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강병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복강병은 밀, 보리, 호밀 등에 들어있는 글루텐에 대한 자가면역 반응으로 발생하는 질환이다. 소화기 증상과 소화기 외 증상이 다양하게 나타나며, 설사, 지방변, 철 결핍성 빈혈, 체중 감소 등이 일반적이다. 글루텐 섭취로 장의 융모 구조가 파괴되어 영양소 흡수에 문제가 생기며, 유전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병한다. 진단에는 혈청 검사, 내시경 검사 및 생검이 사용되며, 유일한 치료법은 평생 글루텐 프리 식단을 유지하는 것이다. 전 세계적으로 100명 중 1명에서 170명 사이에서 발생하며, 최근 진단 관행의 변화와 실제 발병률 증가로 보고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영양실조 - 이종일 (1858년)
조선 말기의 개화 사상가이자 언론인, 독립운동가인 이종일은 독립신문 창간 참여, 제국신문 사장 역임 등의 언론 활동과 천도교 입교 후 3·1 운동에 민족대표로 참여했으며, 해방 후에는 조선국문연구회 회장을 맡아 한글 맞춤법 연구에 기여했다. - 영양실조 - 괴혈병
괴혈병은 비타민 C 부족으로 생기는 병으로, 잇몸에서 피가 나거나 피부에 문제가 생기고 상처가 잘 낫지 않는 증상이 나타나며, 감귤류를 먹으면 예방하거나 치료할 수 있다. - 위장관 질환 - 혈변
혈변은 항문으로 혈액이 섞여 나오는 변으로, 다양한 원인(소화기 질환, 감염성 질환, 혈액 질환, 약물, 독성 물질 등)에 의해 발생할 수 있으며, 진단을 위해 병력 청취, 검진, 혈액/대변 검사, 내시경 검사 등이 활용된다. - 위장관 질환 - 위장출혈
위장출혈은 소화기관의 출혈로, 상부와 하부 위장관 출혈로 구분되며 소화성 궤양, 식도 정맥류, 치질, 대장암 등이 원인이 될 수 있고 토혈, 흑변, 혈변 등의 증상과 함께 내시경, 약물, 수술 등으로 치료한다. - 자가 면역 질환 - 류마티스 관절염
류마티스 관절염은 관절 활막의 만성 염증성 질환으로, 조기 진단과 적극적인 치료를 통해 질병 진행을 늦추고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것이 중요하며, 진단에는 류마티스 인자와 항CCP 항체가 사용되고 메토트렉세이트 등의 약물로 치료한다. - 자가 면역 질환 - 크론병
크론병은 위장관에 만성 염증을 일으키는 질환으로, 유전적 요인, 면역계 이상, 환경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며 복통, 설사, 합병증 등을 유발할 수 있고, 약물 요법, 영양 요법, 수술 등으로 치료하며 완치 치료법은 없다.
복강병 | |
---|---|
질병 개요 | |
분야 | 소화기학, 내과학 |
발음 | 씨ː리æk (SEE-lee-ak) |
동의어 | 실리악 스프루, 비열대성 스프루, 유행성 스프루, 글루텐 장병증 |
증상 및 합병증 | |
증상 | 없음 또는 비특이적 증상, 복부 팽만, 설사, 변비, 흡수 장애, 체중 감소, 피부 헤르페스 모양 피부염 |
발병 연령 | 모든 연령 |
지속 기간 | 평생 |
합병증 | 철 결핍성 빈혈, 골다공증, 불임, 암, 신경학적 문제, 기타 자가면역 질환 |
원인 및 위험 요인 | |
원인 | 글루텐에 대한 반응 |
위험 요인 | 유전적 소인, 제1형 당뇨병, 자가면역 갑상선 질환, 다운 증후군 및 터너 증후군 |
진단 및 감별 진단 | |
진단 | 가족력, 혈액 항체 검사, 장 생체 검사, 유전자 검사, 글루텐 제거에 대한 반응 |
감별 진단 | 염증성 장 질환, 장내 기생충, 과민성 대장 증후군, 낭포성 섬유증 |
예방 및 치료 | |
예방 | 해당 사항 없음 |
치료 | 글루텐 프리 식단 |
통계 및 기타 정보 | |
빈도 | 약 1/135 |
사망률 | 해당 사항 없음 |
2. 증상
셀리악병의 증상은 소화기 증상과 소화기 외 증상으로 나눌 수 있으며, 개인마다 매우 다양하게 나타난다. 글루텐 알레르기가 의심되는 경우 정확한 진단을 받는 것이 중요하지만, 자가진단은 피해야 한다. 콜럼비아 대학교 복강병 센터의 피터 H.R. 그린(Peter H.R. Green) 박사에 따르면 복강병의 3/4은 뚜렷한 증상이 없으며, 증상이 있는 환자도 과민성 대장 증후군, 빈혈, 스트레스 등으로 잘못 진단받는 경우가 많다.[202] 따라서 의사 처방 없이 글루텐 프리 식사를 하는 것은 오진의 가능성을 높일 수 있으므로 권장되지 않는다.[202]
미치료 복강병은 설사, 지방변, 철 결핍성 빈혈, 체중 감소 또는 증가 실패 등의 전형적인 증상을 보일 수 있지만,[31] 미미하거나 장 외의 장기에서 주로 발생하는 일반적인 증상도 있을 수 있다.[31] 또한 전형적인 증상이 전혀 없는 경우도 가능하다.[10] 이는 소아의 경우 적어도 43%를 차지하며,[32] 성인의 경우 피로, 빈혈, 낮은 골밀도만 나타날 수 있다.[20] 무증상이라고 생각하는 많은 사람들은 만성적으로 건강이 악화된 상태에 익숙해진 것일 수 있으며, 글루텐 프리 식단 시작 후 개선을 통해 이전 증상을 회상하고 인식하기도 한다.[27][19][29]
복강병의 증상은 소화 기관 손상과 관련된 직접적인 영향과 부차적인 영향으로 나눌 수 있으며, 과민성 대장 증후군, 크론병, 게실염, 만성 피로 증후군, 전신 홍반 루푸스, 자가면역 질환 등 다른 질병과 유사하다.
소화기 증상과 소화기 외 증상은 이미 하위 섹션에서 자세하게 다루고 있으므로, 여기서는 기타 증상에 대한 정보를 추가한다.
'''기타 증상'''[191]
2. 1. 소화기 증상
글루텐 섭취로 인한 염증성 장염은 면역 반응을 일으켜 장의 융모 구조를 파괴하고 영양소 흡수를 방해한다. 이로 인해 영양불량, 체중 감소, 복부 팽만, 설사 등이 발생하며, 소아의 경우 성장과 발달 지연을 초래할 수 있다.[201]미치료 복강병의 전형적인 증상은 설사, 지방변, 철 결핍성 빈혈, 체중 감소 또는 체중 증가 실패 등이다.[31] 만성적이고 악취가 나는 설사가 나타나며, 복통, 경련, 복부 팽만, 구강 궤양 등이 동반될 수 있다.[33] 소화관 손상이 심해지면 유당 불내증이 발생할 수 있다.[10] 이러한 증상은 과민성 대장 증후군(IBS)으로 오인되기도 하지만, 실제로는 복강병인 경우가 있다. IBS 증상을 가진 사람 중 약 3.3%가 복강병으로 진단되며, 이는 일반 인구보다 4배 높은 수치이다.[34]
2. 2. 소화기 외 증상
철 결핍성 빈혈, 골감소증/골다공증, 피로, 체중 감소 또는 증가, 성장 부진 (소아), 사춘기 지연, 불임, 유산, 저체중아 출산, 조산 등이 나타날 수 있다.[31][20][44] 비장 기능 저하증, 간 기능 이상, 우울증, 불안, 신경 질환, 피부 질환 (듀링병), 자가면역 질환 (제1형 당뇨병, 갑상선 기능 저하증, 원발성 담즙성 담관염, 미세 대장염, 글루텐 운동실조, 건선, 백반증, 자가면역 간염, 원발성 경화성 담관염 등)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45][10][46][14][42][43]이는 영양소 흡수 능력 감소로 인해 발생한다.[10][39] 탄수화물과 지방의 흡수 불량은 체중 감소 (또는 소아의 발육 부전 또는 성장 부진) 및 피로 또는 에너지 부족을 유발할 수 있다. 엽산 및 비타민 B12 흡수 불량은 거대 적아구성 빈혈을 유발할 수 있다. 칼슘과 비타민 D 흡수 불량 (및 보상성 부갑상선 기능 항진증)은 골감소증 (뼈의 무기질 함량 감소) 또는 골다공증 (뼈 약화 및 골절 위험)을 유발할 수 있다. 셀레늄 흡수 불량은 복강병에서 발생하며, 많은 글루텐 프리 식품의 낮은 셀레늄 함량과 결합하여 셀레늄 결핍의 위험을 초래한다.[40] 구리 결핍과 아연 결핍 또한 복강병과 관련이 있다.[40] 소수의 사람들은 비타민 K 결핍으로 인해 응고 이상이 있으며 약간의 출혈 위험이 있다.
