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고쿠 다다타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교고쿠 다다타카는 우다 천황의 후손을 자처하는 교고쿠 씨족 출신으로, 1609년 아버지의 뒤를 이어 와카사 오바마 번의 번주가 되었다. 도쿠가와 쇼군가의 인척으로 재정적 지원을 받았으며, 오사카 전투에 참전하여 공을 세웠다. 이후 에치젠 쓰루가 군을 추가로 영토로 받았고, 오바마 성을 축성했으나 완성하지 못하고 이즈모 마쓰에 번으로 전봉되었다. 마쓰에 번에서는 히이강의 개수와 신사 건립 등 치적을 남겼으며, 1637년 에도에서 사망했다. 후사가 없어 조카인 교고쿠 다카카즈가 양자가 되어 가문을 이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바마번주 - 사카이 다다토시 (1813년)
사카이 다다토시는 에도 막부 말기의 다이묘이자 오바마 번의 번주로서 교토 쇼시다이를 역임하며 막부 정치에 관여했고, 메이지 유신 후에는 제국 총독으로 임명받아 화족에 편입되었다. - 오바마번주 - 사카이 다다카쓰 (1587년)
사카이 다다카쓰는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가신 사카이 다다토시의 아들이자 에도 시대 초기 다이묘로서, 세키가하라 전투 참전, 도쿠가와 이에미쓰의 측근 발탁 및 로주 임명, 가와고에 번주를 거쳐 오바마 번 초대 번주가 되었으며, 난부 사건 해결에 관여하고 사자춤을 오바마에 전파하는 등 막부 정치에 기여했다. - 마쓰에번주 - 호리오 다다우지
호리오 다다우지는 1577년 또는 1578년에 태어나 호리오 요시하루의 차남으로, 세키가하라 전투에서 공을 세워 이즈모와 오키 24만 석을 가증받았으나 27세 또는 28세의 나이로 급사했다. - 마쓰에번주 - 마쓰다이라 요시토
마쓰다이라 요시토는 에도 시대의 무장으로 마쓰에 신덴 번의 초대 번주이자 마쓰에 번의 4대 번주이며, 쇼군 도쿠가와 쓰나요시로부터 편휘를 받아 개명하였다. - 교고쿠씨 - 마쓰에번
마쓰에번은 세키가하라 전투 후 호리오 타다우지를 시조로 이즈모와 오키 두 국을 할당받아 시작되어, 호리오 가문과 교고쿠 가문 통치 후 1638년부터 마쓰다이라 가문이 다스렸으며, 막말 신정부에 순응하여 폐번치현 후 시마네현에 통합되었다. - 교고쿠씨 - 교고쿠 다카하루
교고쿠 다카하루는 NYK 라인 임원과 간토예선 사장을 지낸 일본 인물로, 야스쿠니 신사의 宮司를 역임했으며 일본회의 대표 위원을 지냈고, 하이쿠 시인이었던 아버지의 영향으로 하이쿠를 즐겼다.
