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강대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강대국은 국력, 공간, 지위의 세 가지 차원에서 정의되며, 국제 정치에서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하는 국가를 의미한다. 국력은 경제 자원, 군사력, 기술력 등을 포함하며, 공간은 지역적 범위를 넘어선 세계적 영향력을 의미한다. 지위는 국제 사회에서 인정받는 위치와 역할을 나타낸다. 역사적으로 강대국은 시대에 따라 변화해 왔으며, 19세기 초 빈 체제 하에서 영국, 프랑스, 오스트리아, 프로이센, 러시아가 주요 강대국으로 부상했다. 20세기에는 미국, 중국, 영국, 프랑스, 러시아가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의 상임이사국으로, 핵무기 보유국으로 정치, 경제, 군사적으로 지배적인 위치를 차지하며 강대국으로 여겨진다. 독일, 일본, 이탈리아 등은 경제력을 바탕으로 강대국으로 언급되기도 하며, 유럽 연합과 브라질, 인도는 잠재적 강대국으로 주목받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세기 신조어 - 보헤미아니즘
    보헤미아니즘은 19세기 이후 전통에 얽매이지 않는 자유분방한 예술가 기질을 지칭하는 용어로, 몽마르트르 등 특정 지역을 중심으로 다양한 형태로 나타났으며, 네오 보헤미아니즘으로 발전하기도 했다.
  • 19세기 신조어 - 당근과 채찍
    당근과 채찍은 유혹과 위협을 통해 상대를 통제하거나 행동을 유도하는 전략을 비유하는 표현으로, 당나귀를 움직이기 위해 당근과 채찍을 사용한 데서 유래했다.
  • 나라 분류 - 연방제
    연방제는 중앙 정부와 지방 정부가 권력을 분담하는 정치 체제이며, 지역 이익과 국가 이익의 조화, 다양한 민족 집단의 이익 조정 등 복잡한 과제를 수반하며, 단일 국가, 연합, 제국 등 다른 국가 형태와 구별된다.
  • 나라 분류 - 아랍 세계
    아랍 세계는 북아프리카와 서남아시아를 포괄하는 지역으로 아랍어 사용, 문화적 유대, 지리적 인접성을 특징으로 하며, 아랍 연맹 회원국을 중심으로 다양한 정치 형태와 석유 의존적인 경제 구조를 가진다.
  • 정치학 용어 - 거버넌스
    거버넌스는 사회적 통치 시스템을 의미하며, 정부, 시민사회, 시장의 파트너십을 통해 정책을 결정하고 집행하며 다양한 유형으로 나타나며, 경제 성장, 부패 감소, 정치적 안정 강화 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 정치학 용어 - 정치적 스펙트럼
    정치적 스펙트럼은 정치적 입장을 분류하는 개념으로, 좌익과 우익의 1차원 모델, 경제적/개인적 자유를 축으로 하는 2차원 모델, 세속주의-전통주의, 생존주의-자기 표현 가치를 기반으로 하는 잉글하트-벨젤 가치관 지도 등 다양한 모델이 존재한다.
강대국
개요
정의세계적인 규모로 정치적, 사회적, 경제적 영향력을 행사하는 국가
영어Great powers / major powers
문화어렬강
특징
영향력국제 관계에 큰 영향력을 행사함.
다른 국가에 비해 우월한 힘과 영향력을 가짐.
자원경제력
군사력
외교력
문화적 매력
지위국제 질서를 유지하고 형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
다른 국가들의 행동에 영향을 미침.
책임국제 평화와 안보 유지.
국제 문제 해결에 주도적인 역할.
역사적 관점
빈 체제 이후유럽의 열강들이 국제 질서를 주도함.
영국, 프랑스, 러시아, 오스트리아, 프로이센 등이 주요 열강이었음.
20세기미국, 소련, 일본, 독일 등의 새로운 강대국들이 등장함.
두 차례의 세계 대전을 거치면서 국제 질서가 재편됨.
냉전 시대미국소련이 세계를 양분하는 체제가 형성됨.
두 강대국 간의 이념 경쟁과 군비 경쟁이 심화됨.
냉전 종식 이후미국이 유일 초강대국으로 부상함.
중국, 유럽 연합, 일본, 러시아 등 다른 강대국들의 영향력이 증대됨.
열강의 조건
일반적인 기준강력한 경제력과 군사력.
국제적인 영향력과 외교적 능력.
선진적인 기술과 문화.
추가적인 기준인구 규모
지리적 위치
자원 보유량
정치적 안정성
현대의 열강
국제 연합 안전 보장 이사회 상임이사국미국
중국
러시아
영국
프랑스
기타 주요 국가유럽 연합
일본
독일
인도
같이 보기
관련 개념초강대국
중견국
힘의 균형
제국주의
패권
지역 강국

