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ter Girl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Poster Girl》은 자라 라르손의 두 번째 정규 앨범으로, 2021년 3월 5일에 발매되었다. 앨범은 2018년에 발매된 싱글 "Ruin My Life"를 포함하여 "Love Me Land", "Talk About Love" 등의 싱글을 통해 홍보되었다. 앨범은 댄스 팝, 스칸디팝, R&B 스타일을 특징으로 하며, 사랑의 다양한 측면을 탐구하는 가사를 담고 있다. 평론가들로부터 대체로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으며, 스웨덴에서 3위, 영국에서 12위를 기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자라 라르손의 음반 - Introducing (자라 라르손의 EP)
자라 라르손의 데뷔 EP인 Introducing은 2013년에 발매되었으며, "Uncover"를 포함한 5곡으로 구성되어 있고, 특히 "Uncover"는 스웨덴 차트 1위를 기록하며 큰 성공을 거두었다. - 자라 라르손의 음반 - 1 (자라 라르손의 음반)
자라 라르손의 데뷔 음반인 1은 2014년 발매되어 스웨덴에서 플래티넘 인증을 받고 덴마크와 노르웨이 차트에도 진입하며 성공을 거두었지만, 평론가들의 반응은 엇갈렸다. - 2021년 음반 - Happier Than Ever
빌리 아일리시의 두 번째 정규 음반인 Happier Than Ever는 2019년 데뷔 앨범 성공 이후 2021년 발매되어, 다양한 장르를 통해 연예 산업의 어려움, 명성, 정서적 학대 등 자기 인식적인 가사를 담고 로스앤젤레스 자택 지하실 스튜디오에서 녹음되었다. - 2021년 음반 - Planet Her
도자 캣의 세 번째 정규 앨범 《Planet Her》는 팝, 힙합, 컨템포러리 R&B 등 다양한 장르를 융합하여 "우주의 중심"이라는 컨셉을 시각적으로 구현하고 평론가들의 긍정적인 평가와 상업적 성공을 거두며 도자 캣의 대표작으로 자리매김했다. - 에픽 레코드 음반 - Supreme Clientele
고스트페이스 킬라의 데뷔 음반인 《Supreme Clientele》는 RZA의 주도 하에 녹음 중단과 스튜디오 피해를 극복하고 아프리카 문화에서 영감을 받은 가사와 독특한 사운드로 비평가들의 호평을 받았으며, 롤링 스톤지의 "역대 최고 앨범 500장" 목록에 선정되기도 했지만, 피프티 센트 조롱과 작사권 논란도 있었다. - 에픽 레코드 음반 - Celine Dion
셀린 디온의 1992년 앨범 "Celine Dion"은 "미녀와 야수"의 성공과 유명 작곡가들의 참여, 그리고 그래미상과 주노상 수상으로 평론과 상업적 성공을 거두며 셀린 디온을 북미 슈퍼스타로 만들었다.
Poster Girl - [음악]에 관한 문서 | |
---|---|
앨범 정보 | |
![]() | |
앨범 종류 | 정규 |
아티스트 | 자라 라르손 |
발매일 | 2021년 3월 5일 |
녹음 기간 | 2018년–2020년 |
장르 | 스칸디팝 팝 음악 댄스 음악 |
길이 | 37분 41초 |
레이블 | TEN 뮤직 그룹 에픽 레코드 |
프로듀서 | 제이슨 길 마이크 사바스 매트맨 & 로빈 마시멜로 더 룸메이츠 스타스미스 스티브 맥 더 몬스터즈 & 스트레인저즈 잭슨 푸트 더 스트럿츠 이안 커크패트릭 미스터 프랭크스 토미 브라운 |
이전 앨범 | So Good |
이전 앨범 발매년도 | 2017년 |
다음 앨범 | Honor the Light |
다음 앨범 발매년도 | 2023년 |
![]() | |
싱글 | |
싱글 1 | Ruin My Life |
싱글 1 발매일 | 2018년 10월 18일 |
싱글 2 | Love Me Land |
싱글 2 발매일 | 2020년 7월 10일 |
싱글 3 | Wow |
싱글 3 발매일 | 2020년 8월 26일 |
싱글 4 | Talk About Love |
싱글 4 발매일 | 2021년 1월 8일 |
2. 역사
