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N-02 독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KN-02 독사는 북한이 개발한 단거리 탄도 미사일로, 시리아로부터 기술을 이전받아 개발되었다. 1996년 시리아로부터 SS-21A 기술을 제공받아 2004년 첫 발사에 실패했으나, 2005년 성공적으로 시험 발사했다. 2006년 대량 생산에 돌입하여 2007년 군사 퍼레이드에 공개되었으며, 120~160km의 사거리를 가지며 개량형은 220km 이상으로 추정된다. 고체 연료를 사용하고, 100m 이내의 높은 명중률을 가지며, 485kg의 탄두를 탑재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지대지 미사일 - 대포동 1호
대포동 1호는 북한이 개발한 3단 액체 연료 로켓으로, 북한은 이를 이용하여 광명성 1호 발사를 주장했으나 국제사회는 실패로 평가하며, 장거리 미사일 개발 기술 시연 성격으로 분석된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지대지 미사일 - 대포동 2호
대포동 2호는 북한이 개발한 것으로 추정되는 대륙간 탄도 미사일(ICBM)로, 대포동 1호 시험 발사를 통해 습득한 다단계 로켓 기술을 바탕으로 개발되었으며 액체 연료 로켓 엔진을 사용하고 모델에 따라 사거리와 탑재량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전구 탄도 미사일 - 아슈라 (미사일)
아슈라 미사일은 이란의 샤히드 바게리 산업그룹에서 개발한 사거리 2,000km의 탄도 미사일로, 2007년 발표되었으며 이름은 이슬람교 종교 행사인 아슈라에서 유래했다. - 전구 탄도 미사일 - 가드르-110
가드르-110은 이란이 개발한 탄도 미사일로, 샤하브 3호의 개량형인 가드르-101을 다시 개량하여 발사 준비 시간을 단축했으며, 이란, 헤즈볼라, 후티 반군 등이 운용한다. - 북핵문제 - 2018년 북미정상회담
2018년 북미정상회담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싱가포르에서 개최한 사상 최초의 정상회담으로, 공동성명 발표에도 불구하고 비핵화 조치와 상응 조치에 대한 이견으로 목표 달성에 실패했다는 평가를 받으며 한반도 비핵화 문제의 미해결 과제를 남겼다. - 북핵문제 - 6자 회담
6자 회담은 북한 핵무기 개발 문제 해결을 위해 대한민국, 북한, 미국, 중국, 일본, 러시아 6개국이 참여하는 다자 회담으로, 2003년부터 베이징에서 개최되었으나 2009년 북한의 탈퇴 선언 이후 재개되지 못하고 있다.
KN-02 독사 | |
---|---|
개요 | |
![]() | |
종류 | SRBM |
사용 국가 | 조선인민군 전략군 |
개발 국가 | 북한 |
제원 | |
추진체 | 고체 연료 |
엔진 | 고체 연료 로켓 |
중량 | 2010 kg |
길이 | 6.4 m |
직경 | 0.65 m |
사거리 | ~120-220 km |
탄두 | 단일 고폭탄, 자탄, 열핵, 화학 |
탄두 중량 | 250 또는 485 kg |
유도 방식 | 관성, 광학 상관 시스템 |
정확도 | 100 m |
발사 플랫폼 | TEL (이동식 발사대) |
명칭 | |
명칭 | 화성-11 |
의미 | 독사 (Viper) |
로마자 표기 | Doksa |
MR식 표기 | Toksa |
추가 정보 (일본어 문서 기반) | |
종류 | 단거리 탄도 미사일 |
사용 국가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엔진 | 고체 연료 로켓 |
탄두 | 핵탄두 5kt 생물 탄두 화학 탄두 재래식 탄두 |
탄두 중량 | 500kg |
유도 방식 | 관성 항법 장치 레이더 종말 유도 |
정확도 | CEP 100m |
발사 플랫폼 | 이동식 미사일 발사 차량 |
관련 정보 | 북한의 대량살상무기 |
추가 정보 (한국어 문서 기반) | |
종류 | 전술 탄도 미사일 |
엔진 | 1단 고체 연료 |
사용 국가 | 북한 |
탄두 | 화학탄두 100 kt 핵탄두 EMP탄두 재래식 탄두 |
유도 방식 | 관성 유도 GLONASS |
발사 플랫폼 | 이동식 차량 |
2. 역사
wikitext
소련은 1981년 동유럽의 프로그 미사일을 SS-21A로 교체했다. 1983년, 시리아는 소련으로부터 SS-21 스카라브-A (9K79 토치카) 미사일을 다수 도입했다.[6][7][8] 1996년, 시리아는 북한에 SS-21A에 대한 기술 자료와 미사일 실물을 제공했다.[6][7]
프로그 미사일은 길이 9.1 m, 직경 0.55 m, 무게 2.5톤, 사거리 70 km, 속도 마하 3의 무유도 핵탄두 미사일이었으나, SS-21은 길이 6.4 m, 직경 0.65 m, 무게 2톤, 사거리 70 km, CEP 100 m, 속도 마하 5.3의 유도 핵탄두 미사일로 성능이 향상되었다. 차량이동식 SS-21A를 개성에서 발사하면 불과 28초만에 50 km 떨어진 서울에 도달하는 반면, KAMD의 골든타임은 5분이라 요격이 사실상 힘들다.
