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MARTA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MARTA는 1965년 조지아주 의회 법에 의해 설립된 애틀랜타 대도시권의 급행 교통 기관이다. 중전철, 경전철, 버스 시스템을 운영하며, 풀턴, 클레이턴, 디칼브 카운티를 중심으로 서비스를 제공한다. 1979년 동서선 개통 이후 노선이 확장되었으며, 현재 4개의 지하철 노선과 버스, 스트리트카를 운영한다. 2014년 클레이턴 카운티가 MARTA에 합류했으며, 과거 확장 계획이 있었으나 재정 문제 등으로 무산되었다. MARTA는 요금, 운영 시간, 환승 시스템을 갖추고 있으며, 안전 및 범죄 문제, 재정 지원 부족, 인종 문제 등으로 비판을 받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국의 버스 교통 - 그레이하운드 (버스)
    그레이하운드는 1914년 에릭 윅만이 시작한 미국의 버스 운송 회사로, 미국 전역으로 노선을 확장하며 성장했으나 파업, 파산, 인수 합병을 거쳐 2021년 플릭스모빌리티에 인수되었다.
  • 애틀랜타의 교통 - 하츠필드 잭슨 애틀랜타 국제공항
    하츠필드-잭슨 애틀랜타 국제공항은 조지아주 애틀랜타에 위치한 세계에서 가장 분주한 국제공항으로, 1925년 캔들러 필드로 개항하여 윌리엄 B. 하츠필드 시장과 메이너드 잭슨 시장의 이름을 따 현재 명칭으로 변경되었으며, 5개의 활주로, 2개의 터미널, 7개의 탑승동을 갖추고 델타 항공의 허브 공항으로서 전 세계 주요 도시들을 연결한다.
  • 애틀랜타의 교통 - 델타 항공
    델타 항공은 1924년 농약 살포 회사로 시작하여 여러 합병과 인수를 거쳐 세계적인 대형 항공사로 성장했지만, 파산 신청이나 IT 장애로 인한 운항 차질 등 운영상의 어려움을 겪기도 했다.
MARTA - [철도 노선]에 관한 문서
개요
메트로폴리탄 애틀랜타 고속 수송 공사 로고
메트로폴리탄 애틀랜타 고속 수송 공사 로고
관할 지역애틀랜타, 조지아 주
대중교통 유형버스
간선 급행 버스 (2025년)
교통약자 이동 지원
도시 철도 (중전철)
노면전차
노선
버스100개
간선 급행 버스1개 (2025년)
철도 (중전철)4개
노면전차1개
역 및 정류장 수
철도 역 수38개
노면전차 정류장 수12개
연간 승객 수
총 승객 수(총, )
버스 승객 수(버스, )
철도 승객 수(철도, )
노면전차 승객 수(노면전차, )
일일 승객 수
총 승객 수(총, )
버스 승객 수(버스, )
철도 승객 수(철도, )
노면전차 승객 수(노면전차, )
운영 시작
버스1972년 2월 17일
철도1979년 6월 30일
시스템 길이
궤간
최고 속도
전력 공급
노선도
노선도

2. 역사

MARTA는 1965년 조지아 주 의회의 법률에 의해 설립되어, 애틀랜타 도시권의 주요 5개 카운티(디칼브, 풀턴, 클레이턴, 귀넷, 코브)를 위한 급행 교통 기관으로 제안되었다. 초기에는 코브 카운티를 제외한 4개 카운티와 애틀랜타 시가 시스템 참여를 승인했다. 1971년 풀턴 및 디칼브 카운티는 1% 판매세 인상을 통해 MARTA 운영 자금을 지원하기로 했고, 1972년에는 애틀랜타 교통 회사를 인수하여 대중교통 운영을 시작했다.

1975년 중전철 시스템 건설이 시작되어 1979년 6월 30일 첫 철도 서비스가 개통되었다. 이후 MARTA는 원래 계획에 없던 노선과 역들을 추가하며 확장되었다. 조지아 주립 대학교는 철도 건설 지역의 고고학 발굴을 수행하기도 했다.[5]

2000년대 이후에는 재정 문제로 인해 철도 확장 프로젝트가 중단되었으나, 2014년 클레이턴 카운티가 MARTA에 합류하면서 새로운 전기를 맞았다. 그러나 귀넷 카운티 확장은 주민 투표에서 부결되었다.
주요 확장 계획 (미개통 포함):


  • 북서선: 코브 카운티 방면, 애틀랜틱 스테이션 동쪽에 미개통 터널 존재.
  • 남부선: 하페빌 지선, 클레이턴 카운티 연장 고려 (2014년 주민투표 통과).
  • 터커-노스 디칼브 라인: 에모리 대학교 경유, 현재 경전철 노선 고려 중.
  • 북동선: 귀넷 카운티 연장 고려 (주민 투표 부결).
  • 프로크터 크릭 지선: 서부 하이랜드 지역까지 연장 예정이었으나 미시행.[6]
  • 서부선: 풀턴 산업대로 방면 확장 제안.[7]
  • 기타: 조지아 400 연장 (급행 버스 채택), 벨트라인 경전철, 클리프턴 회랑 경전철 등.

2. 1. 설립 배경 및 초기 역사 (1965년 ~ 1979년)

MARTA는 원래 애틀랜타 도시권의 초기 5개 카운티였던 디칼브, 풀턴, 클레이턴, 귀넷, 코브 카운티를 위한 급행 교통 기관으로 제안되었다. 1965년 조지아 주 의회의 법률에 의해 MARTA가 설립되었다. 같은 해, 이들 5개 카운티 중 클레이턴, 디칼브, 풀턴, 귀넷 카운티와 애틀랜타 시는 시스템 참여를 승인하는 주민투표를 통과시켰지만, 코브 카운티에서는 부결되었다.[1]

1968년 MARTA 자금 지원을 위한 주민투표는 부결되었지만, 1971년 풀턴 및 디칼브 카운티 유권자들은 MARTA 운영 비용을 지불하기 위해 1%의 판매세 인상을 승인했다. 그러나 클레이턴 및 귀넷 카운티는 주민투표에서 세금 인상을 거부했다.[1] 이후 2014년 11월, 클레이턴 카운티 유권자들은 1%의 판매세를 통해 MARTA 시스템에 합류하기로 결정하여 1971년의 결정을 번복했다.[2] 1971년, MARTA는 기존의 버스 전용 회사였던 애틀랜타 교통 회사를 인수하기로 합의했고, 1972년 2월 17일에 회사 매각이 완료되어 애틀랜타 인근 지역의 모든 대중교통을 통제하게 되었다.[3]

MARTA의 중전철 시스템 건설은 1975년에 시작되었으며, 첫 번째 철도 서비스는 1979년 6월 30일에 시작되었다.[3] 조지아 주립 대학교는 1970년대 후반에 MARTA 고고학 프로젝트를 통해 철도 건설 지역의 고고학 발굴을 수행하도록 계약되었다. 발굴에서 나온 유물은 여전히 GSU에 보관되어 있다.[5]

2. 2. 확장 및 변화 (1980년대 ~ 현재)

1976년 MARTA 시스템 초기 계획 지도


MARTA는 원래 애틀랜타 도시권의 초기 5개 카운티였던 디칼브, 풀턴, 클레이턴, 귀넷, 코브 카운티를 위한 급행 교통 기관으로 제안되었다. 1965년 조지아 주 의회의 법률에 의해 설립되었고, 같은 해 이들 카운티 중 4개 카운티와 애틀랜타 시는 시스템 참여를 승인했지만, 코브 카운티에서는 투표가 부결되었다.

1971년 풀턴 및 디칼브 카운티 유권자들은 MARTA 운영 비용을 지불하기 위해 1%의 판매세 인상을 통과시켰으나, 클레이턴 및 귀넷 카운티는 주민투표에서 세금 인상을 거부했다.[1] 귀넷 카운티는 현재까지도 MARTA 시스템 외부에 남아 있다. 그러나 2014년 11월, 클레이턴 카운티 유권자들은 1%의 판매세를 통과시켜 1971년 결정을 뒤집고 MARTA 시스템에 합류했다.[2] 1972년 2월 17일, MARTA는 기존의 버스 전용 애틀랜타 교통 회사를 인수하여 애틀랜타 인근 지역의 모든 대중교통을 통제하게 되었다.[3]

MARTA의 중전철 시스템 건설은 1975년에 시작되었으며, 첫 번째 철도 서비스는 1979년 6월 30일에 시작되었다.[3] 이후 시스템은 원래 계획에 포함되지 않았던 던우디, 샌디 스프링스, 노스 스프링스 역뿐만 아니라 제안된 대부분의 철도 노선을 건설했다. 원래 계획에서 누락된 철도 구간에는 에모리 대학교와 노스 드루이드 힐스로 운행하는 터커-노스 디칼브 노선, 브룩우드 및 노스사이드 드라이브로 운행하는 북서 노선, 페어번 로드 근처 브라운리-볼더 공원까지의 서부 노선 연장, 웨스트 하이랜드로의 프로크터 크릭 노선 연장, 해피빌과 클레이턴 카운티로 가는 남부 노선 분기가 포함된다.[4]

조지아 주립 대학교는 1970년대 후반 MARTA 고고학 프로젝트를 통해 철도 건설 지역의 고고학 발굴을 수행했다.[5]

MARTA는 건설되지 않은 철도 노선에 대한 적어도 세 개의 미개통 선로를 가지고 건설되었다. 코브 카운티 방향의 북서선은 애틀랜틱 스테이션 동쪽에 미개통 터널이 있지만, 코브 카운티는 경전철 또는 통근철도 시스템(둘 다 연구되지 않음) 또는 간선 급행 버스 서비스(북서 회랑 HOV/BRT 참조)를 갖게 될 가능성이 높다.

남부선의 하페빌 지선은 포레스트 파크까지 클레이턴 카운티로 연장하는 것을 고려했지만, 해당 카운티 유권자들의 거부로 중단되었다. 또 다른 철도 지선 아이디어는 국제공항 근처에서 하페빌 타운까지 지상 노선을 건설하는 것이었지만, 2014년 7월 클레이턴 카운티 위원회에서 승인되어 2014년 11월 유권자들에게 다시 상정, 1%의 판매세가 해당 확장에 대한 자금을 제공하면서 클레이턴 카운티는 MARTA에 가입하기로 결정했다.

또 다른 제안된 지선은 디칼브 카운티의 블루 라인에서 분기될 예정이었던 터커-노스 디칼브 라인으로, 노스 드루이드 힐스, 에모리 대학교, 터커 지역으로 북동쪽으로 뻗어갈 예정이었다. 현재는 에본데일 역에서 린드버그 센터까지 에모리/CDC를 경유하는 경전철 노선(중전철 대신)에 대한 아이디어가 고려 중이다.

