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홍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고홍주는 미국의 법학자이자 국제법 전문가로, 예일 로스쿨 교수와 국무부 법률 고문을 역임했다. 하버드 대학교에서 학사 학위를 받고, 옥스퍼드 대학교에서 석사 학위를, 하버드 로스쿨에서 법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로널드 레이건 행정부에서 법률 자문관으로 활동했으며, 예일 로스쿨 학장과 국무부 법률 고문을 거쳐 현재 예일 로스쿨 교수로 재직 중이다. 그는 인권과 시민권 옹호, 국제법 원칙의 옹호, 무인 항공기 공습의 합법성 지지 등으로 다양한 비판과 논란에 휩싸이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국의 국제법학자 - 딘 러스크
딘 러스크는 미국의 정치인이자 외교관으로, 케네디 및 존슨 행정부에서 국무장관을 역임하며 쿠바 미사일 위기 외교적 해결 지지, 베트남 전쟁 미국 군사 개입 확대 옹호 등의 활동을 했다. - 미국의 국제법학자 - 한나 아렌트
한나 아렌트는 1906년 독일에서 태어난 정치 철학자로, 전체주의, 악의 평범성, 활동적인 삶 등을 탐구하며 《전체주의의 기원》, 《인간의 조건》 등의 저서를 남겼다. - 미국의 법학자 - 버락 오바마
버락 후세인 오바마는 미국 최초의 아프리카계 미국인 대통령으로, 시민 운동가 및 법률가, 일리노이 주 상원의원, 미국 상원의원을 거쳐 2008년과 2012년 대통령 선거에서 승리하여 2임기를 역임하며 의료보험 개혁법 추진, 이라크 전쟁 종식, 오사마 빈 라덴 사살 작전 등의 업적을 남겼다. - 미국의 법학자 - 백태웅
백태웅은 대한민국의 법학자이자 국제인권 운동가로서, 과거 학생운동과 노동운동에 참여했으며 현재 하와이 대학교 로스쿨 교수로 재직하며 국제인권법을 강의하고 유엔 인권이사회 강제실종 실무그룹 위원 및 의장을 역임하는 등 국제 인권 활동을 펼치고 있다. - 옥스퍼드 대학교 모들린 칼리지 동문 - 알무흐타디 빌라
알무흐타디 빌라는 브루나이의 왕세자이자 하사날 볼키아 술탄의 장남으로, 1998년 왕세자 책봉 후 총리실 선임장관, 왕립군 대장, 왕립경찰 부총감을 겸하며 국정 운영 경험을 쌓고 대외 활동과 자선 활동을 통해 국제 관계 강화에 기여하고 있다. - 옥스퍼드 대학교 모들린 칼리지 동문 - 에드워드 8세
에드워드 8세는 1894년에 태어나 1936년 영국의 국왕이 되었으나 미국인 이혼녀와의 결혼을 위해 퇴위하고 윈저 공작으로 불렸으며, 나치 독일과의 관계와 관련된 논란을 겪었다.
