 민족적 구성과 관련하여 민족 간의 조화와 화합 여부도 국력에 영향을 준다.[1]

5. 3. 군사력

군사력은 역사적으로 국력의 중요한 요소였으나, 경제력, 인구, 자연환경의 영향을 크게 받는다. 특히 오늘날에는 군사력으로 국력을 유지하기보다는 경제력이 강한 국가가 강한 군사력을 유지하는 현상이 두드러지고 있다.[25]

5. 4. 경제력

경제력은 국력의 중요한 요소이지만, 자본주의 경제에서는 국가가 직접 국민경제를 운영하지 않으므로 정부가 실질적으로 직접 사용할 수 있는 힘은 아니다. 그러나 경제력은 국민의 생활 수준, 교육 수준, 인구 부양 능력, 군사력에 직간접적으로 연관되므로 무시할 수 없는 요소이다.[1]

5. 5. 기술력

기술력은 한 나라의 과학 혹은 기술 능력을 말하며, 경제 발전과 군사력에 필수적인 요소이다. 기술력은 대체로 그 나라의 교육 수준과 연관되며, 경제력의 일부로 볼 수도 있다. 그러나 현대 국가에서 기업의 해외 진출은 허용하지만 기술 유출은 허용하지 않는 점, 국가 수준의 연구소에서 개발되는 기술, 우주 기술 등 국가 독점 기술 등을 고려하면 경제력과 분리해서 보는 것도 타당하다.[1]

