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9년 일본 프로 야구 올스타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89년 일본 프로 야구 올스타전은 쇼와 시대에서 헤이세이 시대로 연호가 바뀌고, 오릭스 버펄로스와 후쿠오카 다이에 호크스가 창단된 해에 2경기로 치러졌다. 1차전에서는 퍼시픽 리그가 센트럴 리그를 6:0으로 이겼으며, 롯데의 무라타 조지가 MVP로 선정되었다. 2차전에서는 센트럴 리그가 4:1로 승리했으며, 주니치의 히코노 도시카쓰가 MVP를 차지했다. 경기는 TV와 라디오를 통해 중계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89년 야구 - 1989년 일본 시리즈
1989년 일본 시리즈는 요미우리 자이언츠가 긴테쓰 버펄로스를 4승 3패로 꺾고 우승했으며, 고마다 노리히로가 MVP를, 아라이 히로마사가 감투상을 수상했다. - 1989년 야구 - 1989년 한국시리즈
1989년 한국시리즈는 정규 시즌 1위 빙그레 이글스와 플레이오프 승리팀 해태 타이거즈의 대결이며, 해태 타이거즈가 4승 1패로 승리하여 한국시리즈 4연패를 달성했다. - 1989년 7월 - 아시아 태평양 박람회
1989년 후쿠오카시 시제 시행 100주년을 기념하여 개최된 아시아 태평양 박람회는 '새로운 세계의 만남을 찾아서'라는 주제로 700만 명 이상의 관람객을 동원했으나, 예산 낭비 및 환경 문제 등에 대한 비판도 있었다. - 1989년 7월 - 제13차 세계청년학생축전
제13차 세계청년학생축전은 1989년 평양에서 177개국 22,000여 명이 참가한 역대 최대 규모의 국제 행사로, "반제국주의 연대, 평화와 우정을 위하여"라는 슬로건 아래 진행되었으나, 북한 경제에 타격을 주고 남북 관계 악화에 영향을 주었다는 평가를 받는다. - 일본 프로 야구 올스타전 - 1954년 일본 프로 야구 올스타전
1954년 일본 프로 야구 올스타전은 텔레비전 중계가 처음 시작된 해에 센트럴 리그와 퍼시픽 리그 올스타팀이 맞붙어 1, 2차전 모두 퍼시픽 리그가 승리했으며, 나카니시 후토시와 야마우치 가즈히로가 MVP를 수상했고, 찰리 루이스는 외국인 선수 최초로 포수로 선발 출전했다. - 일본 프로 야구 올스타전 - 1959년 일본 프로 야구 올스타전
1959년 일본 프로 야구 올스타전은 센트럴 리그와 퍼시픽 리그의 최고 선수들이 참가한 2경기 시리즈로, 각 리그가 1승씩을 거두었으며 팬 투표로 선출된 선수들과 보충 선수들이 참가했고 TV와 라디오로 중계되었다.
1989년 일본 프로 야구 올스타전 | |
---|---|
대회 정보 | |
명칭 | 1989 산요 올스타 게임 |
후원 | 삼양 전기 |
감독 | |
센트럴 리그 감독 | 호시노 센이치 |
퍼시픽 리그 감독 | 모리 마사아키 |
팬 투표 | |
센트럴 리그 최다 득표 선수 | 이케야마 다카히로 |
퍼시픽 리그 최다 득표 선수 | 가도타 히로미쓰 |
경기 1 | |
날짜 | 7월 25일 |
장소 | 메이지 진구 야구장 |
원정팀 | 퍼시픽 리그 |
홈팀 | 센트럴 리그 |
스코어 | 6 - 0 |
MVP | 무라타 조지 |
경기 2 | |
날짜 | 7월 26일 |
장소 | 후지이데라 구장 |
원정팀 | 센트럴 리그 |
홈팀 | 퍼시픽 리그 |
스코어 | 4 - 1 |
MVP | 히코노 도시카쓰 |
2. 경기 개요
