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FK (영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JFK는 1991년에 개봉한 올리버 스톤 감독의 영화로, 존 F. 케네디 암살 사건을 다루고 있다. 영화는 뉴올리언스 지방 검사 짐 개리슨이 암살 사건의 진실을 파헤치는 과정을 중심으로, 워렌 보고서의 단독 범행 결론에 의문을 제기하며 다양한 음모론을 제시한다. 케빈 코스트너가 짐 개리슨을 연기했으며, 역사적 사실 왜곡과 음모론 조장 논란에도 불구하고, 아카데미 촬영상과 편집상을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역사 미스터리 영화 - 장미의 이름 (영화)
1986년 장 자크 아노 감독이 움베르토 에코의 소설을 영화화한 《장미의 이름》은 14세기 이탈리아 수도원에서 숀 코네리 분)과 크리스찬 슬레이터 분)이 의문의 죽음을 조사하는 미스터리 스릴러 영화로, 세자르 외국어 영화상과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 남우주연상 등을 수상했다. - 역사 미스터리 영화 - 살인 지령
살인 지령은 1979년 밥 클라크 감독이 연출한 영화로, 셜록 홈즈가 잭 더 리퍼 사건을 조사하며 프리메이슨과 급진파의 음모를 파헤치는 내용을 담고 있다. - 존 F. 케네디 암살 사건을 소재로 한 영화 - LBJ (영화)
롭 라이너 감독의 2016년 미국 전기 영화 LBJ는 우디 해럴슨이 린든 B. 존슨을 연기하며 존 F. 케네디 암살 후 대통령직을 승계받아 격동의 시대를 헤쳐나가는 이야기와 시민권법 제정을 둘러싼 갈등을 묘사하고 2016년 토론토 국제 영화제에서 처음 상영되었다. - 존 F. 케네디 암살 사건을 소재로 한 영화 - 더 파크랜드
2013년 영화 더 파크랜드는 존 F. 케네디 대통령 암살 사건 직후 댈러스 파크랜드 기념 병원 의료진, 경호 요원, 암살범 가족 등 여러 인물의 시각으로 사건을 재구성한 드라마이며, 베니스 국제 영화제와 토론토 국제 영화제에서 상영 후 케네디 암살 50주년 기념일에 맞춰 미국에서 개봉되었다. - 미국의 정치 영화 - 밥 로버츠
1990년 펜실베이니아를 배경으로 보수적인 공화당 포크 가수 밥 로버츠가 상원 의원에 출마하는 과정을 다큐멘터리 형식과 페이크 다큐멘터리 형식을 혼합하여 풍자적으로 묘사한 1992년 개봉한 팀 로빈스 감독, 각본, 주연의 정치 풍자 코미디 영화이다. - 미국의 정치 영화 - 트루스 (2015년 영화)
2004년 미국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조지 W. 부시 대통령의 군 복무 시절 특혜 의혹을 취재하는 CBS 탐사 보도 프로그램 '60분 II'의 과정을 그린 영화 트루스는 메리 메이프스의 회고록을 바탕으로 제작되었으나, 방송 후 오보 논란과 정치적 편향성 논란으로 흥행에 실패했다.
JFK (영화) - [영화]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감독 | 올리버 스톤 |
제작 | A. 키트먼 호 올리버 스톤 |
각본 | 올리버 스톤 재커리 스클러 |
원안 | 짐 개리슨, 《암살자들의 흔적을 따라서》 짐 마스, 《케네디를 죽인 음모》 |
출연 | 케빈 코스트너 케빈 베이컨 토미 리 존스 로리 멧캐프 게리 올드먼 마이클 루커 제이 O. 샌더스 시시 스페이식 잭 레먼 조 페시 |
음악 | 존 윌리엄스 |
촬영 | 로버트 리처드슨 |
편집 | 조 허싱 피에트로 스칼리아 |
제작사 | 르 스튀디오 카날 플뤼 리젠시 엔터프라이즈 알코어 필름 |
배급사 | 워너 브라더스 |
개봉일 | 1991년 12월 20일 |
상영 시간 | 189분 206분 (감독판) |
제작 국가 | 미국 |
언어 | 영어 |
제작비 | 4000만 달러 |
흥행 수익 | 2억 540만 5498 달러 |
일본 배급 수익 | 17억 5000만 엔 |
관련 정보 | |
관련 사건 | 클레이 쇼 |
2. 사건 배경
존 F. 케네디 대통령 암살 직후, 전직 미 해병대원이자 소련 망명 혐의를 받던 리 하비 오스월드가 J. D. 티핏 경관 살해 혐의로 체포되어 두 건의 살인 혐의로 기소되었으나, 나이트클럽 운영자 잭 루비에게 살해당한다.[1] 뉴올리언스 지방 검사 짐 개리슨은 데이비드 페리를 비롯한 JFK 암살 관련 뉴올리언스 연루 가능성을 조사하지만, 연방 정부의 공개적인 비난을 받고 조사를 종결한다.[1]
1966년, 개리슨이 워렌 보고서의 부정확성을 의심하면서 조사가 재개된다.[1] 개리슨과 그의 팀은 오스월드 및 페리와 관련된 인물들을 심문하는데, 그중 한 명은 매춘 혐의로 복역 중인 윌리 오키프로, 페리가 "클레이 버트란드"라는 인물과 케네디 암살에 대해 논의하고 오스월드를 만났다고 증언한다.[1] 개리슨 팀은 오스월드가 CIA 요원이며 암살 누명을 썼다고 추론한다.[1]
1967년, 개리슨 팀은 진 힐을 포함한 여러 증인과 대화한다. 진 힐은 잔디 언덕에서 총격범을 목격했고, 미국 비밀경호국이 텍사스 학교 도서 보관소에서 세 발의 총알이 발사되었다고 증언하도록 위협했으며, 워렌 위원회에서 증언이 변경되었다고 주장한다.[1] 개리슨 팀은 보관소에서 빈 소총을 시험 사격하여 오스월드의 사격 실력으로는 불가능하며, 총격범이 한 명 이상 있었다고 결론짓는다.[1] 개리슨은 "버트란드"가 뉴올리언스 사업가 클레이 쇼라고 믿게 되고, 쇼를 인터뷰하지만 쇼는 페리, 오키프, 오스월드를 만난 적이 없다고 부인한다.[1]
주요 증인들은 증언을 거부하거나 의문사하는 경우가 발생한다.[1] 페리는 사망 전 개리슨에게 케네디 암살 음모가 있었다고 말한다.[1] 개리슨은 "X"라는 고위 인사를 만나 CIA, 마피아, 군산 복합체, 미국 비밀경호국, FBI, 린든 B. 존슨 부통령 등이 연루된 정부 고위층의 쿠데타 가능성을 듣는다.[1] X는 케네디가 베트남 전쟁 철수 및 CIA 해체를 시도했기 때문에 살해당했다고 말하며, 개리슨에게 쇼를 기소하라고 권한다. 이후 개리슨은 쇼를 케네디 암살 공모 혐의로 기소한다.[1]
2. 1. 케네디 대통령과 냉전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 대통령은 1961년 고별 연설에서 군산 복합체의 성장에 대해 경고했다.[1] 그의 후임인 존 F. 케네디 대통령의 재임 기간은 피그스 만 침공과 쿠바 미사일 위기 같은 사건들로 특징지어졌으며, 1963년 11월 22일 댈러스 딜리 플라자에서 암살로 막을 내렸다.[1]2. 2. 암살 사건 발생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 전 대통령은 1961년 고별 연설에서 군산 복합체의 증강에 대해 경고했다. 그의 후임인 존 F. 케네디 대통령의 재임 기간은 피그스 만 침공과 쿠바 미사일 위기로 특징지어졌고, 1963년 11월 22일 댈러스에서 암살당했다. 전직 미 해병대원이자 소련 망명 혐의자인 리 하비 오스월드는 경찰관 J. D. 티핏 살인 혐의로 체포되어 두 건의 살인 혐의로 기소되었지만, 나이트클럽 운영자 잭 루비에게 살해당한다.[105]3. 공식 조사 및 논란
1961년,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 전 대통령은 고별 연설에서 군산 복합체의 증강에 대해 경고했다.[1] 그는 존 F. 케네디에게 대통령직을 물려주는데, 그의 재임 기간은 피그스 만 침공과 쿠바 미사일 위기로 특징지어졌고, 1963년 11월 22일 댈러스 딜리 플라자에서 암살로 막을 내렸다.[1] 전직 미 해병대원이자 소련 망명 혐의자인 리 하비 오스월드는 경찰관 J. D. 티핏 살인 혐의로 체포되어 두 건의 살인 혐의로 기소되었지만, 나이트클럽 운영자 잭 루비에게 살해당한다.[1] 뉴올리언스 지방 검사 짐 개리슨은 데이비드 페리를 포함, JFK 암살과 관련된 뉴올리언스 연루 가능성을 조사하지만, 연방 정부에 의해 공개적으로 비난받고 조사를 종결한다.[1]
이후 짐 개리슨의 수사와 클레이 쇼 재판이 이루어졌다.