2018년 10월 18일, 리드 싱글 "Ruin My Life"가 발매되어[21] 여러 국가의 차트에 진입했으며, 이스라엘, 영국, 아일랜드, 스웨덴에서 10위권 안에 들었고 최고 2위를 기록했다. 2018년과 2020년 사이에는 "Don't Worry Bout Me"[22], "All the Time"[23] 등의 싱글이 발매되었고, 두 곡은 일본판 보너스 트랙으로 수록되었다.[24]
이 음반은 발라드가 없고 "빠르고 웅장한, 처음부터 끝까지 댄스 레코드"이며 "'80년대 신디사이저와 R&B의 영향을 받은 프로덕션"이라는 설명이 있었다.[4] 가사는 "팝 음악의 본질인 사랑의 가장 좋은 점과 가장 나쁜 점을 탐구"한다.[4] 또한 스칸디팝[39]과 팝 음악[10]에 뿌리를 두고 있으며, "이별 앨범이자 새로운 로맨스를 축하하는 앨범"이라고 묘사되었으며,[5] "짝사랑과 낭만적인 유독성의 섬뜩한 순간의 주제를 거의 과학적으로 설계된 팝송으로 엮어냈다"는 평을 받았다.[6]
2020년 7월 10일, 두 번째 싱글 "Love Me Land"가 발매되어[25] 스웨덴에서 8위를 기록하고 골드 인증을 받았다. Marshmello가 프로듀싱한 프로모션 싱글 "Wow"는 넷플릭스 영화 ''워크 잇''에 삽입된 후 재조명되어 싱글로 발매되었다.[26] 2020년 9월 25일에는 사브리나 카펜터가 참여한 리믹스 버전이,[27] 10월 7일에는 뮤직 비디오가 공개되었다.[28] 2021년 1월 8일, 영 서그가 피처링한 싱글 "Talk About Love"가 앨범 예약 판매와 함께 발매되었다.[29] 2021년 2월 22일에는 "Look What You've Done"이 프로모션 싱글로 발매되었다.[30]
사라 라르손은 2021년 1월 8일에 앨범 커버 아트를 공개하고, 2월 10일에는 트랙 목록을 공개했다.[31] 2021년 3월 5일, 앨범 《Poster Girl》이 발매되었다. 2021년 3월 8일 국제 여성의 날에는 IKEA와 협업하여 Live Nation 주최 온라인 콘서트를 개최했다.[32] 2021년 5월 21일에는 《Poster Girl》 Summer Edition이 발매되었고, 같은 날 Roblox에서 가상 앨범 발매 파티를 개최했다. 2021년 11월에는 앨범 홍보를 위한 Poster Girl 투어를 시작했다.[3]
3. 구성
앨범은 "Love Me Land"로 시작하며, "맥동하는 현악기 중심" 비트를 기반으로 한 댄스 팝 곡이다.[40] "Talk About Love"는 "부드러운" 느낌의 컨템포러리 R&B 스타일의 곡으로,[38][8] 가사적으로는 "두 사람이 서로에게 어떤 존재인지 알아내기 전 단계"에 관한 것이다.[9] "Need Someone"은 "반짝이는" 미드템포 곡으로,[40] "가볍고 편안한 분위기"를 가지고 있지만 "훨씬 더 펑키하고 커다란 앤섬"으로 발전하며, 음악적으로는 베이스라인이 Tame Impala의 "The Less I Know the Better"를 연상시키고 "반짝이는" 피아노 라인이 특징이다.[7] "Right Here"는 왜 그녀가 "화면에 시선을 고정"하는 누군가의 관심을 얻으려고 하는지에 대한 궁금증을 담고 있으며, 스웨덴 아티스트 로빈을 언급한다.[11] "Wow"는 Marshmello가 프로듀싱한 일렉트로[12]와 일렉트로닉 댄스 뮤직 곡으로,[40][38] "강렬한" 베이스라인과 "중독성 있는" 보컬이 특징이다.[13] 앨범의 타이틀 트랙은 자라가 "호감을 느끼면서 평소와 다른 느낌"을 받는 것에 관한 내용이며, "반짝이는" 디스코 프로덕션으로 뒷받침된다.[7] "I Need Love"는 "중독자가 약을 필요로 하는 것처럼"이라는 가사를 포함하는 "소울풀한 팝"으로 묘사되는 트로피컬 팝 음악 곡이다.[14] "Look What You've Done"은 ABBA의 음악과 유사한 디스코풍의,[35] 이별 곡이다.[14][10][37][15][16]
