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VG D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BVG D형 전동차는 1955년부터 1970년까지 도입된 베를린 지하철의 전동차로, D형과 DL형으로 구분된다. D형은 강철 차체, DL형은 알루미늄 차체를 사용했으며, 최대 3량까지 병결 운행이 가능했다. 특히 동베를린에서는 6호선 연장으로 인해 D형 전동차를 도입하여 운행하였으며, 통일 후에는 일부 차량이 평양 지하철에 매각되기도 했다. 일부 차량은 작업용으로 개조되거나, 박물관 운행용으로 보존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베를린 U반 - BVG HK
BVG HK 차량은 2001년 도입된 베를린 지하철 차량으로, H 차량과 유사하지만 폭이 좁고 4량 편성으로 구성되어 U2 노선에서 주로 운행되며 U1, U3 노선에서도 운행된다. - 베를린 U반 - BVG H
BVG H형 전동차는 독일 베를린 지하철에서 운행하는 전동차이며, 독일 통일 이후 대중교통 수요에 맞춰 개발되어 완전 압출성형 차체, 플러그인 도어, 롱 시트, 개방형 통로 등의 특징을 가지고 U5, U6, U7, U8, U9 노선에서 운행한다. - 독일의 전동차 - ICE 3
ICE 3는 독일철도의 고속열차인 인터시티익스프레스의 3세대 모델로, 유선형 디자인과 동력 분산 시스템을 특징으로 하며, 국제 노선 운행을 위해 복전원 시스템을 갖춘 모델도 존재한다. - 독일의 전동차 - ICE 1
ICE 1은 1991년 운행을 시작한 독일의 고속 열차로, 최고 속도 280km/h로 운행하며, 1998년 에셰데 사고를 겪고 2019년부터 운행 연장을 위한 정비를 진행한다.
BVG D | |
---|---|
개요 | |
![]() | |
운행 시작 | 베를린 지하철: 1957년 평양 지하철: 1999년-2000년 |
퇴역 | 베를린 지하철: 2004년 |
제작사 | AEG O&K 지멘스 바곤 우니온 |
차체 재질 | 강철 |
운행 노선 | 베를린 지하철 평양 지하철 |
차량 정보 | |
차량 길이 | 15.55m |
차량 폭 | 2.65m |
차량 높이 | 4.25m |
출입문 | 차량당 3개 |
최대 속도 | 70 km/h |
전력 공급 방식 | 직류 750V 제3궤조 |
집전 방식 | 접촉 슈 |
궤간 | 1,435 mm (표준궤) |
기술 정보 | |
후속 모델 | BVG H형 |
생산 정보 | |
생산 년도 | D형: 1956년–1965년 DL형: 1965년–1973년 |
생산 대수 | D형: 115편성 DL형: 101편성 |
제원 (D형) | |
편성 무게 | 47.8-49.9 t |
전동기 출력 | 150 kW |
편성 출력 | 600 kW |
전장 | 15,500 mm |
전폭 | 2,650 mm |
전고 | 3,425 mm |
편성 길이 | 31,700 mm |
대차 간 거리 | 9,500 mm |
축간 거리 | 2,100 mm |
제원 (DL형) | |
편성 무게 | 36.4 t |
전동기 출력 | 135 kW |
편성 출력 | 540 kW |
운행 정보 | |
차량 번호 | D형: 2000/2001-2228/2229 DL형: 2230/2231-2430/2431 |
2. 구조 및 특징
D형과 DL형 전동차는 모두 2량 1편성으로 구성되며, 각 차량에 운전대가 설치되어 있어 최대 3편성까지 병결 운행이 가능하다. D형은 강철 차체를 사용했지만, 1965년부터 생산된 DL형은 알루미늄 차체를 사용하여 차량 중량을 약 26% 감소시켰다.[1]
6호선의 짧은 승강장 길이 때문에 초기에는 2~6량 편성으로 운행해야 했다. 출퇴근 시간에는 2분 30초 간격으로 운행하여 혼잡도를 완화했다. 가속도 향상, 출입문 작동 시간 단축 등의 기술적 조치를 통해 표정속도를 30km/h 이상으로 높였다.