20년 동안 도라빌에서 끝난 철도 시스템의 북동선은 노크로스까지 귀넷 카운티로 연장하는 것을 고려했지만, 해당 카운티 유권자들의 판매세 자금 지원 거부로 중단되었다.

프로크터 크릭 지선은 서부 하이랜드 지역까지 한 역 더 북서쪽으로 갈 예정이었지만, 그 노선에 대해서도 아무런 작업이 이루어지지 않았다.[6]

시스템이 원래 계획되었을 때부터 서부선을 중전철 연장 또는 간선 급행 버스(BRT)를 사용하여 풀턴 산업대로 서쪽으로 확장하는 것이 제안되었다.[7]

마지막으로 건설된 세 개의 MARTA 철도역, 던우디, 샌디 스프링스, 노스 스프링스는 모두 주간고속도로 285 순환 도로 둘레길 북쪽에 있으며, 2000년에 개통되었다. 해당 역으로 가는 선로는 1990년대 초 유료 도로로 벅헤드 지역 동쪽에 건설된 조지아 400의 중앙 분리대 표면에 설치되었다.

2000년 이후, MARTA 시스템에는 추가적인 판매세 자금 부족, 오래된 차량 개조, 요금 징수 시스템 교체, 선로 및 전기 시스템 수리 등 장기적인 유지 보수, 수리 및 운영 요구 사항에 제한된 자본 예산을 지출해야 할 필요성으로 인해 철도 확장 프로젝트가 진행되지 않았다.

2014년 7월 5일, 클레이턴 카운티 위원회는 MARTA와의 계약을 승인하여 1% 판매세를 재원으로 서비스를 연장했다. 2014년 11월 4일, 클레이턴 카운티 주민들은 MARTA 가입을 위한 1% 판매세를 승인했고, 버스 서비스는 2015년 3월 21일에 시작되었다. 이 계약에는 2025년까지 카운티에 미래의 철도 수송을 제공하는 조항도 포함되어 있다.[18]

고용량/철도 제안에는 2022년까지 헤이프빌, 마운틴 뷰/ATL 하츠필드 국제 터미널, 포레스트 파크, 포트 질렘, 클레이턴 주립/모로우, 모로우/사우스레이크, 존스보로에 역을 건설하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 러브조이에 역을 건설하는 것도 제안되었으며, 이는 후속 단계로 개통될 예정이다.[19] 2018년에는 통근 철도가 이 회랑을 따라 운송 모드의 지역적으로 선호되는 대안으로 선택되었다.[20]

2021년 현재 이 프로젝트는 중단되었으며 클레이턴 카운티에 철도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은 없다.

2018년 9월, MARTA 이사회와 귀넷 카운티 커미셔너 위원회는 MARTA가 2001년부터 운영되어 온 귀넷 버스 시스템의 운영을 인수하여 대폭 확대하고, 현재 도라빌에서 종착하는 MARTA의 철도 시스템을 카운티로 연장하는 계획을 승인하는 데 조건부 승인을 부여했다. 1965년 당시 백인 기업 엘리트들이 MARTA를 처음 지지한 반면, 대부분의 흑인 유권자들은 대중교통 자금 지원에 찬성표를 던졌다. 대규모의 시골 백인 조지아 주민들은 MARTA에 반대했다.[21]

2018년의 원래 계획에는 귀넷 카운티의 중전철 급행 대중교통을 확장하기 위한 상세한 다년간 계획이 포함되어 있다. Connect Gwinnett 계획에는 10분마다 운행되는 열차와 MARTA 역까지 사람들을 수송하기 위한 더 많은 버스 투입이 포함될 것이다.[22] MARTA와의 계약은 2019년 3월 19일로 예정된 공개 투표에서 성공해야 발효될 예정이었고, 이 협약은 2057년까지 귀넷 카운티에서 징수될 새로운 1센트 판매세를 요구했다.[23] 2019년 3월 19일, 세 번째 대중교통 국민투표가 실패했으며, 투표의 54.32%가 확장에 반대했다.[24] 네 번째 대중교통 국민투표는 2020년 대통령 선거에서 투표 용지에 추가되었지만, 유권자의 50.13%가 국민투표에 반대하여 1,000표 약간 넘는 차이로 실패했다.[25]

1971년에 지하철 노선망 건설이 애틀랜타시와 주변 도시권 사이에서 결정된 후, 1975년에 공사가 시작되었다. 첫 번째 노선인 동서선(Georgia State역~Avondale역 구간)이 1979년에 개통된 후, 20년을 거쳐 현재의 노선망이 구축되었다. 전체 노선의 길이는 79.2km이며, 38개의 역을 보유하고 있다.

2. 3. 과거 확장 계획

MARTA는 원래 애틀랜타 도시권의 초기 5개 카운티인 디칼브, 풀턴, 클레이턴, 귀넷, 코브 카운티를 위한 급행 교통 기관으로 제안되었으며, 오늘날까지도 이 지역과 주의 5개 최대 카운티이다. MARTA는 1965년 조지아 주 의회의 법률에 의해 설립되었다. 같은 해, 5개의 도시권 카운티 중 4개와 애틀랜타 시가 시스템 참여를 승인하는 주민투표를 통과시켰지만, 코브에서는 투표가 부결되었다.

1968년 MARTA 자금 지원을 위한 주민투표는 부결되었지만, 1971년 풀턴 및 디칼브 카운티 유권자들은 MARTA 운영 비용을 지불하기 위해 1%의 판매세 인상을 통과시켰다. 반면 클레이턴 및 귀넷 카운티는 주민투표에서 압도적으로 세금 인상을 거부했다.[1] 같은 해, 이 기관은 기존의 버스 전용 애틀랜타 교통 회사를 인수하기로 합의했으며, 1972년 2월 17일에 회사 매각이 완료되어 애틀랜타 인근 지역의 모든 대중교통을 통제하게 되었다.[3]

MARTA의 중전철 시스템 건설은 1975년에 시작되었으며, 첫 번째 철도 서비스는 1979년 6월 30일에 시작되었다.[3] 그 이후로 이 시스템은 원래 계획에 포함되지 않았던 던우디, 샌디 스프링스, 노스 스프링스의 역뿐만 아니라 제안된 대부분의 철도 노선을 건설했다.

조지아 주립 대학교는 1970년대 후반에 MARTA 고고학 프로젝트를 통해 철도 건설 지역의 고고학 발굴을 수행하도록 계약되었다. 발굴에서 나온 유물은 여전히 GSU에 보관되어 있다.[5]

2000년 이후, MARTA 시스템은 추가적인 판매세 자금 부족, 오래된 차량 개조, 요금 징수 시스템 교체, 선로 및 전기 시스템 수리, 기타 장기적인 유지 보수, 수리 및 운영 요구 사항에 제한된 자본 예산을 지출해야 할 필요성으로 인해 철도 확장 프로젝트가 진행되지 않았다.

2018년 9월, MARTA 이사회와 귀넷 카운티 커미셔너 위원회는 MARTA가 2001년부터 운영되어 온 귀넷 버스 시스템의 운영을 인수하여 대폭 확대하고, 현재 도라빌에서 종착하는 MARTA의 철도 시스템을 카운티로 연장하는 계획을 승인하는 데 조건부 승인을 부여했다. 그러나 2019년 3월 19일, 세 번째 대중교통 국민투표가 실패했으며, 투표의 54.32%가 확장에 반대했다.[24] 네 번째 대중교통 국민투표는 2020년 대통령 선거에서 투표 용지에 추가되었지만, 유권자의 50.13%가 국민투표에 반대하여 1,000표 약간 넘는 차이로 실패했다.[25]

1971년에 지하철 노선망 건설이 애틀랜타시와 주변 도시권 사이에서 결정된 후, 1975년에 공사가 시작되었다. 첫 번째 노선인 동서선(Georgia State역~Avondale역 구간)이 1979년에 개통된 후, 20년을 거쳐 현재의 노선망이 구축되었다. 전체 노선의 길이는 79.2km이며, 38개의 역을 보유하고 있다.

2. 3. 1. 주요 확장 계획

MARTA는 건설되지 않은 철도 노선에 대한 최소 세 개의 미개통 선로를 가지고 건설되었다. 주요 확장 계획은 다음과 같다.

  • 코브 카운티 방면 북서선: 애틀랜틱 스테이션 동쪽에 미개통 터널이 있지만, 해당 재개발은 MARTA 역을 염두에 두고 건설되지 않았다. 코브 카운티는 경전철, 통근철도, 간선 급행 버스 서비스(북서 회랑 HOV/BRT 참조) 중 하나를 갖게 될 가능성이 높다.
  • 남부선 하페빌 지선: 포레스트 파크까지 클레이턴 카운티로 연장하는 것을 고려했지만, 유권자들의 반대로 중단되었다. 이후 2014년 11월 주민투표를 통해 클레이턴 카운티가 MARTA에 가입하면서 풀턴, 디칼브, 애틀랜타시 외부에 대한 시스템의 첫 번째 확장이 이루어졌다.
  • 터커-노스 디칼브 라인: 디칼브 카운티의 블루 라인에서 분기되어 노스 드루이드 힐스, 에모리 대학교, 터커 지역으로 북동쪽으로 뻗어갈 예정이었다. 현재 에본데일 역에서 린드버그 센터까지 에모리/CDC를 경유하는 경전철 노선이 고려 중이다.
  • 귀넷 카운티 방면 북동선: 도라빌에서 노크로스까지 연장하는 것을 고려했지만, 유권자들의 반대로 중단되었다.
  • 프로크터 크릭 지선: 서부 하이랜드 지역까지 한 역 더 북서쪽으로 연장될 예정이었지만, 아무런 작업도 이루어지지 않았다.[6]
  • 풀턴 산업대로 방면 서부선: 중전철 연장 또는 간선 급행 버스(BRT)를 사용하여 풀턴 산업대로 서쪽으로 확장하는 것이 제안되었다.[7]
  • 던우디, 샌디 스프링스, 노스 스프링스: 2000년에 개통된 세 역은 주간고속도로 285 둘레길 북쪽에 있으며, 조지아 400의 중앙 분리대 표면에 설치되었다.
  • 인디안 크릭 역: 디칼브 카운티 동부에 있으며, 주간고속도로 285 외곽으로 확장되는 두 곳 중 하나이다.
  • 동쪽 확장: 애틀랜타 시내에서 I-20 고속도로를 따라 버스 급행 수송 시스템을 구축하고, 인디안 크릭역에서 I-285를 따라 I-20까지 남쪽으로, 그리고 I-20 회랑을 따라 몰 앳 스톤크레스트까지 중전철 노선을 연장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현재의 녹색 노선은 에지우드/캔들러 파크역의 종착역에서 몰 앳 스톤크레스트까지 동쪽으로 연장될 것이다.[8] (2018년 이후 연구 중단)
  • 켄싱턴 역 - 스톤 마운틴 BRT: 메모리얼 드라이브를 따라 켄싱턴 역에서 스톤 마운틴의 골드스미스 로드 MARTA 환승 주차장 및 폰스 드 레온 애비뉴까지 버스 래피드 트랜짓(BRT) 개발 (2010년 9월 27일 시작, 낮은 이용률로 중단).[9]
  • BeltLine: 애틀랜타 중심 업무 지구 주변의 기존 철도 교통권에 경전철과 버스 또는 노면전차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제안.[10]
  • 클리프턴 회랑: 린드버그 센터에서 시작하여 CSX 철도 회랑을 따라 에모리 대학교와 질병통제예방센터까지 이어지고, 데케이터 북쪽 가장자리를 따라 아본데일 MARTA역까지 연장될 가능성이 있는 노선. 경전철이 선호되는 옵션으로 선택되었다.[12]
  • 조지아 400 교통 계획 (Connect 400): 조지아 주도 400호선 회랑을 따라 풀턴 카운티 북부 지역으로 고밀도 교통망 확장을 위한 방안 연구.[13][14] 중전철(HRT, 레드 라인 북쪽 연장), 경전철(LRT) 또는 급행 버스(BRT) 옵션 고려.[15] 2018년 6월 기준, 중전철 확장 대신 급행 버스(BRT) 서비스가 채택되었다.
  • 아머 야드 인근 역 추가: 레드 라인 및 골드 라인 MARTA 노선, 북동 벨트라인 경전철, 애틀랜타 북동쪽의 아테네("브레인 트레인") 및 게인즈빌로 가는 제안된 통근 철도 노선 연결.
  • 애틀랜타 복합 여객 터미널(MMPT): 파이브 포인트 역 옆에 건설되어 MARTA를 통근 철도, 미래의 도시 간 철도, 암트랙, 동남 회랑의 가능한 고속철도와 연결.
  • 모빌리티 2030: 애틀랜타 지역 위원회가 2030년까지 대중교통 개선을 목표로 하는 타임라인.
  • MARTA 래피드 서머힐: 애틀랜타 도심에서 시작하여 서머힐을 거쳐 애틀랜타 벨트라인에서 종료되는 5마일(8킬로미터) BRT 노선 (2025년 건설 완료 및 운행 시작 예정).[45]
  • 새로운 인필 역: 앤드레 디킨스 시장은 벨트라인과 교차하는 머피 크로싱을 포함하여, 크로그 스트리트, 조셉 E. 분, 아머 야드에 4개의 새로운 인필 역을 건설할 것이라고 발표했다.[46]