3. 원인
복강병의 원인은 확실하게 밝혀지지는 않았지만, 대부분의 환자들에서 밀, 보리, 맥아, 호밀에 들어 있는 단백질 성분인 글루텐이 없는 식사를 할 경우 증상이 완화된다. 또한, 많은 경우 가족력(familial tendency)을 보인다.[10][48]
복강병은 밀에 함유된 글리아딘과 글루테닌(글루텐 단백질)에 대한 염증 반응과 트리티케족(보리, 호밀 등 다른 일반적인 곡물 포함)에 속하는 작물, 그리고 귀리에 속하는 아베네족에 속하는 작물에 대한 염증 반응으로 발생한다.[10][48] 밀 아종 (스펠트, 듀럼, 카무트)과 밀 잡종 (트리티케일) 또한 복강병의 증상을 유발한다.[48][49]
복강병 환자 중 소수는 귀리에 반응한다.[10] 복강병 환자에게서의 귀리 독성은 섭취한 귀리 품종에 따라 다르다. 그 이유는 독성 프롤라민의 프롤라민 유전자, 단백질 아미노산 서열, 그리고 면역반응이 귀리 품종마다 다르기 때문이다.[12][50] 또한, 귀리는 글루텐이 함유된 다른 곡물로 인해 오염되는 경우가 많다.[12][50][51] "순수 귀리"라는 용어는 다른 글루텐 함유 곡물에 오염되지 않은 귀리를 의미한다.[12] 순수 귀리 섭취의 장기적인 영향은 아직 불분명하며,[52] 글루텐 프리 식단에 포함시키는 것에 대한 최종 권고를 내리기 전에 사용된 품종을 식별하는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51] 귀리 섭취를 선택하는 복강병 환자는 주기적인 장 생검을 포함하여 더 엄격한 평생 추적 관찰이 필요할 수 있다.[52]
옥수수, 수수, 기장, 테프, 쌀, 야생 쌀과 같은 다른 곡물과 아마란스, 퀴노아, 메밀과 같은 비곡물은 복강병 환자가 섭취해도 안전하다.[49][53] 감자와 바나나와 같은 비곡물 탄수화물 함량이 높은 식품에는 글루텐이 들어 있지 않아 증상을 유발하지 않는다.[49]
유전적으로 취약한 개인이 복강병을 앓게 될지를 결정하는 요인에 대해서는 다양한 이론이 존재한다. 주요 이론으로는 수술, 임신, 감염 및 정서적 스트레스가 있다.[54]
아기의 어린 나이에 글루텐을 섭취하는 것은 복강병의 위험을 증가시키지 않는 것으로 보이지만, 6개월 이후에 섭취하는 것은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다.[55][56] 모유 수유가 위험을 줄이는지에 대해서는 불확실성이 있다. 글루텐 함유 곡물을 식단에 도입할 때까지 모유 수유를 연장하는 것은 유아기에 복강병 발병 위험을 50% 감소시키는 것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이지만, 이러한 효과가 성인기까지 지속되는지는 불분명하다.[57] 이러한 요인들은 단지 발병 시기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58]
제2차 세계 대전 중 유럽에서 글루텐 식단과의 관련성이 지적되어 인식이 확산되었다.[190]
복강병은 유전 질환이다. 환자의 근친자에게 복강병 환자가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유전적 요인이 크다고 여겨지며, 복강병 환자의 대부분이 (인간 백혈구 항원의) HLA-DQ2 또는 HLA-DQ8이 양성이다.[186]
4. 기전
복강병은 여러 유전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하는 다인성 질환으로 알려져 있다.[59] 복강병 환자 대부분(95%)은 HLA-DQ2 대립 유전자 변이나 HLA-DQ8 대립 유전자를 가지고 있지만,[20][60] 복강병이 없는 사람들도 20~30%는 이러한 유전자를 보유하고 있다.[62] 이는 복강병 발병에 다른 요인이 추가로 필요함을 시사한다. 즉, HLA 위험 대립 유전자는 복강병 발병에 필요하지만, 이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62]
대부분의 복강병 환자는 HLA-DQ 단백질 유형 중 2가지(DQ2, DQ4–DQ9)를 가진다.[62] 이 유전자들은 MHC 클래스 II 항원 제시 수용체 (인간 백혈구 항원) 시스템의 일부로, 면역 체계가 자기와 비자기를 구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HLA-DQ 단백질의 두 소단위체는 6번 염색체 단완에 위치한 HLA-DQA1 및 HLA-DQB1 유전자에 의해 암호화된다.
복강병 환자의 95% 이상이 DQ2 또는 DQ8의 동형을 가지고 있는데, 이 유전자들이 만드는 수용체가 다른 형태의 수용체보다 글리아딘 펩타이드에 더 강하게 결합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수용체들은 T 세포를 활성화하고 자가면역 반응을 유발할 가능성이 더 높다.[20]
대부분의 복강병 환자는 DQ2.5 유전자형이라고 하는 2개의 유전자 HLA-DQ2 반수체형을 가진다. 이 반수체형은 두 개의 인접한 유전자 대립유전자인 DQA1*0501과 DQB1*0201로 구성되며, 두 개의 소단위체 DQ α5와 DQ β2을 암호화한다.
유전 질환인 복강병은 환자의 근친자에게서 환자가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유전적 요인이 크다고 여겨지며, 복강병 환자 대부분은 (인간 백혈구 항원의) HLA-DQ2 또는 HLA-DQ8이 양성이다.[186]
복강병에서 면역 반응을 일으키는 주요 단백질은 프로라민이다. 프로라민은 알코올에 녹고, 장의 프로테아제와 펩티다제에 저항성이 있는 프롤린과 글루타민이 풍부한 저장 단백질이다.[20][72] 프로라민은 곡물에 따라 다르지만 서로 관련되어 있으며, 밀(글리아딘), 보리(호르데인), 호밀(세칼린), 귀리(아베닌) 등에 존재한다.[48] α-글리아딘의 한 영역은 장의 상피 세포인 막 세포를 자극하여 세포 사이의 밀착 연접을 파괴하고, 더 큰 분자가 통과하도록 한다.[73]
막 누출은 선천성 반응과 적응성 (T-헬퍼 세포 매개) 반응, 두 가지 수준의 면역 반응을 자극하는 글리아딘 펩타이드를 허용한다. α-글리아딘에서 유래된 프로테아제 저항성 펩타이드 중 하나는 림프구를 자극하고 인터루킨-15의 방출을 유발하는 영역을 포함한다. 이 글리아딘에 대한 선천성 반응은 염증 세포를 끌어들이고 염증성 화학 물질의 방출을 증가시키는 면역 체계 신호를 발생시킨다.[20] 글리아딘에 대한 가장 강력하고 흔한 적응성 반응은 33개의 아미노산 길이의 α2-글리아딘 단편을 향한다.[20]
33mer에 대한 반응은 DQ2 이소형을 가진 대부분의 복강병 환자에게서 발생한다. 이 펩타이드는 장 트랜스글루타미나제에 의해 변형되면 중첩된 T-세포 에피토프의 밀도가 높다. 이는 DQ2 이소형이 T-세포에 의해 인식될 때 펩타이드에 결합하고 유지될 가능성을 증가시킨다.[74]
소장 내 상피 세포에는 융모·미세 융모라고 불리는 작은 돌기가 존재하여 영양소의 흡수를 수행한다. 유전적으로 복강병에 걸린 환자가 글루텐을 함유하는 음식 등을 섭취하면, 인간의 소화 효소로는 분해할 수 없는 글루텐 분자 일부가 소장 상피 조직 내에 펩타이드 사슬 상태로 흡수되어, 이에 대한 면역 반응이 계기가 되어 자신의 면역계가 소장의 상피 조직을 공격하여 염증을 일으킴으로써 융모 등을 손상시키고, 또한 상피 세포 자체의 파괴에까지 이르게 된다.[189]
이러한 염증 과정은 T 세포에 의해 매개되며, 소장 점막 내벽의 구조와 기능을 파괴하고, 신체가 음식으로부터 영양소, 미네랄, 지용성 비타민 A, D, E, K를 흡수하는 능력을 손상시켜 흡수 불량을 유발한다. 감소된 장 표면과 락타아제 생산 감소로 인해 유당 불내증이 나타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질환이 치료되면 해결된다.