"Ruin My Life"는 "약간 피학적인",[40] 팝 음악 곡으로,[17] Larsson의 말에 따르면 "모두가 인생에서 한 번쯤 경험하는 건강하지 못한 관계"에 관한 내용이다.[18] 악기 구성으로는 일렉트릭 기타와 키보드 악기가 사용되었으며, 코러스는 신시사이저로 "가득 차" 있고 "댄스 가능한" 드럼 트랙이 포함되어 있다.[19] Max Martin이 공동 작사한 "Stick with You"는 "드라이빙" 일렉트로닉 음악 비트와 짝을 이루는 기타 사운드를 특징으로 하며,[20] Larsson의 보컬에 "약간의 컨트리 음악 뉘앙스"가 담겨 있다.[34] "FFF" ( "Falling for a Friend"의 약어)[40]는 "유쾌"하지만 "노골적인" 곡이며,[34] 후렴구는 이탈리아 클래식 "Tu Vuò Fà L'Americano"를 연상시킨다.[39] 이 곡에서 Dua Lipa와 유사한 보컬은 "우리 사이에 불꽃이 있을까?/아니면 단순히 플라토닉일까?/이것이 우리 이야기의 줄거리인가? /그렇다면 아이코닉할 텐데"라고 노래한다.[20] 앨범은 "What Happens Here"로 마무리되며, 자기 확신의 이야기를 담고 있고, 그녀가 "내가 원하는 대로 할 거야... 솔직히 말해서, 난 신경 안 써"라고 노래하는 "Carly Rae Jepsen 크기의 유포릭" 곡이다.[7][10]
3. 1. Standard Edition
이 음반은 발라드가 없는 "빠르고 웅장한, 처음부터 끝까지 댄스 레코드"이며 "'80년대 신디사이저와 R&B의 영향을 받은 프로덕션"이라는 설명이 있었다.[4] 가사는 "팝 음악의 본질인 사랑의 가장 좋은 점과 가장 나쁜 점을 탐구"한다.[4] 또한 스칸디팝[39]과 팝 음악[10]에 뿌리를 두고 있으며, "이별 앨범이자 새로운 로맨스를 축하하는 앨범"이라고 묘사되었으며,[5] "짝사랑과 낭만적인 유독성의 섬뜩한 순간의 주제를 거의 과학적으로 설계된 팝송으로 엮어냈다"는 평을 받았다.[6]
앨범은 "Love Me Land"로 시작하며, "맥동하는 현악기 중심" 비트를 기반으로 한 댄스 팝 곡이다.[40] "Talk About Love"는 "부드러운" 느낌의 컨템포러리 R&B 스타일의 곡으로,[38][8] 가사적으로는 "두 사람이 서로에게 어떤 존재인지 알아내기 전 단계"에 관한 것이다.[9] "Need Someone"은 "반짝이는" 미드템포 곡으로,[40] "가볍고 편안한 분위기"를 가지고 있지만 "훨씬 더 펑키하고 커다란 앤섬"으로 발전하며, 음악적으로는 베이스라인이 Tame Impala의 "The Less I Know the Better"를 연상시키고 "반짝이는" 피아노 라인이 특징이다.[7] "Right Here"는 왜 그녀가 "화면에 시선을 고정"하는 누군가의 관심을 얻으려고 하는지에 대한 궁금증을 담고 있으며, 스웨덴 아티스트 로빈을 언급한다.[11] "Wow"는 Marshmello가 프로듀싱한 일렉트로[12]와 일렉트로닉 댄스 뮤직 곡으로,[40][38] "강렬한" 베이스라인과 "중독성 있는" 보컬이 특징이다.[13] 앨범의 타이틀 트랙은 자라가 "호감을 느끼면서 평소와 다른 느낌"을 받는 것에 관한 내용이며, "반짝이는" 디스코 프로덕션으로 뒷받침된다.[7] "I Need Love"는 "중독자가 약을 필요로 하는 것처럼"이라는 가사를 포함하는 "소울풀한 팝"으로 묘사되는 트로피컬 팝 음악 곡이다.[14] "Look What You've Done"은 ABBA의 음악과 유사한 디스코풍의,[35] 이별 곡이다.[14][10][37][15][16]
"Ruin My Life"는 "약간 피학적인",[40] 팝 음악 곡으로,[17] Larsson의 말에 따르면 "모두가 인생에서 한 번쯤 경험하는 건강하지 못한 관계"에 관한 내용이다.[18] 악기 구성으로는 일렉트릭 기타와 키보드 악기가 사용되었으며, 코러스는 신시사이저로 "가득 차" 있고 "댄스 가능한" 드럼 트랙이 포함되어 있다.[19] Max Martin이 공동 작사한 "Stick with You"는 "드라이빙" 일렉트로닉 음악 비트와 짝을 이루는 기타 사운드를 특징으로 하며,[20] Larsson의 보컬에 "약간의 컨트리 음악 뉘앙스"가 담겨 있다.[34] "FFF" ( "Falling for a Friend"의 약어)[40]는 "유쾌"하지만 "노골적인" 곡이며,[34] 후렴구는 이탈리아 클래식 "Tu Vuò Fà L'Americano"를 연상시킨다.[39] 이 곡에서 Dua Lipa와 유사한 보컬은 "우리 사이에 불꽃이 있을까?/아니면 단순히 플라토닉일까?/이것이 우리 이야기의 줄거리인가? /그렇다면 아이코닉할 텐데"라고 노래한다.[20] 앨범은 "What Happens Here"로 마무리되며, 자기 확신의 이야기를 담고 있고, 그녀가 "내가 원하는 대로 할 거야... 솔직히 말해서, 난 신경 안 써"라고 노래하는 "Carly Rae Jepsen 크기의 유포릭" 곡이다.[7][10]
