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68운동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68년은 전후 세계 질서와 사회 운동의 성장 속에서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시위가 일어난 해이다. 베이비붐 세대의 성장과 함께 반전, 시민권, 페미니즘, 환경 운동 등 다양한 사회 운동이 전개되었으며, 텔레비전의 보급은 시위 확산에 영향을 미쳤다. 미국, 프랑스, 이탈리아, 스페인, 서독 등 여러 국가에서 학생, 노동자, 시민들이 권위주의에 저항하며 시위를 벌였고, 동구권에서는 공산주의 체제에 대한 반발이 나타났다. 1968년의 시위는 국가 폭력에 대한 저항, 사회 개혁 요구, 그리고 환경 문제에 대한 인식을 높이는 등 다양한 의의를 지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혁명의 물결 - 아랍의 봄
    2010년 튀니지에서 시작되어 중동과 북아프리카로 확산된 아랍의 봄은 사회경제적 불만과 정치적 억압에 대한 저항으로, 소셜 미디어의 도움을 받아 여러 국가에서 정권 붕괴를 야기했으나 진압되거나 불안정을 초래하여 현재까지도 정치적, 사회적 불안정이 지속되고 있다.
  • 혁명의 물결 - 1989년 혁명
    1989년 혁명은 1980년대 말 동유럽에서 일어난 일련의 민주화 운동으로, 공산 정권 붕괴와 민주주의 전환을 가져왔으며, 소련 해체와 냉전 종식에 영향을 미쳤다.
  • 1968년 시위 - 프라하의 봄
    프라하의 봄은 1968년 체코슬로바키아에서 알렉산데르 둡체크의 지도 하에 "인간의 얼굴을 한 사회주의"를 표방하며 경제 개혁, 언론 자유 확대, 연방화 등의 정책을 추진한 사회주의 개혁 운동이었으나, 바르샤바 조약 기구의 침공으로 억압당하며 종식되었지만 동유럽 민주화 운동 등에 영향을 미쳤다.
  • 1968년 시위 - 1968년 붉은 광장 시위
    1968년 붉은 광장 시위는 1968년 8월 25일 8명의 시위자가 소련의 체코슬로바키아 침공에 항의하며 체코슬로바키아의 자유와 독립을 지지한 사건이다.
68운동
개요
1968년 암스테르담에서 베트남 전쟁에 반대하는 시위
1968년 암스테르담에서 베트남 전쟁에 반대하는 시위
명칭68운동 (68혁명)
일부냉전, 1960년대 반문화
날짜1968년 1월 5일 – 1969년 3월 29일
지역미국, 프랑스, 체코슬로바키아, 일본을 비롯한 세계 각지
원인
주요 원인권위주의
체 게바라의 죽음
마틴 루터 킹의 암살
제국주의
자본주의
수정주의적 마르크스주의
인종 차별
성 차별
베트남 전쟁
목표
주요 목표반자본주의
반제국주의
반인종주의
여성주의
환경주의
민권과 참정권
반전운동
운동 방식
종류살쾡이 파업
총파업
점거
항의
불매동맹
휴업, 휴회, 휴학
결과
주요 결과흑인 및 여성 인권 신장
베트남 전쟁의 베트남화
콘도르 작전의 시작
동구권의 권위주의 강화
관련 사건 및 운동
나라별 운동이탈리아
파키스탄
폴란드
유고슬라비아
서독
프랑스
멕시코
체코슬로바키아
일본
주요 사건1968년 미국 민주당 전당대회 시위
1968년 붉은광장 시위
보스타드 폭동
1968년 콜럼비아 대학교 시위
델라노 포도 파업
동L.A. 파업
글렌빌 총격사건
고난주간 폭동
일만인 행진
멤피스 위생파업
헬싱키 대학교 구학생회관 점거사건
스톡홀름 대학교 학생회관 점거사건
로드니 폭동
제3세계해방전선 동맹휴학

2. 배경

1968년의 격동은 전후 세계 질서와 사회 운동의 성장이라는 두 가지 큰 흐름 속에서 이해할 수 있다. 1968년 전 세계 각국에서 벌어진 사회 운동 배경에는 수많은 요인이 작용했다. 대다수는 자국 정부가 불의를 저지르고 있다는 인식하에 들고 일어선 것으로, 특히 미국의 존슨 정부에 대한 반정부 시위가 대표적이었다. 여기에 특정 법안에 대한 반대를 표하거나 베트남 전쟁에 대한 미국의 개입을 중단할 것을 촉구하는 반전 시위도 많았다. 1968년 유고슬라비아 시위는 프랑스, 멕시코, 미국 등 전 세계적으로 일어난 학생 봉기의 더 광범위한 물결의 일부였다. 주로 베오그라드 대학교에서 일어난 이 시위는 요시프 브로즈 티토의 지도 아래 유고슬라비아의 정치 지형에 상당한 영향을 미쳤다.

2. 1. 전후 세계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세계 여러 나라에서는 베이비붐으로 인구가 크게 늘어났다. 이들은 대부분 평화롭고 번영하는 시기에 태어나, 텔레비전이 가정에 보급되는 것을 처음으로 경험했다.[2] 텔레비전은 이들에게 세상을 보는 공통적인 관점을 제공하고,[3] 주요 공공 행사를 함께 경험하게 했다. 공교육 확대, 체인점, 프랜차이즈 레스토랑의 등장은 전 세계 사람들에게 공유된 경험을 제공했다.[4]

쿠바 미사일 위기냉전은 이 세대가 공유한 또 다른 경험이었다. 핵전쟁으로 언제든 삶이 끝날 수 있다는 인식은 학교에서 실시된 폭탄 대피 훈련[5]으로 강화되어 공포스러운 분위기를 조성했다. 이러한 배경에서 이들은 성장하며 반전, 시민권, 평화, 여성 평등을 위한 페미니즘 운동에 관심을 가졌고, 이는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었다.