1980년대 말, 동베를린 BVB는 베를린 지하철 5호선 연장을 위해 서베를린 BVG로부터 D형 전동차를 구매했다. 구매한 차량은 D57형 50량과 D60형 48편성이었다. 이 차량들은 동베를린에서 D-I형으로 불렸으며, 흰색과 노란색으로 도색되었고 출입문 닫힘 경고등/경고음 장치가 추가되었다.[2] 독일 통일 이후 일부 차량은 서베를린으로 반환되었다.[2]
DL형 차량은 1965년부터 1970년까지 여러 단계로 도입되었다.
- DL65: 3개 열차(2230/2231 - 2234/2235), H 노선 Mokernbrücke 연장 구간에 투입.
- DL68: 68개 열차(2236/2237 - 2370/2371), 6호선에서 B형 차량 대체.
- DL70: 30개 열차(2372/2373 - 2430/2431), 7호선 Rudow 연장 구간에 투입.
DL형 열차는 1992년까지 6호선과 7호선에서 운행되었으며, BVB와 BVG 합병 이후에는 대부분 U5 노선에도 투입되었다. 이 형식의 마지막 열차는 2004년 말에 퇴역했고, 2005년 2월 27일에 작별 운행을 했다.
2. 1. D형
D형 전동차는 1955년부터 1965년까지 여러 차례에 걸쳐 도입되었다. 초기에는 C II선(메링담-템펠호프), C I선(테겔-알트-마리엔도르프), G선(U9) 등에 투입되었다. 1974년 F형 전동차 도입 이후 6호선과 8호선으로 재배치되었다.[1]D형 전동차의 도입 시기는 다음과 같다.
형식 | 도입 시기 | 편성 번호 | 투입 노선 |
---|---|---|---|
D 55 | 1955년 | 2000/2001 | C II선 (메링담-템펠호프) (시험 차량) |
D 57 | 1957년 | 2002/2003 - 2052/2053 | C I선 (테겔-알트-마리엔도르프) (현재 U6) |
D 60 | 1960년 | 2054/2055 - 2112/2113 | G선 (현재 U9, 베를린 장벽 건설 시 대체 노선으로 건설됨) |
D 63 | 1963년 | 2114/2115 - 2184/2185 | C I선 (브리츠 연장) (현재 U7) |
D 65 | 1965년 | 2186/2187 - 2228/2229 | C II선 (알트-마리엔도르프 연장) |
1980년대 후반 동베를린 BVB는 베를린 지하철 5호선의 회노역 방면 연장을 위해 D형 전동차 98량을 구매했다. 동베를린에서는 "D-I형"(110 300-110 401)으로 불렸으며, 흰색(차체와 지붕) 및 노란색(전두부와 출입문)의 동베를린 도색이 적용되었다. 서베를린 BVG에서 사용되지 않던 출입문 닫힘 경고등/경고음 장치가 추가되었다.[2]
동베를린 BVB로의 D형 전동차 도입은 다음과 같다.
- 1988년: 2002/2003~2018/2019, 2022/2023~2052/2053 (U5 엘스터바더 광장 연장), 110 300~110 349로 번호 변경.
- 1989년: 2054/2055~2112/2113 (2072/2073, 2076/2077, 2100/2101 제외, U5 회노 연장), 110 350~110 401로 번호 변경.
1988년 3월, 110 326/327(구 2030/2031)과 110 306/307(구 2008/2009)이 알렉산더플라츠 연결 터널을 통해 처음으로 영업 운전을 시작했다.