2. 강대국의 성격

아직까지 완성된 강대국의 정의는 없지만, 여러 학자들이 강대국을 규정하기 위해 노력해왔다. 강대국의 특징은 정해져 있거나 정의되어 있지 않지만, 종종 평가자에게 경험적이고 자명한 것으로 여겨져 왔다.[13] 그러나 이러한 접근 방식은 주관적이라는 단점이 있어, 몇 가지 일반적인 기준을 도출하고 이를 강대국 지위의 필수 요소로 간주하려는 시도가 있었다. 다닐로비치(2002)는 주요 강대국을 다른 국가와 구별하는 "권력, 공간, 지위 차원"이라는 세 가지 중심 특징을 강조한다.[14]

이 주제에 대한 초기 저술은 역사학자 A. J. P. 테일러가 "강대국의 시험은 전쟁의 힘에 대한 시험이다"라고 언급한 것처럼 현실주의적 기준으로 국가를 판단하는 경향이 있었다.[15] 이후의 저술가들은 이 시험을 확장하여 전반적인 군사, 경제 및 정치적 역량 측면에서 권력을 정의하려고 시도했다.[16] 케네스 월츠는 신현실주의 국제 관계 이론의 창시자로, 강대국을 결정하기 위해 인구 및 영토, 자원 부존, 군사력, 경제력, 정치적 안정 및 역량의 여섯 가지 기준을 사용한다.[17] 존 미어샤이머는 강대국을 "세계에서 가장 강력한 국가와의 전면적인 재래식 전쟁에서 심각한 싸움을 벌일 수 있는 충분한 군사 자산을 가진 국가"로 정의한다.[18]

19세기나폴레옹 전쟁 이후의 빈 체제 하에서 5국 동맹 (그레이트브리튼 아일랜드 연합 왕국, 프랑스 왕국, 오스트리아 제국, 프로이센 왕국, 러시아 제국)에 의해 열강의 개념이 강하게 의식되었다.

동아시아에서는 전통적으로 중화 사상에 기초하여 중국 역대 왕조의 황제가 '천하'를 지배하고 책봉 체제 하에서 동아시아의 국제 질서를 유지하는 것으로 생각되었으며, 같은 시대 오랫동안 대청 제국패권을 잡고 있었다.

20세기러일 전쟁 종결 후부터 제1차 세계 대전 사이 무렵에, 일본 제국이탈리아 왕국이 열강으로 간주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종결 후에는 국제 연합 안전 보장 이사회 상임 이사국인 5대국 ( 미국, 중국, 영국, 프랑스, 러시아)과 일본, 독일의 7개국을 가리키는 경우가 많다.[102][103]

21세기의 현대에, 세계의 GDP와 군사비의 총계는 그 절반 이상이 미국·영국·프랑스·러시아·중국·일본·독일 등 7대 강국에 의해 점유되고 있다.[105]

2. 1. 국력

강대국은 다른 국가에 비해 월등한 군사력, 경제력, 기술력 등을 보유하고 있다. 여러 학자들이 강대국의 정의를 제시했는데, 레오폴트 폰 랑케는 다른 국가들의 연합에 맞서 스스로를 유지할 수 있는 국가를 강대국으로 정의했다.[20] 장바티스트 뒤로젤은 다른 어떤 단일 강대국에 대해서도 독립을 유지할 수 있는 국가를 강대국으로 정의했다.[19]

초기에는 A. J. P. 테일러가 언급한 것처럼 전쟁에서의 힘으로 강대국을 판단하는 경향이 있었다.[15] 이후에는 군사력뿐만 아니라 경제력, 정치적 역량까지 고려하여 강대국을 정의하려는 시도가 있었다.[16] 케네스 월츠는 인구 및 영토, 자원, 군사력, 경제력, 정치적 안정 등 여섯 가지 기준으로 강대국을 결정했다.[17] 존 미어샤이머는 강대국을 "세계에서 가장 강력한 국가와의 전면적인 재래식 전쟁에서 심각한 싸움을 벌일 수 있는 충분한 군사 자산을 가진 국가"로 정의한다.[18]

2011년 중국 현대 국제 연구소 미국 연구소 소장인 펑위안(彭援)은 미국의 10가지 주요 강점을 다음과 같이 제시했다.[22]

번호내용
1인구, 지리적 위치 및 천연 자원
2군사력
3첨단 기술 및 교육
4문화적/소프트 파워
5사이버 파워
6동맹국 (미국은 다른 어떤 국가보다 많은 동맹국을 보유)
7글로벌 투사 전력으로 구체화된 지정학적 강점
8오사마 빈 라덴 암살에서 입증된 정보 역량
9미국의 수많은 싱크탱크와 연구 기관과 정부 간의 회전문으로 뒷받침되는 지적 능력
10미국의 진정한 글로벌 전략을 가진 세계 유일의 국가라는 점에서의 전략적 강점



그러나 펑위안은 미국의 약화된 부분도 지적했는데, 여기에는 초당적 협력 붕괴로 나타나는 정치력, 2007년 이후 경기 침체로 나타나는 경제력, 적자와 부채 증가로 인한 재정력, 사회적 양극화, 미국이 더 이상 글로벌 기구를 지배할 수 없다는 점에서 나타나는 제도적 힘 등이 포함된다.[22]

