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호 돌격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3호 돌격포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독일에서 개발된 돌격포로, 보병 지원 및 대전차전을 위해 제작되었다. 3호 전차의 차체를 기반으로 제작되었으며, 낮은 차체와 강력한 화력을 갖춰 위장과 대전차전에 효과적이었다. 1937년 시제품이 제작되었고, 1940년 프랑스 침공에 처음 실전 투입되었다. 동부 전선에서 T-34 전차에 대응하여 대전차 병기로 활약했으며, 9,408대 이상 생산되어 독일 기갑차량 중 가장 많이 생산된 차량 중 하나이다. 종전 후에도 여러 국가에서 운용되었으며, 한국 전쟁에는 직접 투입되지 않았지만, 한국군 기갑 전력 발전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보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제2차 세계 대전의 돌격포 - SU-76
SU-76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소련에서 개발되어 다양한 임무에 투입된 자주포로, T-26, T-70 경전차 차체를 기반으로 제작되었으며, 한국 전쟁에도 참전했다. - 제2차 세계 대전의 돌격포 - ISU-152
ISU-152는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소련군이 운용한 중자주포로, SU-152를 기반으로 개발되었으며 152mm 곡사포를 탑재하여 요새화된 진지 파괴, 보병 지원, 중전차 구축 등 다방면으로 활용되었고, 특히 독일 중장갑 차량을 효과적으로 제압하여 "야수 사냥꾼"이라는 별칭을 얻었다. - 75 mm 포 - 크루프포
크루프포는 1811년 프리드리히 크루프가 설립한 크루프 가문에서 개발한 강철 대포를 의미하며, 알프레드 크루프의 주도로 베세머 공법을 도입하여 강철을 대량 생산하면서 군용 후장포를 설계하여 국제적으로 판매했다. - 75 mm 포 - 4호 돌격포
4호 돌격포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독일에서 4호 전차 차체를 활용하여 개발되었으며, 1943년부터 1945년까지 생산되어 4호 구축전차와 동등한 화력을 갖춘 돌격포이다. - 제2차 세계 대전의 독일 기갑 전투 차량 - Sd.Kfz. 234
Sd.Kfz. 234는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독일군이 사용한 8륜 장갑차로, 다양한 파생형이 존재하며 뛰어난 기동성을 갖췄지만 엔진 출력 및 승무원 안전에 문제점이 있었고, 서부 및 동부 전선에서 운용되었다. - 제2차 세계 대전의 독일 기갑 전투 차량 - 판처베르퍼
판처베르퍼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독일군이 네벨베르퍼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개발한 오펠 마울티어 반궤도 차량 기반의 자주식 다연장 로켓포로, 동부 전선과 서부 전선에서 화력 지원 및 심리적 공포 유발에 사용되었다.
3호 돌격포 | |
---|---|
개요 | |
![]() | |
종류 | 돌격포 |
원산지 | 나치 독일 |
사용 기간 | 1940년–1945년 (독일군 복무) 1949년–1973년 (시리아군 복무) |
사용 국가 | "운용국" 참고 |
참전 | 제2차 세계 대전 물 전쟁 6일 전쟁 욤 키푸르 전쟁 |
설계 | 알케트 |
생산 | 알케트, MIAG |
대당 가격 | RM 82,500 |
생산 대수 | 약 10,086대 슈투크 III 약 1,299대 StuH 42 |
제원 (StuG III Ausf. G, 1942년) | |
종류 | StuG III Ausf. G, 1942년 |
길이 | 6.85 m |
폭 | 2.95 m |
높이 | 2.16 m |
중량 | 23.9 톤 |
현가 장치 | 토션 바 |
속도 | 40 km/h |
연료 용량 | 300-320 리터 |
항속 거리 | 도로: 155 km 야지: 75 km |
