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게이한 게이신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게이한 게이신선은 교토부 야마시나구의 미사사기역에서 시가현 오쓰시의 비와코하마오쓰역까지 잇는 7.5km의 게이한 전기 철도 노선이다. 1912년 개통 이후 급행, 준급 열차가 운행되었으나 현재는 모든 열차가 각역정차하는 보통 열차로 운행된다. 대부분의 열차가 교토 시영 지하철 도자이선과 직결 운행하며, 2002년부터 전 구간에서 원맨 운전을 실시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게이한 전기 철도의 철도 노선 - 게이한 본선
    게이한 본선은 요도야바시역에서 산조역까지 49.3km를 잇는 게이한 전기철도의 간선 노선으로, 오사카와 교토를 연결하며, 40개의 역과 1개의 신호장을 갖추고 있고, 덴마바시역과 네야가와 신호장 사이는 복복선으로 운행된다.
  • 게이한 전기 철도의 철도 노선 - 게이한 나카노시마선
    게이한 나카노시마선은 게이한 전기 철도와 나카노시마 고속 철도가 운영하는 3.0km 지하 철도 노선으로, 덴마바시역을 포함한 5개 역으로 구성되어 게이한 본선과 직결 운행하며 오사카와 교토를 연결하고, 향후 나니와스지선 연결 및 유메시마 연장 계획이 검토 중이다.
  • 시가현의 철도 - 도카이도 신칸센
    도카이도 신칸센은 도쿄역과 신오사카역을 연결하는 일본의 고속철도 노선으로, 1964년 도쿄 올림픽에 맞춰 개통되었으며, 현재 JR 도카이가 운영하고 최고 시속 285km로 운행하며 지속적인 기술 발전과 노선 개량을 통해 운행 시간을 단축해왔다.
  • 시가현의 철도 - 도카이도 본선
    도카이도 본선은 도쿄역과 고베역을 잇는 713.6km의 협궤 철도 노선으로, 1872년 일부 개통 후 1889년 전 구간 개통하여 일본의 주요 간선으로 성장했으며, 현재는 JR 동일본, JR 도카이, JR 서일본에 의해 지역 수송의 중추적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 교토부의 철도 - 도카이도 신칸센
    도카이도 신칸센은 도쿄역과 신오사카역을 연결하는 일본의 고속철도 노선으로, 1964년 도쿄 올림픽에 맞춰 개통되었으며, 현재 JR 도카이가 운영하고 최고 시속 285km로 운행하며 지속적인 기술 발전과 노선 개량을 통해 운행 시간을 단축해왔다.
  • 교토부의 철도 - 야마토지선
    야마토지선은 서일본 여객철도가 운영하며 가모역과 JR난바역을 잇는 54.0km의 복선 전철화 노선으로, 나라와 오사카를 연결하는 주요 교통수단이며 다양한 열차가 운행되고 2024년 새로운 역이 개통될 예정이다.
게이한 게이신선 - [철도 노선]에 관한 문서
지도
게이한 오쓰 선 노선도
게이한 오쓰 선 노선도
기본 정보
노선명게이한 게이신 선
로마자 표기Keihan Keishin Line
일본어 표기京阪京津線
노선색#fc0
로고Number prefix Otsu lines.svg
로고 너비25
거리 구간을 달리는 게이한 800계 전차
거리 구간을 달리는 800계 전차 (가미사카에마치역 - 비와코하마오쓰역 구간)
지역교토부시가현
기점비와코하마오쓰역
종점교토시야쿠쇼마에역 또는 우즈마사텐진가와역
역 수7
개통1912년
폐선1997년 (미사사기 - 게이신산조)
운영자게이한 전기 철도
사용 차량사용 차량의 절을 참조
노선 길이7.5km
선로 수2
궤간1435mm (표준궤)
전철화직류 1500V 가공 전차선 방식
전구간 개통일1925년 5월 5일
부분 폐지일1997년 10월 12일
최대 경사61퍼밀
최소 곡선 반경40미터
최고 속도75km/h
소유자 (이전)게이한 전기 궤도 → 게이한 전기 철도 (구) → 게이한신 급행 전철게이한 전기 철도
운영자게이한 전기 철도
차량 기지시노미야 차량 기지
폐색 방식자동 폐색식
보안 장치게이한형 속도 조회 ATS
노선 정보
노선망오쓰 선
기점미사사기역
종점비와코하마오쓰역
영업 거리7.5km

2. 노선 정보

게이신선은 미사사기역에서 비와호하마오쓰역까지를 잇는 7.5km 길이의 노선으로, 7개의 역이 있다. 전 구간 복선에 직류 1,500V 전철화되어 있으며, 자동 폐색 방식으로 최고 속도 75km/h로 운행된다.