5. 진단
복강병은 유아기에 발견될 수 있지만, 증상이 다양하여 10년 이상 질환을 겪고도 자신이 복강병인지 모르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글루텐 알레르기가 의심되는 경우 정확한 진단을 받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복강병에 대한 자가 진단은 피해야 한다. 콜럼비아 대학교 복강병 센터의 Peter H.R. Green 박사는 "복강병의 3/4이 뚜렷한 증상이 없다"고 말했다. 증상이 있는 환자도 확실한 진단을 받기 어렵고, 과민성 대장 증후군, 빈혈 또는 스트레스 등으로 잘못 진단되기도 한다. 따라서 의사 처방 없이 글루텐 프리 식사를 하는 것은 권장되지 않으며, 오히려 오진의 가능성을 높인다.[202]
조직 트랜스글루타미나제 (tTG)에 대한 항-트랜스글루타미나제 항체는 전형적인 증상과 완전한 융모 위축이 있는 대부분의 환자 혈액에서 발견되지만, 부분적인 융모 위축의 경우 70%, 경미한 점막 병변의 경우 30%에서만 발견된다.[17] 조직 트랜스글루타미나제는 글루텐 펩타이드를 면역 체계를 더 효과적으로 자극할 수 있는 형태로 변형시킨다.[20]
복강병 진단은 여러 검사를 통해 이루어진다. 증상의 정도에 따라 검사 순서가 결정될 수 있지만, 이미 글루텐 프리 식단을 섭취하고 있는 경우에는 모든 검사의 유용성이 떨어진다. 소장 손상은 식단에서 글루텐을 제거한 후 몇 주 안에 치유되기 시작하고, 항체 수치는 몇 달에 걸쳐 감소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글루텐 프리 식단을 이미 시작한 사람의 경우, 검사를 반복하기 전에 6주에 걸쳐 하루 한 끼는 글루텐 함유 음식을 섭취하는 글루텐 재도전을 수행해야 할 수 있다.[15]
혈청 검사는 복강병 진단을 위한 1차 검사이다. 혈청 검사의 민감도는 조직학적 병변의 정도와 상관관계가 있다. 소장 손상이 경미한 환자는 혈청 검사에서 음성 결과를 보일 수 있어 많은 복강병 환자가 진단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융모 위축 환자의 경우, 면역글로불린 A(IgA)형 내배엽 (EMA) 항체는 각각 90%와 99%의 민감도 및 특이도로 복강병을 감지할 수 있다.[88] 항-트랜스글루타미나제 항체 (anti-tTG)에 대한 혈청 검사는 처음에 더 높은 민감도 (99%)와 특이도 (>90%)를 갖는 것으로 보고되었으나, 현재는 내배엽 항체와 유사한 특성을 갖는 것으로 여겨진다.[88] 항-트랜스글루타미나제 항체와 내배엽 항체는 모두 전형적인 증상과 완전한 융모 위축을 보이는 사람들을 진단하는 데 높은 민감도를 보이지만, 부분적인 융모 위축이 있는 경우의 30–89%에서만 발견되며 정상적인 융모를 가진 경미한 점막 병변(십이지장 림프구 증가증)이 있는 사람의 50% 미만에서만 발견된다.[17][122]
조직 트랜스글루타미나제는 글루텐 펩타이드를 면역 체계를 더 효과적으로 자극할 수 있는 형태로 변형시킨다.[20] 현대적인 anti-tTG 분석은 인간 재조합 단백질을 항원으로 사용한다.[89] tTG 검사는 수행하기 쉬우므로 먼저 수행하며, tTG 검사 결과가 애매하면 내배엽 항체를 검사한다.[15]
가이드라인에서는 총 혈청 IgA 수치를 병행하여 검사할 것을 권장한다. IgA 결핍이 있는 복강병 환자는 이러한 검사가 의존하는 항체를 생성하지 못할 수 있기 때문이다 ("가짜 음성"). 이러한 사람들에게는 트랜스글루타미나제에 대한 IgG 항체(IgG-tTG)가 진단에 도움이 될 수 있다.[15][90]
만약 이러한 모든 항체가 음성이면 항-DGP 항체(탈아미드화 글리아딘 펩타이드에 대한 항체)를 측정해야 한다. IgG 클래스 항-DGP 항체는 IgA 결핍이 있는 사람들에게 유용할 수 있다. 2세 미만의 어린이의 경우 항-DGP 항체는 내배엽 및 항-트랜스글루타미나제 항체 검사보다 더 나은 성능을 보인다.[6]
복강병 진단은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지므로, 전문 가이드라인에서는 양성 혈액 검사 후에도 여전히 내시경 검사/식도위십이지장경 검사 및 생검을 시행할 것을 권장한다. 혈청 검사 결과가 음성이더라도 임상적 의심이 여전히 높으면 내시경 검사 및 십이지장 생검을 권고할 수 있다.[15][38][91]
과거에는 항-세망 (ARA) 항체, 항-글리아딘(AGA) 항체 및 내배엽(EMA) 항체[93]가 측정되었으나, ARA 검사는 일상적인 진단 용도로 사용할 만큼 정확하지 않다.[92] 혈청 검사는 어린 아이에게는 신뢰할 수 없으며, 글리아딘에 대한 검사는 5세 미만의 어린이에게 다른 검사보다 약간 더 나은 성능을 보인다.[93]
항-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시아 항체와 같은 다른 항체는 복강병 환자 중 일부에서 발생하지만 다른 자가면역 질환 및 헌혈자의 약 5%에서도 발생한다.[95]
진단이 불분명한 경우 항체 검사를 HLA 검사와 결합할 수 있다. TGA 및 EMA 검사는 가장 민감한 혈청 항체 검사이지만, 음성 HLA-DQ 유형은 복강병 진단을 배제하므로 HLA-DQ2 또는 DQ8에 대한 검사도 수행하여 민감도와 음성 예측값을 극대화한다.[62]
상부 내시경 검사는 십이지장 (십이지장 구부 너머) 또는 공장의 생검을 통해 십이지장에서 여러 개의 샘플(4~8개)을 채취하기 위해 수행된다. 모든 부위가 똑같이 영향을 받는 것은 아니며, 건강한 장 조직에서 생검을 채취하면 위음성 결과가 나올 수 있다.[38] 동일한 생검 조각에서도 다양한 정도의 손상이 나타날 수 있다.[4]
복강병 환자 대부분은 생검 검사 전에 내시경 검사에서 소장이 정상적으로 보이지만, 다음 5가지 소견은 복강병에 대한 높은 특이성과 관련이 있다:
유럽 지침에 따르면, 복강병과 일치하는 증상을 보이는 소아 및 청소년의 경우, 항-tTG 항체 역가가 매우 높으면 (정상 상한치의 10배) 장 생검 없이 진단을 내릴 수 있다.[6]
소장의 복강병의 전형적인 병리학적 변화는 마쉬 분류에 의해 분류된다:[99]
단계 | 설명 |
---|---|
마쉬 0단계 | 정상 점막 |
마쉬 1단계 | 상피내 림프구의 수 증가 (일반적으로 100개 장세포당 20개 초과) |
마쉬 2단계 | 장샘의 증식 |
