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국어는 국가를 대표하는 언어를 의미하며, 각 나라마다 국어 지정 현황과 특징이 다르다.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한국어를 국어로 사용하며, 방글라데시에서는 벵골어, 불가리아에서는 불가리아어, 크로아티아에서는 크로아티아어를 국어로 지정한다. 인도네시아어는 인도네시아의 공식 언어이며, 이탈리아어는 이탈리아의 국어이다. 몰디브에서는 디베히어, 몰타에서는 몰타어가 국어이며, 네덜란드에서는 네덜란드어, 폴란드에서는 폴란드어, 포르투갈에서는 포르투갈어, 루마니아에서는 루마니아어, 슬로바키아에서는 슬로바키아어, 베트남에서는 베트남어를 국어로 사용한다. 핀란드, 아일랜드, 룩셈부르크, 싱가포르, 캐나다, 스위스, 슬로베니아, 스리랑카, 스페인, 러시아, 남아프리카 공화국, 대만, 튀니지, 영국, 미국, 이스라엘, 케냐, 레바논, 말레이시아, 나미비아, 네팔, 뉴질랜드, 나이지리아, 파키스탄, 필리핀, 러시아, 남아프리카 공화국, 대만, 튀니지, 영국, 미국 등 여러 국가에서 국어와 공용어를 지정하고 있다. 일본에서는 일본어를 '고쿠고'라고 부르며, 메이지 시대에 언어 통일을 위해 표준 일본어를 정하고 '국어'라는 표현을 사용했다. 국어를 둘러싼 주장과 논의, 용어의 모호성, 국어와 민족 간의 관계에 대한 다양한 견해가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언어 정책 - 소수 언어
소수 언어는 학술적 정의는 없지만 인구 통계, 사회 정치, 민족 사회적 기준에 따라 분류되며, 법률과 헌장으로 보호받기도 하고, 정치적 소외와 차별, 권리 부여 기준에 대한 논쟁을 겪으며 멸종 위기에 놓이기도 한다. - 언어 정책 - 언어정책
언어 정책은 언어와 사회의 관계를 연구하며 언어 사용에 대한 개입을 통해 언어의 지위, 사용, 교육 등에 영향을 미치는 계획으로, 대한민국은 국어기본법을 바탕으로 다양한 언어 정책을 추진하고 있으며, 언어 교육 개선, 소수 언어 보호, 다문화 사회에서의 언어 통합 등의 과제를 안고 있다. - 언어권 (권리) - 벵골어 운동
벵골어 운동은 파키스탄 자치령에서 벵골어의 공용어 지위 획득을 목표로 동벵골의 벵골어 사용자들이 주도한 문화적, 정치적 운동으로, 1952년 다카에서 발생한 비극적인 사건과 벵골 민족주의 발현, 그리고 국제 모어의 날 제정의 계기가 되었다. - 언어권 (권리) - 루시용
루시용은 루스키노 요새에서 유래한 지명으로, 로마 제국, 서고트 왕국, 사라센, 프랑크 왕국, 루시용 백국, 아라곤 왕국 등의 지배를 거쳐 프랑스와 스페인 간 분쟁 지역이 된 후 피레네 조약으로 프랑스에 귀속되어 현재 프랑스 피레네-오리앙탈 주의 일부이다.