3. 2. 수록곡 (Standard Edition)
Poster Girl영어 일반판에는 총 12곡이 수록되었으며, 전체 길이는 37분 41초이다.
번호 | 제목 | 작사·작곡 | 프로듀서 | 길이 |
---|---|---|---|---|
1 | Love Me Land | 자라 라르손영어, 줄리아 마이클스영어, 저스틴 트랜터영어, 제이슨 길 | 길 | 2:40 |
2 | Talk About Love (featuring 영 서그)영어 | 에이미 앨런영어, 마이크 사바스영어, 듀웨인 휘트모어 주니어영어, 제프리 라마르 윌리엄스영어 | 사바스 | 3:19 |
3 | Need Someone | 사라 에런스영어, 노니 바오영어, 마티아스 라르손영어, 로빈 프레드릭손영어 | 맷먼 & 로빈 | 2:57 |
4 | Right Here | 줄리아 마이클스영어, 저스틴 트랜터영어, M. 라르손, 프레드릭손 | 맷먼 & 로빈 | 3:46 |
5 | Wow | 브리트니 아마라디오영어, 크리스토퍼 콤스톡영어, 토마스 에릭슨, 요아킴 하우카스, 매디슨 러브영어 | 마시멜로 | 2:59 |
6 | Poster Girl | Z. 라르손, 마이클스, 트랜터, 데이비드 프라믹영어, 존 위너, 샘 호마에 | 더 룸메이트영어, 길 | 2:57 |
7 | I Need Love | 카밀 퍼셀영어, 조셉 컨스, 핀레이 도우-스미스영어 | 스타스미스 | 3:02 |
8 | Look What You've Done | Z. 라르손, 맥스 울프강, 퍼셀, 아마르 말리크영어, 스티브 맥영어 | 맥 | 3:01 |
9 | Ruin My Life | 아마라디오, 마이클 폴락영어, 스테판 존슨영어, 조던 K. 존슨영어, 제이미 샌더슨영어, 잭슨 푸트영어 | 몬스터즈 앤드 스트레인저즈영어, 푸트 | 3:10 |
10 | Stick with You | Z. 라르손, 맥스 마틴영어, 사반 코테차영어, 루드비그 쇠데르베리영어, 야콥 예를스트룀영어, 울프강 | 더 스트러츠 | 2:59 |
11 | FFF | Z. 라르손, 마이클스, 트랜터, 이안 커크패트릭영어 | 커크패트릭 | 3:32 |
12 | What Happens Here | Z. 라르손, 테론 토마스영어, 안톤 예란손, 스티븐 프랭크스, 토미 브라운영어 | 미스터 프랭크스, 브라운 | 3:19 |
3. 2. 1. 일반판
Poster Girl영어 일반판에는 총 12곡이 수록되었으며, 전체 길이는 37분 41초이다.번호 | 제목 | 작사·작곡 | 프로듀서 | 길이 |
---|---|---|---|---|
1 | Love Me Land | 자라 라르손영어, 줄리아 마이클스영어, 저스틴 트랜터영어, 제이슨 길 | 길 | 2:40 |
2 | Talk About Love (featuring 영 서그)영어 | 에이미 앨런영어, 마이크 사바스영어, 듀웨인 휘트모어 주니어영어, 제프리 라마르 윌리엄스영어 | 사바스 | 3:19 |
3 | Need Someone | 사라 에런스영어, 노니 바오영어, 마티아스 라르손영어, 로빈 프레드릭손영어 | 맷먼 & 로빈 | 2:57 |
4 | Right Here | 줄리아 마이클스영어, 저스틴 트랜터영어, M. 라르손, 프레드릭손 | 맷먼 & 로빈 | 3:46 |
5 | Wow | 브리트니 아마라디오영어, 크리스토퍼 콤스톡영어, 토마스 에릭슨, 요아킴 하우카스, 매디슨 러브영어 | 마시멜로 | 2:59 |
6 | Poster Girl | Z. 라르손, 마이클스, 트랜터, 데이비드 프라믹영어, 존 위너, 샘 호마에 | 더 룸메이트영어, 길 | 2:57 |
7 | I Need Love | 카밀 퍼셀영어, 조셉 컨스, 핀레이 도우-스미스영어 | 스타스미스 | 3:02 |