마쉬 3단계 | 부분적 또는 완전한 장 융모의 위축 및 샘 과형성[100] |
마쉬 4단계 | 소장 구조의 형성 부전 |
1992년에 도입된 마쉬 분류는 이후 1999년에 6단계로 수정되었으며, 이전 3단계는 3개의 하위 단계로 나뉘었다.[101] 추가 연구에서 이 시스템이 항상 신뢰할 수 있는 것은 아니며 복강병에서 관찰된 변화는 다음 세 단계 중 하나로 설명될 수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10][102]
- A는 정상적인 융모 외관을 가진 림프구 침윤을 나타냄
- B1은 부분적 융모 위축을 설명함
- B2는 완전한 융모 위축을 설명함
이러한 변화는 글루텐을 식단에서 제거하면 개선되거나 역전된다. 그러나 대부분의 가이드라인에서는 식단으로 증상이 개선되지 않는 경우 반복적인 생검을 권장하지 않는다.[38][91] 어떤 경우에는 진단을 확인하거나 반박하기 위해 생검을 동반한 고의적인 글루텐 챌린지를 수행할 수 있다. 챌린지 후 정상적인 생검과 정상 혈청 검사는 진단이 부정확했을 수 있음을 나타낸다.[38]
치료받지 않은 복강병의 경우, 3세 미만의 어린이에게 융모 위축이 더 흔하지만, 더 나이가 많은 어린이와 성인에서는 정상적인 장 융모를 가진 경미한 장 병변(십이지장 림프구 증가증)을 발견하는 것이 일반적이다.[16][18]
진단 시 합병증을 식별하기 위해 추가 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에는 철 결핍(전혈구 검사 및 철분 검사), 엽산 결핍 및 비타민 B12 결핍, 저칼슘혈증 (낮은 칼슘 수치, 종종 감소된 비타민 D 수치로 인해 발생)이 포함될 수 있다. 갑상선 기능 검사는 빈혈 질환이 있는 사람들에게 더 흔하게 나타나는 갑상선 기능 저하증을 식별하기 위해 혈액 검사 중에 요청될 수 있다.[39]
골감소증과 골다공증은 경미하게 또는 심하게 감소된 골밀도를 나타내며, 빈혈 질환이 있는 사람들에게 자주 나타난다. 진단 시 골밀도를 측정하기 위한 검사 (예: 이중에너지 X선 흡수 계측법(DXA) 스캔)를 수행하여 골절 위험과 골 보호 약물 필요성을 식별할 수 있다.[38][39]
혈액 항체 검사, 생검, 유전자 검사로 대개 명확한 진단을 내릴 수 있지만,[122][88] 때로는 글루텐 프리 식단에서 글루텐을 제한했을 때의 반응을 통해 진단을 뒷받침해야 할 수도 있다. 현재, 글루텐 챌린지는 복강병에 부합하는 장 병변이 있고 글루텐 프리 식단에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는 환자의 진단을 확정하기 위해 더 이상 필요하지 않다.[122] 그럼에도 불구하고, 생검으로 확진되지 않았지만 복강병에 대한 의심이 높고, 혈액 항체 검사 결과가 음성이며, 이미 글루텐 프리 식단을 섭취하고 있는 사람들의 경우, 진단을 뒷받침하기 위해 생검과 함께 글루텐 챌린지가 유용할 수 있다.[122] 글루텐 챌린지는 5세 미만과 사춘기 성장기에는 권장되지 않는다.[103]
6. 치료
복강병의 현재 유일한 효과적인 치료법은 평생 글루텐 프리 식단을 유지하는 것이다.[49] 글루텐이 있을 때 손상을 예방하거나 신체가 장을 공격하는 것을 막는 약물은 존재하지 않는다. 엄격한 식단 관리는 장의 치유를 돕고, 대부분의 경우 모든 증상을 해결하며, 식단을 얼마나 빨리 시작하느냐에 따라 골다공증과 장암의 위험 증가를 제거하고 경우에 따라 불임을 예방할 수 있다.[123]
글루텐 프리 식사는 밀, 보리, 호밀을 식사에서 제외해야 하며, 호밀로 만든 맥주와 밀 고추장과 간장 등과 같은 식품도 먹지 말아야 한다.[203]
영양사의 도움을 받아 환자가 어떤 음식에 글루텐이 포함되어 있는지, 어떤 음식이 안전한지, 그리고 제한 사항에도 불구하고 균형 잡힌 식단을 유지하는 방법을 알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많은 국가에서 글루텐 프리 제품은 처방전으로 구매 가능하며 건강 보험으로 보상받을 수 있다. 글루텐 프리 제품은 일반적으로 일반 글루텐 함유 식품보다 비싸고 찾기 어렵다.[125]
"글루텐 프리"라는 용어는 일반적으로 완전한 부재보다는 안전한 수준의 글루텐을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127] 글루텐이 안전한 정확한 수준은 불확실하고 논쟁의 여지가 있다. 유럽 연합에서는 식품에 "글루텐 프리" 라벨을 사용할 수 있는 글루텐 함량을 20mg/kg 미만으로 제한하고, "매우 낮은 글루텐" 라벨은 100mg/kg 미만으로 제한하는 규정을 발표했다.[128] 미국에서는 식품의약국(FDA)이 식품에 "글루텐 프리" 라벨을 사용할 수 있는 글루텐 함량을 20 ppm 미만으로 제한하는 규정을 발표했다.[129][130][131]
글루텐 프리 식단을 시작한 후에도 최대 30%의 사람들은 증상이 계속되거나 재발하는 경우가 있다.[24] 이는 자발적이든 부주의든 소량의 글루텐을 계속 섭취하고 있기 때문일 수 있다.[16] 또는 소장 세균 과증식, 유당 불내증, 과당,[108] 수크로스,[109] 및 소르비톨[110] 흡수 장애, 외분비 췌장 기능 부전,[111][112] 현미경적 결장염 등과 같은 다른 흔하게 연관된 질환 때문일 수도 있다.[112]
영향을 받는 사람들의 0.3%에서 10% 사이는 불응성 질환을 가지고 있는데, 이는 12개월 이상 글루텐에 노출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글루텐 없는 식단에서 지속적인 융모 위축을 보인다는 것을 의미한다.[112] 융모 위축의 다른 원인이 제거된 경우, 이 상황에서는 스테로이드 또는 면역억제제 (예: 아자티오프린)를 고려할 수 있다.[38]
7. 합병증
복강병은 장기간 치료하지 않고 방치할 경우 여러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다. 소장의 선암종 및 림프종(장병증 관련 T 세포 림프종 또는 기타 비호지킨 림프종)의 위험이 증가하며,[36] 궤양성 공장염(소장의 궤양 형성) 및 협착(흉터로 인한 좁아짐으로 소화관 폐쇄)과 같은 합병증이 나타날 수 있다.[38]
또한, 장의 변화로 인해 영양소, 무기질, 지용성 비타민(A, D, E, K)의 흡수 능력이 감소한다.[10][39] 이는 다음과 같은 문제들을 일으킬 수 있다.
