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거주 이전의 자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거주 이전의 자유는 봉건 시대의 신분적 구속에서 벗어나 직업 선택의 자유와 함께 근대 자본주의 사회의 필수 조건으로 등장했다. 바이마르 헌법과 독일 연방 공화국 기본법 등에서 명시적으로 규정되었으며, 세계 인권 선언과 시민적 및 정치적 권리에 관한 국제규약에서도 보장하는 기본 권리이다. 고대 로마 시대부터 현대까지 다양한 형태로 나타났으며, 경제적 자유, 신체적 자유, 정신적 자유 등 다면적인 성격을 지닌다. 이동의 자유는 국가 안보, 공공 질서, 공중 보건 등을 위해 제한될 수 있으며, 국내 및 특정 국가의 입출국 제한, 그리고 다양한 국제 협정을 통해 국가 간 이동의 자유가 보장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거주 이전의 자유 - 귀환권
    귀환권은 개인이 자국으로 돌아갈 수 있는 권리로서, 추방에 대한 반대 개념으로 이해되며, 역사적으로 키루스 2세의 유대인 귀환 허용과 같은 사례에서 중요성이 드러나고, 세계 인권 선언 등 국제법적 문서에서 보장되지만, "자신의 국가"의 의미 해석 등에 대한 논쟁이 있다.
  • 거주 이전의 자유 - 대한민국 헌법 제14조
    대한민국 헌법 제14조는 모든 국민에게 거주 및 이전의 자유를 보장하며, 이는 국내외 거주지 선택과 이동의 자유, 국외 이주 및 귀환의 자유를 포함하지만, 법률에 의해 합리적으로 제한될 수 있다.
  • 여행 서류 - 미국의 영주권
    미국의 영주권은 미국에 영구적으로 거주할 수 있는 법적 신분으로, 1933년 이민귀화국 설립 이후 제도 강화 및 절차 복잡화 과정을 거쳤으며, 가족 초청, 고용, 투자, 특별 이민 등 다양한 취득 경로가 존재하고, 이민 청원, 이민 비자 이용 가능성 확인, 이민 비자 심사의 세 단계를 거쳐 취득할 수 있으며, 영주권자는 미국 시민과 유사한 권리와 책임을 가진다.
  • 여행 서류 - 헨리 여권 지수
    헨리 여권 지수는 국제항공운송협회 데이터를 기반으로 특정 국가 여권 소지자가 비자 없이 방문할 수 있는 국가 수를 평가하여 여권의 순위를 매기는 지표이며, 국가 GDP와 이동의 자유를 함께 고려한다.
  • 주제별 인권 - 결사의 자유
    결사의 자유는 민주주의 사회의 기본 요소로서, 다양한 단체 결성을 통해 사회 발전을 이끌어내며, 국가별 헌법과 법률 해석에 따라 보장 수준이 다르게 나타나며, 친밀한 결사, 표현적 결사, 조직 노동 등과 관련된 쟁점들이 존재한다.
  • 주제별 인권 - 무기 소지의 자유
    무기 소지의 자유는 개인이 무기를 소지하고 사용할 수 있는 권리로서, 일부 국가에서는 헌법이나 법률로 인정되지만, 총기 관련 사회 문제로 인해 총기 규제 논쟁이 지속되고 있으며, 민주주의 국가에서 더 엄격하게 규제되는 경향이 있다.
거주 이전의 자유
이동의 자유
개요
정의사람이 자신이 원하는 곳으로 이동할 수 있는 권리
세부 내용국가 내부에서의 이동 자유
국가 간의 이동 자유 (출국 및 입국)
거주지 선택의 자유
법적 근거
세계 인권 선언세계 인권 선언 제13조는 "모든 사람은 자국 내에서 거주의 자유와 이동의 자유를 누릴 권리"와 "모든 사람은 자국을 포함한 어떤 나라를 떠날 권리가 있으며, 자기 나라로 돌아올 권리를 가진다"고 규정함.
자유권과의 관계
자유권자유권의 한 종류로, 개인의 자유로운 삶과 밀접한 관련
제한 사례
제한출입국 관리
국가 안보
공공 질서
전염병 확산 방지
이동의 자유에 대한 다양한 관점
자유지상주의자유지상주의는 개인의 자유를 매우 중요시하며, 이민을 포함한 모든 사람의 이동의 자유를 강력하게 옹호함.
개방 국경국경을 개방하고 사람들의 자유로운 이동을 허용하는 것이 윤리적이라고 주장함.
이민 제한국가 안보나 경제적 이유로 이민을 제한해야 한다는 입장도 존재.
관련 문서
관련 문서거주 이전의 자유
출국
입국
이민
이주
기타
참고아베 히로유키(阿部浩之), 『人権の思想と現實』(인권의 사상과 현실), 1975, 122쪽 참조

2. 역사적 배경

봉건 시대의 “영민” 사상은 생산자인 국민을 자기 영지 내에 확보하는 것을 목적으로, 국민의 직업과 주거를 신분 제도적으로 고정시키는 것이었다.[97] 거주 이전의 자유와 직업 선택의 자유는 이러한 신분적 구속으로부터 해방하는 것이며,[97] 역사적으로는 사람의 자유로운 이동의 확보를 통해 자유로운 노동자의 형성이 이루어지는 것이 근대 자본주의 사회의 전제 조건이 되었다.[101] 그러나 시민 혁명헌법에서 거주 이전의 자유를 명문으로 규정한 예는 매우 적었다.[98]

1919년바이마르 헌법 111조는 “모든 독일인은 전 라이히 내에서 이주할 자유를 가진다. 각 개인은 라이히의 임의의 장소에 체류하고, 정착하고, 토지를 취득하고, 그리고 각종 생산 부문에 종사할 권리를 가진다. 제한은 라이히의 법률에 의할 것을 요한다.”라고 직업 선택의 자유와 동일한 조항으로 규정하고 있었다.[98]

1949년의 독일 연방 공화국 기본법은 제11조에서 이동의 자유를 규정했다.[98]

현대에는 거주 이전의 자유나 외국 이주(移住)의 자유는 경제 활동의 자유라기보다는 오히려 정신적 자유로서의 의미가 강해지고 있다.[99]

세계 인권 선언 제13조는 이동의 자유를 보장하고, 또한 시민적 및 정치적 권리에 관한 국제규약(국제인권규약 B규약) 제12조는 거주의 자유와 이동의 자유를 규정하고 있다.[100] 참고로, 일본은 1979년에 국제인권규약 B규약을 비준했다.

2. 1. 고대

기원전 27년 아우구스투스로마 제국을 건설하면서 이집트에 대한 통제를 강화하고자 로마 원로원 의원들이 그의 허락 없이 이집트를 여행하는 것을 금지했다.[13] 그러나 기원후 6년 기근이 발생하자, 아우구스투스는 원로원 의원들에게 로마를 떠나 원하는 곳으로 여행할 자유를 허용하여 식량 공급 문제를 완화하려 했다.[13]

2. 2. 중세

잉글랜드에서는 1215년 마그나 카르타 42조를 통해 이동할 권리를 명시했다. 즉, 앞으로는 어떤 사람이든 왕국을 떠나 안전하게 육로 또는 해로로 돌아올 수 있도록 했으며, 단 전시에는 왕국의 공공 이익을 위해 짧은 기간 동안 예외를 두었다. 여기에는 법에 따른 포로와 도망자, 잉글랜드와 전쟁 중인 국가의 사람들, 그리고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대우받는 상인들은 제외되었다. 신성 로마 제국에서는 요제프 2세가 1781년에 제정한 조치에 따라 농노들의 이동의 자유가 허용되었다.

