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UFO: Afterlight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UFO: Afterlight》는 2007년 2월에 출시된 전략 시뮬레이션 게임으로, 인류가 황폐화된 지구를 떠나 화성에 정착하는 과정을 배경으로 한다. 플레이어는 화성의 환경을 테라포밍하고, 외계 세력들과의 관계를 관리하며 기지를 건설하고 자원을 확보해야 한다. 게임은 턴제 전술 전투와 자원 관리, 연구 및 생산 시스템을 특징으로 하며,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지만 기술적인 문제와 반복적인 게임 플레이에 대한 비판도 있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50년대를 배경으로 한 비디오 게임 - 콜 오브 듀티: 어드밴스드 워페어
    콜 오브 듀티: 어드밴스드 워페어는 Sledgehammer Games에서 개발하고 액티비전에서 배급한 2014년 1인칭 슈팅 게임으로, 2054년의 미래를 배경으로 강화 외골격을 활용한 전투를 특징으로 하며, 잭 미첼이라는 플레이 가능한 캐릭터를 중심으로 캠페인 모드와 엑소 서바이벌, 엑소 좀비 협동 게임 모드, 그리고 픽 13 시스템과 무기 변형 시스템을 갖춘 멀티플레이어 모드를 제공한다.
  • 2050년대를 배경으로 한 비디오 게임 - 데이어스 엑스 (비디오 게임)
    데이어스 엑스는 아이온 스톰이 개발하고 Eidos Interactive가 배급한 2000년 액션 롤플레잉 비디오 게임으로, 롤플레잉 게임, 1인칭 슈팅 게임, 어드벤처 게임, 몰입형 시뮬레이션의 요소들을 결합하여 유엔 대테러 연합(UNATCO) 요원 JC 덴튼이 나노 기술로 강화된 능력을 활용해 임무를 수행하며, 플레이어의 선택이 스토리와 진행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 특징이다.
  • 턴제 전략 게임 - 마리오 + 래비드 반짝이는 희망
    마리오와 래비드 캐릭터를 활용한 턴제 전술 게임 《마리오 + 래비드 반짝이는 희망》은 스파크를 구출하고 우주를 구하기 위해 다양한 영웅들로 팀을 구성하여 자유로운 이동과 스파크를 활용한 전략적인 전투를 펼치며 다섯 개의 행성을 탐험하는 모험을 제공하고 비평가들로부터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 턴제 전략 게임 - 문명 VI
    문명 VI는 4X 게임플레이를 기반으로 도시 건설, 자원 관리, 기술 발전을 통해 문명을 성장시키고, 군사, 기술, 문화적 우위를 통해 승리하는 턴제 전략 시뮬레이션 게임이다.
  • 2007년 비디오 게임 - 콜 오브 듀티 4: 모던 워페어
    《콜 오브 듀티 4: 모던 워페어》는 2007년에 출시된 1인칭 슈팅 게임으로, 현대전을 배경으로 하며 싱글 플레이어 캠페인과 혁신적인 멀티플레이어 모드를 제공하여 비평가들의 호평을 받았다.
  • 2007년 비디오 게임 - 노다메 칸타빌레
    니노미야 도모코의 만화를 원작으로 한 《노다메 칸타빌레》는 지휘자를 꿈꾸는 엘리트 음대생 치아키 신이치와 엉뚱한 천재 피아니스트 노다 메구미의 만남과 성장을 그린 미디어 믹스 작품으로, 다양한 클래식 음악과 함께 유쾌한 코미디와 감동적인 스토리로 전개되며 국제적인 인기를 얻었다.
UFO: Afterlight - [IT 관련 정보]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제목UFO: 애프터라이트
원제UFO: Afterlight
개발
개발사알타 게임즈
유통
배급사세네가 퍼블리싱
제작
프로듀서루카시 베셀리
디자이너라딤 크르지바네크
프로그래머오타카르 니더
아티스트다비드 자플레탈
작가카렐 마콥스키
작곡가토마시 브레이셰크
출시
유럽2007년 2월 9일
북미2007년 6월 12일
대한민국2007년 2월 9일
장르
장르실시간 전술
모드
모드싱글 플레이어
플랫폼
플랫폼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

2. 게임 정보

(내용 없음)

2. 1. 개발 및 유통 정보

이 게임은 Altar Games에서 개발하였으며, Cenega가 발행하고 TopWare Interactive가 유통을 담당했다. 윈도우 플랫폼(윈도우 2000, XP, 비스타 지원)으로 2007년 2월에 발매되었다. 장르는 전략 시뮬레이션이며, 싱글 플레이 모드를 지원한다. 게임 등급은 북미의 ESRB 기준으로는 T(Teen, 13세 이상), 유럽의 PEGI 기준으로는 12세 이상 이용가이다.