3. 1. 워렌 위원회 보고서
주어진 소스에 워렌 위원회 보고서와 관련된 내용이 없으므로, 해당 섹션은 작성할 수 없습니다.3. 2. 짐 개리슨의 수사
1966년, 짐 개리슨은 워렌 보고서를 읽고 여러 부정확한 점을 발견했다고 믿으면서 존 F. 케네디 암살 사건 조사를 재개한다. 개리슨과 그의 직원들은 리 하비 오스월드와 데이비드 페리와 관련된 사람들을 심문한다. 그러한 증인 중 한 명은 매춘 혐의로 5년 징역형을 살고 있는 남성 매춘부 윌리 오키프였는데, 그는 페리가 "클레이 버트란드"라는 남자와 케네디 암살에 대해 이야기하는 것을 목격했고, 오스월드를 잠깐 만났다고 증언한다.[1] 개리슨과 그의 팀은 오스월드가 CIA의 요원이었고 암살 혐의를 받았다고 이론화한다.[1]1967년, 개리슨과 그의 팀은 여러 증인들과 대화를 나눈다. 그 중 한 명인 진 힐은 "잔디 언덕"에서 총격범이 쏜 것을 목격했다고 말했고, 미국 비밀경호국은 그녀에게 세 발의 총알이 오스월드가 케네디를 쐈다고 알려진 텍사스 학교 도서 보관소에서 발사되었다고 말하도록 위협했으며, 그녀의 증언은 워렌 위원회에 의해 변경되었다.[1] 개리슨의 직원들은 또한 보관소에서 빈 소총을 시험 발사하여 오스월드가 사격 솜씨가 좋지 않아 사격을 할 수 없었으며, 총격범이 한 명 이상 있었다는 결론을 내린다.[1] 개리슨은 "버트란드"가 실제로는 뉴올리언스 사업가 클레이 쇼라고 믿게 된다.[1] 개리슨은 쇼를 인터뷰하지만, 쇼는 페리, 오키프 또는 오스월드를 만난 적이 없다고 부인한다.[1]
몇몇 주요 증인들은 겁을 먹고 증언을 거부하는 반면, 잭 루비와 페리와 같은 사람들은 의심스러운 상황에서 사망한다.[1] 페리는 사망하기 전에 개리슨에게 케네디를 죽이려는 음모가 있었다고 말한다.[1] 개리슨은 "X"라고 자신을 소개한 워싱턴 D.C.의 고위 인물을 만난다.[1] 그는 CIA, 마피아, 군산 복합체, 미국 비밀경호국, FBI, 그리고 당시 부통령이었던 린든 B. 존슨을 공모자 또는 암살의 진실을 은폐할 동기를 가진 자로 지목하며 정부 최고위층의 쿠데타를 암시한다.[1] X는 케네디가 베트남 전쟁에서 미국을 철수시키고 CIA를 해체하려 했기 때문에 살해당했다고 제안한다.[1] X는 개리슨에게 계속 조사하고 쇼를 기소하라고 권한다.[1] 그 직후, 개리슨은 케네디 살인 음모 혐의로 쇼를 기소한다.[1]
개리슨의 아내 리즈는 그가 자신의 가족보다 사건에 더 많은 시간을 할애한다고 불평하면서 그의 결혼 생활이 힘들어졌다.[1] 그들의 딸에게 불길한 전화가 걸려온 후, 리즈는 개리슨이 이기적이며 그의 동성애 때문에 쇼를 공격하고 있다고 비난한다.[1] 개리슨의 직원 중 일부는 그의 동기에 의문을 품고 그의 방식에 동의하지 않으며 조사를 떠난다.[1] 그들 중 한 명인 빌 브루사드는 나중에 오랫동안 FBI의 내부자였음이 밝혀졌고, 개리슨을 납치, 살해하거나 위협하려는 시도로 보이는 사건에서 주변적인 역할을 했다는 것이 밝혀진다.[1] 또한 개리슨은 음모론을 조사하는 데 세금 낭비를 한다고 언론의 비판을 받는다.[1] 개리슨은 마틴 루터 킹 주니어 암살 사건과 로버트 F. 케네디 암살 사건과의 연관성을 의심한다.[1]
쇼의 재판은 1969년에 열린다.[1]
3. 3. 암살 기록 검토 위원회 (ARRB)
암살 기록 검토 위원회(ARRB)는 영화 ''JFK''의 결론에 대한 우려가 1992년 존 F. 케네디 대통령 암살 기록 수집법(JFK 법) 통과에 부분적으로 기여했다고 평가했다.[85]ARRB는 이 영화가 "FBI, CIA, 군대 소속 미국 정부 요원들을 공모자로 묘사한 케네디 대통령 암살 버전을 대중화했다"고 밝혔다. ARRB는 이 영화를 "대체로 허구"라고 묘사하면서도, 공식 기록이 2029년까지 공개되지 않을 것이라는 스톤의 지적과 "미국인들은 그러한 결론이 비밀리에 내려졌을 때 공식적인 공적 결론을 신뢰할 수 없다"는 그의 주장을 인정했다. ARRB 법에 따라, 기존의 모든 암살 관련 문서는 2017년까지 공개되었어야 했고,[86] 현재 대부분 공개되었다.[87]
4. 음모론
이 영화는 존 F. 케네디 암살 사건을 둘러싼 다양한 음모론을 제시하며, 사건의 진실을 파헤치려는 짐 개리슨 검사의 노력을 그리고 있다. 영화는 워렌 보고서의 허점을 지적하고, 리 하비 오스월드 단독 범행설에 의문을 제기하며, 암살 배후에 거대한 권력 집단이 존재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한다.
영화에서는 다음과 같은 음모론들이 제시되거나 암시된다.
- 중앙정보국(CIA) 개입설: 오스월드가 CIA 요원이었으며, 암살의 누명을 썼다는 주장이다. 윌리 오키프의 증언, 클레이 쇼 기소, "X"의 증언 등이 이 주장을 뒷받침한다.
- 군산 복합체 배후설: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 대통령이 경고했던 군산 복합체가 암살의 배후라는 주장이다. 케네디의 베트남 전쟁 철수 및 CIA 해체 시도가 암살 동기로 제시된다.
- 마피아 연루설: 마피아가 암살에 개입했다는 주장이다. 오스월드, 데이비드 페리, 잭 루비 등의 인물들이 마피아와 연관되어 있다는 의혹이 제기된다.
- 기타 음모론:
- 그래시 놀 언덕에서 발견된 빗자국이 찍힌 탄피
- 백색 오토바이 경찰관 무선 통화 기록에 담긴 총성
- 너무 짧은 두 번째와 세 번째 총성 간격
- 케네디의 목과 머리를 관통한 탄환의 방향
- 확장 탄두(덤덤탄) 사용 가능성
- 존 코널리 주지사의 증언
- 크게 절개된 케네디의 목 상처
- 케네디 시신 운송 과정의 의혹
- 텍사스 학교 도서 보관소 6층에서 발견된 제3자의 지문
이러한 음모론들은 영화의 주요 줄거리를 구성하며, 관객들에게 케네디 암살 사건에 대한 다양한 시각을 제공한다.
하지만, 영화는 엔터테인먼트를 위해 일부 음모론 서적의 내용을 섞어 각본을 구성했으며, 불확실한 정보와 과장, 확대 해석으로 인해 반론도 존재한다.
- 변경된 퍼레이드 경로: 영화에서는 조직적인 음모에 의해 퍼레이드 경로가 텍사스 교과서 창고 빌딩 근처를 지나가도록 변경되었다고 암시하지만, 이는 단순한 지도의 오기 때문으로 밝혀졌다.
- 사라진 '간질' 환자: 영화에서는 간질 발작을 일으킨 환자가 이름을 밝히지 않고 사라졌다고 주장하지만, 실제로는 이 환자는 1964년에 FBI에 의해 특정되었으며, 제리 벨크냅이라는 이름의 남성이었다.
- 코널리 주지사의 카우보이 모자: 영화에서는 코널리 주지사가 총격을 받은 시점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지만, 코널리 주지사의 부인은 남편이 병원 이송 중에도 계속 모자를 들고 있었다고 증언했다.
- 51명의 목격자: 영화에서는 51명의 목격자가 그래시놀에서 총격이 있었다고 증언했다고 주장하지만, 이는 실제 뒷받침이 없는 숫자이다.
- 오스왈드의 사격 실력: 영화에서는 오스왈드가 사격을 못했다고 묘사하지만, 실제로는 해병대 시절 일급 사격수 등급을 받았다.
- 댈러스 시 경찰의 라이플 검사: 당시에도 총포가 최근 발사되었는지 검증할 수 있는 감식 검사 방법은 존재하지 않았다.
- 오스왈드의 진술 조서: 영화에서는 오스왈드의 진술 조서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주장하지만, 실제로는 워런 보고서 부록 XI에 수록되어 있다.
- 텍사스 극장에서의 체포: 영화에서는 오스왈드 체포가 예정되어 있었던 것처럼 묘사하지만, 당시에는 경찰관 사살 사건으로 험악한 분위기였다.
- 낯선 작업원: 영화에서는 텍사스 교과서 창고 빌딩에 낯선 작업원들이 드나들었다고 설명하지만, 실제로는 6명의 교과서 창고 직원만 있었다.
- 딜리 플라자에서의 오스왈드와 잭 루비: 영화에서는 줄리아 머서의 증언을 영상화했지만, 이는 사실이 아닌 것으로 밝혀졌다.
- 뉴질랜드 신문: 영화에서는 뉴질랜드 신문에 오스왈드의 경력이 실린 것을 CIA의 사전 정보 제공 때문이라고 암시하지만, 이는 영화 제작 측의 트릭으로 밝혀졌다.
4. 1. CIA 개입설
중앙정보국(CIA)은 케네디 암살에 개입했다는 주장은 영화 ''JFK''의 핵심 내용 중 하나이다. 영화는 리 하비 오스월드가 CIA 요원이었으며, 암살의 누명을 썼다는 가설을 제시한다.[40]짐 개리슨과 그의 팀은 오스월드와 데이비드 페리 주변 인물들을 심문하면서 이 가설을 발전시킨다. 특히 남성 매춘부 윌리 오키프는 페리가 "클레이 버트란드"라는 남자와 케네디 암살에 대해 이야기하는 것을 들었고, 오스월드를 만난 적이 있다고 증언한다.[40]
개리슨은 "버트란드"가 실제로는 뉴올리언스 사업가 클레이 쇼라고 믿게 된다. 쇼는 페리, 오키프, 오스월드를 만난 적이 없다고 부인하지만, 개리슨은 그를 케네디 암살 공모 혐의로 기소한다.[40]
영화에서 "X"라고 불리는 고위 관리는 CIA, 마피아, 군산 복합체, 미국 비밀경호국, FBI, 그리고 당시 부통령이었던 린든 B. 존슨이 암살 공모자이거나 진실 은폐의 동기를 가졌다고 주장하며, 케네디가 베트남 전쟁에서 미국을 철수시키고 CIA를 해체하려 했기 때문에 암살당했다고 시사한다.[40]
이러한 주장은 워렌 보고서의 내용과 상반되며, 영화는 워렌 보고서의 여러 부정확성을 지적한다. 예를 들어, 진 힐은 "잔디 언덕"에서 총격범을 목격했고, 비밀경호국이 그녀에게 오스월드가 케네디를 쐈다고 알려진 텍사스 학교 도서 보관소에서 세 발의 총알이 발사되었다고 말하도록 위협했으며, 그녀의 증언이 워렌 위원회에 의해 변경되었다고 증언한다.[40] 또한, 개리슨의 직원들은 보관소에서 빈 소총을 시험 발사하여 오스월드가 사격 솜씨가 좋지 않아 사격을 할 수 없었으며, 총격범이 한 명 이상 있었다는 결론을 내린다.[40]
이러한 정황과 증언들을 바탕으로, 영화는 CIA가 케네디 암살에 깊이 개입했다는 의혹을 제기한다.
4. 2. 군산복합체 배후설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 대통령은 1961년 고별 연설에서 군산 복합체의 세력 확대를 경고했다. 존 F. 케네디 대통령은 피그스 만 침공과 쿠바 미사일 위기를 겪고, 1963년 11월 22일 댈러스 딜리 플라자에서 암살되었다. 리 하비 오스월드는 J. D. 티핏 경찰관 살해 혐의로 체포되어 두 건의 살인 혐의로 기소되었지만, 잭 루비에게 살해당했다. 짐 개리슨 검사는 데이비드 페리를 포함한 JFK 암살 관련 뉴올리언스 연루 가능성을 조사했지만, 연방 정부에 의해 조사가 중단된다.1966년, 개리슨은 워렌 보고서의 부정확성을 발견하고 조사를 재개한다. 개리슨은 오스월드와 페리 관련자들을 심문하고, 오스월드가 CIA 요원이며 암살 혐의를 받았다고 추론한다. 1967년, 개리슨은 증인 진 힐로부터 미국 비밀경호국이 워렌 위원회에서 증언을 조작하도록 위협했다는 이야기를 듣는다. 개리슨의 팀은 텍사스 학교 도서 보관소에서 시험 사격을 통해 오스월드의 단독 범행이 불가능하다고 결론짓고, "버트란드"가 클레이 쇼라고 믿게 된다. 쇼는 혐의를 부인한다.
주요 증인들은 증언을 거부하거나 의문사하고, 페리는 죽기 전 케네디 암살 음모를 개리슨에게 알린다. 개리슨은 "X"라는 고위 관료로부터 암살이 정부 최고위층의 쿠데타이며, CIA, 마피아, 군산 복합체, 미국 비밀경호국, FBI, 린든 B. 존슨이 연루되었다는 암시를 받는다. X는 케네디가 베트남 전쟁 철수와 CIA 해체를 원했기 때문에 살해당했다고 주장하며, 개리슨에게 쇼를 기소하라고 권한다. 개리슨은 쇼를 기소한다.
개리슨의 결혼 생활은 파탄나고, 직원들은 그의 동기를 의심하며 조사를 떠난다. 개리슨은 언론의 비판을 받고, 마틴 루터 킹 주니어 암살 사건과 로버트 F. 케네디 암살 사건과의 연관성을 의심한다.
1969년 쇼의 재판에서 개리슨은 단일 탄환 이론을 부정하고, 존슨의 대통령 취임과 베트남 전쟁 확대를 위한 암살 시나리오를 제시한다. 배심원단은 쇼에게 무죄를 선고하고, 개리슨은 가족과의 관계를 회복한다.