2. 2. 사회 운동

1960년대에는 다양한 사회 운동이 성장하면서 1968년 학생 세대의 가치관 형성에 큰 영향을 미쳤다. 미국에서는 마틴 루터 킹 주니어 암살 사건 등 유혈 폭력 사태 속에서도 흑인 민권 운동이 최고조에 달했다. 영국에서는 반전운동이 강력한 힘을 발휘했고, 북아일랜드에서는 아일랜드 공화주의와 아일랜드 연합주의 간의 종교 갈등, 즉 북아일랜드 분쟁이 격화되었다.

1968년 체코슬로바키아 침공 반대 헬싱키 시위


이탈리아와 프랑스에서는 사회주의 운동이 활발했고, 유럽과 남미 다수 국가에서는 신좌파 운동이 정치적 격변을 일으켰다. 중화인민공화국에서는 문화대혁명이 최고조에 이르렀고, 이스라엘-아랍 갈등이 지속되는 가운데 아프리카 독립 운동도 확산되었다. 폴란드에서는 1968년 3월, 정부가 아담 미츠키에비치의 희곡 공연을 금지하자 바르샤바 대학교에서 반소련 의제를 내세운 학생 시위가 벌어져 1968년 3월 위기로 이어졌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세계적으로 출생률이 급증하면서 베이비 붐 세대라는 거대한 연령층이 형성되었다. 이들은 평화와 번영의 시기에 태어나 텔레비전 보급을 처음으로 경험한 세대였다.[2] 텔레비전은 이들에게 세상을 보는 공통적인 관점을 제공하고,[3] 주요 공공 행사를 경험하게 했다. 공교육 확대와 체인점, 프랜차이즈 레스토랑의 등장은 공유된 경험을 더욱 강화했다.[4] 쿠바 미사일 위기냉전핵전쟁의 공포를 심어주었지만,[5] 동시에 반전, 시민권, 평화, 여성 평등을 위한 페미니즘 운동이 성장하는 계기가 되었다.

여성 해방 운동은 여성의 권리 신장과 성 평등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크게 변화시켰다. 전후 베이비붐 세대는 결혼과 모성에 대한 우선순위를 재평가하고 재정의하게 되었다.[6] 특히 1968년 9월 7일 미국에서 진행된 미스 아메리카 선정대회 시위는 여성에 대한 평등한 권리 문제를 제기하고, 젊은 여성들이 미인대회에 대한 선망을 종식시키고[48] 사회 의제에 관심을 갖도록 만들었다.

평화 운동은 참여자들로 하여금 정부의 권위에 의문을 품게 했으며,[49] 대학생들은 진보적이고 자유주의적인 정치를 받아들였다. 이들의 진보 성향과 권위에 대한 회의감은 1968년 범세계 사회운동의 중요한 자극제가 되었다.

동구권에서는 1956년 헝가리 혁명, 1953년 동독 봉기, 1956년 포즈난 시위 등 여러 차례의 대규모 시위가 있었다. 1968년 유고슬라비아에서는 1968년 유고슬라비아 학생 시위가 발생했고, 체코슬로바키아에서는 프라하의 봄으로 알려진 민주화 운동이 일어났으나 바르샤바 조약의 체코슬로바키아 침공으로 좌절되었다. 모스크바 붉은 광장에서는 8명의 러시아 시민이 체코슬로바키아 침공에 항의하는 시위를 벌이기도 했다.

오늘날 환경 운동은 1968년 사회운동, 특히 반핵운동에서 시작되었다고 볼 수 있다. 프랑스에서는 환경 문제 관련 시위가 많았고, 프랑스 자연보호협회와 지구의 친구들 지부가 결성되었으며, 과학공동체는 '생존과 삶'을 조직했다. 이탈리아에서는 로마 클럽이 결성되었고, 스칸디나비아 국가들, 덴마크, 네덜란드에서는 환경운동 단체들이 오염 문제 등에 시위를 벌였다.

3. 시위의 전개

68운동은 전 세계적으로 노동자, 학생, 빈곤층 등 다양한 계층이 참여했으며, 국가 폭력에 대한 저항이라는 공통된 주제를 가지고 있었다. 특히 텔레비전은 시위의 확산과 여론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50][51]

1960년대 시위의 물결이 1968년 정점에 이르자 각국 정부는 경찰력을 동원한 단속, 총격, 시위자 처형, 대학살에 이르기까지 강경 대응을 펼치면서 사회적 분쟁을 일으켰다. 이는 멕시코, 브라질, 스페인, 폴란드, 체코슬로바키아, 중화인민공화국 등 권위주의 국가에서 특히 두드러졌다. 서구권의 서베를린, 이탈리아, 영국, 프랑스, 미국, 아르헨티나 등지에서는 노동조합과 학생이 주 역할을 했으며 정치적 탄압을 받았다.

베트남 전쟁에 대한 반대 시위는 68운동의 주요 의제 중 하나였다. 1968년 1월 미국에서 러스크 미 국무장관 초청행사 반대 시위[52]를 시작으로, 2월에는 하버드대, 래드클리프대, 보스턴대 학생들의 단식투쟁[53], 서베를린 학생들의 연좌 농성[53]이 이어졌다. 캐나다에서는 징병 대상 이민 안내서 5,000부를 미국에 송부하여 항의의 뜻을 표했다.[54] 3월에는 뉴욕 대학교 학생들의 다우 케미컬사 반대 시위[55], 영국 런던 그로스베너 광장에서의 대규모 반전 시위[56]가 발생했다. 미국 내 반전 시위는 1968년 8월 시카고에서 열린 1968년 미국 민주당 전당대회에서 절정에 달했다.[58]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세계적으로 출생률이 급증하면서, 베이비 붐 세대라는 대규모 연령층이 형성되었다. 이들은 텔레비전 보급의 첫 세대로, 텔레비전을 통해 세상을 보는 공통된 관점을 가지게 되었다.[2][3] 쿠바 미사일 위기냉전은 이 세대의 또 다른 공유된 경험이었다.[5]