고홍주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해럴드 홍주 코 |
로마자 표기 | Go Hong-ju |
한글 | 고홍주 |
한자 | 高洪株 |
개인 정보 | |
출생일 | 1954년 12월 8일 (69세) |
출생지 | 미국 매사추세츠주 보스턴 |
정당 | 민주당 |
배우자 | 메리-크리스티 피셔 |
친척 | 하워드 코(형), 대니얼 코(조카) |
자녀 | 2명 |
학력 | |
학사 | 하버드 대학교 (문학사) |
법학 박사 | 하버드 대학교 (법무박사) |
석사 | 옥스퍼드 대학교 막달렌 칼리지 (문학 석사) |
경력 | |
직업 | 미국 변호사, 법학자 |
미국 국무부 민주주의·인권·노동 담당 차관보 | 역대 7대 |
임기 시작 | 1998년 11월 13일 |
임기 종료 | 2001년 1월 20일 |
대통령 | 빌 클린턴 |
이전 | 존 샤턱 |
이후 | 론 크래너 |
예일 로스쿨 학장 | 역대 15대 |
임기 시작 | 2004년 7월 1일 |
임기 종료 | 2009년 3월 23일 |
이전 | 앤서니 T. 크론먼 |
이후 | 케이트 스티스(대행) |
미국 국무부 법률 고문 | 역대 22대 |
임기 시작 | 2009년 6월 25일 |
임기 종료 | 2013년 1월 22일 |
대통령 | 버락 오바마 |
이전 | 존 B. 벨링어 3세 |
이후 | 브라이언 이건 |
수상 | |
수상 내역 | 마셜 장학금(1977년) |
2. 학력 및 경력
고홍주는 미국 매사추세츠주 보스턴에서 태어나 하버드 대학교, 옥스퍼드 대학교, 하버드 로스쿨에서 학위를 받았다. 하버드 로스쿨 졸업 후 해리 블랙먼 연방대법관의 재판연구원으로 일했고, 커빙턴 앤 벌링 로펌에서 변호사로 근무했다.[50] 이후 미국 법무부 법률자문관, 예일 로스쿨 교수 및 학장을 역임했으며, 2009년부터 2013년까지 미국 국무부 법률고문으로 활동했다.[51][52]
고홍주는 학자로서 9권의 저서와 175편 이상의 법률 평론 기사 및 사설을 발표했다.[19] 인권과 시민권의 옹호자로서 미국 의회에서 12번 이상 증언하는 등 활발한 활동을 펼쳤다.[15]
2. 1. 학력
연도 | 학위 | 학교 | 비고 |
---|---|---|---|
1971년 | 코네티컷 뉴헤이븐 홉킨스 스쿨 | [14] | |
1975년 | 학사 | 하버드 대학교 | 정부학, 최우등, 파이 베타 카파[14][50] |
1977년 | 학사 | 옥스퍼드 대학교 모들린 칼리지 | 철학·정치학·경제학(PPE), 최우수(First Class Honours) 성적[50] |
1980년 | 법무박사(J.D.) | 하버드 로스쿨 | 우등, 하버드 로 리뷰 편집장 역임[15][16][50] |
2024년 | 명예 법학 박사 | 토론토 대학교 | [17] |
2. 2. 경력
연도 | 경력 |
---|---|
1980년 ~ 1981년 | 미국 컬럼비아 특별구 연방 항소 법원 말콤 리처드 윌키 판사 법률 서기[15] |
1981년 ~ 1982년 | 미국 연방 대법원 해리 블랙먼 대법관 법률 서기[15] |
1982년 ~ 1983년 | 코빙턴 & 벌링 변호사[15] |
1983년 ~ 1985년 | 미국 법무부 법률 자문실(OLC) 변호사 자문관[15] |
1985년 ~ 현재 | 예일 법학대학원 교수[15] |
1993년 ~ | 제라드 C.와 버니스 라트로브 스미스 국제법 교수 |
2004년 ~ 2009년 | 예일 법학대학원 학장 |
2009년 ~ 2013년 1월 | 미국 국무부 법률고문[51][52] |
2013년 1월 ~ 현재 | 예일 법학대학원 스털링 국제법 교수 |
5·16 군사 정변 당시 주미 대사관 특명전권공사였던 아버지 고광림은 정변 이후 미국에 망명하였다.[53] 어머니는 전혜성이다. 형제로는 하버드 대학교 공공보건대학원 부학장인 고경주(미국명 하워드 코), 중앙대학교 화학과 교수 고경신, 매사추세츠 대학교 교수 고동주, 화가이자 저술가인 고정주가 있다. 외종제 전인범은 대한민국 육군 중장이다.[53]
고홍주는 힐러리 클린턴 미국 국무부 장관의 선임 법률 고문으로 활동했다.[26] 그는 미국의 사법 결정 과정에 국제법 원칙과 외국 법적 선례를 활용하는 것을 지지하며, "초국가적 사법"이 잘 정돈된 국제 법률 시스템을 유지하는 데 필수적이라고 주장했다.[30]
3. 가족 및 개인사
고홍주는 매사추세츠주 보스턴에서 태어났으며, 그의 부모는 일제강점기를 북한 지역에서 보냈다.