오이와케역-가미사카에마치역 사이에는 61‰의 급경사 구간이 있는데,[5] 이는 우스이 고개에 필적하는 수준이다.

교토 시영 지하철 도자이선과 직통 운전으로 다이친텐진가와역까지 운행하며, 비와코하마오쓰역에서 이시야마사카모토선과 연결된다. 이를 통해 교토와 오쓰 시내를 연결하고, 동해도 본선(비와코선) 및 고사이선의 연계 수송(피더) 역할도 한다.

시노미야역-가미사카에마치역은 대부분 국도 1호선을 따라 달리며, 가미사카에마치역-비와코하마오쓰역은 노면 전차처럼 도로 위를 주행하는 병용 궤도 구간이다.

1997년 10월 12일, 지하철 도자이선 개통 및 직통 운행으로 미사사기역 서쪽 구간은 폐지되었다.

2. 1. 노선 데이터


  • 노선 거리(영업 거리): 7.5km
  • 궤간: 1,435mm
  • 역 수: 7역 (기·종점역 포함, 지상역 1역·지하역 6역)
  • 복선 구간: 전 구간
  • 전철화 구간: 전 구간 (직류 1500V)
  • 폐색 방식: 자동 폐색식
  • 안전 설비: 경한식 속도검사 ATS[1]
  • 최고 속도: 75km/h[1]
  • 최대 구배: 61‰[1]
  • 최소 곡선 반경: 40m[1]

3. 운행 형태

대부분의 열차가 교토 시영 지하철 도자이선과 직결 운행하여 다이친텐진가와역까지 운행하며, 일부 열차는 교토시청앞역을 기점으로 운행한다. 평일 낮 시간대에는 20분 간격으로 운행되며, 출퇴근 시간대에는 운행 간격이 더 짧아진다.[18] 1997년 10월 12일 지하철 도자이선 개업 및 직통 운행 개시에 따라 御陵역 이서 구간은 폐지되었다.

전 구간에서 PiTaPa, ICOCA 등 전국 상호 이용 교통계 IC 카드를 사용할 수 있다.[3]

2018년 3월 17일 다이야 개정부터는 낮 시간대의 모든 열차가 다이친텐진가와역 발착으로 통일되었지만, 도자이선과 맞춰 20분 간격으로 감편되었다.[18] 과거에는 급행 및 준급 열차도 운행되었으나, 현재는 모든 열차가 각역정차하는 보통 열차로만 운행된다.

3. 1. 과거의 운행 형태

1960년대까지는 60형 "비와코호"나 200형, 260형 등을 사용한 임시 특급 열차도 운행된 적이 있었다. 경진선 구간은 무정차였다.[18]

1950년대 여름철 임시 특급 열차는 경한산가역에만 정차했지만, 1960년대 겨울철 스키 임시 특급 열차는 전 구간 무정차로 운행되었다.

4. 역 목록

교토 시영 지하철 도자이선 (야마시나 역 : T07)OT32시노미야四宮0.62.1OT33오이와케追分1.33.4시가현오쓰시OT34오타니大谷1.65.0OT35가미사카에마치上栄町1.76.7OT12비와코하마오쓰びわ湖浜大津0.87.5게이한 전기 철도 이시야마사카모토 선



폐역 목록은 다음과 같다.

4. 1. 현존 구간

교토 시영 지하철 도자이 선 (T07: 야마시나 역)OT32시노미야四宮2.1OT33오이와케追分3.4시가현 오쓰시OT34오타니大谷5.0OT35가미사카에마치上栄町6.7OT12비와코하마오쓰びわ湖浜大津7.5게이한 이시야마 사카모토 선



모든 열차가 각 역에 정차한다.