3. 시스템

MARTA는 중전철 급행 수송 시스템, 경전철 시스템, 버스 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주로 풀턴, 클레이턴, 디칼브 카운티 경계 내에서 운행된다. MARTA는 애틀랜타 자체 외에도 알파레타, 에본데일 이스테이츠, 브룩헤이븐, 챔블리, 클락스턴, 콜리지 파크, 데케이터, 도라빌, 던우디, 이스트 포인트, 엘렌우드, 페어번, 포레스트 파크, 헤이프빌, 존스보로, 레이크 시티, 러브조이, 리소니아, 모로우, 팔메토, 리버데일, 로즈웰, 샌디 스프링스, 스톤 마운틴, 유니언 시티 등 서비스 지역 내 다양한 교외 지역에도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메인 터미널 옆에 위치한 공항 역을 통해 공항에도 서비스를 제공한다. 코브 카운티는 MARTA 시스템의 일부가 아니지만, 컴벌랜드 대로 환승 센터와 식스 플래그스 오버 조지아로 가는 버스 노선을 제한적으로 운영한다.

MARTA는 기차에 자전거를 실을 수 있으며, 버스에는 전면에 장착된 랙에 두 대의 자전거를 실을 수 있다.[26] 공항에서는 보행자나 차량 통행을 방해하지 않는 한, 모든 주차 데크에 자전거를 잠글 수 있다.[27]

2007년 기준 MARTA는 4,729명의 정규직 및 파트타임 직원을 고용했으며, 그 중 1,719명이 버스 운전사 또는 기차 운전자였다.[28] 철도 및 버스 운전자, 역무원, 철도 유지 보수 작업자 등 MARTA 직원은 통합 교통 노조 지부 732에서 대표한다.

MARTA는 장애인법(ADA)에 따라 장애인으로 정의된 사람들을 위한 모빌리티 보조 교통(paratransit) 서비스를 제공한다.[37] 이 서비스에는 211대의 특수 휠체어 리프트 장착 차량이 사용되며,[37] 승객을 최종 목적지(연석 간 서비스)나 가장 가까운 접근 가능한 버스 정류장 또는 철도역(피더 서비스)까지 수송한다. 모빌리티 서비스는 기존 철도 및 버스 노선에서 약 1.21km 반경 이내로 제한되며, 해당 지역을 운행하는 고정 노선 시간 동안에만 제공된다. 서비스 이용을 위해서는 가입 신청과 예약이 필요하다. 2006 회계 연도에 MARTA는 289,258건의 모빌리티 여행을 제공했다.[41]

개별 모빌리티 승객의 편도 여행 제공 비용은 평균 31.88USD로,[42] 이용자 부담금 4USD보다 훨씬 높다. 장애인법은 MARTA가 모빌리티 요금을 일반 고정 노선 요금의 두 배 이상으로 청구하는 것을 금지한다.[43]

2001년 연방 민사 소송 ''Martin v. Metropolitan Atlanta Rapid Transit Authority''에서 여러 장애인 승객은 MARTA가 접근 가능한 형식의 버스 일정 및 노선 정보, 작동하는 휠체어 리프트가 있는 버스, 철도 및 버스 노선에서 정류장 안내, 적절한 직원의 모빌리티 서비스 예약 및 제공을 하지 않아 ADA를 위반했다고 주장했다. 2002년 지방 법원은 MARTA가 ADA를 위반했다고 판결하고, 원고에게 장애인 서비스 개선을 요구하는 금지 명령을 내렸다.[44]

3. 1. 중전철 (Subway/Metro)

MARTA의 급행 교통 시스템은 의 노선과 38개의 철도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4개의 노선으로 운행된다.[37][29]

  • 레드 라인 (2009년 10월 이전에는 노스-사우스 라인)
  • 골드 라인 (구 동북-사우스 라인)
  • 블루 라인 (구 이스트-웨스트 라인)
  • 그린 라인 (구 프로크터 크릭 라인)


이 시스템의 철로는 고가, 지상, 지하철 트랙을 조합하여 만들었다.

MARTA 시스템에서 가장 깊은 지하철역은 피치트리 센터역으로, 애틀랜타에서 가장 높은 언덕(해발 ) 아래 깊이의 경암 터널에 있다. 이 역과 인접 터널에는 터널 라이닝이 설치되지 않았는데, 건축가와 토목 기술자들이 거친 편마암 암벽을 그대로 두기로 결정했기 때문이다. MARTA 시스템에서 가장 높은 역은 킹 메모리얼역으로, 과거 CSX 철도 기지에서 높이에 있다.

MARTA는 2009년 10월에 색상 기반 식별 시스템으로 전환했다. 이전에는 노선이 종착역을 기준으로 공항, 도라빌, 노스 스프링스, H. E. 홈스, 뱅크헤드, 킹 메모리얼, 캔들러 파크, 인디언 크릭 또는 나침반 방향으로 이름이 붙여졌다. 두 명명 시스템 간의 전환 기간 동안 레드 라인과 골드 라인의 모든 역은 원래 주황색 표지판을 사용했고, 블루 라인과 그린 라인의 모든 역은 원래 파란색 표지판을 사용했다.

모든 급행 교통 노선은 다운타운 애틀랜타에 있는 파이브 포인트역을 핵심 거점으로 한다.[29] MARTA 열차는 자동 열차 제어 시스템을 사용하여 운행되며, 열차당 한 명의 운영자가 안내 방송, 문 작동, 제어 시스템 고장 또는 비상 시 열차 수동 운전을 담당한다. 많은 교외 역에는 환승 주차장 부지에 무료 일일 주차 및 유료 장기 주차가 가능하다.[29] 이 역에는 또한 역 입구 근처에 승객 하차 구역도 있다.

현재 운행 중인 노선은 다음과 같으며, 애틀랜타 시 중심부의 파이브 포인츠역에서 환승할 수 있다.

노선구간
블루 라인해밀턴 E. 홈스 ~ 인디언 크릭
그린 라인뱅크헤드 ~ 애슈비 (애슈비역에서 블루 라인으로 직통 운전)
레드 라인노스 스프링스 ~ 공항
골드 라인도라빌 ~ 린드버그 센터 (린드버그 센터역에서 레드 라인으로 직통 운전)


3. 2. 경전철 (Streetcar)

애틀랜타 스트리트카는 전차 노선으로, 전차선으로 전력을 공급받으며 혼용 통행 환경에서 운행된다. 이 시스템은 애틀랜타 시에서 건설했으며, 2018년 7월 1일에 MARTA 운영에 통합되었다.[30][31] 스트리트카는 다운타운 애틀랜타에서 약 4.35km의 루프 노선으로 운행된다.

애틀랜타 스트리트카(Atlanta Streetcar)는 오리지널 에베네저 침례 교회(Ebenezer Baptist Church), 스위트 오번(Sweet Auburn) 근처에 있다.


애틀랜타 스트리트카 시스템은 지멘스 S70 경전철 차량(LRV)을 사용한다.[32] 총 4대의 S70 차량이 구매되었으며,[33] 2개의 다른 시설에서 제작되었다. 차량 자체는 캘리포니아주 새크라멘토에서 제작되었으며, 추진 시스템과 같은 대부분의 주요 부품은 애틀랜타에서 북쪽으로 약 약 48.28km 떨어진 앨퍼레타의 공장에서 조립되었다.[34][35] 이 차량들은 2014년 초에 인도되었으며 1001–1004번으로 번호가 매겨졌다.[36]

3. 3. 버스 (Bus)

2013년 1번 버스를 운행하는 노스 애비뉴 역을 출발하는 MARTA Xcelsior 1469


MARTA의 버스 시스템은 철도 시스템보다 더 넓은 지역에 서비스를 제공하며, 로즈웰과 알파레타를 비롯하여 사우스 디칼브와 같은 풀턴, 클레이턴, 디칼브 카운티의 지역에 서비스를 제공한다. 클레이턴 카운티에 대한 MARTA 버스 서비스는 2015년 3월 21일부터 시행되었다.[37] 2010년 기준으로 MARTA는 554대의 디젤 및 압축 천연 가스 버스를 보유하고 있으며, 연간 41.7억km을 운행하는 110개 이상의 버스 노선을 운영하고 있다.[37] MARTA는 코브 카운티에서 제한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버스 노선(12번 노선이 코브 카운티의 컴벌랜드 대로 환승 센터까지 연장됨)을 하나 가지고 있다. 2016년 6월 기준으로 MARTA는 뉴 플라이어 인더스트리(New Flyer Industries) Xcelsior XN60 18대를 구매했으며, 이 버스는 주로 시스템에서 가장 붐비는 버스 노선인 39번 버포드 하이웨이 노선에 사용된다.[38][39] 142번, 197번, 198번 노선을 제외한 모든 MARTA 버스 노선은 MARTA 철도 노선으로 연결되거나 교차한다. MARTA 셔틀 서비스는 공원 여름 시즌 동안 식스 플래그스 오버 조지아까지 이용 가능하다.