쿠데타 이후, 고광림은 미국 망명을 허가받고 가족과 함께 코네티컷주 뉴헤이븐으로 이주하여 예일 대학교에서 교직을 맡았다.[8] 그의 아내 이혜승(고홍주의 어머니)은 사회학 박사 학위를 받고 예일 대학교에서 가르쳤는데, 그들은 그곳에서 가르치는 최초의 아시아계 미국인이었다.[9]
고홍주는 여섯 살 때 소아마비에 걸렸고, "두 번의 수술, 다리 보조기, 끝없는 재활"을 거쳐 현재도 다리를 절뚝거리며 걷는다.[8][10]
형인 하워드 코는 하버드 대학교 공중 보건학 교수이자 전 매사추세츠주 공중 보건 위원으로서, 버락 오바마 대통령 미국 보건 복지부 차관을 지냈다.[11]
3. 1. 가족
5·16 군사 정변 당시 주미 대사관 특명전권공사였던 아버지 고광림은 정변 이후 미국에 망명하였다.[53] 어머니는 전혜성이다. 친형 고경주(미국명 하워드 코)는 하버드 대학교 공공보건대학원 부학장으로 재직 중이다.[53] 누나 고경신은 중앙대학교 화학과 교수이며,[54] 둘째 형 고동주는 매사추세츠 대학교 교수, 동생 고정주는 화가이자 저술가이다. 외종제 전인범은 대한민국 육군 중장이다.[53]
고홍주의 아내인 메리-크리스티 피셔는 코네티컷 재향 군인 법률 센터에서 변호사로 일하고 있으며, 슬하에 두 자녀를 두고 있다.[13]
관계 | 이름 | 직업 |
---|---|---|
아버지 | 고광림 | 예일 대학교 교수, 전 외교관 |
어머니 | 전혜성 (미국명: 이혜승) | 예일 대학교 교수, 사회학 박사 |
친형 | 고경주 (미국명: 하워드 코) | 하버드 대학교 공중 보건학 교수, 전 미국 보건 복지부 차관 |
누나 | 고경신 | 중앙대학교 화학과 교수 |
둘째 형 | 고동주 | 매사추세츠 대학교 교수 |
동생 | 고정주 | 화가, 저술가 |
외종제 | 전인범 | 대한민국 육군 중장 |
배우자 | 메리-크리스티 피셔 | 변호사 (코네티컷 재향 군인 법률 센터) |
자녀 | 슬하 2자녀 |
3. 2. 개인사
고홍주는 매사추세츠주 보스턴에서 태어났다. 그의 부모는 일제강점기를 북한 지역에서 보냈다. 그는 자신의 가족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 그들은 일제 식민 통치하에서 자랐고, 한국어를 사용하거나 한국 이름을 사용하는 것조차 금지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그들의 나라가 분단되면서 어머니와 가족은 북한에 갇혔다. 절망에 빠진 그들은 며칠 동안 국경까지 걸어가 구조를 기다렸고, 서울로 돌아왔다. 그러나 그곳에서도 독재 정권 아래에서 살았다. 1960년대에 (남)한은 1년도 안 되는 기간 동안 민주주의를 누렸다. 아버지는 외교관으로 활동했다. 그러나 어느 날, 탱크가 굴러왔고, 쿠데타가 정부를 전복시키면서, 우리는 미국에서 자라게 되었다.[7]
쿠데타 이후, 고홍주의 아버지이자 법학자 겸 외교관인 고광림은 미국 망명을 허가받았다.[8] 그는 가족과 함께 코네티컷주 뉴헤이븐으로 이주하여 예일 대학교에서 교직을 맡았다.[8] 그의 아내인 이혜승(고홍주의 어머니)은 사회학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예일 대학교에서 가르쳤는데, 그들은 그곳에서 가르치는 최초의 아시아계 미국인이었다.[9]