2. 2. 플랫폼 및 발매 정보

개발사Altar Games
발행사Cenega
유통사TopWare Interactive
플랫폼윈도우 (2000, XP, 비스타)
발매일2007년 2월
장르전략 시뮬레이션
플레이 모드싱글 플레이
등급ESRB T, PEGI 12+


2. 3. 장르 및 등급 정보

이 게임의 장르는 전략 시뮬레이션이다.

게임 등급은 북미의 ESRB 심의 기관에서 T(Teen, 13세 이상 이용가) 등급을 받았으며, 유럽의 PEGI 심의 기관에서는 12세 이상 이용가 등급을 받았다.

3. 줄거리

《UFO: Aftermath》의 배드 엔딩 이후, 인류의 일부는 화성으로 이주하여 테라포밍을 통해 새로운 보금자리를 만들고자 한다. 그러나 정착 초기, 정체불명의 로봇 세력의 공격과 함께 포털을 통해 나타난 공격적인 야수인(Beastmen)의 위협에 직면하게 된다. 인류는 이들 위협에 맞서 무장하고 기술을 개발하며 테라포밍을 진행해야 하지만, 예상치 못한 사고로 동면 중이던 인구가 깨어나면서 시간 제약이라는 또 다른 어려움에 부딪힌다.

생존 투쟁 과정에서 인류는 지구라푸타인(Laputians)과 연락하여 지원을 받게 되며, 화성에 이미 존재하던 레티큘라인(Reticulans) 잔존 세력 및 이들을 추적하는 탐험대, 그리고 테라포밍 과정에서 깨어난 고대 종족 화성인(Martians) 등 다양한 외계 세력과 조우하며 복잡한 외교 관계를 형성하거나 적대하게 된다.

결국 인류는 화성의 숨겨진 역사와 야수인의 정체를 파악하고, 다른 종족과의 공존을 거부하는 야수인 세력을 완전히 제거하기로 결정한다. 테라포밍이 일정 수준에 도달하면 야수인의 DNA를 표적으로 하는 특수 바이러스를 개발하여 살포하고, 살아남은 잔존 세력을 최종 전투에서 격파함으로써 화성에서의 생존 투쟁을 승리로 이끈다.

3. 1. 배경

《UFO: Aftermath》의 배드 엔딩 이후, 인류는 지구를 침략한 외계 종족 레티큘라인의 조건을 받아들인다. 일부 인류는 지구 상공의 라푸타로 이주했으며(《UFO: Aftershock》의 배경), 1만 명의 동면 상태 식민지 개척자들은 소규모 연구팀과 함께 화성으로 보내진다. 이들의 목표는 화성을 테라포밍하여 인류의 새로운 보금자리를 만드는 것이었다.

게임 시작 직전, 발굴 연구팀 소속 위르겐은 정체불명의 로봇으로 가득 찬 외계 구조물을 발견한다. 로봇들은 깨어나 공격을 시작하고, 튜토리얼 임무에서 위르겐을 살해한다. 곧이어 화성 전역의 숨겨진 구조물에서 로봇들이 나타나 인류 기지를 공격하고, 북극에서 오는 중요한 물 공급 파이프라인까지 파괴한다. 이에 식민지 개척자들은 스스로를 지키기 위해 무기를 생산하기 시작한다.

충분한 무장을 갖춘 인류는 로봇이 처음 발견된 장소 근처의 대규모 로봇 집단을 공격하여 성공을 거둔다. 하지만 전투 중 로봇의 단락으로 인해 현장에 미지의 포털이 열린다. '야수인'이라 불리는 공격적인 외계생명체들이 포털을 통해 나타나 인류를 공격하고, 인류는 후퇴할 수밖에 없었다. 야수인은 모든 대화 시도를 거부하며, 화성 곳곳의 여러 포털에서 대규모로 등장하기 시작한다. 인류는 결국 포털의 동력을 파괴하는 데 성공하지만, 야수인은 이미 인류 기지 반대편의 대규모 기지를 포함해 행성 곳곳에 수많은 전초 기지를 건설한 상태였다. 야수인은 인류 기지에 직접적인 공격을 감행한다. 인류는 방어에 성공하지만, 이 과정에서 동면 시설이 손상되어 잠들어 있던 식민지 개척자들이 깨어나기 시작한다. 작은 기지 시설로는 깨어난 인구를 감당할 수 없기에, 플레이어에게는 화성을 테라포밍하고 행성의 안전을 확보해야 하는 시간 제한이 주어진다.

