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가고시마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가고시마만은 일본 규슈 남부에 위치한 만으로, 면적 1,130km²에 달한다. 사쿠라지마 화산이 만 안에 위치하며, 지리적으로 만 안쪽, 만 중앙부, 만 입구부로 구분된다. 지질학적으로는 화산 활동의 영향을 많이 받았으며, 두 개의 해저 칼데라가 존재한다. 역사적으로는 조몬 시대부터 사람이 거주했으며, 사쓰마 번의 영지였다. 현재는 페리 노선이 운항되고 있으며, 다양한 해양 생물이 서식하는 곳으로, 돌고래 무리가 관광 명소이기도 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가고시마현의 지형 - 오스미반도
    오스미반도는 가고시마현과 미야자키현에 걸쳐 태평양과 접하고 사타곶을 남쪽 끝으로 하는 반도로, 농업과 축산업이 활발하며 시부시항을 중심으로 해상 교통이 발달했지만 인구 감소가 심각한 지역이다.
  • 가고시마현의 지형 - 사쓰마반도
    일본 규슈 남부 가고시마현에 있는 사쓰마반도는 화산 활동으로 형성된 독특한 지형을 가지며 농업, 수산업이 활발하고 가고시마시를 중심으로 상업과 관광업이 발달한 지역이다.
  • 규슈 지방의 만 - 벳푸만
    벳푸만은 일본 오이타현 중부에 위치한 세토나이카이 만으로, 독특한 지형과 풍부한 해양 생물상을 지니고 있으며, 벳푸온센을 비롯한 여러 도시와 공업지대가 연안에 위치하고 시코쿠 및 혼슈와 연결되는 해상 교통의 요지이자 다양한 해양 스포츠 활동이 이루어지는 곳이다.
  • 규슈 지방의 만 - 아리아케해
    아리아케해는 규슈에 위치한 일본 최대 갯벌을 포함하는 폐쇄성 만으로, 조수 간만의 차가 크고 여러 하천이 유입되어 독특한 생태계를 이루며 김 양식 등 어업이 활발하지만, 간척 사업으로 인한 환경 문제와 생태계 파괴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 일본 백경 - 이나와시로호
    후쿠시마현 중앙에 있는 일본에서 네 번째로 큰 이나와시로호는 높은 고도에 위치하며 국립공원에 속하고, 과거 강산성을 띠었으나 현재 중성화 경향을 보이며 수질 변화가 진행 중이고, 지각 변동과 화산 활동으로 형성되어 농업용수와 교통로, 수력 발전 및 관광 자원으로 활용되며 백조 도래지와 유람선 운항 등으로 유명하다.
  • 일본 백경 - 쓰쿠바산
    쓰쿠바산은 이바라키현 서쪽에 위치하며, 남성봉과 여성봉으로 이루어져 부부의 화합을 상징하고, 귤 재배지로도 유명하며, 케이블카와 등산로를 통해 연중 관광객의 발길이 끊이지 않는다.
가고시마만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이름가고시마 만
다른 이름긴코 만
위치일본 규슈
지리
유형
국가일본
위치규슈 남부
국립공원기리시마긴코 만 국립공원
주요 화산아이라 칼데라 화산, 사쿠라지마 화산
지질
형성 과정아이라 칼데라의 함몰로 형성
사쿠라지마 화산 활동의 영향
지층아이라 칼데라 화산의 테프라 층
사쿠라지마 화산의 화산재
역사
주요 사건아이라 칼데라 화산 폭발 (약 10만 ~ 3만 년 전)
사쿠라지마 화산의 지속적인 활동

2. 지리

가고시마만은 화산 활동으로 만들어진 지형으로, 만의 해안선 일부는 해저 칼데라 두 곳이 형성하고 있다. 북쪽 끝에는 아이라 칼데라가, 동중국해와 만이 만나는 입구에는 아타 칼데라가 있다. 아이라 칼데라는 약 2만 2천 년 전, 아타 칼데라는 약 10만 5천 년 전 초대규모 울트라플리니안 화산 폭발로 형성되었다. 만 안의 사쿠라지마와 북쪽의 기리시마산은 아이라 화산 마그마의 분출구이며, 남쪽 사쓰마 반도의 이케다 칼데라와 가이몬산은 아타 화산의 휴화산 분출구이다.[2][3] 만 북쪽에서는 아이라 칼데라 내 와카미코 칼데라 지역에서 화산 가스가 분출되어 해수면에 도달하면 타기리(끓다)라고 불린다. 희귀 광물이 침전된 화산 굴뚝을 포함한 열수 분출구가 만 해저에 있다.[4]