고홍주는 여섯 살 때 소아마비에 걸렸고, "두 번의 수술, 다리 보조기, 끝없는 재활"을 거쳐 현재도 다리를 절뚝거리며 걷는다.[8][10]
고홍주는 여섯 명의 형제가 있다. 하워드 코는 하버드 대학교 공중 보건학 교수이자 전 매사추세츠주 공중 보건 위원으로서, 이전에는 버락 오바마 대통령 미국 보건 복지부 차관을 지냈다.[11] 그의 누이인 진 코 페터스 또한 예일 로스쿨에서 가르치고 있다.[12]
고홍주의 아내인 메리-크리스티 피셔는 코네티컷 재향 군인 법률 센터에서 변호사로 일하고 있으며, 그들은 두 자녀를 두고 있다.[13]
4. 법률 활동 및 국제 인권 옹호
고홍주는 법학대학원 졸업 후 1980년부터 1982년까지 미국 컬럼비아 특별구 연방 항소 법원과 미국 연방 대법원에서 법률 서기로 일했다.[15] 1982년부터 1985년까지는 코빙턴 & 벌링 변호사, 미국 법무부 법률 자문실(OLC) 변호사 자문관으로 근무했다.[15]
1985년 예일 법학대학원 교수로 합류한 후, 1993년부터 제라드 C.와 버니스 라트로브 스미스 국제법 교수를 역임했다.[15] 1990년 11월에는 제1대 부시 대통령의 걸프 전쟁 개입에 대해 미국 헌법 위반 소지가 있다는 법률 문서를 발표했다.[18]
1992-93년에는 예일대 학생, 인권 변호사 그룹과 함께 미국 정부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하여 관타나모 만 수용소에 억류된 아이티 난민들을 석방시켰다.[15] 이 사건은 ''아이티 센터 협의회 대 세일''에서 승소했지만, 관련된 ''세일 대 아이티 센터 협의회''(1993) 사건은 미국 연방 대법원에서 패소했다.
고홍주는 인권과 시민권 옹호 활동으로 수많은 상과 명예 학위를 받았다.[15] 그는 미국 의회에서 12번 이상 증언했고, 미국 항소 법원에서 여러 사건을 변론했다.[19] 9권의 저서와 175편 이상의 법률 평론 기사 및 법률 사설을 썼다.[19]
2009년 3월 23일, 버락 오바마 행정부에서 미국 국무부 법률 고문으로 지명되어 힐러리 클린턴 미국 국무부 장관의 선임 법률 고문을 역임했다. 2009년 6월 25일, 상원에서 62 대 35로 인준을 받았다.[37]
고홍주는 베이징 주재 미국 대사관에서 시각 장애인 중국 변호사 천광청이 중국 당국의 박해를 피해 대사관에 피신했을 때, 그를 지원하여 의료 지원을 확보하고 미국에서 법학을 공부하기 위해 중국을 떠날 권리를 확보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
4. 1. 주요 활동
고홍주는 1992년 미국법률협회 회원이 되었고, 2007년 협회 이사회에 선출되었다.[23] 버락 오바마 행정부에서 일하면서 이사회를 사임했지만, 국무부에서 임기를 마치고 예일 대학교로 돌아오면서 이사회에 다시 선출되었다.[24] 그는 현재 미국 외교 관계법 제4차 리스테이트먼트의 자문위원을 맡고 있으며,[25] 이전에는 초국가적 민사 소송 절차 원칙 프로젝트의 자문위원을 역임했다.4. 2. 국제법 관련 관점