교고쿠 다다타카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출생명 | 구마마로 |
시대 | 에도 시대 전기 |
출생 | 분로쿠 2년 (1593년) |
사망 | 간에이 14년 6월 12일 (1637년 8월 2일) |
묘소 | 시가현마이바라시 세이타키의 세이타키사 |
개명 | 구마마로 (유명), 다다타카 |
계명 | 현요원전천경도장대거사 |
영명 | 해당사항 없음 |
가문 | 교고쿠 씨 |
관직 | |
관위 | 와카사노카미, 시종, 종4위하좌근위권소장 |
막부 | 에도 막부 |
주군 | 도쿠가와 히데타다 → 이에미쓰 |
번 | 와카사오바마 번 번주 → 이즈모마쓰에 번 번주 |
가족 관계 | |
부모 | 아버지: 교고쿠 다카쓰구, 어머니: 오사키 (야마다 씨) |
형제 | 다다타카, 아모 다카마사 |
배우자 | 정실: 하쓰히메 계실: 분에이니 |
자녀 | 이치코 양자: 다카카즈 |
군사 경력 | |
소속 | 도쿠가와 막부 |
주요 전투 | 오사카 전투 (1615년) |
2. 생애
1593년 교고쿠 다카쓰구의 서장자로 태어난 교고쿠 다다타카의 어릴 적 이름은 쿠마마로였다. 교고쿠 가문은 우다 천황의 후손을 자처하는 명문가였다.[1]
1600년 세키가하라 전투 당시, 아버지 다카쓰구는 쿠마마로를 오사카 성에 인질로 보냈지만, 실제로는 동군에 가담하여 오쓰 성 전투에서 공을 세웠고, 이 공으로 와카사국 오바마 번 9만 2천 석의 다이묘가 되었다. 1603년, 다다타카는 에도에서 도쿠가와 이에야스를 알현하고 와카사노카미에 임명되었으며, 도쿠가와 히데타다로부터 이름 한 글자를 받아 '다다타카'로 개명했다. 이는 히데타다의 정실인 소겐인이 다다타카의 계모인 조코인의 여동생이었기 때문이다.[2]
1609년, 아버지 다카쓰구가 사망하자 다다타카는 오바마 번 9만 2천 석을 상속받았다.[5] 그는 번주로서 성 아래 마을을 정비하고 영내 교통로를 개선하는 등 다양한 활동을 펼쳤다.
1615년 오사카 전투에서 다다타카는 도쿠가와 군 소속으로 참전, 2,000명의 병력을 지휘하여 오사카 성 북동쪽 시기노 지역에서 측면 공격을 성공시켜 승리에 기여했다.[1][2] 이후 1620년부터 1629년까지 오사카 성 재건에 참여했다.[3]
1634년, 다다타카는 이즈모, 오키 2개국 26만 석으로 영지가 늘어나 마쓰에 번의 번주가 되었다. 이는 도쿠가와 이에미쓰가 그의 능력을 높이 평가했기 때문이었다.[1] 마쓰에 번에서 다다타카는 히이 강 개수 공사, 데쓰나나가시 해금 등 다양한 정책을 추진했다.
1637년, 다다타카는 에도에서 갑작스럽게 사망했다. 호소카와 다다토시가 그의 임종을 지켰다.[6] 정실 하쓰와의 사이에서는 자식이 없었지만, 측실과의 사이에서 딸 하나를 두었다. 다카카즈는 그의 조카로 알려져 있지만, 실제로는 친아들이라는 설도 있다.
2. 1. 유년기
1593년(분로쿠 2년), 교고쿠 다카쓰구의 서장자로 교토의 안큐쿄에서 태어났다. 어머니는 다카쓰구의 시녀인 오사키였다. 유아명은 쿠마마로(熊麿)라고 불렀다.1600년(게이초 5년) 세키가하라 전투 때, 아버지 다카쓰구는 서군의 요청에 따라 쿠마마로를 인질로 오사카 성에 보냈다. 그러나 실제로는 동군에 가담하여 서군의 발을 묶기 위해 오쓰 성에 틀어박혔다(오쓰 성 전투). 이 공로로 전쟁 후 아버지 다카쓰구는 와카사 오바마 8만 5천 석(와카사 1국)을 받았다. 이듬해인 1601년(게이초 6년)에는 오미국다카시마군 7천 석을 받아 9만 2천 석의 다이묘가 되었다. 쿠마마로는 오쓰 성 농성이 13일로 짧았기 때문에 무사했다.[1]