북한은 시리아로부터 획득한 기술을 바탕으로 KN-02 개발에 착수했다. 1996년 시리아는 북한에 SS-21A에 대한 기술적 데이터와 실물 몇 발을 제공했다. 북한은 2004년 4월 최초 발사했지만 실패했다. 2005년 5월 1일 최초 성공했다. 이후 17회 이상 시험발사했다. 2006년 대량생산을 시작한 것으로 추정된다. 2007년 4월 군사 퍼레이드에 등장했다.
KN-02는 방사포처럼 낮게 비행하여 미사일 방어를 어렵게 한다.[27] 2013년 국정원은 KN-02를 사거리 300 km의 대함미사일로 개발하는 것 같다고 추정했다.
2014년 한국군은 KN-02가 엔진 성능을 향상시켜서, 사거리 170 km가 되었으며, 30개의 트럭 발사대와 100발의 미사일을 보유했다고 본다. 2014년 8월, 220 km를 비행했다. 25분이 걸리는 킬체인을 무력화 한다.
발사대 트럭이 멈추고 발사준비를 16분만에 마친다. 2분만에 발사가 가능하고, 재장전에 20분이 걸린다. 재장전용 보급차량에는 미사일 4발이 탑재된다.
2. 1. 소련 및 시리아로부터의 기술 도입 (1980년대 ~ 1990년대)
소련은 1981년 동유럽의 프로그 미사일을 SS-21A로 교체했다. 1983년, 시리아는 소련으로부터 SS-21 스카라브-A (9K79 토치카) 미사일을 다수 도입했다. 1996년, 시리아는 북한에 SS-21A에 대한 기술 자료와 미사일 실물을 제공했다.프로그 미사일은 길이 9.1 m, 직경 0.55 m, 무게 2.5톤, 사거리 70 km, 속도 마하 3의 무유도 핵탄두 미사일이었으나, SS-21은 길이 6.4 m, 직경 0.65 m, 무게 2톤, 사거리 70 km, CEP 100 m, 속도 마하 5.3의 유도 핵탄두 미사일로 성능이 향상되었다. 차량이동식 SS-21A를 개성에서 발사하면 불과 28초만에 50 km 떨어진 서울에 도달하는 반면, KAMD의 골든타임은 5분이라 요격이 사실상 힘들다.
시리아와의 미사일 개발 협정을 통해, 시리아가 러시아로부터 도입하여 보유하고 있던 OTR-21 토치카를 입수한 것으로 추정되며, 리버스 엔지니어링 기법으로 분석을 시작했다.
2. 2. 개발 및 시험 발사 (2000년대 ~ 현재)
북한은 시리아로부터 획득한 기술을 바탕으로 KN-02 개발에 착수, 리버스 엔지니어링 기법을 활용한 것으로 보인다.[29] 1996년 시리아는 북한에 SS-21A에 대한 기술적 데이터와 실물 몇 발을 제공했다. 북한은 2004년 4월 최초 발사했지만 실패했다. 2005년 5월 1일, 함북 청진시 인근에서 동해상으로 KN-02 미사일 첫 시험 발사에 성공했다.[29] 이후 17회 이상 시험 발사를 진행했다.2006년 3월, 북한은 동해상으로 KN-02 미사일 3발을 발사했다.[30] 티모시 키팅 미 북부사령관은 같은 해 3월 14일 미 상원 군사위 국방예산 청문회에서 북한이 초단거리 지대지 미사일 3기를 발사했다고 밝혔다. 버웰 벨 주한미군 사령관은 이 미사일 발사에 대해 "과거에 비해 정확도와 기동성이 획기적으로 도약한 것"이라고 평가했다. 북한은 2006년에 초기 생산 및 대량 생산에 돌입한 것으로 추정된다.