주무장 | 1 × 7.5 cm StuK 40 L/48 (54발) |
부무장 | 1 × 7.92 mm MG34 또는 MG42 기관총 (600발) 1 × 동축 7.92 mm MG34 기관총 (1944년부터, 600발) |
장갑 | 16–80 mm |
엔진 | 마이바흐 HL120 TRM V-12 가솔린 엔진 |
변속기 | 6단 변속기 |
엔진 출력 | 300 PS (296 hp, 220 kW) |
마력 대 중량비 | 12 PS (9.2 kW) / 톤 |
승무원 | 4명 (운전병, 지휘관, 포수, 장전수) |
2. 역사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독일군은 서부 전선에서 참호전을 겪으며 보병 부대가 적의 방어 거점을 효과적으로 공격할 수단이 부족하다는 것을 절감했다. 에리히 폰 만슈타인 장군은 1935년 루트비히 베크 장군에게 보병 사단에 직사 화력을 제공하는 '돌격포병' 개념을 제안했다.[5]
1936년 다임러-벤츠는 75mm 포를 탑재한 보병 지원 장갑차량 개발 명령을 받았다. 이 차량은 3호 전차의 차체를 기반으로 설계되었으며, 1937년 알케트 사가 3호 전차 Ausf. B 차체를 기반으로 한 시제품 5대를 생산했다. 초기형은 연강 상부 구조와 단포신 7.5cm StuK 37 L/24 포를 탑재했다.[5]
1940년 프랑스 침공에 시제품 A형이 처음 실전에 투입되었다. 초기 3호 돌격포는 보병 지원을 위해 4호 전차 초기형과 같은 24구경 75mm 포를 탑재했다. 그러나 동부전선에서 T-34와 KV-1 등 강력한 소련 전차를 만나면서, 3호 돌격포는 대전차 능력을 강화하기 위해 장포신 7.5cm StuK 40 L/43(1942년 봄), 7.5cm StuK 40 L/48(1942년 가을) 포로 교체되었다.[4]
3호 돌격포는 동부 전선, 북아프리카 전선, 서부 전선, 이탈리아 전선 등 다양한 전선에서 활약했다. 특히, 독소전쟁에서 T-34와 KV-1 등 강력한 소련 전차에 맞서는 데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1944년 봄까지 3호 돌격포는 약 20,000대의 소련 전차를 격파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1943년 말, 연합군의 폭격으로 3호 돌격포 생산에 차질이 생기자 4호 돌격포 생산이 시작되었다. 3호 돌격포는 2차 세계 대전 동안 가장 많이 생산된 독일 기갑차량 중 하나로, 총 9,408대의 3호 돌격포와 1,211대의 돌격곡사포가 생산되었다.
3호 돌격포는 동시대 독일 전차보다 저렴하고 빠르게 제작되었다. 3호 돌격포 Ausf G는 82,500 독일 제국 마르크(RM)로, 103,163 RM인 3호 전차 Ausf. M보다 저렴했다. 이는 포탑을 생략하여 제조를 단순화하고 섀시가 더 큰 포를 탑재할 수 있게 했기 때문이다.
2. 1.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핀란드군은 1943년과 1944년에 걸쳐 독일로부터 총 59대의 3호 돌격포 Ausf. G를 인수받았다. 1943년에 30대, 1944년에 29대가 인도되었으며,[8] 이 3호 돌격포들은 소련과의 계속 전쟁에서 활약했다. 1943년에 인도된 초기 물량은 적 전차 87대 이상을 격파하는 전과를 올렸으나, 일부는 적에게 노획되는 것을 막기 위해 승무원에 의해 파괴되기도 했다.[8] 1944년에 추가로 인도된 물량은 실전에 투입되지 않았다. 핀란드군은 3호 돌격포에 "스투르미(Sturmi)"라는 별명을 붙였으며, 데그챠레프 기관총을 장착하고, 슈르첸을 제거 하는 등 독자적인 개조를 가하기도 했다. 핀란드군은 3호 돌격포를 1960년대 초까지 주력 전투 차량으로 운용했으며, 이후 단계적으로 퇴역시켰다.
루마니아는 1943년 가을에 100대의 3호 돌격포 Ausf. G를 인도받아 TAs(TAs T3)로 명명했다.[9] 1945년 2월에는 13대가 제2 장갑 연대에서 운용되었으나, 전쟁에서 살아남은 초기 인도분은 없었다.[9] 1947년 11월에는 31대의 TAs가 루마니아군에 남아있었는데, 대부분 3호 돌격포 Ausf. G였고, 일부는 판저 IV/70(V)였다.[10] 이 차량들은 1950년에 운용이 중단되었고, 1954년에는 소련제 장갑차로 대체되면서 완전히 폐기되었다.