- 탄수화물과 지방의 흡수 불량으로 인한 체중 감소(또는 소아의 발육 부전 또는 성장 부진) 및 피로
- 철 결핍성 빈혈, 엽산 및 비타민 B12 흡수 불량으로 인한 거대 적아구성 빈혈
- 칼슘과 비타민 D 흡수 불량 (및 보상성 부갑상선 기능 항진증)으로 인한 골감소증 또는 골다공증
- 셀레늄 흡수 불량 및 글루텐 프리 식품의 낮은 셀레늄 함량으로 인한 셀레늄 결핍[40]
- 구리 결핍과 아연 결핍[40]
- 비타민 K 결핍으로 인한 응고 이상 및 출혈 위험
복강병은 다른 여러 질환과도 관련이 있는데, IgA 결핍, 듀링병, 성장 부진, 사춘기 지연, 임신 합병증(유산, 자궁 내 성장 제한, 저체중아, 조산), 비장 기능 저하증, 비정상적인 간 기능 검사, 우울증, 불안 등이 있다.[41][42][43][10][44][45][46]
또한, 제1형 당뇨병, 갑상선 기능 저하증, 원발성 담즙성 담관염, 미세 대장염, 글루텐 운동실조, 건선, 백반증, 자가면역 간염, 원발성 경화성 담관염 등과 같은 자가면역 질환과도 관련이 있다.[14]
복강병의 증상은 매우 다양하며, 과민성 대장 증후군, 크론병, 게실염, 만성 피로 증후군, 전신 홍반 루푸스 등 다른 질환과 유사하여 혼동될 수 있다.
8. 역학
전 세계적으로 복강병은 100명에서 170명 중 1명꼴로 발생한다.[26][138] 발병률은 지역에 따라 300명 중 1명에서 40명 중 1명까지 다양하다.[26] 서구권에서는 인구의 약 1% 정도가 복강병을 앓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187] 미국에서는 1750명 중 1명(피부 헤르페스를 포함한 임상 질환)에서 105명 중 1명(혈액 기증자에서 IgA TG의 존재) 꼴로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39]
한국에서는 정확한 통계가 없지만, 발병률이 낮은 것으로 추정된다. 이는 아프리카, 일본, 중국계 사람들에게서 복강병이 드물게 진단되는 것과 관련이 있는데,[143] HLA-B8과 같은 유전적 위험 요인의 유병률이 낮기 때문이다.[144] 인도계 사람들은 서양 백인과 비슷한 위험을 갖는 것으로 보인다.[37]
복강병은 남성보다 여성에게서 약간 더 흔하게 발생한다.[30] 미국의 한 연구에 따르면, 일반 인구의 유병률은 0.75%였지만, 복강병 환자의 1촌 친척(형제, 부모, 자녀)에서는 4.5%로 증가했다.[37]
제2차 세계 대전 중 유럽에서 글루텐 식단과의 관련성이 지적되면서 복강병에 대한 인식이 확산되었다.[190]
9. 역사
"coeliac"이라는 용어는 고대 그리스어 κοιλιακός|koiliakós|복부el에서 유래되었으며, 카파도키아의 아레타이우스가 번역하면서 19세기에 도입되었다.[149][150]
인류는 비옥한 초승달 지대에서 신석기 시대(약 기원전 9500년경 시작)에 처음으로 곡물을 재배하기 시작했고, 아마도 이 시기 이전에는 복강병이 발생하지 않았을 것이다. 2세기에 같은 지역에 살았던 카파도키아의 아레타이우스는 만성 설사를 동반하여 전신을 쇠약하게 하는 흡수 장애 증후군을 기록했다.[149] 그의 "Cœliac Affection"은 프랜시스 아담스가 1856년 시드넘 학회에서 아레타이우스의 작품을 번역하여 발표하면서 서양 의학의 주목을 받았다. 아레타이우스는 환자들이 복통, 위축, 창백함, 쇠약함, 무력감 등의 증상을 겪었으며, 희고 악취가 나며 배에 가스가 차는 묽은 변을 보고 치료가 어려우며 주기적으로 재발한다고 기록했다. 그는 위장의 열 부족으로 소화가 불완전해져 설사가 발생한다고 믿었으며, 노인과 여성에게 흔하고 어린이는 해당되지 않는다고 보았다. 원인으로는 다른 만성 질환이나 "차가운 물을 많이 마시는 것"을 언급했다.[149][150]
소아과 의사 새뮤얼 지는 1887년 런던 그레이트 오몬드 스트리트 병원 강연에서 어린이 복강병에 대한 최초의 현대적 묘사를 제공했다. 그는 이전 묘사와 용어를 인정하고 아레타이우스와 동일한 용어(coeliac disease)를 채택했다. 그는 "환자를 완전히 치료할 수 있다면, 그것은 식단을 통해서일 것이다"라고 말했다. 지는 복강병 어린이에게 우유 불내증이 문제이며 전분 많은 음식을 피해야 한다고 인식했지만, 쌀, 사고, 과일, 채소는 금지하고 구운 빵 조각과 생고기를 권장했다. 그는 "매일 1쿼트의 최고급 네덜란드 홍합을 먹인" 아이의 성공적인 결과를 강조했지만, 그 아이는 한 계절 이상 식단을 견디지 못했다.[150][151]
미국 의사 크리스찬 아치볼드 허터는 1908년에 복강병 어린이들에 대한 책을 썼으며, "장 소아성"이라고 불렀다. 그는 어린이들의 성장 지연과 탄수화물보다 지방을 더 잘 견딘다는 점에 주목했다. ''지-허터병''은 두 사람의 기여를 인정하는 고유명사로 사용되기도 했다.[152][153] 미국 소아과 의사 시드니 V. 하스는 1924년에 바나나 식단의 긍정적인 효과를 보고했다.[154] 이 식단은 복강병의 실제 원인이 밝혀질 때까지 유행했다.[150]
탄수화물 역할이 의심되었지만, 밀과의 연관성은 1940년대 네덜란드 소아과 의사 빌럼 카렐 디케에 의해 밝혀졌다.[155] 1944년 네덜란드 기근(밀가루 부족) 동안 환자들의 임상적 개선이 발견에 기여했을 가능성이 있다.[156] 디케는 빵 부족으로 복강병 어린이 사망률이 35% 이상에서 거의 0%로 감소했고, 분쟁 이후 밀 공급이 재개되자 사망률이 이전 수준으로 치솟았다고 보고했다.[157] 밀의 글루텐 성분과의 연관성은 1952년 버밍엄 팀에 의해 밝혀졌다.[158] 융모 위축은 1954년 영국 의사 존 W. 폴리에 의해 수술 샘플에서 묘사되었다.[159] 이는 내시경 생검 샘플 채취의 길을 열었다.[150]
1960년대에 복강병의 다른 특징들이 밝혀졌다. 1965년에는 유전적 특성이, 1966년에는 글루텐 과민증과 피부염 헤르페스양 질환의 연관성이 인정되었다.[160][150][42] 제2차 세계 대전 중 유럽에서 글루텐 식단과의 관련성이 지적되어 인식이 확산되었다.[190]
10. 사회와 문화
많은 기독교 교회에서는 신자들에게 쌀을 기반으로 한 크래커나 글루텐이 없는 빵 형태의 성찬을 제공한다. 연합 감리교회, 북미 기독교 개혁 교회, 미국 성공회, 성공회(영국 성공회) 및 루터교가 이에 해당한다. 가톨릭 교회 신자는 성작(聖爵)에서만 받거나, 글루텐 함량이 감소된 성체를 요청할 수 있다. 하지만 글루텐이 완전히 없는 성체는 밀빵으로 간주되지 않아 유효한 재료로 인정되지 않는다.[164]
로마 가톨릭 교리는 유효한 성찬례를 위해 미사에 사용되는 빵은 밀로 만들어져야 한다고 명시하고 있다. 글루텐 함량이 낮은 성체는 가톨릭 교회의 모든 요구 사항을 충족하지만, 완전히 글루텐이 없는 것은 아니다. 쌀로 만든 웨이퍼를 사용하려는 요청은 거부되었다.[165]
유대교 축제인 페사흐 (유월절)에는 밀, 보리, 스펠트, 귀리 또는 호밀로 엄격하게 제조된 무교병인 마짜를 먹어야 하는 의무가 있어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아슈케나짐 유대인은 쌀을 포함하여 글루텐 민감성을 가진 사람들을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많은 다른 곡물들을 유월절에 완전히 피한다. 많은 유월절용 코셔 제품은 곡물을 완전히 피하므로 글루텐이 없다. 감자 전분은 곡물을 대체하는 데 사용되는 주요 전분이다.