2. 3. 근대

러시아 제국에서는 1861년 알렉산드르 2세의 해방 칙령으로 농노들이 이동의 자유를 얻었지만, 도시민과 상인들은 여전히 거주지에 묶여 있었다.[14]

2. 4. 현대

제2차 세계 대전(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1945년 10월 24일 국제 연합이 설립되었다. 유엔 총회가 채택한 세계인권선언(1948) 제13조는 모든 사람은 각국의 영역 내에서 이동과 거주의 자유를 가지며, 자기 나라를 포함하여 어떤 나라든 떠나고 자기 나라로 돌아올 권리를 가진다고 명시하였다.[8] 시민적 및 정치적 권리에 관한 국제규약(1966) 제12조는 이 권리를 조약법에 통합하여, 어느 국가의 영토 내에 합법적으로 있는 모든 사람은 그 영토 내에서 이동의 자유와 거주지를 선택할 자유를 가지며, 자기 나라를 포함하여 어떤 나라든 떠날 자유를 가진다고 규정하였다.[8]

세계인권선언 문서


이러한 권리는 법률에 규정된 경우, 국가 안보, 공공 질서, 공중 보건 또는 도덕 또는 타인의 권리와 자유를 보호하는 데 필요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어떠한 제한도 받지 아니한다.[8] 1999년, 유엔인권위원회는 "일반 의견 제27호: 이동의 자유"에서 시민적 및 정치적 권리에 관한 국제규약 제12조에 대한 지침을 발표했다.[8]

COVID-19 범유행 기간 동안 세계 여러 정부는 이동의 자유에 대한 제한을 시행했다.

3. 법적 근거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1945년 10월 24일 국제 연합이 설립되었다. 새로운 국제기구는 세계인권선언(1948)과 시민적 및 정치적 권리에 관한 국제규약(1966)과 같은 문서를 통해 이동의 자유의 중요성을 인식했다.[8] 유엔 총회가 채택한 세계인권선언 제13조는 다음과 같다.


  • (1) 모든 사람은 각국의 영역 내에서 이동과 거주를 자유로이 할 권리를 가진다.
  • (2) 모든 사람은 자기 나라를 포함하여 어떤 나라든 떠나고 자기 나라로 돌아올 권리를 가진다.


시민적 및 정치적 권리에 관한 국제규약 제12조는 이 권리를 조약법에 통합한다.[8]

  • (1) 어느 국가의 영토 내에 합법적으로 있는 모든 사람은 그 영토 내에서 이동의 자유와 거주지를 선택할 자유를 가진다.
  • (2) 모든 사람은 자기 나라를 포함하여 어떤 나라든 떠날 자유를 가진다.
  • (3) 상기 권리는 법률에 규정된 경우, 국가 안보, 공공 질서, 공중 보건 또는 도덕 또는 타인의 권리와 자유를 보호하는 데 필요하고, 본 규약에서 인정하는 다른 권리와 일치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어떠한 제한도 받지 아니한다.
  • (4) 어느 누구도 자기 나라로 들어갈 권리를 임의로 박탈당하지 아니한다.


시민적 및 정치적 권리에 관한 국제규약은 1976년 3월 23일 최초 비준국에 대해 발효되었고, 추가적인 국가들이 비준함에 따라 발효되었다. 1999년, 조약 해석을 담당하는 유엔 인권위원회는 "일반 의견 제27호: 이동의 자유"에서 시민적 및 정치적 권리에 관한 국제규약 제12조에 대한 지침을 발표했다.[8]

조약은 이동의 자유를 광범위하고 절대적인 용어로 규정하지만, 시민적 및 정치적 권리에 관한 국제규약 제12조 제4항은 공공의 이익을 위해 이러한 자유가 다양한 이유로 제한될 수 있음을 인정한다. 이 조항은 거의 모든 당사국이 다양한 이동 제한을 정당화하는 데 자주 인용된다.[8]

3. 1. 국제법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1945년 10월 24일 국제 연합이 설립되었다. 새로운 국제기구는 세계인권선언(1948)과 시민적 및 정치적 권리에 관한 국제규약(1966)과 같은 문서를 통해 이동의 자유의 중요성을 인식했다.[8] 유엔 총회가 채택한 세계인권선언 제13조는 다음과 같다.

  • (1) 모든 사람은 각국의 영역 내에서 이동과 거주를 자유로이 할 권리를 가진다.
  • (2) 모든 사람은 자기 나라를 포함하여 어떤 나라든 떠나고 자기 나라로 돌아올 권리를 가진다.


시민적 및 정치적 권리에 관한 국제규약 제12조는 이 권리를 조약법에 통합한다.[8]

  • (1) 어느 국가의 영토 내에 합법적으로 있는 모든 사람은 그 영토 내에서 이동의 자유와 거주지를 선택할 자유를 가진다.
  • (2) 모든 사람은 자기 나라를 포함하여 어떤 나라든 떠날 자유를 가진다.
  • (3) 상기 권리는 법률에 규정된 경우, 국가 안보, 공공 질서, 공중 보건 또는 도덕 또는 타인의 권리와 자유를 보호하는 데 필요하고, 본 규약에서 인정하는 다른 권리와 일치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어떠한 제한도 받지 아니한다.
  • (4) 어느 누구도 자기 나라로 들어갈 권리를 임의로 박탈당하지 아니한다.


시민적 및 정치적 권리에 관한 국제규약은 1976년 3월 23일 최초 비준국에 대해 발효되었고, 추가적인 국가들이 비준함에 따라 발효되었다. 1999년, 조약 해석을 담당하는 유엔 인권위원회는 "일반 의견 제27호: 이동의 자유"에서 시민적 및 정치적 권리에 관한 국제규약 제12조에 대한 지침을 발표했다.[8]

조약은 이동의 자유를 광범위하고 절대적인 용어로 규정하지만, 시민적 및 정치적 권리에 관한 국제규약 제12조 제4항은 공공의 이익을 위해 이러한 자유가 다양한 이유로 제한될 수 있음을 인정한다. 이 조항은 거의 모든 당사국이 다양한 이동 제한을 정당화하는 데 자주 인용된다.[8]

3. 2. 대한민국 헌법

3. 3. 일본 헌법

일본국 헌법은 거주·이전의 자유 및 외국 이주의 자유를 보장한다.

일본국 헌법 제22조 제1항은 "누구든지 공공의 복지에 반하지 않는 한, 거주, 이전 및 직업선택의 자유를 가진다"라고 규정하여 거주·이전의 자유를 보장한다.[38] 이는 국내에서 주소 또는 거소를 정하고 이전하는 자유를 의미하며, 일본의 인권에서 중요한 부분이다. 다만, 학설에 따라 여행의 자유를 포함하는지에 대한 논쟁이 있다.[106]

일본국 헌법 제22조 제1항의 "공공의 복지"와 거주 이전의 자유의 관계에 대해서는 여러 학설이 존재한다.[107] 거주 이전의 자유가 경제적 자유권의 일종이므로 정책적 제약을 받는다는 견해, 경제적 자유권으로 볼 수 없으므로 내재적 제약만을 받는다는 견해, 민주주의나 경제적 자유와 관련 없는 경우에는 정신적 자유에 가까운 기준을 적용해야 한다는 견해가 있다.