전년도 일본 시리즈에서 3년 연속 우승한 세이부 라이온스의 모리 마사아키 감독이 퍼시픽 리그 올스타팀을 지휘했고, 센트럴 리그 우승팀 주니치 드래건스의 호시노 센이치 감독이 센트럴 리그 올스타팀을 지휘했다.[1]
1차전에서는 롯데의 베테랑 투수 무라타 조지가 퍼시픽 리그 올스타팀 선발 투수로 나와 3이닝 동안 2피안타, 3탈삼진, 무실점으로 호투하며 올스타전 MVP를 수상했다.[1] 2차전에서는 센트럴 리그 올스타팀 감독이자 주니치 소속인 호시노 센이치 감독의 선수들이 활약했는데, 특히 히코노 도시카쓰, 우노 마사루, 나카무라 다케시 등이 공격과 수비에서 좋은 모습을 보였다. 히코노는 3회에 퍼시픽 리그 올스타팀 투수 니시자키 유키히로(닛폰햄)를 상대로 솔로 홈런을 쳐 2차전 MVP가 됐다.[1]
2. 1. 시대적 배경
1989년 1월 7일, 쇼와 천황이 붕어하면서 연호가 쇼와에서 헤이세이로 바뀌었다.[1] 오릭스 브레이브스와 후쿠오카 다이에 호크스가 창단되어 프로 야구계에 변화가 있었으며, 26년간 3경기 체제로 진행되던 올스타전이 이 해부터 2경기로 단축됐다.[1]2. 2. 경기 방식
전년도에 3년 연속 일본 시리즈 정상에 오른 세이부 라이온스의 모리 마사아키 감독이 퍼시픽 리그 올스타팀을 지휘했고, 센트럴 리그 우승을 이끈 주니치 드래건스의 호시노 센이치 감독이 센트럴 리그 올스타팀의 지휘를 맡았다. 1월 7일 쇼와 천황이 붕어하면서 연호가 쇼와에서 헤이세이로 바뀌었고, 프로 야구계에도 오릭스 브레이브스와 후쿠오카 다이에 호크스가 창단하여 26년간 3경기 체제였던 올스타전이 이 해부터 2경기로 단축됐다.3. 출장 선수
센트럴 리그[2] | 퍼시픽 리그[2] | ||||||
---|---|---|---|---|---|---|---|
감독 | 호시노 센이치 | 주니치 | 감독 | 모리 마사아키 | 세이부 | ||
코치 | 후지타 모토시 | 요미우리 | 코치 | 오기 아키라 | 긴테쓰 | ||
야마모토 고지 | 히로시마 | 곤도 사다오 | 닛폰햄 | ||||
투수 | 니시모토 다카시 마키하라 히로미 구와타 마스미 사이토 마사키 쓰다 쓰네미 나가토미 히로시 가와구치 가즈히사 나카야마 히로아키 나이토 나오유키 야마모토 마사히로▲ | 주니치 외 | 투수 | 니시자키 유키히로 마쓰누마 히로히사 와타나베 히사노부 아와노 히데유키 오노 가즈요시 사토 세이이치 사토 요시노리 호시노 노부유키 우시지마 가즈히코 무라타 조지 | 닛폰햄 외 | ||
포수 | 나카오 다카요시 나카무라 다케시 다쓰카와 미쓰오 | 요미우리 외 | 포수 | 다무라 후지오 이토 쓰토무 나카지마 사토시 | 닛폰햄 외 | ||
1루수 | L. 패리쉬 | 야쿠르트 | 1루수 | 기요하라 가즈히로 | 세이부 | ||
2루수 | 시노즈카 도시오 | 요미우리 | 2루수 | 오이시 다이지로 | 긴테쓰 | ||
3루수 | 오카자키 가오루 | 요미우리 | 3루수 | 마쓰나가 히로미 | 오릭스 | ||
유격수 | 이케야마 다카히로 | 야쿠르트 | 유격수 | 다나카 유키오 | 닛폰햄 | ||
내야수 | 오치아이 히로미쓰 우노 마사루 쇼다 고조 와다 유타카 오카다 아키노부 | 주니치 외 | 내야수 | 쓰지 하쓰히코 이시게 히로미치 부머 W. 아이코 다케시 | 세이부 외 | ||
외야수 | W. 크로마티 이노우에 신지 히코노 도시카쓰 야마자키 겐이치 히로사와 가쓰미 오사나이 다카시▲ | 요미우리 외 | 외야수 | 가도타 히로미쓰 아키야마 고지 후지이 야스오 아라이 히로마사 야마모토 가즈노리 M. 디아즈 다카자와 히데아키 | 오릭스 외 |
- '''굵은 글씨'''는 팬 투표로 선출된 선수, ▲는 출장 사퇴 선수 발생에 의한 보충 선수.