불가리아 왕국은 독일과 소련으로부터 3호 돌격포를 공급받았다. 불가리아군은 3호 돌격포를 "마이바흐 T-III(Майбах“ Т-IIIbg|마이바흐 T-III)"라고 불렀으며, 1944년 9월 불가리아가 연합국 측으로 전향한 후 독일군을 추격하는 데 사용되었다. 종전 후에는 1950년대 중반까지 운용되다가 터키 국경에 고정 포대로 배치되었다.
유고슬라비아에서는 티토의 유고슬라비아 파르티잔이 노획한 3호 돌격포를 유고슬라비아 인민군이 1950년대까지 운용했다.
스페인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독일로부터 10대의 3호 돌격포를 받았으며, 1950년에서 1960년 사이에 시리아에 판매했다.
시리아는 1950년대와 1960년대에 소련, 체코슬로바키아 등으로부터 3호 돌격포를 도입했다.[12] 시리아는 3호 돌격포에 이탈리아제 12.7mm 브레다-SAFAT 기관총을 장착하는 개조를 가했다.[12] 이 3호 돌격포들은 이스라엘과의 물의 전쟁과 1967년 6일 전쟁에서 사용되었으며, 이스라엘군에 노획되기도 했다. 노획된 3호 돌격포 중 일부는 전쟁 기념관에 전시되거나 전장에 방치되었다.

이 외에도 체코슬로바키아, 프랑스, 노르웨이 등 여러 유럽 국가에서 3호 돌격포가 노획되어 운용되거나 시리아에 판매되었다.
3. 특징
에리히 폰 만슈타인이 제안한 '돌격포병' 개념에 따라 1937년 알케트 사가 3호 전차 차체를 기반으로 3호 돌격포 시제품을 생산했다. 초기형은 보병 지원을 위해 4호 전차 초기형과 같은 24구경 75mm 포를 탑재했다.[4] 그러나 동부전선에서 T-34와 같은 강력한 소련 전차를 만나면서, 3호 돌격포는 대전차전에 더 적합한 고속 장포신 포를 탑재하게 되었다.
3호 돌격포는 포탑이 없는 고정식 전투실을 갖추고 있어 차체가 낮았고, 이는 위장과 은폐에 유리했다. 또한, 포탑이 없는 구조 덕분에 더 두꺼운 장갑과 더 큰 구경의 포를 장착할 수 있었다.[5] A, B, C, D, E형까지는 75mm 24구경 포를 장착했지만, 1942년 봄에는 75mm 43구경, 가을에는 75mm 48구경 포로 화력이 강화되었다. 48구경 포를 장착한 형식이 F/8형과 G형이다.
3호 전차는 50mm 대전차포로 포를 업그레이드했지만, 포탑 링 직경이 작아 75mm 43/48구경 포를 탑재할 수 없었다. 결국 3호 전차는 대전차 전차로서의 목적을 상실하고 1943년 생산이 중단되었지만, 3호 전차 차체는 3호 돌격포에 계속 사용되어 대전차 용도로 활용되었다.
본래의 근접 지원 임무를 위해 10.5cm 경곡사포를 탑재한 돌격곡사포도 생산되었다. 1943년 말, 연합군의 폭격으로 3호 돌격포 생산에 차질이 생기자 4호 돌격포 생산이 시작되었고, 이로 인해 '3호 돌격포'라는 이름을 얻게 되었다.
3호 돌격포는 동시대 독일 전차보다 저렴하고 빠르게 생산할 수 있었다. 82,500 독일 제국 마르크(RM)인 3호 돌격포 Ausf. G는 103,163 RM인 3호 전차 Ausf. M보다 저렴했다. 이는 포탑을 생략하여 제조를 단순화하고 섀시가 더 큰 포를 탑재할 수 있도록 했기 때문이다.