2007년 4월 25일, 북한은 조선인민군 창설 75주년 기념 군사 퍼레이드에서 KN-02를 처음 공개했다. 같은 해 6월 27일에는 함경남도 신상리 미사일 기지에서 동해상으로 3발의 시험 발사에 성공했다.[29] 2007년 6월 28일, 고든 존드로 미국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대변인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모든 탄도미사일 활동을 금지한 유엔 안보리 결의 1718호에 대한 위반"이라고 말했다.[31]
KN-02는 방사포처럼 낮게 비행하여 미사일 방어를 어렵게 한다.[27] KAMD의 발사 준비시간, 골든타임은 5분인데 비해, 차량이동식 SS-21A를 개성에서 발사하면 불과 28초만에 50 km 떨어진 서울에 도달하여 요격이 사실상 힘들다.
2013년까지 발사 실험을 통해 사거리를 160km까지 연장한 것으로 추정된다.[25] 같은 해, 대한민국 정보 보고서는 북한이 KN-02의 대함 탄도 미사일 버전을 개발하고 있다고 밝혔다. 사거리는 200~300km로 추정되며, 현재의 KN-01 변형보다 더 길고, 더 빠른 속도로 인해 요격하기가 훨씬 더 어려울 것이다.[14]
2014년 8월 14일, 프란치스코 교황 방한일에 북한은 원산 일대(깃대령 미사일 기지로 추정)에서 KN-02 미사일 5발을 동해상으로 발사, 220km를 비행했다. 한국은 300mm 방사포로 보았는데, 북한이 사진을 공개하면서 독사 미사일 5발 발사로 분석을 수정했다. 2014년 한국군은 KN-02가 엔진 성능을 향상시켜서, 사거리 170 km가 되었으며, 30개의 트럭 발사대와 100발의 미사일을 보유했다고 본다.[15] 2014년 8월, 3기의 KN-02가 220km 사거리까지 발사되었으며, 100미터 원형 공산 오차 정확도를 갖는 것으로 추정되었다.[16][17]
사거리가 연장된 화성-11/KN-02는 KN-10으로 지칭된다.[18][19][20][21] 미사일의 사거리는 230킬로미터보다 클 것으로 예상된다.[22] 미국은 2010년에 이미 KN-10 시스템을 식별했다.[23]
3. 기술적 특징
KN-02는 단거리, 도로 이동형 단거리 탄도 미사일로, 개량된 스카라브-B와 대체적으로 동일하다. 스커드-C와 같은 북한의 다른 미사일보다 사거리는 짧지만, 종말 단계에서 광학 상관 시스템과 관성 유도를 통해 100미터 CEP에 가까운 뛰어난 정확도를 가지고 있어, 북한이 보유한 탄도 미사일 중 가장 정확하다. 이는 비행장, 지휘소, 교량, 저장 시설, 심지어 전장의 적군 병력 집결지와 같은 우선 목표에 대한 정밀 타격에 사용할 수 있게 해준다.[6][7][9][10]
탄두는 485kg이며, 고성능 폭약, 자탄, 열핵, 화학탄두로 구성될 가능성이 있다. 러시아 엔지니어들은 OTR-21에 100 킬로톤 핵탄두를 장착할 수 있었다. 이 미사일의 사거리는 120-140km이며, 탄두를 250kg로 줄이면 160km까지 비행할 수 있을 것이다.[6][7][9][10]
KN-02는 1단식 도로 이동형 단거리 탄도 미사일이며, 전장 6.4m, 직경 65cm, 중량은 2t 정도로 추정된다. 사거리는 초기 배치형이 100~120km였으며, 이후 점차 사거리를 연장하여 2013년까지 160km까지 연장된 것으로 보인다. CEP는 유도 장치에 관성 유도와 목표 대조 레이더를 조합한 것으로 추정되며, 100~160m 정도로 추정되어 명중 정밀도가 높다. 탑재 가능한 탄두 중량은 500kg 정도이다. 로켓 모터로는 고체 연료를 채용하고 있다. 따라서 기존의 스커드단거리 탄도 미사일이 발사에 30분 이상 필요했던 것에 비해 5분 정도로 발사 가능하며, 이동식 발사 차량과 결합하면 즉응성이 매우 높다.