동구권에서는 1956년 헝가리 혁명, 1953년 동독 봉기, 1956년 포즈난 시위 등 여러 차례 대규모 시위가 있었다. 1960년대의 사회 운동은 1968년 학생 세대의 가치관 형성에 영향을 미쳤다. 미국에서는 흑인 민권 운동이 절정에 달했고, 북아일랜드에서는 종교적 분열이 수십 년간의 폭력적 갈등으로 이어졌다. 이탈리아프랑스사회주의 운동의 중심에 있었고, 신좌파 정치 운동은 여러 국가에서 정치적 격변을 일으켰다. 중국에서는 문화 대혁명이 절정에 달했다. 아랍-이스라엘 분쟁은 계속되었고, 영국평화 운동은 강력하게 유지되었으며, 아프리카 독립 운동은 증가했다. 1968년 3월 폴란드에서는 1968년 폴란드 정치 위기가 발생했다.

여성 해방 운동은 여성들이 불평등한 권한 부여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게 만들었고, 평화 운동은 권위에 대한 의문을 제기하게 했다.[6] 1968년 대학생들은 진보적이고 자유주의적인 정치관을 받아들였고, 이는 1968년의 세계적 시위에 중요한 원동력이 되었다.

소련 블록에서 그 해의 극적인 사건들은 급진 좌파 정치 운동이 공산주의와의 관계에 대해 양가적인 입장을 보이고 있음을 드러냈다. 유고슬라비아에서는 1968년 유고슬라비아 학생 시위가 발생했다.[7][8] 체코슬로바키아에서는 프라하의 봄이 일어났고, 바르샤바 조약군의 체코슬로바키아 침공 당시 시민들은 소극적인 저항으로 대응했다. 소련에서는 1968년 붉은 광장 시위가 발생했다.

환경 운동은 1968년의 시위에서 그 기원을 찾을 수 있다. 프랑스는 환경 문제에 특히 관여했다. 북유럽 국가들은 환경 보호 운동의 선두에 있었다.[9] 북아일랜드 시민권 운동이 시작되었지만, 분쟁을 초래했다.

3. 1. 주요 시위

68운동은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국가에서 학생, 노동자, 빈곤층 등이 참여한 대규모 시위로 나타났다. 이들은 국가의 폭력적인 탄압에 맞서 싸웠으며, 각 시위는 서로 다른 사회적 원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였다.

"노동자가 공장을 점령한다"는 구호를 내건 프랑스 남부의 파업자들


이 외에도 환경 운동반핵 운동이 1968년 사회운동을 모태로 시작되었다.[9]

각국의 시위는 텔레비전을 통해 전 세계로 확산되었고, 시위 참여 세대의 정치적 정체성을 형성하는 데 큰 영향을 미쳤다.[51]

3. 1. 1. 미국

미국에서는 흑인 민권 운동이 최고조에 달했지만, 마틴 루터 킹 주니어 암살 사건[78] 등 유혈 폭력 사태도 극단으로 치닫고 있었다. 1968년 2월 8일 사우스캐롤라이나주 오렌지버그에서 민권운동 시위에 참여한 대학생 3인이 사망하는 오렌지버그 학살[75]을 계기로 유혈사태가 시작되었고, 3월에는 노스캐롤라이나주 15개 도시에서 학생들의 농성 시위가 벌어졌다.[76] 같은 시기 로스앤젤레스 동부의 5개 공립고등학교 학생 전원이 로스앤젤레스 통합 학군의 불평등 조건에 항의하며 등교를 거부했고, 이후 수일간 다른 15개 학교에서도 등교거부 시위를 벌였다.[77]

1968년 4월 4일 마틴 루터 킹의 암살을 계기로 루이스빌, 볼티모어, 워싱턴 D.C.를 비롯한 미국 전역의 100개 도시에서 폭력시위가 발생했다.[78] 4월 23일 컬럼비아대 학생들은 학교 측의 인종차별 정책 철폐를 주장하며 시위를 벌였고, 이 과정에서 학교 측 인사 3인이 24시간 동안 억류되는 사건이 벌어졌다.[79] 이 시위는 이후 1968년 컬럼비아 대학교 시위의 도화선이 되었다.

1968년 8월 시카고에서 열린 미국 민주당 전당대회는 베트남 전쟁린든 B. 존슨 정권에 항거하는 거대한 시위의 현장으로 변모했다. 당시 시카고 경찰이 전당대회가 치러지는 건물 앞 시위대 속으로 걸어들어가 구타를 하고 건물 내 언론인들을 폭행한데 이어, 시위대 측의 폭동까지 빚어지는 사태가 텔레비전으로 생중계됐다.

이어서 치러진 1968년 멕시코시티 올림픽의 육상 국가대표로 나선 흑인 선수 존 카를로스와 토미 스미스가 시상식 중계에서 장갑을 낀 손을 들어올림으로서 흑인 민권운동을 상징하는 퍼포먼스를 취했다가 국제올림픽위원회의 출전금지 명령을 받는 사건이 있었다.

1968년 멕시코시티 올림픽 시상식

3. 1. 2. 프랑스

프랑스에서는 샤를 드골 정부의 실정과 사회 모순에 대한 저항운동 및 총파업 투쟁이 벌어졌다. 이는 기존의 가치와 질서에 저항하려는 68운동으로, 3월부터 본격화되었다.

처음에는 파리의 몇몇 대학교, 고등학교, 대학 행정부와 경찰에 대한 학생 봉기로 시작되었다. 드 골 정부는 경찰력을 동원해 저항을 진압하려 했으나, 이는 오히려 운동의 열기만 더했다. 라틴 지구에서 경찰과의 가두 전투가 벌어졌고, 결국 프랑스 전역의 학생과 파리 노동자의 2/3에 해당하는 노동자 총파업으로 이어졌다.