많은 철도역 인근의 무료 주차 공간 외에도, MARTA는 버스 노선(윈드워드 파크웨이, 맨셀 로드, 스톤 마운틴, 바지 로드, 사우스 풀턴)만 운행하는 5개의 환승 주차장을 운영하고 있다.[40]

3. 4. 보조 교통 (Paratransit)

MARTA는 장애인법(ADA)을 준수하기 위해, 장애인으로 정의된 사람들을 위한 모빌리티 보조 교통(paratransit) 서비스를 제공한다.[37] 이 서비스를 위해 211대의 특수 휠체어 리프트 장착 차량을 사용하며,[37] 승객을 최종 목적지까지 수송(연석 간 서비스)하거나 가장 가까운 접근 가능한 버스 정류장 또는 철도역까지 수송(피더 서비스)할 수 있다. 모빌리티는 기존의 철도 및 버스 노선으로 제한되며, 기존 노선에서 약 1.21km 반경 이상으로 연장될 수 없다. 모빌리티 서비스는 해당 지역을 운행하는 고정 노선 시간 동안에만 제공된다. 모빌리티 서비스 가입 신청이 필요하며, 각 여행마다 예약이 필요하다. 2006 회계 연도에 MARTA는 289,258건의 모빌리티 여행을 제공했다.[41]

개별 모빌리티 승객의 편도 여행을 제공하는 데 드는 MARTA의 평균 비용은 31.88USD이다.[42] 이는 모빌리티 이용자가 지불해야 하는 4USD의 요금보다 훨씬 높다. 장애인법은 MARTA가 모빌리티 요금을 일반 고정 노선 요금의 두 배 이상으로 청구하는 것을 금지하고 있다.[43]

2001년 연방 민사 소송인 ''Martin v. Metropolitan Atlanta Rapid Transit Authority''는 MARTA가 접근 가능한 형식의 버스 일정 및 노선 정보, 작동하는 휠체어 리프트가 있는 버스, 철도 및 버스 노선에서 정류장 안내, 적절한 직원이 모빌리티 서비스를 적시에 예약하고 제공하지 않아 ADA를 위반했다고 주장하는 여러 장애인 승객에 의해 제기되었다. 지방 법원은 2002년에 MARTA가 ADA를 위반했으며 원고에게 장애인 서비스 개선을 요구하는 금지 명령을 내렸다.[44]

4. 요금

MARTA의 1회 편도 정규 요금은 2.50달러이다. 새로운 Breeze 카드는 2달러이며, Breeze 티켓은 1달러가 추가된다. 65세 이상 승객, 장애인 승객 및 메디케어 수혜자는 1달러의 할인 요금을 받는다. 1회 편도 파라트랜짓 요금은 4달러이다. 정규 요금 1회 편도 10회는 25달러, 20회는 42.50달러에 할인 구매할 수 있다. MARTA는 또한 다음과 같은 교통 패스 옵션을 통해 무제한 여행을 제공한다.


  • 24시간 패스: 9달러
  • 2일 패스: 14달러
  • 3일 패스: 16달러
  • 4일 패스: 19달러
  • 7일 패스: 23.75달러
  • 30일 패스: 95달러


대학생과 교직원은 월간 패스를 할인된 가격으로 구매할 수 있다. 직원에게 월간 MARTA 패스를 판매하는 기업 파트너와 애틀랜타를 방문하는 단체 및 컨벤션에도 추가 할인이 제공된다. 일부 고용주는 대중교통 이용을 장려하기 위해 직원에게 할인된 요금 또는 무료 MARTA 패스를 제공한다. 이하의 어린이는 요금을 지불하는 승객과 함께 최대 2명까지 무료로 탑승할 수 있다.

MARTA 지역 내에서는 무료 셔틀도 운행되지만, MARTA의 일부는 아니다. 벅헤드 업타운 커넥션(The BUC)은 벅헤드 (애틀랜타) 주변을 운행하며, 이곳은 애틀랜타의 업타운 지역이자 다운타운과 미드타운에 이어 세 번째 주요 상업 지구이다. 레녹스 스퀘어 쇼핑몰과 피치트리 로드를 따라 건설된 많은 고층 건물 및 마천루가 포함된다. 애틀랜틱 스테이션 셔틀은 아트 센터 MARTA 역과 미드타운의 애틀랜틱 스테이션 지역 간 서비스를 제공한다. 조지아 공과대학교는 캠퍼스 중앙, 테크놀로지 스퀘어, 미드타운 MARTA 역 사이를 "테크 트롤리"로 운행하며, 캠퍼스 주변에는 "스팅어" 버스를 운행한다. 에모리 대학교는 캠퍼스 안팎으로 "The Cliff" 셔틀 버스를 운행한다. 클리프턴 회랑 교통 관리 협회(CCTMA)는 에모리와 디케이터 시내 및 디케이터 MARTA역을 연결하는 셔틀을 운영한다.

COVID-19 발생으로 인해 2020년 3월 MARTA는 버스 탑승에 무료 요금을 도입했으며, 이는 2020년 9월 초에 종료되었다. 무료 요금 변경은 철도 요금에는 적용되지 않았다.[47]

MARTA는 2006년 9월에 기존의 토큰 기반 요금 징수 시스템을 대체하는 "Breeze" 스마트 카드 전자 요금 징수 시스템의 구현을 완료했다. 새로운 Breeze 카드를 사용하면 승객은 카드를 충전하여 사용하거나, 특정 기간에 고정되지 않은 무제한 일일 이용권을 추가할 수 있다. Breeze 카드는 MARTA를 이용하는 모든 승객을 위한 것이다. 새로운 Breeze 요금 게이트는 요금 회피를 방지하도록 설계되었으며, 이전 요금 징수 시스템에서는 요금 회피가 훨씬 쉬웠고 MARTA에 연간 1,000만 달러의 손실을 입히는 것으로 추산되었다.[48] GRTA Xpress 및 CobbLinc와 같은 다른 연결 대중교통 시스템도 Breeze 시스템을 사용한다.

MARTA는 Breeze 전환 후 토큰 판매를 중단했다.[49] 시스템이 처음 구현되었을 때, 요청한 사람들에게는 (요금 없이) 카드가 무료로 우편 발송되었다.

2016년 1월, MARTA는 이전에 사용되던 Breeze 카드의 해킹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새로운 Breeze 카드를 출시했다. 새로운 카드의 가격은 2달러이다.[50]

지하철 운임은 거리에 관계없이 일률적으로 2.5달러이다. 65세 이상, 장애인 및 메디케어 가입자는 1달러로 할인된다. 신장 46인치 이하의 어린이는 무료이다. 이 외에 10회 승차권(25달러), 20회 승차권(42.5달러), 1일 무제한 이용권(9달러) 등도 판매되고 있다.

브리즈 카드(Breeze card)라는 IC 카드 시스템이 2006년 9월부터 도입되었으며, 카드 구매에 2달러가 소요된다.

노면 전차 운임은 거리에 관계없이 일률적으로 1달러이다.

5. 운영

MARTA는 중전철 급행 수송 시스템, 경전철 시스템, 버스 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주로 풀턴, 클레이턴, 디칼브 카운티 경계 내에서 운행된다. 애틀랜타 자체 외에도 알파레타, 에본데일 이스테이츠, 브룩헤이븐, 챔블리, 클락스턴, 콜리지 파크, 데케이터, 도라빌, 던우디, 이스트 포인트, 엘렌우드, 페어번, 포레스트 파크, 헤이프빌, 존스보로, 레이크 시티, 러브조이, 리소니아, 모로우, 팔메토, 리버데일, 로즈웰, 샌디 스프링스, 스톤 마운틴, 유니언 시티 등 서비스 지역 내 다양한 교외 지역에도 서비스를 제공한다. 코브 카운티는 MARTA 시스템의 일부가 아니지만, 컴벌랜드 대로 환승 센터와 식스 플래그스 오버 조지아로 가는 버스 노선을 제한적으로 운영한다.

MARTA는 장애인법(ADA)을 준수하기 위해 장애인들을 위한 보조 교통(paratransit) 서비스를 제공한다.[41]

MARTA의 첫 번째 BRT 노선은 현재 건설 중이며, 2025년에 완료되어 운행이 시작될 예정이다.[45][46]

MARTA 1회 편도 요금 토큰; 토큰은 이후 Breeze 카드로 대체되었다.


현재 MARTA의 1회 편도 정규 요금은 2.50달러이다. 새로운 Breeze 카드는 2달러, Breeze 티켓은 1달러의 추가 요금이 부과된다. 65세 이상 승객, 장애인 승객 및 메디케어 수혜자는 1달러의 할인 요금을 받을 수 있다.[47] 1회 편도 10회권은 25달러, 20회권은 42.50달러에 할인 구매할 수 있다. MARTA는 또한 24시간 패스 9달러, 2일 패스 14달러, 3일 패스 16달러, 4일 패스 19달러, 7일 패스 23.75달러, 30일 패스 95달러 등 다양한 교통 패스 옵션을 제공한다.

MARTA는 2006년에 기존의 토큰 기반 요금 징수 시스템을 대체하는 "Breeze" 스마트 카드 전자 요금 징수 시스템을 도입했다.[48][49][50]

2024년 3월, 앤드레 디킨스 시장은 벨트라인과 교차하는 머피 크로싱을 포함하여, 크로그 스트리트, 조셉 E. 분, 아머 야드에 4개의 새로운 인필 역을 건설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애틀랜타 복합 여객 터미널(MMPT)이 파이브 포인트 역 옆에 건설되면 MARTA는 통근 철도, 도시 간 철도, 암트랙, 동남 회랑의 고속철도 등과 연결될 것이다.

MARTA 및 기타 애틀랜타 광역 교통 기관의 추가 확장 계획은 애틀랜타 지역 위원회가 2030년까지 대중교통 개선을 목표로 하는 타임라인인 모빌리티 2030에 자세히 설명되어 있다.