영화에서 다뤄지지 않은 몇 가지 논점은 다음과 같다.
- 그래시놀 언덕에서 발견된 빗자국이 찍힌 탄피: 짐 마스(JFK 암살 사건 연구가)는 빗자국이 찍힌 탄피의 존재를 알고 있었지만, 확증이 없어 영화 제작 당시에는 공개하지 않았다. 발견된 탄피는 "레밍턴 파이어볼" 소형 라이플총의 초기형 모델로, 범행을 자백한 남자도 "그래시놀 언덕에서 레밍턴 파이어볼로 대통령을 쏘았다"고 증언한다.
- 백색 오토바이 경찰관 무선 통화 기록의 총성: 일본 음향 연구소 감정 결과, 4발의 총성 중 한 발이 레밍턴 파이어볼의 총성과 매우 가깝다는 결과가 나왔다.
- 짧은 두 번째와 세 번째 총성 간격: 백색 오토바이 경찰관 무선 통신에 기록된 두 번째와 세 번째 총성 사이는 2초 미만으로, 카르카노 소총으로는 연사가 불가능하다.
- 케네디 목과 머리 관통 탄환 방향: 워렌 보고서는 오스왈드가 교과서 창고 빌딩 6층에서 쐈다고 주장하지만, 검시 결과 케네디 목 총상은 수평으로 들어왔다. 자프루더 필름에서도 케네디는 상반신을 수직으로 하고 있었다.
- 확장 탄두(덤덤탄) 사용 가능성: 탄환이 단단한 물체에 맞으면 부서지는 확장 탄두(덤덤탄)가 사용되었다면, 맞은 방향과 반대로 뒤로 넘어갈 수 있다는 실험 결과가 있다.
- 코널리 주지사 증언: 코널리 주지사는 케네디 대통령과 자신이 서로 다른 탄환에 맞았다고 증언했다.
- 크게 절개된 케네디 목 상처: 파크랜드 병원 관계자는 케네디 목 상처가 작았다고 증언했지만, 베데스다 해군 병원 검시관들은 크게 절개된 흔적이 있다고 증언하여, 상처 조작 의혹이 제기되었다.
- 케네디 시신 운송 공백: 댈러스에서 워싱턴으로 운반되기 전 케네디 시신에 대한 의혹이 있다.
- 교과서 빌딩 6층 지문: 오스왈드나 빌딩 직원이 아닌, 존슨 대통령과 친분 있던 남자의 지문이 검출되었다는 소문이 있다.
4. 3. 마피아 연루설
존 F. 케네디 암살에 마피아가 연루되었다는 설은 여러 증거와 증언을 통해 제기되었다. 짐 개리슨 검사는 리 하비 오스월드와 데이비드 페리의 연관성을 조사하면서 마피아 연루 가능성을 제기했다.주요 증거 및 증언:
- 윌리 오키프의 증언: 남성 매춘부 윌리 오키프는 페리가 "클레이 버트란드"라는 남자와 케네디 암살에 대해 이야기하는 것을 목격했고, 오스월드를 만났다고 증언했다.[1]
- 페리의 죽음: 페리는 의문스러운 상황에서 사망하기 전, 케네디 암살 음모가 있었다고 개리슨에게 말했다.[1]
- "X"의 증언: 워싱턴 D.C.의 고위 인물 "X"는 CIA, 마피아, 군산 복합체 등이 암살에 연루되었거나 진실을 은폐할 동기를 가지고 있다고 주장했다.[1]
이러한 증거들을 바탕으로, 개리슨은 뉴올리언스 사업가 클레이 쇼를 케네디 암살 음모 혐의로 기소했지만, 배심원단은 쇼에게 무죄를 선고했다.[1]
4. 4. 기타 음모론
영화에서 직접적으로 다루지 않은 몇 가지 음모론적 관점들이 존재한다.- 그래시 놀 언덕의 탄피: 그래시 놀 언덕에서 빗자국이 찍힌 탄피가 발견되었다는 주장이 있다. 이는 영화에서도 언급된 "그래시 놀에서 총을 쏜 사람이 있다"는 증언과 연결된다. JFK 암살 사건 연구가 짐 마스(Jim Marrs)는 이 탄피의 존재를 알고 있었으나, 확증이 없어 영화 제작 당시에는 공개하지 않았다. 발견된 탄피는 "레밍턴 파이어볼"이라는 소형 라이플총의 초기형 모델로 추정되며, 범행을 자백한 남자의 증언과도 일치한다.
- 총성 간격: 백색 오토바이 경찰관의 무선 통신 기록에는 4발의 총성이 녹음되어 있는데, 2번째와 3번째 총성 사이의 간격이 매우 짧다. 이는 리 하비 오스월드가 사용한 카르카노 소총으로는 불가능하다는 주장과 연결된다.
- 탄환의 방향: 워렌 보고서는 텍사스 학교 도서 보관소 6층에서 오스월드가 케네디를 저격했다고 결론 내렸지만, 케네디 목의 총상 사입구와 사출구가 거의 수평이라는 검시 결과가 나왔다. 이는 탄환이 위에서 아래로 쏴졌어야 한다는 워렌 보고서의 내용과 모순된다. 자프루더 필름 분석 결과, 케네디는 총에 맞기 직전 상체를 숙이지 않았다는 점도 이 의혹을 뒷받침한다.
- 코널리 주지사의 증언: 존 코널리 주지사는 케네디 대통령이 먼저 총에 맞은 후 자신이 총에 맞았다고 증언했다. 이는 케네디와 코널리가 서로 다른 탄환에 맞았다는 것을 의미하며, 워렌 보고서의 단일 탄환 이론과 배치된다.
- 케네디 목의 상처: 파크랜드 병원 관계자들은 케네디 목의 상처가 작았다고 증언했지만, 베데스다 해군 병원 검시관들은 상처가 크게 절개된 흔적이 있다고 증언했다. 이는 워렌 보고서의 내용에 맞추기 위해 시신의 상처를 조작했다는 의혹을 불러일으킨다.
- 케네디 시신 운송: 댈러스에서 워싱턴으로 케네디 시신을 운송하는 과정에서 시신이 담긴 관과 시신 봉투가 바뀌었다는 의혹이 제기되었다. 이는 시신에 대한 추가적인 조작 가능성을 시사한다.
- 교과서 빌딩 6층의 지문: 텍사스 학교 도서 보관소 6층에서 오스월드나 건물 직원의 것이 아닌 지문이 발견되었다. 이 지문이 린든 B. 존슨 대통령과 친분이 있던 남자의 것이라는 소문이 있었지만, 공식적으로 확인된 바는 없다.
5. 관련 인물
인물 | 배우 | 역할 및 설명 |
---|---|---|
짐 개리슨 | 케빈 코스트너 | 뉴올리언스 지방 검사. 존 F. 케네디 암살 사건의 진실을 밝히기 위해 노력하며, 워렌 보고서에 의문을 품고 독자적인 수사를 진행한다. |
클레이 쇼 | 토미 리 존스 | 뉴올리언스 사업가. 짐 개리슨은 그를 "클레이 버트랜드"라는 가명으로 케네디 암살에 연루된 인물로 지목하고 기소한다. 쇼는 데이비드 페리, 윌리 오키프, 리 하비 오스월드와의 만남을 부인한다. |
리 하비 오스월드 | 게리 올드만 | 전직 미 해병대원. 존 F. 케네디 대통령과 경찰관 J. D. 티핏 살해 혐의로 기소되었으나, 잭 루비에게 살해당한다. 짐 개리슨은 그가 CIA 요원이며 암살 혐의를 썼다고 추론한다. |
데이비드 페리 | 조 페시 | 짐 개리슨 팀의 주요 조사 대상. 케네디 암살과 관련된 뉴올리언스 연루 가능성이 제기된 인물. |
윌리 오키프 | 케빈 베이컨 | 페리가 "클레이 버트랜드"라는 남자와 케네디 암살에 대해 이야기하는 것을 목격했고, 리 하비 오스월드를 잠깐 만났다고 증언한 인물.[27][31] |
X | 도널드 서덜랜드 | 워싱턴 D.C.의 고위 인물. CIA, 마피아, 군산 복합체, 미국 비밀경호국, FBI, 린든 B. 존슨을 암살 공모자 또는 은폐 동기를 가진 자로 지목하며 정부 최고위층의 쿠데타를 암시한다.[28] |
잭 루비 | 브라이언 도일 머레이 | 나이트클럽 운영자. 리 하비 오스월드를 살해한다.[1] |
가이 배니스터 | 에드워드 애스너 | |
잭 마틴 | 잭 레먼 | |
리즈 개리슨 | 시시 스페이식 | 짐 개리슨의 아내 |
빌 브루사드 | 마이클 루커 | 짐 개리슨의 수사팀원 중 한명 이였으나, FBI의 내부자였음이 밝혀진다. |
루 아이본 | 제이 O. 샌더스[106] | |
수지 콕스 | 로리 메트커프 | |
누마 베르텔 | 웨인 나이트 | |
알 오서 | 게리 그럽스 | |
로즈 체라미 | 샐리 커클랜드 | |
딘 앤드루스 | 존 캔디 |
5. 1. 존 F. 케네디
1961년,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 전 대통령은 고별 연설에서 군산 복합체의 증강에 대해 경고했다. 그는 존 F. 케네디에게 대통령직을 물려주었는데, 그의 재임 기간은 피그스 만 침공과 쿠바 미사일 위기로 특징지어졌고, 1963년 11월 22일 댈러스에서 암살로 막을 내렸다. 전직 미 해병대원이자 소련 망명 혐의자인 리 하비 오스월드는 경찰관 J. D. 티핏 살인 혐의로 체포되어 두 건의 살인 혐의로 기소되었지만, 나이트클럽 운영자 잭 루비에게 살해당했다.5. 2. 리 하비 오스월드
게리 올드만이 연기한 리 하비 오스월드는 전직 미 해병대원으로, 소련으로 망명한 혐의를 받고 있었다.[29] 그는 존 F. 케네디 대통령과 경찰관 J. D. 티핏을 살해한 혐의로 기소되었지만, 나이트클럽 운영자 잭 루비에게 살해당한다.[30]짐 개리슨과 그의 팀은 오스월드가 CIA 요원이었으며 암살 혐의를 받았다고 추론한다. 영화에서는 오스월드가 사격을 못했다고 묘사되지만, 실제로는 오스월드는 해병대 재직 중이던 1956년에 M1 개런드 라이플을 사용한 속사(rapid-fire)에서 50점 만점 중 48점과 49점을 기록하여 일급 사격수(sharpshooter) 등급을 받았다. 이는 해병대원으로는 중상위 클래스이며, 일반 미국인 중에서는 분명 상위 클래스이다.
극 중에서 짐 개리슨은 "오스왈드는 12시간이나 구금되었는데 진술 조서가 존재하지 않는다"라며 음모를 암시하지만, 실제로는 체포된 주말의 댈러스 시 경찰에서의 진술은 워런 보고서의 부록 XI에 수록되어 있다.
오스월드가 텍사스 극장(영화관)에서 체포되는 장면에서 수십 명의 경찰관이 쇄도하는 모습은 마치 체포가 예정되어 있었던 듯한 인상을 준다. 그러나 당시에는 인근에서 발생한 경찰관 사살 사건으로 현장 주변의 경찰관들이 험악한 분위기였으며, 다른 신고에서도 인근 도서관에 수십 명의 경찰관이 쇄도하여 큰 소동이 벌어졌다.
