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유성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고유종은 특정 지역에서만 자연적으로 발견되는 생물종을 의미한다. 고유성은 물리적, 기후적, 생물학적 요소뿐만 아니라 정치적 요인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을 수 있으며, 고고유종과 신고유종으로 구분된다. 고유종은 지리적으로 고립된 섬, 산, 동굴 등에서 발달하는 경향이 있으며, 제한된 서식지로 인해 멸종 위기에 취약하다. 고유종의 보존을 위해 핫스팟 지정, 역외 보존 등의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한국의 금강초롱꽃, 미선나무 등도 한국 고유종으로 보호받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생물지리학 - 곤드와나
곤드와나는 고생대와 중생대에 존재했던 초대륙으로, 현재의 아프리카, 남아메리카, 남극, 인도, 오스트레일리아 등을 포함했으며, 판게아 분열 이후 서곤드와나와 동곤드와나로 나뉘어 각 대륙이 이동하면서 생물 지리학적 분포 패턴에도 영향을 미쳤다. - 생물지리학 - 삼림한계선
삼림한계선은 수목 생장의 한계선으로, 기온, 강수량 등 환경 요인에 의해 결정되며, 기후 변화에 따라 이동할 수 있다. - 생물학 용어 - 생물 다양성
생물 다양성은 특정 지역 내 유전자, 종, 생태계의 총체로서, 종 내, 종 간, 생태계의 다양성을 포함하는 개념이며, 식량, 의약품, 산업 원료 등 다양한 자원을 제공하고 생태계 서비스 및 문화적 가치를 지니지만, 최근 인간 활동으로 인해 급격히 감소하고 있어 보전 노력이 필요하다. - 생물학 용어 - 생물지리학
생물지리학은 생물의 지리적 분포와 분포 패턴을 연구하는 학문으로, 탐험과 선구자들의 연구를 거쳐 대륙 이동설, 분자생물학 발전, 섬 생물지리학 이론 등으로 발전했으며, 현재는 다양한 기술을 활용하여 여러 분야에 적용되고 고생물지리학 등 하위 분야를 포함하지만, 지역 구분에 대한 국제 표준화는 미완료 상태이다.
고유성 | |
---|---|
기본 정보 | |
유형 | 특정 지역에만 국한되어 나타나는 종 |
정의 | 특정 지리적 위치에서만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생물 종 |
관련 개념 | 생물다양성 |
중요성 | 지역 생태계의 특성을 반영하며 생물다양성 보존의 중요한 지표가 됨 |
분포 범위 | |
제한적 분포 | 특정 섬, 산맥, 호수, 동굴 등 좁은 지역에만 분포 |
넓은 분포 | 대륙 전체 또는 여러 대륙에 걸쳐 분포 (넓은 의미의 고유종) |
고유성의 원인 | |
지리적 격리 | 지리적 격리로 인한 종 분화 |
기후 조건 | 특정한 기후 또는 토양 조건에 적응 |
생태적 요인 | 특정 생태계 내에서의 경쟁 또는 공생 관계 |
고유성의 중요성 | |
생물다양성 보존 | 고유종은 특정 지역의 생물다양성을 대표하며, 보존 가치가 높음 |
생태계 연구 | 고유종은 해당 지역의 생태계 진화 과정을 연구하는 데 중요한 자료를 제공 |
관광 자원 | 독특한 고유종은 관광 자원으로 활용될 수 있음 |
고유성의 위협 요인 | |
서식지 파괴 | 서식지 파괴로 인한 생존 공간 감소 |
외래종 유입 | 외래종과의 경쟁 또는 포식 |
기후 변화 | 기후 변화로 인한 서식 환경 변화 |
환경 오염 | 환경 오염으로 인한 생존 환경 악화 |
고유성의 보존 노력 | |
서식지 보호 | 고유종의 서식지를 보호구역으로 지정 |
종 복원 | 멸종 위기에 처한 고유종을 복원 |
외래종 관리 | 외래종의 유입을 막고 기존 외래종을 관리 |
연구 및 모니터링 | 고유종의 생태 및 분포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고 모니터링 |
추가 정보 | |
참고 자료 |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고유 조류 (10,000 Birds) Qian, H., Mishler, B., Zhang, J., & Qian, S. (2024). Global patterns and ecological drivers of taxonomic and phylogenetic endemism in angiosperm genera. Plant Diversity, 46(2), 149–157. doi:10.1016/j.pld.2023.11.004 |