참조

[1] 서적 Theory of International Politics https://books.google[...] McGraw-Hill 1979
[2] 서적 The Tragedy of Great Power Politics https://books.google[...] Norton 2001
[3] 간행물 The Promise of Constructivism in International Relations Theory https://www.jstor.or[...] 1998
[4] 간행물 Power in International Politics 2005
[5] 뉴스 One Nation Under Wal-Mart: How Retailing's Superpower—and our Biggest, Most Admired Company—Is Changing the Rules for Corporate America https://money.cnn.co[...] CNN 2010-05-22
[6] 문서 Varieties of realism: Thucydides and Machiavelli The Journal of Politics 1992
[7] 문서 The state and international relation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0
[8] 문서 Hans Delbrück (1848–1929) Bernadotte E. Schmitt. ''Some Historians of Modern Europe''.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42.
[9] 뉴스 INTERVIEW / Sir Claus Moser: 73.5 per cent English: 'What is dangerous https://www.independ[...] The Independent 1992-07-27
[10] 웹사이트 About the EU – European Union website, the official EU website – European Commission http://europa.eu/abo[...] 2016-06-16
[11] 웹사이트 About the EU – European Union website, the official EU website – European Commission http://europa.eu/abo[...] 2016-06-16
[12] 웹사이트 The SIPRI Military Expenditure Database http://milexdata.sip[...] Stockholm International Peace Research Institute 2010-08-22
[13] 웹사이트 The 15 countries with the highest military expenditure in 2009 http://www.sipri.org[...] Stockholm International Peace Research Institute 2010-08-22
[14] 문서 Origins of the First World War
[15] 문서 Britain 1870–1914 The Oxford History of England 1962
[16] 간행물 International Progress, International Order, and the Liberal International Order https://doi.org/10.1[...] 2021
[17] 간행물 Legitimacy, Hypocrisy, and the Social Structure of Unipolarity: Why Being a Unipole Isn't All It's Cracked Up to Be 2009
[18] 간행물 International Legitimacy Lost? Rule and Resistance When America Is First https://www.cambridg[...] 2018
[19] 문서 Authority, Coercion, and Power in International Relations https://oxford.unive[...] Oxford University Press 2013
[20] 서적 International Political Economy: An Intellectual History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08
[21] 서적 America's Global Advantage: US Hegemony and International Cooperation https://www.cambrid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0
[22] 간행물 International Organization and the Study of World Politics https://www.cambridg[...] 1998
[23] 서적 International Political Economy: An Intellectual History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08
[24] 간행물 Weaponized Interdependence: How Global Economic Networks Shape State Coercion 2019-07-01
[25] 서적 U.S. Army War College Guide to National Security Policy and Strategy United States Army War College 2004-07
[26] 서적 Shifting Power in Asia-Pacific? The Rise of China, Sino-US Competition and Regional Middle Power Allegiance https://www.springer[...] Springer 2016-11-25
[27] 간행물 The Power of Nations: Measuring What Matters 2018
[28] 서적 The Rise and Fall of the Great Powers: Economic Change and Military Conflict from 1500 to 2000 https://archive.org/[...] Fontana
[29] 서적 Classical Realism https://www.oxfordpo[...] Oxford University Press
[30] 서적 The Twenty Years' Crisis 1919–1939: An Introduction to the Study of International Relations https://books.google[...] Palgrave Macmillan 2001
[31] 문서 Puzzles about Power https://oxford.unive[...] Oxford University Press 2013
[32] 간행물 Unrest Assured: Why Unipolarity Is Not Peaceful https://doi.org/10.1[...] 2012
[33] 간행물 The Tragedy of Great Power Politics W. W. Norton & Company 2001
[34] 간행물 The Stability of a Unipolar World https://www.jstor.or[...] 1999
[35] 간행물 Unipolarity: A Structural Perspective http://muse.jhu.edu/[...] 2009
[36] 논문 What's at Stake in the American Empire Debate 2007
[37] 서적 Dictionary of International Relations https://archive.org/[...] Penguin Books
[38] 간행물 Lonely Superpower or Unapologetic Hyperpower? Analyzing American Power in the post–Cold War Era http://post.queensu.[...] 2007-02-28
[39] 웹사이트 Five big takeaways from the 2019 Asia Power Index https://www.lowyinst[...] 2020-05-06
[40] 웹사이트 Many Germans believe China will replace US as superpower: survey https://www.dw.com/e[...] 2020-07-14
[41] 서적 Facing China as a New Global Superpower Springer
[42] 논문 Reviews of Books: Power in Europe? Great Britain, France, Italy and Germany in a Postwar World, 1945–1950 Oxford University Press 1988-01
[43] 간행물 The Long War Against Corruption http://www.foreignaf[...] Council on Foreign Relations 2006-05
[44] 서적 Middle East and Europe: The Power Deficit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2013-08-11
[45] 서적 Shifting Power in Asia-Pacific? The Rise of China, Sino-US Competition and Regional Middle Power Allegiance https://www.springer[...] Springer 2016-11-25
[46] 웹인용 Making Australia a force for good http://eherald.alp.o[...] 2006
[47] 문서 The Inequality of States: A Study of Small Power in International Relations 1967
[48] 서적 The Rise and Fall of the Great Powers https://archive.org/[...] Random House
[49] 서적 The European Union and Emerging Powers in the 21st Century: How Europe Can Shape a New Global Order 2013
[50] 문서 "Subsystemic Unipolarities?" in Strategic Analysis, 41(1): 74–86 https://www.academia[...] 2017
