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용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공용어는 한 국가 또는 공동체 내에서 공식적인 의사소통을 위해 법적으로 지정된 언어를 의미한다. 역사적으로 아케메네스 제국은 아람어를, 진나라는 중국 문자를 표준화하여 공용어로 사용했다. 공용어 지정은 여러 언어가 사용되는 환경에서 원활한 소통을 돕기 위해 이루어지며, 단순히 사용 인구가 많은 언어가 자연스럽게 공용어 역할을 하기도 한다. 공용어는 정치적, 사회적 배경에 따라 지정 기준이 달라지며, 여러 언어를 공용어로 채택하는 다국어 국가도 존재한다.
과거 식민지 국가에서는 종주국의 언어가 공용어로 지정되는 경우가 많으며, 이는 다수의 언어 존재, 문자 부재, 근대적 제도 운영의 필요성, 지식인층의 언어 사용, 국제 협력 등을 이유로 한다. 다국어 사용 국가는 여러 공용어를 지정하여 형평성을 유지하며, 정부는 모든 공용어로 서비스를 제공한다. 유럽 연합은 24개의 공식 언어를 사용하며, 각 국가 및 지역별로 다양한 공용어 현황을 보인다. 공용어는 표준어 통일 및 정보 전달에 효과적이지만, 소수 언어의 소멸을 초래할 수 있으며, 다수의 공용어 지정은 비용 증가를 야기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공용어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정의 | 특정 국가나 지역에서 법적으로 인정받아 공식적인 지위를 가지는 언어 |
사용 범위 | 정부 기관 교육 기관 법률 공식 문서 |
국가별 지정 | 각 국가의 헌법 또는 법률에 의해 지정됨 |
다국어 국가 | 여러 공용어를 지정할 수 있음 |
공용어의 역할 | |
의사소통 | 국가 내 공식적인 의사소통 수단으로 사용 |
국가 정체성 | 국가의 정체성과 문화적 유산을 대표 |
교육 | 교육 시스템에서 주요 언어로 사용 |
행정 | 정부 행정 및 사법 절차에서 사용 |
사회 통합 | 다양한 언어 사용 집단 간의 사회 통합을 촉진 |
관련 용어 | |
국가어 | 국가의 정체성을 나타내는 언어, 공용어와 동일하지 않을 수 있음 |
표준어 | 언어의 공식적인 형태, 공용어와 반드시 일치하지 않음 |
모국어 | 개인이 처음으로 습득한 언어, 공용어와 다를 수 있음 |
소수 언어 | 특정 지역에서 소수 집단이 사용하는 언어, 공용어 지위는 아님 |
공용어 지정의 의미 | |
법적 권리 | 언어 사용에 대한 법적 보호 및 권리 보장 |
정부 지원 | 정부의 언어 정책 및 지원의 대상이 됨 |
사회적 인식 | 사회적으로 중요한 언어로서 인정받음 |
공용어 지정의 다양성 | |
역사적 요인 | 과거 식민지배, 정치적 변동 등이 영향을 미침 |
언어적 다양성 | 다국어 사회에서는 여러 공용어를 지정하여 소수 언어를 보호 |
정치적 고려 | 국가 통합 및 정치적 안정을 위해 결정됨 |
공용어 관련 문제 | |
언어 갈등 | 공용어 지정으로 인해 소수 언어 사용자들이 차별을 경험할 수 있음 |
언어 정책 | 효과적인 언어 정책 수립 및 시행의 어려움 |
언어 소멸 | 공용어 사용 증가로 소수 언어 사용이 감소하고 소멸될 위기에 처할 수 있음 |
참고자료 | |
관련 법률 | 이탈리아 소수 언어 보호법 |
관련 정보 | 미국은 영어 공식 언어가 아님 헌법 프로젝트에서 "공식 또는 국가 언어" 정보 보기 세계의 언어 계획: 홈페이지 |
2. 역사적 배경
공용어의 개념은 고대 제국 시대부터 나타난다. 기원전 5세기경 페르시아 제국은 광대한 영토 내 다양한 민족 간의 소통을 위해 아람어를 공용어로 사용했다.[9][10] 기원전 3세기, 진시황은 중국 통일 후 문자를 표준화하여 고전 중국어가 2000년간 표준 문어 역할을 수행했다. 구어 표준화는 20세기 초 만다린어가 공식 표준화될 때까지 여러 방언 형태로 발전했다.[11]
공용어는 일반적으로 특정 집단 내에서 사용 인구가 가장 많은 언어나 고도의 개념 표현이 가능한 언어를 기준으로 선정된다. 그러나 정치적으로 강력한 민족의 언어가 국민 대다수의 의사에 반하여 공용어로 지정되기도 한다. 민족과 언어는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어 공용어 지정은 종종 심각한 문제를 야기하며, 이에 따라 여러 언어를 공용어로 지정하는 국가도 많다.[54]
아시아·아프리카 등 구 식민지 국가에서는 실제 모어 화자가 극히 소수임에도 불구하고, 구 종주국의 언어(영어, 프랑스어, 스페인어 및 포르투갈어)가 현재도 공용어로 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이는 주로 다음과 같은 이유 때문이다.