역 번호역 이름역간 거리 (km)영업 거리 (km)접속 노선 및 비고소재지
T08고료-0.0 교토 시영 지하철 도자이 선 (우즈마사텐진가와 역까지 직통 운행)교토부 교토시 야마시나구
OT31게이한 야마시나1.5[60]1.5서일본 여객철도 야마시나 역: 도카이도 본선 (비와코 선), 고세이 선
교토 시영 지하철 도자이 선 (야마시나 역: T07)
OT32시노미야0.62.1
OT33오이와케1.33.4시가현 오쓰시
OT34오타니1.65.0
OT35가미사카에마치1.76.7
OT12비와코하마오쓰0.87.5게이한 전기철도 이시야마사카 선


4. 2. 폐지 구간

1997년 교토 시영 지하철 도자이선 개통과 함께 게이신산조-미사사기 구간이 폐지되었다.[19][20][21][22][23][24][25][27]

역명영업 km비고소재지
게이신산조0.0게이한 본선, 게이한 오토 선 환승교토시 히가시야마구
히가시야마산조0.6
게아게1.6
구조야마2.5교토시 야마시나구
히노오카3.5

4. 2. 1. 현존 구간의 폐지 역

4. 2. 2. 현존 구간의 과거의 접속 노선

5. 차량

현재 게이신선에서는 게이한 800계 전동차가 운행되고 있다. 과거에는 1형, 20형, 30형, 50형, 60형(비와코호), 70형, 80형, 200형, 260형, 300형, 350형, 500형, 600형, 700형 등 다양한 차량이 운행되었다.

5. 1. 현재 사용 차량



800계를 포함한 600형 이후의 차량은 이시야마사카모토선과 함께 절의 반종 소리를 본따 만든 독자적인 경적을 사용하고 있다.[1]

1997년 800계 운전석의 운행 스태프 (시간표)에는 운전석 모니터 내 터치패널식 디스플레이 표시(운행 지시 내용이 기록된 IC카드를 읽어 표시하는 방식)가 채용되었다.[2]

5. 2. 과거 사용 차량

1960년대까지 60형 "비와코호"나 200형, 260형 등을 사용한 임시 특급 열차가 운행된 적이 있었다. 경진선 구간은 무정차였다.[1]

1950년대 여름철 임시 특급 열차는 경한산가역에만 정차했지만, 1960년대 겨울철 스키 임시 특급 열차는 전 구간 무정차로 운행되었다.[2]

과거에 사용된 차량은 다음과 같다.

6. 역사

1912년 게이신 전기 궤도에 의해 개통된 게이신선은 교토와 오쓰를 잇는 중요한 교통로였다. 1906년에 구 동해도를 따라 교토 시 중심부와 오쓰 시 중심부를 직결하는 전철 부설을 목적으로 경진전기궤도주식회사가 설립되었다.[29]

1925년 게이한 전기 철도와의 합병, 1943년 게이한신 급행 전철(현재의 한큐 전철)과의 합병, 1949년 다시 게이한 전기 철도로 분리되는 등 복잡한 역사를 거쳤다.

1997년 교토 시영 지하철 도자이선 개통과 함께 게이신산조 역-미사사기 역 구간이 폐지되고, 도자이선과의 직결 운행이 시작되었다. 이 과정에서 전압이 600V 직류에서 1,500V 직류로 증가했다.

게이신선은 지하철, 급경사 구간, 노면 전차처럼 도로 위를 주행하는 병용 궤도 구간을 직통 운전하는 일본 유일의 노선이다.[4] 특히 오다니 역 - 가미사카에마치 역 구간에는 61퍼밀(‰)의 급경사 구간이 있으며,[5] 가미사카에마치 역 - 비와코하마오쓰 역 구간은 대부분 도로 위를 달리는 병용 궤도이다.

1997년 지하철 도자이선 개통 이후, 미사사기 역을 경계로 지하철과 게이신선의 운임이 별도로 가산되어, 교토 시내 중심부에서 비와코하마오쓰 방면 운임이 크게 상승했다.