[51] 웹사이트 Scholars and Media on China's Cultural Soft Power https://www.wilsonce[...] 2020-09-21
[52] 웹사이트 Asia Power Index 2019: China Cultural Influence https://power.lowyin[...] 2020-09-21
[53] 서적 France, Mexico and Informal Empire in Latin America, 1820-1867: Equilibrium in the New World https://books.google[...] Springer
[54] 뉴스 Why France and Italy can't help clashing https://www.economis[...] 2020-04-20
[55] 웹사이트 How a New Generation of Greek Filmmakers Rode Out the Crisis and Found International Success https://variety.com/[...] 2024-02-15
[56] 웹사이트 Italy and Greece: A common way ahead https://www.ekathime[...] 2024-02-15
[57] 웹사이트 'DIAF projected India as a cultural superpower' https://www.sundaygu[...] 2020-01-11
[58] 웹사이트 What makes a cultural superpower? https://www.noahpini[...] 2023-10-14
[59] 뉴스 Donald Trump arrived in India with much fanfare. Here are the key moments from his first day https://www.abc.net.[...] 2023-10-17
[60] 웹사이트 Italy, a cultural superpower http://www.arabnews.[...] 2012-06-02
[61] 뉴스 Coming to the U.S.: 'The Year of Italian Culture 2013' https://www.washingt[...] 2023-08-26
[62] 문서 Italy has been described as a '''cultural superpower'''
[63] 웹사이트 Countdown to I Love JA Day: Dawn Butler on heritage {{!}} The Voice Online https://archive.voic[...] 2023-10-14
[64] 웹사이트 Jamaica https://asiaone.co.i[...] 2023-10-17
[65] 웹사이트 Portland, Jamaica: A Journey Down the Rio Grande and Beyond https://www.wtravelm[...] 2023-10-14
[66] 뉴스 The other superpower https://www.theguard[...] 2009-07-17
[67] 웹사이트 How Japan became a pop culture superpower https://www.spectato[...] 2016-11-27
[68] 웹사이트 Japan has turned its culture into a powerful political tool http://theconversati[...] 2021-12-12
[69] 뉴스 "'Pure Invention': How Japan's pop culture became the 'lingua franca' of the internet" https://www.japantim[...] 2021-12-12
[70] 뉴스 How Japan's global image morphed from military empire to eccentric pop-culture superpower https://qz.com/18063[...] Quartz 2021-12-12
[71] 웹사이트 "[Feature] Making big waves: How K-pop swelled into cultural superpower" https://m.koreaheral[...] 2022-11-16
[72] 웹사이트 Sunday Feature: South Korea - The Silent Cultural Superpower https://www.bbc.com/[...] 2016-02-14
[73] 뉴스 "Spain, main reference for world's Hispanic heritage" http://www.abc.es/cu[...] ABC.es 2014-07-03
[74] 웹사이트 Elcano Global Presence Index – Explora https://explora.glob[...]
[75] 간행물 Spain. Country Report https://opus.bsz-bw.[...] 2021-11
[76] 학술 The cultural superpower: British cultural projection abroad http://www.britishpo[...] 2011
[77] 웹사이트 Entertainment Superpower: the economic dominance of American media and entertainment https://archive.toda[...] 2005-02-17
[78] 웹사이트 Report: Canada can be energy superpower http://www.upi.com/B[...] 2012-07-20
[79] 웹사이트 Australia to become energy superpower? http://www.upi.com/B[...] 2012-05-14
[80] 학술 Hard Power and Soft Power: The Utility of Military Force as an Instrument of Policy in the 21st Century https://press.armywa[...] 2011-04-01
[81] 학술 Soft power: the origins and political progress of a concept 2017-02-21
[82] 웹사이트 "'Soft power' expert Joe Nye reflects on decades-long Harvard career" https://news.harvard[...] 2017-05-09
[83] 웹사이트 Soft Power and Smart Power https://samf.substac[...] 2024-01-17
[84] 문서 Current Alignment of Great and Middle Powers http://www.pearsonhi[...]
[85] 문서 アメリカ合衆国の[[国家情報会議]](National Intelligence Council,略称:NIC)や[[戦略国際問題研究所]](Center for Strategic and International Studies, 略称:CSIS ),イギリスの[[国際戦略研究所]](International Institute for Strategic Studies,略称:IISS)、スウェーデンの[[ストックホルム国際平和研究所]](Stockholm International Peace Research Institute,略称:SIPRI)、インド防衛研究協会(Institute for Defence Studies and Analyses,略称:IDSA)、元外務省所管の[[日本国際問題研究所]](The Japan Institute of International Affairs,略称:JIIA)、防衛省所管の[[防衛研究所]](National Institute for Defense Studies,略称:NIDS)
[86] 문서 CSIS - Democracy in U.S. Security Strategy http://csis.org/file[...]
[87] 문서 IISS - Sanctions as Grand Strategy http://www.iiss.org/[...]
[88] 문서 SIPRI - A Future Arms Control Agend http://books.sipri.o[...]
[89] 문서 EUROPEAN SECURITY FORUM - WHAT PROSPECTS FOR NORMATIVE FOREIGN POLICY IN A MULTIPOLAR WORLD ? http://aei.pitt.edu/[...]
[90] 문서 IDSA - North Korea after Kim Jong-Ⅱ:Implications for East Asian Security http://www.idsa.in/s[...]
[91] 문서 JIIA - 平成22年度外務省国際問題調査研究・提言事業 アジア太平洋における各種統合の長期的な展望と日本の外交 http://www2.jiia.or.[...]
[92] 문서 NIDS - 平成15年度防衛戦略研究会議報告と討議 「イラク戦争後の国連、同盟、有志連合」 https://www.nids.mod[...]
[93] 문서 Global Powers in the 21st Century」 http://www.chapters.[...]
[94] 문서 NIC - Report of the National Intelligence Council’s 2020 Projec」 http://www.space-lib[...]
[95] 문서 CSIR - Regions and Powers The Structure of International Security」 http://blogriobranco[...]
[96] 문서 RISING POWER - the new global reality」 http://www.stanleyfo[...]
[97] 문서 アメリカ合衆国国家情報会議 - NIC Global Trends 2030 http://globaltrends2[...]
[98] 웹사이트 China Is Now the World's Largest Economy. We Shouldn't Be Shocked. https://nationalinte[...] 2020-10-15
[99] 웹사이트 Should We Compete With China? Can We? https://www.unz.com/[...]
[100] 웹사이트 Is China a Superpower Now? - Belt & Road News https://www.beltandr[...] 2019-08-04
[101] 웹사이트 Does China Outspend US on Defense? https://www.unz.com/[...]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