줄리아 머서는 퍼레이드 당일 아침, 교통 체증이 심한 딜리 플라자에서 그래시놀 도로 옆에 멈춰 있던 녹색 픽업트럭에서 라이플과 같은 물건을 내리는 남자를 목격했다. 나중에 사진으로 확인한 결과, 운전자는 잭 루비였고, 라이플을 내리던 남자는 오스왈드였다고 경찰에 증언했다는 유명한 이야기를 영화에서 영상화했다. 그러나 이 트럭은 댈러스 시 경찰에 의해 지역 건설 회사의 것으로 고장으로 정차해 있던 것이었으며, 뒷부분에서 공구 상자를 꺼내 수리하고 있었음이 밝혀졌다. 또한, 이 기간 동안 3명의 댈러스 시 경찰관이 입회하고 있었다.
영화에서는 1963년 11월 23일 뉴질랜드 신문의 조간에 오스왈드의 경력이 실린 것은 CIA에 의한 사전 정보 제공이 있었다는 점을 암시한다. 즉, 미국 시간 오후 3시, 뉴질랜드 시간 23일 오전 10시에 발표가 있었으므로 시차를 고려하면 조간에 게재되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묘사되어 있다. 그러나 이는 영화 제작 측의 의도적인 트릭으로, 1963년 당시 뉴질랜드에서는 "조간"이 발행되지 않았다. 일반적으로 뉴질랜드에서는 신문은 오후 1시부터 2시에 당일 날짜의 신문이 발행되는데, 미국 대통령 암살이라는 전대미문의 대사건에 통상 호주를 경유해 오는 뉴스를 뉴질랜드 직통으로 전환하여 23일 자 신문에 맞췄다고 당시 담당자가 말했다.
5. 3. 짐 개리슨
케빈 코스트너가 연기한 짐 개리슨은 뉴올리언스 지방 검사로, 존 F. 케네디 암살 사건의 진실을 밝히기 위해 노력한 인물이다. 그는 워렌 보고서의 내용에 의문을 품고 독자적인 수사를 진행했다.[23]개리슨과 그의 팀은 데이비드 페리를 포함하여 케네디 암살과 관련된 뉴올리언스 연루 가능성을 조사했지만, 연방 정부의 비난으로 조사를 종결한다. 하지만 1966년, 워렌 보고서의 부정확성을 발견하고 조사를 재개한다.
개리슨 팀은 매춘 혐의로 복역 중인 윌리 오키프를 심문하는데, 오키프는 페리가 "클레이 버트랜드"라는 남자와 케네디 암살에 대해 이야기하는 것을 목격했고, 리 하비 오스월드를 만났다고 증언한다. 이를 통해 개리슨은 오스월드가 CIA 요원이며 암살 혐의를 씌웠다고 추론한다.
1967년, 개리슨 팀은 진 힐을 포함한 여러 증인들과 대화를 나눈다. 힐은 잔디 언덕에서 총격범을 목격했고, 미국 비밀경호국이 텍사스 학교 도서 보관소에서 세 발의 총알이 발사되었다고 말하도록 위협했으며, 증언이 워렌 위원회에 의해 변경되었다고 주장한다. 또한, 개리슨 팀은 보관소에서 빈 소총을 시험 발사하여 오스월드가 사격 솜씨가 좋지 않아 총격범이 한 명 이상 있었다는 결론을 내린다.
개리슨은 "버트랜드"가 클레이 쇼라고 믿고 인터뷰하지만, 쇼는 부인한다. 주요 증인들은 증언을 거부하거나 의심스러운 상황에서 사망하고, 페리는 사망 전 개리슨에게 케네디 암살 음모가 있었다고 말한다.
개리슨은 "X"라고 자신을 소개한 워싱턴 D.C.의 고위 인물을 만나는데, 그는 정부 최고위층의 쿠데타를 암시하며, CIA, 마피아, 군산 복합체, 미국 비밀경호국, FBI, 린든 B. 존슨을 암살 공모자 또는 은폐 동기를 가진 자로 지목한다. X는 케네디가 베트남 전쟁에서 미국을 철수시키고 CIA를 해체하려 했기 때문에 살해당했다고 제안하며, 개리슨에게 쇼를 기소하라고 권한다.
개리슨은 케네디 살인 음모 혐의로 쇼를 기소하지만, 그의 결혼 생활은 힘들어지고, 직원 일부는 그의 동기와 방식에 의문을 품고 조사를 떠난다. 또한 언론은 개리슨이 음모론을 조사하는 데 세금 낭비를 한다고 비판한다. 개리슨은 마틴 루터 킹 주니어 암살 사건과 로버트 F. 케네디 암살 사건과의 연관성을 의심한다.
1969년 쇼의 재판에서 개리슨은 단일 탄환 이론을 기각하고, 존슨이 대통령이 되어 베트남 전쟁을 확대하고 방위 산업을 부유하게 만들기 위해 3명의 암살범이 6발의 총을 쏘고 오스월드에게 케네디와 J. D. 티핏 살인 혐의를 씌운 시나리오를 제시한다. 그러나 배심원단은 쇼에게 무죄를 선고한다.
개리슨의 기소는 실패했지만, 그의 결단력으로 가족과의 관계를 회복한다.
5. 4. 클레이 쇼
1967년, 짐 개리슨은 "버트랜드"라는 인물이 실은 뉴올리언스의 사업가 클레이 쇼라고 믿게 된다. 개리슨은 쇼를 인터뷰하지만, 쇼는 데이비드 페리, 윌리 오키프, 또는 리 하비 오스월드를 만난 적이 없다고 부인한다.[26]몇몇 주요 증인들은 증언을 거부하고, 잭 루비와 페리 같은 사람들은 의심스러운 상황에서 사망한다. 페리는 사망하기 전에 개리슨에게 케네디를 암살하려는 음모가 있었다고 말한다. 개리슨은 워싱턴 D.C.에서 "X"라고 자신을 소개하는 고위 인물을 만난다. X는 CIA, 마피아, 군산 복합체, 미국 비밀경호국, FBI, 그리고 당시 부통령이었던 린든 B. 존슨을 공모자 또는 암살의 진실을 은폐할 동기를 가진 자로 지목하며 정부 최고위층의 쿠데타를 암시한다. X는 케네디가 베트남 전쟁에서 미국을 철수시키고 CIA를 해체하려 했기 때문에 살해당했다고 제안한다. X는 개리슨에게 계속 조사하고 쇼를 기소하라고 권한다. 그 직후, 개리슨은 케네디 암살 음모 혐의로 쇼를 기소한다.
개리슨의 아내 리즈는 그가 가족보다 사건에 더 많은 시간을 할애한다고 불평하면서 그의 결혼 생활은 힘들어졌다. 딸에게 불길한 전화가 걸려온 후, 리즈는 개리슨이 이기적이며 그의 동성애 때문에 쇼를 공격하고 있다고 비난한다. 개리슨의 직원 중 일부는 그의 동기에 의문을 품고 그의 방식에 동의하지 않으며 조사를 떠난다. 그들 중 한 명인 빌 브루사드는 나중에 오랫동안 FBI의 내부자였음이 밝혀졌고, 개리슨을 납치, 살해하거나 위협하려는 시도로 보이는 사건에서 주변적인 역할을 했다는 것이 밝혀진다. 또한 개리슨은 음모론을 조사하는 데 세금 낭비를 한다고 언론의 비판을 받는다. 개리슨은 마틴 루터 킹 주니어 암살 사건과 로버트 F. 케네디 암살 사건과의 연관성을 의심한다.
쇼의 재판은 1969년에 열린다. 개리슨은 법원에 단일 탄환 이론을 기각하고, 존슨이 대통령이 되어 베트남 전쟁을 확대하고 방위 산업을 부유하게 만들기 위해 3명의 암살범이 6발의 총을 쏘고 오스월드에게 케네디와 티핏 살인 혐의를 씌운 시나리오를 제시한다. 그러나 배심원단은 1시간도 안 되어 심의를 거쳐 쇼에게 무죄를 선고한다. 그의 기소는 실패했지만, 개리슨은 그의 결단력으로 아내와 자녀의 존경을 얻었고, 가족과의 관계를 회복한다.
5. 5. 잭 루비
잭 루비(브라이언 도일 머리)는 나이트클럽 운영자로, 리 하비 오스월드가 경찰관 J. D. 티핏 살해 혐의로 체포되어 두 건의 살인 혐의로 기소된 후 오스월드를 살해한다.[1]5. 6. 기타 관련 인물
데이비드 페리는 조 페시가 연기했으며, 윌리 오키프는 케빈 베이컨이 연기했다. 페리는 짐 개리슨 팀이 케네디 암살과 관련된 뉴올리언스 연루 가능성을 조사할 때 주요 조사 대상이었다. 오키프는 페리가 "Clay Bertrand|클레이 버트랜드영어"라는 남자와 케네디 암살에 대해 이야기하는 것을 목격했고, 리 하비 오스월드를 잠깐 만났다고 증언한 인물이다.[27][31]X는 도널드 서덜랜드가 연기한 인물로, 워싱턴 D.C.의 고위 인물이다. 그는 CIA, 마피아, 군산 복합체, 미국 비밀경호국, FBI, 그리고 당시 부통령이었던 린든 B. 존슨을 공모자 또는 암살의 진실을 은폐할 동기를 가진 자로 지목하며 정부 최고위층의 쿠데타를 암시한다.[28] X는 케네디가 베트남 전쟁에서 미국을 철수시키고 CIA를 해체하려 했기 때문에 살해당했다고 제안하며, 개리슨에게 계속 조사하고 클레이 쇼를 기소하라고 권한다.
영화에서 'X 대령'의 모델은 플레처 프라우티로 알려져 있다.
6. 영화 "JFK"
《JFK》는 1991년 올리버 스톤이 감독하고 케빈 코스트너, 케빈 베이컨, 토미 리 존스 등이 출연한 영화이다. 존 F. 케네디 암살 사건을 둘러싼 의혹과 짐 개리슨 검사의 수사 과정을 다룬다.
영화는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 대통령이 1961년 고별 연설에서 군산 복합체의 위험성을 경고하는 장면으로 시작한다. 이후 존 F. 케네디 대통령이 암살되고, 리 하비 오스월드가 용의자로 체포되지만 잭 루비에게 살해당한다. 뉴올리언스 지방 검사 짐 개리슨은 이 사건에 의문을 품고 독자적인 수사를 시작한다.
개리슨은 워렌 보고서의 내용을 불신하고, CIA, FBI, 마피아 등 여러 세력이 연루된 거대한 음모가 있다고 믿는다. 그는 클레이 쇼라는 인물을 케네디 암살의 배후로 지목하고 기소하지만, 결국 무죄 판결을 받는다.
영화는 개봉 당시 역사 왜곡과 음모론 조장이라는 비판을 받았지만, 존 F. 케네디 암살 사건에 대한 대중의 관심을 환기하고, 1992년 존 F. 케네디 대통령 암살 기록 수집법 제정에 영향을 미쳤다는 평가를 받는다. 또한, 영화는 흥행에도 성공하여 전 세계적으로 2억달러 이상, 미국에서 7000만달러을 벌어들였다.[73]
영화는 아카데미상 작품상 후보에 올랐고, 촬영상과 편집상을 수상했다. 수상 내역은 다음과 같다.