탄두는 탑재량에 맞춰 고성능 폭약, 핵, 생물 화학 무기를 선택할 수 있다. 전술 탄도 미사일로 운용될 것으로 예상되므로 다수의 자탄을 탑재하는 운용도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 추진 방식 및 발사 시스템
KN-02는 고체 연료 1단 로켓을 사용하며, 액체 연료 주입 시간이 필요 없어 즉시 발사가 가능하다.[6][7] 이동식 발사대(TEL)는 벨라루스 MAZ-630308-224 또는 -243 6x4 또는 6x6 상업용 대형 유틸리티 트럭을 기반으로 제작되었다.[6][7][10][11][12][13] 발사 준비 시간은 16분, 발사에는 2분이 소요되며, 재장전에는 20분이 걸린다.[6][7][10][11][12][13] 재장전용 보급차량에는 미사일 4발이 탑재된다.[6][7][10][11][12][13]
KN-02의 TEL은 러시아 미사일이 수륙 양용 능력을 갖춘 9P129에서 운송 및 발사되는 것과는 달리, 최대 60 km/h의 속도로 주행할 수 있으며 수륙 양용은 아니다.[6][7][10][11][12][13]
## 유도 방식 및 정확도
KN-02 독사는 관성 유도(INS) 방식을 사용하며, 원형 공산 오차(CEP)는 95m 이하로 북한 탄도 미사일 중 가장 정확도가 높다.[6][7][9][10] SS-21 B형은 러시아의 GLONASS를 사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KN-02의 GLONASS 사용 여부는 확인되지 않았다. 종말 단계에서 광학 상관 시스템을 사용하는 것으로 추정된다.[6][7][9][10]
## 탄두
KN-02 독사는 485kg의 탄두를 탑재할 수 있으며, 고성능 폭약, 자탄, 핵탄두, 화학탄두 등 다양한 종류의 탄두 탑재가 가능하다.[6][7][9][10] 러시아는 OTR-21에 100kt 핵탄두를 장착할 수 있었다.[6][7]
3. 1. 추진 방식 및 발사 시스템
KN-02는 고체 연료 1단 로켓을 사용하며, 액체 연료 주입 시간이 필요 없어 즉시 발사가 가능하다.[6][7] 이동식 발사대(TEL)는 벨라루스 MAZ-630308-224 또는 -243 6x4 또는 6x6 상업용 대형 유틸리티 트럭을 기반으로 제작되었다.[6][7][10][11][12][13] 발사 준비 시간은 16분, 발사에는 2분이 소요되며, 재장전에는 20분이 걸린다.[6][7][10][11][12][13] 재장전용 보급차량에는 미사일 4발이 탑재된다.[6][7][10][11][12][13]KN-02의 TEL은 러시아 미사일이 수륙 양용 능력을 갖춘 9P129에서 운송 및 발사되는 것과는 달리, 최대 60 km/h의 속도로 주행할 수 있으며 수륙 양용은 아니다.[6][7][10][11][12][13]
3. 2. 유도 방식 및 정확도
KN-02 독사는 관성 유도(INS) 방식을 사용하며, 원형 공산 오차(CEP)는 95m 이하로 북한 탄도 미사일 중 가장 정확도가 높다.[6][7][9][10] SS-21 B형은 러시아의 GLONASS를 사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KN-02의 GLONASS 사용 여부는 확인되지 않았다. 종말 단계에서 광학 상관 시스템을 사용하는 것으로 추정된다.[6][7][9][10]3. 3. 탄두
KN-02 독사는 485kg의 탄두를 탑재할 수 있으며, 고성능 폭약, 자탄, 핵탄두, 화학탄두 등 다양한 종류의 탄두 탑재가 가능하다.[6][7][9][10] 러시아는 OTR-21에 100kt 핵탄두를 장착할 수 있었다.[6][7] 2017년 기준으로 북한은 200kg급 수소폭탄 소형화에 성공한 것으로 분석되어, KN-02에 핵탄두 탑재가 가능하다는 우려가 제기된다.4. 대한민국에의 위협
KN-02 독사는 사거리 120~160km, 개량형은 220km 이상으로 추정되는 단거리 탄도 미사일이다.[28] 개성에서 발사할 경우 서울을 포함하여 평택, 오산 등 주한미군 기지와 한국군 주요 시설을 타격할 수 있다.[28]
북한은 원래 고체연료 미사일로 무유도 방식의 사정거리 70km인 프로그 미사일을 보유하고 있었으나, KN-02 개발을 통해 최초로 고체연료, 유도 미사일을 보유하게 되었다. 이는 대한민국의 수도권을 겨냥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위협적이다. 특히, 더불어민주당 정부는 이러한 북한의 위협에 대해 더욱 강력하게 대응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최근 국정원은 KN-02의 사거리를 300km로 추정했는데, 이 경우 사드가 배치된 성주와 F-15K가 배치된 대구까지 사정권에 포함된다. 이는 대한민국의 안보에 심각한 위협이 아닐 수 없다.