5월은 여러 소아 지방변증 관련 단체에서 "소아 지방변증 인식의 달"로 지정했다.[161][162]
11. 연구 방향
글루텐에 유전적으로 취약한 사람들이 글루텐 불내성을 가지게 되는 환경적 요인을 찾기 위한 연구는 위장관 감염에 대한 연구 활동을 증가시켰다.[171] 2017년 4월에 발표된 연구에 따르면 흔한 리바이러스 균주에 의한 증상이 없는 감염이 글루텐과 같은 음식에 대한 민감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고 한다.[172]
소아 지방변증의 새로운 치료 방법으로 글루텐 해독, 장 투과성 조절, 면역 반응 조절의 세 가지 주요 접근법이 제안되었다.[175]
- 글루텐 해독: 유전자 조작 밀 품종이나 면역원성이 최소화되도록 육종된 밀 품종을 사용하면 밀을 섭취할 수 있게 될 수 있다. 또는, 프롤린 엔도펩티다제와 보리 글루타민 특이적 시스테인 엔도펩티다제(EP-B2) 조합의 효소를 섭취하여 글루텐 노출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 효소들은 십이지장에서 문제가 되는 33머 펩타이드를 분해한다.[20] 라티글루테나제(IMGX003)는 글루텐 단백질을 분해하여 글루텐 소화를 돕는 것을 목표로 하는 생물학적 제제 소화 효소 치료법으로, 현재 임상 2상 시험을 진행 중이며, 임상 3상 시험이 예정되어 있다.[176][177]
- 장 투과성 조절: 장벽 투과성을 증가시켜 면역계에 글리아딘을 더 많이 노출시키는 것과 관련된 내인성 신호 단백질인 조눌린을 억제하는 치료법이 연구 중이다. 라라조티드 아세테이트는 이 경로의 억제제 중 하나로, 현재 임상 3상 시험이 예정되어 있다.[178]
- 면역 반응 조절: HLA-DQ2, 조직 트랜스글루타미나제의 작용, 장 세포 사멸에 관여하는 MICA/NKG2D 상호작용 조절 등 소아 지방변증의 면역 반응을 조절하려는 시도는 대부분 임상 1상 시험 단계에 머물러 있다.[20]
이러한 치료 접근법들은 모두 개발 중이며, 당분간 일반 대중이 이용할 수 없을 것으로 예상된다.[20][173][174]
참조
[1]
웹사이트
Symptoms & Causes of Celiac Disease
https://www.niddk.ni[...]
National Institute of Diabetes and Digestive and Kidney Diseases
2016-06
[2]
서적
Ferri's differential diagnosis : a practical guide to the differential diagnosis of symptoms, signs, and clinical disorders
Elsevier/Mosby
2010
[3]
논문
Coeliac disease in the 21st century: Paradigm shifts in the modern age
[4]
논문
Diagnosis and classification of celiac disease and gluten sensitivity
2014
[5]
Review
The Spectrum of Differences between Childhood and Adulthood Celiac Disease
2015-10-22
[6]
Practice Guideline
European Society for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and Nutrition guidelines for the diagnosis of coeliac disease
http://www.espghan.o[...]
2012-01
[7]
Review
Clinical presentation of celiac disease in the pediatric population
2005-04
[8]
Review
Clinical and diagnostic aspects of gluten related disorders
2015-03
[9]
Review
Gluten-free diet in children: an approach to a nutritionally adequate and balanced diet
2013-11
[10]
논문
Coeliac disease
2009-04
[11]
논문
Safety of Adding Oats to a Gluten-Free Diet for Patients With Celiac Disease: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Clinical and Observational Studies
http://eprints.white[...]
2017-08
[12]
논문
Role of oats in celiac disease
2015-11
[13]
논문
Coeliac disease
2019-01
[14]
Review
Coeliac disease and autoimmune disease-genetic overlap and screening
2015-09
[15]
간행물
Recognition and assessment of coeliac disease
NICE
2015
[16]
Review
Age-related differences in celiac disease: Specific characteristics of adult presentation
2015-11
[17]
논문
Systematic review: the use of serology to exclude or diagnose coeliac disease (a comparison of the endomysial and tissue transglutaminase antibody tests)
2006-07
[18]
Review
Systematic review: noncoeliac gluten sensitivity
2015-05
[19]
Review
Support for patients with celiac disease: A literature review
2015-04
[20]
Review
Recent advances in coeliac disease
2006-07
[21]
논문
Screening for Celiac Disease: US Preventive Services Task Force Recommendation Statement
2017-03
[22]
논문
Gluten sensitivities and the allergist: Threshing the grain from the husks
2018-07
[23]
논문
Diagnostic management of patients reporting symptoms after wheat ingestion
2022-10-06
[24]
Review
Practical insights into gluten-free diets
2015-10
[25]
Review
Celiac disease and non-celiac gluten sensitivity
2015-10
[26]
Review
Clinical practice. Celiac disease
2012-12
[27]
웹사이트
Celiac disease
http://www.worldgast[...]
World Gastroenterology Organisation Global Guidelines
2016-07
[28]
Review
Diagnosis and Treatment Patterns in Celiac Disease
2019-08
[29]
Review
Celiac disease from a global perspective
2015-06
[30]
논문
Review article: safe amounts of gluten for patients with wheat allergy or coeliac disease
2006-03
[31]
논문
The diagnosis and treatment of celiac disease
2013-12
[32]
Review
Coeliac disease and gluten-related disorders in childhood
2015-09
[33]
논문
Jejunal mucosal abnormalities in patients with recurrent aphthous ulceration
1976-01
[34]
논문
Screening for Celiac Disease in Irritable Bowel Syndrome: An Updated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http://eprints.white[...]
2017-01
[35]
간행물
Irritable bowel syndrome
NICE
2008
[36]
논문
Celiac disease: a comprehensive current review
Springer Nature
2019-07
[37]
논문
Celiac disease: prevalence, diagnosis, pathogenesis and treatment
2012-11
[38]
논문
American Gastroenterological Association medical position statement: Celiac Sprue
2001-05
[39]
논문
Celiac disease
http://www.aafp.org/[...]
2009-12-13
[40]
서적
Celiac disease
Springer
2014
[41]
논문
Physiology of IgA and IgA deficiency
2001-09
[42]
논문
Small-bowel changes in dermatitis herpetiformis
[43]
논문
Dermatitis herpetiformis
2003-08
[44]
논문
Celiac disease and reproductive disorders: meta-analysis of epidemiologic associations and potential pathogenic mechanisms
[45]
논문
Adult coeliac disease in hyposplenic patients
[46]
논문
Psychological morbidity of celiac disease: A review of the literature
2015-04
[47]
Review
Pathophysiology of celiac disease
2012-10
[48]
논문
What is gluten?
2017-03
[49]
논문
Dietary guidelines and implementation for celiac disease
2005-04
[50]
논문
Gluten-free diet in children: an approach to a nutritionally adequate and balanced diet
2013-11-18
[51]
Review
Pure Oats as Part of the Canadian Gluten-Free Diet in Celiac Disease: The Need to Revisit the Issue.
[52]
Review
Coeliac disease and oats: a systematic review
2006-10
[53]
서적
Gluten-free Food Science and Technology
http://eu.wiley.com/[...]
Published by John Wiley and Sons
[54]
웹사이트
The Gluten Connection
https://www.canada.c[...]
Health Canada
2009-05
[55]
논문
Gluten Introduction to Infant Feeding and Risk of Celiac Disease: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2016-01
[56]
논문
Timing of Allergenic Food Introduction to the Infant Diet and Risk of Allergic or Autoimmune Disease: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http://jamanetwork.c[...]