거주 이전의 자유는 다음과 같은 제약을 받는다.[108][109]

  • 신체의 자유 측면: 징역형이나 금고형을 받은 자의 교도소 수감, 친권자의 자녀에 대한 거주지 지정, 환자 강제 입원이나 격리
  • 경제적 자유 측면: 파산 목적 달성을 위한 파산자 거주 제한, 직무 특수성 때문에 거주 장소 제한


대일본제국헌법(메이지 헌법)은 제22조에서 "일본 신민은 법률의 범위 내에 있어서 거주 및 이동의 자유를 가진다"라고 규정하여 거주 이전의 자유를 인정했다.[103] 미노베 다쓰키치는 이 조문에 국경 밖으로 이주하는 자유를 포함한다고 해석했다.[104] 이토 히로부미는 「헌법의해」에서 “정주시, 임대 거주시, 기거시 및 영업하는 자유”로 파악하여 영업의 자유는 거주 이동의 자유에 포함되는 것으로 보았다.[96][105] 그러나 당시 학설에서 일반적인 견해는 영업의 자유는 헌법상 보장되지 않는다고 해석되었다.

일본국 헌법 제22조 제2항은 "누구든지 외국으로 이주하거나 국적을 이탈할 자유를 침해받지 아니한다"라고 규정하여 외국 이주의 자유를 보장한다.[38] 일본 정부는 이를 존중하며, 시민은 국내외를 자유롭게 여행하고, 거주지를 변경하고, 이민하고, 자발적으로 본국으로 돌아갈 권리가 있다.[38] 다만, 외국 국적 취득 등의 경우 시민권을 상실할 수 있다.[39] 법은 강제 추방을 허용하지 않으며, 사용되지도 않는다.[39]

4. 이동의 자유의 성격

거주 이전의 자유는 일반적으로 경제적 자유권으로 분류되지만, 신체적 자유권 또는 정신적 자유권으로 분류하는 학설도 있다.[101] 오늘날에는 거주 이전의 자유는 다면적·복합적인 성격을 지닌 권리로 이해하는 학설이 유력하다.[102]

사람은 자유로운 거주·이전을 통해 자신의 경제생활을 유지·발전시킨다. 예를 들어, 사람이 직장을 자유롭게 선택하기 위해서는 거주 이전의 자유가 보장될 필요가 있다. 자신의 이동하고 싶은 곳으로 이동할 수 있다는 점에서 신체의 자유로서의 측면도 지닌다. 신체의 자유는 단순히 구속되지 않는다는 소극적인 자유에 그치지 않고, 자신이 좋아하는 곳에 거주·이전하는 적극적인 자유도 포함한다. 사람이 자신의 좋아하는 곳으로 이동하는 것은 표현의 자유·집회의 자유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 또 이동의 자유는 인간의 활동 범위를 넓히고, 새로운 인적 접촉의 장을 얻는 기회를 줌으로써, 인격의 형성과 성장에 불가결한 조건이 된다.

거주 이전의 자유가 다면적·복합적인 권리이기 때문에, 그 한계도 각 경우에 따라 구체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다. 정신적 자유의 측면에 관여하는 경우에는, 경제적 자유의 측면에 관여하는 경우에 비해, 더 엄격한 심사 기준을 채택해야 한다.

4. 1. 경제적 자유

4. 2. 신체적 자유

4. 3. 정신적 자유

5. 일반적인 제한

국제 여행에 대한 사람(이민 또는 이주)에 대한 제한은 흔히 볼 수 있다.[6] 국가 내에서는 미성년자의 경우 여행의 자유가 종종 더 제한적이며, 형법은 기소되거나 유죄 판결을 받은 사람에게 적용되는 이 권리를 변경할 수 있다(예: 가석방, 집행유예, 등록).[7] 제한에는 다음이 포함될 수 있다.


  • 노동 시장 진입에 대한 국가 및 지역 공식 최저 임금 관세 장벽(근로자의 자유로운 이동 또는 이주)
  • 의무적으로 소지하고 요구 시 제시해야 하는 공식 신분증(내국인 여권, 시민권 증명서)
  • 주정부 당국에 주소 또는 배우자 변경 사항을 등록해야 하는 의무
  • 특정 지역의 주택 건설에 대한 보호주의적 지역/지방 장벽, 따라서 정착에 대한 장벽
  • 다른 개인의 재산에 대한 무단 침입
  • 보행자 및 자전거 접근이 심각하게 제한되거나 없는 자동차 규범 도로 및 고속도로 설계

5. 1. 공통적인 제한

국가 안보, 공공 질서, 공중 보건, 타인의 권리 보호 등 다양한 이유로 거주 이전의 자유가 제한될 수 있다.[6][7] 형사 사법 절차와 관련하여 범죄 수사, 재판, 형 집행 과정에서 가석방, 보호관찰, 출국 금지 등으로 이동의 자유가 제한될 수 있다.[7] 미성년자의 안전과 복지를 위해 친권자 또는 법정후견인에 의해 이동의 자유가 제한될 수 있다.[7]

노동 시장 규제의 예로는 국가 및 지역의 최저임금, 관세 장벽 등이 있으며, 이는 노동자의 자유로운 이동을 제한하는 요소로 작용한다.[7] 의무적인 신분증 소지 및 제시 요구, 주소 변경 등록 의무 등도 이동의 자유를 제한할 수 있다.[7] 토지 이용 규제와 관련하여 특정 지역의 주택 건설 제한, 사유지 침입 금지 등도 이동의 자유를 제한하는 요소이다.[7]

일본의 경우, 징역형이나 금고형을 받은 자는 교도소에 수감되어 신체의 자유가 제한된다.[108] 친권자는 자녀의 거주지를 지정할 수 있으며, 이는 「일본 민법」 821조에 따른 것이다.[108] 정신보건 및 정신장애인복지법 제29조 등에 따라 본인 보호 및 사회 위생상의 이유로 환자를 강제 입원시키거나 격리할 수 있다.[108] 파산자의 경우 파산 목적 달성을 위해 거주에 제한을 받을 수 있으며, 이는 「파산법」 제37조에 따른다.[109] 직무 특성상 거주 장소에 제한이 있을 수 있는데, 이는 「자위대법」 제55조 등에 따른 것이다.[109]

5. 2. 국내 제한

정부는 범죄 유죄 판결을 받은 사람, 보호관찰 또는 가석방 중인 사람, 범죄 혐의로 보석 중인 사람, 중요 증인 등의 이동의 자유를 제한할 수 있다.[22] 특히 보호관찰이나 가석방으로 풀려난 범죄자들에게 엄격한 제한이 가해질 수 있다.[22] 중요 증인 또한 여행할 권리를 박탈당할 수 있다.[22]

양육권 분쟁 시 법원은 미성년자의 이동을 제한하여 부모가 자녀와 함께 여행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22] 투옥 상황에서 정부는 범죄 유죄 판결을 받은 사람의 거주 이전의 자유를 엄격하게 제한할 수 있다.[22]

5. 3. 특정 국가의 입국 제한

대부분의 국가는 자국민이 아닌 외국인이 자국 영토에 입국하려면 비자 또는 다른 형태의 입국 허가를 요구한다.[7] 비자 제한 지수는 자국민이 비자 없이 입국할 수 있는 다른 국가의 수를 기준으로 국가를 순위 매긴다. 규정에 따라 필요한 서류 없이 국가에 입국하는 사람들은 종종 투옥되거나 추방된다.[5][8]

영국 정부는 런던 스탠스테드 공항에 도착하는 여행객들에게 입국 자격을 판단할 수 있도록 여행 서류를 파기하지 말라고 지시합니다

5. 4. 특정 국가의 출국 제한

대부분의 국가는 자국민이 출국할 때 유효한 여권, 국제기구가 발급한 여행 서류, 또는 경우에 따라 신분증명서를 소지하도록 요구한다.[10] 여권 발급 조건 및 정부의 여권 발급 거부 권한은 국가마다 다르다.