3. 공용어 지정 기준 및 정치적 배경
대한민국은 헌법에 공용어에 대한 명시적 규정은 없으나, 사법소송법 제74조에 "법원에서는 한국어를 사용한다"라고 규정하고 있다. 뉴질랜드, 파푸아뉴기니, 대한민국 등에서는 수화도 공용어로 지정하고 있다.
4. 구 식민지 국가의 공용어
이러한 국가에서는 구 종주국 언어를 공용어로 사용하는 경우와, 가장 사용자 수가 많은 부족의 언어를 공용어로 하는 경우가 있다. 피식민지측 언어에는 문자가 없는 경우도 많아, 알파벳 발음을 따서 알파벳 표기하는 경우가 많다.
케냐에서는 스와힐리어와 영어, 필리핀에서는 타갈로그어를 기본으로 하는 필리핀어와 영어가 공용어이며, 이들은 각각 의무 교육을 통해 전국적으로 교육되고 있다. 또한, 이들 국가에는 매우 많은 지역 언어가 존재하므로, 지역 언어, 다수 부족 언어의 공용어, 구 종주국 언어의 공용어를 합치면 많은 소수 민족은 3개의 언어를 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공용어화되지 않은 지역 언어에는 문자가 없는 경우가 많아 공용어의 보급과 함께 그 대부분이 소멸해 가는 경향이 있다.
5. 다국어 사용 국가 및 지역
단일 공용어 사용은 특정 언어 사용자에게 불이익을 줄 수 있으므로, 다국어 사용 국가에서는 여러 공용어를 지정하여 형평성을 유지한다. 정부는 모든 공용어로 서비스를 제공하며, 시민은 선호하는 언어를 선택할 수 있다.[54] 벨기에, 스위스, 캐나다, 타이완, 필리핀, 유럽 연합 등이 대표적인 예시다.[13]
국가 | 공용어 |
---|---|
벨기에 | 네덜란드어, 프랑스어, 독일어[22] |
캐나다 | 영어, 프랑스어 (연방 정부). 뉴브런즈윅주와 유콘 준주도 공식적으로 이중 언어 지역. 누나부트 준주는 영어, 프랑스어, 이누크티투트어, 이누이나크툰어 사용. 노스웨스트 준주는 치피위언/데네어, 크리어, 영어, 프랑스어, 귀치인어, 이누이나크툰어, 이누크티투트어, 이누비알루크툰어, 북슬레이비어, 남슬레이비어, 틀리초어 사용. |
스위스 | 독일어, 프랑스어, 이탈리아어, 로만슈어 (연방 차원에서는 독일어, 프랑스어, 이탈리아어가 공용어) |
타이완 | 국어(Mandarin) 외에 정치적 참여는 포모사 제어, 대만식 호키엔어, 객가어를 포함하는 "대만 원주민 집단이 사용하는 자연어"로 가능.[47] 객가어는 대만의 공식 언어.[48] |
유럽에는 여러 공용어를 가진 국가가 많다. 국가 전체 또는 특정 지역에서 복수의 공용어가 인정된다.