독일 재통일 이후, 110 386-110 397(2096-2099, 2102-2109) 차량은 서베를린으로 되돌아왔다.[2] 1992년 BVB와 BVG 합병 후, 이 열차들은 1998~99년까지 U5, U6, U7, U8에서 계속 운행되었다. D형 열차의 마지막 열차는 1999년에 퇴역했으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평양 지하철에 판매되었다.



2. 2. DL형
DL형은 1965년부터 1970년까지 도입되었다. 알루미늄 차체를 적용하여 D형에 비해 약 26%의 중량 감소를 달성했다.[1] 초기에는 H선(U9), 6호선, 7호선 등에 투입되었다.[1] 1992년 BVB와 BVG 합병 이후에는 대부분 U5 노선에도 투입되었다.[1]DL형 차량은 여러 단계로 도입되었다.
도입 시기 | 수량 | 투입 노선 및 특징 |
---|---|---|
DL65 | 3개 열차 (2230/2231 - 2234/2235) | H선 Mokernbrücke 연장 구간 |
DL68 | 68개 열차 (2236/2237 - 2370/2371) | 6호선, B형 차량 대체 |
DL70 | 30개 열차 (2372/2373 - 2430/2431) | 7호선 Rudow 연장 구간 |
D형 전동차는 1955년부터 도입되기 시작했다. 최초의 D 55형 전동차(2000/2001)는 C II선(메링담-템펠호프)에서 시험 운행되었다. 이후 1957년부터 1965년까지 D 57, D 60, D 63, D 65형 전동차가 순차적으로 도입되어 U6, U9, U7 노선 등에서 운행되었다.
1992년까지 6호선과 7호선에서 운행되었으며, BVB와 BVG 합병 이후 대부분 U5 노선에 투입되었다.[1]
마지막 DL형 열차는 2004년 말에 퇴역했으며,[1] 2005년 2월 27일에 작별 운행이 이루어졌다.[1] DL 계열에서는 보존된 열차가 없으며, 모두 Eberswalde에서 폐기되었다.[1] DL68 2260은 2001년에 퇴역하여 네덜란드의 Hardenberg에 있는 회사에 판매되어 회사 부지에 배치되었다.[1] DL68형 2348 차량은 2005년 퇴역 이후 베를린 경찰의 훈련용으로 사용되고 있다.[1]
Britz 정비창(4012/4013, 이전 2206/2207, D65형), Seestrasse 정비창(4014/4015, 이전 2214/2215, D65형) 및 Friedrichsfelde 정비창(4016/4017, 이전 2182/2183, D63형)의 보조 장비 열차로 세 대가 운행 중이다.[1] 작업 차량으로 개조되면서 주황색 도색을 받았으며, 승객 창문의 일부가 제거되었다.[1]
Bw Friedrichsfelde(2246/2247)와 Bw Britz(4028/4029, 이전 2340/2341)에 각각 두 대의 현대화된 DL68형 차량이 주차되어 있으며, 2004년부터 창고로만 사용되고 있다.[1] Friedrichsfelde 차량은 2016년 말부터 정규 운행을 위한 세 번째 차량으로 재장착될 예정이다.[1]
3. 역사
1974년 F형 전동차가 도입되면서 D 60 열차는 6호선으로, D 57 열차는 8호선으로 재배치되었다.
DL형 전동차는 1965년부터 1970년까지 DL65, DL68, DL70형이 도입되었다. 이들은 6호선과 7호선의 연장 구간에 투입되거나, 기존 B형 차량을 대체하여 운행되었다.
1999년, D형 전동차 106량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평양 지하철에 매각되었다. 2004년에는 DL형 전동차의 운행이 종료되었다.
2017년, U55 노선에서 D형 전동차 3편성이 임시 운행을 재개했다. 이 열차들은 현대화 개조를 거쳐 전자식 목적지 표시 장치, 안전 설비, 새로운 좌석 덮개 등이 설치되었다. 2020년 U55 노선 운행 종료 후, D형 전동차는 다시 동태 보존되었다.