5. 1. 운영 시간

MARTA는 매일 운행한다. 철도 서비스는 월요일부터 금요일까지 오전 4시 45분부터 오전 1시까지, 토요일, 일요일 및 대부분의 공휴일에는 오전 6시부터 오전 1시까지 제공된다.[51] 제야의 밤과 같은 특정 행사 시에는 오전 2시까지 열차가 운행된다. 겨울 폭풍 시에도 열차는 야간에 운행하지만, 여객 서비스는 제공되지 않으며, 이는 지하철이 아닌 노선에 얼음이 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평일에는 오전 6시까지 모든 철도 노선에서 20분 간격으로 운행된다. 오전 6시부터 오전 9시까지, 그리고 오후 3시부터 오후 7시까지는 모든 철도 노선에서 10분 간격으로 운행된다. 오전 9시부터 오후 3시까지, 그리고 오후 7시부터 오후 8시 30분까지는 모든 철도 노선에서 12분 간격으로 운행된다. 오후 8시 30분부터 운행 종료 시까지는 모든 철도 노선에서 20분 간격으로 운행된다. MARTA의 적색 노선 철도 서비스는 오후 8시 30분 이후에는 노스 스프링스역과 린드버그 센터역 사이에서만 운행된다. MARTA의 녹색 노선 철도 서비스는 오후 8시 30분 이후에는 뱅크헤드역과 바인 시티역 사이에서만 운행된다 (공휴일과 당국의 선로 작업 제외). 주말 및 공휴일에는 모든 철도 노선에서 20분 간격으로 운행된다. 버스 노선은 승객 수요에 따라 운행 빈도가 다르게 적용된다.[51]

5. 2. 환승

MARTA는 애틀랜타 도심의 파이브 포인트역을 중심으로 여러 노선이 운행되며, 이곳에서 노선 간 환승이 가능하다.

현재 운행 중인 노선은 다음과 같다.

  • 블루 라인: 해밀턴 E. 홈즈 ~ 인디언 크릭 간
  • 그린 라인: 뱅크헤드 ~ 애슈비 (애슈비역에서 블루 라인으로 직통 운전)
  • 레드 라인: 노스 스프링스 ~ 공항
  • 골드 라인: 도라빌 ~ 린드버그 센터 간 (린드버그 센터역에서 레드 라인으로 직통 운전)


아머 야드 인근에 새로운 역을 추가하는 방안이 논의되고 있는데, 이는 레드 라인, 골드 라인, 애틀랜타 북동쪽 아테네("브레인 트레인") 및 게인즈빌로 가는 통근 철도 노선이 모두 이 지역을 지나기 때문이다.

애틀랜타 복합 여객 터미널(MMPT)이 파이브 포인트 역 옆에 건설되면 MARTA는 통근 철도, 도시 간 철도, 암트랙, 동남 회랑의 고속철도 등과 연결될 것이다.

MARTA 이용객들은 Ride Gwinnett, CobbLinc, GRTA 익스프레스(GRTA Xpress)와 같은 애틀랜타 대도시권의 다른 대중교통 시스템으로 무료 환승이 가능하다.[52]

6. 재정

MARTA의 예산은 운임 수입 외에도 풀턴, 클레이턴, 디칼브 카운티에서 징수하는 1% 판매세와 제한적인 연방 자금으로 충당된다.[28] 2017년, 애틀랜타시는 MARTA 개선 및 확장을 위해 판매세를 1.5%로 인상했다. 2007 회계 연도에 MARTA의 운임 회수율은 31.8%였다.[28]

1965년 제정된 메트로 애틀랜타 급행 수송국 법(Metropolitan Atlanta Rapid Transit Authority Act)에 따라, 1% 판매세 수입은 MARTA의 운영 예산과 자본 지출 예산으로 균등하게 분배되어야 했다. 이 제한은 승객 수입을 포함한 다른 수입원에는 적용되지 않았다.[53] 이러한 분할은 시스템을 계속 확장하고 투자해야 한다는 취지로 MARTA 설립 시 법안에 명시되었으나, 현재 진행 중인 중전철 건설 프로젝트는 없다.

2002년, 주 의회는 임시 3년 동안 자본 지출 45%/운영 55% 분할을 허용하도록 법을 개정했으며,[54] 2006년에 다시 갱신되었다. 그러나 2005년 분할 갱신 법안은 의회의 MARTA 감독 위원회에서 보류되었고, MARTA는 서비스 삭감을 포함하는 새로운 예산을 통과시켜야 했다.

자본 자금 잉여로 인해 새로운 1억 달러 규모의 브리즈 카드(Breeze Card) 운임 징수 시스템, MARTA 파이브 포인트 역의 110만 달러 자동 화장실과 같은 프로젝트가 진행되는 동안, MARTA는 버스 및 철도 운영 비용을 지불하기 위해 고군분투했다. 2015년, 조지아 주의회는 MARTA가 1% 판매세를 분할할 필요가 없다는 새로운 법안을 승인했다.

낮은 판매세 수입과 조지아 주로부터의 자금 지원 부족으로 인해 MARTA는 43개의 버스 노선을 폐지하고, 셔틀(식스 플래그스 오버 조지아 및 브레이브스 셔틀 제외)을 폐지하고, 철도 서비스 빈도와 시간을 줄여야 했다. 또한 대부분의 역 화장실을 폐쇄하고, 대중에게 공개된 13개의 역 화장실만 운영하고 있다.[55] 대규모 삭감에도 불구하고, 2011 회계 연도에 시스템은 6,934만 달러 부족을 예상했으며, 이는 예비 계정에서 충당되었다.[55] 2013년에는 900만 달러를 추가하여 열차 및 버스 노선의 빈도를 늘리는 데 재투자했다.

현재 1% 판매세는 2032년에 0.5%로 감소될 예정이었다. 2007년 초, MARTA는 애틀랜타시, 디칼브 카운티, 풀턴 카운티에 판매세 징수 기간 연장을 요청했다.[56] 이는 시스템의 미래 확장을 위한 채권 발행에 필요하다고 밝혔다.[56] 2007년 3월 애틀랜타시는 연장을 승인했고,[56] 4월 디칼브 카운티 위원회도 승인했다.[59] 그러나 일부 풀턴 카운티 관리들은 풀턴 북부 지역으로의 노선 확장이 포함되지 않았다는 이유로 반대했다.[60]

MARTA는 1965년 조지아주 의회 법률에 의해 설립되었으며, 이 법은 기관의 자금 관리 방식에 제한을 두었다. MARTA는 조지아주로부터 운영 자금을 지원받지 못해, 미국에서 가장 큰 대중교통 기관이자 앵글로아메리카에서 두 번째로 큰 교통 기관이 되었다. 이러한 자금 지원 제한은 2015년 조지아주 의회에서 관련 법안이 통과되면서 해제되었다.

2009년 4월, 2000년대 후반 불황으로 판매세 수입이 급감하자, MARTA는 자체 자본 준비금 예금 계좌에 접근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법안이 조지아주 의회에서 통과되지 못해 예산 위기를 겪었다. 이로 인해 MARTA는 700명의 직원을 해고해야 했으며, 서비스 축소 및 요금 인상이 시행되었다.

6. 1. 주 정부 재정 지원 논란

MARTA는 원래 애틀랜타 도시권의 초기 5개 카운티인 풀턴, 디칼브, 클레이턴, 귀넷, 코브 카운티를 위한 급행 교통 기관으로 제안되었다. 1965년 조지아 주 의회 법률에 의해 설립되었으며, 1971년 풀턴 및 디칼브 카운티 유권자들은 MARTA 운영 비용을 지불하기 위해 1% 판매세 인상을 승인했지만, 클레이턴 및 귀넷 카운티는 주민투표에서 이를 거부했다.[1] 그러나 2014년 11월, 클레이턴 카운티 유권자들은 1% 판매세를 승인하여 MARTA 시스템에 합류했다.[2]

MARTA 예산은 운임 수입 외에 풀턴, 클레이턴 및 디칼브 카운티의 1% 판매세와 제한적인 연방 자금으로 충당된다. 1965년 제정된 메트로 애틀랜타 급행 수송국 법(Metropolitan Atlanta Rapid Transit Authority Act)에 따라, 1% 판매세에서 나오는 자금은 MARTA의 운영 예산과 자본 지출 예산으로 균등하게 분배되어야 했다.[53] 2002년 주 의회는 임시 3년 동안 자본 45%/운영 55% 분할을 허용하도록 법을 개정했고,[54] 2006년 주 입법 회기에서 다시 갱신되었다. 2015년에는 조지아 주의회가 더 이상 MARTA가 1% 판매세를 분할할 필요가 없다는 새로운 법안을 승인했다.

조지아 주로부터의 자금 지원 부족과 낮은 판매세 수입으로 인해 MARTA는 43개의 버스 노선을 폐지하고, 철도 서비스 빈도와 시간을 줄여야 했다.[55] 이러한 대규모 삭감에도 불구하고 MARTA는 2011 회계 연도에 6,934만 달러 부족을 예상했다.[55]

2007년 MARTA는 애틀랜타시, 디칼브 카운티 및 풀턴 카운티에 판매세 연장을 요청했다.[56] 이는 MARTA가 시스템의 미래 확장을 위한 채권 형태로 장기 자금을 확보하는 데 필요하다고 밝혔다.[56] 2007년 3월 애틀랜타시와 4월 디칼브 카운티 위원회는 판매세 연장을 승인했다.[56][59]

MARTA는 조지아주로부터 운영 자금을 한 번도 지원받지 못해 미국에서 가장 큰 대중교통 기관이자 앵글로아메리카에서 두 번째로 큰 교통 기관이 되었다. MARTA에 대한 자금 지원 제한은 2015년 조지아주 의회에서 하원 법안 213이 통과되면서 해제되었다.

2009년 4월, 2000년대 후반 불황 기간 동안 판매세 수입 급감을 보전하기 위해 MARTA가 자체 자본 준비금 예금 계좌에 접근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법안이 조지아주 의회에서 통과되지 못하면서 예산 위기를 겪었다.

7. 거버넌스

MARTA는 공동 권한 기구이며, 이사회의 지배를 받는다. 이사회는 애틀랜타 시(3명), 풀턴(3명), 클레이턴(2명), 디칼브(4명) 등 조지아주 카운티에서 임명된 대표들로 구성된다. 조지아 교통부와 조지아 지역 교통 당국에서 각 1명씩 비투표 위원으로 참여한다.[63]

MARTA 이사회의 직책은 해당 기관에서 직접 임명한다. 조지아주는 MARTA 운영 자금에 기여하지 않지만, 이사회에 투표권을 가진 위원을 두고 있다. MARTA 역사의 대부분 동안 클레이턴과 기네트 카운티는 승인 국민투표는 통과했지만 자금 조달 국민투표는 통과하지 못해 비슷한 상황이었다. 기네트 카운티는 시스템에 비용을 지불하지 않고도 MARTA 이사회에 대표를 둘 수 있었다.

2004년, 기네트 대표 마이클 워커가 MARTA와의 1억 달러 계약을 확보하려는 로비스트로부터 2만 달러를 받은 사실이 드러나면서 논란이 일었다. 이러한 논란과 워커가 MARTA 윤리 정책을 위반했다는 이사회의 결정에도 불구하고, 기네트 카운티 위원회는 처음에 워커를 이사회에서 해임하지 않았다. 결국 주 의회는 MARTA 이사회를 규율하는 법을 변경하여, 임명 카운티가 해임 요청에 응하지 않은 위원의 해임을 허용하도록 했다. 새 법이 시행되기 전, 워커는 관련 없는 양육비 위반 혐의로 체포되어 기네트 카운티 위원회에서 해고되었다.