2. 어원
'고유한'을 의미하는 영어 단어 ''endemic''은 근대 라틴어 ''endēmicus''에서 유래했으며, 이는 "토착의"를 의미하는 그리스어 단어 ενδήμος|endēmosgrc에서 따왔다. ''Endēmos''는 "안"을 의미하는 ''en''과 "사람들"을 의미하는 ''dēmos''로 구성된다.[47]
고유종은 물리적, 기후적, 생물적 요인에 의해 발생한다. 예를 들어 주홍가슴태양조는 남아프리카 남서부 핀보스 초목 지대에서만 발견되며, 빙하곰은 동남 알래스카의 특정 지역에서만 서식한다. 종이 보호받거나 사냥감으로 인기가 높으면 정치적인 요소도 고유성에 영향을 줄 수 있다.[4]
이 단어는 프랑스어 ''endémique''에서 차용어로 영어에 유입되었으며, 원래는 발병 사례가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전염병과 대조적으로, 한 국가에서 일정 수준으로 발생하는 질병을 의미했다. 1872년 찰스 다윈이 이 단어를 특정 지역에 국한된 종을 의미하는 생물학 용어로 사용했다.[6]
'precinctive'는 덜 일반적인 용어로, 일부 곤충학자들이 'endemic'과 동의어로 사용했다.[4][6][7] 이 용어는 1900년 데이비드 샤프가 하와이 곤충을 묘사하면서 'endemic'이라는 단어가 질병과 연관되는 것에 불편함을 느껴 만들어냈다.[8]
3. 개괄
고유성은 과거에 널리 분포했으나 현재는 분포 영역이 줄어든 '고고유성'과 최근에 분화하여 발생한 '신고유성'으로 구분된다. 쐐기잎수국은 일본에서 발견되는 고유종의 예시이다. 하와이, 갈라파고스 제도, 소코트라섬 같이 고립된 섬이나, 에티오피아 고원, 바이칼호처럼 생물학적으로 고립된 지역에서 고유종이 많이 나타나는 경향이 있다.
종의 진화 역사는 고유성에 영향을 미친다. 이소성 종분화는 두 개체군이 지리적으로 분리되어 다른 종으로 발달하는 경우를 말한다. 고립된 지역에서는 생물학적 분산이나 외부로부터의 유전자 흐름이 적어 고유성 비율이 높다. 다윈의 핀치는 갈라파고스 군도에 고유한 종의 예시다.[12] 빙하기와 같은 기후 변화 동안 피난처 역할을 하는 지역에서 고유성이 생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지역은 기후 변동에 저항하여 고유종이 집중될 수 있다. 은행나무는 고고유종의 한 예이다.[16]
낮은 분산율이나 친소성과 같은 생물학적 요인도 특정 집단의 종분화율을 높여 고유종을 많이 발생시킬 수 있다. 동아프리카 지구대 호수의 시클리드는 이러한 요인으로 인해 다른 물고기 과보다 훨씬 많은 고유종으로 분화되었다.[14] 고립된 섬에서 고유종이 되는 식물은 종종 조류에 의해 분산되어 섬에 도달할 수 있는 분산율이 높은 식물이다.[17] 조류는 비행으로 분산할 수 있어 고유종이 될 가능성이 적지만, 5000000ha 미만 지역에 제한되는 종은 2,500종이 넘는다.[18]
미생물은 전통적으로 고유종을 형성하지 않는다고 여겨졌다. '모든 것이 어디에나 있다'는 가설은 2 mm보다 작은 유기체의 분포가 서식지가 성장하는 곳에서 세계적이라는 이론이다.[19]
3. 1. 고유성이 높은 종의 불안전성
고유종은 좁은 서식지가 인간 활동, 특히 새로운 종의 도입 등으로 변질되면 쉽게 멸종위기에 처하거나 멸종할 수 있다. 높은 고유성을 띈 생태계의 서식지 감소와 손실의 주요 원인은 농업, 도시 성장, 지표면 채굴, 무기질 추출, 벌목, 화전농업 등이다.[52][53]
17세기 초 버뮤다 제도에 사람들이 정착하기 시작했을 때, 수백만 마리의 버뮤다슴새(:en:Bermuda petrel)와 버뮤다향나무(:en:Juniperus bermudiana)가 있었다. 17세기 말에는 버뮤다슴새가 멸종된 것으로 여겨졌다. 버뮤다향나무는 수 세기 동안 조선 재료로 막대한 양이 벌목되었고, 20세기에 기생충까지 유입되어 거의 멸종할 뻔했다. 오늘날 버뮤다슴새와 버뮤다향나무는 다른 버뮤다 고유종들과 마찬가지로 간신히 명맥을 유지하고 있다.
4. 발생 환경
물리적, 기후적, 생물적 요소는 모두 고유종이 발생하는 데 영향을 줄 수 있다. 예를 들어 주홍가슴태양조(:en:orange-breasted sunbird)는 남아프리카 남서부의 핀보스(:en:fynbos) 초목 지대에서만 발견되며, 빙하곰(:en:Glacier bear)은 동남 알래스카(:en:southeast alaska)의 특정 지역에서만 서식한다.[1] 정치적인 요소도 고유성에 영향을 줄 수 있는데, 종이 보호받거나 사냥감으로 인기가 많은 경우가 이에 해당한다.