특정 상황에서는 국가가 외국인(자국민이 아닌 사람)에게 여행 서류(라세파서)를 발급할 수 있다. 여권 발급이 출국 권리를 보장하는 것은 아니며, 용의자로 수사를 받거나, 형을 복역 중이거나, 채무 불이행 상태이거나, 국가 안보에 위협이 되는 경우 등 여러 이유로 출국이 금지될 수 있다.[10] 이는 외국인에게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일부 국가에서는 출국 금지가 이미 발급된 여권의 취소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합중국은 임의로 여권을 취소할 수 있다.[10] 소비에트 연방과 같은 일부 국가는 자국민, 그리고 때로는 외국 여행객이 출국 허가를 받으려면 출국 비자를 받아야 했다.

현재 일부 국가는 외국인이 입국 시 비자가 필요했다면 출국 시에도 유효한 비자를 소지해야 한다. 예를 들어, 체코에서 비자 체류 기간을 초과한 사람은 출국 비자를 받아야 할 수 있다. 러시아에서는 입법이 거주 허가를 공식적으로 유효한 비자로 인정하지 않기 때문에, 러시아에 합법적으로 거주하는 외국인은 해외 여행을 하려면 "출입국" 비자를 받아야 한다. 이는 특히 귀국 시 원래 입국 비자가 만료되는 외국 유학생에게 영향을 미친다.

중화인민공화국 본토 거주 시민은 홍콩마카오의 특별행정구에 입국하려면 출입국 보증을 신청해야 한다. (특별행정구 거주민은 본토를 방문하려면 귀향증이 필요하다.) 2016년부터 신장 위구르 자치구 거주민은 여권을 경찰에 제출해야 한다. 해외 여행은 정부의 승인을 받아야 하며, 위구르족에게는 더욱 어렵다.[11]

사우디아라비아카타르는 모든 거주 외국인(시민 제외)이 출국 전 출국 비자를 받아야 한다.[12]

6. 국가별 현황 및 사례

미얀마의 군부 정권은 이동의 자유를 제한하여 비판을 받고 있다.[20] 이러한 제한에는 정치적 반체제 인사,[21] 여성,[22] 이주 노동자들의 이동 제한이 포함된다.[22]

인도에서는 영토 전역을 자유롭게 이동할 권리가 보장되지만, 전염병 통제 등 공공의 이익을 위해 합리적인 제한이 가능하다. 또한, 예정된 부족의 보호를 위해 거주 및 정착의 자유에 대한 제한이 있을 수 있다.

쿠웨이트이스라엘 여권 소지자의 입국을 거부하며,[40] 2015년 쿠웨이트항공은 이스라엘 시민에게 티켓 판매를 거부하여 미국 교통부로부터 차별 판결을 받고 뉴욕과 런던 간 노선을 취소했다.[41]

남아프리카 공화국아파르트헤이트 시대에 통행증 법률로 흑인의 이동 자유를 제한했으나,[61] 현재는 헌법 제2장 21조에 이동의 자유를 명시하고 있다.[62][59]

아일랜드에서는 1992년 헌법 제13차 수정 조항을 통해 낙태를 위한 여성의 해외 이동 자유를 보장했으나, 2018년 제8차 수정 조항 폐지로 더 이상 필요하지 않다.

이탈리아 헌법 제16조는 이동의 자유를 명시하며, 보건 또는 안보상의 이유를 제외하고는 정치적 이유로 제한할 수 없다고 규정한다.[67]

노르웨이의 스발바르는 스발바르 조약에 따라 비자 면제 지역이다.[68]

스발바르 지역은 완전 비자 면제 구역입니다.


폴란드는 복수 국적자에게 솅겐 지역 여행 시 폴란드 여행 서류 사용을 요구하며,[69] 모든 폴란드 국민은 입출국 시 폴란드 여행 서류를 사용해야 한다.[70]

러시아 헌법 제27조는 러시아 연방 영토 내 자유로운 이동과 거주지 선택의 권리, 출국의 자유를 규정한다.[71] 그러나 폐쇄 도시,[72] 국경 지역,[73] 계엄령 선포 지역[74] 등에서는 이동의 자유가 제한될 수 있다. 또한, 사법적 이유[75]나 징병[76] 대상 시민에게도 제한이 적용된다. 1993년 프로피스카 제도가 폐지되었지만,[77] 여전히 거주 등록 제도가 존재하며, 임대인의 동의가 필요하여 실질적인 어려움이 있다.[78] 러시아 국민의 출국은 기밀 문서 접근,[79] 범죄 혐의, 징병 등의 이유로 제한될 수 있다. 러시아 헌법 제62조에 따라 외국 국적을 가진 러시아 국민은 외국 여행 서류로 러시아에 입출국할 수 없다.[80][81]

세르비아는 자유로운 이동과 거주, 출입국의 권리를 보장하지만, 형사 소송 절차, 공공 질서 및 평화 보호, 전염병 확산 방지, 국가 방위를 위해 법률에 의해 제한될 수 있다.[82]

튀르키예 헌법 제23조는 이동의 자유를 보장하지만, 시민 의무, 형사 수사 또는 기소로 인해 해외여행의 자유가 제한될 수 있다.[83]

영국은 관습법을 통해 이동의 자유를 보장해 왔으며, 의회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 인권법에 따라 이동의 자유에 대한 제한을 금지하는 제안이 있었으며,[84] 여기에는 도로 통행료, 개인 신분증 제시 요구, 주소 등록 의무 등이 포함된다.[84]

캐나다 헌법은 6조에 이동의 권리를 명시하고 있으며, 시민의 출입국 권리와 국내 이동 권리를 포함한다. 사회 연합 틀 협정은 캐나다인의 이동 자유를 시민권의 필수 요소로 명시하고 있다.[85]

오스트레일리아 연방 내 이동의 자유를 보장하는 법률은 없으며, 다양한 법률이 이 권리를 제한한다.[91][92] 2016년 7월 1일까지 노퍽 섬은 별도의 이민 통제를 시행했다. 2014년 호주 연방 정부는 테러 관련 지역 여행 규제를 제안했다.[93]

세인트 마틴 섬은 신트마르턴(네덜란드 왕국 소속)과 세인트 마틴(프랑스령)으로 나뉘지만, 1648년 콩코르디아 조약에 따라 자유로운 이동이 허용된다.[94]

6. 1. 대한민국

6. 2. 일본

일본국 헌법은 국내 이동의 자유, 해외 여행, 이민 및 본국 송환을 보장하며, 일본 정부는 일반적으로 이를 실제로 존중한다.[38] 시민은 국내외를 자유롭게 여행하고, 거주지를 변경하고, 이민하고, 자발적으로 본국으로 돌아갈 권리가 있다. 외국 국적 취득 또는 이중 국적자로 태어난 사람이 정해진 나이에 국적을 선택하지 않은 경우 시민권을 상실할 수 있다. 법은 강제 추방을 허용하지 않으며, 사용되지도 않는다.[39]

6. 3. 중국

중국 본토에서는 호구제도로 인해 농촌 주민들이 도시 지역으로 이동하기 어렵다.[23][24] 많은 사람들이 현지 호구가 없는 곳으로 이주하지만, 지방 정부는 현지 호구가 있는 사람들에게만 보조금 지원 교육, 보조금 주택, 건강 보험과 같은 서비스를 제공한다.[27][25][28][26] 이 제도는 한나라 시대부터 세금 징수에 사용되었으며, 최근에는 중화인민공화국에서 도시화를 통제하는 데 사용되고 있다.[27] 호구제도는 또한 많은 시정부가 이주 노동자들의 복지를 무시하게 만들었는데, 그 이유는 웰빙과 경제 발전의 척도가 현지 호구가 있는 사람들의 조건에 거의 전적으로 기반하기 때문이다.[28]

중국 시민들은 본토에서 홍콩이나 마카오로 여행할 수는 있지만, 거주는 "일방 통행 허가증"을 얻어야 가능하다. "일방 통행 허가증" 발급은 하루 150건으로 제한되어 있다.