국어 | |
---|---|
지도 | |
국어 | |
정의 | 국가 내에서 법률적으로 또는 사실상 특별한 지위를 가지는 언어 |
다른 용어 | 국가어, 민족어 |
언어학적 정의 | |
언어 사회학 | 법률, 교육, 행정 등 공식적인 영역에서 사용되는 언어 |
사회적 기능 | 국가적 통합, 정체성 확립, 문화적 유산 전달 등에 기여 |
정치적 의미 | 국가 정체성의 상징, 민족주의와 연관 |
관련 개념 | 공용어 모국어 표준어 지역어 |
역사적 배경 | |
국가 형성 과정 | 근대 국가 형성 과정에서 국가 언어의 개념 등장 민족주의와 언어 민족주의의 영향 |
식민 시대 | 식민 지배 하에서 강제된 언어와 국가 언어의 충돌 |
독립 후 | 독립 후 국가 언어 선정 과정에서 다양한 갈등 발생 |
국가 언어 지정 방식 | |
법률에 따른 지정 | 헌법이나 법률에 의해 공식적으로 지정 |
사실상의 지정 | 법적 지정 없이 사회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언어 |
복수 국가 언어 | 여러 언어가 동시에 국가 언어로 지정된 경우 |
국가 언어와 사회 | |
교육 | 학교 교육에서 주요 교과목으로 채택 |
미디어 | 주요 방송, 신문 등 언론 매체에서 사용 |
공공 서비스 | 정부 기관, 행정 서비스에서 사용 |
사회적 영향 | 사회 구성원의 언어 사용 능력 및 사회적 지위에 영향 |
문제점 | |
언어 갈등 | 소수 언어 사용자들의 차별 문제 발생 |
언어 정책 | 국가 언어 정책 수립 및 시행에 대한 논쟁 |
세계화 | 세계화 시대에 국가 언어의 역할과 변화 |
참고 자료 | |
참고 문헌 | 언어 사회학 |
같이 보기 | |
관련 항목 | 공용어 모국어 표준어 지역어 언어 정책 언어 민족주의 |
2. 각국의 국어
세계 각국은 자국의 언어를 국어로 지정하여 사용하고 있으며, 그 현황과 특징은 다음과 같다.
- 단일 국어: 한 국가에서 하나의 언어만을 국어로 지정한 경우이다.
-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한국어를 국어로 사용한다.
- 방글라데시는 벵골어, 불가리아는 불가리아어, 크로아티아는 크로아티아어, 체코는 체코어, 인도네시아는 인도네시아어, 이탈리아는 이탈리아어, 몰디브는 디베히어, 말타는 말타어, 네덜란드는 네덜란드어, 폴란드는 폴란드어, 포르투갈은 포르투갈어, 루마니아는 루마니아어, 슬로바키아는 슬로바키아어, 베트남은 베트남어를 국어로 사용한다.
- 복수 국어: 한 국가에서 여러 언어를 국어로 지정하거나, 국어와 공용어를 구분하는 경우가 있다.
- 핀란드는 핀란드어와 스웨덴어를 국어로 지정하고, 사미어, 롬어, 수화에 소수언어 지위를 부여한다.[15][16]
- 아일랜드는 아일랜드어를 국어이자 제1공용어로, 영어를 제2공용어로 지정한다.[28]
- 룩셈부르크는 룩셈부르크어를 국어로, 프랑스어와 독일어를 행정어로 지정했다.[1]
- 싱가포르는 말레이어를 국어로, 영어, 중국어, 타밀어를 공용어로 지정했다.[1]
- 캐나다는 영어와 프랑스어, 스위스는 독일어, 프랑스어, 이탈리아어, 로만슈어를 공용어로 지정했다.[44]
- 슬로베니아는 슬로베니아어를 공용어로 하며, 6개의 소수 언어가 있다.
- 스리랑카는 싱할라어와 타밀어를 공용어로 지정했다.[43]
- 스페인은 스페인어를 국가 헌법 언어로 사용하지만, 일부 지역에서는 갈리시아어, 바스크어, 카탈루냐어, 아라네스 방언을 공용어로 인정한다.
"국어"와 "공용어"는 의미 범위가 일치하거나 의도적으로 분리될 수 있는 두 가지 개념이다. 무국가 민족은 공용어를 입법할 수 없지만, 그들의 언어는 국어가 될 만큼 충분히 독립적이고 잘 보존될 수 있다. 어떤 언어는 일반적으로 "국어"로 인정받는 반면, 다른 언어는 사용 또는 홍보에서 공식적인 인정을 받지 못할 수 있다.[4][5]
여러 언어를 사용하는 국가에서 어떤 언어를 공용어로 인정할지는 종종 민족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언어는 각각 다른 민족 집단을 가지고 있으며, 그 언어의 우위성은 민족 간의 문화적·종교적 충돌의 원인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사용 빈도가 적은 언어를 국가가 선택하는 경우도 많다. 예를 들어 싱가포르는 역사적 이유로 말레이어를 국어로 지정했고, 아일랜드는 아일랜드어를 민족 본래의 언어라는 이유로 공용어로 지정했다.