국가 | 공용어 |
---|---|
벨기에 | 프랑스어, 네덜란드어(플라망어), 독일어 |
스위스 | 독일어, 프랑스어, 이탈리아어, 로만슈어 |
아일랜드 | 아일랜드어, 영어 |
핀란드 | 핀란드어, 스웨덴어 |
스페인 | 국가 전체 공용어인 카스티야어(스페인어) 외에, 자치주 헌장에 따라 카탈루냐어(발렌시아어), 바스크어, 갈리시아어가 각각의 지역 공용어로 지정 |
아시아·아프리카 등 구식민지 국가에서는 실제 모어 화자는 극히 소수임에도 불구하고, 구종주국의 언어(영어, 프랑스어, 스페인어, 포르투갈어)가 현재도 공용어로 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6. 공용어 관련 기구
- 영국 연방 (영어)
- 프랑코포니 (프랑스어)
- 포르투갈어 사용국 공동체 (포르투갈어)
7. 공용어의 역할과 중요성
공용어로 지정된 언어에는 정해진 표기법이 존재하며, 구어체와 같은 방언적 오류가 없다. 따라서 그 영역 내는 표준어로 통일되어 정보가 최종적으로 정확하게 전달된다. 이것은 정보 전달 수단으로서 매우 효과적이지만, 반면에 공용어로 지정되지 않은 소수 언어 사용자의 언어가 인위적으로 소멸하게 된다.
8. 유럽 연합(EU)의 공용어
유럽 연합에서는 1958년 4월 15일에 채택된 유럽 경제 공동체 이사회 규칙 제1조에서 유럽 연합의 공식 언어를 정하고 있다. 이 규칙은 여러 차례 개정되었으며, 2013년 7월 1일 이후 유럽 연합의 공식 언어는 불가리아어, 크로아티아어, 체코어, 덴마크어, 네덜란드어, 영어, 에스토니아어, 핀란드어, 프랑스어, 독일어, 그리스어, 헝가리어, 아일랜드어, 이탈리아어, 라트비아어, 리투아니아어, 몰타어, 폴란드어, 포르투갈어, 루마니아어, 슬로바키아어, 슬로베니아어, 스페인어, 스웨덴어 등 총 24개 언어이다.
원칙적으로 각 회원국의 공식 언어를 유럽 연합의 공식 언어로 하고 있지만, 룩셈부르크의 공식 언어 중 하나인 룩셈부르크어와 키프로스의 공식 언어 중 하나인 터키어는 포함되어 있지 않다. 모든 유럽 연합의 공식 문서는 이 24개의 공식 언어로 번역된다. 단, 아일랜드어는 특례에 따라 일부만 제공된다. 구체적으로는 EU 관보에서 주요 입법 및 국제 조약의 일부분만 해당한다.[64] 영국이 EU를 탈퇴해도, 영어는 아일랜드와 몰타의 공식 언어 중 하나이기 때문에 EU 공식 언어로 남는다.[65]
또한 회원국이 증가하면 공식 언어도 증가할 수 있다. 유럽 연합은 회원국의 확장을 목표로 하고 있지만, 그에 따른 공식 언어의 증가로 상호 번역 작업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미묘한 번역 표현의 차이도 문제가 되고 있다.
9. 국가 및 지역별 공용어 현황
영국 연방(영어), 프랑코포니(프랑스어), 포르투갈어 사용국 공동체(포르투갈어)와 같이 특정 언어를 공용어로 사용하는 국가들의 연합체가 존재한다.
3개 이상의 주권 국가에서 공식 언어(사실상 또는 법률상)로 사용되는 언어는 다음과 같다.