가고시마만은 면적 1130km2, 남북 약 80km, 동서 약 20km의 형태를 하고 있다. 만은 북쪽부터 만 안쪽, 만 중앙부, 만 입구부의 3개 해역으로 나뉜다. 만 안쪽과 만 중앙부 사이에는 활화산인 사쿠라지마가 있다. 평균 수심은 117m로 비교적 깊고, 해안 부근 경사가 큰 밥그릇 모양 해저 지형이다. 해안선 총 연장은 약 330km이며, 그 중 약 60%는 호안 등 인공적인 조치가 시행되고 있다.

2. 1. 만 안쪽 (湾奥部)

면적 250km2, 평균 수심 140m, 최대 수심 206m이며, 남북 10km~20km, 동서 약 20km에 걸친 해역이다. 사쿠라지마의 북쪽에 위치하며 아이라 칼데라라 불리는 칼데라 지형을 구성한다. 남부에는 가고시마만 유일의 유인도인 신섬(단, 2014년 현재는 정주자 없음)이 있으며, 북부에는 신조섬 또는 하야토 삼섬이라고 총칭되는 헨다코지마, 벤텐지마, 오키코지마가 있다.

북동부에는 해저 활화산인 와카손이 있으며, '타기리'(끓어오름)라고 불리는 화산성 분기 활동이 확인되고 있다. 아마쿠사강, 베푸강 등의 하천이 유입된다. 연안의 자치체는 가고시마시, 아이라시, 키리시마시, 타리미즈시이다.

2. 2. 니시사쿠라지마 수도 (西桜島水道)

사쿠라지마(桜島)와 사쓰마 반도(薩摩半島) 사이에 있는 수심 40m, 너비 1.9km의 수도(해협)이다. 사쿠라지마 페리가 니시사쿠라지마 수도(西桜島水道) 양안에 있는 가고시마 항(鹿児島港)과 사쿠라지마 항(桜島港)을 잇고 있다.

2. 3. 만 중앙부 (湾中央部)

면적 580km2, 평균 수심 126m, 최대 수심 237m로, 남북 약 30km, 동서 약 20km에 걸쳐 펼쳐진 해역이다. 해저에는 아다 북부 칼데라라고 불리는 칼데라 지형이 형성되어 있다. 가쓰토가와(甲突川), 나가타가와, 신카와 등의 하천이 이곳으로 흘러 들어온다. 연안에 위치한 자치단체로는 가고시마시(鹿児島市), 타리미즈시(垂水市), 카고시마시(鹿屋市), 니시키에마치(錦江町), 이부스키시(指宿市)가 있다.

2. 4. 만 입구부 (湾口部)

치린케지마 남쪽에 있으며 아다 남부 칼데라라 불리는 칼데라 지형의 동쪽을 구성한다. 면적 300km2, 평균 수심 80m, 남북 약 20km, 동서 약 10km에 이르는 해역이다. 사쓰마반도 쪽으로 야마가와만이 분기한다. 유가와 등의 하천이 유입된다. 연안의 자치체는 이부스키시, 니시키에정, 미나미오스미정이다.