고홍주는 미국의 사법 결정 과정에 국제법 원칙과 외국 법적 선례를 활용하는 것을 지지하며, 이를 "초국가적 사법"이라고 칭했다. 그는 이것이 잘 정돈된 국제 법률 시스템을 유지하는 데 필수적이라고 주장했다.[30] 그는 "자유, 평등, 사생활과 같은 개념은 미국 헌법적 아이디어에만 국한된 것이 아니라 글로벌 인권 운동의 필수적인 부분이다"라고 말했다.[30] 고홍주는 미국 대법원과 미국 법원 시스템의 역사 전반에 걸쳐 외국 법원의 판결의 영향을 추적했다.[31]이러한 접근 방식에 대한 비판자들은 외국 판결을 법적 선례로 인용하는 것이 미국의 주권을 위협하고 "조작에 이용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32] 그러나 다른 논평가들은 "구속력 없는 이러한 자료를 법적 주장을 강화하는 데 사용하는 것은 미국 사법 과정의 중심적이고 논쟁의 여지가 없는 원칙"이라고 언급했다.[33][34]
고홍주는 2010년 3월 연설에서 미국 정부가 테러와의 전쟁의 범위에 포함시킨 파키스탄, 예멘 및 기타 국가에서 무인 항공기 공습을 통한 표적 살해의 합법성을 강력하게 지지했다. 그는 오바마 행정부의 "무인 항공기(UAV)를 사용하여 수행되는 치명적인 작전을 포함한 미국의 표적 선정 관행"이 구별 및 비례성의 원칙을 인용하며 "모든 관련 법, 전쟁법을 준수한다"고 말했다. 그는 미국이 이러한 기준을 준수하며 "합법적인 목표만을 표적으로 삼고 부수적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계획 및 실행"에 각별한 주의를 기울인다고 말했다.[38]
그는 미국이 "알 카에다, 탈레반 및 관련 세력과 무력 충돌"에 있으며, 따라서 국제법에 따라 자국민을 보호하기 위해 "국제법상의 무력 사용"을 할 수 있는 합법적인 권리, 즉 "국제법상의 자위권"을 가지고 있다고 말했다.[39][40] 고홍주는 미국이 특정 표적 드론 살해를 승인할지 여부를 결정할 때 고려하는 세 가지 요소를 다음과 같이 제시했다.
- 위협의 임박성
- 관련 국가의 주권
- 표적이 제기하는 위협을 억제하려는 해당 국가의 의지와 능력
그는 또한 알 카에다와 그 동맹에 대한 드론 공격이 의회에서 승인된 군사 작전의 일부로서, 행정 명령에 의해 금지된 암살이 아닌, 합법적인 표적 살해라고 말했다.[42][41] 국내법에 따르면, 9.11 관련 단체에 대한 미국의 표적 살해는 테러리스트에 대한 군사력 사용 권한에 의해 승인된다.[42][43]
5. 저술 활동
고홍주는 9권의 저서를 썼으며, 175편 이상의 법률 평론 기사와 법률 사설을 썼다.[19]
5. 1. 주요 저서
- The Trump Administration and International Law|트럼프 행정부와 국제법영어, 옥스퍼드 대학교 출판부, 2018.