2. 1. 단일 국어
한 국가에서 하나의 언어만을 국어로 지정한 경우를 단일 국어라고 한다. 여러 국가에서 단일 국어를 지정하여 사용하고 있다.- 방글라데시는 벵골어를 유일한 공식 언어이자 사실상, 법률상 국가 언어로 사용한다. 벵골어를 국가 언어로 사용하는 것은 방글라데시 독립의 주요 이유 중 하나였다.[6]
- 불가리아는 불가리아어를 유일한 공용어로 사용한다.[9]
- 크로아티아는 크로아티아어를 공식 언어로 사용하며, 헌법 제12조에 명시되어 있다.[11][12]
- 체코는 체코어를 국어로 사용한다.[13]
- 인도네시아는 인도네시아어를 공식 언어이자 국가 언어로 사용한다. 700개가 넘는 언어가 존재하지만, 인도네시아어 외 다른 언어는 공식적인 지위가 없다.[27]
- 이탈리아는 이탈리아어를 법률상 및 사실상 공식 언어로 사용하며, 역사적, 문화적 이유로 국어라고도 불린다.[29][30]
- 몰디브는 디베히어를 헌법에 따라 공용어로 사용한다.
- 말타는 말타어를 국어로 사용하며, 영어와 함께 공용어이다.[1]
- 네덜란드는 네덜란드어를 공식 언어로 사용하며, 프리스란트주에서는 서프리슬란트어도 사용된다.
- 폴란드는 폴란드어를 공식 언어로 사용한다.[39]
- 포르투갈은 포르투갈어를 유일한 공용어로 사용한다.
- 루마니아는 루마니아어를 공용어이자 국가어로 사용한다.[40]
- 슬로바키아는 슬로바키아어를 공식 언어로 사용한다.
- 베트남은 베트남어를 오랫동안 사실상의 국어로 사용해왔으며, 2013년 헌법 제5조를 통해 공식적으로 국어로 명시했다.[56]
2. 1. 1. 대한민국
대한민국에서 '국어'는 '국가어'를 의미하는 고유명사로, 한국어를 지칭한다. 훈민정음 해례본에서 '국어'라는 용어가 이미 사용되었으나[62], 근대적 의미의 국어 개념은 갑오개혁 이후 형성되었다. 주시경 선생이 '국어' 용어 사용을 강조하며 확산에 기여했다.[63]한편 이 무렵 '국어' 용어 확산은 일제강점기와 무관하지 않다는 비판적 시각이 존재한다. 일본은 근대 국가 확립뿐만 아니라 당시 식민지였던 나라들의 언어를 종속어로 규정하려고 국어라는 용어를 확산하였다. 여기서 국어는 민족 - 국가 - 국어로 이어지는 논리가 생겨났다는 주장이다. 이러한 민족주의적이고 국가주의적인 관점으로 식민지 조선에서 국어를 정의하였다. 당시에는 국가가 없는 식민지 상황이었기에 민족 - 국어 수준으로 이어졌다고 주장한다.[64]
2. 1. 2.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도 '국어'는 '국가어'를 의미하는 고유명사로, 한국어를 지칭한다.[62]2. 1. 3. 방글라데시
벵골어는 방글라데시의 유일한 공식 언어이며, 사실상(de facto) 그리고 법적으로(de jure) 국가 언어이기도 하다. 벵골어를 국가 언어로 하는 것이 방글라데시 독립의 주요 이유 중 하나였다.[6]2. 1. 4. 불가리아
불가리아어는 불가리아의 유일한 공용어이다.[9]2. 1. 5. 크로아티아
크로아티아어는 크로아티아의 공식 언어이다.[11] 크로아티아 헌법 제12조에는 "크로아티아 공화국에서는 크로아티아어와 라틴 문자가 공식적으로 사용된다"라고 명시되어 있다.[12]2. 1. 6. 체코