상 | 부문 | 수상자 | 결과 |
---|---|---|---|
아카데미상[75][76][77] | 작품상 | 올리버 스톤과 A. 키트만 호 | 후보 |
감독상 | 올리버 스톤 | 후보 | |
남우조연상 | 토미 리 존스 | 후보 | |
각색상 | 올리버 스톤과 재커리 스클라 | 후보 | |
촬영상 | 로버트 리처드슨 | 수상[78] | |
편집상 | 조 허싱과 피에트로 스칼리아 | 수상[79] | |
음악상 | 존 윌리엄스 | 후보 | |
음향상 | 마이클 밍클러, 그레그 란데커와 토드 A. 메이틀랜드 | 후보 | |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 | 남우조연상 | 토미 리 존스 | 후보 |
각색상 | 올리버 스톤과 재커리 스클라 | 후보 | |
편집상 | 조 허싱과 피에트로 스칼리아 | 수상 | |
음향상 | 토드 A. 메이틀랜드, 와일리 스테이먼, 마이클 D. 윌호이트, 마이클 밍클러와 그레그 란데커 | 수상 | |
골든 글로브상 | 드라마 작품상 | 후보 | |
감독상 | 올리버 스톤 | 수상[80] | |
드라마 남우주연상 | 케빈 코스트너 | 후보 | |
각본상 | 올리버 스톤과 재커리 스클라 | 후보 | |
미국 감독 조합상[81] | 영화 부문 감독상 | 올리버 스톤 | 후보 |
영화는 다음과 같은 논란점들을 제기했다.
- 그래시 놀 언덕에서 발견된 빗자국이 찍힌 탄피: 영화에서는 "그래시 놀 언덕에서 쏜 사람이 있다"는 증언이 묘사되지만, 이후 "대통령을 자신이 쏘았고, 빗자국이 찍힌 탄피를 그래시 놀 언덕에 두고 왔다"는 증언을 하는 남자가 나타났다.
- 너무 짧은 두 번째와 세 번째 총성 간격: 백색 오토바이 경찰관의 무선 통신에 기록된 총성 간격이 너무 짧아 리 하비 오스월드가 단독으로 범행을 저지르기 어렵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 케네디의 목과 머리를 관통한 탄환의 방향: 검시 결과와 자프루더 필름 분석을 통해 탄환의 방향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었다.
- 코널리 주지사의 증언: 코널리 주지사는 케네디 대통령과 자신이 서로 다른 탄환에 맞았다고 증언하여, 워런 위원회의 결론과 배치된다.
- 크게 절개된 케네디의 목의 상처: 파크랜드 병원과 베데스다 해군 병원에서의 검시 결과 차이로 인해 시신 조작 의혹이 제기되었다.
- 케네디의 시신 운송 공백: 댈러스에서 워싱턴으로 시신이 운송되는 과정에서 의문점이 발견되었다.
- 텍사스 학교 도서 보관소 6층에 지문을 남긴 남자: 오스왈드 외 다른 사람의 지문이 발견되어 음모론을 뒷받침하는 증거로 제시되었다.
영화는 짐 개리슨(Jim Garrison)의 『On the Trail of the Assassins: My Investigation and Prosecution of the Murder of President Kennedy』(번역: 짐 개리슨 『JFK 케네디 암살범을 쫓아라』, 이와세 타카오 역, 하야카와 문고NF: 하야카와 쇼보 1992년) 및 짐 마스(Jim Marrs)의 『Crossfire: The Plot That Killed Kennedy』를 원작으로 한다. 짐 개리슨은 실존 인물인 전직 검사이며, 짐 마스는 케네디 암살 사건 연구가이다(영화는 사실에 허구를 섞은 픽션이다).
6. 1. 영화 줄거리 및 등장인물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 대통령은 1961년 고별 연설에서 군산 복합체의 세력 확대를 경고했다. 그의 후임인 존 F. 케네디 대통령이 1963년 11월 22일 텍사스주 댈러스의 딜리 플라자에서 암살되기까지의 재임 기간 동안, 피그스 만 침공 사건과 쿠바 미사일 위기라는 큰 사건이 있었다. 전직 미국 해병대원이자 소련으로 망명한 것으로 의심되는 리 하비 오스월드는 경찰관 J. D. 티핏 살해 혐의로 체포되어 케네디와 티핏 두 사람의 살인죄로 기소되었지만, 나이트클럽 오너 잭 루비에게 살해당한다. 뉴올리언스 지방 검사인 짐 개리슨(케빈 코스트너 분)과 그의 팀은 민간 파일럿 데이비드 페리(조 페시 분)를 포함한 뉴올리언스와 JFK 암살과의 연관성을 조사하지만, 그들의 수사는 연방 정부로부터 공개적으로 비판받고, 개리슨은 수사를 종료한다.1966년, 개리슨이 워렌 보고서를 읽고 부정확한 점이 몇 가지 있다고 생각하여 조사가 재개된다. 개리슨과 그의 스태프는 오스왈드와 페리와 관계가 있었던 자들을 심문한다. 그러한 증인 중 한 명은 매춘 혐의로 5년간 복역한 남자 창녀 윌리 오키프(케빈 베이컨 분)인데, 그는 페리가 "클레이 버트란드"라고 불리는 남자(클레이 쇼, 토미 리 존스 분)와 케네디 암살에 대해 이야기하는 것을 목격했고, 또한 오스왈드와 잠시 만난 적이 있다고 진술했다. 개리슨과 그의 팀은 오스왈드가 CIA 요원이며 암살의 누명을 썼다고 추론한다.
1967년, 개리슨과 그의 팀은 교사 진 힐(엘렌 매켈더프 분)을 포함한 암살의 여러 목격자들로부터 이야기를 들었다. 힐은 조금 높은 "그래시 놀"에서 한 남자가 발포하는 것을 목격했고, 오스왈드가 그곳에서 케네디를 쐈다고 하는 텍사스 학교 도서 보관소에서 3발의 발포가 있었다고 미국 비밀경호국으로부터 협박을 받았으며, 그녀의 증언은 워렌 위원회에 의해 조작되었다고 진술했다. 개리슨의 스태프는 또한 텍사스 학교 도서 보관소에서 빈 소총을 시험 사격하여 오스왈드의 사격 실력으로는 일정 시간 내에 3발을 발사할 수 없고, 저격자는 여러 명 있었다고 결론지었다. 개리슨은 "버트랜드"가 실제로는 뉴올리언스 실업가 클레이 쇼라고 믿게 된다. 개리슨은 쇼에게서 청취하지만, 쇼는 페리, 오키프, 오스왈드 그 누구도 만난 적이 없다고 부인한다.
중요한 증인 중에는 공포를 느껴 증언을 거부하는 사람도 있었고, 루비나 페리처럼 의심스러운 상황에서 사망하는 사람도 있었다. 페리는 죽기 전에 케네디 살해 음모가 있었다는 것을 개리슨에게 알린다. 개리슨은 워싱턴 D.C.에서 "X"(도널드 서덜랜드 분)라고 자칭하는 고위 관료를 만난다. 그는 암살이 정부 최고 레벨에서의 쿠데타였다는 것을 시사하고, CIA, 마피아, 군산 복합체, 시크릿 서비스, FBI, 그리고 당시 부통령 린든 B. 존슨이 공모자이거나 암살의 진실을 은폐할 동기를 가지고 있었다고 시사한다. X는 케네디가 미국을 베트남 전쟁에서 철수시키려 했고, CIA를 해체하려 했기 때문에 살해된 것이 아니냐고 시사한다. X는 개리슨에게 수사를 계속하여 쇼를 기소할 것을 권한다. 그 직후, 개리슨은 쇼를 케네디 살해 공모죄로 기소했다.
개리슨의 결혼 생활은 아내 리즈(시시 스페이식 분)가 개리슨이 가족보다 사건에 더 많은 시간을 쏟는다고 불만을 터뜨린 이후 어색해진다. 딸에게 불길한 전화가 걸려온 후, 리즈는 개리슨이 이기적이며, 동성애자라는 이유만으로 쇼를 공격하고 있다고 비난한다. 개리슨의 스태프 일부는 그의 동기를 의심하기 시작하고, 그의 방식에 이의를 제기하며, 조사에서 떠난다. 그중 한 명인 빌 브루사드(마이클 루커 분)는 한동안 FBI의 내통자였으며, 개리슨을 납치, 살해, 또는 위협하려는 시도에 있어 알 수 없는 역할을 수행한 것으로 나중에 밝혀진다. 더 나아가, 개리슨은 음모론 조사를 위해 세금을 낭비하고 있다고 언론에서 비판받는다. 개리슨은 마틴 루터 킹 주니어 암살 사건과 로버트 F. 케네디 암살 사건 사이의 연관성을 의심한다.
쇼의 재판은 1969년에 열렸다. 개리슨은 법원에 "단일 탄환 이론"의 기각을 제안하고, 존슨을 대통령 자리에 앉히기 위해 3명의 암살자가 6발의 발포를 가했고, 오스왈드를 케네디와 티핏 살해 혐의로 몰았다는 시나리오를 제시했다. 존슨이 대통령이 되면, 그는 베트남 전쟁을 격화시키고, 방위 산업을 이롭게 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배심원단은 1시간도 안 되는 심의 끝에 쇼에게 무죄 판결을 내렸다. 이 기소는 실패로 끝났지만, 개리슨은 그의 결의에 찬 방식으로 아내와 자녀들의 존경을 얻고, 가족과의 관계를 회복한다.