4. 운용
3호 돌격포는 초기에는 포병 부대에 소속되어 보병을 직접 지원하는 임무를 수행했다. 그러나 대전 중기 이후 독소전 등에서 대전차전의 비중이 커지면서, 구축전차로서의 역할이 더욱 중요해졌다.[4] 3호 돌격포는 차체가 낮아 위장 및 은폐에 유리했고, 4호 전차와 동등한 화력을 갖추고 있어 대전차 전력으로 효과적으로 운용되었다. 특히, 방어 전투에서 그 진가를 발휘했다.[6]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독일군은 서부 전선에서 보병이 참호를 효과적으로 공격할 수단이 부족하다는 것을 인지하였다. 당시 포병은 무겁고 기동성이 떨어져 진격하는 보병과 함께 벙커, 참호 등을 직사 화력으로 파괴하기 어려웠다. 에리히 폰 만슈타인 장군은 1935년 루트비히 베크 장군에게 보병 사단을 직접 지원하는 돌격포병 부대 창설을 제안했다.
1936년 6월 15일, 다임러-벤츠는 7.5 cm 포를 탑재할 수 있는 장갑 보병 지원 차량 개발 주문을 받았다. 이 차량은 3호 전차의 섀시를 기반으로 제작되었으며, 7.5 cm StuK 37 L/24 주포를 장착했다. 초기에는 보병 지원을 위해 저속 포탄을 사용했으나, 소련의 T-34와 KV-1 전차를 상대하기 위해 7.5 cm StuK 40 L/43 및 7.5 cm StuK 40 L/48 고속 포를 장착했다.[4]
3호 돌격포는 독일 육군 내에서 포병 부대에 소속되어 운용되었으며, 초기에는 직사 화력을 통한 보병 지원이 주된 역할이었으나, 이후 대전차전에도 투입되었다.
3호 돌격포는 RM 기준 82,500 RM으로, 3호 전차 Ausf. M (103,163 RM)보다 저렴했다. 이는 포탑을 생략하여 생산을 단순화했기 때문이다.
3호 돌격포는 러시아, 북아프리카, 서유럽, 이탈리아 등 모든 전선에서 활약했다.[6] 낮은 차체 덕분에 위장과 은폐가 용이했으며, 파괴하기 어려운 표적이었다. 핀란드는 1944년에 59대의 3호 돌격포를 지원받아 소련 전차 87대를 격파하고 8대만을 손실하는 전과를 올리기도 했다.[8] 핀란드군은 3호 돌격포를 "Sturmi"라는 별명으로 불렀다.
루마니아에는 1943년 가을 100대의 3호 돌격포 Ausf. G가 인도되었으며, TAs T3로 불렸다.[9] 불가리아, 헝가리, 스페인 등 다른 국가에도 수출되었다. 크로아티아 우스타샤 민병대도 3호 돌격포를 사용했으며, 유고슬라비아 파르티잔에 의해 노획되어 유고슬라비아 인민군에서 1950년대까지 사용되었다. 스페인은 독일로부터 소수의 3호 돌격포를 받았으며, 이후 시리아에 판매했다.
이탈리아는 1943년에 12대의 3호 돌격포 Ausf. G를 지원받았으나, 이탈리아 휴전 이후 독일군에 의해 회수되었다.[11]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체코슬로바키아, 프랑스, 노르웨이, 유고슬라비아 등 여러 유럽 국가에 버려진 3호 돌격포가 남아 있었다. 소련은 노획한 3호 돌격포를 시리아에 기증했으며, 시리아는 1967년 6일 전쟁까지 3호 돌격포를 운용했다.[12]
3호 돌격포는 보병 지원을 위해 설계되었으며, 전차와 달리 회전 포탑이 없어 기동 공격에는 부적합했지만, 보병 지원, 진지 공격, 대전차 방어 등에서 활약했다. 특히 독소전에서 T-34로부터 보병을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했다.
5. 파생형
3호 돌격포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독일군이 운용한 돌격포로, 다양한 파생형이 존재한다.
- 0형 (시작기, 1937년 5대 제작): 훈련용으로 사용되었으며, 실전에는 투입되지 않았다.
- A형 (Sd.Kfz. 142, 1940년 1월~1940년 5월, 30+20대 생산): 프랑스 침공에 사용되었다.
- B형 (Sd.Kfz 142, 1940년 6월~1941년 5월, 300대 생산): 무한궤도가 넓어졌고, 변속기가 개선되었다.