MARTA의 최고 직위는 총괄 관리자 겸 최고 경영자이다. 역대 총괄 관리자 및 CEO 목록은 다음과 같다.

취임일이름비고
리차드 맥크릴리스2006년 ~ 2007년 10월 (MARTA에서 22년 근무 후 퇴직)[64]
2007년 10월베벌리 A. 스콧 박사새크라멘토 지역 교통국 GM/CEO 역임, 교통 산업 30년 이상 경력, 2012년 12월 9일 퇴임
2012년 12월 9일키스 파커2017년 10월 11일까지 재임
2017년제프리 A. 파커2022년 사망 시까지 재임[65][66]
2022년 1월 15일콜리 그린우드임시 CEO, 이전 MARTA 운영 부총괄 관리자[67]



조지아주 의회는 MARTA의 재정적 규제 감독을 담당하는 상임 위원회를 두고 있다. 조지아주 제150차 의회 당시, MARTOC 의장이었던 질 챔버스 대표[68]는 MARTA를 GRTA에 포함시키고, MARTA가 지출을 자본과 운영 비용으로 50/50 분배해야 하는 요구 사항을 영구적으로 제거하는 법안을 발의했다. 이를 통해 MARTA는 주 의회에 임시 면제(일반적으로 55/45 분배)를 요청하지 않고도 경기 침체로 인한 판매세 수입 감소 시 서비스 삭감을 피할 수 있었다. 이 법안은 통과되지 않았지만, 자금 조달 제한은 2015년에 제거되었다.

8. 성과 및 안전

2005 회계 연도 동안 MARTA는 고객 만족도 79%를 기록했다. 정시 운행 철도 서비스는 91.64%였다. 철도 서비스 중단 사이의 평균 거리는 약 15277.46km였으며, 버스 고장 사이의 평균 거리는 약 5312.43km였다.[69]

2000년 4월 레녹스 역에서 발생한 MARTA 사고


MARTA는 미국 교통 안전 위원회의 공식 조사를 받은 두 건의 치명적인 사고가 있었다. 2000년 2월 25일, 에본데일 역 근처에서 열차가 릴레이 상자를 검사하던 두 명의 자동 열차 제어 기술자를 덮쳐 한 명은 사망하고 다른 한 명은 심각한 부상을 입었다.[70] 2000년 4월 10일에는 레녹스 역에서 열차가 두 명의 계약 작업자가 탑승한 버킷 리프트를 덮쳐 작업자들이 사망했다.[71] 2001년에 MARTA는 사망한 두 작업자의 가족과 1,050만 달러(USD)(1050만달러)로 합의했다.[72]

MARTA 열차는 최근 몇 년 동안 다섯 번 탈선했다. 2019년 1월 공항역과 컬리지 파크 역 사이에서 탈선 사고가 발생했다. 2006년 12월 4일 메디컬 센터 역 탈선사고는 부상자가 없었다.[73] 1996년 7월 1996년 하계 올림픽 중, 기계적 문제가 발생한 열차가 인디안 크릭 역에서 분리된 후 철로를 벗어났다.[74][75] 1996년 6월, 북부 노선과 북동부 노선 분기점에서 약 150명이 탑승한 열차가 경미하게 탈선했다.[76] 이 탈선으로 열차와 트랙에 125,000달러(12.5만달러)의 손해가 발생했으며 16명이 부상당했다.[77] 1994년 8월 캔들러 파크 역과 인만 파크/레이놀드스타운 역 사이에서 약 20명이 탑승한 열차가 경미하게 탈선했으나, 부상자는 없었다.[76]

2007년 12월 31일, MARTA는 에스컬레이터 사고로 11명 이상이 부상당했다. 파이브 포인트 역에서 두 대, 돔/GWCC/필립스 아레나/CNN 센터 역에서 한 대의 에스컬레이터가 고장 났다. MARTA는 처음에는 고객 탓으로 돌렸으나,[78] 조사 결과 제동 시스템과 약한 모터가 원인으로 밝혀졌다.[79] 2008년 9월, 피치트리 센터 역에서 에스컬레이터 사고로 부상당한 여성에게 525,000달러(52.5만달러)를 배상하라는 판결이 내려졌다.[80]

MARTA는 열차 내 및 역 주변 범죄 행위에 대한 우려가 있었다. 1985년 폭행 사건 이후, 범죄 통계 축소 보고 불만이 제기되었다.[90] 1986년 감사 결과, 고의적인 축소는 없었지만, MARTA가 관련 없는 범죄를 포함하고 통일 범죄 보고서 시스템을 준수하지 않아 범죄가 과다 보고된 것으로 나타났다.[90]

연방 교통 관리청 기록에 따르면, MARTA의 범죄 통계는 베이 지역 급행 수송과 유사한 수준이다.[91] MARTA는 자체 경찰 부서를 가지고 있다.[91] 2005년부터 2009년까지 2건의 살인과 1건의 강간이 보고되었다. 가장 흔한 범죄는 절도였다. 2009년 MARTA는 100만 명당 3.09건, 총 483건의 범죄율을 기록했다.[92]

2011년 10월 15일, 바인 시티 철도역에서 MARTA 경찰관이 19세 조에타비우스 스태포드를 사살했다. 수사 결과 스태포드가 무장한 것으로 밝혀져 경찰관은 무혐의 처리되었다.

2018년 6월, 버크헤드 역과 노스 스프링스 역 사이에서 작업하던 MARTA 계약업자가 열차에 치여 사망했다.

2022년 1월 14일, MARTA CEO 제프리 파커가 이스트 레이크 역에서 움직이는 열차에 뛰어들어 자살했다.

9. 비판 및 논란

MARTA에 대한 비판은 다양한 집단에서 제기되어 왔다. MARTA 반대론자들은 MARTA의 비효율성과 낭비적인 지출에 대해 비판하고, 지지자들은 주 및 지역 차원의 지원 부족에 대해 비판한다. 최근에는 서비스 신뢰성, MARTA의 지배 구조와 관련하여 추가적인 우려가 제기되었다.

MARTA 열차 내 및 역 주변에서 발생하는 범죄 행위에 대한 지속적인 우려가 제기되어 왔다. 1985년 조지아 주립 대학교 교수의 딸이 가중 폭행을 당한 사건 이후, MARTA가 연간 범죄 통계를 축소 보고한다는 불만이 제기되었다. 1986년 조사 결과, 의도적인 범죄 축소 보고는 없었지만, MARTA가 철도 노선과 관련 없는 범죄를 포함하고 통일 범죄 보고 시스템을 준수하지 않아 범죄가 과다 보고된 것으로 나타났다.[90]

연방 교통 관리청 기록에 따르면, MARTA의 범죄 통계는 샌프란시스코 베이 지역의 베이 지역 급행 수송과 같은 유사한 규모의 시스템과 비슷한 수준이다.[91] 2005년부터 2009년까지, MARTA 구역에서 2건의 살인 사건과 1건의 강간 사건이 보고되었다. 가장 흔하게 보고된 범죄는 절도였다. 2009년, MARTA는 100만 명당 3.09건의 범죄율을 기록했다.[92]

교외 지역 카운티는 MARTA 확장이 범죄 증가로 이어질 것이라는 점, 확장 비용, 현재 MARTA 교통 시스템 외부에 있는 지역에 대한 필요성 부족을 이유로 MARTA 확장에 반대해 왔다. MARTA의 서비스 지역에 애틀랜타에서 경제적으로 가장 낙후되고 범죄율이 높은 일부 지역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MARTA 확장이 범죄를 교외 지역으로 확산시킬 것이라고 주장된다. 당시 MARTA CEO인 스콧 박사는 이러한 가정을 인정하고, 교통 시스템이 범죄를 유발하지 않는다는 연구 결과를 인용했다. 다른 반론은 종종 교외 워싱턴 D.C. 정류장에서 제한적인 문제만 발생하면서 경제적으로 낙후된 지역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워싱턴 메트로의 사례를 인용한다.[93]

2000년 4월 10일, 레녹스 역 천장을 수리하던 두 명의 MARTA 계약직 직원이 열차에 치여 사망했다. 2011년 10월 15일, 바인 시티 철도역에서 19세의 조에타비우스 스태포드가 MARTA 경찰관에 의해 사망했다. MARTA는 스태포드가 무장했다고 주장했지만, 그의 형제는 비무장 상태였다고 말했다. 수사 결과, 스태포드가 무장했다는 증거가 있었고 경찰관은 무혐의 처리되었다. 2018년 6월, MARTA 계약업자가 버크헤드 역과 노스 스프링스 역 사이 선로에서 작업하던 중 열차에 치여 사망했다. 2022년 1월 14일, MARTA CEO 제프리 파커가 이스트 레이크 역에서 움직이는 열차에 뛰어들어 자살했다.

9. 1. 지역 재정 지원 부족

MARTA는 원래 디칼브, 풀턴, 클레이턴, 귀넷, 코브 카운티를 위한 급행 교통 기관으로 제안되었다. 이들은 애틀랜타 도시권의 초기 5개 카운티였으며, 오늘날까지도 이 지역과 주의 5개 최대 카운티이다. MARTA는 1965년 조지아 주 의회의 법률에 의해 설립되었다. 같은 해, 5개의 도시권 카운티(클레이턴, 디칼브, 풀턴, 귀넷) 중 4개와 애틀랜타 시가 시스템 참여를 승인하는 주민투표를 통과시켰지만, 코브에서는 투표가 부결되었다.[1]

1968년 MARTA 자금 지원을 위한 주민투표는 부결되었지만, 1971년 풀턴 및 디칼브 카운티 유권자들은 MARTA 운영 비용 지불을 위해 1%의 판매세 인상을 승인하였고, 클레이턴 및 귀넷 카운티는 주민투표에서 압도적으로 세금 인상을 거부했다.[1] 귀넷 카운티는 MARTA 시스템 외부에 남아있다. 그러나 2014년 11월, 클레이턴 카운티 유권자들은 MARTA 시스템에 합류하기 위해 1%의 판매세를 통과시켜 1971년 결정을 뒤집었다.[2]

MARTA 예산은 운임 수입 외에 풀턴, 클레이턴, 디칼브 카운티의 1% 판매세와 제한적인 연방 자금으로 충당된다. 2017년, 애틀랜타시는 MARTA의 개선 및 확장을 위해 판매세를 1.5%로 인상했다. 법에 따라, 1% 판매세에서 나오는 자금은 MARTA의 운영 예산과 자본 지출 예산으로 균등하게 분배되어야 한다. 이 제한은 승객 수입을 포함한 다른 수입원에는 적용되지 않는다.[53]

MARTA가 설립된 이후 조지아 주 정부는 MARTA 운영 자금에 한 번도 기여한 적이 없다. 현재 MARTA는 주 정부의 자금을 지원받지 못하는 미국 최대의 대중교통 시스템이다.[61] 조지아 주 자동차 연료세 수입은 현재 도로와 교량에만 사용하도록 제한되어 있으며 대중교통에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MARTA에 대한 잠재적인 주 정부 자금 지원의 어려움을 더욱 가중시키고 있다.[2] 또한, 귀넷과 콥 카운티는 MARTA에 가입하거나 자금을 지원하는 것을 거부했다.