'''주요 등장인물'''
배우 | 배역 | 배역 설명 |
---|---|---|
케빈 코스트너 | 짐 개리슨 | 뉴올리언스 지방 검사 |
케빈 베이컨 | 윌리 오키프 | 남창, 페리의 증언자 |
토미 리 존스 | 클레이 쇼 / 클레이 버트란드 | 뉴올리언스 사업가, 케네디 암살 공모 혐의자 |
로리 멧칼프 | 수지 콕스 | 개리슨의 수사관 |
게리 올드만 | 리 하비 오스월드 | 케네디 암살범으로 지목된 인물 |
마이클 루커 | 빌 브루사드 | 개리슨의 수사관, FBI 내통자 |
제이 오. 샌더스 | 루 이본 | 개리슨의 수사관 |
시시 스페이식 | 리즈 개리슨 | 짐 개리슨의 아내 |
조 페시 | 데이비드 페리 | 케네디 암살 연루 의혹을 받는 인물 |
베아타 포즈니아크 | 마리나 오스왈드 포터 | 리 하비 오스월드의 아내 |
잭 레먼 | 잭 마틴 | 페리의 친구 |
월터 매사우 | 러셀 B. 롱 | 상원의원 |
도널드 서덜랜드 | X 씨 | 개리슨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고위 관료 |
에드 애스너 | 가이 배니스터 | 전 FBI 요원, 사립 탐정 |
브라이언 도일-머레이 | 잭 루비 | 오스월드를 살해한 나이트클럽 운영자 |
존 캔디 | 딘 앤드루스 주니어 | 변호사 |
샐리 커클랜드 | 로즈 셰라미 | 루비의 스트립 클럽 종업원 |
웨인 나이트 | 누마 버텔 | 개리슨의 수사관 |
프루이트 테일러 빈스 | 리 바우어스 | 철도 노동자, 암살 목격자 |
토니 플라나 | 카를로스 브린귀에 | 쿠바 망명자, 오스월드와 논쟁을 벌인 인물 |
빈센트 도노프리오 | 빌 뉴먼 | 암살 목격자 |
데일 다이 | Y 장군 | 미 육군 장성 |
롤리타 데이비도비치 | 베벌리 올리버 | 루비의 클럽 종업원, 암살 목격자 |
엘렌 맥엘더프 | 진 힐 | 교사, 암살 목격자 |
존 라로케트 | 제리 존슨 | 뉴올리언스 지방 검사보 |
빌럼 올트만스 | 조지 드 모렌실트 | 오스월드의 친구 |
토마스 밀리안 | 레오폴도 | 쿠바 망명자 |
게리 그럽스 | 알 오서 | 개리슨의 수사관 |
론 리프킨 | 골드버그 씨 / 스피젤 | 변호사 |
피터 맬로니 | 핀크 대령 | 군의관 |
존 피네건 | 해거티 판사 | 쇼 재판 담당 판사 |
웨인 티핏 | FBI 요원 프랭크 | FBI 요원 |
조 앤더슨 | 줄리아 앤 머서 | 암살 목격자 |
밥 건턴 | 뉴스 앵커 | |
프랭크 왈리 | 사칭 오스왈드 | |
짐 개리슨 | 얼 워렌 | 대법원장, 워렌 위원회 위원장 |
마틴 쉰 | 내레이터 |
6. 2. 영화 제작 과정
저널리스트이자 컬럼비아 대학교 언론대학원 교수인 재커리 스클라(Zachary Sklar)는 1987년에 짐 개리슨을 만나 케네디 암살에 관해 그가 작업 중이던 원고를 다시 쓰도록 도왔다. 그는 이를 3인칭의 학술적인 책에서 1인칭의 "탐정 소설 - 왜 그랬는가"로 바꿨다.[3] 스클라는 책을 편집했고 1988년에 출판되었다. 쿠바 아바나에서 열린 라틴 아메리카 영화제에 참석한 올리버 스톤은 엘리베이터에서 셰리던 스퀘어 프레스 출판사 대표인 엘렌 레이를 만났다. 그녀는 짐 개리슨의 책 ''암살자들을 쫓아서''를 출판했다.[4] 레이는 1967년에 뉴올리언스로 가서 개리슨과 함께 일했다. 그녀는 스톤에게 개리슨의 책을 건네며 읽어보라고 말했다.[5] 그는 책을 읽고, 자신이 개발할 수 있는 프로젝트에 대한 소문이 스튜디오에 퍼지는 것을 막기 위해 자신의 돈 25만달러로 즉시 영화 판권을 샀다.[6]케네디 암살은 항상 스톤에게 깊은 영향을 미쳤는데, 그는 "케네디 살해는 전후 세대, 즉 제 세대의 주요 사건 중 하나였다."라고 말했다.[5] 스톤은 개리슨을 만나 3시간 동안 다양한 질문으로 그를 심문했다. 개리슨은 스톤의 질문에 굴하지 않고 일어선 뒤 자리를 떴다. 그의 자존심과 품위는 감독에게 깊은 인상을 주었다.[7] 스톤은 개리슨과의 만남에서 "개리슨은 많은 실수를 저질렀다. 그는 많은 이상한 사람들을 믿었고 많은 가짜 단서를 따라갔다. 하지만 그는 위험한 상황에 놓였고, 심지어 자신이 불리하다는 것을 알면서도 계속 나아갔다."라는 인상을 받았다.[8]
스톤은 개리슨의 삶에 대한 영화를 만드는 데 관심이 없었고, 오히려 케네디를 죽이려는 음모 뒤에 숨겨진 이야기에 관심이 있었다. 그는 또한 짐 마스의 책 ''크로스파이어: 케네디를 죽인 음모''의 영화 판권을 샀다. ''JFK''를 통해 영화 제작자가 가진 주요 목표 중 하나는 워렌 위원회 보고서에 반박하는 것이었는데, 그는 이를 "위대한 신화라고 믿었다. 그리고 신화에 맞서기 위해서는 다른 신화, 즉 반대 신화를 만들어야 할지도 모른다."라고 말했다.[9] 마스의 책은 많은 이론을 모았지만, 스톤은 더 많은 것을 원했고, 예일 대학교를 최근 졸업한 제인 루스코니를 고용하여 연구팀을 이끌고 감독이 ''7월 4일생''의 후반 작업을 하는 동안 암살에 대한 가능한 모든 정보를 수집하게 했다. 스톤은 루스코니가 암살에 관한 책 100~200권을 읽는 동안, 암살에 관한 책 20여 권을 읽었다.[10]
1989년 12월, 스톤은 자신의 영화를 지원할 스튜디오에 접근하기 시작했다. ''도어스''의 프리 프로덕션 중에 그는 워너 브라더스의 세 임원과 만나 하워드 휴즈에 대한 영화를 만들라는 제안을 받았다.[11] 하지만 워렌 비티가 판권을 소유하고 있었고, 스톤은 ''JFK''를 제안했다. 스튜디오 사장이자 최고 운영 책임자인 테리 세멜은 이 아이디어를 좋아했다. 그는 ''모두가 대통령의 사람들'', ''패러렐'' 및 ''킬링필드''를 포함한 정치적이고 논란의 여지가 있는 영화를 만드는 것으로 명성이 높았다.[12] 스톤은 워너 브라더스와 구두 계약을 맺어, 스튜디오가 영화의 모든 권리를 갖게 되고 예산으로 2000만달러를 투입하기로 했다. 감독은 각본이 널리 읽히고 입찰되는 것을 막기 위해 이렇게 했으며, 또한 그 내용이 잠재적으로 위험하다는 것을 알고 있었고 한 개의 스튜디오만 자금을 지원하기를 원했다. 마지막으로 스톤은 세멜이 정치 영화를 제작한 실적을 좋아했다.[12]
스톤은 각본을 쓰기 시작하면서 마르스의 책 편집을 맡았던 스클라에게 공동 집필을 제안하여 개리슨과 마르스의 책, 그리고 루스코니의 연구를 바탕으로 "훌륭한 탐정 영화"와 같은 각본을 만들도록 했다.[13] 스톤은 스클라에게 자신의 영화에 대한 비전을 다음과 같이 말했다. 그는 ''라쇼몽''의 아이디어를 활용했지만, ''JFK''의 주된 모델은 ''Z''였다.
스톤은 영화의 구조를 네 개의 이야기로 나누었다. 개리슨이 암살과 뉴올리언스의 연관성을 조사하는 이야기, 스톤이 "오스왈드 전설: 그가 누구였고 어떻게 그것을 주입하려고 했는지"라고 부르는 것을 밝혀낸 연구, 딜리 플라자에서의 암살 재현, 그리고 "X"라는 인물이 개리슨에게 전달하는 정보인데, 스톤은 이를 "뉴올리언스, 지역적 측면에서 딜리 플라자의 더 넓은 이야기로 이동할 수 있게 해주는 수단"으로 보았다.[15]
스클라는 개리슨 측 이야기를 담당했고, 스톤은 오스왈드 이야기, 딜리 플라자에서의 사건, 그리고 "X 씨" 캐릭터를 추가했다.[13] 스클라는 1년 동안 연구하여 550페이지 분량의 삼중 간격 각본을 썼고, 스톤은 이를 다시 수정하여 일반적인 각본 분량에 가깝게 줄였다. 스톤과 스클라는 복합적인 캐릭터를 사용했는데, 특히 도널드 서덜랜드가 연기한 "X 씨" 캐릭터가 두드러졌다. 이는 언론으로부터 비판을 받는 기술이었다.[16] 그는 리처드 케이스 네이젤과 은퇴한 공군 대령 플레처 프라우티를 섞어 놓은 인물이었으며, 그는 영화의 또 다른 자문역이자 CIA와 국방부 사이의 군사 연락관이었다. 스톤에게 프라우티를 만나는 것은 "내가 보낸 가장 특별한 오후 중 하나"였다. "거의 영화에서처럼, 그는 그냥 말하기 시작했다."[17] 스톤에 따르면 그는 "이것이 진실의 정신에 부합한다고 느꼈는데, 개리슨은 또한 CIA 요원이라고 주장하며 짐에게 뉴올리언스의 소우주보다 훨씬 더 큰 시나리오를 인식하게 해준 딥 스로트 유형의 리처드 케이스 네이젤을 만났기 때문이다."라고 말했다.[18]
각본의 초기 초안은 4시간 30분 분량의 영화로, $4천만 달러의 예산을 제안했는데, 이는 스톤이 워너 브라더스와 합의한 금액의 두 배였다.[19] 감독은 영화 제작자 아논 밀천을 알고 있었고, 그의 영화 자금 지원을 받기 위해 그를 만났다. 밀천은 이 프로젝트에 참여하여 ''JFK''와 같은 높은 인지도의 영화로 자신의 새로운 회사인 레젠시 엔터프라이즈를 출범시키고 싶어했다.[20] 밀천은 워너 브라더스와 영화 자금을 대는 계약을 맺었다. 스톤은 190페이지 초안에서 156페이지의 촬영 대본으로 줄이는 데 성공했다.[21]
영화에는 다양한 자문역들이 참여했는데, 그 중에는 다양한 CIA 활동에 관여했다고 주장하는 전 해병대 출신 제럴드 헤밍과 자칭 사진 전문가이자 오랜 JFK 암살 연구자 겸 작가인 로버트 그로든이 있었다.[22]
스톤은 나중에 영화에서 제시된 거의 모든 주장에 대한 출처를 인용한 각본의 주석이 많이 달린 버전인 ''JFK: The Documented Screenplay''을 출판했다.
개리슨 역을 캐스팅하기 위해 스톤은 케빈 코스트너, 멜 깁슨, 해리슨 포드에게 대본을 보냈다. 처음에는 코스트너가 스톤의 제안을 거절했다. 하지만 코스트너의 에이전트인 마이클 오비츠는 이 프로젝트의 열렬한 팬이었고, 스톤이 코스트너를 설득하여 역할을 맡도록 도왔다.[23] 코스트너는 역할을 수락하기 전에 개리슨에 대한 광범위한 조사를 실시했으며, 그를 만나고 그의 적들과도 만났다. 1991년 1월, 마침내 개리슨 역을 맡기로 계약한 지 두 달 후, 그의 영화 ''늑대와 함께 춤을''이 7개의 아카데미상을 수상했고, 그의 출연은 스튜디오의 입장에서 ''JFK''의 수익성을 크게 향상시켰다.
토미 리 존스는 원래 영화에서 결국 삭제된 또 다른 역할을 고려했지만, 스톤은 그를 쇼 역으로 캐스팅하기로 결정했다.[25] 영화 준비를 위해 존스는 개리슨과 세 번 인터뷰했고, 쇼와 함께 일했고 그를 아는 사람들과 이야기를 나눴다.[26]
스톤은 원래 제임스 우즈가 데이비드 페리 역을 맡기를 원했지만, 우즈는 거절했다. 스톤은 또한 윌렘 대포와 존 말코비치에게 접근했지만, 둘 다 역할을 거절했다.[31][27]
스톤은 미스터 X 역에 말론 브란도를 고려했지만, 결국 도널드 서덜랜드에게 배정되었다.[28]
게리 올드만에 따르면, 오스왈드에 대한 대본은 거의 쓰여지지 않았다. 스톤은 그에게 비행기 티켓 여러 장, 연락처 목록을 제공하고 직접 조사를 하라고 말했다.[29] 올드만은 오스왈드의 아내인 마리나와 그녀의 두 딸을 만나 역할을 준비했다.[30] 베아타 포즈니아크는 26권의 워렌 보고서를 연구했고, 마리나 오스왈드와 함께 시간을 보냈다. 대본에는 오스왈드에 대한 대사가 거의 없었기 때문에, 포즈니아크는 게리 올드만과 함께하는 장면을 즉흥적으로 연기하기 위해 오스왈드의 지인들을 인터뷰했다.
많은 배우들이 이 프로젝트의 성격과 그들의 지지를 제공하기 위해 통상적인 출연료를 포기할 의향이 있었다.[31] 마틴 쉰은 오프닝 내레이션을 제공했다. 짐 개리슨은 댈러스 감옥에서 잭 루비를 심문하는 장면과 TV 출연 장면에서 대법원장 얼 워렌 역을 맡았다. 암살 목격자이자 자프루더 필름에서 볼 수 있는 "바부슈카 레이디"라고 주장하는 베벌리 올리버도 루비의 클럽에 카메오로 출연했다. 올리버 스톤의 아들인 션 스톤은 개리슨의 장남 재스퍼 역을 연기한다. 허구의 인물 윌리 오키프의 소스 중 하나인 페리 루소는 오스왈드가 케네디를 쏜 것에 대해 메달을 받아야 한다고 말하는 화가 난 술집 손님으로 카메오 출연했다.