2016-09
[57]
논문
Effect of breast feeding on risk of coeliac disease: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observational studies
2006-01
[58]
comparative study
Introduction of gluten, HLA status, and the risk of celiac disease in children
2014-10
[59]
논문
Celiac disease: From genetics to epigenetics
[60]
서적
Oxford handbook of Clinical Medicine
Oxford University Press
[61]
논문
Structural basis for HLA-DQ2-mediated presentation of gluten epitopes in celiac disease
[62]
논문
Accuracy of serologic tests and HLA-DQ typing for diagnosing celiac disease
[63]
논문
HLA-DQB1*0201 homozygosis predisposes to severe intestinal damage in celiac disease
[64]
논문
HLA types in celiac disease patients not carrying the DQA1*05-DQB1*02 (DQ2) heterodimer: results from the European Genetics Cluster on Celiac Disease
[65]
논문
HLA-DR, DQ genotypes of celiac disease patients and healthy subjects from the West of Ireland
[66]
논문
Pediatric celiac disease in India is associated with multiple DR3-DQ2 haplotypes
[67]
논문
Extended HLA haplotypes in a Carib Amerindian population: the Yucpa of the Perija Range
[68]
논문
Multiple common variants for celiac disease influencing immune gene expression
[69]
서적
Food, nutrition, and evolution: food as an environmental factor in the genesis of human variability
Papers presented at the International Congress of the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the Study of Human Development, Masson Pub. USA
[70]
논문
Where Is Celiac Disease Coming From and Why?
[71]
논문
Evolutionary and functional analysis of celiac risk loci reveals SH2B3 as a protective factor against bacterial infection
[72]
논문
Celiac disease
[73]
논문
Gliadin induces an increase in intestinal permeability and zonulin release by binding to the chemokine receptor CXCR3
[74]
논문
Antigen presentation to celiac lesion-derived T cells of a 33-mer gliadin peptide naturally formed by gastrointestinal digestion
2004-08
[75]
논문
Identification and analysis of multivalent proteolytically resistant peptides from gluten: implications for celiac sprue
[76]
논문
Gliadin is a good substrate of several transglutaminases: possible implication in the pathogenesis of coeliac disease
[77]
논문
Gliadin T cell epitope selection by tissue transglutaminase in celiac disease. Role of enzyme specificity and pH influence on the transamidation versus deamidation process
[78]
논문
Pathomechanisms in celiac disease
2005-06
[79]
논문
Coeliac disease – a meeting point for genetics, immunology, and protein chemistry
[80]
논문
The pathogenesis of coeliac disease
[81]
논문
Small-bowel mucosal tranglutaminase 2-specific IgA deposits in coeliac disease without villous atrophy: A Prospective and radmonized clinical study
[82]
논문
Endomysial antibody-negative coeliac disease: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intestinal autoantibody deposits
[83]
논문
Gliadin as a stimulator of innate responses in celiac disease
[84]
논문
In celiac disease, a subset of autoantibodies against transglutaminase binds toll-like receptor 4 and induces activation of monocytes
[85]
논문
Pathogenesis of gut virus infection
[86]
논문
Celiac disease: A review
http://www.bcmj.org/[...]
2014-02-15
[87]
Review
Diagnostic challenges in celiac disease and the role of the tissue transglutaminase-neo-epitope
2010-04
[88]
논문
Diagnostic testing for celiac disease among patients with abdominal symptoms: a systematic review
[89]
논문
Human recombinant tissue transglutaminase ELISA: an innovative diagnostic assay for celiac disease
[90]
논문
Elevation of IgG antibodies against tissue transglutaminase as a diagnostic tool for coeliac disease in selective IgA deficiency
[91]
논문
Guideline for the diagnosis and treatment of celiac disease in children: recommendations of the North American Society for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and Nutrition
[92]
논문
Testing for antireticulin antibodies in patients with celiac disease is obsolete: a review of recommendations for serologic screening and the literature
2013-04
[93]
논문
What are th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serologic tests for celiac disease? Do sensitivity and specificity vary in different populations?
http://consensus.nih[...]
2005-04
[94]
논문
Antibody and genetic testing in coeliac disease
[95]
논문
Anti-Saccharomyces cerevisiae as unusual antibodies in autoimmune hepatitis
2009-03
[96]
논문
Usefulness of videoduodenoscopy and vital dye staining as indicators of mucosal atrophy of celiac disease: assessment of interobserver agreement
[97]
논문
Small bowel biopsy for malabsorption: comparison of the diagnostic adequacy of endoscopic forceps and capsule biopsy specimens
[98]
논문
Wireless capsule endoscopy: Perspectives beyond gastrointestinal bleeding
2014-11
[99]
논문
Gluten, major histocompatibility complex, and the small intestine. A molecular and immunobiologic approach to the spectrum of gluten sensitivity ('celiac sprue')
[100]
논문
Celiac disease: histology-differential diagnosis-complications. A practical approach
2020-09
[101]
논문
The histopathology of coeliac disease: time for a standardized report scheme for pathologists
1999-10
[102]
논문
Comparison of the interobserver reproducibility with different histologic criteria used in celiac disease
[103]
Review
Assessing of Celiac Disease and Nonceliac Gluten Sensitivity
[104]
Review
Gluten sensitivity presenting as a neuropsychiatric disorder
2014
[105]
논문
The Oslo definitions for coeliac disease and related terms
2013-01
[106]
논문
Non-celiac gluten sensitivity: Time for sifting the grain
2015-07
[107]
논문
Nonceliac gluten sensitivity
2015-05
[108]
논문
The present and the future in the diagnosis and management of celiac disease
2015-02
[109]
논문
Celiac disease: an immune dysregulation syndrome
2014-12
[110]
논문
Fructose, trehalose and sorbitol malabsorption
http://www.europeanr[...]
2013
[111]
논문
Extraintestinal manifestations of coeliac disease
2015-10
[112]
논문
Improving outcomes of refractory celiac disease - current and emerging treatment strategies
2016-08-03
[113]
논문
Diagnosing and Treating Intolerance to Carbohydrates in Children
2016-03
[114]
논문
Nutritional and dietary aspects of celiac disease
2011-04
[115]
논문
Coeliac disease
2003-08
[116]
논문
Non-celiac gluten sensitivity: questions still to be answered despite increasing awareness
2013-09
[117]
간행물
Chronic fatigue syndrome/myalgic encephalomyelitis
NICE
2007
[118]
논문
Joint BSPGHAN and Coeliac UK guidelines for the diagnosis and management of coeliac disease in children
2013-10
[119]
논문
The neurology of coeliac disease in childhood: what is the evidence?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2010-08
[120]
논문
Association Between Coeliac Disease and Risk of Any Malignancy and Gastrointestinal Malignancy: A Meta-Analysis.
[121]
논문
Cardiovascular involvement in celiac disease.
[122]
논문
American Gastroenterological Association (AGA) Institute technical review on the diagnosis and management of celiac disease
http://www.gastrojou[...]
2006-12
[123]
논문
Emerging concepts in celiac disease
[124]
논문
Dietary compliance in celiac disease
[125]
논문
Economic burden of a gluten-free diet
https://celiacdiseas[...]
2018-02-09
[126]
논문
Review article: future research on coeliac disease – a position report from the European multistakeholder platform on coeliac disease (CDEUSSA)
[127]
논문
Systematic review: tolerable amount of gluten for people with coeliac disease
2008-06
[128]
웹사이트
Gluten-free food
http://ec.europa.eu/[...]
Directorate-General for Health and Consumers
2015-07-25
[129]
웹사이트
What is Gluten-Free? FDA Has an Answer
https://www.fda.gov/[...]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2013-08-02
[130]
법령
Section 206 of the Food Allergen Labeling and Consumer Protection Act of 2004
[131]
법령
USFR
2013-08-05
[132]
웹사이트
Current Official Standards
http://www.codexalim[...]
FAO/WHO
[133]
논문
Systematic review with meta-analysis: Dietary adherence influences normalization of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coeliac disease
2017-04
[134]
논문
European Society for the Study of Coeliac Disease (ESsCD) guideline for coeliac disease and other gluten‐related disorders
http://dx.doi.org/10[...]