티베트 인권과 민주주의 센터는 2000년에 티베트 사람들이 인도 또는 네팔로 떠나기 위한 공식 허가를 받기 전에 중국 공산당을 비판하지 않겠다고 약속해야 한다고 주장했다.[29] 또한 티베트의 한족은 티베트인보다 도시 지역에 거주하기 위한 허가를 더 쉽게 얻는다고 주장했다.[30]

덩샤오핑이 제안하고 영국과 포르투갈 정부가 수용한 "일국양제" 정책에 따라, 중화인민공화국 특별행정구인 홍콩과 마카오는 중국 본토와 별도의 국경 통제 및 이민 정책을 유지하고 있다.[31] 중화인민공화국 국민은 홍콩이나 마카오로 여행하기 전에 정부의 허가를 받아야 했지만, 각 특별행정구 반환 이후 이 요구 사항은 공식적으로 폐지되었다. 그 이후로는 특별행정구 정부가 부과한 제한이 여행의 제한 요인이었다.[31][32]

홍콩 기본법 제31조에 따르면, "홍콩 주민은 홍콩 특별행정구 내에서의 이동의 자유와 다른 국가 및 지역으로의 이민의 자유를 가진다. 그들은 여행하고 지역에 출입할 자유를 가진다. 법으로 제한되지 않는 한, 유효한 여행 서류를 소지한 자는 특별한 허가 없이 지역을 떠날 자유가 있다."

6. 4. 북한

북한 주민들의 국내 이동과 해외여행은 엄격하게 통제되고 있으며, 이는 인권 침해 문제로 국제사회의 비판을 받고 있다.[43][44] 북한을 오가는 표준 경로는 비행기 또는 베이징을 경유하는 기차이다. 2003년부터 2008년까지는 도로가 개통되어 남한과의 직접적인 교통이 제한적으로 가능했다.[43]

6. 5. 미국

미국 법률에 따른 이동의 자유는 주로 미국 헌법의 권리와 면제 조항에 의해 규율되며, "각 주의 시민은 다른 주의 시민의 모든 권리와 면제에 대한 권리가 있다"라고 명시되어 있다.[86] 순회 항소 법원의 판결인 ''코필드 대 코리엘''에서부터 이동의 자유는 헌법상 기본적인 권리로 사법적으로 인정되어 왔다.[86] ''폴 대 버지니아''에서 대법원은 이동의 자유를 "다른 주로의 자유로운 입국과 그곳에서의 출국에 대한 권리"로 정의했다.[86] 그러나 대법원은 연방 정부에 이동의 자유를 보호할 권한을 부여하지 않았다.[87] "권리와 면제" 조항에 따라 이 권한은 주에 주어졌으며, 대법원은 ''워드 대 메릴랜드'', ''도살장 사건'', ''미국 대 해리스''와 같은 사건에서 수년간 이러한 입장을 일관되게 유지했다.[87][88]

국제적으로, 1952년 이민 및 국적법 제215조 (현재 법전화되어 8 U.S.C. [https://www.law.cornell.edu/uscode/text/8/1185 § 1185]에 규정됨)에 따르면, 미국 시민이 유효한 여권 없이 미국에 입국하거나 출국하는 것은 불법이다.[89] 국무부는 자신들이 공산주의자가 아니라고 선서하기를 거부한 시민들에게 여권 발급을 거부했으나,[90] 이러한 관행은 1958년 대법원 판결인 ''켄트 대 덜레스'' 이후 종식되었다.[90]

6. 6. 유럽

프랑스의 이동의 자유는 1948년 세계인권선언과 1990년 솅겐 조약에 의해 규율되며, 유럽 영토 내 유럽 시민에 대한 이동의 자유와 국경 통제 철폐를 촉진한다.[63] 1990년 솅겐 조약 이후 이동의 자유는 유럽 연합 25개국(키프로스는 아직 회원국이 아님, 아일랜드는 옵트아웃을 유지함)과 EU와 제휴 관계를 맺고 있는 노르웨이, 아이슬란드, 스위스, 리히텐슈타인으로 확대되었다. 유럽 연합 시민권을 가진 프랑스 국민은 제한 없이 한 유럽 국가에서 다른 국가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65] 이론적으로 프랑스 시민은 국내에서 어떠한 경찰 통제 없이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다. 그러나 1980년대까지는 모든 사람(관광객 또는 프랑스 시민)이 호텔 객실 예약 전에 개인 상황을 적은 정보표를 작성하여 경찰에 제출해야 했다. 하지만 이 법은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다.[64] 프랑스는 세계에서 가장 환영받는 국가 중 하나이다. 프랑스 시민들은 전 세계 186개 목적지로 여행할 수 있으며, 이로써 프랑스는 헨리 여권 지수에 따르면 가장 환영받는 국가 중 하나이다.[66]

6. 7. 이스라엘

베들레헴 인근의 이스라엘 내부 검문소


준헌법적 지위를 가진 이스라엘의 인간의 존엄과 자유에 관한 기본법은 "구금, 체포, 송환 또는 기타 방법으로 개인의 자유를 박탈하거나 제한해서는 안 된다"고 선언하며, "모든 사람은 이스라엘을 떠날 자유가 있다"고, 그리고 "모든 이스라엘 국민은 해외에서 이스라엘로 입국할 권리가 있다"고 명시하고 있다.[33] 하지만 현실적으로 이스라엘 법원은 출국금지 명령을 관대하게 발부하고 있으며, 이는 양육비 연체가 없는 비양육 아버지에게도 적용된다.[34][35] 2012년 3월에는 부패 스캔들로 인해 법원의 해외여행 금지 명령을 회피하기 위해 뇌물을 받은 혐의로 두 명의 공무원이 체포되었다.[36][37]

헤브론 시내 동네 사이의 검문소를 통과하기 위해 줄을 서 있는 팔레스타인인들.


이스라엘 내 이동의 자유는 마찬가지로 보호받지 못하며, 팔레스타인 요르단 강 서안 지구와, 다소 덜하지만 가자 지구에서 많은 논란의 원인이 되고 있다.[57][55]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자치정부에 의한 이스라엘과 요르단 강 서안 지구 내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주민들의 이동 제한은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분쟁의 한 가지 쟁점이다. 1990년대 중반, 오슬로 협정의 시행과 행정 구역으로의 요르단 강 서안 지구 분할과 함께 이스라엘의 이동의 자유는 법적으로 제한되었다. 이스라엘은 이러한 제한 조치가 이스라엘 본토와 요르단 강 서안 지구 모두에서 이스라엘인들을 보호하는 데 필요하다고 주장한다.[54]

요르단 강 서안 지구 전역과 출입구에는 국적, 연령, 성별 등 기준에 따라 비이스라엘인의 이동을 제한하는 검문소가 존재한다.[55][56] 많은 검문소가 고정되어 있지만, 임시로 설치되거나 자주 이동하는 경우도 많다.[56] 요르단 강 서안 지구의 모든 출입구를 완전히 폐쇄하는 일은 빈번하며, 일반적으로 유대교 명절에 발생한다.[57]