1603년(게이초 8년), 에도로 내려가 도쿠가와 이에야스에게 배알하고, 와카사노카미에 임명되었다. 또한 이에야스의 아들 히데타다로부터 휘에서 한 글자를 받아 다다타카라고 칭했다. 이는 히데타다의 정실인 고가 다다타카의 계모인 조코인의 여동생으로, 다다타카에게는 의붓 고모에 해당하기 때문이었다.[2] 1606년(게이초 9년) 5월 7일에 종4위하에 서임되었으며, 1626년(간에이 3년)에는 사콘노에쇼쇼에 임명되었는데, 이것도 히데타다와의 연관이 추측되고 있다.[3]
2. 2. 오바마 번주 시대
1609년(게이초 14년) 아버지 교고쿠 다카쓰구가 사망하면서 와카사 9만 2000석을 상속받아 오바마 번(와카사국)의 번주가 되었다.[5] 상속 직후 노신들의 전횡과 배척이 이어져 가신 통제에 어려움을 겪었지만, 이후 이들을 도태시키고 충성스러운 가신단을 형성하였다. 한편, 도쿠가와 쇼군가의 인척으로 우대받아 막부로부터 종종 재정 지원을 받았다.[5] 도쿠가와 히데타다의 딸이자 조코인(常高院)의 양녀인 하츠히메와 결혼했지만, 자녀는 없었다.[5]1614년(게이초 19년) 오사카 전투에 도쿠가와 측으로 참전하였다. 겨울 전투에서의 강화는 계모 조코인을 중개로 다다타카의 진에서 이루어졌다. (조코인의 언니가 도요토미 히데요리의 어머니 요도도노였던 관계에 의한 것이었다.)[2] 또한, 강화 조건에 따라 오사카 성의 바깥 해자를 메우는 작업의 공사 봉행을 맡았다. 여름 전투에서는 교고쿠 군이 370명의 수급을 올렸지만, 진군이 늦었다는 평가를 받았다.[2]
1624년(간에이 원년) 에치젠쓰루가군 2만 2000석(2만 1500석이라고도 함)을 가증받았다.[5] 이는 전년인 1623년(겐나 9년) 도쿠가와 히데타다가 명령한 에치젠 호쿠쇼 번(후쿠이 번)주 마쓰다이라 다다나오의 은거와 분고로의 유배(사실상의 개역)가 영향을 미친 결과였다. 다다나오의 아들 마쓰다이라 미쓰나가가 뒤를 이었지만, 이듬해인 1624년(간에이 원년) 4월, 3대 쇼군 도쿠가와 이에미쓰의 명령으로 미쓰나가와 숙부 마쓰다이라 다다마사가 영지를 교환하는 형태로 에치고 다카다번과 후쿠이 번으로 이봉되었다. 후쿠이 번의 영지는 18만 석이 감봉·분할되었고, 감봉된 영지는 다다마사의 세 동생 마쓰다이라 나오마사, 마쓰다이라 나오모토, 마쓰다이라 나오요시 및 다다나오의 전 부 가로 혼다 시게시게와 함께 다다타카에게도 분여되었다.
오바마 번주로서 다다타카는 성 아래 마을을 정비하고, 영내 교통로를 개선했으며, 조코사를 창건하는 등 다양한 활동을 펼쳤다.[5] 1628년(간에이 5년)에는 대관과 급인(給人)의 백성에 대한 가혹한 정치를 경계하기도 했다. 아버지 교고쿠 다카쓰구 대에 미완성이었던 오바마 성의 축성을 진행했지만, 막부로부터 거듭된 부신역과 군역 명령으로 인해 뜻대로 진행되지 못하고 천수각 완성을 보지 못한 채 전봉되었다. (천수각은 다음 번주 사카이 다다카쓰에 의해 완성되었다.) 다만, 부신 참여를 통해 토목 기술을 익혔고, 오니시가와를 배가 왕래할 수 있도록 개수한 것은 토목 기술이 하천 개수에 도움이 되었다는 것을 보여준다.
