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대적혈모구빈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거대적혈모구빈혈은 비타민 B12 또는 엽산 결핍으로 인해 적혈구의 DNA 합성에 문제가 생겨 발생하는 빈혈의 일종이다. 주요 원인으로는 비타민 B12 결핍(흡수 불량, 섭취 부족, 내인자 결핍 등), 엽산 결핍(알코올 중독, 섭취 부족, 요구량 증가 등), 유전성 피리미딘 합성 장애, 독소 및 약물, 적혈구백혈병 등이 있다. 진단은 혈액 검사에서 평균 적혈구 용적(MCV) 증가, 젖산 탈수소 효소(LDH) 수치 증가, 메틸말론산 및 호모시스테인 수치 측정 등을 통해 이루어진다. 증상으로는 설염, 심부 감각 저하, 백발, 건 반사 감소, 저림 등이 나타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거대적혈모구빈혈 | |
---|---|
질병 개요 | |
분야 | 혈액학 |
증상 | (정보 없음) |
합병증 | (정보 없음) |
발병 시기 | (정보 없음) |
지속 기간 | (정보 없음) |
유형 | (정보 없음) |
원인 | (정보 없음) |
위험 요인 | (정보 없음) |
진단 | (정보 없음) |
감별 진단 | (정보 없음) |
예방 | (정보 없음) |
치료 | (정보 없음) |
약물 | (정보 없음) |
예후 | (정보 없음) |
빈도 | (정보 없음) |
사망률 | (정보 없음) |
병리학 정보 | |
![]() | |
ICD-10 | D51 D52 D53 |
ICD-9 | 281 |
DiseasesDB | 29507 |
MeSH ID | D000749 |
OMIM | (정보 없음) |
MedlinePlus | (정보 없음) |
eMedicine 주제 | med/1420 |
eMedicine 멀티 | ped/2575 |
추가 정보 | |
동의어 | 거대적혈모구빈혈 |
2. 원인
거대적혈모구빈혈의 원인은 크게 비타민 B12 결핍, 엽산 결핍, 기타 원인으로 나눌 수 있다.
원인 종류 | 상세 원인 |
---|---|
비타민 B12 결핍 | 무위산증으로 인한 흡수 불량, 섭취 부족, 내인자 결핍 (악성 빈혈, 위절제술), 복강병, 게실증, 누공, 장 문합, 광절열두조충 감염, 선택적 비타민 B12 흡수 불량, 만성 췌장염, 회장 절제술 및 우회술, 아산화 질소 마취[5][6] |
엽산 결핍 | 알코올 중독, 섭취 부족, 임신, 유아기, 빠른 세포 증식, 간경변 등으로 인한 필요량 증가, 흡수 불량, 장 및 공장 절제술, 티아민 결핍, 비정상적인 엽산 대사 관련 인자[5][6] |
기타 원인 | 유전성 피리미딘 합성 장애 (오로트산뇨증), 유전성 DNA 합성 장애, 엽산 길항제 (메토트렉세이트), 퓨린 합성 길항제 (6-메르캅토푸린, 아자티오프린), 피리미딘 길항제 (시타라빈), 페니토인, 아산화 질소 등의 약물 및 독소, 적혈구백혈병, 메티오닌 신타제 유전자 돌연변이, 디 구글리엘모 증후군, 선천성 적혈구 형성 이상 빈혈, 구리 결핍[5][6] |
2. 1. 비타민 B12 결핍
- 무위산증으로 유도된 흡수 불량
- 섭취 부족
- B12 흡수에 필요한 위 세포에서 생성되는 분자인 내인자 결핍 (악성 빈혈 또는 위절제술)
- 복강병
- 게실증, 누공, 장 문합, 또는 해양 기생충 ''광절열두조충 (물고기 촌충)'' 감염에 의한 비타민 B12 생물학적 경쟁
- 선택적 비타민 B12 흡수 불량 (선천성—소아 거대 적아 구성 빈혈 1—및 약물 유도)
- 만성 췌장염
- 회장 절제술 및 우회술
- 아산화 질소 마취 (보통 반복적인 사례가 필요함).[5][6]
2. 2. 엽산 결핍
- 알코올 중독[5][6]
- 섭취 부족[5][6]
- 요구량 증가: 임신, 유아, 빠른 세포 증식, 간경변[5][6]
- 흡수 불량 (선천성 및 약물 유도)[5][6]
- 장 및 공장 절제술[5][6]
- (간접적) 티아민 결핍 및 비정상적인 엽산 대사를 담당하는 인자(예: 효소)[5][6]
2. 3. 기타 원인
- 비타민 B12 결핍:
- 무위산증으로 유도된 흡수 불량
- 섭취 부족
- B12 흡수에 필요한 위 세포에서 생성되는 분자인 내인자 결핍 (악성 빈혈 또는 위절제술)
- 복강병
- 게실증, 누공, 장 문합, 또는 해양 기생충 ''광절열두조충 (물고기 촌충)'' 감염에 의한 비타민 B12 생물학적 경쟁
- 선택적 비타민 B12 흡수 불량 (선천성—소아 거대 적아 구성 빈혈 1—및 약물 유도)
- 만성 췌장염
- 회장 절제술 및 우회술
- 아산화 질소 마취 (보통 반복적인 사례가 필요함).