가자 지구 주민은 특히 긴급한 의료 사례와 같은 예외적인 인도적 사례를 제외하고(결혼은 제외) 요르단 강 서안 지구로 여행할 수 없다. 가자 지구로의 영구 이주를 약속하는 경우에만 요르단 강 서안 지구에서 가자 지구로 이동할 수 있다. 가자 지구 주민은 예외적인 인도적 사례를 제외하고 이스라엘에 입국할 수 없다. 2008년 이후 이스라엘인과의 결혼으로 인해 이스라엘에 거주하거나 체류할 수 없다. 가자 지구의 배우자를 방문하려는 이스라엘인은 몇 달 동안 허가를 받아야 하며, 이스라엘인은 예외적인 인도적 사례가 아닌 경우 가자 지구에 있는 1촌 친척을 방문할 수 없다.[58]

6. 8. 시리아

시리아는 헌법상으로는 시민의 이동의 자유를 보장하고 있지만,[47] 실제로는 여러 제약이 존재한다. 시리아 시민은 정부 당국의 특별 비자 없이는 출국할 수 없으며,[45][46] 국제앰네스티 등은 이동의 자유 제한을 비판해왔다.[50] 유엔 인권위원회는 이동의 자유를 포함하여 시리아의 인권에 대한 정기적인 보고서를 발표한다.[51]

특히 여성의 이동의 자유는 더욱 제한적이다. 시리아 법은 남성이 특정 여성 친척에 대한 제한을 두도록 허용하며, 18세 이상 여성은 시리아를 떠날 권리가 있지만, 남편이 아내의 출국 금지를 요청할 수 있다.[52] ISIS락까 및 데이르 에즈 조르 등지에서 여성이 혼자 공공장소에 나타나는 것을 금지하고, ''마흐람''이라는 남성 보호자와 동행하도록 강제했다. ISIS 영토를 떠나려는 사람들은 고문당하거나 처형되기도 했다.[53]

6. 9. 아프리카

국제 연합이 규정한 것 외에도 아프리카 대륙 내 이동의 자유를 규율하는 여러 국제 협정이 있다. https://www1.umn.edu/humanrts/instree/z1afchar.htm 아프리카 인권 및 민족 권리 헌장 제12조는 여러 형태의 이동 관련 자유를 설명한다.[59]

모든 개인은 법을 준수하는 조건 하에 국가의 국경 내에서 이동과 거주할 자유를 가지며, 자신의 국가를 포함한 모든 국가를 떠나고 자신의 국가로 돌아올 권리를 가진다. 이 권리는 국가 안보, 법과 질서, 공중 보건 또는 도덕성 보호를 위해 법률에 따라 규정된 제한을 받을 수 있다. 모든 개인은 박해를 받을 때 해당 국가의 법률 및 국제 협약에 따라 다른 국가에서 망명을 구하고 얻을 권리를 가진다. 본 헌장의 당사국 영토에 합법적으로 입국한 외국인은 법률에 따라 결정된 경우에만 추방될 수 있으며, 특정 국민, 인종, 민족 또는 종교 집단을 목표로 하는 외국인의 집단 추방은 금지된다.[59]

헌장의 이상은 원칙적으로 모든 서명 정부의 지지를 받지만, 엄격하게 준수되지는 않는다. 지식인들이 국경을 넘나들 때 그들의 지적 이상을 보호하기 위해 이동의 자유에 대한 특별한 권리를 인정받으려는 시도가 있었다.[60]

6. 10. 오스트레일리아와 뉴질랜드

오스트레일리아와 뉴질랜드 간의 트랜스태즈먼 여행 협정은 양국 국민의 이동을 다룬다.


오스트레일리아와 뉴질랜드는 트랜스태즈먼 여행 협정을 통해 각국 국민이 제한 없이 두 국가를 이동하고 일할 수 있도록 허용한다. 이 협정은 오스트레일리아의 영주권자 및 거주귀국 비자 소지자에게도 적용된다.

7. 국가 간 이동 자유 협정

7. 1. 유럽 연합 (EU)

유럽 연합 자유 이동 지역


유럽 연합(EU) 내에서는 유럽 연합 기능 조약 및 유럽 의회와 이사회의 2004/38/EC 지침(2004년 4월 29일)에 따라 EU 회원국 시민은 EU 내부 국경 내에서 자유롭게 이동, 거주 및 취업할 수 있는 권리가 보장된다.[15] EU 시민은 유효한 여권 또는 국가 신분증으로 최대 3개월 동안 회원국에 입국할 수 있으며, 3개월 이상 체류하려면 "사회 지원 시스템에 부담이 되지 않을 만큼 충분한 자원"을 증명해야 한다.[15]

회원국은 보안상의 제한[16] 및 공공 질서 유지를 위해 EU 거주민의 장기 체류를 제한할 수 있다. EU 시민은 5년간 중단 없이 합법적으로 거주한 회원국에서 영주권을 취득할 수 있으며, 이 영주권은 해당 국가에서 2년 연속 부재한 경우에만 상실된다. EU 거주민의 가족 구성원도 동행하는 거주민과 동일한 자유로운 이동 권리를 가지지만, 단기 체류 비자 요건이 적용될 수 있다.[15] 어떤 EU 시민도 유럽 연합 내에서 영구적으로 ''페르소나 논 그라타''로 선언되거나 회원국에 의해 영구적으로 입국이 금지될 수 없다.

근로자 이동의 자유는 아퀴즈 코뮤노테르의 유럽 연합 정책 중 하나이며, 인적 이동의 자유의 일부이자 4대 경제적 자유(재화, 서비스, 노동, 자본의 자유로운 이동) 중 하나인 노동력의 자유로운 이동에 해당한다. TFEU 제45조(구 39조 및 48조)는 근로자 이동의 자유가 공동체 내에서 보장되며, 고용, 보수 및 기타 근무 조건과 관련하여 회원국 근로자 간의 국적에 따른 차별 철폐를 명시하고 있다. 공공 질서, 공공 안전 또는 공중 보건을 이유로 제한될 수 있지만, 실제로 제시된 고용 제안을 수락하고, 회원국 영토 내에서 자유롭게 이동하며, 고용 목적으로 회원국에 체류할 권리가 보장된다. 단, 이 조항은 공공 서비스 고용에는 적용되지 않는다.[17]

7. 2. 솅겐 지역

솅겐 지역은 29개의 유럽 국가들이 체결한 협정으로, 유럽 연합 회원국과 비회원국 일부를 포함한다. 이 협정에 따라 솅겐 지역 내에서는 일반적으로 국경 통제가 완화되어 비자 없이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다. 따라서 이들 국가 중 한 곳에서 발급한 비자를 소지한 외국인은 솅겐 지역 내에서 자유로운 이동이 가능하다.

7. 3. 북유럽 여권 연합

북유럽 여권 연합은 아이슬란드, 덴마크, 노르웨이, 스웨덴, 핀란드 시민들이 여행 서류나 거주 허가 없이 상호 국가를 여행하고 거주할 수 있도록 허용한다.[18] 2001년 3월 25일 이후로 이들 5개국은 모두 솅겐 지역에 속해 있다.[18]

7. 4. 독립국가연합 (CIS)

독립국가연합 국가들은 시민의 이동의 자유 분야에서 상호 간에 여러 협정을 체결하여 무비자 여행, 서류 인정, 고용 분야 협력 및 공동 노동 시장을 규제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해외 방문에는 여권이 필요하지만, 국가 신분증이나 내국인 여권이 유효하다는 다른 협정이 있는 경우는 예외다(공동 시장은 단일 시장보다 통합 수준이 낮으며, 별도의 협정은 단일 시장 조항보다 더 제한적이다).

유라시아 경제 연합은 독립국가연합과 일부 겹친다.

7. 5. 유라시아 경제 연합 (EAEU)

유라시아 경제 연합(EAEU) 회원국 간에는 2012년부터 노동 허가 없이 근로자와 그 가족 구성원의 자유로운 노동 이동이 허용된다. 의료 서비스 이용 및 학력 인정도 포함된다. 연합 내에서는 국가 신분증 또는 내부 여권이 유효하다. 독립국가연합은 유라시아 경제 연합과 부분적으로 일치한다.