인류는 로봇과 야수인 모두로부터 기지를 방어하는 동시에, 생존과 전투에 필요한 첨단 기술을 연구하고 화성 테라포밍 속도를 높여야 하는 상황에 놓인다. 이 과정에서 지구와 다시 연락이 닿게 되고, 《UFO: Aftershock》의 적대 세력이었던 컬티스트와 접촉하여 무기 기술을 교환하기도 한다. 《UFO: Aftershock》 사건 이후, 라푸타인들은 컬티스트를 물리치고 지구와의 주요 연락 창구가 된다. 라푸타인들은 지구에서의 전쟁에서 완전히 승리한 후, 화성에 물자, 무기, 과학 데이터를 지원한다. 한편, 인류 기지는 화성 남쪽에 작은 전초 기지를 세운 레티큘라인 잔존 세력과도 접촉한다. 게임이 진행되면서 또 다른 레티큘라인 세력인 탐험대가 서쪽에 상륙하여 인류와 기존 레티큘라인 모두를 공격한다. 이들은 지구를 점령했던 '반역자' 레티큘라인을 추적하기 위해 레티큘라인 본성에서 파견된 세력으로 밝혀진다. 플레이어는 이 두 레티큘라인 세력 중 하나와 동맹을 맺어 다른 세력과 싸우거나, 양쪽 모두와 싸워 기술과 자원을 얻을 수도 있다. 마지막으로, 화성이 충분히 테라포밍되면, 행성의 얼음이 녹아 고향이 물에 잠기게 된 로봇의 창조자, '화성인' 종족이 나타난다. 처음에는 인류에게 적대적이지만, 플레이어가 그들의 언어를 연구하고 야수인 위협에 맞서 협력하면 동맹을 맺을 수 있다.

결국 인류는 화성의 숨겨진 역사를 알게 된다. 야수인이 원래 화성의 거주자였으며, '화성인'은 거대한 우주 여행 능력을 가진 심령체 '마이르메콜'을 타고 태양계 외부에서 도착한 침략자였다. 야수인은 화성인에게 패배하여 먼 세계로 통하는 포털을 통해 추방당했다. 이후 야수인은 고향을 되찾기 위해 오랜 시간 동안 계획하고 훈련해 왔으며, 인류 탐사대가 우연히 포털을 다시 활성화시킨 것이었다. 화성인들은 인류와의 공존에 동의하지만(테라포밍 연구를 통해 화성 환경을 그들에게 더 적합하게 만들 경우), 야수인은 다른 종족과의 공존 자체를 거부한다. 따라서 인류에게 남은 유일한 선택은 야수인 종족 전체를 제거하는 것이라는 결론에 도달한다. 라푸타인 연구원들의 도움으로 야수인의 DNA만을 표적으로 삼는 바이러스가 개발된다. 이 바이러스지구와 유사한 환경에서만 효과적으로 퍼질 수 있으므로, 화성 테라포밍 완료가 더욱 시급해진다. 화성 테라포밍이 특정 단계에 도달하면 바이러스가 대기 중에 방출되어 대부분의 야수인을 제거하고, 살아남은 소수의 강력한 개체들도 심각하게 약화시킨다. 이후 플레이어는 야수인의 주요 기지에 대한 최종 공격을 감행하여 남은 지휘관들을 제거한다. 게임 내 다른 세력과의 관계나 상태와 관계없이, 이 시점에서 인류의 승리가 선언된다.

3. 2. 주요 사건

UFO: Aftermath의 정형화된 "배드" 엔딩 이후, 인류는 지구를 침략한 Reticulanseng의 조건에 동의하게 된다. 일부 인류는 지구 상공의 Laputaeng로 이주했고(UFO: Aftershock의 배경), 다른 1만 명의 동면 상태 식민지 개척자와 소규모 연구팀은 화성으로 보내졌다. 이들의 임무는 화성을 테라포밍하여 인류의 새로운 터전을 마련하는 것이었다.

게임 시작 직전, 발굴 연구팀 소속의 Jurgeneng은 정체불명의 로봇들로 가득 찬 외계 구조물을 발견한다. 그러나 로봇들이 깨어나 공격을 시작했고, 위르겐은 튜토리얼 임무 중 사망한다. 곧이어 화성 전역의 숨겨진 구조물에서 로봇들이 나타나기 시작하며 인류 기지를 공격하고, 북극에서 오는 중요한 물 공급 파이프라인까지 파괴한다. 이에 식민지 개척자들은 스스로를 방어하기 위해 무기를 생산하기 시작한다.

인류는 충분한 무장을 갖춘 뒤, 로봇 발견 지점 근처의 대규모 로봇 집단을 공격하여 성공을 거둔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로봇의 단락 현상으로 인해 전투 현장에 미지의 포털이 열리게 된다. 이 포털을 통해 "Beastmen|야수인eng"이라 불리는 공격적인 외계 생명체들이 나타나 인류에게 공격을 퍼붓고, 인류는 후퇴할 수밖에 없었다. 야수인은 모든 소통 시도를 거부하며 화성 곳곳의 포털을 통해 대규모로 도착하기 시작한다. 인류는 결국 포털의 동력원을 파괴하는 데 성공하지만, 이미 야수인은 인류 기지 반대편에 대규모 기지를 포함한 다수의 전초기지를 건설한 상태였다. 야수인은 인류 기지에 직접적인 공격을 감행하고, 인류는 방어에는 성공하지만 이 과정에서 동면 시설이 손상되어 잠들어 있던 식민지 개척자들이 깨어나기 시작한다. 소규모 기지로는 깨어난 모든 인구를 유지할 수 없기에, 플레이어에게는 화성을 테라포밍하고 안전하게 확보해야 하는 시간 제한이 주어진다.