5. 2. 논문 및 기고
고홍주는 9권의 저서를 썼으며, 175편 이상의 법률 평론 기사와 법률 사설을 썼다.[19] 그의 저서에는 다음이 포함된다.- 《국가 안보 헌법: 이란-콘트라 사건 이후 권력 분담》 (예일 대학교 출판부, 1990)
- 《초국가적 법적 문제》 (해리 스타이너 및 데틀레브 바그츠 공저, 파운데이션 프레스, 1994)
- 《심의 민주주의와 인권》 (로널드 C. 슬리 공저, 예일 대학교 출판부, 1999)
- 《미국 법원의 초국가적 소송》 (파운데이션 프레스, 2008)
- 《21세기의 국가 안보 헌법》 (예일 대학교 출판부, 2024)
그의 제자로는 존 유가 있으며, "달러 외교/달러 방어: 경제학과 국가 안보법의 구조"에 관한 논문을 공동 집필했다. 1990년 11월에는 조지 H.W. 부시 대통령이 걸프 전쟁을 독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고 주장한 것에 대해 이의를 제기하는 법률 문서를 발표했다. 고홍주는 미국 헌법에 따라 대통령은 "전쟁을 시작하기 전에 미국 의회와 협의하고 의회의 긍정적인 승인을 받아야" 한다고 주장했다.[18]
6. 비판 및 논란
고홍주는 2010년 3월 연설에서 미국 정부가 테러와의 전쟁의 일환으로 파키스탄, 예멘 등에서 무인 항공기(드론)를 이용한 표적 살해를 옹호했다. 그는 이러한 공격이 전쟁법을 준수하며, 알 카에다 등 테러 단체를 제거하기 위한 합법적인 조치라고 주장했다.[38]
고홍주는 미국이 국제법에 따라 자국민을 보호하기 위해 국제법상의 자위권을 행사할 수 있다고 말했다.[39][40] 그는 드론 공격 승인 시 고려하는 세 가지 요소로 위협의 임박성, 관련 국가의 주권, 해당 국가의 위협 억제 의지 및 능력을 제시했다.
또한, 드론 공격은 행정 명령으로 금지된 암살이 아니라 합법적인 표적 살해라고 주장했다.[42][41] 그러나 이러한 주장은 과거 부시 행정부의 테러와의 전쟁 정책을 비판했던 고홍주의 입장과 모순된다는 비판을 받았다.[45][46]
한편, 고홍주는 줄리안 아산지의 변호사 제니퍼 로빈슨에게 보낸 편지로 인해 법적 관습을 위반했다는 비판을 받기도 했다.[47]
6. 1. 드론 공격 옹호 논란
고홍주는 2010년 3월 연설에서 미국 정부가 테러와의 전쟁 범위에 포함시킨 파키스탄, 예멘 등 국가에서 무인 항공기(드론) 공습을 통한 표적 살해의 합법성을 강력하게 지지했다. 국무부 법률 고문은 오바마 행정부가 아시아에서 알 카에다 및 기타 테러 단체를 제거하려는 노력에 크게 의존해 온 "무인 항공기(UAV)를 사용하여 수행되는 치명적인 작전을 포함한 미국의 표적 선정 관행"이 구별 및 비례성 원칙을 인용하며 "모든 관련 법, 전쟁법을 준수한다"고 말했다. 그는 미국이 이러한 기준을 준수하며 "합법적인 목표만을 표적으로 삼고 부수적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계획 및 실행"에 각별한 주의를 기울인다고 말했다.[38]그는 미국이 "알 카에다, 탈레반 및 관련 세력과 무력 충돌"에 있으며, 따라서 국제법에 따라 자국민을 보호하기 위해 "국제법상의 무력 사용"을 할 수 있는 합법적인 권리, 즉 "국제법상의 자위권"을 가지고 있다고 말했다.[39][40] 고홍주는 미국이 특정 표적 드론 살해를 승인할지 여부를 결정할 때 고려하는 세 가지 요소를 다음과 같이 제시했다.