- 엽산 결핍:
- 알코올 중독
- 섭취 부족
- 임신, 유아, 빠른 세포 증식, 간경변등의 증가된 요구
- 흡수 불량 (선천성 및 약물 유도)
- 장 및 공장 절제술
- (간접적) 티아민 결핍 및 비정상적인 엽산 대사를 담당하는 인자(예: 효소).
- 유전성 피리미딘 합성 장애: 오로트산뇨증
- 유전성 DNA 합성 장애
- 독소 및 약물:
- 엽산 길항제 (메토트렉세이트)
- 퓨린 합성 길항제 (6-메르캅토푸린, 아자티오프린)
- 피리미딘 길항제 (시타라빈)
- 페니토인
- 아산화 질소
- 적혈구백혈병
- 메티오닌 신타제 유전자의 선천적 유전자 돌연변이
- 디 구글리엘모 증후군
- 선천성 적혈구 형성 이상 빈혈
- 치아 접착 크림을 과도하게 섭취하여 아연이 과다하게 축적되어 발생하는 구리 결핍이 원인으로 밝혀졌다.[5][6]
3. 병태생리
빠르게 분열하는 세포에서 DNA 합성에 결함이 있으며, RNA 및 단백질 합성 역시 어느 정도 손상된다. 따라서 핵 성숙이 멈추면서 불균형한 세포 성장과 손상된 세포 분열이 발생하여 세포는 핵-세포질 비동기성을 보인다.[1]
골수에서 대부분의 거대적혈모구는 말초 혈액으로 들어가기 전에 파괴된다(골수내 용혈).[1] 일부는 골수를 빠져나가 말초 혈액으로 이동할 수 있지만(거대적혈구), 세망내피계에 의해 파괴된다(골수외 용혈).[1]
4. 진단
비타민 B₁₂ 결핍증 진단의 표준은 낮은 혈중 비타민 B₁₂ 수치이다. 그러나 저비타민 B₁₂ 혈증은 여러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으므로, 원인을 파악하기 위해 추가적인 환자 병력, 검사, 경험적 치료가 필요할 수 있다.
메틸말론산 측정은 비타민 B₁₂ 및 엽산 결핍을 부분적으로 구별하는 간접적인 방법이다. 엽산 결핍 시에는 메틸말론산 수치가 상승하지 않는다. 혈중 코발라민 직접 측정은 메틸말론산 상승 검사가 충분히 특이적이지 않기 때문에 여전히 표준 검사이다. 비타민 B₁₂는 효소 메틸말로닐-코엔자임 A 뮤테이스에 필요한 보조 그룹 중 하나이다. 비타민 B₁₂ 결핍은 이 효소의 기능 장애와 기질인 메틸말론산의 축적을 초래할 수 있으며, 메틸말론산의 상승된 수치는 소변과 혈액에서 검출될 수 있다.
실링 검사는 과거에 비타민 B₁₂ 결핍의 특성을 파악하는 데 사용되었으나, 현재는 방사성 비타민 B₁₂가 부족하여 주로 역사 속 유물로 남아있다.