이제 인류는 로봇과 야수인 양쪽의 위협에 맞서 싸우면서, 생존에 필요한 첨단 기술을 연구하고 화성 테라포밍 속도를 높여야 하는 상황에 놓인다. 이 과정에서 인류는 지구와 다시 연락을 취하게 되고, 처음에는 UFO: Aftershock의 적대 세력이었던 Cultistseng와 접촉하여 무기 기술을 교환한다. 그러나 UFO: Aftershock의 사건 이후, Laputianseng이 컬티스트를 몰아내고 지구의 주요 연락 상대로 자리 잡는다. 라푸타인은 지구에서의 전쟁에서 완전히 승리한 후, 화성에 물자, 무기, 과학 데이터를 지원하기 시작한다.

한편, 인류 기지는 남쪽에 작은 전초 기지를 세운 Reticulanseng 잔존 세력과도 접촉하게 된다. 게임이 진행되면서 또 다른 Reticulanseng 세력인 탐험대가 서쪽 지역에 나타나 인류와 기존 Reticulanseng 잔존 세력 모두를 공격한다. 이들은 지구를 점령했던 "반역자" Reticulanseng를 추적하기 위해 Reticulanseng 본성에서 파견된 세력임이 밝혀진다. 플레이어는 이 두 Reticulanseng 세력 중 하나와 동맹을 맺어 다른 세력과 싸우거나, 양쪽 모두와 싸우며 기술과 자원을 확보하는 선택을 할 수 있다.

화성 테라포밍이 상당 수준 진행되면, 로봇을 창조한 고대 종족인 "Martians|화성인eng"이 깨어난다. 이들은 자신들의 고향이 녹아내리는 얼음으로 인해 침수되면서 모습을 드러낸다. 처음에는 인류에게 적대적이지만, 플레이어가 그들의 언어를 연구하고 야수인과의 전투에서 그들을 돕는다면 동맹을 맺을 수도 있다.

결국 인류는 화성의 숨겨진 역사를 알게 된다. 야수인이 본래 화성의 원주민이었으며, 현재의 "화성인"은 거대한 우주 여행 능력을 지닌 심령체 Myrmecoleng을 타고 태양계 외부에서 온 침략자였다는 사실이다. 야수인은 침략자들에게 패배하여 먼 세계로 통하는 포털을 통해 추방당했고, 이후 고향을 되찾기 위해 힘을 기르며 때를 기다렸다. 인류 탐사대가 우연히 포털을 다시 활성화시키면서 그들이 돌아올 기회를 얻게 된 것이다. 화성인은 인류와의 공존에 동의할 수 있지만(테라포밍 환경을 그들에게 더 적합하게 만드는 연구를 수행할 경우), 야수인은 다른 종족과의 공존 자체를 거부한다.

이에 인류는 야수인 종족 전체를 제거하는 것 외에는 선택지가 없다는 결론에 도달한다. Laputianseng 연구원들의 도움으로 야수인의 DNA만을 표적으로 삼는 바이러스가 개발된다. 이 바이러스는 행성 대부분의 야수인을 제거할 수 있지만, 확산을 위해서는 지구와 유사한 환경이 필요하므로 화성 테라포밍 완료가 더욱 중요해진다. 테라포밍이 특정 단계에 도달하면 바이러스가 대기 중에 살포되어 대부분의 야수인을 제거하고, 살아남은 소수의 강력한 개체들도 심각하게 약화시킨다. 이후 플레이어는 야수인의 주요 기지에 대한 최종 공격을 감행하여 남은 지휘관들을 제거한다. 이 시점에서 게임 내 다른 세력과의 관계나 상태와 관계없이 인류의 승리가 선언된다.

3. 3. 세력 간의 관계

화성에 도착한 인류는 생존과 테라포밍이라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다양한 외계 세력과 복잡한 관계를 맺게 된다.

초기에는 정체를 알 수 없는 로봇 세력과 마주하게 된다. 이 로봇들은 화성 곳곳의 외계 구조물에서 깨어나 인류 기지를 공격하고 물 공급 시설까지 파괴하는 등 명백한 적대 행위를 보인다. 인류는 이 로봇들의 위협에 맞서 스스로를 방어하고 무장해야 한다.