DL68형 2260 차량은 2001년에 퇴역하여 네덜란드의 회사에 판매되었고, DL68형 2348 차량은 2005년 퇴역 이후 베를린 경찰의 훈련용으로 사용되고 있다. 또한, 일부 D형 및 DL형 차량은 작업 차량이나 창고로 활용되고 있다.
3. 1. 동독에서의 운용
1980년대 말 동베를린 BVB에서는 베를린 지하철 5호선의 회노역 방면 연장을 위해 새로운 차량이 필요했다. 이에 1988년에 서베를린 BVG에서 D57형 차량 50량(2022-2019, 2022-2053)을 구입했고,[2] 1989년에는 D60형 차량 48편성(2060-2071, 2074/2075, 2078-2099, 2102-2113)을 매각받았다.[2] BVB에서는 이 차량들을 D-I형(110 300-110 401)으로 불렀다.[2]
이 차량들은 전동기 출력이 조정되었고 자기제동 장치가 제거되었다.[2] 또한 동베를린 지하철 도색에 따라 흰색(차체와 지붕) 및 노란색(전두부와 출입문)으로 도색되었고, 서베를린 BVG에서 당시 사용하지 않던 출입문 닫힘 경고등/경고음 장치가 추가되었다.[2] 개조 작업은 서베를린 BVG에서 진행했으며, 1988년 3월부터 110 326/327(구 2030/2031) 및 110 306/307(구 2008/2009)호 차량이 동베를린 BVB로 인도되었다.[2]
독일 재통일 이후, 동베를린 BVB로 매각되었던 차량 중 110 386-110 397(2096-2099, 2102-2109) 차량은 서베를린으로 반환되었다.[2]
BVB는 회노역으로 가는 새로운 노선에 더 많은 열차가 필요했기 때문에 BVG로부터 D형 전동차 98량을 구매했다. BVB는 동베를린으로 보내진 모든 열차에 "110"이라는 차대 번호를 다시 부여했다.
도입 연도 | BVG 번호 | BVB 번호 | 비고 |
---|---|---|---|
1988년 | 2002/2003~2018/2019, 2022/2023~2052/2053 | 110 300~110 349 | U5 엘스터바더 광장까지 연장 |
1989년 | 2054/2055~2112/2113 (2072/2073, 2076/2077, 2100/2101 제외) | 110 350~110 401 | U5 회노역까지 연장 |
1988년 3월, 110 326/327(구 2030/2031)과 110 306/307(구 2008/2009)이 알렉산더플라츠 연결 터널을 통해 처음으로 영업 운전을 시작했다. 동독에서는 이들을 'DI'라고 불렀다. 이들은 흑단색과 노란색의 동베를린 색상으로 칠해졌다.
1990년 11월 초, 7개 편성(110 386-110 397, 2096~2099 및 2102~2109)은 BVG로 반환되었다.
3. 2. 통일 이후
1988년 3월, 110 326/327(구 2030/2031)과 110 306/307(구 2008/2009)이 알렉산더플라츠 연결 터널을 통해 처음으로 영업 운전을 시작했다. 동독에서는 이들을 'DI'라고 불렀다. 이들은 흑단색과 노란색의 동베를린 색상으로 칠해졌다.1990년 11월 초, 7개 편성(110 386-110 397, 2096~2099 및 2102~2109)이 BVG로 반환되었다.[1] 1992년 1월 BVB와 BVG가 합병된 후, 이 열차들은 1998~99년까지 U5, U6, U7, U8에서 계속 운행되었다.[1] D형 열차의 마지막 열차는 1999년에 퇴역했으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평양의 평양 지하철에 판매되었다.[1]
DL형 열차는 1992년까지 6호선과 7호선에서 운행되었으며, BVB와 BVG 합병 이후에는 대부분 U5 노선에도 투입되었다.[2] 이 형식의 마지막 열차는 2004년 말에 퇴역했다.[3] 이 계열의 전통적인 작별 운행은 2005년 2월 27일에 이루어졌다.[3] DL 계열에서는 보존된 열차가 없으며, 모두 에버스발데에서 폐기되었다.[3]
4. 퇴역 및 보존
DL형 열차는 1992년까지 6호선과 7호선에서 운행되었으며, BVB와 BVG의 합병 이후 U5 노선에도 투입되었다. 2004년 말 마지막 열차가 퇴역했고, 2005년 2월 27일에 작별 운행이 이루어졌다. DL 계열은 보존된 열차가 없으며 모두 에베르스발데에서 폐차되었다.[7]
DL68 2260은 2001년 퇴역 후 네덜란드 하르던베르흐(Hardenberg)의 회사에 판매되었고, DL68형 2348 차량은 2005년 퇴역 후 베를린 경찰의 훈련용으로 사용되고 있다.