2019-06
[135]
논문
Increased Risk of Hospital Admission for Influenza in Patients With Celiac Disease: A Nationwide Cohort Study in Sweden
https://journals.lww[...]
2010-11
[136]
논문
Gluten-free diet in gluten-related disorders
2013
[137]
논문
Clinical features of type 1 and 2 refractory celiac disease: Results from a large cohort over a decade
2023-02
[138]
논문
Celiac disease and non-celiac gluten sensitivity
2015-10
[139]
논문
Epidemiology of celiac disease: what are the prevalence, incidence, and progression of celiac disease?
http://consensus.nih[...]
2005-04
[140]
논문
Celiac disease: a review
2014-03
[141]
논문
Why is coeliac disease endemic in the people of the Sahara?
1999-08
[142]
웹사이트
Coeliac Disease - Coeliac Australia
https://www.coeliac.[...]
2019-05-08
[143]
논문
Genetics of coeliac disease
[144]
서적
Child and Adolescent Health for Practitioners
Williams & Wilkins
[145]
논문
Physician awareness of celiac disease: a need for further education
[146]
논문
Celiac disease: pathophysiology, clinical manifestations, and associated autoimmune conditions
[147]
논문
Coeliac disease
[148]
논문
Celiac Disease
2019-12
[149]
서적
The extant works of Aretaeus, The Cappadocian
https://books.google[...]
Sydenham Society
2009-12-12
[150]
논문
A history of coeliac disease
[151]
논문
On the coeliac affection
http://web2.bium.uni[...]
2007-03-20
[152]
서적
On infantilism from chronic intestinal infection; characterized by the overgrowth and persistence of flora in the nursing period
https://archive.org/[...]
Macmillan & Co
[153]
웹사이트
Christian Archibald Herter
http://www.whonamedi[...]
Who Named It?
2007-03-20
[154]
논문
The value of the banana in the treatment of coeliac disease
[155]
논문
Pioneer in the gluten free diet: Willem-Karel Dicke 1905–1962, over 50 years of gluten free diet
[156]
서적
Coeliakie: een onderzoek naar de nadelige invloed van sommige graansoorten op de lijder aan coeliakie, PhD thesis
University of Utrecht
[157]
논문
Celiac Disease Insights: Clues to Solving Autoimmunity
http://www.scientifi[...]
[158]
논문
Coeliac disease; gastrointestinal studies and the effect of dietary wheat flour
[159]
논문
Observation on the aetiology of idiopathic steatorrhoea; jejunal and lymph-node biopsies
[160]
논문
Studies of the familial nature of celiac sprue using biopsy of the small intestine
[161]
뉴스
Buy Me Some Gluten-Free Peanuts, Cracker Jacks
http://www.qsrmagazi[...]
Journalistic
2010-12-30
[162]
뉴스
May as Celiac Awareness Month
http://www.celiac.or[...]
2011-07-01
[163]
웹사이트
One on-line site sells 1200 wafers weighing a total of 523 g
http://www.eden.co.u[...]
2013-09-03
[164]
웹사이트
Statement by the National Conference of Catholic bishops on the use of low gluten hosts at Mass
http://www.catholicc[...]
2003-11
[165]
뉴스
Girl with digestive disease denied Communion
http://www.nbcnews.c[...]
Microsoft
2006-05-30
[166]
웹사이트
The Use of Mustum and Low-Gluten Hosts at Mass
http://www.usccb.org[...]
United States Conference of Catholic Bishops
2007-03-07
[167]
웹사이트
Liturgy: Gluten-free Hosts
http://www.catholic.[...]
2007-06-17
[168]
뉴스
Vatican outlaws use of gluten free bread for Holy Communion
https://www.telegrap[...]
2017-08-03
[169]
웹사이트
COELIAC DISEASE {{!}} meaning in the Cambridge English Dictionary
https://dictionary.c[...]
2018-12-15
[170]
웹사이트
Coeliac vs. Celiac
http://www.glutenfre[...]
2018-12-15
[171]
논문
Factors That Increase Risk of Celiac Disease Autoimmunity After a Gastrointestinal Infection in Early Life
2017-05
[172]
논문
How infection can incite sensitivity to food
2017-04
[173]
논문
Non-dietary forms of treatment for adult celiac disease
2013-11
[174]
논문
Novel therapeutic approaches for celiac disease
2014-05
[175]
논문
The present and the future in the diagnosis and management of celiac disease
[176]
논문
Latiglutenase Protects the Mucosa and Attenuates Symptom Severity in Patients With Celiac Disease Exposed to a Gluten Challenge
2022-12
[177]
웹사이트
Entero Therapeutics
https://enterothera.[...]
2024-05-21
[178]
웹사이트
Innovate Biopharmaceuticals
http://www.innovateb[...]
2016-04-17
[179]
논문
The relationship of autism and gluten
[180]
논문
Evidence of the gluten-free and casein-free diet in autism spectrum disorders: a systematic review
2014-12
[181]
논문
Gluten- and casein-free diets for autistic spectrum disorder
[182]
논문
Non-celiac gluten sensitivity: a work-in-progress entity in the spectrum of wheat-related disorders
2015-06
[183]
논문
¿Es el gluten el gran agente etiopatogenico de enfermedad en el siglo XXI?
2014-12
[184]
웹사이트
World Gastroenterology Organisation, Global Guidelines, Celiac disease
https://www.worldgas[...]
[185]
논문
セリアック病とグルテン過敏性腸症
診断と治療社
2017-05
[186]
논문
Recent advances in coeliac disease
https://doi.org/10.1[...]
[187]
웹사이트
セリアック病(celiac disease)|用語集|腸内細菌学会
https://bifidus-fund[...]
2023-06-07
[188]
문서
セリアック病
2008-04-24
[189]
논문
セリアック病とグルテンフリー食品
http://id.nii.ac.jp/[...]
東京聖栄大学
2014-03
[190]
문서
セリアック病と「氷山モデル」
https://doi.org/10.1[...]
[191]
웹사이트
セリアック病とは
https://www.ambrosia[...]
2023-06-07
[192]
문서
2014-03
[193]
논문
What are th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serologic tests for celiac disease? Do sensitivity and specificity vary in different populations?
https://doi.org/10.1[...]
[194]
논문
Refractory sprue, coeliac disease, and enteropathy-associated T-cell lymphoma
https://doi.org/10.1[...]
[195]
웹사이트
セリアック病 - 03. 消化器系の病気
https://www.msdmanua[...]
[196]
논문
Digestive Enzyme Supplementation in Gastrointestinal Diseases
https://www.ncbi.nlm[...]
2016
[197]
서적
The extant works of Aretaeus, The Cappadocian
http://www.chlt.org/[...]
Sydenham Society
2006-09-04
[198]
문서
Celiac disease: a review. Guandalini S, Assiri A. JAMA Pediatr. 2014 Mar;168(3):272-8.
http://www.ncbi.nlm.[...]
[199]
문서
Celiac disease, wheat allergy, and gluten sensitivity: when gluten free is not a fad. Pietzak M. JPEN J Parenter Enteral Nutr. 2012 Jan;36(1 Suppl):68S-75S.
http://www.ncbi.nlm.[...]
[200]
웹인용
글루텐 성분 뺀 국수, 빵.. 누구에게나 건강식은 아니죠. 중앙일보. 2013.12.16.
http://life.joins.co[...]
2014-12-10
[201]
문서
Gluten-Free: Fad, Friend, or Foe? Psycholgoy Today. 2013.11.2.
http://www.psycholog[...]
[202]
문서
Gluten-free diet: a cure for some, a fad for most. Volland A. US News World Rep. 2008 Dec 1-8;145(12):66-68.
http://www.ncbi.nlm.[...]
[203]
문서
Gluten sensitivity: fad and fact. Nelsen DA Jr. J Ark Med Soc. 2012 Sep;109(4):60-61.
http://europepmc.org[...]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