로봇과의 전투 과정에서 예기치 않게 등장한 야수인(Beastmen)은 또 다른 주요 적대 세력이다. 이들은 로봇과의 전투 현장에 나타난 포털을 통해 화성에 도착했으며, 매우 공격적이고 인류와의 어떠한 소통도 거부한다. 야수인은 화성 전역에 빠르게 세력을 확장하며 인류 기지를 직접 공격하는 등 심각한 위협으로 부상한다. 게임 후반부에 밝혀지는 바에 따르면, 야수인은 원래 화성의 거주자였으나 과거 '화성인'에게 패배하여 쫓겨났다가 인류가 연 포털을 통해 돌아와 고향을 되찾으려 하는 것이다. 이들은 다른 종족과의 공존을 완전히 거부하기 때문에, 인류는 생존을 위해 이들을 완전히 제거해야 하는 상황에 놓인다.

한편, 인류는 지구와의 연락을 재개하면서 새로운 관계를 형성하기도 한다. UFO: 애프터쇼크 시점의 적대 세력이었던 컬티스트(Cultists)와 잠시 접촉하여 무기 기술을 교환하기도 하지만, 이 관계는 오래가지 않는다. 곧이어 UFO: 애프터쇼크에서 컬티스트를 물리친 라푸타인(Laputians)이 지구와의 주요 소통 창구가 된다. 라푸타인은 지구에서의 전쟁에서 승리한 후, 화성의 인류에게 물자, 무기, 과학 데이터 등을 지원하며 중요한 동맹 세력으로 자리 잡는다.
레티큘라인(Reticulans)과의 관계는 더욱 복잡하게 전개된다. UFO: 애프터매스에서 지구를 침략했던 레티큘라인 중 일부 잔존 세력이 화성 남쪽에 전초 기지를 건설하고 인류와 접촉한다. 이들과는 잠재적인 협력 관계를 모색할 수 있다. 하지만 게임 중반에는 또 다른 레티큘라인 세력인 탐험대가 등장한다. 이들은 레티큘라인 본성에서 파견된 세력으로, 지구를 점령했던 '반역' 레티큘라인(화성의 잔존 세력 포함)을 처단하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으며, 인류와 레티큘라인 잔존 세력 모두에게 적대적이다. 플레이어는 레티큘라인 잔존 세력과 동맹을 맺어 탐험대와 싸우거나, 혹은 양쪽 모두와 적대 관계를 유지하며 기술과 자원을 확보하는 선택을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화성의 테라포밍이 일정 수준 이상 진행되면 행성의 얼음이 녹으면서 화성인(Martians)이라 불리는 종족이 깨어난다. 이들은 과거 야수인을 몰아내고 화성을 차지했던 세력이자, 초반에 등장했던 로봇들의 창조자이다. 처음에는 자신들의 고향 환경이 변하는 것에 대한 반감으로 인류에게 적대적인 태도를 보이지만, 인류가 그들의 언어를 연구하고 공통의 적인 야수인에 맞서 협력한다면 동맹을 맺을 수도 있다.

이처럼 인류는 각 세력의 이해관계와 목표를 파악하고, 때로는 동맹을 맺고 때로는 적대하며 화성에서의 생존과 번영을 위한 길을 개척해 나가야 한다. 각 세력과의 관계 설정은 게임 플레이의 전략과 결과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4. 게임플레이

''UFO: Afterlight''는 크게 두 부분으로 나뉘어 진행된다. 첫 번째 부분은 전략 게임으로, 플레이어는 화성의 영토를 확보하고 기지를 운영하며 연구, 생산, 인력 훈련 등을 관리한다. 또한 다른 세력과의 외교 및 거래 활동도 포함된다. 두 번째 부분은 전술 게임으로, 이전 UFO 시리즈와 유사하게 최대 7명의 병사를 장비하여 다양한 임무를 수행하게 된다. 임무 목표는 특정 적의 생포나 사살, 아이템 회수 등 다양하며 때로는 조우하는 모든 적을 제거해야 한다.

4. 1. 전략 게임

전략 게임 부분에서는 플레이어가 화성 표면의 영토를 확보하고 기지를 건설하며 자원을 관리하는 등 다양한 전략적 활동을 수행하게 된다. 영토 점령, 구조물 건설, 자원 확보 및 활용은 게임 플레이의 중요한 요소이다.[1] 이러한 활동에는 과학자나 기술자 같은 특정 인력이 필요하며, 자원 수준은 연구, 생산 등 다른 활동의 전제 조건이 되기도 한다.[1]

4. 1. 1. 영토 및 자원 관리

전략 게임에서 영토는 '지오손데'라는 특정 구조물을 건설하여 점령할 수 있다. 일부 영토는 점령 전에 적대 세력을 먼저 제거해야 할 수도 있다. 점령한 영토에는 테라포밍 스테이션, 발굴 현장, 자원 채굴장, 레이더 등 추가 구조물을 건설할 수 있다. 각 구조물 건설에는 기술자 또는 과학자가 필요하다.