9. 2. 인종 문제

MARTA는 미국에서 주 정부의 자금 지원을 받지 못하는 가장 큰 대중교통 시스템이다.[61] 조지아 주 자동차 연료세 수입은 도로와 교량에만 사용 가능하며 대중교통에는 사용할 수 없어, MARTA에 대한 주 정부 자금 지원은 더욱 어렵다.[2] 귀넷과 콥 카운티는 MARTA 가입 및 자금 지원을 거부했다. 귀넷과 클레이턴 카운티는 처음에 MARTA에 가입했지만, 주민 투표 결과에 따라 철도 및 버스 서비스를 제공받지 못했다. 클레이턴 카운티는 2014년 11월에 MARTA에 합류했다.

MARTA의 운영과 미래 서비스 계획에는 인종 문제가 작용한다는 주장이 제기된다. 조지아 교통 정책 반대 측은 인종 기반의 이원적 시스템이 존재한다고 주장한다. 주로 백인 교외 및 농촌 지역 주민의 자동차 통근을 위해 주 정부가 고속도로 확장에 수십억 달러를 사용하는 반면, MARTA 서비스 삭감은 주로 저소득층 흑인 이용자에게 피해를 준다는 것이다.[61] 찬성론자들은 고속도로 자금 일부가 가솔린세에서 나온다고 반박한다. MARTA 지지자들은 애틀랜타 광역권 카운티들의 참여 부족이 인종차별과 계급차별에 뿌리박고 있다고 주장한다.[61][84][85][86] 1987년 데이비드 체스넛 당시 MARTA 회장은 "애틀랜타 지역 광역 대중교통 시스템 개발이 인종 문제로 억류되고 있으며, 이제는 이를 인정하고 이야기해야 한다"고 말했다.[87] MARTA는 타이틀 VI 계획에 따라 2015년 MARTA 이용객의 75%가 흑인이라고 밝혔다.[88] 백인 이용객 비율은 특히 러시 아워 시간 외에 낮다.[84][89]

9. 3. 서비스 신뢰성

MARTA는 2005 회계 연도에 고객 만족도 79%를 기록했으며, 정시 운행률은 91.64%였다. 철도 서비스 중단 사이의 평균 거리는 약 15277.46km였고, 버스 고장 사이의 평균 거리는 약 5312.43km였다.[69]

MARTA는 미국 교통 안전 위원회의 공식 조사를 받은 두 건의 치명적인 사고를 겪었다.

  • 2000년 2월 25일, 에본데일 역 근처에서 열차가 릴레이 상자를 검사하던 두 명의 자동 열차 제어 기술자를 덮쳐 한 명이 사망하고 다른 한 명은 중상을 입었다.[70]
  • 2000년 4월 10일, 레녹스 역에서 두 명의 계약직 직원이 탑승한 버킷 리프트를 열차가 덮쳐 두 직원 모두 사망했다.[71]
  • 2001년, MARTA는 사망한 두 직원의 가족과 1050만달러에 합의했다.[72]


MARTA 열차는 최근 몇 년 동안 다섯 번 탈선했다.

  • 2019년 1월, 공항역과 컬리지 파크 역 사이에서 탈선 사고가 발생했다.
  • 2006년 12월 4일, 메디컬 센터 역에서 탈선 사고가 발생했으나 부상자는 없었다.[73]
  • 1996년 하계 올림픽 기간 중인 1996년 7월, 인디안 크릭 역에서 열차가 철로를 이탈했으나, 운전자는 경미한 부상을 입었다.[74][75]
  • 1996년 6월과 1994년 8월에도 경미한 탈선 사고가 있었다.[76]


2007년 12월 31일, 치킨 필레 A 볼로 향하는 많은 인파로 인해 파이브 포인트 역과 돔/GWCC/필립스 아레나/CNN 센터 역에서 에스컬레이터 사고가 발생하여 11명 이상이 부상을 입었다. 조사 결과, 제동 시스템과 약한 모터가 사고 원인으로 밝혀졌다.[79] 2008년 9월, 풀턴 카운티 배심원단은 피치트리 센터 역에서 에스컬레이터 사고로 부상당한 여성에게 525000USD를 배상하라고 판결했다.[80]

MARTA는 비효율성과 낭비적인 지출에 대한 비판을 받아왔다. 또한, 주 및 지역 차원의 지원 부족에 대한 비판도 있다. 최근에는 서비스 신뢰성과 MARTA의 지배 구조에 대한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MARTA의 역사 전반에 걸쳐 MARTA 열차 내 및 역 주변에서 발생하는 범죄 행위에 대한 우려가 있었다. 1985년 조지아 주립 대학교 교수 딸의 가중 폭행 사건 이후, MARTA가 범죄 통계를 축소 보고한다는 불만이 제기되었다. 1986년 감사 결과, 의도적인 범죄 축소 보고는 없었지만, MARTA가 철도 노선과 관련 없는 범죄를 포함하고 통일 범죄 보고 시스템을 준수하지 않아 범죄가 과다 보고된 것으로 나타났다.[90]

연방 교통 관리청 기록에 따르면, MARTA의 범죄 통계는 샌프란시스코 베이 지역의 베이 지역 급행 수송과 같은 유사한 규모의 시스템과 비슷한 수준이다.[91] 2005년부터 2009년까지, MARTA 구역에서 2건의 살인 사건과 1건의 강간 사건이 보고되었다. 가장 흔한 범죄는 절도였다. 2009년, MARTA는 100만 명당 3.09건의 범죄율을 기록했다.[92]

교외 지역 카운티는 MARTA 확장이 범죄 증가로 이어질 것이라는 점, 확장 비용, 현재 MARTA 교통 시스템 외부에 있는 지역에 대한 필요성 부족을 이유로 MARTA 확장에 반대해 왔다.

MARTA의 철도 노선은 두 개의 평행한 선로를 가지고 있으며, 열차 고장이나 선로 작업 시에는 단선 운행을 한다.[94] MARTA는 현재 모든 철도 노선의 선로를 교체하는 작업을 거의 완료했다.[95]

2006년 여름, 높은 기온으로 인해 많은 MARTA 열차 객차가 과열되어 추진 장비가 손상되었다. 이로 인해 열차 길이가 6량에서 4량으로 줄어들어 혼잡한 상황이 발생했다.[96]

9. 4. 직원의 개인 경비 유용

2006년 MARTA의 내부 및 외부 감사 결과, 전 총괄 관리자 겸 CEO였던 나다니엘 포드와 그의 비서 2명이 사용한 MARTA 법인 신용 카드에서 개인적인 지출이 발견되었다.[97] 포드의 지출에는 골프 프로샵에서 454USD, 멘스 웨어하우스에서 의류 구매 335USD, 치과 진료비 58USD가 포함되었다.[97] 2006년 감사의 결과에 따라, 포드는 해당 지출에 대한 변제금으로 MARTA에 1000USD를 송금했다.[97] 또한, 그의 비서 두 명인 아이리스 앤서니와 스테파니 스마트와 관련된 지출이 있는 또 다른 신용 카드도 발견되었다. 스마트는 개인적인 지출로 약 6000USD를 카드로 결제했으며, 이후 MARTA에 이 금액을 상환하기로 합의했다.[97]