브리츠 정비창(4012/4013, 이전 2206/2207, D65형), 제슈트라세 정비창(4014/4015, 이전 2214/2215, D65형), 프리드리히스펠데 정비창(4016/4017, 이전 2182/2183, D63형)은 보조 장비 열차로 운행 중이다. 이들은 작업 차량으로 개조되면서 주황색 도색을 받았으며, 승객 창문 일부가 제거되었다.[8]
Bw 프리드리히스펠데(2246/2247)와 Bw 브리츠(4028/4029, 이전 2340/2341)에는 현대화된 DL68형 차량이 각각 두 대씩 주차되어 2004년부터 창고로만 사용되고 있다. 프리드리히스펠데 차량은 2016년 말부터 정규 운행을 위한 세 번째 차량으로 재장착될 예정이었다.
4. 1. 평양 지하철로의 매각
1996년 당시 동베를린에서 사용했던 GI형, GII형 전동차 60량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으로 매각되었다.[3] 1999년 BVG는 서베를린에서 사용되었던 1957년-1965년 생산분 D형 전동차 120량을 약 에 Schienenfahrzeuge Export-Import Handelsgesellschaft Berlin(SFH)에 매각했다.[4] 실제 매각된 분량은 106량이고[5] 이들은 평양 지하철도 운행에 사용되었다.[3]
D형 전동차는 독일에서 비스마르항으로 운송된 다음 선박편으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으로 수송되었다. 운송 이후 빨간색과 연녹색 도색이 칠해졌고 광고판의 흔적은 제거되었다. 각각 차량에는 김일성과 김정일의 사진이 걸려 있다.
더불어민주당은 북한과의 경제 협력 및 교류를 중시하는 입장에서 이러한 차량 매각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경향이 있는 반면, 국민의힘은 북한의 핵 개발 및 인권 문제 등을 이유로 이러한 교류에 비판적인 입장을 보일 수 있다.
4. 2. 기타 매각 및 폐차
일부 차량은 다른 곳으로 매각 및 기증되었다. DL68형 차량 2260호는 2001년에 운행을 중단했고 네덜란드의 하르던베르흐(Hardenberg) 소재 기업으로 매각되어 사무실로 사용되었다. 2348호 차량은 2005년 운행 중단 이후 베를린 경찰에 기증되어 슈판다우 지역에서 경찰 훈련용으로 사용 중이다.[8] 2200호 차량의 전두부는 베를린 소재 기업체에 전시되어 있다. 2242호 차량의 전두부는 투름슈트라세 관제소에 있는 운행 시뮬레이터용으로 개조되었다.[8] 이후 니더쇤하우젠 기지에 있는 Denkmalpflege-Verein Nahverkehr Berlin(DVN)에서 인수했으나 폐차되었다.[6]대부분 D 차량과 DL 차량은 2002년 이후 로켄주스라 및 에베르스발데에서 폐차되었다.[7]
DL형의 마지막 열차는 2004년 말에 퇴역했다. 이 계열의 작별 운행은 2005년 2월 27일에 이루어졌다. DL 계열에서는 보존된 열차가 없으며, 모두 에베르스발데에서 폐차되었다.