2. 2. 공간

모든 국가는 이익, 행위, 전력 투사에 있어서 지리적인 범위가 있다. 이 지리적인 범위는 지역 강국과 강대국을 가르는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지역 강국의 지리적 범위는 그 국가가 위치한 지역에 제한되어 있다. 강대국은 이러한 범위를 넘어서 존재하는 모든 국제 질서에 대한 실질적인 영향력을 보유해야 한다. 아널드 J. 토인비는 강대국을 동시대의 사회(society, 토인비의 '사회'란 문화권과 비슷한 의미이며, 새뮤얼 헌팅턴의 '문명'과 비슷한 개념)의 가장 넓은 범위에 정치적 강제력을 발휘할 수 있는 것으로 정의하였다.[151]

강대국은 이웃 나라와 지역을 넘어선 세계적 범위의 상황에 관여할 수 있는 능력을 보유해야 하며, 이는 그 국가가 이미 세계적 범위에서 행위를 할 이유가 있다는 의미이므로 이 두 가지는 연관되어 있다.[152]

2. 3. 지위

강대국은 국제 사회에서 공식적 또는 비공식적으로 강대국으로 인정받는다.[154][155] 조지 모델스키는 강대국이 권리와 의무로 짜여진 그물망 안에서의 강국들의 위치에 따라 규정된다고 하였다.[153][25]

강대국은 빈 회의, 베를린 회의, 베르사유 조약, 베스트팔렌 조약과 같이 역사적으로 중요한 국제 회의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하며, 세계 질서 형성에 큰 영향력을 미친다.

2. 4. 상식

케네스 월츠는 강대국을 상식으로 누구나 판별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전지구적 영향력을 행사하던 강대국 체제에서 미국과 소련 양국의 초강대국 시대가 열리자 강대국 개념은 버려졌고, 다시 소련이 붕괴하자 마찬가지 일이 일어났다. 앞으로 '하나의 초강대국과 다극체제', '극초강대국' 혹은 어떠한 체제든 국제관계에서 중요하게 여겨졌던 것들이 다른 것으로 바뀔 수도 있는 것이다.

3. 강대국의 역사

강대국의 지위는 공식적 또는 비공식적으로 인정되어 왔으며, 이는 강대국의 기준이 되기도 한다. 정치학자 조지 모델스키는 "강대국의 지위는 때때로 강력함과 혼동된다... 그러나 강대국 시스템은 권력 국가의 지위를 권리와 의무의 그물망에 제도화한다."라고 언급했다.[25]

역사적으로 강대국은 동시대 정치 및 외교 문제에 대한 논의에 포함될 만큼 충분한 영향력을 가져야 했으며, 그 결과와 해결에 영향을 미쳤다. 국제 연합과 같은 단체가 등장하기 전에는, 주요 역사적 사건을 기반으로 중요한 문제를 해결하는 회의에 강대국들이 모여 논의했고, 참가자는 강대국 지위에 따라 결정되었다.

장바티스트이자베의 1819년 초상화 ''빈 회의''


1919년 파리 강화 회의에서 빅 4: 데이비드 로이드 조지,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오를란도, 조르주 클레망소, 우드로 윌슨


얄타 회담의 유럽 빅 3: 윈스턴 처칠, 프랭클린 D. 루스벨트, 이오시프 스탈린


아시아 및 태평양 전선의 연합국 지도자: 장제스, 프랭클린 D. 루스벨트, 윈스턴 처칠, 1943년 카이로 회담


역사적으로 다양한 강대국들이 존재해 왔다. 초기 언급은 3세기로 거슬러 올라가며, 페르시아의 예언자 마니로마, 중국, 악숨, 페르시아를 자신의 시대에 가장 위대한 네 개의 왕국으로 묘사했다.[28]

"강대국"이라는 용어는 1815년 빈 회의에서 처음 등장했다.[21][30] 나폴레옹 전쟁 이후 평화를 유지하기 위한 유럽 협조 체제를 수립했다. 캐슬레이 경, 영국 외무 장관은 1814년 2월 13일 외교적 맥락에서 이 용어를 처음 사용했다.[9]

제1차 세계 대전제2차 세계 대전을 거치면서 국제 권력의 이동이 발생했다.[35]

19세기나폴레옹 전쟁 이후의 빈 체제 하에서 5국 동맹에 의해 열강의 개념이 강하게 의식되었다. 동아시아에서는 전통적으로 중화 사상에 기초하여 중국 역대 왕조의 황제가 '천하'를 지배하고 책봉 체제 하에서 동아시아의 국제 질서를 유지하는 것으로 생각되었으며, 같은 시대 오랫동안 대청 제국패권을 잡고 있었다.

20세기러일 전쟁 종결 후부터 제1차 세계 대전 사이 무렵에, 일본 제국이탈리아 왕국이 열강으로 간주되게 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종결 후에는 국제 연합 안전 보장 이사회 상임 이사국인 5대국 (미국 · 중국 · 영국 · 프랑스 · 러시아)과 일본 · 독일의 7개국을 가리키는 경우가 많다.[102][103]

스포츠 등 특정 분야에서의 강호국을 비유적으로 "열강"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21세기의 현대에, 세계의 GDP와 군사비의 총계는 그 절반 이상이 미국·영국·프랑스·러시아·중국·일본·독일 등 7대 강국에 의해 점유되고 있다.[105]

3. 1. 빈 체제 (1815년)

나폴레옹 전쟁 이후 빈 회의에서 유럽 협조 체제를 수립하면서 오스트리아 제국, 프랑스, 프로이센, 러시아, 영국이 5대 강국으로 인정받았다.[21] 이들은 주요 정치 문제 해결을 위한 회의에 참여하여 국제 문제에 영향력을 행사했다.[21][30] 17세기와 18세기 초 강대국이었던 스페인, 포르투갈, 스웨덴은 특정 문제에 대해 자문을 받았지만, 완전한 참여자는 아니었다.