체코어는 체코의 국어이다.[13]2. 1. 7. 인도네시아
인도네시아의 공식 언어이자 국가 언어는 인도네시아어이다. 인도네시아는 700개가 넘는 살아있는 언어가 있어 파푸아뉴기니 다음으로 언어적으로 가장 다양한 국가이다.[27] 그러나 이 700개가 넘는 언어들은 공식적인 지위가 없으며, 일부는 멸종 위기에 처해 있다. 가장 큰 지역 언어는 자바어이다.2. 1. 8. 이탈리아
이탈리아어는 이탈리아의 법률상 및 사실상 공식 언어이다.[29][30] 역사적, 문화적 이유로 이탈리아어는 국어라고도 불리는데, 15세기부터 거의 모든 이탈리아 국가의 궁정과 교육받은 이탈리아인(학자, 작가, 시인, 철학자, 과학자, 작곡가 및 예술가)들 사이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언어가 되었고, 이는 오늘날 이탈리아 문화에 기여했다.[31] 또한 이탈리아어는 통일 이전 여러 이탈리아 국가의 공식 언어였으며, 나폴리 왕국의 스페인인이나 롬바르디아-베네치아 왕국의 오스트리아인과 같은 외세의 지배하에 있을 때에도 라틴어를 서서히 대체해 나갔다.[32]2. 1. 9. 몰디브
디베히어는 몰디브 헌법에 따라 몰디브의 공용어이다.2. 1. 10. 말타
말타어는 말타의 국어이다. 영어와 함께 말타의 공용어이기도 하다. 말타어는 말타 법률 제1장에서만 "국어"로 인정된다.[1]2. 1. 11. 네덜란드
네덜란드어는 네덜란드의 공식 언어이다. 프리스란트주에서는 서프리슬란트어도 사용되며, 두 번째 공식 언어로 인정받고 있다.2. 1. 12. 폴란드
폴란드어는 폴란드의 공식 언어이다.[39]2. 1. 13. 포르투갈
포르투갈어는 포르투갈의 유일한 공용어이다.2. 1. 14. 루마니아
루마니아의 공용어이자 국가어는 루마니아어이다.[40]2. 1. 15. 슬로바키아
슬로바키아어는 슬로바키아의 공식 언어이다.2. 1. 16. 베트남
베트남에서는 베트남어가 오랫동안 사실상의 국어였지만, 2013년 헌법 제5조에 의해서야 비로소 공식적으로 국어로 명시되었다.[56]2. 2. 복수 국어
한 국가에서 여러 언어를 국어로 지정하거나, 국어와 공용어를 구분하는 경우가 있다.핀란드는 핀란드어와 스웨덴어를 국어로 지정하고, 사미어, 롬어, 수화에 소수언어 지위를 부여한다.[15][16] 아일랜드는 아일랜드어를 국어이자 제1공용어로, 영어를 제2공용어로 지정한다.[28] 룩셈부르크는 룩셈부르크어를 국어로, 프랑스어와 독일어를 행정어로 지정했다.[1] 싱가포르는 말레이어를 국어로, 영어, 중국어, 타밀어를 공용어로 지정했다.[1]
캐나다는 영어와 프랑스어를 공식 언어로 지정했다. 스위스는 독일어, 프랑스어, 이탈리아어, 로만슈어를 공용어로 지정했다.[44] 슬로베니아는 슬로베니아어를 공용어로 하며, 6개의 소수 언어가 있다. 스리랑카는 싱할라어와 타밀어를 공용어로 지정했다.[43] 스페인은 스페인어를 국가 헌법 언어로 사용하지만, 일부 지역에서는 갈리시아어, 바스크어, 카탈루냐어, 아라네스 방언을 공용어로 인정한다.