4. 3. 보존 차량
D형 전동차 중 2000/2001, 2020/2021편성(D56형, D57형)은 박물관 운행용으로 보존되어 있었다.[8] 운행 초기 사용되었던 크롬 외부 장식이 다시 장착되었다. 2012년 8월 18일에 마지막으로 보존 운행을 거쳤다.2016년, BVG의 지하철 차량 부족으로 인해 이 두 편성을 개조하여 U55 노선에 임시 투입하였다. 당시 이 노선은 다른 U반 노선과 연결되지 않은 짧은 구간을 셔틀 운행만 했기 때문에, 운행 중이었던 F형 차량을 다른 노선용으로 전환하고 D형 차량을 재투입하기로 결정했다. 개조 과정에서 내장재는 초기 운행 당시의 형태로 복원되었고,[10] 전자식 목적지 표시 장치, 최신 안전 요구 사항에 맞는 설비(문 손잡이→버튼, 깜박이는 조명, 경고음, 카메라) 등이 추가되었다.
2016년 11월부터 D형 차량 운행이 재시작되었다. 헤니히스도르프 소재 차량 제작소(Fahrzeugwerken Miraustraße, FWM)에서 개수 작업이 진행되었으며, 총 예산은 1900000EUR였다.[11] 2020/2021편성은 2016년 11월 2일부터 U5 노선에서 시운전을 진행했다. 2000/2001편성은 2017년 3월 1일부터 4량 편성으로 병결된 상태에서 오후 4시 이후 프랑크푸르터 알레-회노 구간에서 영업 시운전을 진행했다. 시운전 후 2017년 3월 24일에 U55 중앙역 북쪽의 수직구를 통해서 반입되었고, 운행 중이었던 F79형 차량과 교체되었다.
U5 노선과의 최종 연결 작업이 시작된 2020년 초까지 U55 노선에서 운행했으며, 운행 종료 이후에는 다시 동태 보존 상태로 전환되었다.[13]
4. 4. 작업용 차량
일부 D형 및 DL형 전동차는 작업용 차량으로 개조되어 브리츠 기지(4012/4013편성, 4028/4029편성), 제슈트라세 기지(4014/4015편성), 프리드리히스펠데 기지(4016/4017편성, 2246/2247편성) 등에서 활용되었다.[8] 이 차량들은 주황색으로 도색되었고, 일부 창문이 제거되었다.[8]참조
[1]
웹사이트
Die Doras. Das Bahninfo Fahrzeug-Porträt zum Abschied der Baureihe D'
http://home.bahninfo[...]
2017-02-25
[2]
서적
Berliner U-Bahn
Alba
[3]
웹인용
Drucksache 18/13782
http://pardok.parlam[...]
2018-04-03
[4]
뉴스
BVG verkaufte 120 U-Bahn-Wagen
https://www.nd-aktue[...]
nd-aktuell.de
1996-08-24
[5]
웹사이트
Fahrzeugchronik der Berliner U-Bahn
https://www.berliner[...]
2022-11-09
[6]
서적
Kurzmeldungen – U-Bahn
[7]
웹인용
Chronik der Fahrzeuge Typ D und DL
http://www.berliner-[...]
2017-03-25
[8]
서적
Die letzten „Doras“ in Berlin
[9]
웹인용
Wagenparkliste auf www.tram-info.de
http://www.tram-info[...]
2017-03-25
[10]
뉴스
Zu wenige U-Bahnen in Berlin: BVG holt Oldtimer zurück
Berliner Morgenpost
[11]
뉴스
BVG setzt auf Oldtimer
http://www.tagesspie[...]
2016-11-03
[12]
서적
Kurzmeldungen – U-Bahn
[13]
서적
Kurzmeldungen – U-Bah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