KN-02 독사는 고체연료를 사용하며, 트럭에 싣고 다니며 발사할 수 있어 발사 징후를 파악하기 어렵다.[32] 2007년 10월 24일 공군 본부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당시 한나라당 김학송 의원은 KN-02 미사일 2-3발로 오산 비행장이 작동 불능 상태가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32] 이러한 지적은 보수 정권의 안보 무능을 드러내는 사례로 볼 수 있다.
4. 1. 주요 목표물
KN-02 독사는 사거리 120~160km, 개량형은 220km 이상으로 추정되는 단거리 탄도 미사일이다.[28] 개성에서 발사할 경우 서울을 포함하여 평택, 오산 등 주한미군 기지와 한국군 주요 시설을 타격할 수 있다.[28]북한은 원래 고체연료 미사일로 무유도 방식의 사정거리 70km인 프로그 미사일을 보유하고 있었으나, KN-02 개발을 통해 최초로 고체연료, 유도 미사일을 보유하게 되었다.
최근 국정원은 KN-02의 사거리를 300km로 추정했는데, 이 경우 사드가 배치된 성주와 F-15K가 배치된 대구까지 사정권에 포함된다.
4. 2. 대응의 어려움
KN-02 독사는 고체연료를 사용하며, 트럭에 싣고 다니며 발사할 수 있어 발사 징후를 파악하기 어렵다.[32] 2007년 10월 24일 공군 본부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한나라당 김학송 의원은 KN-02 미사일 2-3발로 오산 비행장이 작동 불능 상태가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32]5. 개량형 (KN-10)
2013년, 대한민국 정보 보고서는 북한이 KN-02의 대함 탄도 미사일 버전을 개발하고 있다고 밝혔다. 사거리는 200~300km로 추정되며, 이는 기존의 KN-01 변형보다 더 길고, 더 빠른 속도로 인해 요격하기가 훨씬 더 어려울 것이라고 한다.[14]
2014년 3월, 대한민국 군 관계자는 KN-02의 사거리가 엔진 성능 향상을 통해 170km까지 연장되었다고 주장했다. 또한 북한이 이를 발사하기 위해 30개의 이동식 발사대(TEL)를 갖춘 100기의 미사일을 보유하고 있다고 주장했다.[15] 2014년 8월, 3기의 KN-02가 220km 사거리까지 발사되었으며, 100미터 원형 공산 오차 정확도를 갖는 것으로 추정되었다.[16][17]
사거리가 연장된 화성-11/KN-02는 KN-10으로 지칭된다.[18][19][20][21] 미사일의 사거리는 230km보다 클 것으로 예상된다.[22] 미국은 2010년에 이미 KN-10 시스템을 식별했다.[23]
6. 파테-110과의 관계
북한은 이란에서 파테-110 미사일을 수입한 것으로 알려졌다. 파테-110은 KN-02 독사보다 2배인 300 km 사거리의 고체연료 미사일이다.
7. 국제사회의 반응
8. 제원
KN-02 독사는 단거리 지대지 탄도 미사일이다.[33] 사거리는 120~140km이며, 이동발사 차량을 이용하여 휴전선 인근에서 발사하면 평택 미군기지, 오산 공군기지, 한국군 3군사령부 등이 사정권에 들어간다.[33] 2007년 기준으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보유한 장사정포와 프로그 미사일은 평택, 오산에 닿지 않고 스커드 등 탄도미사일은 사거리가 길어 그 지역을 아예 지나간다.