드골 정부는 시위대에 맞서 군사력을 동원하고 의회를 해산했으며, 6월 23일에는 총선을 실시했다. 혁명적 분위기가 가라앉고 좌파연합인 노동총연맹과 프랑스 공산당의 실책으로 노동자들이 직장에 복귀하면서, 총선 결과는 드골의 여당이 의석수를 늘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드골 대통령은 이듬해 사임했다.

프랑스 68운동은 혁명에는 실패했지만, 종교, 애국주의, 권위에 대한 복종 등의 보수적인 가치를 대체하는 평등, 성해방, 인권, 공동체주의, 생태주의 등 진보적인 가치들이 사회의 주된 가치로 자리매김하는 결과를 낳았다.

3. 1. 3. 이탈리아, 스페인, 서독

이탈리아에서는 1968년 3월 1일 로마 사피엔차 대학교 건축학부에서 학생 시위대와 경찰 간의 격렬한 충돌이 발생했는데, 이를 발레 줄리아 전투라고 부른다. 같은 해 3월, 이탈리아 로마 대학교 학생들은 12일간 학교를 점거하며 반전 시위를 벌였다.[59]

스페인에서는 68운동의 여파가 다른 유럽 국가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았는데, 이는 당시 장기간 집권하고 있던 프랑코 정권이 시위와 파업을 대대적으로 탄압했기 때문이다. 마드리드 대학교 학생들은 독재자 프란시스코 프랑코 정권에 맞선 시위에 경찰이 개입한 것에 항의하며 민주화, 노동조합과 노동권, 교육 개혁을 요구했다.[60] 1968년 4월, 스페인 학생들은 아돌프 히틀러에 대한 집회를 제재하려는 프랑코 정권의 행동에 항의하였다.[61]

1968년 서베를린베트남 전쟁 반대 시위


서독에서는 서독 학생 운동이 일어났다. 당시 학생들은 실질적으로는 열악한 생활 환경 개선을 주장했고, 이상적으로는 서독 정부와 서구 국가들의 권위주의와 위선에 맞서 시위를 벌였다. 독일 각지 대학 108곳의 학생들은 동독을 승인하고, 관료로 진출한 나치 부역자들을 처단하며, 학생들의 권리를 보장할 것을 요구하는 시위를 벌였다. 1968년 2월 본 대학교에서는 교수들이 전쟁 시기 강제 수용소에 관여했다는 점을 들어 총장의 퇴진을 요구하는 시위를 벌였다.[62]

3. 1. 4. 영국

영국에서는 1968년 5월부터 7월까지 미술대학 학생들의 본교 점거 시위가 전국적으로 확산되었다.[63] 특히 혼지 미술대학교(현 미들섹스 대학교)에서 벌어진 학생 점거 시위는 영국 대학 현대사에서 상징적인 사건 중 하나로 꼽힌다. 1970년 2월 13일에는 케임브리지 대학교 학생들이 가든 하우스 폭동에 연루되기도 했다.

북아일랜드에서는 68운동이 지역 고유의 종교 및 사상 갈등과 겹쳐 군사적 분쟁으로 비화되었다. 1968년 8월 24일, 북아일랜드 민권 운동이 콜라이섬에서 던가논까지 첫 번째 시민 행진을 벌였다. 얼스터 충성주의 세력, 특히 UPV는 행진 참여자 일부를 공격하고 반대 시위를 벌였다.[63] 얼스터 경찰대의 진압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자, 아일랜드 국민주의 세력은 경찰 대다수가 개신교 신자로서 충성파를 지지하고 공격을 방조한다고 판단했다.[64] 1968년 10월 5일, 북아일랜드 정부는 데리에서 열린 시민 행진을 금지했다.[65] 시위대가 금지 명령을 어기고 행진하자, 얼스터 경찰대는 행진 참여자들을 둘러싸고 무차별적으로 구타했다. 이 사건으로 국민파 정치인 다수를 포함한 100명 이상의 시민들이 부상당했다.[65]

데리 사태는 텔레비전 뉴스를 통해 전 세계에 알려졌다.[66] 가톨릭계와 국민파는 분노했고, 데리에서 국민파와 경찰대 사이에 이틀간의 폭동이 벌어졌다.[65] 며칠 뒤, 학생 민권단체인 인민의 민주주의가 벨파스트에서 창설되었다.[63] 1968년 11월, 북아일랜드 정부는 민권 운동에 양보 조치를 약속했으나, 국민파에게는 부족했고 충성파에게는 과하다는 비판을 받았다. 민권 운동은 곧 폭력 사태로 이어졌고, 1969년에는 대규모 폭동 사태가 발생했다. 이로써 북아일랜드는 북아일랜드 분쟁이라는 30년간의 분열을 겪게 되었다.

3. 1. 5. 동구권

동구권에서는 1956년 헝가리 혁명, 1953년 동독 봉기, 1956년 포즈난 시위 등 폴란드 노동자 파업을 비롯하여 여러 차례 대규모 시위를 경험했다. 1960년대에 걸쳐 일어난 일련의 사회 운동은 1968년에 학생이었던 세대의 가치관을 형성하기 시작했다.[48]

1968년 동구권에서 벌어진 사건들은 기존 공산주의 체제와 급진좌파 운동이 양립할 수 없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유고슬라비아에서는 1968년 베오그라드 학생 시위로 진통을 겪었는데, 이는 종전 이래 유고슬라비아 최초의 대규모 시위였다. 당국은 시위 진압에 나섰으나 결국 요시프 브로즈 티토 대통령이 학생들의 요구에 굴복하면서 시위는 잦아들었다. 당시 시위는 베오그라드 외에도 연방 내 다른 공화국의 수도인 사라예보, 자그레브, 류블랴나 등지에서도 벌어졌으나 규모는 비교적 작고 시위 기간도 짧은 편이었다.[67][68]