- 센트럴 리그의 오바나 다카오, 하라 다쓰노리는 부상으로 인해 출전을 사퇴했으며, 야마모토 마사히로, 오사나이 다카시가 보충 선수로 출전했다.
3. 1. 센트럴 리그
센트럴 리그[2] | |||
---|---|---|---|
감독 | 호시노 센이치 | 주니치 | |
코치 | 후지타 모토시 | 요미우리 | |
야마모토 고지 | 히로시마 | ||
투수 | 니시모토 다카시 | 주니치 | 7 |
마키하라 히로미 | 요미우리 | 2 | |
구와타 마스미 | 요미우리 | 3 | |
사이토 마사키 | 요미우리 | 첫 출장 | |
쓰다 쓰네미 | 히로시마 | 5 | |
나가토미 히로시 | 히로시마 | 첫 출장 | |
가와구치 가즈히사 | 히로시마 | 5 | |
나카야마 히로아키 | 다이요 | 2 | |
나이토 나오유키 | 야쿠르트 | 첫 출장 | |
야마모토 마사히로▲ | 주니치 | 첫 출장 | |
포수 | 나카오 다카요시 | 요미우리 | 3 |
나카무라 다케시 | 주니치 | 2 | |
다쓰카와 미쓰오 | 히로시마 | 5 | |
1루수 | L. 패리쉬 | 야쿠르트 | 첫 출장 |
2루수 | 시노즈카 도시오 | 요미우리 | 8 |
3루수 | 오카자키 가오루 | 요미우리 | 첫 출장 |
유격수 | 이케야마 다카히로 | 야쿠르트 | 2 |
내야수 | 오치아이 히로미쓰 | 주니치 | 9 |
우노 마사루 | 주니치 | 2 | |
쇼다 고조 | 히로시마 | 3 | |
와다 유타카 | 한신 | 첫 출장 | |
오카다 아키노부 | 한신 | 7 | |
외야수 | W. 크로마티 | 요미우리 | 2 |
이노우에 신지 | 요미우리 | 첫 출장 | |
히코노 도시카쓰 | 주니치 | 첫 출장 | |
야마자키 겐이치 | 다이요 | 첫 출장 | |
히로사와 가쓰미 | 야쿠르트 | 3 | |
오사나이 다카시▲ | 히로시마 | 2 | |
3. 2. 퍼시픽 리그
감독 | 모리 마사아키 | 세이부 | |
---|---|---|---|
코치 | 오기 아키라 | 긴테쓰 | |
! 곤도 사다오 | 닛폰햄 | ||
투수 | 니시자키 유키히로 | 닛폰햄 | 2 |
마쓰누마 히로히사 | 세이부 | 5 | |
와타나베 히사노부 | 세이부 | 4 | |
아와노 히데유키 | 긴테쓰 | 3 | |
오노 가즈요시 | 긴테쓰 | 4 | |
사토 세이이치 | 닛폰햄 | 첫 출장 | |
사토 요시노리 | 오릭스 | 5 | |
호시노 노부유키 | 오릭스 | 3 | |
우시지마 가즈히코 | 롯데 | 5 | |
무라타 조지 | 롯데 | 13 | |
포수 | 다무라 후지오 | 닛폰햄 | 4 |
이토 쓰토무 | 세이부 | 6 | |
나카지마 사토시 | 오릭스 | 첫 출장 | |
1루수 | 기요하라 가즈히로 | 세이부 | 4 |
2루수 | 오이시 다이지로 | 긴테쓰 | 7 |
3루수 | 마쓰나가 히로미 | 오릭스 | 6 |
유격수 | 다나카 유키오 | 닛폰햄 | 2 |
내야수 | 쓰지 하쓰히코 | 세이부 | 3 |
이시게 히로미치 | 세이부 | 9 | |
부머 W. | 오릭스 | 5 | |
아이코 다케시 | 롯데 | 첫 출장 | |
외야수 | 가도타 히로미쓰 | 오릭스 | 12 |
아키야마 고지 | 세이부 | 5 | |
후지이 야스오 | 오릭스 | 첫 출장 | |
아라이 히로마사 | 긴테쓰 | 3 | |
야마모토 가즈노리 | 다이에 | 2 | |
M. 디아즈 | 롯데 | 첫 출장 | |
다카자와 히데아키 | 롯데 | 5 |
- '''굵은 글씨'''는 팬 투표로 선출된 선수.