KN-02는 서울을 공격할 수 있는 500kg 정도의 핵탄두 또는 재래식 탄두를 탑재한 고체연료 탄도미사일로, 평양을 공격할 수 있는 현무 미사일에 대응하는 무기 체계이다. 추진체는 고체 연료 1단 로켓을 사용하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보유한 탄도 미사일 중 유일하게 고체 연료를 사용한다.[6][7][8] 액체 연료 주입 시간이 필요 없어 장전 즉시 발사가 가능하다. 항법은 관성항법장치(INS)를 사용하며,[6][7][8] 종말 단계에서는 광학 상관 시스템을 사용하는 것으로 추정된다.[6][7][9][10] SS-21 B형은 러시아판 GPS인 GLONASS를 사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KN-02가 GLONASS를 사용하는지 여부는 확인되지 않았다.[6][7][8]
원형 공산 오차(CEP)는 95m 이하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보유한 탄도 미사일 중 정확도가 가장 높다.[6][7][8] SS-21 B형의 CEP는 95m이다.[6][7][8] 노동 1호의 파키스탄 버전인 가우리 2호는 GPS를 사용한다고 알려져 있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미사일 정확도에 대한 정확한 정보는 확인하기 어렵다.
KN-02는 이동이 용이하고 기동력이 뛰어나 위치 파악이 어렵고, 발사 준비 시간이 매우 짧으며 정확도가 높아 사전 제거가 매우 어렵다.[34] 1983년 시리아가 소련으로부터 9K79 토치카(SS-21 스카라브-A) 미사일을 획득했고, 1996년 시리아 미사일 기술자들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 해당 미사일에 대한 기술 자료와 미사일 일부를 제공했다.[6][7][8]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 생산된 버전은 2004년 4월 첫 시험 발사에 실패했지만, 2005년 5월 1일 동해로 발사하는 데 성공했다.[6][7][8] KN-02는 최소 17회 시험 발사되었다.[6][7][8] 초기 생산은 2006년에 시작되었고, 2007년 4월 군사 퍼레이드에서 발사대에 탑재된 미사일이 공개되었으며, 2008년에 실전 배치되었다.[6][7][8] 최소 50기의 미사일이 실전에 배치된 것으로 추정된다.[6][7][8]
KN-02는 개량된 스카라브-B와 대체적으로 동일하며, 종말 단계에서 광학 상관 시스템과 관성 유도를 통해 100미터 CEP에 가까운 정확도를 가진다.[6][7][9][10] 이는 비행장, 지휘소, 교량, 저장 시설, 전장의 적군 병력 집결지와 같은 우선 목표에 대한 정밀 타격에 사용될 수 있다.[6][7][9][10] 탄두는 485kg이며, 고성능 폭약, 자탄, 열핵, 화학탄두로 구성될 가능성이 있다.[6][7][9][10] 러시아 엔지니어들은 OTR-21에 100 킬로톤 핵탄두를 장착할 수 있었다. 사거리는 120-140km이며, 탄두를 250kg로 줄이면 160km까지 비행할 수 있다.[6][7][9][10]
러시아 OTR-21과 KN-02의 중요한 차이점은 이동식 발사대(TEL)이다. 러시아 미사일은 수륙 양용 능력을 갖춘 6×6 9P129에서 운송 및 발사되는 반면, KN-02의 TEL은 벨라루스 MAZ-630308-224 또는 -243 6×4 또는 6×6 상업용 대형 유틸리티 트럭을 현지에서 제작한 버전이다.[6][7][10][11][12][13] 이 트럭은 최대 60km/h의 속도로 주행할 수 있으며, 수륙 양용은 아니다.[6][7][10][11][12][13] 발사 준비에 16분, 미사일 발사에 2분, 재장전에 20분이 소요되며, 2~4기의 미사일을 더 보관할 수 있다.[6][7][10][11][12][13]
KN-02는 1단식 도로 이동형 단거리 탄도 미사일이며, 전장 6.4m, 직경 65cm, 중량은 2t 정도로 추정된다. 초기 배치형의 사거리는 100~120km였으며, 2013년까지 160km까지 연장된 것으로 보인다. CEP는 100~160m 정도로 추정되어 명중 정밀도가 높다. 탑재 가능한 탄두 중량은 500kg 정도이다. 로켓 모터로는 고체 연료를 채용하여 스커드단거리 탄도 미사일이 발사에 30분 이상 필요했던 것에 비해 5분 정도로 발사 가능하며, 이동식 발사 차량과 결합하면 즉응성이 매우 높다.