폴란드에서는 1968년 1월 30일 바르샤바 대학교와 국립연극학교 학생 300명이 집회를 갖던 도중 국가에서 조직한 시위반대자로부터 곤봉으로 구타당하는 사건이 벌어졌다.[69] 3월 8일에는 바르샤바 대학교 학생들이 학생 권리를 위해 행진에 나섰다가 역시 구타 사태를 당하고, 다음날 2천 명이 넘는 학생들이 교내에서 경찰의 개입에 항의하여 행진했다가 진압과 체포를 당하는 사태가 벌어졌다. 이후로는 일반 시민들도 가세하여 3월 11일까지 학생들과 함께 경찰에 맞서 격렬한 대치를 벌였는데 이를 1968년 폴란드 정치 위기라고 부른다. 폴란드 정부는 시위자들을 시온주의 세력으로 몰아가는 선전운동을 벌였으며, 국가 차원에서 모든 대학을 폐쇄하고 천 명이 넘는 학생을 체포하는 것으로 20일간의 시위는 끝이 났다. 한편 이 과정에서 선전몰이의 희생양이 된 폴란드 유대인들은 정부의 박해를 피해 폴란드를 떠나기도 하였다.[70]

체코슬로바키아는 1968년 프라하의 봄을 맞이하였다. 알렉산데르 둡체크 체코슬로바키아 최고서기장이 개혁정책을 펼치는 동시에 시민들의 자유로운 목소리를 들어주는 자세를 취했던 것이다. 이에 소련은 1968년 8월 체코슬로바키아 침공을 전격 개시하여 대대적인 진압작전에 들어갔고 체코슬로바키아 시민들은 주권에 대한 도전에 수동적 저항으로 대응했다.[71] 거리의 표지판은 먹칠되고, 수도공급이 갑작스레 끊어지는가 하면, "코끼리는 고슴도치를 삼킬 수 없다" 같은 시위구호와 꽃, 깃발로 건물들을 장식해 놓으면서 소련군을 좌절감에 빠뜨렸다. 거리의 지나가는 행인들은 소련 탱크의 측면에 스와스티카를 그려넣기도 했다. 시골의 도로 표지판들은 덧칠되어 '모스크바' (Москва)라는 글귀가 적혔는데 소련군은 어서 체코슬로바키아를 떠나라는 의미였다.

소련에서도 1968년 8월 25일 시민 8명이 체코슬로바키아의 군사적 개입에 항의하는 차원에서 모스크바붉은 광장에서 시위를 벌였다. 시위에 나선 지 5분이 되자 시위대는 구타를 당했고 경찰서로 끌려갔다. 이들 가운데 7명은 최대 수년의 징역형을 선고받기도 했다.

젊은 연합의 1968년 프라하의 봄 포스터


프라하에서 불타는 소련 탱크를 지나 국기를 들고 가는 체코슬로바키아인들

3. 1. 6. 일본

1968년 6월 일본 전공투 시위


일본에서는 전학공투회의(전공투)가 시위를 조직하였다. 1968년 1월 17일, 미 해군 항공모함 엔터프라이즈호의 사세보 입항을 계기로 베트남 전쟁에 반대하는 시위가 벌어졌으며, 주일미군 철수를 요구하는 시위도 잇따랐다.[72][57]

1968년 5월에는 일본 전역의 대학에서 학생들의 폭력 시위가 벌어졌는데, 이는 학생 권리 보장과 등록금 인하를 요구하며 교수와 학생 간의 분쟁이 확대된 결과였다. 학생들은 학교 건물을 점거하고 공공장소에서 재판을 열며 학교 측 직원들과 충돌을 벌였다.[73]

3. 1. 7. 멕시코와 브라질

1968년경 멕시코시티 중앙광장의 시위 진압병력


멕시코에서는 권위주의 정부에 대항하여 대학생들이 시위를 벌였으며, 이는 멕시코의 광범위한 정치적, 문화적 개혁을 요구하는 움직임이었다. 1968년 여름부터 멕시코시티 올림픽 개막 시기까지 학생들과 일반 시민들의 폭넓은 지지를 바탕으로 학생들과 경찰 간의 갈등이 심화되었다.[80] 대부분의 시위는 평화롭게 진행되었지만, 구스타보 디아스 오르다스 당시 멕시코 대통령은 올림픽이라는 세계 무대에서 멕시코의 위상이 훼손되고 정부의 질서 유지 능력이 위협받을 것을 우려했다.

그해 여름 멕시코 국립 자치 대학교 중앙캠퍼스를 점령한 멕시코 정부 반대 시위대가 군대에 의해 해산되었고, 1968년 10월 2일에는 멕시코시티의 틀라텔롤코 광장에서 학생 시위대가 경찰, 공수부대, 예비군의 발포로 인해 다수의 사상자가 발생하는 틀라텔롤코 학살이 발생했다.[81][82] 멕시코의 68운동은 10월 2일의 대학살로 막을 내렸고, 이후 올림픽은 별다른 시위 없이 개막되었다. 그러나 올림픽은 또 다른 정치적 문제의 현장으로 변모했는데, 남아프리카 연방의 올림픽 참가 결정으로 아파르트헤이트 정책 문제가 불거져 40여 개 국가가 대회 보이콧을 선언했고, 국제올림픽위원회는 남아프리카 연방 선수단의 참가를 재고해야 했다. 또한, 미국의 흑인 금메달리스트 존 카를로스와 토미 스미스의 시위로 국제올림픽위원회가 미국 올림픽 위원회에 제재를 가하지 않으면 육상 선수 전원의 출전을 금지하겠다고 압박하는 사건도 있었다.