4. 경기 결과
1989년 올스타전은 3년 연속 일본 시리즈 우승을 달성한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의 모리 마사아키 감독이 전 퍼시픽 리그(올 퍼)를 이끌었고, 센트럴 리그를 제패한 주니치 드래건스의 호시노 센이치 감독이 전 센트럴 리그(올 센)를 이끌었다. 이 해는 쇼와 천황이 붕어하고 연호가 헤이세이로 바뀌었으며, 프로 야구계에도 오릭스 브레이브스와 후쿠오카 다이에 호크스가 탄생했고, 26년간 3경기 체제였던 올스타전이 2경기로 단축된 해였다.
1차전에서는 롯데의 베테랑 무라타 초지가 전 퍼시픽 리그 선발 투수로 나와 3이닝 2피안타 3탈삼진 무실점으로 호투하여 MVP를 받았다. 2차전에서는 주니치 드래건스 소속 선수들인 히코노 토시카츠, 우노 마사루, 나카무라 타케시 등이 활약했다.
4. 1. 1차전
1989년 7월 25일에 후지이데라 구장에서 열린 올스타전 1차전은 퍼시픽 리그가 센트럴 리그를 6대 0으로 꺾었다. 롯데 오리온즈의 무라타 조지가 3이닝 동안 2피안타 3탈삼진 무실점으로 호투하여 MVP로 선정되었다.[1]경기 초반부터 퍼시픽 리그가 득점 기회를 잡았다. 1회초 닛폰햄 파이터스의 다무라 후지오가 선제 솔로 홈런을 터뜨렸고, 3회초에도 다무라 후지오가 다시 한번 타점을 올렸다. 4회초에는 오릭스 브레이브스의 후지이 야스오가 2점 홈런을 쏘아 올리며 점수 차를 벌렸다.[1]
7회초에는 다이에 호크스의 야마모토 가즈노리가 솔로 홈런을 추가하며 퍼시픽 리그가 승기를 잡았다. 센트럴 리그는 3안타 빈공에 그치며 영봉패를 당했다.[1]
이 경기에서 무라타 조지 외에도 아와노 히데유키, 우시지마 가즈히코, 와타나베 히사노부 등 퍼시픽 리그 투수들이 이어 던지며 센트럴 리그 타선을 무실점으로 막았다. 센트럴 리그에서는 니시모토 다카시를 시작으로 마키하라 히로미, 사이토 마사키 등 여러 투수가 등판했지만, 퍼시픽 리그 타선의 화력을 막아내지 못했다.[1]
- '''MVP''': 무라타 조지(롯데)[1]
- 경기 시간: 2시간 16분[1]
{| class="wikitable"
|+ 1989년 올스타전 1차전 출전 선수[1]
|-
! 퍼시픽 리그 !! 센트럴 리그
|-
|
타순 | 수비 | 선수 |
---|---|---|
1 | (중) | 아키야마 고지 |
2 | (二) | 오이시 다이지로 |
3 | (一) | 부머 W. |
4 | (좌) | 가도타 히로미쓰 |
5 | (三) | 기요하라 가즈히로 |
6 | (유) | 마쓰나가 히로미 |
7 | (우) | 후지이 야스오 |
8 | (포) | 다무라 후지오 |
9 | (투) | 무라타 조지 |
|
타순 | 수비 | 선수 |
---|---|---|
1 | (중) | W. 크로마티 |
2 | (二) | 쇼다 고조 |
3 | (三) | 오치아이 히로미쓰 |
4 | (一) | L. 패리쉬 |
5 | (유) | 이케야마 다카히로 |
6 | (좌) | 야마자키 겐이치 |
7 | (우) | 히로사와 가쓰미 |
8 | (포) | 나카무라 다케시 |
9 | (투) | 니시모토 다카시 |
|}
4. 2. 2차전
1989년 7월 26일에 후지이데라 구장에서 열린 2차전은 센트럴 리그가 퍼시픽 리그를 4대 1로 이겼다. MVP는 히코노 도시카쓰(주니치 드래건스)가 차지했다.'''센트럴 리그 vs 퍼시픽 리그'''
1 | 2 | 3 | 4 | 5 | 6 | 7 | 8 | 9 | R | H | E | |
---|---|---|---|---|---|---|---|---|---|---|---|---|
센트럴 | 0 | 0 | 1 | 0 | 0 | 0 | 0 | 2 | 1 | 4 | 8 | 0 |