고유성에는 고고유성(:en:paleoendemism)과 신고유성(:en:neoendemism)이라는 두 가지 하위 개념이 있다. 고고유성은 과거에는 널리 분포했지만 현재는 분포 영역이 줄어든 종을 의미하며, 신고유성은 비교적 최근에 분화, 번식고립, 잡종화, 배수체 등의 방식으로 생겨난 종을 의미한다.
고유종은 특히 하와이, 갈라파고스 제도, 소코트라섬처럼 고립된 섬이나 군도, 에티오피아의 고원과 같이 생물학적으로 고립된 지역, 바이칼 호수처럼 다른 호수와 멀리 떨어진 큰 수역에서 잘 발생한다. 쐐기잎수국(:en:Hydrangea hirta)은 일본에서 발견되는 고유종이다.
4. 1. 토양
사문암 토양은 비옥도가 낮아 '토양 섬' 역할을 하며, 이는 고유성을 높이는 데 기여한다.[26][27] 사문암 토양은 발칸 반도, 터키, 알프스, 쿠바, 뉴칼레도니아, 남아프리카 공화국, 짐바브웨, 북아메리카 애팔래치아 산맥, 캘리포니아, 오리건, 워싱턴 등지에 분포한다.[28] 예를 들어, 마이어와 솔티스는 일반 토양에서 자라는 광범위한 아종인 ''Streptanthus glandulosus'' subsp. ''glandulosus''를 고고유종으로 간주했지만, 사문암 토양 지대에서 발견되는 ''S. glandulosus''의 밀접하게 관련된 고유종 형태는 subsp. ''glandulosus''에서 최근에 진화한 신고유종이다.[27]
4. 2. 동굴
굴 생물(troglobites)로 알려진 절대 굴 서식종은 굴 서식지가 제한적이고, 고립되어 있으며, 단편화되어 있기 때문에 종종 작은 지역, 심지어 개별 굴에만 고유하게 분포한다.[29][30] 굴 환경에 대한 높은 수준의 적응은 유기체의 분산 능력을 제한하는데, 굴이 서로 연결되어 있지 않은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서로 밀접하게 관련된 굴 생물 종이 다른 굴에서 서로 고립될 수 있었던 한 가지 가설은 그들의 공통 조상이 굴 서식지에 덜 제한적이었을 수 있다는 것이다. 기후 조건이 불리해지면서 조상 종은 지표면에서 사라졌지만, 일부 개체군은 굴에서 생존하여 그들 사이의 유전자 흐름 부족으로 인해 서로 다른 종으로 분화되었다.[31]4. 3. 섬
고립된 섬은 일반적으로 많은 고유종을 발달시키는데, 이는 지리적 격리와 제한된 유전자 흐름 때문이다.[17][32] 많은 종과 다른 상위 분류군들이 매우 작은 육지 또는 수생 섬에 존재하며, 이는 그들의 분포를 제한한다. 데블스 홀 퍼피쉬(''Cyprinodon diabolis'')는 원 서식지 전체가 네바다 모하비 사막에 있는 20 x 3미터 크기의 샘에 국한되어 있다.[33] 이 '수생 섬'은 지하 분지와 연결되어 있지만, 수영장에 있는 개체군은 여전히 고립되어 있다.태평양의 갈라파고스 제도와 매우 유사하며 높은 고유종 발생률을 보이는 다른 지역도 존재한다. 인도양에 위치한 예멘의 소코트라 제도에서는 새로운 고유종 기생 거머리인 ''Myxobdella socotrensis''가 나타났다.[34] 이 종은 담수 샘에 국한되어 있으며, 그곳에서 토착 게에 부착하여 먹이를 섭취할 수 있다. 다윈의 핀치는 갈라파고스 군도에 고유한 종의 예이다.[12]
4. 4. 산
산은 '스카이 아일랜드'로 간주될 수 있는데, 산봉우리의 서늘한 기후에서 사는 종들이 지리적으로 고립되어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프랑스 알프마리팀 데파르트망의 ''Saxifraga florulenta''는 후기 마이오세에 진화했을 수 있고 한때 지중해 분지 전역에 널리 분포했을 수 있는 고유 식물이다.[35]