언어 | 사용 국가 및 지역 수 |
---|---|
영어 | 58개 UN 회원국과 31개 종속 지역 |
프랑스어 | 28개 UN 회원국과 11개 종속 지역 |
아랍어 | 23개 UN 회원국과 팔레스타인, 동일 영토 상의 2개 비 UN 회원국, 1개 종속 지역 |
스페인어 | 20개 UN 회원국과 1개 종속 지역 |
포르투갈어 | 9개 UN 회원국과 1개 종속 지역 |
독일어 | 6개 UN 회원국 |
러시아어 | 5개 UN 회원국과 4개 비인정 국가 |
세르보크로아티아어 | 4개 UN 회원국과 동일 영토 상의 1개 부분적으로 인정된 국가 |
말레이어 | 4개 UN 회원국과 1개 종속 지역 |
스와힐리어 | 4개 UN 회원국 (코모로를 포함하면 5개) |
이탈리아어 | 3개 UN 회원국과 바티칸 시국 |
페르시아어 | 3개 UN 회원국과 1개 종속 지역 |
네덜란드어 | 3개 UN 회원국 (아프리칸스어를 포함하면 4개) |
소말리어 | 3개 UN 회원국과 동일 영토 상의 1개 비인정 국가 |
소토어 | 3개 UN 회원국 |
표준 중국어(만다린어) | 2개 UN 회원국과 타이완 |
타밀어 | 2개 UN 회원국 |
힌두스타니어 | 3개 UN 회원국 (피지 힌디어 포함) |
힌디어와 우르두어, 말레이어와 인도네시아어, 세르비아어와 크로아티아어, 페르시아어와 타지크어처럼 국가마다 다른 언어로 정의되는 경우도 있다.
오스트레일리아, 영국, 미국과 같이 국가 차원에서 공식적으로 인정된 공용어가 없는 나라도 있다. 반면, 볼리비아는 세계에서 가장 많은 37개의 언어를 공식적으로 인정하며, 인도는 22개의 공용어를, 남아프리카 공화국은 12개의 공용어를 동등한 지위로 인정한다.[44][12] 볼리비아는 스페인어를, 인도는 영어와 힌디어를 우선적으로 사용한다.[46]
유고슬라비아는 유고슬라비아 해체 이전에는 연방 차원의 공식 언어가 없었지만, 세르보크로아티아어, 슬로베니아어, 마케도니아어, 알바니아어의 네 가지 공식 언어가 사용되었다. 세르보크로아티아어는 공용어 역할을 했고, 유고슬라비아 인민군의 공식 언어이기도 했다.
1991년 크로아티아 독립 후 크로아티아어를, 1992년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연합은 세르비아어를 공식 언어로 정의했다.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는 보스니아어, 크로아티아어, 세르비아어의 세 가지 공식 언어를 정의했는데, 이들은 언어학적 관점에서 세르보크로아티아어의 국가적 변종을 가리킨다.[59][60][61] 2006년 몬테네그로 독립 후 사용되는 언어는 몬테네그로어로 표준화되었다.
9. 1. 개별 국가 사례
- '''아프가니스탄''': 헌법 제1장 제16조에 따라 파슈토어와 다리어가 공용어이며 동등한 지위를 갖는다.[16]
- '''호주''': 법적으로 공식 언어를 정하지 않았지만(de jure), 영어는 사실상(de facto) 국가 언어이다.[16] 호주인의 72%가 가정에서 영어만 사용한다.[17]
- '''아제르바이잔''': 헌법 제21조에 따라 아제르바이잔어가 아제르바이잔 공화국의 공식 언어이다.[18]
- '''방글라데시''': 1971년 독립 후 셰이크 무지부르 라흐만이 '일국 일어' 정책을 채택했다.[19] 벵골어가 방글라데시 헌법 제3조에 따라 유일한 공용어이다.[20] 벵골어 구현법 1987을 통해 모든 정부 업무에서 벵골어 사용이 의무화되었다.[21]
- '''벨라루스''': 벨라루스어와 러시아어가 공용어 지위를 갖는다.
- '''벨기에''': 네덜란드어, 프랑스어, 독일어의 세 가지 공용어를 사용한다.[22]
- '''불가리아''': 불가리아어가 유일한 공용어이다.[23]
- '''캐나다''': 1982년 헌법 개정법에 따라 캐나다 정부는 영어와 프랑스어를 공식 언어로 하며 동등한 지위를 부여한다. 뉴브런즈윅주와 유콘 준주도 공식적으로 이중 언어이며, 누나부트 준주는 영어, 프랑스어, 이누크티투트어, 이누이나크툰어의 네 가지 공식 언어를 사용한다. 노스웨스트 준주는 11개의 공식 언어를 사용한다.