8 | Look What You've Done | Z. 라르손, 맥스 울프강, 퍼셀, 아마르 말리크영어, 스티브 맥영어 | 맥 | 3:01 |
9 | Ruin My Life | 아마라디오, 마이클 폴락영어, 스테판 존슨영어, 조던 K. 존슨영어, 제이미 샌더슨영어, 잭슨 푸트영어 | 몬스터즈 앤드 스트레인저즈영어, 푸트 | 3:10 |
10 | Stick with You | Z. 라르손, 맥스 마틴영어, 사반 코테차영어, 루드비그 쇠데르베리영어, 야콥 예를스트룀영어, 울프강 | 더 스트러츠 | 2:59 |
11 | FFF | Z. 라르손, 마이클스, 트랜터, 이안 커크패트릭영어 | 커크패트릭 | 3:32 |
12 | What Happens Here | Z. 라르손, 테론 토마스영어, 안톤 예란손, 스티븐 프랭크스, 토미 브라운영어 | 미스터 프랭크스, 브라운 | 3:19 |
3. 2. 2. Target 및 북미 디럭스 에디션 보너스 트랙
# | 제목 | 작사·작곡 | 프로듀서 | 길이 |
---|---|---|---|---|
13 | "Famous" | | | 3:36 | |
14 | "When I'm Not Around" | | | 3:25 |
3. 2. 3. 일본판 보너스 트랙
일본판 보너스 트랙은 총 16곡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전체 길이는 52분 10초이다.[63][64]# Don't Worry Bout Me
# All the Time
3. 2. 4. Summer Edition 보너스 트랙
Poster Girl의 Summer Edition에는 다음과 같은 보너스 트랙이 추가되었다:[65]- "Morning"
- "Last Summer"
- "I Need Love" ( First Aid Kit 라이브 버전)
- "Ruin My Life" (오케스트라 버전)
- "Never Forget You" (오케스트라 버전)
- "Right Here" (Alok 리믹스)
총 18곡이 수록되었다.
3. 2. 5. Swedish Summer Edition 보너스 트랙
wikitextSäg Mig Var Du Stårsv[66]는 Waarom, vertel me, waaromnl의 스웨덴어 버전으로, 원래 1983년 네덜란드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 참가곡으로 아니타 메이어가 불렀다.[69] 이 곡은 Why Tell Me, Why영어라는 영어 버전으로도 발매되었다.[70] Säg Mig Var Du Stårsv는 1984년 스웨덴 가수 카롤라가 그녀의 앨범 Främlingsv의 수록곡으로 커버했다.[71] 2021년, 자라 라르손은 이 곡을 카롤라와 함께 듀엣으로 불렀으며, 라르손의 앨범 ''Poster Girl''의 스웨덴 서머 에디션 보너스 트랙으로 발매되었다.[66]
3. 2. 6. Summer Edition 재발매 보너스 트랙
Summer Edition 재발매에는 보너스 트랙이 추가되었다.[67]- "Morning" (빌렌 테드 리믹스)
- "I Need Love" (피처링 트레버 다니엘)
3. 2. 7. Swedish Summer Edition 재발매 보너스 트랙
Swedish Summer Editionsv 보너스 트랙은 다음과 같다.[66]- Säg Mig Var Du Står (Carola와 함께)
4. 평가
''Poster Girl''은 전문 매체 리뷰를 종합하는 메타크리틱에서 100점 만점에 평균 72점을 기록하여 "대체로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69][42] AllMusic과[70][33] NME에서는[78][40] 5점 만점에 4점을 부여했으며, Clash는[72][34] 10점 만점에 8점, DIY와[73][35] Dork는[74][36] 5점 만점에 5점을 주며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Pitchfork에서는[79][41] 10점 만점에 5.4점으로 다소 낮은 평가를 내렸다.