2. 3. 마쓰에 번으로 전봉
1634년(간에이 11년) 윤7월 6일, 교고쿠 가문이 무로마치 시대부터 수호를 맡았던 이즈모·오키 2개국으로 가증 전봉되어, 마쓰에번 총 26만 석을 소유하게 되었다. 이는 전년인 1633년(간에이 10년) 호리오 다다하루가 사망하면서 호리오씨가 후사 없이 단절되고 개역된 후, 막부에서 파견된 마쓰다이라 노리토시, 바바 도시시게, 스기타 다다쓰구 등이 영지 수납과 인계를 담당한 결과였다. 그 후 윤7월 6일 교토에서 이에미쓰로부터 이즈모·오키 2개국을 하사받고, 다음 날인 7월 7일 이타쿠라 시게마사가 마쓰에성 인도의 사자로 파견되었다. 7월 8일 교토에서 고하마로 돌아간 다다타카는 7월 19일 마쓰에로 출발하여 8월 7일 마쓰에 성에 입성하여 거성으로 정했다. 이처럼 석고가 배로 증가한 전봉은 명예로운 일이었으며, 이에미쓰가 다다타카의 정치 능력을 높이 평가했기 때문이었다. 이는 도쿠가와 쇼군 가문이 교고쿠 가문을 신뢰했음을 보여준다.[1] 다다타카가 떠난 후 고하마는 사카이 다다카쓰에게 주어졌다.마쓰에 번에 부임한 다다타카는 우선 영내 사찰의 소령을 안도하고 가증했다. 도다 하치만궁(현재 야스기시)의 사령을 안도하고 안코쿠지를 보리사로 지정하여 이 두 곳을 포함한 많은 사찰에 기부했다. 1635년(간에이 12년) 1월부터 히노미사키 신사 조영에 착수하고, 4월에는 다테누이군 히라타정(현 이즈모시 히라타정)의 구마노 신사 궁을 수축했다. 1636년(간에이 13년) 8월에는 니타군 가미아이(현 오쿠이즈모정 가미아이)의 오모리 신사 사를 재건하고, 5월에는 즈이오지라는 절을 엔조지로 개칭하여 아라쿠마에서 사카에정(현 마쓰에시 사카에정)으로 이전하고, 엔조지에서 전 번주 호리오 다다하루를 추도하는 등 신앙을 통해 민중을 끌어들이고 영지를 통치했다.[2]
정책을 통해 명령 계통도 정비했다. 고하마 시절부터 측근이었던 사사 미쓰나가를 마쓰에 전봉 시 가로로 발탁하여 550석에서 8100석으로 가증하고 번정의 중심 인물로 등용했다. 미쓰나가는 1636년(간에이 13년) 가신단 재편으로 1900석을 더 받아 1만 석을 받게 되었다.[3]
또한, 예로부터 수해가 잦았던 히이강의 대대적인 개수 공사에 착수했다. 가로들은 히이강을 시찰하고 촌락에 제방 수선을 명했지만, 빈번히 붕괴되고 히이강 지류의 이타바시도 매년 수선해야 하는 상황이었다. 이에 8개였던 강줄기를 하나로 합치기로 결정하고, 1636년(간에이 13년) 오사카에서 초빙한 수리학자 가와구치 쇼켄의 조언을 얻어 강줄기에 제방을 쌓았다. 준공은 다다타카 사후 마쓰다이라 나오마사 치세 때 이루어졌지만, 쌓은 제방은 다다타카의 관직명이었던 와카사노카미에서 유래하여 "와카사 둑"이라 불렸다(동쪽 하쿠타강에도 와카사 둑이 만들어졌다). 개수 공사와 함께 신전 개발을 진행하고, 호리오 시대에 금지되었던 데쓰나나가시를 1636년(간에이 13년)경 해금하여 철광업 진흥을 도모했다. 성하(城下) 일부 해자를 매립하고, 오하시강에 놓인 오하시를 다시 놓은 것도 다다타카 치세 때 이루어진 것으로 보인다.[4]
1636년(간에이 13년) 3월 27일에는 이와미의 이와미 은산과 니마군·오치군 4만 석도 배정되었다.[5] 이는 막부로부터의 보관으로, 2개월 전 1월 13일 은산 봉행 다케무라 만카가 사망한 것이 계기였다. 다만 실무는 막부의 명으로 스기타 다다쓰구에게 위임되었고, 이듬해 다다타카도 급사하여 교고쿠 가문의 지배가 1대로 끝나면서 은산은 막부 지배로 돌아갔다. 다다쓰구는 1638년(간에이 15년)부터 1641년(간에이 18년) 사망할 때까지 3년간 은산 대관으로서 경영을 담당했다.[6]
2. 4. 죽음