- C형 (Sd.Kfz 142, 1941년 4월, 50대 생산): 포수 관측창이 제거되고 잠망경이 사용되었다.
- D형 (Sd.Kfz 142, 1941년 5월~9월, 150대 생산): C형과 거의 동일하며, 인터콤이 탑재되었다.
- E형 (Sd.Kfz 142, 1941년 9월~1942년 2월, 284대 생산): 기관총이 추가되었고, 포탄 탑재량이 증가했다.
- F형 (Sd.Kfz 142/1, 1942년 3월~9월, 366대 생산): 주포가 7.5cm StuK 40 L/43으로 업그레이드되어 대전차 능력이 강화되었다.
- F/8형 (Sd.Kfz 142/1, 1942년 9월~12월, 250대 생산): 3호 전차 J/L형의 차체를 기반으로 제작되었으며, 7.5cm StuK 40 L/48 포가 정식 채용되었다.
- G형 (Sd.Kfz. 142/1, 1942년 12월~1945년 4월, 7,720대 생산, 173대는 3호 전차로부터 수리 생산): 3호 돌격포의 최종형이자 가장 많이 생산된 모델이다.
- StuH 42 (Sturmhaubitze 42, Sd.Kfz 142/2, 1942년 10월부터 1945년까지 1,211대 생산): 보병 지원을 위해 10.5cm leFH 18 곡사포를 탑재했다.
- 화염방사기 파생형: 1943년 10기가 제작되었으나, 전투 기록은 없다.
- StuG 33B형: 1941년 후반기에 24대가 제작되었으며, 15cm sIG 33 야전포를 탑재했다.
- 4호 돌격포: 3호 돌격포 생산에 차질이 생기자 4호 전차 차체에 3호 돌격포의 상부를 붙여 생산되었다.
각 형식별 생산 수량은 다음과 같다.[1]
형식 | 생산 수량 |
---|---|
0형 | 5대 |
A형 | 30+20대 |
B형 | 300대 |
C형 | 50대 |
D형 | 150대 |
E형 | 284대 |
F형 | 366대 |
F/8형 | 250대 |
G형 | 7,720대 (3호 전차에서 수리 생산 173대) |
StuH 42 | 1,211대 |
StuG 33B | 24대 |
참조
[1]
서적
Panzer Tracts No.23 - Panzer Production from 1933 to 1945
[2]
간행물
Artillery in the Desert
Military Intelligence Service
[3]
간행물
Artillery in the Desert
Military Intelligence Service
1942-11-25
[4]
웹사이트
StuG III
https://tankmuseum.o[...]
2024-05-17
[5]
간행물
Artillery in the Desert
Military Intelligence Service
[6]
웹사이트
Sturmgeschütz
http://www.wwiivehic[...]
[7]
서적
Sturmgeschütz Panzer, Panzerjäger, Waffen-SS and Luftwaffe Units 1943–45
2017
[8]
웹사이트
Sturmgeschütz III/IV
https://web.archive.[...]
2006-07-31
[9]
문서
2005
[10]
문서
2005
[11]
서적
Atlante mondiale dei mezzi corazzati, I carri dell'Asse
Ermanno Albertelli Editore
1983
[12]
간행물
Strangers In a Strange Land: Early Syrian Armor 1948-56
Darlington Productions, Inc.
1995-07
[13]
웹사이트
www.andreaslarka.net
http://www.andreasla[...]
[14]
웹사이트
Panzers Found in Norway
http://www.armchairg[...]
2008-01-20
[15]
웹사이트
Surviving Panthers
http://the.shadock.f[...]
Surviving Panzers website
[16]
웹사이트
StuG III Ausf. D
https://www.facebook[...]
Restoration Facebook Group
[17]
웹사이트
戦車研究室 III号突撃砲A型
http://combat1.sakur[...]
[18]
웹사이트
戦車研究室 III号戦車H型
http://combat1.sakur[...]
[19]
서적
アハトゥンク・パンツァー第5集 III号突撃砲・IV号突撃砲・33式突撃歩兵砲編
大日本絵画
1995
[20]
문서
[21]
문서
[22]
뉴스
ブルガリアで戦車泥棒逮捕、陸軍将校も関与
https://www.afpbb.co[...]
2007-12-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