화산 또한 많은 수의 고유종을 품는 경향이 있다. 화산의 식물은 독특한 환경적 특성으로 인해 매우 제한적인 범위의 전문화된 생태적 지위를 채우는 경향이 있다.[36] 쿨라 화산은 터키에 있는 14개의 화산 중 하나이며, 13종의 고유 식물이 서식하고 있다.[36]
5. 고유성의 유형
"고유"(endemic)라는 단어는 신 라틴어 ''endēmicus''에서 유래했으며, 이는 다시 그리스어 ἔνδημος, ''éndēmos''("토착의")에서 파생되었다. ''Endēmos''는 "안에"를 뜻하는 ''en''과 "사람들"을 의미하는 ''dēmos''로 구성된다.[5] 1872년 찰스 다윈은 특정 지역에 국한된 종을 설명하기 위해 이 용어를 생물학에 도입했다.[6]
어떤 종이 다른 지역을 제외하고 자연적으로 발견되는 지역에만 존재할 경우, 그 지역 고유종으로 간주된다. 이론적으로 "고유"라는 용어는 어떤 규모에도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퓨마는 아메리카 대륙 고유종이며,[1] 알려진 모든 생명체는 지구 고유종이다. 그러나 고유성은 일반적으로 종의 분포 범위가 상대적으로 작거나 제한적인 경우에만 사용된다. 고유종이 반드시 희귀한 것은 아니며, 서식하는 곳에서는 흔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모든 희귀종이 고유종인 것도 아니다.[10]
고유성은 다양한 진화 역사를 반영할 수 있으며, 연구자들은 고유종이 특정 지역에 고유하게 된 방식을 기준으로 고유종을 분류한다.[3] 이러한 고유성의 다양한 분류는 생물 다양성 핫스팟의 고유성과 대체 불가능성을 다르게 포착하며, 보존 자원 할당 방식에 영향을 미친다.[20]
1961년 클로드 P. E. 파바제(Claude P. E. Favager)와 줄리에트 콘탄드리오풀리스(Juliette Contandriopoulis)는 분열고유종, 아포고유종 및 부계고유종을 처음 소개했다.[10][21]
종의 진화 역사는 여러 가지 방식으로 고유성을 유발할 수 있다. 이소성 종분화는 두 개의 개체군이 지리적으로 분리되어 결국 다른 종으로 발달하는 경우를 말한다.[1] 하와이, 갈라파고스 제도, 소코트라와 같은 외딴 섬이나, 에티오피아 고원과 같은 고립된 산악 지역, 바이칼 호수와 같이 다른 호수와 멀리 떨어진 거대한 수역은 높은 고유성 비율을 가질 수 있다.[11][14]
고유성은 빙하기와 같은 기후 변화 동안 피난처 역할을 하는 지역에서 생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변화는 종이 이례적으로 안정적인 기후 조건을 가진 지역으로 반복적으로 제한되어, 기후 변동에 저항하는 지역에 고유종이 고도로 집중될 수 있다.[15]
많은 경우, 낮은 분산율이나 산란 지역으로의 회귀 (친소성)와 같은 생물학적 요인이 특정 유기체 집단이 높은 종분화율을 갖도록 하여 많은 고유종을 갖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아프리카 지구대 호수에 있는 시클리드는 이러한 요인 때문일 수 있다.[14] 고립된 섬에서 고유종이 되는 식물은 종종 분산율이 ''높고'' 조류에 의해 분산되어 그러한 섬에 도달할 수 있는 식물이다.[17] 조류는 비행을 통해 분산할 수 있는 능력 때문에 특정 지역에 고유할 가능성이 적지만, 5000000ha 미만의 지역으로 제한되는 종을 의미하는 고유종으로 간주되는 종이 2,500종이 넘는다.[18]
미생물은 전통적으로 고유종을 형성하지 않는다고 여겨졌다. '모든 것이 어디에나 있다'는 가설은 2 mm보다 작은 유기체의 분포가 서식지가 성장하는 곳에서 세계적이라는 이론을 설명한다.[19]
2000년 논문에서, 마이어스와 드 그레이브(Myers and de Grave)는 모든 것이 고유하며, 세계적인 종조차도 지구에 고유하다고 주장했다.