- '''에티오피아''': 암하라어, 오로모어, 소말리아어, 티그리냐어, 아파르어의 5개 공용어를 가진다. 하지만 암하라어가 더 높은 지위를 가진다.[24]
- '''핀란드''': 핀란드어와 스웨덴어는 핀란드 헌법에 따른 '국어'이며, 사실상 '공용어'이다.[25] 사미어 사용자는 원주민 지역에서 동일한 권리를 가진다.[26]
- '''독일''': 독일어가 공식 언어이며, 소르브어, 로마니어, 덴마크어, 북프리지아어가 공식적으로 인정되는 소수 언어이다.
- '''홍콩''': 홍콩 기본법과 공용어 조례에 따라 중국어와 홍콩식 영어가 모두 공용어이며 동등한 지위를 갖는다. 광둥어가 사실상 표준 중국어이며, 번체가 가장 널리 사용되는 문자이다.
- '''인도''': 인도 헌법은 힌디어를 인도 정부의 공용어로 지정한다.[29] 헌법 제8부에는 22개의 예정 언어가 열거되어 있다.[30] 타밀어, 산스크리트어, 칸나다어, 텔루구어, 말라얄람어, 오디아어는 고전어 지위를 받았다.
- '''인도네시아''': 인도네시아어(''Bahasa Indonesia'')가 공식 언어이며, 1945년 헌법에 규정되어 있다.
- '''이스라엘''': 2018년 유대인 민족 국가로서의 이스라엘 기본법 통과로 히브리어는 "국가 언어", 아랍어는 "국가 내 특별한 지위를 가진 언어"로 규정되었다.[31]
- '''라트비아''': 라트비아어가 유일한 공용어이며, 라트갈리아어는 "라트비아어의 역사적 변종", 리보니아어는 "원주민(토착) 인구의 언어"로 인정받는다.[34]
- '''말레이시아''': 말레이어(''Bahasa Melayu'')가 공식 언어이며, 말레이시아 헌법 제152조에 따라 보호받고 있다.
- '''네덜란드''': 네덜란드어가 네덜란드 왕국의 공식 언어이다. 프리슬란트주에서는 서프리슬란드어가 공식 제2언어이다.
- '''뉴질랜드''': 영어는 사실상의 공용어이며, 마오리어와 뉴질랜드 수화는 마오리어법 1987 및 뉴질랜드 수화법 2006에 따라 제한적인 법적 공용어 지위를 갖는다.[38][39]
- '''나이지리아''': 영어가 공용어이며, 국가의 문화적·언어적 통합을 위해 선택되었다.
- '''파키스탄''': 우르두어와 영어가 모두 공용어이다.
- '''필리핀''': 필리핀어와 영어가 모두 공용어이다.
- '''폴란드''': 폴란드어가 공용어이다.
- '''러시아''': 러시아어는 러시아 연방 및 모든 연방 구성 단위의 공식 언어이다.
- '''남아프리카 공화국''': 12개의 공용어가 있으며, 대부분 토착어이다.[44]
- '''스위스''': 독일어, 프랑스어, 이탈리아어, 로만슈어의 4개 국어를 가진다. 연방 차원에서는 독일어, 프랑스어, 이탈리아어가 공용어이다.
- '''대만''': 국어(Mandarin)가 정부에서 가장 흔히 사용된다. 객가어가 대만의 공식 언어가 되었다.[48]
- '''동티모르''': 테툼어와 포르투갈어가 공식 언어이며, 인도네시아어와 영어는 "공용어" 지위를 갖는다.[49]
- '''우크라이나''': 우크라이나어가 공식 언어이다.
- '''영국''': 사실상 공용어는 영어이다.[50] 웨일스에서는 웨일스어가 영어와 함께 ''법률상'' 공용어 지위를 갖는다.[51][52]
- '''미국''': 연방 차원에서는 공식 언어가 없지만, 50개 미국의 주 중 32개 주[53]와 5개의 미국령 모두 영어를 공식 언어로 지정하고 있다.