3. 지질

가고시마만은 부분적으로 화산 기원이며, 두 개의 거대한 해저 칼데라가 만의 해안선 일부를 형성하고 있다. 하나는 만의 북쪽 끝에 있는, 더 최근에 형성된 아이라 칼데라이고, 다른 하나는 동중국해와 만이 만나는 입구에 있는, 더 오래된 아타 칼데라이다. 두 칼데라 모두 플라이스토세 시대에 초대규모의 울트라플리니안 화산 폭발로 형성되었는데, 아이라 칼데라는 약 2만 2천 년 전, 아타 칼데라는 약 10만 5천 년 전에 형성되었다. 이러한 엄청난 규모의 분출은 매우 드물지만, 두 화산 모두 역사 시대에 훨씬 작은 규모의 분출을 지속적으로 해왔다. 만 안의 사쿠라지마와 만의 북쪽에 있는 기리시마산은 아이라 화산 마그마의 활동적인 배출구를 형성하고 있으며, 사쓰마 반도 남쪽 끝에 있는 4000년 된 작은 이케다 칼데라와 가이몬산은 아타 화산의 휴화산 배출구를 형성한다.[2][3] 만의 북쪽 내부 지역에서는 아이라 칼데라 내 와카미코 칼데라 지역에서 화산 가스가 분출되는데, 이것이 해수면에 도달하면 타기리(일본어로 '끓다'라는 뜻)라고 불린다. 희귀 광물이 침전된 화산 굴뚝을 포함한 열수 분출구가 만의 해저에 존재한다.[4]

4. 역사

약 7300년 전(기원전 6천년경) 남쪽에서 발생한 대규모 아카호야(赤穗屋) 화산 폭발로 인해 피해가 발생했다. 이 폭발로 인한 화쇄류, 쓰나미, 화산재로 인해 조몬 시대 초기 만 일대는 사람이 살 수 없게 되었다.[5]

기록이 남아있지 않은 시대 이후, 조몬 시대 사람들이 다시 이 지역에 정착한 것으로 보이며, 이후 구마소족에 의해 대체된 것으로 추정된다. 구마소족의 문화는 7세기까지 완전히 쇠퇴하였다.

7세기에는 하야토족 부족들이 두 반도에 정착하여 황실의 지배에 복종하고 봉사하였으나, 720년에서 721년 사이에 오스미(大隅) 하야토족의 반란이 일어났다. 하야토족이 7세기 말 이후 기나이 지역으로 이주하게 되면서 야마토계 이주민들이 우세하게 되었다.

1549년 8월 15일, 프란치스코 하비에르가 이끄는 예수회 선교단은 일본 상륙을 처음 거부당한 후 가고시마에 상륙하였다.[6]

가고시마만은 "긴코만(錦江湾)"이라고도 불리며, 가고시마시에는 "긴코(錦江)"라는 이름을 포함하는 지명, 다리 이름, 학교 이름, 회사 이름 등이 있다.[16] 시마즈 가(島津家) 제18대 당주 시마즈 이에히사(忠恒)가 지은 시조에서 유래했다는 설이 있다.[16] 시마즈 히사쓰구의 「구로카와키(黒川記)」에 유래하는 글귀를 새긴 비석이 히키야마가와(日木山川) 하구에 세워져 있다.[16] 에도 시대 말기까지 가고시마만 전체를 가리키는 고유 명사는 존재하지 않았고, "입해(入海)", "우라우미(裏海)", "내해(内海)" 등의 일반 명칭을 사용하였다.[16]

1863년 사쓰에이 전쟁에서 영국이 제작한 해도에는 "KAGOSHIMA BAY"라고 표기되어 있으며, 같은 시기 윌리엄 윌리스(William Willis)의 서한에는 "The Bay of Kagoshima"라는 기록이 있다.[16] 1877년 5월 2일 『가고시마현 일지 제2(鹿児島県日誌第二)』에는 "가고시마만(鹿児島湾)"이라는 기록이 있다.[16]

1945년 6월 17일, 가고시마는 B-29 폭격기의 공격을 받아 2316명이 사망하였다.

가고시마만은 남북으로 이어지는 정단층을 따라 지각이 침강하여 형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약 2만 5천 년 전 아이라 칼데라에서 발생한 아이라 대분화 이전에는 오스미 반도 중부에 얕은 바다가 펼쳐져 있었고, 가고시마만과 시부시만이 연결되어 있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사쿠라지마는 약 2만 2천 년 전에 가고시마만 내의 화산섬으로서 활동을 시작했다. 1914년 사쿠라지마 다이쇼 대분화에 의해 사쿠라지마와 오스미 반도가 연결되어 만의 형태와 해류를 크게 바꾸었다.

1779년 사쿠라지마 안영 대분화 때 해저가 융기하여 신섬이 생겼다.