빈 회의 이후, 산업화대영 제국의 광대한 해외 식민지를 기반으로 영국은 팍스 브리태니카 시대를 열며 세계적인 패권국으로 부상했다. 오토 폰 비스마르크는 "모든 정치는 이 공식으로 귀결된다. 세계가 다섯 개의 강대국의 불안정한 균형에 의해 지배되는 한, 셋 중 하나가 되도록 노력하라"라고 말하며 당시 세력 균형의 중요성을 강조했다.[31]

3. 2. 19세기 후반 ~ 20세기 초

산업 혁명제국주의 확산으로 강대국 간의 경쟁이 심화되었다. 독일 제국(1871년 이후), 이탈리아 왕국(리소르지멘토 시대 이후), 일본 제국(메이지 시대 동안), 미국(남북 전쟁 이후) 등이 새로운 강대국으로 부상했다.[32][33] 1900년까지 세계 권력의 균형은 빈 회의 이후 실질적으로 변화했다. 8개국 연합은 중국의 의화단 운동에 대한 대응으로 만들어진 8개국(빈 회의 5개국과 이탈리아, 일본, 미국)의 동맹이었다.[34]

1815년[119][120][121]1880년경[122]1901년[123]
--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 대청 제국
-- 프랑스 왕국-- 프랑스 공화국-- 프랑스 공화국
-- 프로이센 왕국-- 독일 제국-- 독일 제국
-- 이탈리아 왕국-- 이탈리아 왕국
-- 러시아 제국-- 러시아 제국
-- 미국


3. 3. 제1차 세계 대전 (1914년 ~ 1918년)

제1차 세계 대전의 종결과 그 결과로 체결된 베르사유 조약, 생제르맹 조약, 뇌이 조약, 트리아농 조약, 세브르 조약영국, 프랑스, 이탈리아, 일본, 미국을 새로운 세계 질서의 주요 중재자로 만들었다.[36] 독일 제국은 패배했고,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은 새롭고 덜 강력한 국가들로 분열되었으며, 러시아 제국은 혁명으로 붕괴되었다.

파리 강화 회의에서 "빅 4" - 영국, 프랑스, 이탈리아, 미국 - 는 일본보다 회의 진행과 조약의 결과에 더 큰 영향력을 행사했다. 빅 4는 독일과 체결된 베르사유 조약, 오스트리아와 체결된 생제르맹 조약, 불가리아와 체결된 뇌이 조약, 헝가리와 체결된 트리아농 조약, 오스만 제국과 체결된 세브르 조약의 설계자였다. 베르사유 조약 결정 과정에서 이탈리아는 요구 사항의 일부가 충족되지 않아 회의에서 탈퇴했고, 일시적으로 나머지 3개국이 이 조약의 주요 설계자로 남게 되어 "빅 3"으로 불렸다.[37]

승전국의 지위는 국제 연맹 이사회에서 상임이사국으로 인정받았으며, 이들은 국제 연맹 총회를 지휘하는 일종의 행정 기구 역할을 했다. 그러나 이사회는 처음에는 영국, 프랑스, 이탈리아, 일본 4개 상임이사국으로 시작했는데, 5번째 상임이사국이 될 예정이었던 미국이 국제 연맹에 가입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독일은 로카르노 조약 체결 후 국제 연맹에 가입한 후 나중에 탈퇴했으며(1933년 1933년 국제 연맹에서 탈퇴), 일본이 탈퇴하고 소련이 가입했다.

3. 4. 제2차 세계 대전 (1939년 ~ 1945년)

제2차 세계 대전이 1939년에 시작되자 세계는 연합국과 추축국 두 진영으로 나뉘었다.[38][39] 연합국은 처음에는 영국, 프랑스, 폴란드였으며, 1941년에 소련, 중화민국, 미국이 합류했다. 추축국은 독일, 이탈리아, 일본이었다.[38][39]

제2차 세계 대전 중 미국, 영국, 소련, 중화민국은 "강력한 자들의 신탁 통치"라고 불렸으며,[40] 1942년 연합국 선언에서 연합국의 "빅 4"로 인정받았다.[41] 이 4개국은 연합국의 "4명의 경찰관"으로 불렸으며 제2차 세계 대전의 주요 승리자로 간주되었다.[42]

제2차 세계 대전 연합국과 추축국
연합국추축국



전후, "강대국"이라는 용어에 여러 권력 분류가 추가되었다. 가장 중요한 것은 초강대국 개념으로, 세계의 나머지 국가들에 압도적인 권력과 영향력을 가진 국가들을 지칭한다. 이 용어는 1944년 윌리엄 T. R. 폭스에 의해 처음 만들어졌으며,[43] 그는 영국, 미국, 소련을 초강대국으로 꼽았다. 그러나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영국은 초강대국 지위를 잃었다.[44]