2. 2. 1. 핀란드
핀란드에서는 헌법 제17조에서 핀란드어와 스웨덴어를 국어로 규정하면서 사미어, 롬어, 수화에 소수언어 지위를 부여한다.[15][16] 핀란드 헌법은 법원과 기타 국가 기관에서 핀란드어와 스웨덴어를 사용할 권리를 보장한다. 사용자 수에 큰 차이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스웨덴어는 핀란드어와 동등한 지위를 가지며 공식적으로 소수 언어로 분류되지 않는다. 두 공용어는 모두 학교에서 필수 과목이며(모국어가 제3 언어인 어린이는 제외), 대학 학위가 필요한 정부 기관에서는 언어 시험이 필수이다. 헌법은 또한 사미족과 로마족에게 그들의 언어를 유지하고 발전시킬 권리를 부여하며, 사미족은 다른 법률에 따라 공식적인 상황에서 사미어를 부분적으로 사용할 권리가 있다.[17]2. 2. 2. 아일랜드
아일랜드 헌법 제8조에서는 아일랜드어를 국어이자 제1공용어로 지정하고, 영어는 제2공용어로 지정한다.[28]2. 2. 3. 룩셈부르크
룩셈부르크는 1984년에 룩셈부르크어를 국어로 정했으며, 프랑스어와 독일어는 행정어로 지정되었다.[1] 룩셈부르크는 룩셈부르크어, 프랑스어, 독일어 세 가지 공용어를 사용한다.[1] 이전에는 룩셈부르크어가 공식적인 지위가 없었지만, 1984년 2월 24일에 제정된 법률에 따라 국가어가 되었다.[1] 이 법은 룩셈부르크어, 프랑스어, 독일어를 행정 언어로 인정했다.[1]2. 2. 4. 싱가포르
말레이어는 싱가포르의 국어이며, 영어, 중국어, 타밀어는 공용어이다.[1] 싱가포르 인구의 약 14%를 차지하는 말레이계 주민을 싱가포르의 원주민으로 인정하기 때문에 말레이어가 국어로 지정되었다.[1]싱가포르의 다양한 민족 집단 간의 ''lingua franca''는 바자르 말레이어라는 말레이어 기반 크리올어였다.[1] 독립 이후 정부는 영어를 싱가포르의 주요 언어로 육성하였다.[1] 이중 언어 교육 정책에 따라 학생들은 영어와 학생의 민족에 해당하는 "모국어" 두 가지 언어를 공부해야 한다.[1] 중등학교에서 말레이계가 아닌 학생들에게 말레이어는 제3 외국어로 선택할 수 있는 과목이다.[1] 그 결과 영어는 싱가포르인들 사이에서 공통어로서 바자르 말레이어를 대체했다.[1] 따라서 말레이어가 국어임에도 불구하고, 대다수는 말레이어를 모국어로 사용하지 않는다.[1]
2. 2. 5. 캐나다
1969년 캐나다 공식언어법 이후 캐나다의 공식 언어는 영어(캐나다 영어)와 프랑스어(캐나다 프랑스어)이다. "국가"를 무엇으로 구성하는지에 대한 견해에 따라 이 두 언어는 캐나다라는 국가의 두 가지 동등한 국가 언어로 간주될 수도 있고, 하나의 국가 내 두 국가인 영어권 캐나다와 프랑스어권 캐나다의 국가 언어로 간주될 수도 있다.퀘벡 민족주의자들은 퀘벡 프랑스어를 퀘벡 국가의 언어로 간주하며, 이는 해당 주의 공식 언어이다 (그리고 온타리오주, 매니토바주, 뉴펀들랜드 래브라도주의 공인 소수 언어이기도 하다). 아카디아 프랑스어는 아카디아인의 국가 언어이며 뉴브런즈윅주의 공식 언어이다 (그리고 퀘벡주, 노바스코샤주, 프린스에드워드아일랜드주의 공인 소수 언어이기도 하다). 뉴펀들랜드 영어 방언은 다른 캐나다 영어 방언과 상당히 다르다.