5. 1. 고고유종과 신고유종
고고유종(paleoendemics)은 과거에는 널리 분포했으나 현재는 제한된 지역에만 서식하는 종을 가리킨다. 은행나무는 고고유종의 한 예시이다.[16] 고고유종은 '잔존종' 개념과 거의 유사하다.[24]신고유종(neoendemics)은 최근에 분화와 번식적 격리[14], 또는 식물의 잡종 및 배수체와 같은 방식으로 생겨난 종을 가리키며, 제한된 범위에만 분포한다.[14]
레디야드 스테빈스와 잭 메이저(Jack Major)는 1965년 캘리포니아의 고유종을 설명하기 위해 신고유종과 고고유종 개념을 도입했다.[22]
5. 2. 계통 발생 고유성
계통 발생 고유성은 특정 지역에 고유한 종의 상대적인 고유성을 측정하는 데 사용되며, 진화 나무의 가지에 분포에 따른 가중치를 부여한다.[3][20] 이는 해당 지역에 고유한 총 분류군 수(분류학적 고유성)뿐만 아니라 해당 종이 살아있는 친척과 얼마나 멀리 떨어져 있는지도 파악한다.[3][20]5. 3. 분열고유종, 아포고유종, 부계고유종
분열고유종(schizoendemics)은 더 넓게 분포된 분류군에서 발생하며, 진화한 부모 분류군과 동일한 염색체형을 갖는다.[17][23] 아포고유종(apoendemics)은 부모 분류군(또는 동종 배수체의 경우 분류군)의 배수성을 가지는 반면,[17][23] 부계고유종(patroendemics)은 관련되고 더 넓게 분포된 배수체 분류군보다 낮은, 즉 2배체 염색체 수를 갖는다.[17][23] 이수성으로 인해 친척보다 염색체 수가 많거나 적은 종은 이수고유종(aneuendemics)이라고 한다.[17]분열고유종, 아포고유종, 부계고유종은 모두 신고유종의 유형으로 분류될 수 있다.
5. 4. 기타 유형
가짜고유종은 돌연변이로부터 최근에 진화했을 수 있는 분류군이다. 홀로고유종은 매우 오랫동안 제한된 분포에 고유하게 남아 있는 분류군이다.[10] 광역고유종은 넓은 지역에 분포하지만, 해당 지역에만 국한되는 종이다. 협역고유종은 좁은 지역에 분포하는 종으로, 전통적인 의미의 '고유종'과 유사하다.[19][25]6. 보전
고유종은 제한된 분포로 인해 멸종 위기나 절멸에 취약하여 보전 노력이 필요하다.[37] 일부 과학자들은 고유종의 존재가 보존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데 중요하며, 생물 다양성의 대리 변수로 사용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1][40][41]
'고유종 핫스팟'은 특정 지역에 고유한 종이 집중적으로 분포하는 지역을 의미하며, 1973년 파울 뮐러가 처음 제안했다. 이 개념은 종의 분류학이 논쟁의 여지가 없고, 분포가 정확히 알려져 있으며, 분포 범위가 비교적 작은 경우에 적용 가능하다.[42][43] 2000년에는 마이어스 등이 세계 식물 종의 0.5% 이상이 해당 지역 고유종인 곳을 기준으로 25개 지역을 생물 다양성 핫스팟으로 지정했다.[40]
하지만 고유성이 생물 다양성의 적절한 척도가 아니라는 주장도 있다. 위협 수준이나 생물 다양성이 고유성이 높은 지역과 반드시 관련이 있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조류 종의 경우 생물 다양성 핫스팟의 2.5%만이 고유성과 위협적인 특성이 상관관계가 있었다.[1][45] 포유류, ''Lasioglossum'' 벌, Plusiinae 나방, 북미의 호랑나비 등에서도 유사한 패턴이 발견되었다.[46] 그러나 WWF 생태 지역과 파충류를 이용한 연구에서는 대부분의 파충류 고유종이 생물 다양성이 높은 WWF 생태 지역에서 발생한다는 결과가 나오기도 했다.[41]
6. 1. 보전 노력의 예
고유종은 분포가 제한되어 있어 멸종 위기나 절멸에 더 쉽게 노출될 수 있다.[37] 이는 기후 변화 상황에서 고유 식물과 동물을 더 큰 위험에 빠뜨린다.[38][39]세계 야생 생물 기금(WWF)은 전 세계를 수백 개의 '생태 지역'으로 나누고, 각 생태 지역에서만 발견되는 종들을 그 지역의 '고유종'으로 정의했다.[14] 이러한 생태 지역 중 상당수는 고유종이 많아 보존을 위해 많은 국립 공원이 설립되었다. 예를 들어 카파라오 국립 공원은 브라질의 대서양 숲에 있는 가치 있고 취약한 종들을 보호하기 위해 만들어졌다.[44]

다른 보존 노력으로는 동물원과 식물원에서 포획 또는 반포획 개체군을 유지하는 ''역외(ex situ) 보존'' 방법이 있다. 이는 개체수가 감소하거나 취약한 고유종에게 피난처와 보호를 제공하며, 동시에 생물학자들에게는 연구 기회를 제공한다.

7. 한국의 고유종
한국은 공통종이 대부분을 차지하지만, 특정 지역에만 분포하는 고유종도 존재한다. 금강초롱꽃은 전 세계에서 한국에서만 자생하는 고유종이다. 반면, 광릉요강꽃은 한국, 중국, 일본 등지에 분포하여 한국 고유종은 아니다.