4. 1. 혈액 검사
혈액 도말 검사에서는 다음과 같은 소견을 통해 비타민 결핍을 확인할 수 있다.- 적혈구 (RBC) 수치와 헤모글로빈 수치 감소[7]
- 평균 적혈구 용적 (MCV, >100 fL) 및 평균 적혈구 혈색소 (MCH) 증가
- 정상 평균 적혈구 혈색소 농도 (MCHC, 32–36 g/dL)
- 취약하고 비정상적인 거대적혈모구 적혈구 전구체의 파괴로 인한 망상 적혈구 수치 감소
- 혈소판 수치 감소 가능성[8]
- 호중구는 다분엽 호중구 핵을 보일 수 있다("노인성 호중구"). 이는 생산 감소와 순환 호중구의 보상적인 수명 연장으로 인한 것으로,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핵 분절 수가 증가한다.
- 적혈구 부동증 (RBC 크기의 변동 증가) 및 변형 적혈구증 (비정상적인 모양의 RBC)
- 대적혈구 (정상보다 큰 RBC) 존재
- 타원적혈구 (타원형 RBC) 존재
- Howell-Jolly 소체 (염색체 잔해) 존재
혈액 화학 검사에서는 다음을 확인할 수 있다.
- 증가된 젖산 탈수소 효소 (LDH) 수치. 동질효소는 혈청 및 조혈 세포의 전형적인 LDH-2이다.
- 비타민 B 결핍 시 증가된 호모시스테인 및 메틸말론산
- 엽산 결핍 시 증가된 호모시스테인
메틸말론산과 총 호모시스테인 모두 정상 수치는 임상적으로 유의미한 코발라민 결핍을 거의 확실하게 배제한다.[9]
골수 검사(거대적혈모구빈혈이 의심되는 환자에게는 일반적으로 검사하지 않음)에서는 거대적혈모구 과형성이 나타난다.[10]
4. 2. 추가 검사
비타민 B 결핍증 진단의 표준은 혈중 비타민 B 수치가 낮은 것이다. 그러나 저비타민 B 혈증은 여러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으므로, 원인 파악을 위해 추가적인 검사가 필요할 수 있다.메틸말론산 측정은 비타민 B 결핍과 엽산 결핍을 구별하는 간접적인 방법이다. 엽산 결핍 시에는 메틸말론산 수치가 상승하지 않는다. 그러나 혈중 코발라민 직접 측정이 여전히 표준 검사이다. 비타민 B는 메틸말로닐-코엔자임 A 뮤테이스 효소의 보조 인자인데, 비타민 B 결핍은 이 효소의 기능 장애를 일으켜 메틸말론산 축적을 초래할 수 있다.
실링 검사는 과거에 비타민 B 결핍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사용되었으나, 현재는 방사성 비타민 B 부족으로 인해 역사 속 유물이 되었다.
5. 증상
설염(악성 빈혈에서는 헌터 설염), 심부 감각 저하, 나이에 걸맞지 않은 백발, 건 반사 감소, 저림[12][13]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참조
[1]
웹사이트
Anemia. Blood patient information
http://www.dgft.nhs.[...]
2021-05-09
[2]
웹사이트
Megaloblastic Anemia: Overview - eMedicine Hematology
http://emedicine.med[...]
2009-02-07
[3]
웹사이트
Megaloblastic (Pernicious) Anemia - Lucile Packard Children's Hospital
http://www.lpch.org/[...]
2008-03-12
[4]
서적
Dacie and Lewis Practical Haematology E-Book
https://books.google[...]
Elsevier Health Sciences
2016-08-11
[5]
논문
Denture cream: an unusual source of excess zinc, leading to hypocupremia and neurologic disease
2008-08-26
[6]
논문
When metals compete: a case of copper-deficiency myeloneuropathy and anemia
2009-02
[7]
웹사이트
Megaloblastic Anemia
https://www.nlm.nih.[...]
2012
[8]
웹사이트
Megaloblastic Anemia
https://www.lecturio[...]
2021-08-10
[9]
논문
Sensitivity of serum methylmalonic acid and total homocysteine determinations for diagnosing cobalamin and folate deficiencies
[10]
서적
Harrison's Principles of Internal Medicine
McGraw-Hill
2015-10-23
[11]
웹사이트
Megaloblastic Anemia: Overview - eMedicine Hematology
http://emedicine.med[...]
2009-02-07
[12]
서적
イヤーノート 2015: 内科・外科編
メディック・メディア
[13]
서적
病気がみえるVol.5
メディックメディア社発行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