퍼시픽 | 0 | 0 | 1 | 0 | 0 | 0 | 0 | 0 | 0 | 1 | 6 | 0 |
- '''승리 투수''': 나가토미 히로시(1승)
- '''패전 투수''': 사토 세이이치(1패)
- '''세이브''': 쓰다 쓰네미(1세이브)
- '''홈런'''
- 센트럴: 히코노 도시카쓰(1호, 솔로 - 니시자키 유키히로), 우노 마사루(1호, 솔로 - 사토 요시노리)
- 퍼시픽: 부머 웰스(1호, 솔로 - 구와타 마스미)
- 경기 시간: 2시간 24분
타순 | 포지션 | 선수 |
---|---|---|
1 | (좌) | 히코노 도시카쓰 |
2 | (二) | 와다 유타카 |
3 | (三) | 오카다 아키노부 |
4 | (一) | L. 패리쉬 |
5 | (중) | W. 크로마티 |
6 | (유) | 이케야마 다카히로 |
7 | (우) | 이노우에 신지 |
8 | (포) | 나카무라 다케시 |
9 | (투) | 구와타 마스미 |
타순 | 포지션 | 선수 |
---|---|---|
1 | (우) | 야마모토 가즈노리 |
2 | (중) | 아라이 히로마사 |
3 | (一) | 부머 웰스 |
4 | (좌) | 가도타 히로미쓰 |
5 | (三) | 기요하라 가즈히로 |
6 | (유) | 마쓰나가 히로미 |
7 | (二) | 오이시 다이지로 |
8 | (포) | 나카지마 사토시 |
9 | (투) | 오노 가즈요시 |
5. 미디어 중계
1989년 일본 프로 야구 올스타전은 TV와 라디오를 통해 중계되었다.
1차전은 후지 TV, TV 아사히, NHK 종합에서, 2차전은 아사히 방송(TV 아사히 계열), NHK 종합에서 중계했다. 민영 방송사 간의 동시 중계는 이 해 1차전이 마지막이었다.
라디오 중계 방송사, 해설 및 실황은 아래 표와 같다.
구단 | 방송사 | 해설 및 실황 |
---|---|---|
제1전 (7월 25일) | ||
제2전 (7월 26일) |
5. 1. TV 중계
- 1차전(7월 25일)
- * 민영 방송사 간의 동시 중계는 이 해의 1차전이 마지막이었다.
- * 후지 TV
- ** 실황: 오오카와 카즈히코
- ** 해설: 니시모토 유키오, 타니자와 켄이치
- ** 게스트 해설: 쿠리야마 히데키(야쿠르트), 츠노 히로시(닛폰햄)
- ** 게스트: 가토 차, 시무라 켄, 아사노 유코, 야마다 쿠니코, 이시다 준이치, 스즈키 호나미, 헤미 마사타카
- ** 리포터: 나가노 토모코, 나카이 미호
- * TV 아사히
- ** 실황: 아사오카 사토시
- ** 해설: 타케가미 시로, 히가시오 오사무, 노무라 카츠야, 이나오 카즈히사, 야마모토 카즈유키, 쿠니사다 야스히로, 카와무라 히데후미
- ** 게스트 해설: 나가시마 시게오
- ** 게스트: 쿠로테츠 히로시, 쿠메 히로시, 코바야시 잇키 (이상, 뉴스 스테이션에서), 코니시키 야소키치, 미사토 미스즈
- ** 롯폰기 TV 아사히 앞 특설 회장
진행: 오오쿠마 에이지(TV 아사히 아나운서)
게스트: 타카다 준지, 다초 클럽, 타나카 미나코
- * NHK 종합 (중계 녹화)
- ** 해설: 스즈키 케이지, 야마다 히사시
- 2차전(7월 26일)
- * 아사히 방송 (≪TV 아사히 계열≫)
- ** 실황: 우에쿠사 사다오
- ** 해설: 이나오 카즈히사
- ** 게스트 해설: 나카니시 후토시(긴테츠 코치)
- ** 게스트: 미야자키 요시코
- * NHK 종합 (중계 녹화·스포츠 타임에 내포)
- ** 해설: 타카다 시게루, 나시다 마사타카
5. 2. 라디오 중계
(7월 25일)(7월 26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