미선나무는 물푸레나무과의 한국 고유속 식물로, 단 하나의 종만 존재하는 희귀종이다. 문화재청은 충청북도 괴산 송덕리 미선나무 자생지 등 4곳을 천연기념물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다.[54] 이 외에도 제주도의 한라송이풀, 한라솜다리, 제주고사리삼, 울릉도의 섬시호, 섬현삼 등이 환경부의 멸종위기종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54]
환경부 국립생물자원관은 한반도 고유종 2,177종을 담은 도감 'Endemic Species of Korea'를 영문으로 출간하여 전 세계에 알리고 있다.[54]
7. 1. 한국의 고유종 목록 (예시)
환경부 국립생물자원관은 한반도의 고유종 2,177종을 담은 도감 'Endemic Species of Korea'를 발간하여 전 세계에 알리고 있다.[1]7. 1. 1. 나무
이름 | 학명 |
---|---|
구상나무 | Abies koreana E. H. Wilson |
풍산가문비 | Picea pungsanensis Uyeki |
문수조릿대 | Arundinaria munsuensis Y. N. Lee |
신이대 | Sasa coreana Nakai |
제주조릿대 | Sasa palmata (Bean) E. G. Camus |
수원사시나무 | Populus glandulosa Uyeki |
쌍실버들 | Salix bicarpa Nakai |
제주산버들 | Salix blinii H. Lév. |
개수양버들 | Salix dependens Nakai |
섬버들 | Salix ishidoyana Nakai |
키버들 | Salix koriyanagi Kimura Goerz |
큰산버들 | Salix sericeocinerea Nakai |
병개암나무 | Corylus hallaisanensis Nakai |
외대으아리 | Clematis brachyura Maxim. |
할미밀망 | Clematis trichotoma Nakai |
매자나무 | Berberis koreana Palib. |
꼬리말발도리 | Deutzia paniculata Nakai |
양덕고광나무 | Philadelphus koreanus Nakai |
섬고광나무 | Philadelphus scaber Nakai |
고광나무 | Philadelphus schrenkii Rupr. |
서울고광나무 | Philadelphus seoulensis Y. H. Chung & H. C. Shin |
금강인가목 | Pentactina rupicola Nakai |
섬국수나무 | Physocarpus insularis (Nakai) Nakai |
산이스라지 | Prunus ishidoyana Nakai |
섬벚나무 | Prunus takesimensis Nakai |
흑산가시 | Rosa kokusanensis Nakai |
가시복분자딸기 | Rubus schizostylus H. Lév. |
섬나무딸기 | Rubus takesimensis Nakai |
떡조팝나무 | Spiraea chartacea Nakai |
긴잎산조팝나무 | Spiraea pseudocrenata Nakai |
개느삼 | Echinosophora koreensis (Nakai) Nakai |
큰꽃땅비싸리 | Indigofera grandiflora B. H. Choi |
민땅비싸리 | Indigofera koreana Ohwi |
해변싸리 | Lespedeza maritima Nakai |
솔비나무 | Maackia fauriei (H. Lév.) Takeda |
좀갈매나무 | Rhamnus taquetii (H. Lév. & Vaniot) H. Lév. |
섬피나무 | Tilia insularis Nakai |
개염주나무 | Tilia semicostata Nakai |
노각나무 | Stewartia pseudocamellia Maxim. |
한라산참꽃나무 | Rhododendron saisiuense Nakai |
미선나무 | Abeliophyllum distichum Nakai |
개나리 | Forsythia koreana (Rehder) Nakai |
만리화 | Forsythia ovata Nakai |
산개나리 | Forsythia saxatilis (Nakai) Nakai |
장수만리화 | Forsythia velutina Nakai |
물들메나무 | Fraxinus chiisanensis Nakai |
섬쥐똥나무 | Ligustrum foliosum Nakai |
버들개회나무 | Syringa fauriei H. Lév. |
오동나무 | Paulownia coreana Uyeki |
줄댕강나무 | Abelia tyaihyoni Nakai |
청괴불나무 | Lonicera subsessilis Rehder |
병꽃나무 | Weigela subsessilis (Nakai) L.H.Bailey |
7. 1. 2. 풀
이름 | 학명 |
---|---|
개잠자리난초 | Habenaria cruciformis |
고산구슬붕이 | Gentiana wootchuliana |
금강초롱꽃 | Hanabusaya asiatica |
깔끔좁쌀풀 | Euphrasia coreana |
동강할미꽃 | Pulsatilla tongkangensis |