1637년 에도에서 급사하였다. 호소카와 다다토시가 그의 임종을 지켜보았다.[6]정실인 하쓰와의 사이에서는 자녀를 낳지 못했지만, 측실과의 사이에서 딸 하나를 두었다. 다카카즈는 조카라고 알려져 있지만, 실은 다다타카의 친자식이라는 설도 있다. 도세쓰산(桃節山)의 『이즈모 사사기(出雲私史)』에 따르면, 측실 소생의 자식이었기 때문에 막부와 정실 하쓰의 친정인 쇼군가를 꺼려 조카라고 했다고 한다. 다다타카는 사망 3년 전에 양자 허가를 막부에 요청하려 했고 이에미쓰의 유모 가스가노 쓰보네에게도 신청했지만, 가스가노 쓰보네가 이에미쓰에게 전달하지 않아 불발되었다 (다다타카가 하쓰에게 한 행동을 알고 있던 가스가노 쓰보네의 판단에 의한 것으로 여겨짐).[6]
후사가 없어 교고쿠씨는 단절될 위기에 처했으나, 바쿠후는 그의 혈통을 잇기 위해 사후에 다카카즈를 상속자로 지정했다. 다카카즈는 다다타카의 조카이자 그의 형 다카마사의 아들이었다. 다카카즈는 처음에는 하리마국의 다쓰노 (5만 석)에 봉해졌다.[5]
3. 인물과 일화
교고쿠 다다타카는 오쓰성 농성에서 아버지 다카쓰구와 함께 공을 세웠다.[5] 1603년 에도에서 도쿠가와 이에야스에게 인사하고 원복하여 와카사노카미에 임명되었으며, 도쿠가와 히데타다에게서 이름 한 글자를 받았다. 1606년 종4위하, 1626년 사콘노에곤노쇼쇼에 임명되었다.[5] 다다타카는 마쓰다이라 다다나오의 넷째 딸과 결혼했다.[4]
3. 1. 가족 관계와 관련된 일화
교고쿠 다카쓰구의 서장자 쿠마마로(훗날의 다다타카)는 1600년 세키가하라 전투 당시 아버지 다카쓰구가 서군의 요청으로 오사카성에 인질로 보내졌으나, 실제로는 동군에 가담하여 오쓰성에 틀어박혔다(오쓰성의 전투). 이 공으로 다카쓰구는 와카사 오바마의 8만 5000석을 받았고, 이듬해에는 오미국 다카시마군 7000석을 추가로 받아 9만 2000석의 다이묘가 되었다. 오쓰성 농성이 짧았기 때문에 쿠마마로는 무사했다.[5]1603년, 다다타카는 에도로 가서 도쿠가와 이에야스에게 인사하고 원복하여 와카사노카미에 임명되었으며, 도쿠가와 히데타다에게서 이름 한 글자를 받아 다다타카로 개명했다. 이는 히데타다의 정실인 고가 다다타카의 계모인 조코인의 여동생으로, 다다타카에게는 의붓 고모가 되기 때문이었다. 1606년에는 종4위하에 서임되었고, 1626년에는 사콘노에곤노쇼쇼에 임명되었는데, 이 역시 히데타다와의 관계로 추측된다.
다다타카는 마쓰다이라 다다나오의 넷째 딸과 결혼했다.[4] 1607년에는 도쿠가와 히데타다의 넷째 딸과 결혼했지만, 후손을 얻지 못했다.
4. 가계
5. 교고쿠 다다타카를 주제로 한 작품
야마모토 슈고로의 소설 《인정 무사도》에 수록된 〈간샤쿠료 24만석〉(1935년 발표)에서 다루고 있다.
참조
[1]
서적
Osaka 1615: The Last Battle of the Samurai
https://books.google[...]
Osprey Publishing
[2]
서적
Osaka 1615: The Last Battle of the Samurai
https://books.google[...]
Osprey Publishing
[3]
서적
The Bakufu in Japanese History
https://books.google[...]
Stanford University Press
[4]
서적
Annali Lateranesi
https://books.google[...]
Pontificio Museo Missionario Etnologico
[5]
문서
Nobiliare du Japon
http://www.unterstei[...]
[6]
서적
松江藩の基礎的研究 : 城下町の形成と京極氏・松平氏
岩田書院
[7]
문서
조코인의 본명 또한 하쓰(初)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