- '''짐바브웨''': 2013년 짐바브웨 헌법 채택 이후 16개의 공용어를 가지고 있다.[62][63]
- 체와어
- 치바르웨어
- 영어
- 칼랑가어
- 코이산어족
- 남비야어
- 다우 방언
- 북부 은데벨레어
- 상가니어
- 쇼나어
- 수화
- 세소토어
- 통가어
- 츠와나어
- 벤다어
- 코사어
참조
[1]
서적
Official Language
Oxford University Press
[2]
법률
Pueblo v. Tribunal Superior
[3]
웹사이트
Legge 15 Dicembre 1999, n. 482 "Norme in materia di tutela delle minoranze linguistiche storiche" pubblicata nella Gazzetta Ufficiale n. 297 del 20 dicembre 1999
http://www.camera.it[...]
Italian Parliament
2014-12-02
[4]
웹사이트
FYI: English isn't the official language of the United States
https://edition.cnn.[...]
2018-05-20
[5]
웹사이트
Read about "Official or national languages" on Constitute
https://www.constitu[...]
2016-03-28
[6]
웹사이트
L'aménagement linguistique dans le monde: page d'accueil
http://www.axl.cefan[...]
2016-03-28
[7]
웹사이트
endoglossic and exoglossic
https://web.archive.[...]
[8]
논문
Global Language Politics: Eurasia versus the Rest
https://content.scie[...]
[9]
백과사전
Encyclopedia Iranica
Columbia University
[10]
웹사이트
ARAMAIC – Encyclopaedia Iranica
http://www.iranicaon[...]
2018-04-14
[11]
서적
Records of the Grand Historian
[12]
웹사이트
NA approves South African Sign Language as 12th official language
https://www.parliame[...]
[13]
서적
Between Natives and Foreigners: Selected Writings of Karl/Charles Follen (1796-1840)
https://books.google[...]
Peter Lang
2007-01-01
[14]
서적
Representation and Democratic Theory
https://books.google[...]
UBC Press
2011-11-01
[15]
서적
The Routledge Handbook of Multilingualism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2-01-01
[16]
학술지
'National' and 'Official' Languages Across the Independent Asia-Pacific
https://search.infor[...]
[17]
웹사이트
2021 Australia, Census All persons QuickStats | Australian Bureau of Statistics
https://www.abs.gov.[...]
[18]
웹사이트
The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Azerbaijan
https://president.az[...]
[19]
학술지
English language teaching in Bangladesh today: Issues, outcomes and implications | Language Testing in Asia
https://rdcu.be/bFJX[...]
[20]
웹사이트
The Constitution of the People's Republic of Bangladesh
Ministry of Law, The People's Republic of Bangladesh
2019-05-15
[21]
웹사이트
Bangla Bhasha Procholon Ain, 1987
http://bdlaws.minlaw[...]
Government of Bangladesh
2019-05-15
[22]
웹사이트
Belgium, a federal state: The communities
https://www.belgium.[...]
[23]
웹사이트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Bulgaria, article 3
https://www.parliame[...]
[24]
뉴스
One to five: Ethiopia gets four new federal working languages
https://www.africane[...]
[25]
법률
The Constitution of Finland
https://www.finlex.f[...]
Ministry of Justice
2024-06-07
[26]
법률
Sámi Language Act
https://www.finlex.f[...]
Ministry of Justice
2024-06-07
[27]
웹사이트
War between Traditional and Simplified
https://web.archive.[...]
anthony8988
2014-05-07
[28]
웹사이트
Disclaimer and Copyright Notice
http://www.legco.gov[...]
Legislative Council
2019-05-25
[29]
웹사이트
THE CONSTITUTION OF INDIA
https://cdnbbsr.s3wa[...]
Government of India
2023-11-11
[30]
웹사이트
Languages Included in the Eighth Schedule of the Indian Constitution
https://web.archive.[...]
2016-06-04
[31]
뉴스
Israeli Law Declares the Country the 'Nation-State of the Jewish People'
https://www.nytimes.[...]