7. 6. 메르코수르 (MERCOSUR)

메르코수르아르헨티나, 브라질, 파라과이, 우루과이 4개국 간의 동맹으로, 회원국들과 5개의 준회원국 간의 자유로운 이동 지역을 포함하고 있다. 시민들은 다른 메르코수르 또는 준회원국을 여행하기 위해 여권이 필요하지 않다. 자유로운 이동은 칠레, 볼리비아, 콜롬비아, 에콰도르, 페루 등의 특정 준회원국에도 적용되며, 이들 국가의 시민들 또한 여권 없이 해당 지역을 여행할 수 있다.

진한 녹색: 정회원.
연한 녹색: 준회원.
빨간색: 정지 회원.
파란색: 옵서버 회원.

7. 7. 중앙아메리카

엘살바도르, 과테말라, 온두라스, 니카라과는 2006년에 폐지된 중미 4개국 국경 통제 협정에 따라 육상 국경 검문이 없어졌다. 이들 국가는 조화된 외부 국경 및 방문객 정책을 채택했다.

7. 8. 영국, 아일랜드, 맨섬, 채널 제도

공통 여행 지역에 속하는 국가 및 지역


공통 여행 지역 협정은 영국, 아일랜드, 맨섬, 채널 제도에 거주하는 주민들이 이 지역 내에서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도록 허용한다. 이 협정은 이들 국가가 발급한 비자를 소지한 특정 외국 국민에게도 적용된다.

7. 9. 걸프 협력회의 (GCC)

걸프 협력회의(GCC) 회원국 및 영토


걸프 협력회의 (사우디아라비아, 오만, 쿠웨이트, 바레인, 카타르, 아랍에미리트) 회원국 국민들은 비자 없이 상호 국가에 입국할 수 있으며, 각 GCC 국가에서 일할 권리도 주어진다. GCC 국민들은 이들 국가 간 이동 시 여권 대신 GCC 국가 신분증을 사용할 수 있다.

7. 10. 러시아와 벨라루스 연합 국가

연합국가 내에서는 러시아와 벨라루스 국민 간의 자유로운 이동이 허용되는데, 이는 영국아일랜드 국민에게 적용되는 공통 여행 지역과 유사하다.

7. 11. 미국, 미크로네시아 연방, 마셜 제도, 팔라우

자유 연합 조약에 따라 미크로네시아 연방, 마셜 제도, 팔라우, 그리고 미국 시민들은 각 국가에서 비자 없이 무기한으로 입국, 체류, 유학 및 취업이 가능하다.

7. 12. 카리브해

앤티가 바부다, 도미니카 연방, 그레나다, 몬세라트, 세인트키츠 네비스, 세인트루시아, 세인트빈센트 그레나딘 국민은 비자 없이 각 국가에 무기한으로 입국, 거주, 유학 및 취업이 가능하다.[19]