3. 5. 냉전 시대 (1945년 ~ 1991년)

냉전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미국소련, 그리고 그들의 동맹국인 서방 진영과 동구권 사이에 벌어진 지정학적 긴장 상태를 일컫는 기간이다. 냉전이라는 용어가 사용된 이유는 두 초강대국 사이에 직접적인 대규모 전투는 없었지만, 각 국가는 대리전이라고 알려진 주요 지역 분쟁을 지원했기 때문이다.[45] 이 갈등은 1945년 나치 독일에 대한 일시적인 동맹과 승리 이후 두 초강대국 간의 세계적 영향력을 위한 이념적, 지정학적 투쟁을 중심으로 전개되었다.[45]

냉전 기간 동안 일본, 프랑스, 영국, 서독은 경제를 재건했다. 프랑스와 영국은 무력 투사 능력을 갖춘 기술적으로 진보된 군대를 유지했으며, 오늘날까지 대규모 국방 예산을 유지하고 있다. 그러나 냉전이 지속되면서 당국은 프랑스와 영국이 오랫동안 유지해온 강대국 지위를 유지할 수 있는지 의문을 제기하기 시작했다.[46] 세계 최대 인구를 가진 중국은 전후 시대에 경제적, 군사적 강대국으로 성장하며 천천히 강대국 지위로 부상했다. 1949년 이후 중화민국은 다른 강대국들로부터 중국의 유일한 합법 정부로서의 인정을 잃기 시작했고, 중화인민공화국이 이를 대체하게 되었다. 이후 1971년에는 UN 안전 보장 이사회 상임이사국 지위도 중화인민공화국에 넘겨주었다.

3. 6. 냉전 이후 (1991년 ~ 현재)

소련 붕괴 이후, 미국은 유일한 초강대국으로 남았으나,[54] 점차 다극 체제로 변화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중국, 러시아, 영국, 프랑스, 독일, 일본 등이 강대국으로 간주된다.[47] 이들은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에서 거부권을 가진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의 상임 이사국이거나, 세계 3위와 4위의 명목 GDP를 보유한 경제 대국이다.[55][56][57]

유럽 연합(EU)은 경제, 외교 분야에서 영향력을 확대하며 강대국으로 부상하고 있다. 인도, 브라질 등이 잠재적 강대국으로 주목받고 있다.

중국, 프랑스, 러시아, 영국, 미국은 핵무기 비확산 조약에 따라 핵무기 보유국으로 인정되며, 세계에서 가장 많은 군사비를 지출하고 있다.[48]

다음은 2001년 이후 강대국으로 분류된 국가들이다.


4. 현대의 강대국

20세기 제2차 세계 대전 종결 후에는 국제 연합 안전 보장 이사회 상임 이사국인 미국, 중국, 영국, 프랑스, 러시아의 5대국과 일본, 독일을 포함하여 7개국을 강대국으로 보는 경우가 많다.[102][103] 일본과 독일은 제2차 세계 대전의 패전국으로 한때 강대국의 지위에서 제외되었으나, 이후 경제 대국으로 성장하여 다시 강대국으로 여겨지게 되었다.[102][103]

21세기 현대에는 세계의 국내 총생산(GDP)과 군사비의 절반 이상을 미국, 영국, 프랑스, 러시아, 중국, 일본, 독일 등 7대 강국이 차지하고 있다.[105] 이들 국가는 미국의 국가 정보 위원회, 전략 국제 문제 연구소, 영국의 국제 전략 연구소, 스웨덴의 스톡홀름 국제 평화 연구소, 인도의 방위 연구 협회, 전 일본 외무성 소관의 일본 국제 문제 연구소, 일본 방위성 소관의 방위 연구소 등 주요 기관에서도 강대국으로 인정받고 있다.[106][107][108][109][110][111][112][113]

한편, 역사학자 필립스 P. O'브라이언은 강대국 개념이 모호하고 일관성이 없다고 비판하며, 경제 자원, 국내 정치, 기술 능력, 사회 및 문화적 요인 등을 고려하는 "전(全) 범위 강국" 개념을 제시하기도 하였다.[27]

유럽 연합은 지역 통합을 통해 21세기 중반에 강대국으로 부상할 가능성이 제기되기도 한다.[114][115][116][117][118] 2020년에 유럽 연합에서 탈퇴한 영국도 강대국의 지위를 유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5. 한국과 강대국

한국은 지정학적으로 미국, 중국, 일본, 러시아와 같은 강대국에 둘러싸여 있어, 이들과의 관계 설정이 매우 중요하다.