6. 1. 주요 연혁

7. 기타

1997년 지하철 도자이선 개통 이후, 御陵역을 경계로 지하철과 게이신선(京津線)의 운임이 별도로 계산되어, 교토 시내 중심부에서 비와코하마오쓰(びわ湖浜大津) 방면으로 가는 운임이 크게 올랐다.[3] 산조게이한역에서 환승하여 게이한선을 이용하는 경우에도 지하철과 게이신선의 운임을 합산하며, 일반 승차권은 통과 연락 운송이 되지 않아 새로 승차권을 구매해야 했다. 다만, 정기권, PiTaPa·ICOCA전국 상호 이용 교통계 IC 카드, 「교토·비와호 티켓」 등 기획 승차권은 예외였다.

이시야마사카모토선과 함께 연간 15억 정도의 적자가 발생하고 있어, 대책 마련이 필요한 상황이다.[14] 게이한 전기 철도오쓰시 등 지역 자치단체와 협의하여 운영 방식 개선 및 경비 절감을 통해 경영 개선을 추진하고 있다.[15]

게이신선에서는 거리를 나타내는 킬로포스트가 두 가지로 나뉜다.[61]



1997년 당시, 도자이 선 지하철로 대체되면서 폐지된 지상 구간을 제외한 역 목록은 다음과 같다.

게이신선도자이선비고
산조산조케이한교토전기궤도 개업 당시 산조오하시 역이 있던 산조통 지하에 개업
히가시야마산조히가시야마현행과 거의 같은 위치에 지하화
게아게케아게 역현행과 거의 같은 위치에 지하화
구조야마(없음)대체역 설치를 둘러싸고 민사소송까지 이어졌으나, 원고 측 패소로 대체역도 설치되지 않음
히노오카미사사기미사사기 역을 히노오카 역 - 미사사기 역 구간의 중간 지점인 산조통 지하로 이설하고, 히노오카 역과 통합
미사사기



오타니역 - 가미사카에마치역 구간에 있는 오사카야마 터널은 게이한 전철 노선 중 유일한 산악 터널이다 (다른 터널로는 오토코야마 케이블선의 터널이 있다). 집전 장치를 폴에서 팬터그래프로 변경하는 공사를 하면서 선로를 낮추는 공사가 열차 운행 중에 실시되었다.[62]

7. 1. 운임 문제

1997년 지하철 도자이선 개통 후, 御陵역을 경계로 지하철과 게이신선(京津線)의 운임이 별도로 가산되어, 교토 시내 중심부에서 비와코하마오쓰(びわ湖浜大津) 방면의 운임이 크게 상승했다.[3] 산조게이한역에서 환승하여 게이한선을 이용하는 경우에도 지하철과 게이신선의 운임을 합산하고, 일반 승차권은 통과 연락 운송이 되지 않아 새로 승차권을 구매해야 했다. 단, 정기권, PiTaPa·ICOCA전국 상호 이용 교통계 IC 카드, 「교토·비와호 티켓」 등 기획 승차권은 예외였다.

7. 2. 적자 문제와 대응

이시야마사카모토선과 함께 연간 15억 정도의 적자가 발생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대책 마련이 요구되고 있다.[14] 게이한 전기 철도는 오쓰시 등 지역 자치단체와 협의하여 운영 방식 개선 및 경비 절감을 통해 경영 개선을 도모하고 있다.[15]

7. 3. 킬로포스트

앞서 설명한 역사적 경위로 인해, 게이신선에서는 거리를 나타내는 킬로포스트가 다음 두 가지로 나뉘어져 있다.[61] (화살표 방향으로 킬로미터 수가 증가한다.)

# 고료역 → 게이한야마시나역

#: 고료역~게이한야마시나역 구간을 지하화한 구간은 고료역을 기점으로 킬로포스트가 설치되어 있다. (실제로는 고료역~게이한야마시나역 구간의 도카이도 본선(비와코선) 고가 하부 고료역 쪽에 거리 수정 표지가 있으며, 그곳을 경계로 킬로포스트가 고료역 기점의 것에서 게이신산조역 기점의 것으로 바뀐다.)

# 게이한야마시나역 → 비와코하마오쓰역

#: 게이신선으로 개통한 구간은 게이신산조역을 기점으로 킬로포스트가 설치되어 있다. (게이신산조역~고료역 구간 폐지 후 및 고료역~게이한야마시나역 구간 지하화 후에도 그대로 유지된다.)