- 위협의 임박성
- 관련 국가의 주권
- 표적이 제기하는 위협을 억제하려는 해당 국가의 의지와 능력
그는 또한 알 카에다와 그 동맹에 대한 드론 공격이 의회에서 승인한 군사 작전의 일부로서, 행정 명령에 의해 금지된 암살이 아닌, 합법적인 표적 살해라고 말했다.[42][41] 국내법에 따르면, 9.11 관련 단체에 대한 미국의 표적 살해는 테러리스트에 대한 군사력 사용 권한에 의해 승인된다.[42][43] 이 연설은 ''월스트리트 저널''의 사설 위원회로부터 찬사를 받았다.[44]
고홍주의 표적 살해에 대한 견해는 부시 행정부의 테러와의 전쟁 정책에 대한 그의 비판과 이후의 법과 대테러에 대한 견해 사이의 모순을 강조한 분석가들로부터 비판을 받았다.[45][46]
고홍주는 또한 활동가 줄리안 아산지를 대리하는 변호사 제니퍼 로빈슨으로부터 그녀와 의뢰인에게 보낸 편지에 대해 비판을 받았다. 로빈슨은 이것이 법적 관습 위반이라고 느꼈다.[47]
참조
[1]
뉴스
Koh named for State post
http://www.yaledaily[...]
Yale Daily News
2009-03-23
[2]
웹사이트
Presidential Nominations database
http://thomas.loc.go[...]
2009-04-16
[3]
뉴스
SENATE APPROVES KOH NOMINATION
http://www.yaledaily[...]
Yale Daily News
2009-06-25
[4]
웹사이트
After over three years, Koh to return
http://yaledailynews[...]
2016-10-22
[5]
웹사이트
State Department's Top Lawyer Heading Out - Law Blog - WSJ
https://blogs.wsj.co[...]
2016-10-22
[6]
웹사이트
APS Member History
https://search.amphi[...]
2021-05-14
[7]
간행물
The Bright Lights of Freedom
https://www.npr.org/[...]
National Public Radio
2006-02-13
[8]
서적
Storming the Court
Scribner
2005
[9]
문서
Harold Hongju Koh
Gale Research
1995
[10]
서적
Storming the Court
Scribner
2005
[11]
간행물
HHS Secretary Sebelius Announces Senate Confirmation of Assistant Secretary for Health Dr. Howard Koh
http://www.hhs.gov/n[...]
United State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2009-06-19
[12]
웹사이트
Jean Koh Peters - Yale Law School
http://www.law.yale.[...]
Yale Law School
2016-10-22
[13]
웹사이트
Yale Law School | Centers & Programs |Public Interest Auction
http://www.law.yale.[...]
2009-04-16
[14]
웹사이트
Harold Koh
http://www.marshalls[...]
2016-10-22
[15]
웹사이트
Home > Faculty > Harold Hongju Koh > Curriculum Vitae
http://www.law.yale.[...]
2009-04-04
[16]
뉴스
Harold Koh Speaks to the Hopkins Parent Council
http://www.hopkins.e[...]
Hopkins School
2004-10-28
[17]
웹사이트
A champion of human rights and international law, Harold Hongju Koh receives U of T honorary degree
https://www.utoronto[...]
2024-09-02
[18]
뉴스
UN 'authorization' is the Emperor's new fig leaf
http://webarchive.lo[...]
Washington Examiner
2011-03-28
[19]
뉴스
And Then They Came for Koh ...
http://www.slate.com[...]
Slate
2009-04-03
[20]
웹사이트
Attention, Concerned Alumni of Yale: Justice Alito Gets (Green)housed
http://www.abovethel[...]
2009-04-16
[21]
웹사이트
Profile of Yale Law Dean Harold Koh
http://volokh.com/po[...]
2009-04-16
[22]
웹사이트
http://abovethelaw.c[...]
2009-04-08
[23]
웹사이트
Officers & Council ! List of Council Members
http://www.ali.org/i[...]
2013-04-23
[24]
간행물
The American Law Institute Elects Five New Council Members
http://www.ali.org/i[...]
The American Law Institute
2013-05-20
[25]
웹사이트
Current Projects > Restatement Fourth, The Foreign Relations Law of the United States
http://www.ali.org/i[...]
2013-04-23
[26]
뉴스
After Attacks, Supporters Rally Around Choice for Top Administration Legal Job
https://www.nytimes.[...]