이 영화의 이야기는 코스트너가 연기한 짐 개리슨을 중심으로 하며, 유명 배우들이 조연으로 대거 출연한다. 스톤은 어린 시절에 감탄했던 다큐멘터리 영화인 ''지상 최대의 작전''의 캐스팅 모델에서 영감을 받았다. 그는 "현실적이면서도 많은 스타들이 출연했다. 조연들은 미국의 정신을 보여주는 지도와 같다. 친숙하고 편안한 얼굴들이 어두운 숲 속의 구불구불한 길을 안내한다"고 말했다.[24]
촬영 감독 로버트 리처드슨은 존 세일스의 영화 ''희망의 도시'' 촬영을 시작한 지 일주일 반 만에 스톤이 ''JFK''를 제작할 생각을 하고 있다는 소식을 들었다. 리처드슨은 ''희망의 도시'' 촬영이 끝날 무렵, 스톤의 영화를 만들 준비가 되었다. 준비를 위해 리처드슨은 ''암살자들을 쫓아서''와 ''교차 사격: 케네디를 죽인 음모''를 시작으로 여러 JFK 암살 관련 책을 읽었다.[32]
원래 아이디어는 암살 당시 사용되었던 TV 화면을 시뮬레이션하기 위해 오프닝 시퀀스를 1.33:1 화면비로 촬영한 다음, 개리슨이 수사를 시작하면서 1.85:1로 전환하고, 1968년 이후에 일어나는 장면에서는 2.35:1로 전환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시간 제약과 물류 문제로 인해 리처드슨은 이 방식을 포기해야 했다.
스톤은 딜리 플라자에서 케네디 암살을 재현하길 원했다. 그의 제작진은 달라스 시 의회에 상당한 금액을 지불하고 3주 동안 교통을 우회시키고 도로를 폐쇄하기 위해 경찰을 고용해야 했다.[33] 그는 필요한 모든 영상을 촬영하는 데 10일 밖에 시간이 없었기 때문에 7대의 카메라(35 mm 2대, 16 mm 5대)와 14개의 필름 재고를 사용했다. 텍사스 학교 도서 보관소에서 촬영 허가를 받는 것은 더 어려웠다. 그들은 오스왈드가 케네디를 저격한 것으로 추정되는 창문에 사람을 배치하기 위해 5만달러를 지불해야 했다.[33] 그들은 특정 시간대에만 해당 장소에서 촬영할 수 있었고, 한 번에 바닥에 5명(촬영진, 배우, 스톤)만 있을 수 있었다. 공동 제작자 클레이턴 타운센드는 가장 어려웠던 부분은 1963년 당시 건물 모습을 복원하는 허가를 받는 것이었다고 말했다. 5개월간의 협상이 필요했다.[33]
제작진은 딜리 플라자를 1963년 상태로 복원하는 데 400만달러를 사용했다.[34] 스톤은 다양한 필름 재고를 활용했다. 리처드슨은 "35로 촬영할지, 16으로 촬영할지, 슈퍼 8로 촬영할지에 따라 다르다. 많은 경우 조명이 달라져야 한다"고 말했다.[35] 영화의 특정 장면에서 스톤은 여러 촬영팀을 동시에 투입하여, 5대의 카메라를 서로 다른 형식으로 동시에 사용했다. 리처드슨은 스톤의 연출 스타일에 대해 "올리버는 관습을 혐오하며, 고전적이지 않은 방식으로 사람들을 몰아넣으려 한다. 끊임없이 뭔가를 늘리려는 욕구가 있다"고 말했다. 이로 인해 촬영 감독은 다양한 위치에 조명을 사용하고, 고전적인 조명 모드에 거의 의존하지 않게 되었다. 촬영은 1991년 4월 15일에 시작되어 7월 31일에 종료되었고, 총 78일간 촬영했으며, 개봉 4개월 반 전에 촬영이 완료되었다.[36]
''JFK''는 스톤이 영화를 구성하는 방식에 근본적인 변화를 가져왔다. 편집의 리듬이 이야기를 전달하며, 플롯을 주관적으로 제시하는 방식이었다.[37] 스톤은 영화 편집을 돕기 위해 광고 편집자인 행크 코윈을 데려왔다. 스톤은 그의 "혼란스러운 사고방식"이 "영화 형식과는 완전히 다르기" 때문에 그를 선택했다. 스톤은 또한 코윈이 "아직 장편 영화를 개발하지 못했다. 그래서 그의 편집은 매우 혼란스러웠다."라고 언급했다. 스톤은 특정한 효과를 위해 플래시백 안에 플래시백을 광범위하게 사용했다. 그는 인터뷰에서 "나는 영화를 두세 단계로 만들고 싶었다. 소리와 그림이 우리를 과거로 데려가고, 우리는 한 플래시백에서 다른 플래시백으로 이동할 것이다. 그리고 그 플래시백은 또 다른 플래시백 안으로 들어갈 것이다... 나는 다중 레이어를 원했다. 왜냐하면 워렌 위원회 보고서를 읽는 것은 익사하는 것과 같기 때문이다."라고 말했다.
다양한 크기의 필름으로 촬영되었기 때문에, 기존의 35mm 필름 편집은 불가능했다. 디지털 편집이 초기 단계에 있었지만, ''JFK''의 편집이 시작될 당시에는 LightWorks와 AVID가 편집 시스템으로 아직 사용 가능하지 않았다. 이러한 이유로 모든 영상은 3/4인치 비디오테이프로 전송되었고, 비디오테이프에서 편집되었다. 35mm 필름 네거티브는 다른 크기의 필름들과 함께 비디오테이프 편집에 맞춰 조정되었다.
개봉 후 몇 년이 지나 스톤은 이 영화에 대해 "존 F. 케네디 암살 음모에 관한 것뿐만 아니라, 우리가 최근 역사를 바라보는 방식에 대한 것으로, 영화 제작에 있어 새로운 시대의 시작이었다... 흑백에서 컬러로, 다시 흑백으로 전환하며, 사람들을 특이한 각도에서 보여준다."[38]라고 말했다.
존 윌리엄스는 스티븐 스필버그의 영화 ''후크''에 대한 엄청난 헌신 때문에, ''JFK''가 개봉한 달에, 영화 전체를 위한 전통적인 영화 음악을 작곡할 시간이 없었다. 대신 그는 영화 전체를 보기 전에 ''JFK''를 위해 여섯 개의 음악 시퀀스를 완전히 작곡하고 지휘했다.[39] 이 음악을 녹음한 직후, 그는 스톤이 여전히 영화를 촬영하고 있던 뉴올리언스로 가서 약 1시간 분량의 편집된 푸티지와 데일리를 보았다. 윌리엄스는 "나는 리 하비 오스왈드를 다루는 방식이 특히 강하다고 생각했고, 영화의 분위기, 즉 끔찍한 요소, 뉴올리언스의 어두운 면을 어느 정도 이해했다."라고 회상했다. 스톤과 그의 팀은 작곡가가 영화를 보기 전에 했던 여섯 곡 외에 추가로 음악 큐를 작곡하고 녹음한 후 윌리엄스의 음악에 맞춰 실제로 영화를 편집했다. 자동차 행렬 시퀀스를 위해 윌리엄스는 자신이 작곡한 스코어를 "강력한 운동감 있는 음악, 상호 연동되는 리듬 훈련의 음악"이라고 묘사했다. 작곡가는 케네디 암살 소식을 들었던 순간을 기억했고, 그것은 수년 동안 그에게 깊이 남았다. 이것은 그가 영화 작업을 결정하는 데 중요한 요인이었다. 윌리엄스는 "이것은 내 세대의 사람들에게 매우 공감되는 주제이며, 이것이 내가 이 영화에 참여할 기회를 환영한 이유이다."라고 말했다.
6. 3. 영화에 대한 평가 및 논란
영화 《JFK》는 개봉과 동시에 뜨거운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비평가들은 영화가 제시하는 음모론과 역사적 사실 왜곡에 대해 비판적인 시각을 보였다. 그러나 대중들은 영화의 흡입력 있는 스토리와 존 F. 케네디 암살 사건에 대한 새로운 의혹 제기에 큰 관심을 보였다.로튼 토마토에서는 66개의 리뷰를 바탕으로 85%의 지지율과 7.70/10의 평균 점수를 기록했으며,[108] 메타크리틱에서는 29개의 리뷰를 바탕으로 100점 만점에 72점의 가중 평균 점수를 받았다.[109] 이는 대체로 호의적인 평가를 받았음을 의미한다.
골든 글로브 감독상을 수상한 올리버 스톤은 수상 소감에서 "28년 전, 우리에게 끔찍한 거짓말이 전해졌습니다. 저는 이 영화가 그 잘못을 바로잡는 첫걸음이 되기를 바랍니다."라고 말했다.[82]
영화는 1992년 존 F. 케네디 대통령 암살 기록 수집법(JFK 법) 통과에 부분적으로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는다.[85] 암살 기록 검토 위원회(ARRB)는 최종 보고서에서 영화가 "연방 수사국(FBI), 중앙 정보국(CIA), 군대 소속 미국 정부 요원들을 공모자로 묘사한 케네디 대통령 암살 버전을 대중화했다"고 평가했다. ARRB는 이 영화를 "대체로 허구"라고 묘사하면서도, 공식 기록이 2029년까지 공개되지 않을 것이라는 스톤의 지적과 "미국인들은 그러한 결론이 비밀리에 내려졌을 때 공식적인 공적 결론을 신뢰할 수 없다"는 그의 주장을 인정했다.
영화는 흥행에도 성공하여 초기 상영에서 전 세계적으로 2억달러 이상, 미국에서 7000만달러을 벌어들였다.[73]
영화는 아카데미상 작품상 후보에 올랐고, 촬영상과 편집상을 수상했다. 수상 내역은 다음과 같다.
상 | 부문 | 수상자 | 결과 |
---|---|---|---|
아카데미상[75][76][77] | 작품상 | 올리버 스톤과 A. 키트만 호 | 후보 |
감독상 | 올리버 스톤 | 후보 | |
남우조연상 | 토미 리 존스 | 후보 | |
각색상 | 올리버 스톤과 재커리 스클라 | 후보 | |
촬영상 | 로버트 리처드슨 | 수상[78] | |
편집상 | 조 허싱과 피에트로 스칼리아 | 수상[79] | |
음악상 | 존 윌리엄스 | 후보 | |
음향상 | 마이클 밍클러, 그레그 란데커와 토드 A. 메이틀랜드 | 후보 | |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 | 남우조연상 | 토미 리 존스 | 후보 |
각색상 | 올리버 스톤과 재커리 스클라 | 후보 | |
편집상 | 조 허싱과 피에트로 스칼리아 | 수상 | |
음향상 | 토드 A. 메이틀랜드, 와일리 스테이먼, 마이클 D. 윌호이트, 마이클 밍클러와 그레그 란데커 | 수상 | |
골든 글로브상 | 드라마 작품상 | 후보 | |
감독상 | 올리버 스톤 | 수상[80] | |
드라마 남우주연상 | 케빈 코스트너 | 후보 | |
각본상 | 올리버 스톤과 재커리 스클라 | 후보 | |
미국 감독 조합상[81] | 영화 부문 감독상 | 올리버 스톤 | 후보 |
영화는 다음과 같은 논란점들을 제기했다.
- 그래시 놀 언덕에서 발견된 빗자국이 찍힌 탄피: 영화에서는 "그래시 놀 언덕에서 쏜 사람이 있다"는 증언이 묘사되지만, "대통령을 자신이 쏘았고, 빗자국이 찍힌 탄피를 그래시 놀 언덕에 두고 왔다"는 증언을 하는 남자가 나중에 나타났다.