4. 1. 사쓰마 번과 근대

1602년부터 1871년까지 가고시마만 일대는 사쓰마 번(薩摩藩)의 영지였다.[6] 1863년에는 영국 군함에 의한 가고시마 포격이 일어났다.[1] 1914년 사쿠라지마 화산 폭발은 가고시마에 큰 피해를 입혔다.

4. 2. 태평양 전쟁과 전후

하와이의 진주만과 모양이 비슷하다는 점 때문에, 진주만 공격을 앞둔 일본 해군 항공대와 연합함대는 가고시마만 주변에서 실전을 상정한 철저한 비밀 훈련을 실시했다.[1]

현재 가고시마만은 수심이 깊은 내해이며, 초크포인트이기도 한 오스미 해협에 가깝고, 에비노 VLF 송신소와도 가까운 곳에 있어 일본에서도 드문 잠수함의 '''성역'''이다. 아이라 칼데라는 사격 폭발 훈련에 이용되고 있다. 서수도에서는 가고시마 시가지 바로 옆에서 잠수함이 수면 항해하는 모습이 자주 목격된다.

5. 생태

사쓰마 관벌레 (사쓰마-하오리무시, ''Lamellibrachia satsuma'') 에노시마 수족관


기리시마시에서 바라본 만의 안쪽(2009년 3월)


계속되는 화산 활동은 가고시마만 연안과 수역의 다양한 야생 생물에 기여한다. 연안에는 아리무라 해변 등에서 볼 수 있는 일본녹나무와 곰솔을 포함한 희귀한 동식물이 서식한다.[2] 갈대나무는 북반구 분포의 최북단에서 발견된다.[7] 사쿠라지마 해협에서는 대잎말이 이례적으로 2m까지 자란다.[8] 심해산호인 팔산호류는 만의 남쪽 심해에서 발견된다.[9] 매우 희귀한 관벌레류 관벌레인 ''Lamellibrachia satsuma''는 이 속의 다른 종들보다 매우 얕은 82m 수심에서 발견된다.[10] 많은 어류와 패류 종이 있으며, 대규모의 돌고래 무리는 만 내의 관광 명소이다.[2]

기리시마긴카이만 국립공원 중 긴카이만 지역은 육지 면적 16200ha이며, 해양공원 지역도 여러 곳이 지정되어 있다(2012년 3월 현재)[11].

만 중앙부로 흘러드는 스즈가와, 요네쿠라가와, 이와사키가와 강 하구 부근(가고시마시 키이레 지역)에 펼쳐진 맹그로브 숲은 일본에서 맹그로브 숲의 북쪽 한계선이며, 요네쿠라가와, 이와사키가와 강 하구의 숲은 키이레의 류큐코우가이 산지라는 지정 명칭으로 국가 특별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있다. 만 안쪽, 와카존 부근 해저에는 사츠마하오리무시가 서식한다.

대형 동물상도 풍부하여, 만 안에는 3종류, 300마리가 넘는 돌고래가 서식하며, 연안에서 가끔 그 모습을 볼 수 있다. 분포 경향으로는 사쿠라지마 이북 만 안쪽에는 남방큰돌고래, 마찬가지로 만 안쪽을 포함한 만 전체에 하세돌고래, 만 입구 부분에서 큰돌고래가 보인다.[17] 또한 해변에는 바다거북의 산란 장소의 남쪽 한계선이 있다.

만 안쪽 및 만 중앙부가 깊고 만 입구 부분이 얕기 때문에 해수의 교체에 시간이 걸린다. 또한, 유입되는 하천의 유역에 약 90만 명의 인구가 거주하고 있어, 생활 배수 및 산업 폐수에 의한 수질 악화가 진행되고 있다. 연간 수 회의 빈도로 적조가 발생하고 있으며, 특히 1977년(쇼와 52년), 1985년(쇼와 60년), 1995년(헤이세이 7년)에 큰 어업 피해를 입었다. 1979년(쇼와 54년) 5월에 '''가고시마만 수질환경관리계획'''('''가고시마만 블루 계획''')이 수립되어, 주변 지역의 하수도 보급 등의 대책이 시행되고 있다.