모데미풀 | Megaleranthis saniculifolia |
변산바람꽃 | Eranthis byunsanensis |
붉노랑상사화 | Lycoris flavescens |
산할미꽃 | Pulsatilla nivalis |
섬시호 | Bupleurum latissimum |
섬현호색 | Corydalis filistipes |
애기송이풀 | Pedicularis ishidoyana |
연잎꿩의다리 | Thalictrum coreanum |
좀어리연꽃 | Nymphoides coreana |
좀향유 | Elsholtzia minima |
참배암차즈기 | Salvia chanryoenica |
참좁쌀풀 | Lysimachia coreana |
동강할미꽃 | Pulsatilla koreana |
7. 1. 3. 물고기
이름 |
---|
꺽지 |
쉬리 |
치리 |
가는돌고기 |
감돌고기 |
각시붕어 |
묵납자루 |
칼납자루 |
줄납자루 |
임실납자루 |
가시납지리 |
서호납줄갱이 |
중고기 |
참중고기 |
어름치 |
긴몰개 |
점몰개 |
돌상어 |
꾸구리 |
동사리 |
얼룩동사리 |
배가사리 |
참종개 |
왕종개 |
줄종개 |
미호종개 |
부안종개 |
수수미꾸리 |
좀수수치 |
새코미꾸리 |
얼룩새코미꾸리 |
미유기 |
꼬치동자개 |
눈동자개 |
퉁가리 |
퉁사리 |
자가사리 |
돌마자 |
여울마자 |
흰수마자 |
금강모치 |
됭경모치 |
큰볏말뚝망둥어 |
7. 1. 4. 곤충
이름 |
---|
가는무늬하루살이 |
갑옷바퀴 |
강하루살이 |
고려소똥풍뎅이 |
고수귀뚜라미붙이 |
곰배자루뿔개미 |
규산애꽃벌 |
극동붙이금풍뎅이 |
금빛하루살이 |
긴날개중베짱이 |
긴배자루맵시벌 |
노랑띠들명나방 |
동대귀뚜라미붙이 |
두눈강도래 |
둥근허리애꽃벌 |
등줄어리쌕쌔기 |
묘향귀뚜라미붙이 |
뭉퉁강도래 |
민날개강도래 |
백두귀뚜라미붙이 |
부산풍뎅이 |
비단벌레 |
비룡귀뚜라미붙이 |
비카리아집게벌레 |
뾰족가슴좁쌀바구미 |
산여치 |
산측범잠자리 |
서해안모래풍뎅이 |
소똥구리붙이 |
알락좀과실파리 |
엷은털왕사슴벌레 |
영일모래풍뎅이 |
오대개미 |
오대산귀뚜라미붙이 |
우리여치 |
우리벼메뚜기 |
운문산반딧불이 |
원표애보라사슴벌레 |
제주붉은줄버섯벌레 |
제주청날개애메뚜기 |
제주풍뎅이 |
조계길쭉먼지벌레 |
진길쭉먼지벌레 |
참송장풍뎅이 |
털보왕사슴벌레 |
털애꽃벌 |
톱니땅풍뎅이 |
팔공산밑들이메뚜기 |
한강모래풍뎅이 |
한국강도래 |
한국큰그물강도래 |
한국민날개밑들이메뚜기 |
해동길쭉먼지벌레 |
7. 1. 5. 거미목/갑각류
- 고려기수가게거미
- 고려잔나비거미
- 논갈거미
- 관악유령거미
- 동국땅거미
- 모가게거미
- 모산굴뚝거미
- 한국깔때기거미
- 한국농발거미
- 한국늑대거미
- 두두럭징거미새우
- 민손옆새우
7. 1. 6. 양서류/파충류
금개구리수원청개구리
한국산개구리
고리도롱뇽
제주도롱뇽
7. 1. 7. 포유류
7. 1. 8. 새
참조
[1]
서적
Encyclopedia of Ecology
Elsevier
2008
[2]
웹사이트
South Africa's endemic birds
http://www.10000bird[...]
Adam Riley
2020-12-09
[3]
간행물
Global patterns and ecological drivers of taxonomic and phylogenetic endemism in angiosperm genera
2024
[4]
서적
Encyclopedia of Entomology
https://archive.org/[...]
Springer
2004
[5]
웹사이트
Endemic
http://dictionary.re[...]
2014-12-06
[6]
간행물
Endemics and epidemics of shibboleths and other things causing chaos
http://journals.fcla[...]
2013-12-12
[7]
간행물
Precinctive insect species in Florida
http://journals.fcla[...]
2013-12-12
[8]
서적
Fauna Hawaiiensis, Being the Land-Fauna of the Hawaiian Island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00
[9]
간행물
A survey of the Hawaiian land flora
https://www.biodiver[...]
2021-07-12
[10]
웹사이트
Endemics: Types, Characters and Theories
https://www.biologyd[...]
2020-12-09
[11]
간행물
A global assessment of endemism and species richness across island and mainland regions
2009-06
[12]
간행물
On the Origin of Darwin's Finches
Oxford University Press (OUP)
2001-03-01
[13]
간행물
Topography-driven isolation, speciation and a global increase of endemism with elevation
https://eprints.soto[...]