2009-04-02
[27]
간행물
Confirm Harold Koh
https://www.forbes.c[...]
Forbes
2009-04-28
[28]
웹사이트
GOP Legal Heavy Ted Olson Dismisses Right-Wing Assault On Obama Nominee
http://theplumline.w[...]
Theplumline.whorunsgov.com
2010-05-21
[29]
웹사이트
Ex-Bush Official John Bellinger Joins Arnold & Porter
http://legaltimes.ty[...]
Legaltimes.typepad.com
2010-05-21
[30]
저널
International Law as Part of Our Law
2004-01
[31]
저널
International Law as Part of Our Law
https://digitalcommo[...]
2004-01
[32]
문서
Scalia, Breyer hold rare televised debate on impact of foreign law
[33]
뉴스
Confirm Harold Koh
https://www.forbes.c[...]
2010-05-21
[34]
웹사이트
Articles & Commentary
http://aei.org/publi[...]
Aei.org
2010-05-21
[35]
웹사이트
Harold Koh's Nomination Goes to the Full Senate
http://washingtonind[...]
Washingtonindependent.com
2010-05-21
[36]
웹사이트
U.S. Senate: Legislation & Records Home > Votes > Roll Call Vote
https://www.senate.g[...]
Senate.gov
2010-05-21
[37]
웹사이트
U.S. Senate: Legislation & Records Home > Votes > Roll Call Vote
https://www.senate.g[...]
Senate.gov
2010-05-21
[38]
간행물
ASIL Keynote Highlight: U.S. Legal Adviser Harold Koh Asserts Drone Warfare Is Lawful Self-Defense Under International Law
http://www.insidejus[...]
Inside Justice.com
2010-03-26
[39]
뉴스
U.S. Approves Targeted Killing of American Cleric
https://www.nytimes.[...]
2010-05-20
[40]
간행물
The Right of Self-Defence under International Law-the Response to the Terrorist Attacks of September 11
http://www.aph.gov.a[...]
Parliament of Australia
2002-02-12
[41]
뉴스
Special Report – How the White House learned to love the drone
http://uk.reuters.co[...]
2010-10-17
[42]
뉴스
U.S. Approval of Killing of Cleric Causes Unease
https://www.nytimes.[...]
2010-05-20
[43]
간행물
ASIL Keynote Highlight: U.S. Legal Adviser Harold Koh Asserts Drone Warfare Is Lawful Self-Defense Under International Law
http://insidejustice[...]
Inside Justice.com
2010-05-19
[44]
뉴스
A Defense of Drones
https://www.wsj.com/[...]
2010-05-21
[45]
뉴스
Secret 'Kill List' Proves a Test of Obama's Principles and Will
https://www.nytimes.[...]
2023-07-13
[46]
뉴스
'America Doesn't Torture'—It Kills
https://www.thenatio[...]
2023-07-13
[47]
뉴스
Statement linking lawyer Jennifer Robinson with her client Julian Assange violates advocacy rights
https://www.theguard[...]
2011-06-28
[48]
웹사이트
State Department's Top Lawyer Heading Out - Law Blog - WSJ
https://blogs.wsj.co[...]
2016-10-22
[49]
웹사이트
Former law dean Harold Koh to return to Yale
http://yaledailynews[...]
2016-10-22
[50]
웹인용
Yale Law School Harold Koh CV. 1996년에는 옥스포드에서 PPE 석사 학위를 받았다.
http://www.law.yale.[...]
2009-04-04
[51]
뉴스
고경주.홍주 형제 키워낸 전혜성.
http://news.mk.co.kr[...]
매일경제
[52]
웹사이트
Yale Law School Harold Koh Profile
http://www.law.yale.[...]
[53]
웹사이트
하버드 대학교 페이지
http://www.hsph.harv[...]
[54]
웹인용
고경신 교수님 중앙대학교 화학과
http://chem.cau.ac.k[...]
2007-10-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