브라질에서는 1968년 3월 28일, 저소득층 학생들을 위한 식당 가격 인하를 요구하는 고등학생 시위에서 브라질 군사경찰이 에드송 루이스 지 리마 소우투를 살해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이 사건은 브라질 내에서 군사 독재에 반대하는 대규모 시위를 촉발시켰고, 한 해 동안 반독재 학생 시위가 전국적으로 확산되는 계기가 되었다.

3. 1. 8. 파키스탄

1968년 11월, 파키스탄에서는 아유브 칸의 군사 독재에 대항하는 대규모 학생 운동이 일어났다. 이 운동에는 노동자, 변호사, 화이트칼라 직원, 매춘부 등 다양한 사회 계층이 참여했다.[23] 전례 없는 계급 연대가 이루어졌으며, 종교, 성별, 민족, 인종, 국적, 씨족 또는 부족에 대한 편견은 혁명적 투쟁의 열기 속에서 사라졌다.[24] 카라치라호르의 젊은 시위대는 아유브 칸을 개("아유브 칸 쿠타!")라고 묘사하기 시작했다. 군대는 발포하여 수십 명을 살해하고 수백 명의 학생과 노동자를 부상시켰다.[25] 1969년 3월, 아유브 칸은 사임하고 권력을 육군 참모총장 야흐야 칸에게 넘겼다.[26]

3. 1. 9. 튀니지

튀니지에서는 폴란드와 이집트의 1968년 시위의 영향을 받아, 3월부터 캠퍼스 앞에서 학생 주도의 시위와 가두시위가 시작되었다. 그러나 학생 시위는 경찰에 의해 진압되었고, 운동은 꺾였다. 짧은 기간 동안 일주일 동안 평화적인 시위와 시위가 있었다.[17]

3. 1. 10. 기타



1968년 8월 15일 UCT 학생들이 제임슨 홀을 에워싸고 있다


남아프리카 공화국 케이프타운 대학교(UCT)에서는 아파르트헤이트 정부의 압력으로 흑인 강사 아치 마페제의 임용이 철회되자, 1968년 8월 15일 학생들이 항의 시위를 벌이고 9일간 행정 건물을 농성했다.[29]



1968년 5월 3일, 스웨덴 바스타드에서 열린 국제 테니스 대회에 남아프리카 공화국로디지아아파르트헤이트 국가의 참가를 반대하는 시위가 벌어졌다. 이 시위는 스웨덴 경찰청과 시위대 간의 가장 폭력적인 충돌 중 하나였으며, 결국 경기는 비공개로 진행되어 스웨덴이 승리했다.[32]

스톡홀름 대학교에서는 좌익 학생들이 5월 24일부터 27일까지 학생회관을 점거하여 정부에 정치적 메시지를 전달했다. 이 시위는 프랑스 파리의 시위에서 영감을 받았지만, 더 차분하게 진행되었다.[33] 이에 대한 반발로 우익 학생들은 칼 빌트프레드리크 레인펠트 등 미래의 총리들을 포함한 '보르게릴라 스튜던트'를 조직했다.

10월, 자메이카 킹스턴에서는 휴 시어러 자메이카 정부가 가이아나 출신 대학 강사 월터 로드니 박사의 서인도 제도 대학교 복귀를 금지하면서 로드니 폭동이 일어났다. 흑인 권력 운동에 적극적이었던 로드니는 사회주의자로서 자메이카 빈곤층의 정치, 문화적 의식 향상에 힘썼다.

4. 한국에 미친 영향

68운동은 직접적으로 한국 사회에 영향을 주지는 않았지만, 1960년대 후반 세계적인 사회 변화 분위기 속에서 간접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볼 수 있다.

5. 의의와 유산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세계적으로 출생률이 급증하면서 베이비 붐 세대가 형성되었고, 이들은 텔레비전의 보급과 공교육 확대, 체인점 확산 등 이전 세대와는 다른 공유된 경험을 통해 성장했다.[2][3][4] 특히 텔레비전은 이들에게 세상을 보는 공통된 관점을 제공하고 주요 사건들을 경험하게 함으로써 큰 영향을 미쳤다.[3] 쿠바 미사일 위기냉전으로 인한 핵전쟁의 공포,[5] 반전 운동, 시민권 운동, 페미니즘 운동 등도 이 세대의 가치관 형성에 영향을 주었다.

1960년대의 여러 사회 운동은 1968년에 학생이었던 세대의 가치관 형성에 큰 영향을 미쳤다. 미국에서는 마틴 루터 킹 암살 사건과 같이 시민권 운동이 격화되었고, 북아일랜드에서는 종교적 분열로 인한 갈등이 심화되었다. 이탈리아와 프랑스에서는 사회주의 운동, 신좌파 정치 운동이 활발했고, 중국에서는 문화 대혁명이 절정에 달했다. 아랍-이스라엘 분쟁, 평화 운동, 아프리카 독립 운동도 계속되었다. 1968년 3월 사건은 폴란드 학생 시위를 촉발했다.

반체제 문화에 공감하던 대학생들은 진보적, 자유주의적 정치관을 가지며 권위에 대한 회의감을 느꼈고, 이는 1968년의 세계적 시위를 이끄는 원동력이 되었다.[6] 급진 좌파 정치 운동은 공산주의와의 관계에 대해 양가적인 태도를 보였다. 1968년 유고슬라비아 학생 시위는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유고슬라비아에서 발생한 최초의 대규모 시위였으며, 다른 유고슬라비아 공화국 수도에서도 시위가 발생했다.[7][8] 프라하의 봄 이후 바르샤바 조약의 체코슬로바키아 침공에 대해 체코슬로바키아 시민들은 소극적 저항으로 대응했고, 모스크바 붉은 광장에서는 러시아 시민들이 침공에 항의하는 시위를 벌였다.