2020-06-03
[14]
서적
Encyclopedia of Inland Waters
Academic Press
2009
[15]
간행물
Endemism hotspots are linked to stable climatic refugia
2017-01
[16]
간행물
Eastern Asian endemic seed plant genera and their paleogeographic history throughout the Northern Hemisphere
2009
[17]
간행물
The Flora of the Bonin (Ogasawara) Islands: Endemism and Dispersal Modes
https://scholarship.[...]
2020-12-10
[18]
웹사이트
BirdLife Data Zone
http://datazone.bird[...]
2021-04-12
[19]
서적
Biogeography of microorganisms. Is everything small everywher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1-01
[20]
간행물
Biodiversity hotspots: A shortcut for a more complicated concept
2015
[21]
간행물
Caractère original de la flore endémique des Baléares
https://www.e-period[...]
2020-11-27
[22]
간행물
Endemism and Speciation in the California Flora
1965
[23]
웹사이트
Endemism
https://www.geo.uzh.[...]
University of Zurich, Department of Geography
2020-12-09
[24]
서적
Relict species: Phylogeography and Conservation Biology
Springer-Verlag
2020-12-09
[25]
간행물
Endemism: Origins and implications
https://www.research[...]
2020-12-10
[26]
간행물
The nature of serpentine endemism
2014-02
[27]
간행물
The Evolution of Serpentine Endemics: A Chloroplast DNA Phylogeny of the ''Streptanthus glandulosus'' Complex (Cruciferae)
1994-10
[28]
서적
Geology and plant life: the effects of landforms and rock types on plants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2002
[29]
간행물
Assessing preservation priorities of caves and karst areas using the frequency of endemic cave-dwelling species
2018
[30]
간행물
Obligate Cave Fauna of the 48 Contiguous United States
2000
[31]
간행물
Speciation in Cave Faunas
1985
[32]
서적
Island Biology
https://www.biodiver[...]
Columbia University
2020-12-10
[33]
서적
Biogeography: Biological Diversity across Space and Time
Sinauer Associates, Inc.
2016
[34]
간행물
Myxobdella socotrensis sp. nov., a new parasitic leech from Socotra Island, with comments on the phylogeny of Praobdellidae (Hirudinida: Arhynchobdellida)
https://www.scopus.c[...]
2021-04-12
[35]
간행물
The Mediterranean region – a hotspot for plant biogeographic research
2004-09-01
[36]
논문
Plant communities, diversity and endemism of the Kula Volcano, Manisa, Turkey
https://www.research[...]
2015-01
[37]
논문
Geographical variation in predictors of mammalian extinction risk: big is bad, but only in the tropics
2009-05-15
[38]
논문
Endemism increases species' climate change risk in areas of global biodiversity importance
https://ueaeprints.u[...]
2023-01-20
[39]
논문
The Influence of Late Quaternary Climate-Change Velocity on Species Endemism
2011-10-06
[40]
논문
Biodiversity hotspots for conservation priorities
2000-02
[41]
간행물
Endemism as a Surrogate for Biodiversity
https://www.conserva[...]
University of Washington
2019-03-21
[42]
서적
The dispersal centres of terrestrial vertebrates in the Neotropical realm : a study in the evolution of the Neotropical biota and its native landscapes
https://archive.org/[...]
W. Junk
1973-10-11
[43]
논문
On the Identification of Areas of Endemism
http://www-museum.un[...]
2010-08-30
[44]
논문
Vegetation trends in a protected area of the Brazilian Atlantic forest
2021-04-01
[45]
논문
Global hotspots of species richness are not congruent with endemism or threat
2005-08
[46]
논문
Species Richness, Endemism, and the Choice of Areas for Conservation
http://www.macroecol[...]
2010-08-30
[47]
웹사이트
Endemic
http://dictionary.re[...]
2014-12-06
[48]
문서
A survey of the Hawaiian land flora
https://www.jstor.or[...]
1917
[49]
문서
Endemics and epidemics of shibboleths and other things causing chaos
http://journals.fcla[...]
1990
[50]
웹사이트
Precinctive insect species in Florida
http://journals.fcla[...]
1995
[51]
문서
Coleoptera
1900
[52]
논문
Threats to the Spice Islands
http://journals.camb[...]
1982
[53]
저널 인용
Frontiers in Ecology and the Environment 5
[54]
뉴스
환경부 국립생물자원관, 영문판 한반도 고유종 도감 ‘Endemic Species of Korea’ 출간
http://www.newswire.[...]
뉴스와이어
2012-09-25
[55]
서적
한반도 고유종 총람
국립생물자원관 출판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