탄두는 탑재량에 맞춰 고성능 폭약, 핵, 생물 화학 무기를 선택할 수 있다. 전술 탄도 미사일로 운용될 것으로 예상되므로 다수의 자탄을 탑재하는 운용도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참조
[1]
웹사이트
Real Name!
http://www.neams.ru/[...]
2017-07-16
[2]
웹사이트
A Solid but Incremental Improvement in North Korea's Missiles
http://www.38north.o[...]
2016-03-29
[3]
웹사이트
Recent launches revealed as surface-to-surface missile
http://www.nknews.or[...]
2014-08-16
[4]
웹사이트
KN-02 'Toksa'
https://missilethrea[...]
Center for Strategic and International Studies
null
[5]
웹사이트
North Korean Missile Designations
http://www.globalsec[...]
null
[6]
웹사이트
KN-02
http://missilethreat[...]
2016-11-04
[7]
웹사이트
KN-02
http://www.military-[...]
2016-03-31
[8]
웹사이트
KN-02 Short Range Ballistic Missile
http://www.globalsec[...]
2016-04-23
[9]
웹사이트
KN-02 (Toksa)
http://missiledefens[...]
2016-04-05
[10]
웹사이트
KN-02 short-range ground-to-ground ballistic missile
http://www.armyrecog[...]
2016-04-06
[11]
웹사이트
OTR-21 Tochka
http://weaponsystems[...]
2016-04-14
[12]
간행물
KPA Journal Vol. 1, No. 2
http://static1.1.sqs[...]
2016-09-09
[13]
간행물
KPA Journal Vol. 1, No. 3
http://static1.1.sqs[...]
[14]
뉴스
N.Korea Developing Anti-Ship Missile
http://english.chosu[...]
Chosun.com
2016-03-04
[15]
뉴스
N. Korea has 100 KN-02 missiles with extended range
http://english.yonha[...]
Yonhapnews.co.kr
2016-03-29
[16]
뉴스
Recent launches revealed as surface-to-surface missile
http://www.nknews.or[...]
"[[NK News]]"
2014-08-16
[17]
웹사이트
N.Korea Fired Ballistic Missiles for Pope's Visit
http://english.chosu[...]
2024-03-03
[18]
웹사이트
North Korea's March Towards ICBM Capability
https://www.wisconsi[...]
2017-06-02
[19]
웹사이트
"[취재파일] 北 미사일 시리즈, 어느새 KN-11까지"
https://news.sbs.co.[...]
2015-03-22
[20]
웹사이트
"[기획] '눈 가리고 주먹질' 하는 킬 체인...반쪽짜리 논란"
https://nownews.seou[...]
2014-10-14
[21]
웹사이트
무기 토론방 - 유용원의 군사세계
http://bemil.chosun.[...]
[22]
웹사이트
한미 당국, 北 14일 발사체 "신형 전술미사일" 결론
https://news.joins.c[...]
2014-08-18
[23]
웹사이트
北, 신형 지대지 전술미사일 개발한 듯…에이태킴스와 닮은 꼴(종합2보)
https://www.yna.co.k[...]
2019-08-11
[24]
웹사이트
http://missilethreat[...]
[25]
웹사이트
https://www.nikkei.c[...]
[26]
뉴스
27일 동해로 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미사일은
https://news.naver.c[...]
"[[중앙일보]]"
2007-06-29
[27]
뉴스
'창과 방패의 대결'...남북 미사일 전력
YTN
2017-04-03
[28]
웹사이트
http://www.asiatoday[...]
[29]
뉴스
<北, 'KN계열' 단거리미사일 주로 발사>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07-10-19
[30]
뉴스
美 "北 미사일 발사 동향 다 알아"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06-03-15
[31]
뉴스
27일 동해로 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미사일은
https://news.naver.c[...]
"[[중앙일보]]"
2007-06-29
[32]
웹사이트
https://news.naver.c[...]
[33]
뉴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쏜 단거리 미사일 남한 공격 위해 개발된 것"
https://news.naver.c[...]
"[[중앙일보]]"
[34]
뉴스
北, 미사일 얼마나 갖고 있나
https://news.naver.c[...]
"[[뉴시스]]"
2006-06-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