7. 4. 교토 시영 지하철 도자이선 게이신선 대체역

1997년 당시, 도자이 선 지하철로 대체되면서 폐지된 지상 구간을 제외한 역 목록이다. 게이신 선 역을 대체한 지하철 역도 함께 나열되어 있다.

게이신선도자이선비고
산조산조케이한교토전기궤도 개업 당시 산조오하시 역이 있던 산조통 지하에 개업
히가시야마산조히가시야마현행과 거의 같은 위치에 지하화
게아게케아게 역현행과 거의 같은 위치에 지하화
구조야마(없음)대체역 설치를 둘러싸고 민사소송까지 이어졌으나, 원고 측 패소로 대체역도 설치되지 않음
히노오카미사사기미사사기 역을 히노오카 역 - 미사사기 역 구간의 중간 지점인 산조통 지하로 이설하고, 히노오카 역과 통합
미사사기



교토 시영 지하철 도자이선 산조케이한 역 - 미사사기 역 구간은 게이한 게이신 선의 대체 구간이며, 이 구간의 철도 시설은 교토 시·게이한·지역 기업 등이 출자하는 제3섹터 "교토 고속 철도"가 건설·소유하고, 교토 시 교통국에 임대하여 경영하고 있었다. 2009년 4월부터는 해당 구간을 교토 시 교통국이 직영하고 있다.

7. 5. 오사카야마 터널

오타니역 - 가미사카에마치역 구간에 있는 오사카야마 터널은 게이한 전철 노선 중 유일한 산악 터널이다 (다른 터널로는 오토코야마 케이블선의 터널이 있다). 집전 장치를 폴에서 팬터그래프로 변경하는 공사를 하는 과정에서 선로를 낮추는 공사가 실시되었는데, 이는 열차 운행 중에 이루어졌다.[62]