2007년 오카야마 대학의 조사에서 가고시마만의 해저 활화산 「와카존」 주변 수심 약 200m의 해저에서 열수 분출공을 발견했다. 그 후 로봇 조사 등에서 희토류인 안티몬을 다량 함유한 광상이 확인되었다. 약 90만 톤이 매장되어 있을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하고 있지만, 이번에 발견한 광상에 대해서는 채굴 가능한 수심이지만 내해이기 때문에 굴착하면 해양 오염에 의한 어업 피해가 우려된다고도 발표하고 있다.

같은 지역의 시게토미 간석지가 「풍요로운 풍토를 후세에(긴카이만 시게토미 간석지)」로 헤이세이 24년도 국토교통성 손으로 만든 고향 상을 수상했다.[18]

6. 교통

가고시마만 내에는 다음과 같은 항구들이 있다.

만 안쪽시게토미항, 가지키항, 하야토항
만 중앙부가고시마항, 다루미즈항(수이항), 가노야항
만 입구이부스키항, 야마카와 어항, 네지메항



또한, 가고시마만에서는 다음과 같은 페리 노선이 운항되고 있다.


  • 가고시마사쿠라지마 페리 (사쿠라지마 부두 ~ 사쿠라지마 항)
  • 가고시마시 운영 행정 연락선 (신섬 신섬항 ~ 사쿠라지마 우라마에항)
  • 가모이케·다루미즈 페리 (가모이케 항 ~ 다루미즈 항)
  • 야마가와·네지메 페리 (야마가와항 ~ 네지메항)


이부스키·네지메 고속선 (이부스키 항 ~ 네지메 항)은 2020년 3월 31일을 기해 운항이 중지되었다.

7. 문화

가고시마만은 '긴코만(錦江湾)'이라고도 불리며, 가고시마 시내에는 '긴코(錦江)'라는 이름을 포함하는 지명, 다리 이름, 학교 이름, 회사 이름 등이 있다.[16]

시마즈 가 제18대 당주 시마즈 이에히사가 지은 시조 "파도가 밀려오는 긴코는 이소야마의 나무 끝에 피는 꽃빛깔이로구나(浪のおりかくる錦は磯山の梢にさらす花の色かな)"가 유래가 되었다는 설이 있으며, 시마즈 히사쓰구의 《구로카와키(黒川記)》에 유래하는 글귀를 새긴 비석이 히키야마가와(日木山川) 하구에 세워져 있다.[16] 시마즈 히사쓰구의 《구로카와키(黒川記)》에 있는 "시조에 錦波(긴코파)라는 두 글자가 있어, 그 때문에 또한 錦江(긴코)라고 부른다(歌中有錦波二字、因此又呼錦江)"에서 《가지키향토지(加治木郷土誌)》 등에서는 히사쓰구 시대에 구로카와(黒川) 하구의 만이 '긴코(錦江)'라고 명명되었다고 하고 있지만, 《구로카와키(黒川記)》 원문에서는 어디까지나 구로카와(黒川)(히키야마가와(日木山川))에 '긴코(錦江)'라는 별칭이 생긴 것만으로, 메이지 시대에 들어와서야 '긴코(錦江)'가 바다의 명칭으로 바뀌었다는 설도 있다.[16]

에도 시대 말기까지 가고시마만 전체를 가리키는 고유 명사는 존재하지 않았고, 지지류에서는 '입해(入海)', '우라우미(裏海)', '내해(内海)' 등의 보통 명사를 사용하고 있었다.[16]

1863년(분큐 3년)의 사쓰에이 전쟁에서 영국이 제작한 해도에는 'KAGOSHIMA BAY'라고 표기되어 있는 외, 같은 시기의 윌리엄 윌리스의 서한에는 'The Bay of Kagoshima'라는 기록이 있다.[16] 1877년(메이지 10년) 5월 2일의 《가고시마현 일지 제2(鹿児島県日誌第二)》에는 '가고시마만(鹿児島湾)'이라는 기록이 있다.[16]

한편, 1891년(메이지 24년) 8월의 가고시마 신문 기사에는 '긴코만(錦湾)', 같은 해 11월의 가고시마 매일신문 창간 축사에는 '긴코(錦江)'라는 표현이 있다.[16]