2018-07-19
[32]
간행물
The Palestine Gazette
1939-06-29
[33]
법률
Law and Administration Ordinance No 1 of 5708—1948
[34]
웹사이트
Official Language Law
https://likumi.lv/ta[...]
2018-01-09
[35]
웹사이트
Minority education: statistics and trends
https://www.mfa.gov.[...]
Ministry of Foreign Affairs of Latvia
2018-06-05
[36]
서적
Language situation in Latvia: 2010–2015
https://valoda.lv/en[...]
Latvian Language Agency
2017
[37]
웹사이트
Welke erkende talen heeft Nederland?
https://www.rijksove[...]
Ministerie van Binnenlandse Zaken en Koninkrijksrelaties
2016-01-11
[38]
웹사이트
New Zealand Sign Language Act 2006.
http://www.legislati[...]
2013-07-24
[39]
웹사이트
NZ Sign Language to be third official language.
http://www.beehive.g[...]
2006-04-02
[40]
뉴스
NZ First submits Bill for English to be recognised as official language
http://www.newshub.c[...]
2018-02-15
[41]
웹사이트
NZ First Bill: English set to become official
http://www.scoop.co.[...]
2018-02-15
[42]
웹사이트
English an Official Language of New Zealand Bill - New Zealand Parliament
https://www.parliame[...]
2020-05-28
[43]
웹사이트
Winston Peters proposes to make English an official language
https://www.1news.co[...]
2023-08-20
[44]
웹사이트
Chapter 1, Article 6 of the South African Constitution
http://www.constitut[...]
2018-02-18
[45]
웹사이트
Language board to be probed
https://www.sowetanl[...]
2011-09-02
[46]
뉴스
Language in South Africa: An official mess
https://www.economis[...]
2013-07-05
[47]
웹사이트
國家語言發展法
https://law.moj.gov.[...]
2019-05-22
[48]
웹사이트
HAKKA NOW AN OFFICIAL LANGUAGE OF TAIWAN.
http://languagehat.c[...]
2018-01-04
[49]
서적
Constituição da República de Timor-Leste = Konstituisaun Repúblika Timor-Leste nian.
https://www.worldcat[...]
Timor-Leste
2015
[50]
논문
Official status of languages in the United Kingdom and Ireland
2018-03-01
[51]
웹사이트
Welsh speakers by local authority, gender and detailed age groups, 2011 Census
https://web.archive.[...]
statswales.gov.wales
2012-12-11
[52]
웹사이트
Welsh Language (Wales) Measure 2011
http://www.legislati[...]
The National Archives
2016-05-30
[53]
웹사이트
US English: West Virginia Becomes 32nd State to Adopt English as Official Language
http://usenglish.org[...]
[54]
논문
Political Theory and Language Policy
http://www.princeton[...]
2011-10-01
[55]
웹사이트
Available Languages
https://www.dmv.ca.g[...]
California DMV
2014-11-26
[56]
웹사이트
New York State Voter Registration Form
https://web.archive.[...]
2017-09-05
[57]
웹사이트
Should English be declared America's national language?
http://teacher.schol[...]
Scholastic
2013-08-25
[58]
서적
Effective Language Education Practices and Native Language Survival
http://jan.ucc.nau.e[...]
2013-08-26
[59]
서적
Serbokroatisk grammatik: substantivets morfologi
Slavisk Institut, Århus Universitet
2002
[60]
웹사이트
On the Internal Classification of Indo-European Languages: Survey
http://www.phil.muni[...]
2010-10-20
[61]
서적
Au sud de l'Est
http://bib.irb.hr/da[...]
Non Lieu
2007
[62]
웹사이트
What Languages Are Spoken In Zimbabwe?
https://www.worldatl[...]
2017-04-25
[63]
뉴스
newsday
https://www.newsday.[...]
[64]
웹사이트
Official Journal
https://eur-lex.euro[...]
EUR-Lex
2019-09-21
[65]
웹사이트
About the EU > EU languages
https://europa.eu/eu[...]
欧州連合
2020-01-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