참조

[1] 백과사전 Great Powers http://encarta.msn.c[...] MSN 2008-12-20
[2] 논문 Russia as a great power, 1815–2007 https://link.springe[...]
[3] 서적 World history, 1815–1930 https://archive.org/[...] Harcourt, Brace and Company
[4] 서적 When the Stakes Are High – Deterrence and Conflict among Major Powers http://www.press.umi[...]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5] 서적 The world we want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US
[6] 서적 Balance of Power https://books.googl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7] 서적 Rising Powers, Global Governance and Global Ethics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5-02-11
[8] 서적 Cooperating for peace and security: evolving institutions and arrangements in a context of changing U.S. security policy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0
[9] 서적 British Diplomacy 1813–1815: Selected Documents Dealing with the Reconciliation of Europe
[10] 서적 The European Union as a small power: After the post-Cold War Palgrave Macmillan
[11] 웹사이트 World power Definition & Meaning | Dictionary.com http://dictionary.re[...]
[12] 웹사이트 Dictionary – Major power http://dictionary.re[...]
[13] 서적 Theory of International Politics https://archive.org/[...] McGraw-Hill
[14] 서적 When the Stakes Are High – Deterrence and Conflict among Major Powers https://www.press.um[...]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15] 서적 The Struggle for Mastery in Europe 1848–1918 https://archive.org/[...] Clarendon
[16] 서적 World Politics Knopf
[17] 학술지 The Emerging Structure of International Politics http://www.ir.rochel[...] 1993
[18] 서적 The Tragedy of Great Power Politics W. W. Norton
[19] 서적 Diplomacy in a Changing World University of Notre Dame Press
[20] 서적 In the Theory and Practice of History Bobbs-Merrill
[21] 서적 When the Stakes Are High – Deterrence and Conflict among Major Powers https://www.press.um[...]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22] 서적 The Myth of America's Decline: Politics, Economics, and a Half Century of False Prophecies
[23] 서적 The World After the Peace Conference https://archive.org/[...] Humphrey Milford and Oxford University Press
[24] 서적 State Power, World Views, and the Major Powers Lynne Rienner
[25] 서적 Principles of World Politics Free Press
[26] 서적 Power, Political Capacity, and Security in the Global System Lynn Rienner
[27] 뉴스 There's No Such Thing as a Great Power https://www.foreigna[...] 2023-06-29
[28] 뉴스 Obelisk points to ancient Ethiopian glory http://news.bbc.co.u[...] 2005-04-11
[29] 서적 James Monroe: A Life
[30] 서적 World history, 1815–1920 https://books.google[...] Harcourt, Brace and Company
[31] 서적 Peace, War and the European Powers, 1814–1914 https://books.google[...] Palgrave Macmillan
[32] 웹사이트 Multi-polarity vs Bipolarity, Subsidiary hypotheses, Balance of Power http://www.courses.r[...] University of Rochester
[33] 웹사이트 European History Austria-Hungary 1870–1914 http://www.historyho[...]
[34] 서적 The Rise of Russia in Asia https://books.google[...] Read Books 2006-11-30
[35] 웹사이트 Power Transitions as the cause of war http://jcr.sagepub.c[...]
[36] 웹아카이브 Globalization and Autonomy https://web.archive.[...] 2007-12-15
[37] 서적 Paris 1919 https://archive.org/[...] Random House Trade
[38] 서적 The Economics of World War II: Six Great Powers in International Comparison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39] 문서 The Economics of World War II 2012-05-00
[40] 서적 Debating Franklin D. Roosevelt's foreign policies, 1933–1945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41] 서적 FDR and the Creation of the U.N. Yale University Press
[42] 서적 The Turning Point: Roosevelt, Stalin, Churchill, and Chiang Kai-Shek, 1943: The Moscow, Cairo, and Teheran Conferences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43] 서적 The Superpowers: The United States, Britain, and the Soviet Union – Their Responsibility for Peace
[44] 문서 Peden
[45] 서적 Geopolitics: From the Cold War to the 21st Century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7-07-12
[46] 웹사이트 Middle Power https://web.archive.[...] The Canadian Encyclopedia 2008-12-20
[47] 뉴스 Questioning Indonesia's place in the world Asia Times 2011-09-20
[48] 웹사이트 The 15 countries with the highest military expenditure in 2012 (table) https://web.archive.[...] Stockholm International Peace Research Institute 2013-04-15
[49] 웹사이트 Does China Matter? http://www.foreignaf[...] Foreign Affairs 1999-09-00
[50] 서적 European Security After 9/11 https://books.google[...] Ashgate
[51] 학술지 Russia as a great power, 1815–2007 10.1057/jird.2008.7
[52] 뉴스 Russia ponders its nuclear options 1995-11-06
[53] 뉴스 Putin It To The People 2000-03-25
[54] 문서 The fall of the Berlin Wall and the breakup of the Soviet Union
[55] 서적 Balance of Power: Theory and Practice in the 21st century https://books.google[...] Stanford University Press 2004-09-08
[56] 웹사이트 Europe's Superpower: Germany Is The New Indispensable (And Resented) Nation https://web.archive.[...] Worldcrunch.com 2011-11-28