지도에서는 '가고시마만(鹿児島湾)'이라고 기재하고 있는 것이 많지만, 1960년대부터 주택 지도나 분현 지도 등에서는 '가고시마만(錦江湾)(鹿児島湾(錦江湾))'이라고 병기하는 것이 나타나고, 그 배경에는 1955년(쇼와 30년)의 긴코만 국정공원 지정이 한 원인이라고도 말해지고 있다.[16] 1964년(쇼와 39년)에 긴코만 국정공원은 야쿠시마 지역의 편입에 의해 기리시마야쿠 국립공원으로 명칭이 변경되었고, 2012년(헤이세이 24년)의 야쿠시마 지역 분리에 의해 기리시마긴코만 국립공원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11]

문부성 가요 중 하나인 '나는 바다의 아이'의 가사는 가고시마만(鹿児島湾)이 모티브라고 알려져 있으며, 만에 접한 가고시마시(鹿児島市)의 '기온노스 주 공원(祇園之州公園)'에는 이 노래의 노래비가 세워져 있다.

8. 대한민국의 관점에서의 가고시마만

가고시마만은 임진왜란일제강점기를 거치면서 한국과 관련된 역사적 사건들이 있었던 장소이다. 특히 일제강점기에는 진주만 공격을 위한 비밀 훈련 장소로 사용되기도 했다.

8. 1. 임진왜란과 가고시마만

하와이의 진주만과 모양이 비슷하여, 진주만 공격을 앞둔 일본 해군 항공대와 연합함대가 가고시마만 주변에서 실전을 상정한 철저한 비밀 훈련을 실시했다.

8. 2. 일제강점기와 강제징용

하와이의 진주만과 모양이 비슷하다는 점 때문에, 진주만 공격을 앞둔 일본 해군 항공대와 연합함대가 가고시마만 주변에서 실전을 상정한 철저한 비밀 훈련을 실시했다.

8. 3. 현대의 관계

1914년 사쿠라지마 화산 폭발로 가고시마에 큰 피해가 발생했다.[1] 1945년 6월 17일에는 B-29 폭격기의 공격을 받아 2,316명이 사망하였다.

참조

[1] 서적 Merriam Webster's Geographical Dictionary, Third Edition
[2] 웹사이트 Global Volcanism Program - Aira https://volcano.si.e[...]
[3] 웹사이트 Global Volcanism Program - Ata https://volcano.si.e[...]
[4] 웹사이트 About http://www.sakurajim[...] 2021-03-16
[5] 논문 Age and cultural influence of the Kikai-Akahoya eruption as seen from archaeological material in south Kyūshū, Japan
[6] 논문 Xavier and Tanegashima
[7] 웹사이트 Coastal Area 15204 Adjacent waters of Maenohama, Kinko Bay https://www.env.go.j[...] 2022-09-21
[8] 웹사이트 Coastal Area 15202 Western Sakurajima Channel https://www.env.go.j[...] 2022-09-21
[9] 웹사이트 Coastal Area 15203 Central Kinko Bay https://www.env.go.j[...] 2022-09-21
[10] 논문 Lamellibrachia Satsuma, A New Species Of Vestimentiferan, Worms Bay, Japan https://www.biodiver[...]
[11] 웹사이트 霧島錦江湾国立公園 https://www.env.go.j[...] 環境省 2021-08-25
[12] 논문 10万~3万年前の姶良カルデラ火山のテフラ層序と噴火史 日本地質学会 2021-10-03 #추가
[13] 웹사이트 日本の火山 桜島 https://gbank.gsj.jp[...] 産業技術総合研究所 地質調査総合センター 2016-04 #추가
[14] 웹사이트 桜島の歴史 https://www.qsr.mlit[...] 国土交通省 九州地方整備局 大隅河川国道事務所
[15] 논문 桜島火山の噴火史と火山災害の歴史 日本第四紀学会
[16] 논문 「錦江湾」の由来について 鹿児島県歴史資料センター黎明館 2008-03
[17] 간행물 豊かな海を探る錦江湾鯨類調査 財団法人鹿児島市水族館公社展示課展示第二係(イルカチーム) http://kagoshima-hir[...] 2010-12-01
[18] 웹사이트 鹿児島県受賞一覧 https://www.mlit.go.[...] 国土交通省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