참조

[1] 웹사이트 Assessing Electoral Defeat: New Directions and Values for MARTA https://www.barthild[...] Urban Mass Transportation Administration 2023-10-19
[2] 서적 Sprawl City: Race, Politics, and Planning in Atlanta https://archive.org/[...] Island Press
[3] 웹사이트 History of MARTA - 1970-1979 http://itsmarta.com/[...] Metropolitan Atlanta Rapid Transit Authority 2008-03-02
[4] 웹사이트 MARTA Provisions for Future Extensions http://world.nycsubw[...] world.nysubway.org 2008-02-24
[5] 웹사이트 Phoenix Project home page https://martaphoenix[...]
[6] 웹사이트 MARTA Provisions http://world.nycsubw[...] 2008-02-16
[7] 웹사이트 West Line Corridor Details http://www.itsmarta.[...] Metropolitan Atlanta Rapid Transit Authority 2008-02-24
[8] 웹사이트 I-20 East Corridor Details http://www.itsmarta.[...] Metropolitan Atlanta Rapid Transit Authority 2008-02-24
[9] 웹사이트 Memorial Drive Arterial Bus Rapid Transit http://www.itsmarta.[...] Metropolitan Atlanta Rapid Transit Authority 2008-02-24
[10] 웹사이트 Beltline Corridor Details http://www.itsmarta.[...] Metropolitan Atlanta Rapid Transit Authority 2008-02-24
[11] 웹사이트 MARTA Clifton Corridor http://www.itsmarta.[...] 2012-01-24
[12] 웹사이트 Light Rail Transit Recommended for the Clifton Corridor - Annals of Transportation - Curbed Atlanta http://atlanta.curbe[...] 2012-06-23
[13]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www.itsmarta.[...] 2015-11-24
[14] 웹사이트 September 26, 2013 Presentation http://www.itsmarta.[...] MARTA 2013-10-28
[15] 웹사이트 Connect 400 Newsletter #3: September 2013 http://www.itsmarta.[...] MARTA 2013-10-28
[16]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www.itsmarta.[...] 2015-07-22
[17] 웹사이트 "Connect 400" Transit Initiative Moves Forward http://www.peachpund[...] 2015-06-29
[18] 웹사이트 Clayton approves MARTA contract for November ballot https://creativeloaf[...] Creative Loafing Atlanta 2014-07-05
[19]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www.itsmarta.[...] 2014-11-12
[20] 뉴스 Commuter rail is MARTA's choice for Clayton County https://www.bizjourn[...] 2018-07-13
[21] 웹사이트 How Racial Discrimination Shaped Atlanta's Transportation Mess https://usa.streetsb[...] 2020-12-05
[22] 웹사이트 Connect Gwinnett: Transit Plan {{!}} Gwinnett County https://www.gwinnett[...] 2020-12-05
[23] 뉴스 MARTA board approves historic Gwinnett contract https://www.ajc.com/[...] 2018-09-12
[24] 웹사이트 Gwinnett back at square one after MARTA rejected in key vote https://www.gwinnett[...] 2019-03-26
[25] 웹사이트 Gwinnett has — once again — rejected a transit tax in narrow defeat of referendum https://www.gwinnett[...] 2022-09-28
[26] 웹사이트 Bikes on MARTA http://www.itsmarta.[...]
[27] 문서 Information collected from Parking Division at (404)209-2945, Parking Operations at (404)530-67254, and Airport Police at (404)530-6800.
[28] 웹사이트 Comprehensive Annual Financial Report http://www.itsmarta.[...] Metropolitan Atlanta Rapid Transit Authority 2008-02-24
[29] 웹사이트 MARTA - Getting There - Rail Schedules and Map http://www.itsmarta.[...] Metropolitan Atlanta Rapid Transit Authority 2008-02-24
[30] 뉴스 MARTA officially assumes operations of Atlanta Streetcar https://www.11alive.[...] 2018-07-01
[31] 웹사이트 MARTA officially takes over Atlanta Streetcar operations https://atlanta.curb[...] 2018-07-02
[32] 웹사이트 Fact Sheet http://streetcar.atl[...] Atlanta Streetcar 2013-07-01
[33] 뉴스 Atlanta meets New Year deadline: Streetcars return to the streets of Georgia after a 65-year break LRTA Publishing 2015-02
[34] 웹사이트 Siemens to build Atlanta streetcars http://www.bizjourna[...] 2016-08-02
[35] 웹사이트 Siemens is supplying Atlanta with the American type S70 LRT vehicles http://www.siemens.c[...] Siemens 2016-08-02
[36] 뉴스 Worldwide Review (regular news section) LRTA Publishing 2014-04
[37] 웹사이트 Comprehensive Annual Financial Report https://web.archive.[...] Metropolitan Atlanta Rapid Transit Authority 2008-02-24
[38] 간행물 MARTA's Bus Route 12 will provide extended service to the Cumberland Mall area https://web.archive.[...] Metropolitan Atlanta Rapid Transit Authority 2008-02-24
[39] 웹사이트 Route 12 - Howell Mill http://www.itsmarta.[...] Metropolitan Atlanta Rapid Transit Authority 2008-02-24
[40] 웹사이트 Parking Information http://www.itsmarta.[...] Metropolitan Atlanta Rapid Transit Authority 2008-02-24
[41] 웹사이트 Fiscal Year 2006 Annual Report https://web.archive.[...] Metropolitan Atlanta Rapid Transit Authority 2008-02-24
[42] 웹사이트 Georgia Governor's Council on Developmental Disabilities Five Year Strategic Plan https://web.archive.[...] Georgia Governor's Council on Developmental Disabilities 2008-02-24
[43] 웹사이트 Part 37—Transportation Services for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https://web.archive.[...] Federal Transit Administration 2005-10-01
[44] 웹사이트 Martin v Metropolitan Atlanta Rapid Transit Administration http://www.gand.usco[...] 2008-02-24
[45] 웹사이트 4 new MARTA rail stations coming to Atlanta, mayor announces https://www.atlantan[...] Atlanta News First 2024-03-26
[46] 웹사이트 Locations revealed for new 4 Atlanta MARTA stations https://www.atlantan[...] Atlanta News First 2024-04-11
[47] 웹사이트 MARTA https://www.itsmarta[...] 2020-04-08
[48] 뉴스 MARTA Plugs Gap in New Station Gates 2006-02-22
[49] 웹사이트 Frequently Asked Questions https://web.archive.[...] Metropolitan Atlanta Rapid Transit Authority 2008-02-25
[50] 뉴스 MARTA Breeze Cards Will Double In Price Starting January http://wabe.org/post[...] 2015-08-19
[51] 웹사이트 Hours of Operation http://www.itsmarta.[...] Metropolitan Atlanta Rapid Transit Authority 2008-02-25
[52] 웹사이트 Minutes of the Board of Directors Customer Development Committee https://web.archive.[...] Metropolitan Atlanta Rapid Transit Authority 2006-03-20
[53] 웹사이트 FY06 MARTOC Report https://web.archive.[...] Metropolitan Atlanta Rapid Transit Authority 2006-08-15
[54] 웹사이트 History of MARTA - 2000-Present http://itsmarta.com/[...] Metropolitan Atlanta Rapid Transit Authority 2008-02-24
[55] 뉴스 MARTA flushes in new era with 12 self-cleaning toilets 2006-07-19
[56] 뉴스 Atlanta votes to extend sales tax for MARTA 2007-03-29
[57] 뉴스 Atlanta extends MARTA sales tax to 2047: Agency seeks extension approval from governments 2007-03-28
[58] 뉴스 Atlanta council plans special meeting for vote on MARTA tax 2007-03-26
[59] 뉴스 MARTA wins tax extension: Next stop could be new bus, rail lines 2007-04-25
[60] 뉴스 Northside may balk on MARTA tax 2007-04-04
[61] 뉴스 Waiting for a ride: The racial reality behind MARTA's downward spiral http://atlanta.creat[...] 2008-02-24
[62] 웹사이트 HB173 http://www.legis.ga.[...] Georgia General Assembly 2015-05-28
[63] 웹사이트 Meet The Board http://www.itsmarta.[...] Metropolitan Atlanta Rapid Transit Authority 2008-02-25
[64] 웹사이트 MARTA Monthly MARTA Thanks General Manager Richard McCrillis for 22 Years of Dedicated Service and Leadership https://web.archive.[...] Metropolitan Atlanta Rapid Transit Authority 2008-01-15
[65] 웹사이트 Dr. Scott's Biography http://www.itsmarta.[...] Metropolitan Atlanta Rapid Transit Authority 2008-01-15
[66] 웹사이트 Update: MARTA CEO Jeff Parker hit by train at East Lake station https://saportarepor[...] 2022-01-15
[67] 뉴스 MARTA CEO Jeffrey Parker, 56, has died https://www.ajc.com/[...] 2022-01-17
[68] 웹사이트 MARTOC https://web.archive.[...] Georgia General Assembly 2008-03-02
[69] 웹사이트 Fiscal Year 2005 Annual Report http://www.itsmarta.[...] Metropolitan Atlanta Rapid Transit Authority 2005-06-30
[70] 웹사이트 Metropolitan Atlanta Rapid Transit Authority (MARTA) train 103 striking technicians fouling the track Near MARTA Avondale Station in Decatur, Georgia February 25, 2000 https://www.ntsb.gov[...] National Transportation Safety Board 2003-08-08
[71] 웹사이트 Metropolitan Atlanta Rapid Transit Authority (MARTA) Unscheduled train 166 striking bucket of self-propelled lift containing two contract workers MARTA Lenox rail transit station in Atlanta, Georgia April 10, 2000, about 2:30 am https://www.ntsb.gov[...] National Transportation Safety Board 2008-02-24
[72] 뉴스 MARTA pays $10.5 million in workers' deaths 2001-12-05
[73] 뉴스 MARTA back on track after derailment 2006-12-04
[74] 뉴스 MARTA driver injured when two cars derail 1996-07-25
[75] 뉴스 ATLANTA DAY 7;Atlanta Train Misses Station https://query.nytime[...] 2008-02-09
[76] 뉴스 MARTA officials say accident a 'fluke' 1996-06-02
[77] 뉴스 Derailment probe cites bad decisions; Three MARTA employees were suspended and two managers face disciplinary action as a final report confirms MARTA's explanation that 'human error' was to blame 1996-06-18
[78] 뉴스 MARTA escalator accident blamed on rowdies 2007-12-31
[79] 뉴스 MARTA blames brakes and weak motor for escalator accidents 2008-01-11
[80] 웹사이트 MARTA escalator failures were mechanical http://www.ajc.com/s[...] 2008-09-16
[81] 웹사이트 Cobb Community Transit (CCT) History http://dot.cobbcount[...] Cobb County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2008-02-29
[82] 웹사이트 About Xpress http://www.xpressga.[...] Georgia Regional Transportation Authority 2008-02-29
[83] 웹사이트 Task 1.2 Existing Transit Service Inventory http://www.grta.org/[...] Manuel Padron & Associates, Inc. and URS, Inc. 2008-02-29
[84] 서적 Highway robbery: transportation racism & new routes to equity https://archive.org/[...] South End Press
[85] 뉴스 Atlanta weighing transit expansion https://query.nytime[...] 2008-02-24
[86] 간행물 Where It All Went Wrong https://www.atlantam[...] 2024-10-29
[87] 뉴스 Racial roadblock seen in Atlanta transit system https://query.nytime[...] 2008-02-27
[88] 웹사이트 Metropolitan Atlanta Rapid Transit Authority Title VI Program Update June 2016 - 2019 https://www.itsmarta[...] 2019-03-26
[89] 뉴스 MARTA calls on marketers for image aid; Can soft drinks fill empty seats? 2001-02-11
[90] 뉴스 MARTA over-reporting its crimes, legislative audit finds 1986-05-30
[91] 뉴스 MARTA: HOW SAFE? Transit system officials defend security, cite low crime totals, despite a few high-profile incidents 2007-02-09
[92] 웹사이트 MARTA Police: Crime Stats http://www.itsmarta.[...] Metropolitan Atlanta Rapid Transit Authority 2010-05-25
[93] 뉴스 Overcoming a Taboo, Buses Will Now Serve Suburban Atlanta https://query.nytime[...] 2008-02-24
[94] 웹사이트 We're Building a Better Way http://www.itsmarta.[...] Metropolitan Atlanta Rapid Transit Authority 2008-02-25
[95] 웹사이트 MARTA Track Renovation Information http://www.itsmarta.[...] Metropolitan Atlanta Rapid Transit Authority 2008-02-25
[96] 뉴스 MARTA riders crowd heat-diminished fleet 2006-09-12
[97] 뉴스 Ex-MARTA CEO abused credit cards http://atlanta.bizjo[...] 2006-10-27
[98] 간행물 RAILROAD ACCIDENT BRIEF: METROPOLITAN ATLANTA RAPID TRANSIT AUTHORITY (MARTA) UNSCHEDULED TRAIN 166 STRIKING BUCKET OF SELF-PROPELLED LIFT CONTAINING TWO CONTRACT WORKERS AT MARTA LENOX RAIL TRANSIT STATION IN ATLANTA, GEORGIA, APRIL 10, 2000 https://trid.trb.org[...] 2022-02-23
[99] 뉴스 MARTA: Dead teen was armed http://www.ajc.com/n[...] The Atlanta Journal-Constitution 2011-10-26
[100] 뉴스 Forensic evidence little help in investigation of MARTA shooting http://www.ajc.com/n[...] The Atlanta Journal-Constitution 2011-10-26
[101] 뉴스 MARTA contractor struck by train Sunday night has died https://www.11alive.[...] 11-Alive 2020-03-12
[102] 웹사이트 MARTA CEO Jeffrey Parker Dies by Suicide: 'He Will Be Greatly Missed' https://people.com/h[...] 2022-09-05
[103] 웹사이트 Research and Technical Resources http://www.apta.com/[...] 2021-02-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