참조

[1] 간행물 鉄道ピクトリアル 臨時増刊号 京阪電気鉄道 2009年 08月号 2009-08-00
[2] 문서 開業期間は京津線の駅。石山坂本線は当初より現在地
[3] 문서 東京に向かう方が上りになるため。京都よりも大津の方が東京に近い。
[4] 웹사이트 地下鉄!?登山列車!?路面電車!?有人なのに自動運転!?トリビアだらけの変わった電車「京阪京津線800系」の魅力 https://dime.jp/genr[...] 2020-09-18
[5] 웹사이트 京阪電車大津線公式webサイトkeihan-o2.com 上栄町駅 https://web.archive.[...]
[6] 문서 東西線の計画・開業当時は免許制。1999年の鉄道事業法改正で許可制となった。
[7] 문서 京阪電気鉄道の路線のうち京津線・石山坂本線(大津線)・鋼索線以外の路線
[8] 간행물 1995京阪時刻表 京阪電気鉄道 1995-07-00
[9] 간행물 JTBの運賃表 第17号 日本交通公社 1998-00-00
[10] 웹사이트 京阪電気鉄道 公式サイト http://www.keihan.co[...]
[11] 문서 地下鉄東西線乗り入れ後は三条京阪
[12] 문서 2018年にびわ湖浜大津に改称
[13] 문서 2008年に祇園四条に改称
[14] 뉴스 赤字の大津線が廃止も 京阪社長、地元に協議要請 http://www.47news.jp[...] 共同通信 2003-12-20
[15] 뉴스 京阪大津線 分社化先送り 社員3分の1配転で収支改善 http://headlines.yah[...] 産経新聞 2004-04-08
[16] 웹사이트 「大阪、京都、びわ湖を結ぶ京阪電車」のブランドイメージを統一 大津線車両のカラーデザインを変更します https://www.keihan.c[...] 京阪電気鉄道 2017-03-13
[17] 웹사이트 京阪京津線で京阪山科行き臨時列車が運転 https://railf.jp/new[...]
[18] 웹사이트 3月17日(土)より大津線4駅の駅名を変更します https://www.keihan.c[...] 京阪電気鉄道 2018-01-26
[19] 논문 第9章 戦後の大津線 関西鉄道研究会 1991-02-01
[20] 문서 朝ラッシュ時はパターンダイヤとはなっていないため、記載は省略する。
[21] 간행물 京阪神からの旅行に便利な交通公社の時刻表 日本交通公社関西支社 1957-01-00
[22] 간행물 京阪神からの旅行に便利な交通公社の時刻表 日本交通公社関西支社 1957-11-00
[23] 간행물 京阪神からの旅行に便利な交通公社の時刻表 日本交通公社関西支社 1967-07-00
[24] 논문 第9章 戦後の大津線 関西鉄道研究会 1991-02-01
[25] 간행물 京阪神からの旅行に便利な交通公社の時刻表 日本交通公社関西支社 1971-04-00
[26] 서적 1980京阪時刻表 京阪電気鉄道
[27] 서적 1982京阪時刻表 京阪電気鉄道
[28] 논문 日本初の連節車 京阪電気鉄道 60 型 びわこ号 登場の謎とその生涯
[29] 논문 日本初の連節車 京阪電気鉄道 60 型 びわこ号 登場の謎とその生涯
[30] 논문 日本初の連節車 京阪電気鉄道 60 型 びわこ号 登場の謎とその生涯
[31] 논문 日本初の連節車 京阪電気鉄道 60 型 びわこ号 登場の謎とその生涯
[32] 서적 京阪百年のあゆみ
[33] 서적 京阪電気鉄道 会社案内 2007-2008 http://www.keihan.co[...]
[34] 서적 京阪百年のあゆみ
[35] 서적 京阪百年のあゆみ
[36] 書籍 大阪毎日新聞 昭和5年11月10日 昭和ニュース事典編纂委員会 1930-11-10
[37] 書籍 京阪百年のあゆみ
[38] 書籍 京阪百年のあゆみ
[39] 書籍 京都の治水と昭和大水害 文理閣
[40] 書籍 京阪百年のあゆみ
[41] 書籍 京阪百年のあゆみ
[42] 書籍 車両発達史シリーズ1 京阪電気鉄道 関西鉄道研究会 1965-04-22
[43] 雑誌 鉄道ピクトリアル 1966-01
[44] 書籍 京阪百年のあゆみ
[45] 書籍 関西の鉄道 別冊第1巻京阪電気鉄道 戦後分離後の歩みPart1
[46] 書籍 車両発達史シリーズ1 京阪電気鉄道 関西鉄道研究会
[47] 뉴스 ATS化なり保安度グッと向上 交通協力会 1983-04-05
[48] 논문 鉄道記録帳2002年11月 鉄道友の会 2003-02-01
[49] 뉴스 京津線で脱線 大津、けが人なし http://www.kyoto-np.[...] 京都新聞社 2013-02-07
[50] 뉴스 京津線が運行再開 京阪脱線事故 http://kyoto-np.jp/p[...] 京都新聞 2013-02-08
[51] 뉴스 地下鉄東西線の一部で運休続く 台風18号、大雨影響 http://www.kyoto-np.[...] 京都新聞社 2013-09-17
[52] 웹사이트 列車運行状況(京阪線) http://www.keihan.co[...]
[53] 뉴스 名神の一部通行止め、京津線運行できず 台風18号、滋賀影響 http://www.kyoto-np.[...] 京都新聞社 2013-09-17
[54] 웹사이트 【緊急情報】地下鉄東西線ダイヤの全面復旧について(9月30日始発から復旧予定) http://www.city.kyot[...]
[55] PDF 大津線「ICOCA定期券」「ICOCA連絡定期券」の発売開始および接続駅の追加について https://www.keihan.c[...] 京阪電気鉄道 2017-02-03
[56] PDF 大津線4駅の駅名を変更します https://www.keihan.c[...] 京阪電気鉄道 2017-02-13
[57] 書籍 京阪グループ 開業110周年記念誌 京阪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2020-11-01
[58] 書籍 京阪グループ 開業110周年記念誌 京阪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2020-11-01
[59] 간행물 くらしのなかの京阪 2023-03
[60] 문서 京津三条駅 - 御陵駅間廃止前の御陵駅 - 京阪山科駅間の営業キロ
[61] 문서 京阪電気鉄道のキロポスト
[62] 문서 御陵駅から地下鉄東西線への接続と山科駅表示
[63] 문서 山科駅以南の運賃非掲示
[64] 뉴스 山科新聞 京都新聞山科販売センター編集局 2017-07-19
[65] 웹사이트 京都に存在するリアル「スタンドバイミー」住民が線路を歩くのはどんな罪 https://news.mixi.jp[...]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