8. 결론

참조

[1] 서적 Nomadic Peoples and Human Rights
[2] 서적 Illiberal Liberal States: Immigration, Citizenship and Integration in the EU
[3] 웹사이트 Universal Declaration of Human Rights https://www.un.org/e[...]
[4] 웹사이트 Libertarians say: Let the immigrant children in https://www.lp.org/n[...] 2014-07-08
[5] 웹사이트 Why Should We Restrict Immigration? http://object.cato.o[...]
[6] 서적 Closed Borders: the Contemporary Assault on Freedom of Movement Yale University Press
[7] 논문 Global Justice, Freedom of Movement and Democratic Citizenship
[8] 서적 Diplomatic Law: Commentary on the Vienna Convention on Diplomatic Relations 2016-01-14
[9] 논문 Exit restrictions in the context of Chinese civil litigation 2019-01-02
[10] 법률 Haig v. Agee, Passport Act of 1926
[11] 뉴스 China confiscates passports of Xinjiang people https://www.bbc.co.u[...] 2016-11-24
[12] 뉴스 Travel restrictions started during WW-I http://timesofindia.[...] 2010-05-31
[13] 서적 Roman History
[14] 웹사이트 Pale of Settlement http://www.jewishvir[...]
[15] 웹사이트 EUROPA http://europa.eu/sca[...]
[16] 웹사이트 EUROPA http://europa.eu/sca[...]
[17] 법률 Treaty of Rome http://eur-lex.europ[...] EUR-Lex
[18] 웹사이트 Parliamentary question | Answer to Question No E-3822/00 | E-3822/2000(ASW) | European Parliament https://www.europarl[...]
[19] 웹사이트 Free Movement of persons in the Eastern Caribbean https://www.oecs.org[...]
[20] 웹사이트 Online Burma Library > Main Library > Human Rights > Freedom of Movement > Freedom of Movement, violations of in Burma/Myanmar http://www.burmalibr[...]
[21] 웹사이트 The World Factbook https://www.cia.gov/[...]
[22] 웹사이트 12 http://www.ibiblio.o[...]
[23] 논문 The "hukou" system and rural-urban migration in China: processes and changes 1999-12
[24] 논문 The origins and social consequences of China's hukou system 1994-09
[25] 논문 Rural migrant workers in urban China: living a marginalised life 2007-01-01
[26] 논문 Is China abolishing the hukou system? 2008-09
[27] 뉴스 China 'hukou' system deemed outdated as way of controlling access to services https://www.washingt[...] 2010-08-14
[28] 서적 Handbook of Chinese Migration: Identity and Wellbeing Edward Elgar Publishing, Inc
[29] 웹사이트 Restrictions on Freedom of Movement and Residence http://www.tchrd.org[...] Tibetan Centre for Human Rights and Democracy
[30] 간행물 Racial Discrimination in Tibet (2000) Tibetan Centre for Human Rights and Democracy
[31] 논문 The Origins and Social Consequences of China's Hukou System
[32] 논문 Turning Points in Labor Migration: The Case of Hong Kong 1994-03-01
[33] 웹사이트 Basic Law: Human Dignity and Liberty https://www.knesset.[...]
[34] 웹사이트 Coalition for The Children and Family, Father's Rights Israel, Discrimination Against Men - הקואליציה למען הילדים והמשפחה http://ccfisrael.org[...]
[35] 웹사이트 Israel Gets Rid of "the Best Interest of the Child Stuff" - Fearless Fathers http://fearlessfathe[...] 2012-01-21
[36] 뉴스 Payoff scandal clouds Israel's airport security http://www.ynetnews.[...] 2012-03-14
[37] 뉴스 חשד: שוטר וקצין שב"כ סייעו למעוכבי יציאה תמורת שוחד https://www.globes.c[...] 2012-03-14
[38] 논문 The Origins of the Present Japanese Constitution 1956-12-01
[39] 웹사이트 Country Reports on Human Rights Practices - 2006 https://2001-2009.st[...] U.S. Department of State 2007-03-06
[40] 뉴스 Kuwait Airways Drops Flights to Avoid Israeli Passengers https://www.nytimes.[...] 2016-01-15
[41] 뉴스 Kuwait Airways drops New York to London route after being criticised for refusing to take Israeli passengers https://www.independ[...] 2015-12-17
[42] 간행물 Kuwait Airways Pulls Profitable Flight to Avoid Doing Business With Israelis https://www.usnews.c[...] 2015-12-18
[43] 웹사이트 UNHCR Freedom in the World 2008 - North Korea https://web.archive.[...] Unhcr.org 2008-07-02
[44] 웹사이트 North Korea: Freedom of movement, opinion and expression - Information sheet https://www.amnesty.[...] Amnesty International 2009-08-02
[45] 웹사이트 Syrian Reform: What Lies Beneath http://www.meforum.o[...] The Middle East Quarterly 2005
[46] 웹사이트 How Syria controls its dissidents – Banning travel http://www.economist[...] The Economist 2010-09-30
[47] 법률 Article 33, Paragraph 2, Syrian Constitution
[48] 웹사이트 http://daccessdds.un[...] 2017-10-01
[49] 법률 Legislative Decree No. 29 of 1970, Syrian Government
[50] 웹사이트 Syria: Unable to Move: Freedom of Movement restricted for Human Rights Defenders (and Others) https://www.amnesty.[...] Amnesty International
[51] 웹사이트 Human Rights Committee - 84th Session http://www.ohchr.org[...]
[52] 웹사이트 Revolutionizing Human Rights: Women and Democracy in Northern Syria https://law.yale.edu[...]
[53] 뉴스 Double-layered Veils and Despair The Guardian 2015-02-17
[54] 웹사이트 OCHA Closure Update http://www.ochaopt.o[...] United Nations Office for the Coordination of Humanitarian Affairs 2008-05-01
[55] 웹사이트 Checkpoints, Physical Obstructions, and Forbidden Roads http://www.btselem.o[...] B'Tselem 2013-11-24
[56] 웹사이트 OCHA Closure Update http://www.ochaopt.o[...] United Nations Office for the Coordination of Humanitarian Affairs 2008-05-01
[57] 뉴스 IDF closes West Bank for Passover http://www.jta.org/n[...] Jewish Telegraphic Agency 2010-03-28
[58] 웹사이트 So near and yet so far—Implications of Israeli‐Imposed Seclusion of Gaza Strip on Palestinians’ Right to Family Life http://www.btselem.o[...] HaMoked and B'Tselem 2014-01-01
[59] 웹사이트 African [Banjul] Charter on Human and Peoples' Rights, adopted June 27, 1981, OAU Doc. CAB/LEG/67/3 rev. 5, 21 I.L.M. 58 (1982), entered into force Oct. 21, 1986: [excerpts] . . . http://www1.umn.edu/[...]
[60] 웹사이트 The Kampala Declaration on Intellectual Freedom and Social Responsibility (1990) http://www1.umn.edu/[...]
[61] 서적 South Africa : the rise and fall of apartheid https://www.worldcat[...] 2016
[62] 법률 Certification of the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South Africa, 1996 http://www.saflii.or[...] Constitutional Court (South Africa) 1996-09-06
[63] 웹사이트 the French Constitution of 1958 https://www.conseil-[...]
[64] 웹사이트 According to the official website of the French Republic
[65] 법률 The Schengen Agreement https://eur-lex.euro[...]
[66] 기타 This ranking does not take in count restrictions due to the COVID-19 pandemic.
[67] 웹사이트 The Italian Constitution http://www.quirinale[...] The official website of the Presidency of the Italian Republic
[68] 논문 Project Turnstone : Freedom of Movement and Passenger Experiences with Safety and Border Control in the Baltic Sea Area http://www.diva-port[...] 2015
[69] 웹사이트 Freedom of Movement for Workers from Central and Eastern Europe http://www.sieps.hem[...] 2006
[70] 논문 Are the European Union's New Boundaries like the Iron Curtain? 1989, Borders and Freedom of Movement in Poland and Ukraine 2009-09-01
[71] 웹사이트 The Constitution of the Russian Federation http://www.constitut[...]
[72] 웹사이트 Secret cities https://www.globalse[...]
[73] 웹사이트 LAW OF THE RUSSIAN FEDERATION NO. 4730-I OF APRIL 1, 1993 ON THE STATE BORDER OF THE RUSSIAN FEDERATION http://www.legislati[...]
[74] 웹사이트 FEDERAL CONSTITUTIONAL LAW NO. 3-FKZ OF MAY 30, 2001 ON THE STATE OF EMERGENCY https://www.legislat[...]
[75] 웹사이트 CRIMINAL-PROCEDURAL CODE OF THE RUSSIAN FEDERATION NO. 174-FZ OF DECEMBER 18, 2001 https://www.legislat[...]
[76] 웹사이트 FEDERAL LAW OF THE RUSSIAN FEDERATION of March 28, 1998 No. 53-FZ About conscription and military service https://cis-legislat[...]
[77] 논문 The Demise and Resurrection of the Propiska: Freedom of Movement in the Russian Federation http://heinonline.or[...] 1998
[78] 논문 The Propiska and the Constitutional Court Special Report http://heinonline.or[...] 1998
[79] 웹사이트 FEDERAL LAW NO. 114-FZ OF AUGUST 15, 1996 ON THE PROCEDURE FOR EXITING AND ENTERING THE RUSSIAN FEDERATION http://www.legislati[...]
[80] 웹사이트 The Constitution of the Russian Federation http://www.constitut[...]
[81] 웹사이트 ORDER OF THE GOVERNMENT OF THE RUSSIAN FEDERATION of June 9, 2003 No. 335 ORDER OF THE GOVERNMENT OF THE RUSSIAN FEDERATION June 9, 2003 No. 335 About approval of the Regulations on establishment of form of the visa, procedure and conditions of its registration and issue, prolongation of term of its action, its recovery in case of loss, and also procedure for cancellation of the visa https://cis-legislat[...]
[82] 웹사이트 Article 39 of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Serbia http://www.ustavni.s[...] 2020-11-30
[83] 웹사이트 Türkiye Cumhuriyeti Anayasası https://www.tbmm.gov[...] 2020-12-26
[84] 서적 The Legal Protection Of Democracy & Freedom: The Case For A New Written Constitution & Bill Of Rights https://books.google[...] ISR/Google Books 2006
[85] 뉴스 A Framework to Improve the Social Union for Canadians: An Agreement between the Government of Canada and the Governments of the Provinces and Territories, February 4, 1999 http://socialunion.g[...] Government of Canada, Social Union 1999-02-04
[86] 웹사이트 FindLaw's United States Supreme Court case and opinions. http://caselaw.lp.fi[...] 2018-03-29
[87] 논문 Criminal Justice System Reform Symposium: Note: Out of Sight, Out of Mind: State Attempts to Banish Sex Offenders 2005
[88] 논문 Note: Membership Has Its Privileges and Immunities: Congressional Power to Define and Enforce the Rights of National Citizenship 1989
[89] 논문 Passport Revocations or Denials on the Ground of National Security and Foreign Policy http://ir.lawnet.for[...] 1981
[90] 서적 Arise, Africa! Roar, China! Black and Chinese Citizens of the World in the Twentieth Century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Press 2021
[91] 웹사이트 Right to freedom of movement | Attorney-General's Department https://web.archive.[...] 2014-03-17
[92] 웹사이트 Right to freedom of movement https://www.ag.gov.a[...]
[93] 뉴스 Australia's government yesterday announced plans to regulate travel to terrorist hotbeds such as Iraq and Syria as part of a raft of counterterrorism measures aimed at addressing the domestic threat posed by war-hardened homegrown Islamic extremists. MediaCorp 2014-08-06
[94] 뉴스 The reunification of St. Martin: A pipe dream or an inevitable choice? http://houseofnehesi[...] House of Nehesi Publishers 2004-12-25
[95] unknown
[96] unknown 1975
[97] unknown 2011
[98] unknown 1997
[99] unknown 2011
[100] unknown 1997
[101] unknown 1997
[102] unknown 1997
[103] unknown 1975
[104] unknown 2000
[105] unknown 1997
[106] 논문
[107] 논문
[108] 논문
[109] 논문
[110] 서적 近代日本総合年表 第四版 岩波書店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