행성에 구조물을 건설하기 위해 캐릭터를 보낼 수 있는 과학 공작선과 기술 트럭은 각각 하나뿐이지만, 각 차량에 여러 캐릭터를 배치하여 건설 속도를 높일 수 있다. 구조물을 건설하는 동안 투입된 과학자와 기술자는 다른 임무에 참여할 수 없다.

영토는 금속, 연료, 결정, 화학 물질, 귀금속 등 채굴 가능한 자원을 보유하고 있을 수 있다. 자원을 활용하려면 해당 자원이 있는 영토에 채굴장을 건설하면 된다. 건설된 채굴장은 같은 종류의 다른 채굴장과 합쳐져 자원 레벨이 +1씩 누적된다. 자원 레벨은 행성의 다른 세력과 거래할 수도 있다. 거래 시 제공하는 자원은 레벨이 1 감소하고(-1), 받는 자원은 레벨이 1 증가한다(+1). 이 거래는 되돌릴 수 없으므로 신중해야 한다. 그 외에 복잡한 자원 관리는 없다. 다만, 특정 건물을 건설하여 최대 레벨 제한을 높이지 않으면 일부 자원은 낮은 레벨까지만 확보할 수 있다. 연구, 생산, 기지 업그레이드 등 전략 게임의 여러 활동에는 특정 기술, 특정 기지 구조물, 최소 자원 레벨 등 하나 이상의 조건이 필요하다.

4. 2. 전술 게임

''UFO: Afterlight''는 크게 전략 파트와 전술 파트로 나뉘어 진행된다. 전술 게임 부분에서는 이전 UFO 시리즈와 유사하게, 플레이어가 직접 병사 분대를 지휘하여 임무를 수행하게 된다.

4. 2. 1. 임무 목표

게임의 전술 임무에서는 다양한 목표가 주어진다. 이전 UFO 시리즈와 마찬가지로, 플레이어는 최대 7명의 병사를 장비하여 임무에 투입하게 된다. 주요 임무 목표에는 특정 적을 생포하거나 사살하는 것, 특정 아이템을 파괴하거나 회수하는 것 등이 포함된다. 때로는 단순히 조우하는 모든 적을 제거하는 것이 목표가 되기도 한다.

4. 2. 2. 병사 관리

이 게임에서 플레이어는 다양한 인력을 관리하고 훈련시켜야 한다. 이는 게임의 전략 단계에서 이루어지는 주요 활동 중 하나이다.[1]

전술 임무 단계에서는 최대 7명의 병사를 장비하여 투입할 수 있다. 병사들은 레티큘란 친구들이 선물한 UFO를 타고 임무 지역으로 이동한다. 임무의 목표는 특정 적을 생포하거나 제거하고, 특정 아이템을 파괴하거나 회수하는 등 다양하며, 때로는 보이는 모든 적을 섬멸해야 할 때도 있다.[1]

단순히 전투 병력뿐만 아니라, 병사 레벨을 가진 기술자나 과학자도 임무에 함께 투입될 수 있다. 이들은 임무 수행을 통해 일반 병사와 동일하게 병사 경험치를 얻는다. 또한, 특정 임무는 기술자나 과학자에게 해당 직업의 전문 경험치를 추가로 제공하기도 한다. 따라서 기술자나 과학자의 전문 기술이 필요한 임무를 원활하게 수행하기 위해서는, 이들을 꾸준히 임무에 참여시켜 병사 레벨을 유지하는 것이 전략적으로 유리하다.[1]

5. 인적 자원 관리

이 게임의 인적 자원 관리는 매우 독특한 특징을 가진다. 플레이어는 매우 제한된 수의 인력을 보유하게 되며, 이 인력은 전투 임무 수행뿐만 아니라 생산, 기지 및 행성 건설, 연구, 훈련 등 게임 내 모든 활동에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예를 들어, 기술자 한 명은 전투에 참여할 수도 있고, 공장에서 물품을 생산하거나, 자원 채취를 위한 시설을 건설하거나, 새로운 기술을 배우는 등 다양한 역할을 동시에 요구받을 수 있다. 하지만 한 캐릭터가 특정 작업에 배정되면, 그 시간 동안 다른 작업에는 참여할 수 없게 되어 다른 활동의 진행이 중단되거나 지연될 수 있다. 따라서 제한된 인력을 어떻게 효율적으로 배분하고 관리하는지가 게임 플레이의 중요한 전략 요소가 된다.

5. 1. 직업 및 경험치 획득

게임 내 캐릭터는 병사, 기술자, 과학자 중 하나의 직업을 가지며, 일부는 병사/과학자, 병사/기술자, 과학자/기술자처럼 두 가지 직업을 겸하기도 한다. 게임 시작 시 정해진 수의 캐릭터로 시작하며, 진행 중 추가 캐릭터를 얻을 수 있지만, 이전 시리즈와 달리 구매는 불가능하다. 드론 역시 일부 임무에서 발견 가능하며, 캐릭터처럼 경험치를 얻고 연구를 통해 부품으로 수리 및 업그레이드가 가능하다.