1968년의 시위에는 노동자, 학생, 빈곤층 등 다양한 계층이 참여했으며, 국가의 폭력적 탄압으로부터의 해방이 주요 의제였다. 시민권 운동, 핵무기 반대, 베트남 전쟁 반대, 여성 해방 운동 등 다양한 사회적 대의가 함께 분출되었다. 텔레비전은 혁명가들의 도구가 되어 시위 현장을 전 세계에 알렸다.

멕시코, 브라질, 스페인, 폴란드, 체코슬로바키아, 중국 등지에서는 억압적인 정부의 조치로 사회적 갈등이 심화되었다. 서베를린, 로마, 런던, 파리, 이탈리아, 미국 도시, 아르헨티나에서는 노동조합과 학생들이 주도적인 역할을 했고 정치적 탄압을 겪었다.

환경 운동은 1968년의 시위에서 기원을 찾을 수 있으며, 반핵 운동에서 발전했다.[9] 프랑스에서는 지구의 벗 프랑스 지부가 결성되고, 로마 클럽이 결성되는 등 환경 문제에 대한 관심이 높았다. 북유럽 국가들은 환경 보호 운동을 이끌었고, 스웨덴 학생들은 수력 발전 계획에, 덴마크와 네덜란드 학생들은 환경 문제에 항의했다.[9] 북아일랜드 시민권 운동은 문제들(The Troubles)로 알려진 분쟁을 초래했다.

1968년 1월, 미국에서는 경찰이 반전 시위대를 곤봉으로 진압했고,[10] 2월에는 하버드 대학교 등 학생들이 단식 투쟁을 벌였다.[11] 서베를린 학생들은 미국의 베트남 개입에 반대하는 연좌 농성을 벌였고,[11] 캐나다 사람들은 징병 대상 이민자 매뉴얼을 미국으로 보냈다.[12] 3월에는 뉴욕 대학교(NYU) 학생들이 네이팜탄 제조업체인 다우 케미컬에 항의했고,[13] 런던에서는 반전 시위가 격화되었다.[14] 일본 학생들은 베트남 전쟁으로 인한 미군 주둔에 항의했고,[15] 영국 학생들은 정부 관료를 공격했다.[15] 8월 1968년 민주당 전당대회에서는 대규모 시위가 발생했고, 시카고 시장 리처드 J. 데일리는 과도한 경찰력과 군대를 동원하여 시위를 진압했다.[16] 9월, 여성 해방 운동은 미스 아메리카 미인 대회를 시위하며 국제적인 인정을 받았다.[17]

미국에서 시민권 운동은 개방 주택과 흑인 의식 운동 문제에 집중하며 북부와 서부 도시로 확산되었고, 흑인 권력 및 흑표당 조직의 등장과 함께 국제적인 인정을 받았다.[38] 오렌지버그 학살은 대학생 3명이 사망하는 비극적인 사건이었다.[39] 노스캐롤라이나주 학생들은 식당 농성을 벌였고,[40] 로스앤젤레스 학생들은 불평등한 교육 조건에 항의하며 수업을 거부했다.[41] 마틴 루터 킹 주니어 암살은 루이빌, 볼티모어, 워싱턴 D.C. 등에서 폭력 시위를 촉발했다.[42] 컬럼비아 대학교 학생들은 인종차별 정책에 항의하며 학교 관계자를 인질로 잡았다.[13] 1968년 민주당 전당 대회에서는 대규모 시위가 발생했고, 시카고 경찰은 시위대를 폭행했다. 1968년 하계 올림픽에서는 육상 선수 존 카를로스와 토미 스미스가 흑인 권력에 대한 연대의 표시로 주먹을 들어 올려 올림픽에서 출전 정지를 당했다.

1968년 유고슬라비아 시위는 요시프 브로즈 티토 치하 유고슬라비아의 정치 지형에 큰 영향을 미쳤다. 티토는 일부 양보했지만, 큰 개혁은 없었고, 정부는 감시를 강화했다. 시위는 경제적 불평등과 민주주의 부재에 대한 인식을 높였다. 학생 운동은 동력을 잃었지만, 불만은 지속되었다. 1970년대 유고슬라비아는 더 많은 경제 문제와 민족적 긴장에 직면했다. 1968년 유고슬라비아 시위는 더 진보적인 공산주의 국가에서도 사회적, 정치적 긴장이 존재하며, 개혁 요구가 증가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1968년 시위는 유고슬라비아 역사에서 중요한 시점으로, 새로운 세대의 요구에 적응하지 못한 정권의 실패를 강조했다. 사회주의 체제하에서도 젊은이들은 소외감과 환멸을 느꼈고, 이 시위는 티토 사후 정치적, 사회적 난관을 예고했다. 이 시위는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체제 내부의 균열을 드러냈고, 이후 국가가 겪게 될 어려움을 시사했으며, 결국 해체로 이어졌다.