[57] 뉴스 Germany: The reluctant superpower https://www.telegrap[...] The Daily Telegraph 2011-11-19
[58] 학술지 Neither Hegemony nor Dominance: Reconsidering German Power in Post Cold-War Europe
[59] 서적 A Rising Middle Power?: German Foreign Policy in Transformation, 1989–1999
[60] 웹사이트 Japan's Human Security Rolein Southeast Asia http://muse.jhu.edu/[...]
[61] 뉴스 Merkel as a world star - Germany's place in the world The Economist 2006-11-18
[62] 서적 G20: Perceptions and Perspectives for Global Governance Singapore 2011-10-19
[63] 서적 Global Encyclopaedia of Political Geography New Delhi
[64] 문서 Is Germany still a EU-ropean power? FRIDE Policy Brief
[65] 서적 Great Power Peace and American Primacy: The Origins and Future of a New International Order Palgrave Macmillan 2014-01-22
[66] 서적 Canada Among Nations, 2004: Setting Priorities Straight https://books.google[...] McGill-Queen's Press – MQUP 2005-01-17
[67] 서적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under international law: "selfistans", secession and the rule of the great powers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3
[68] 서적 Transforming Military Power since the Cold War: Britain, France, and the United States, 1991–2012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3
[69] 웹사이트 Why are Pivot States so Pivotal? The Role of Pivot States in Regional and Global Security https://web.archive.[...] The Hague Centre for Strategic Studies 2014
[70] 뉴스 Clarifying the nation's role strengthens the impact of a National Security Strategy 2019 https://web.archive.[...] Defence Connect 2020-01-22
[71] 웹사이트 Lebanon – Ministerial meeting of the International Support Group (Paris, 08.12.17) https://www.diplomat[...]
[72] 뉴스 Big power grouping urges Lebanon to uphold policy on steering clear of war https://www.reuters.[...] 2018-05-10
[73] 보도자료 Members of the International Support Group for Lebanon Meet with Prime Minister Designate Saad Hariri https://unscol.unmis[...] unmisssions.org 2022-03-07
[74] 서적 A United Nations for the twenty-first century: peace, security, and development https://www.google.i[...] Kluwer Law International 2016-06-13
[75] 웹사이트 Italy: 150 years of a small great power https://web.archive.[...] 2010-12-21
[76] 서적 Italy's foreign policy in the twenty-first century: the new assertiveness of an aspiring middle power Lexington Books 2011
[77] 서적 Italy and the European Union Brookings Institution Press 2011
[78] 서적 Italy: Justice System and National Police Handbook International Business Publications 2009
[79] 서적 Awkward Powers: Escaping Traditional Great and Middle Power Theory https://link.springe[...] Palgrave Macmillan 2024-09-20
[80] 서적 Strategic Vision: America & the Crisis of Global Power https://archive.org/[...] 2012
[81] 서적 India as an Asia Pacific Power Routledge 2012
[82] 간행물 Reinterpreting India's Rise through the Middle Power Prism 2011
[83] 간행물 India and the Central Eurasian Space Pinter Publishers 2007
[84] 간행물 India's Regional and International Support for Democracy: Rhetoric or Reality? 2009-05
[85] 서적 The Routledge Handbook of Transatlantic Security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0-07-02
[86] 웹사이트 Contemporary Concert Diplomacy: The Seven-Power Summit as an International Concert https://web.archive.[...] 2019-10-06
[87] 서적 The Role of the G8 in International Peace and Security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3-06-17
[88] 웹사이트 Russia y las grandes potencias https://web.archive.[...] 2019-10-28
[89] 서적 Volatility and friction in the age of disintermediation https://books.google[...] The Hague Centre for Strategic Studies 2022-04-29
[90] 서적 The United States and the Great Powers Polity Press
[91] 간행물 Zivilmacht Europa: A Critical Geopolitics of the European Union as a Global Power 2009-01
[92] 서적 India: Emerging Power
[93] 웹사이트 India's Rise as a Great Power, Part One: Regional and Global Implications https://web.archive.[...] Futuredirections.org.au 2011-07-07
[94] 웹사이트 Brazil's Quest for Superpower Status http://www.diplomati[...] The Diplomatic Courier 2011-10-29
[95] 서적 The BRICs Superpower Challenge: Foreign and Security Policy Analysis https://books.google[...] Ashgate
[96] 서적 The Elephant and the Dragon: The Rise of India and China and What it Means for All of Us https://archive.org/[...] W.W Norton and Company
[97] 웹사이트 India pushes the envelope at G4 Summit: PM Modi tells UNSC to make space for largest democracies http://www.firstpost[...] 2015-09-27
[98] 서적 World history, 1815–1920 https://books.google[...] Harcourt, Brace and Company
[99] 서적 When the Stakes Are High—Deterrence and Conflict among Major Powers http://www.press.umi[...]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2002
[100] 서적 British Diplomacy 1813–1815: Selected Documents Dealing with the Reconciliation of Europe G Bell 1931
[101] 웹사이트 列強 - Yahoo辞書 http://dic.search.ya[...]
[102] 웹사이트 GLOBAL HIERARCHY http://apcss.org/Pub[...]