- 너무 짧은 두 번째와 세 번째 총성 간격: 백색 오토바이 경찰관의 무선 통신에 기록된 총성 간격이 너무 짧아 리 하비 오스월드가 단독으로 범행을 저지르기 어렵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 케네디의 목과 머리를 관통한 탄환의 방향: 검시 결과와 자프루더 필름 분석을 통해 탄환의 방향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었다.
- 코널리 주지사의 증언: 코널리 주지사는 케네디 대통령과 자신이 서로 다른 탄환에 맞았다고 증언하여, 워런 위원회의 결론과 배치된다.
- 크게 절개된 케네디의 목의 상처: 파크랜드 병원과 베데스다 해군 병원에서의 검시 결과 차이로 인해 시신 조작 의혹이 제기되었다.
- 케네디의 시신 운송 공백: 댈러스에서 워싱턴으로 시신이 운송되는 과정에서 의문점이 발견되었다.
- 교과서 빌딩 6층에 지문을 남긴 남자: 오스왈드 외 다른 사람의 지문이 발견되어 음모론을 뒷받침하는 증거로 제시되었다.
7. 사건의 한국 사회 영향
(이전 출력이 비어있으므로, 수정할 내용이 없습니다. 원본 소스가 제공되지 않았기 때문에 'JFK (영화)'의 '사건의 한국 사회 영향' 섹션은 작성될 수 없습니다.)
참조
[1]
웹사이트
"''JFK'' (15)"
http://www.bbfc.co.u[...]
British Board of Film Classification
1992-01-09
[2]
간행물
This Is Where Oliver Stone Got His Loony JFK Conspiracies From
https://www.rollings[...]
2021-11-22
[3]
뉴스
Getting the Facts Straight: An Interview with Zachary Sklar
1992-05
[4]
서적
1996
[5]
서적
1996
[6]
서적
1998
[7]
서적
1996
[8]
서적
1996
[9]
서적
1996
[10]
뉴스
Clarifying the Conspiracy: An Interview with Oliver Stone
1992-05
[11]
서적
1996
[12]
서적
1996
[13]
서적
1996
[14]
서적
1998
[15]
서적
1998
[16]
서적
1996
[17]
서적
1998
[18]
서적
1996
[19]
서적
1996
[20]
서적
1996
[21]
서적
1996
[22]
서적
2000
[23]
서적
1996
[24]
서적
1996
[25]
서적
1996
[26]
뉴스
Somebody's gonna give you money, you do your best to make 'em a good hand
1994-01
[27]
웹사이트
James Woods interview: Videodrome, the Hard Way, Hercules and more
https://www.denofgee[...]
2014-02-25
[28]
웹사이트
The Oliver Stone Interview, Part II: JFK
https://truthout.org[...]
2013-11-14
[29]
뉴스
In Conversation with Gary Oldman
2007-08
[30]
서적
1998
[31]
서적
1996
[32]
뉴스
The Whys and Hows of ''JFK''
1992-02
[33]
서적
1996
[34]
서적
1996
[35]
서적
1996
[36]
서적
Salewicz 1998, p. 84.
[37]
서적
Salewicz 1998, p. 85.
[38]
뉴스
Past Imperfect: History According to the Movies
http://www.lib.berke[...]
2008-09-09
[39]
뉴스
"Hook", "JFK" are latest hits with the John Williams touch
1992-01-19
[40]
웹사이트
JFK (1991)
https://www.rottento[...]
2023-06-12
[41]
웹사이트
JFK Reviews
https://www.metacrit[...]
2020-08-19
[42]
웹사이트
Cinemascore :: Movie Title Search
https://www.cinemasc[...]
2018-12-20
[43]
뉴스
The Discrediting of the Fifth Estate: The Press Attacks on ''JFK''
1992-05
[44]
뉴스
On the Set: Dallas in Wonderland
https://archive.toda[...]
2007-08-01
[45]
서적
Riordan 1996, p. 386.
[46]
잡지
Oliver Stone: Who Killed J.F.K.?
https://content.time[...]
2017-02-17
[47]
뉴스
Review/Film: ''J.F.K.''; When Everything Amounts to Nothing
https://www.nytimes.[...]
2016-11-07
[48]
서적
Riordan 1996, p. 416.
[49]
AV media
Siskel & Ebert - "JFK"
https://www.youtube.[...]
2021-03-06
[50]
뉴스
Oliver Stone's 'JFK' Is Remarkable Moviemaking
1991-12-20
[51]
뉴스
''JFK''
http://rogerebert.su[...]
2007-03-28
[52]
뉴스
''JFK''
https://www.washingt[...]
2007-03-28
[53]
뉴스
Valenti Calls ''J.F.K.'' 'Hoax' and 'Smear'
1992-04-02
[54]
서적
Riordan 1996, pp. 405–406.
[55]
잡지
Best of 1991
https://web.archive.[...]
2008-09-17
[56]
잡지
Top 10 Historically Misleading Films
https://entertainmen[...]
2017-02-17
[57]
웹사이트
Ebert & Scorsese: Best Films of the 1990s – Siskel and Ebert Movie Reviews
https://siskelebert.[...]
[58]
웹사이트
Roger's Top Ten Lists: Best Films of the 1990s
https://www.rogerebe[...]
2022-04-21
[59]
웹사이트
JFK movie review & film summary
https://www.rogerebe[...]
2023-11-24
[60]
뉴스
TOP TEN MOVIES: 1969-1998
1999-10-15
[61]
뉴스
Top Ten
1992-03-05
[62]
잡지
25 Most Controversial Movies Ever
https://web.archive.[...]
2008-08-27
[63]
서적
Debunked!: Conspiracy Theories, Urban Legends, and Evil Plots of the 21st Century
https://books.google[...]
Chicago Review Press
2015-08-09
[64]
뉴스
Jim Garrison; D.A. Challenged JFK Assassination Report
https://www.latimes.[...]
2015-10-23
[65]
서적
Bugliosi, Vincent. ''Reclaiming History: The Assassination of President John F. Kennedy''. 2007, W.W. Norton and Company,
[66]
서적
Bugliosi, pp. 1360–1431
[67]
서적
Bugliosi, p. 1431
[68]
뉴스
Shedding light on movies about a dark day in Dallas
http://archive.bosto[...]
2003-11-21
[69]
뉴스
Warren panel's counsel: Stone's 'JFK' film a 'big lie'
https://news.google.[...]
2014-12-21
[70]
뉴스
Ex-Congressman Sure of Mafia Involvement in Assassination
https://www.newspape[...]
1992-01-27
[71]
웹사이트
JFK Jr. Won't See Controversial Film
https://buffalonews.[...]
1992-05-21
[72]
웹사이트
Q&A: Gerald Blaine & Clint Hill
https://www.youtube.[...]
2010-11-29
[73]
웹사이트
"''JFK''"
http://www.boxoffice[...]
2007-05-01
[74]
뉴스
Judge Allows Lawsuit Against Film Studios
https://query.nytime[...]
1996-06-18
[75]
웹사이트
The 64th Academy Awards (1992) Nominees and Winners
http://www.oscars.or[...]
2011-10-22
[76]
뉴스
The Oscar Nominations
1992-03-30
[77]
뉴스
The Oscars: ''Silence'' is golden
1992-04-01
[78]
웹사이트
JFK Wins Cinematography: 1992 Oscars
https://www.youtube.[...]
2015-09-30
[79]
웹사이트
JFK Wins Film Editing: 1992 Oscars
https://www.youtube.[...]
2016-02-04
[80]
웹사이트
JFK
https://www.goldengl[...]
[81]
뉴스
Directors Guild offers Oscar sneak preview
1992-01-29
[82]
뉴스
Top award for Kennedy film
1992-01-20
[83]
간행물
Democracy 'n' Action: 25 Powerful Political Thrillers
http://www.ew.com/ew[...]
2009-09-02
[84]
저널
The 75 Best Edited Films
https://www.editorsg[...]
2012-05
[85]
서적
Final Report of the Assassination Records Review Board
https://www.archives[...]
United States Government Printing Office
1998-09-30
[86]
뉴스
Chapter 5 The Standards for Review: Review Board "Common Law"
https://fas.org/sgp/[...]
1998-09
[87]
웹사이트
The President John F. Kennedy Assassination Records Collection
https://www.archives[...]
2016-08-15
[88]
웹사이트
LaserDisc Database – JFK [12306]
http://www.lddb.com/[...]
2017-10-26
[89]
웹사이트
LaserDisc Database – JFK: Director's Cut [NJL-12614]
http://www.lddb.com/[...]
2018-01-19
[90]
서적
JFK Director's Cut
1997-04-08
[91]
웹사이트
Oliver Stone 10 Feature Collection
https://www.amazon.c[...]
2001-01-16
[92]
뉴스
"''JFK'' (Oliver Stone Collection)"
http://dvd.ign.com/a[...]
2001-01-22
[93]
웹사이트
An Oliver Stone Film: JFK
https://www.amazon.c[...]
2003-11-11
[94]
뉴스
New ''JFK'' DVD on 11/11
http://dvd.ign.com/a[...]
2003-08-27
[95]
뉴스
Warner Sets Date, Specs for 'JFK' Blu-ray
http://www.highdefdi[...]
2008-07-22
[96]
뉴스
JFK Celebrates in Blu
http://uk.dvd.ign.co[...]
2008-10-18
[97]
웹사이트
JFK [Collector's Edition]
https://shoutfactory[...]
2023-12-25
[98]
웹사이트
Seinfeld: 10 Best Movie Parodies, Ranked
https://screenrant.c[...]
2020-03-15
[99]
웹사이트
Control Nathan Rabin 4.0 #233 JFK (1991)
https://www.nathanra[...]
2021-09-20
[100]
서적
Prayer Man: The Exoneration of Lee Harvey Oswald
2015
[101]
웹사이트
JFK (1991)
https://www.boxoffic[...]
Box Office Mojo
2010-04-25
[102]
문서
『キネマ旬報ベスト・テン85回全史 1924-2011』
[103]
문서
DVD『JFK コレクターズ・エディション 特別版』
[104]
문서
メアリー・ムーアマン(Mary Moorman、ジーン・ヒル(Jean Hill)の隣に立っていた女性)が大統領のリムジンとグラシー・ノール付近を撮影した写真(ムーアマン写真)にはオズワルド以外の暗殺犯とその発砲の瞬間が写っているとする説。研究家ゲイリー・マック(Gary Mack)はムーアマン写真を拡大するとバッジを付けた人物と、煙かマズルフラッシュ(発射炎)のような像が確認できることを発見した。この説は1988年に England's Central Independent Television が製作したドキュメンタリー『The Men Who Killed Kennedy』でも紹介された。
[105]
문서
ワーナー・ホーム・ビデオ発売のVHS・LD(DVDを除く)、20世紀フォックス ホーム エンターテイメント ジャパン発売の「完声版」BD・DVD
[106]
기타
サンダースはナレーションを担当している。現代的な手法を用いたカルカーノライフルの弾道検査や解剖学的検証から、オズワルド単独犯行説を肯定する内容。日本ではNHK BS1で放送された
ドキュメンタリー"Cold Case JFK"
2013
[107]
웹사이트
第1回 淀川長治氏の作品評価をひっくり返した日本語吹き替え版の偉業
https://www.fukikaer[...]
2022-07-01
[108]
웹사이트
JFK
https://www.rottento[...]
Fandango Media
2022-08-10
[109]
웹사이트
JFK Reviews
https://www.metacrit[...]
CBS Interactive
2022-08-10
[110]
Youtube
オリバーストーン氏・最新インタビュー 【Oliver Stone】”氏、今を語る” ★ドキュメンタリー★
https://www.youtube.[...]
2023-02-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