참조

[1] 웹사이트 A look back at the 1968 Democratic National Convention https://www.msnbc.co[...] 2014-08-28
[2] 서적 Generation Me Free Press 2006
[3] Harvnb 2007
[4] Harvnb 2007
[5] Harvnb 2007
[6] Harvnb 2007
[7] 웹사이트 Belgrade's 1968 student unrest spurs nostalgia http://www.thaindian[...] Thaindian.com 2008-06-05
[8] 웹사이트 1968 in Europe – Online teaching and research guide https://web.archive.[...]
[9] 웹사이트 1968 and the Environmental Movement in Europe http://www.kent.ac.u[...] January 2018
[10] Harvnb 2004
[11] Harvnb 2004
[12] Harvnb 2004
[13] 웹사이트 1968 Timeline http://www.nyu.edu/l[...] New York University Archives
[14] 웹사이트 1968 battles outside US Embassy, Grosvenor Square, London | 1968 and All That http://www.1968andal[...] 1968 and All That 2008-01-15
[15] Harvnb 2004
[16] 웹사이트 Everyone to the Barricades https://www.theguard[...] 2008-01-19
[17] 웹사이트 No More Miss America! (1968–1969) http://www.jofreeman[...]
[18] 웹사이트 Czechoslovakia, 1968 Prague Spring http://leweb2.loc.go[...] April 2018
[19] 학술 논문 Japan 1968: The Performance of Violence and the Theater of Protest http://www.jstor.org[...] 2009
[20] 학술 논문 The Intellectual Culture of Postwar Japan and the 1968–1969 University of Tokyo Struggles: Repositioning the Self in Postwar Thought 2009
[21] 서적 Student Movement of 1968 Fitzroy Dearborn 1997
[22] 웹사이트 May '68 Dates http://www.metropole[...] 1998-05-04
[23] 웹사이트 Tariq Ali considers the legacy of the 1968 uprising, 40 years after the Vietnam war https://www.theguard[...] 2008-03-22
[24] 뉴스 REVIEW: Pakistan's Other Story: The Revolution of 1968–1969 by Lal Khan https://www.dawn.com[...] 2012-08-18
[25] 웹사이트 What the May 1968 revolts did and did not do https://www.aljazeer[...]
[26] 뉴스 Exit stage left: the movement against Ayub Khan https://www.dawn.com[...] 2014-08-31
[27] 웹사이트 1968: The Year of the Barricades http://www.historygu[...] The History Guide
[28] Harvnb 2004
[29] 학술 논문 The Mafeje Affair: The University of Cape Town and Apartheid https://doi.org/10.1[...] 2008-12-01
[30] Harvnb 2004
[31] 서적 Olof Palme - En levande vilja: Tal och intervjuer
[32] 뉴스 Idrotten tjänar på de politiska aktionerna http://www.dn.se/nyh[...] 2009-03-07
[33] 서적 Kårhusockupationen http://www.marxistar[...] Bonniers 1970
[34] 웹사이트 Chronology of the Conflict: 1968 http://cain.ulst.ac.[...] cain.ulst.ac.uk
[35] 웹사이트 Submission to the Independent Commission into Policing http://www.serve.com[...] Serve.com
[36] 웹사이트 The Derry March: Main events of the day http://cain.ulst.ac.[...] Conflict Archive on the Internet 2008-02-16
[37] 서적 The Most Contrary Region The Blackstaff Press 1984
[38] 웹사이트 Black Power https://www.pbs.org/[...] African American World 2008-02
[39] 웹사이트 The Orangeburg Massacre http://afroamhistory[...] 2007-03-10
[40] 간행물 2004
[41] 논문 La Comunidad en Lucha, The Development of the East Los Angeles Student Walkouts Stanford University 1990
[42] 웹사이트 Governor Spiro Agnew and the Baltimore Race Riots of April 1968 http://teachingameri[...] 2008-02-18
[43] 간행물 2004
[44] 웹사이트 1968 in Europe – Online Teaching and Research Guide http://1968ineurope.[...] 2008-04-28
[45] 서적 Generation Me Free Press 2006
[46] 간행물 2007
[47] 간행물 2007
[48] 웹사이트 No More Miss America! (1968–1969) http://www.jofreeman[...] 2008-02
[49] 간행물 2007
[50] 웹인용 1968 and the Environmental Movement in Europe http://www.kent.ac.u[...] 2024-06-18
[51] 웹인용 Everyone to the Barricades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2008-02-18
[52] 간행물 2004
[53] 간행물 2004
[54] 간행물 2004
[55] 웹사이트 1968 Timeline http://www.nyu.edu/l[...] New York University Archives 2008-02
[56] 웹인용 1968 battles outside US Embassy, Grosvenor Square, London | 1968 and All That http://www.1968andal[...] 2008-02-18
[57] 간행물 2004
[58] 웹인용 Everyone to the Barricades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2008-02-18
[59] 간행물 2004
[60] 간행물 2004
[61] 간행물 2004
[62] 웹인용 1968 in Europe - Online Teaching and Research Guide http://1968ineurope.[...] 2008-04-28
[63] 웹사이트 Chronology of the Conflict: 1968 http://cain.ulst.ac.[...] 2013-06-12
[64] 웹인용 Submission to the Independent Commission into Policing http://www.serve.com[...] Serve.com 2008-11-02
[65] 웹인용 The Derry March: Main events of the day http://cain.ulst.ac.[...] Conflict Archive on the Internet 2008-02-16
[66] 서적 인용 The Most Contrary Region The Blackstaff Press 1984
[67] 웹인용 Belgrade's 1968 student unrest spurs nostalgia http://www.thaindian[...] Thaindian.com 2008-06-05
[68] 웹사이트 1968 in Europe - Online teaching and research guide https://web.archive.[...]
[69] 웹사이트 1968: The Year of the Barricades http://www.historygu[...] The History Guide 2008-02
[70] 간행물 2004
[71] 웹인용 Czechoslovakia, 1968 Prague Spring http://leweb2.loc.go[...] 2008-02
[72] 논문 Japan 1968: The Performance of Violence and the Theater of Protest http://www.jstor.org[...] 2020-09-01
[73] 논문 The Intellectual Culture of Postwar Japan and the 1968-1969 University of Tokyo Struggles: Repositioning the Self in Postwar Thought 2020-09-01
[74] 웹사이트 Black Power https://www.pbs.org/[...] 2008-02
[75] 웹인용 The Orangeburg Massacre 2007-03-10
[76] 서적
[77] 간행물 La Comunidad en Lucha, The Development of the East Los Angeles Student Walkouts Stanford University
[78] 웹인용 Governor Spiro Agnew and the Baltimore Race Riots of April 1968 http://teachingameri[...] 2008-02-18
[79] 웹사이트 1968 Timeline http://www.nyu.edu/l[...] 2008-02
[80] 웹인용 Everyone to the Barricades https://www.theguard[...] 2008-02-18
[81] 간행물 Student Movement of 1968 Fitzroy Dearborn
[82] 웹사이트 May '68 Dates http://www.metropole[...] 2008-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