[103] 웹사이트 Great Powers in the Post-Cold War World https://www.google.c[...]
[104] 웹사이트 World’s fifteen most powerful countries in 2012 http://europeangeost[...]
[105] 웹사이트 Current Alignment of Great and Middle Powers http://www.pearsonhi[...]
[106] 보고서 CSIS - Democracy in U.S. Security Strategy http://csis.org/file[...]
[107] 보고서 IISS - Sanctions as Grand Strategy http://www.iiss.org/[...]
[108] 보고서 SIPRI - A Future Arms Control Agend http://books.sipri.o[...]
[109] 보고서 EUROPEAN SECURITY FORUM - WHAT PROSPECTS FOR NORMATIVE FOREIGN POLICY IN A MULTIPOLAR WORLD ? http://aei.pitt.edu/[...]
[110] 보고서 IDSA - North Korea after Kim Jong-Ⅱ:Implications for East Asian Security http://www.idsa.in/s[...]
[111] 보고서 JIIA - 平成22年度外務省国際問題調査研究・提言事業 アジア太平洋における各種統合の長期的な展望と日本の外交 http://www2.jiia.or.[...]
[112] 보고서 NIDS - 平成15年度防衛戦略研究会議報告と討議 「イラク戦争後の国連、同盟、有志連合」 https://www.nids.mod[...]
[113] 뉴스 세계의 군사력 랭킹, 일본은? https://www.business[...]
[114] 서적 Global Powers in the 21st Century http://www.chapters.[...]
[115] 보고서 NIC - Report of the National Intelligence Council’s 2020 Projec http://www.space-lib[...]
[116] 보고서 CSIR - Regions and Powers The Structure of International Security http://blogriobranco[...]
[117] 보고서 RISING POWER - the new global reality http://www.stanleyfo[...]
[118] 보고서 アメリカ合衆国国家情報会議 - NIC Global Trends 2030 http://globaltrends2[...]
[119] 백과사전 Great Powers http://encarta.msn.c[...] MSN 2008-12-20
[120] 서적 World history, 1815–1920 https://books.google[...] Harcourt, Brace and Company
[121] 서적 When the Stakes Are High—Deterrence and Conflict among Major Powers https://www.press.um[...]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122] 서적 A History of Our Own Times, from 1880 to the Diamond Jubilee https://books.google[...] Harper & Brothers, Publishers
[123] 서적 The Rise of Russia in Asia https://books.google[...]
[124] 서적 Peacemakers: The Paris Peace Conference of 1919 and Its Attempt to End War Random House Trade
[125] 서적 The Superpowers: The United States, Britain and the Soviet Union – Their Responsibility for Peace
[126] 서적 Britain and World Power Since 1945: Constructing a Nation's Role in International Politic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127] 서적 UW Press: Korea's Future and the Great Powers https://web.archive.[...]
[128] 저널 China Views Globalization: Toward a New Great-Power Politics? https://web.archive.[...] The Washington Quarterly
[129] 웹사이트 The Geopolitics of China https://web.archive.[...] 스트랫포 2008-06-15
[130] 서적 The world we want https://books.google[...] 옥스퍼드 대학교 출판부
[131] 서적 대국의 흥망―1500년부터 2000년까지의 경제의 변천과 군사 투쟁 랜덤 하우스
[132] 서적 International History of the Twentieth Century and Beyond 라우틀리지
[133] 서적 Power Politics Continuum International Publishing Group
[134] 서적 Theory of International Politics 맥그로힐
[135] 서적 Canada Among Nations, 2004: Setting Priorities Straight https://books.google[...] McGill-Queen's Press - MQUP 2005-01-17
[136] 서적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under international law : "selfistans", secession and the rule of the great powers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3
[137] 서적 Transforming Military Power since the Cold War: Britain, France, and the United States, 1991–2012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3
[138] 서적 Italy: Justice System and National Police Handbook International Business Publications
[139] 웹사이트 Italy: 150 years of a small great power https://web.archive.[...] 2010-12-21
[140] 서적 Italy's foreign policy in the twenty-first century : the new assertiveness of an aspiring middle power Lexington Books 2011
[141] 서적 The Economics of World War II: Six Great Powers in International Comparison https://books.google[...] ケンブリッジ大学出版局
[142] 서적 Balance of Power https://books.googl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143] 웹사이트 Asia’s overlooked Great Power https://www.project-[...] 2007-04-20
[144] 웹사이트 Analyzing American Power in the Post-Cold War Era http://post.queensu.[...] 2007-02-28
[145] 서적 What is a Great Power? A Concept and Its Meaning for Understanding International Relations https://books.google[...] 2017-10-09
[146]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www.fwbusines[...] 2010-06-20
[147] 웹인용 Hyperpower Balancing and American Foreign Policy: Targeting Rogue States http://www.allacadem[...] 2012-04-23
[148] 웹사이트 History and the Hyperpower http://www.foreignaf[...]
[149] 서적 Days of Empire http://search.barnes[...]
[150] 서적 Theory of International Politics McGraw-Hill
[151] 서적 The World After the Peace Conference Humphrey Milford and Oxford University Press
[152] 서적 State Power, World Views, and the Major Powers Lynne Rienner
[153] 서적 Principles of World Politics Free Press
[154] 서적 When the Stakes Are High—Deterrence and Conflict among Major Powers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155] 서적 Power, Political Capacity, and Security in the Global System Lynn Rienne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