인적 자원 관리는 이 게임의 독특한 특징 중 하나로, 제한된 인력 풀을 전투, 생산, 기지 및 행성 건설, 연구, 훈련 등 모든 활동에 공유해야 한다. 예를 들어, 기술자는 전투 임무 지원, 공장 작업, 자원 확보를 위한 광산 건설, 새로운 기술 학습 등 다양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한 캐릭터가 특정 작업에 배정되면 다른 작업의 진행은 중단되거나 느려진다.

모든 캐릭터는 자신의 직업에 따라 경험치를 얻는다.

  • 병사: 오직 전투 임무를 통해서만 경험치를 얻고 레벨을 올릴 수 있다.
  • 기술자: 생산 대기열 작업, 기지 또는 행성 구조물 건설, 기술자가 필요한 임무 참여를 통해 경험치를 얻는다.
  • 과학자: 연구실에서의 연구 수행, 행성 구조물 건설, 과학자가 필요한 임무 참여를 통해 경험치를 얻는다.


캐릭터가 레벨을 올리면 훈련 점수를 얻게 되며, 이 점수를 사용하여 다양한 기술을 훈련시키거나 힘, 민첩성 같은 능력치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병사, 과학자, 기술자는 각각 별도의 기술 세트를 가지고 있지만, 일부 과학 및 기술자 훈련은 전략적인 역할 외에 전투 임무 중에도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술자의 슈트 취급 훈련은 슈트 제작 속도를 높일 뿐만 아니라 임무 중 손상된 슈트를 수리할 수 있게 해준다. 과학자의 의학 훈련은 의학 기술 연구 속도를 높이고 임무 중 치료 장치를 사용할 수 있게 한다.

5. 2. 인력 배분

게임은 정해진 수의 캐릭터로 시작하며, 진행 중에 일부 새로운 캐릭터를 얻을 수 있다. 하지만 이전 시리즈와 달리 새로운 캐릭터를 구매할 수는 없다. 드론은 특정 임무에서 발견할 수 있으며, 캐릭터처럼 경험치를 쌓고 연구를 통해 부품으로 수리 및 업그레이드가 가능하다. 캐릭터는 병사, 기술자, 과학자 중 하나의 직업을 갖거나, 병사/과학자, 병사/기술자, 과학자/기술자처럼 복수 직업을 가질 수도 있다.

인적 자원 관리는 이 게임의 특징적인 시스템으로, 매우 제한된 인력을 전투, 생산, 기지 및 행성 건설, 연구, 훈련 등 모든 활동에 배분해야 한다. 예를 들어, 기술자는 전투 임무 지원, 공장 생산, 자원 확보를 위한 광산 건설, 새로운 기술 학습 등 다양한 역할에 필요하다. 한 캐릭터를 특정 작업에 배정하면 다른 작업의 진행이 중단되거나 느려진다.

모든 캐릭터는 직업 관련 활동을 통해 경험치를 획득한다. 병사는 오직 전투 임무를 통해서만 경험치를 쌓고 레벨을 올릴 수 있다. 기술자는 생산 대기열 작업, 기지 또는 행성 시설 건설, 기술자가 필요한 임무 참여를 통해 경험치를 얻는다. 과학자는 연구실에서의 연구 수행, 행성 시설 건설, 과학자가 필요한 임무 참여를 통해 경험치를 얻는다.

캐릭터가 레벨을 올리면 훈련 점수가 축적되며, 이를 사용하여 다양한 기술을 훈련하거나 힘, 민첩성 같은 능력치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병사, 과학자, 기술자에게는 별도의 기술 세트가 존재하지만, 일부 과학 및 기술 훈련은 전략 게임에서의 역할 외에도 전투 임무 중에 유용하다. 예를 들어, 기술자의 슈트 취급 훈련은 슈트 제작 속도를 높일 뿐만 아니라 임무 중 손상된 슈트를 수리할 수 있게 한다. 과학자의 의학 훈련은 관련 기술 연구 속도를 높이고 임무에서 치료 장치를 사용할 수 있게 한다.

6. 화성 환경

화성의 환경은 게임 내에서 인간과 외계인 모두에게 생존하기 어려운 적대적인 공간으로 설정되어 있다. 이러한 환경적 요인은 '환경 적대감'이라는 수치로 표현되며, 임무 수행 및 병사의 생존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플레이어는 테라포밍을 통해 환경을 일부 개선하거나, 병사에게 적절한 보호 슈트를 착용시켜 이러한 위험에 대비해야 한다. 환경 적대감과 이에 대응하는 방법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에서 다룬다.