NME의 닉 레빈은 이 앨범을 "매력적이고 개성 있는", "잘 만들어진 작품"이라고 평가했고,[40] DIY의 엠마 스완은 "순수한 팝적인 탈출"이라고 칭했다.[35] Clash의 로빈 머레이는 ''Poster Girl''이 "완벽하지는 않지만" "재미있는" 앨범이라고 썼다.[34] ''Financial Times''의 루도빅 헌터-틸니는 수록곡들을 "민첩하고 산뜻하다"고 묘사했지만, 앨범이 "더 많은 것을 갈망하게 만든다"고 평했다.[38]
5. 참여진
- 자라 라르손 – 보컬
- Jason Gill – 모든 악기 (1)
- 맷맨 앤 로빈 – 모든 악기 (3, 4)
- 누니 바오 – 백 보컬 (3)
- 사라 에이론스 – 백 보컬 (3)
- 줄리아 마이클스 – 백 보컬 (4)
- Marshmello – 프로그래밍 (5)
- 스타스미스 – 모든 악기 (7)
- Chris Laws – 드럼 (8)
- 존 파리첼리 – 기타 (8)
- 스티브 맥 – 키보드 (8)
- Brittany Amaradio – 백 보컬 (9)
- Jackson Foote – 프로그래밍 (9)
- 마이클 폴락 – 피아노 (9)
- The Monsters & Strangerz – 프로그래밍 (9)
- A Strut – 모든 악기 (10)
- 맥스 마틴 – 백 보컬 (10)
- Fatmax Gsus – 기타 (10)
- James Wong – 신시사이저, 기타 및 드럼 프로그래밍 (14)
- Emerson Mancini – 마스터링 엔지니어
- 세르반 게네아 – 믹싱 엔지니어 (1–4, 6, 7, 10, 15–16)
- 매니 마로킨 – 믹싱 엔지니어 (5, 14)
- 마크 "스파이크" 스텐트 – 믹싱 엔지니어 (8)
- 토니 마세라티 – 믹싱 엔지니어 (9)
- Rafael Fadul – 믹싱 엔지니어 (13)
- Lotus IV – 믹싱 엔지니어 (16)
- John Hanes – 엔지니어 (1–4, 6, 7, 10, 15–16)
- Jonathan Winner – 엔지니어 (6)
- Sam Homaee – 엔지니어 (6)
- Chris Laws – 엔지니어 (8)
- Dann Pursey – 엔지니어 (8)
- 이언 키르크패트릭 – 엔지니어 (11)
- Bart Schoudel – 보컬 엔지니어 (2, 3), 녹음 엔지니어 (4)
- Mattman & Robin – 보컬 엔지니어 (3, 4)
- Hampus Lindvall – 보컬 엔지니어 (7), 녹음 엔지니어 (9)
- Billy Hicks – 녹음 엔지니어 (12)
- Gian Stone – 녹음 엔지니어 (13)
- DJ Riggins – 보조 엔지니어 (2)
- Jacob Richards – 보조 엔지니어 (2)
- Mike Seaberg – 보조 엔지니어 (2)
- Robert N. Johnson – 보조 엔지니어 (5)
- 라이더 립스 – 크리에이티브 및 아트 디렉션
- Michaela Quan – 사진 작가
- Jordan Rossi – 사진 작가
- Karen Clarkson – 스타일리스트
- Sofia Sinot – 메이크업
- Ali Pirzadeh – 헤어
6. 차트 성적
순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