6. 1. 환경 적대감

화성 환경은 인간뿐만 아니라 외계인에게도 적대적인 곳이다. 전략적 시야 화면에서는 '환경 적대감' 요인이 표시되며, 이 수치는 며칠마다 조금씩 변동한다. 각 임무는 고유한 환경 적대감 등급을 가지며, 이는 주간과 야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테라포밍 기지는 건설된 지역의 임무 환경 적대감을 낮추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적대적인 환경으로부터 병사를 보호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슈트를 착용해야 한다. 만약 병사가 수행하는 임무의 환경 적대감 등급보다 낮은 등급의 슈트를 착용하고 있다면, 임무 도중에 슈트가 손상될 위험이 있다. 슈트의 등급과 환경 적대감 간의 차이가 클수록 슈트가 손상될 가능성이 높아지며, 이는 캐릭터의 부상으로 이어질 수도 있다. 손상된 슈트는 기술자가 수리 장치를 사용하여 수리할 수 있다.

6. 2. 테라포밍

화성의 환경은 인간과 외계인 모두에게 매우 적대적인 환경이다. 게임 내 전략 화면에서는 각 지역의 환경 적대감 수치를 확인할 수 있으며, 이 수치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조금씩 변동한다. 각 임무는 고유한 환경 적대감 등급을 가지며, 이는 낮과 밤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환경적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테라포밍 기지를 건설할 수 있다. 테라포밍 기지는 건설된 지역의 환경 적대감을 낮추는 역할을 하여, 해당 지역에서의 임무 수행을 더 용이하게 만든다.

병사들은 적대적인 환경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특수한 슈트를 착용해야 한다. 만약 임무 지역의 환경 적대감 등급보다 낮은 등급의 슈트를 착용하고 임무를 수행할 경우, 슈트가 손상될 위험이 있다. 슈트의 등급과 환경 적대감 간의 차이가 클수록 슈트가 손상될 확률이 높아지며, 이는 캐릭터의 부상으로 이어질 수도 있다. 손상된 슈트는 기술자가 가진 수리 장치를 이용해 수리할 수 있다.

7. 기지 관리

기지 관리는 게임 플레이의 핵심 요소 중 하나로, 플레이어는 기지 내에 다양한 구조물을 건설하고 업그레이드해야 한다. 이를 통해 새로운 무기장비 생산 기반을 마련하고, 필요한 자원을 확보하며, 연구생산 활동을 위한 공간을 확장할 수 있다. 또한, 기지 시설 관리는 소속 대원들의 훈련 및 부상 치료에도 필수적이다. 기지 관리는 단순히 시설을 늘리는 것뿐만 아니라, 제한된 자원과 공간을 효율적으로 배분하여 전략적으로 기지를 운영하는 능력을 요구한다.

7. 1. 연구

연구는 장비 업그레이드, 외계 기술 사용, 기지 확장, 전반적인 능력 향상을 위해 필수적이다. 다른 UFO 게임 시리즈와 마찬가지로, 기술 발전을 위해서는 꾸준한 연구가 필요하다.

연구 분야는 크게 의학, 지구 기술, 화성 기술, 행성학 등으로 나뉜다. 특정 조건을 만족하면 추가 연구소를 건설하여 여러 기술을 동시에 연구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를 통해 연구 속도를 높이고 다양한 분야의 기술을 빠르게 확보할 수 있다.

7. 2. 생산

생산을 통해 새로운 아이템을 제작할 수 있다. 생산 대기열에 항목을 추가할 때 제작할 수량을 설정할 수 있다. 그러나 실제 아이템을 생산하기 전에는 생산 라인을 구축하는 데 시간이 소요된다. 생산 라인이 완성되면 아이템 생산이 시작되어, 미리 정해둔 수량에 도달하거나 해당 아이템이 대기열에서 제거될 때까지 생산이 계속된다.

제작 수량은 생산 도중 언제든지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대기열에 있는 아이템의 순서는 생산 라인 설정 시간에 영향을 주지 않고 자유롭게 앞이나 뒤로 옮길 수 있다. 게임 진행에 따라 필요한 조건을 만족하면 추가 작업장을 건설하여 여러 생산 대기열에서 동시에 여러 아이템을 제작하는 것도 가능하다.

8. 평가

(내용 없음)

8. 1. 출시 당시 평가

''UFO: Afterlight''는 출시 당시 엇갈린 평가를 받았다. 종합 평가 웹사이트 메타크리틱에서 평균 71/100점을 기록하고 있다.[3]

참조

[1] 뉴스 What's New? (9th Feb, 2007) https://www.eurogame[...] 2007-02-09
[2] 웹사이트 UFO:Afterlight Beams Into Stores https://www.ign.com/[...] 2007-06-08
[3] 웹사이트 UFO: Afterlight Reviews for PC https://www.metacrit[...] CBS Interactive 2020-05-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