2. 2. 6. 스위스
스위스에는 독일어, 프랑스어, 이탈리아어, 로만슈어 네 가지 공용어가 있다.[44] 이들 언어는 모두 스위스 연방 행정부에서 국가 차원의 공용어 지위를 갖는다.[45]
인구의 대다수(74%)는 독일어를 사용하며, 나머지 대부분(21%)은 프랑스어를 사용한다. 소수는 이탈리아어(4%)와 로만슈어(1%, 모국어로 사용하는 경우는 아님)를 사용한다. 독일어 사용자는 스위스 대부분 지역에서 우세하며, 프랑스어 사용자는 프랑스와의 국경 근처 서부 지역에, 이탈리아어 사용자는 주로 티치노주에 있는 이탈리아와의 국경 근처 남부 지역에 거주한다. 로만슈어 사용자는 남동부의 그라우뷘덴주에 집중되어 있다.[46]
2. 2. 7. 슬로베니아
슬로베니아어는 슬로베니아의 공용어이다. 소수 언어는 6개가 있다.2. 2. 8. 스리랑카
싱할라어와 타밀어는 스리랑카의 공용어이다.[43]2. 2. 9. 스페인
스페인은 스페인어(카스티야어)를 국가 헌법 언어로 사용하지만, 일부 지역에서는 다음 네 가지 언어가 공용어로 인정된다.- 갈리시아어는 갈리시아에서 사용된다.
- 바스크어는 에우스칼헤르리아와 나바라의 일부 지역에서 사용된다.
- 카탈루냐어는 카탈루냐, 발레아레스 제도 및 발렌시아(발렌시아어)에서 사용된다.
- 아라네스어는 발 다란에서 사용된다.
2. 3. 국어와 공용어의 관계
"국어"와 "공용어"는 의미 범위가 일치하거나 의도적으로 분리될 수 있는 두 가지 개념 또는 법적 범주이다. 무국가 민족은 공용어를 입법할 수 있는 위치에 있지 않지만, 그들의 언어는 국어가 될 만큼 충분히 독립적이고 잘 보존될 수 있다. 어떤 언어는 일반적으로 "국어"로 인정받는 반면, 다른 언어는 사용 또는 홍보에서 공식적인 인정을 받을 수 없다.[4][5]많은 아프리카 국가에서는 일부 또는 모든 토착 아프리카 언어가 장기적인 입법 또는 단기적인 사례별 행정(정부) 조치를 통해 공식적으로 사용되거나, 홍보되거나, 명시적으로 홍보가 허용된다. 공식적인 언어가 되려면, 구어와 문어는 정부 또는 연방에서 사용되거나, 세금으로 주요 홍보가 이루어지거나, 적어도 공교육에서의 교육과 고용주들의 인정에 대한 완전한 관용을 누려야 하며, 공용어(들)와 동등한 입장에 서야 한다. 또한, 의무 교육에서 사용되는 언어로 인정받을 수 있으며, 특정 지역의 소수 언어인 언어를 배우도록 성인에게 가르치거나 장려하는 데 국고가 사용될 수 있다. 이는 해당 언어의 이해를 회복하고 도덕적 이야기, 운율, 시, 구절, 노래 및 기타 문학 유산을 널리 알려 사회 통합(다른 언어가 남아 있는 경우)을 촉진하거나, 다른 비토착 언어가 낮춰지는 경우 민족주의적 차별화를 촉진할 수 있다.
여러 언어를 사용하는 국가가 어떤 언어를 공용어로 인정할지는 종종 심각한 민족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언어는 각각 다른 민족 집단을 가지고 있으며, 그 언어의 우위성이 민족 간의 문화적·종교적 충돌의 직접적인 원인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사용 빈도가 적은 언어를 국가가 선택하는 경우도 많다. 예를 들어 싱가포르는 역사적 이유로 국민 대다수의 모어인 중국어를 공용어로 하지 않고 말레이어를 공용어로 하고 있다. 아일랜드는 아일랜드어를 민족 본래의 언어라는 이유로 공용어로 지정하고 있다.
일본에서는 언어를 셀 때 ‘국어(か国語)’라는 조수사를 많이 사용하지만, 세계에는 하나의 국가에 여러 개의 공용어가 있는 나라도 드물지 않다. 따라서 언어의 조수사로 ‘국어’가 아닌 ‘언어’를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마찬가지로 ‘모국어’라는 표현은 국가와 언어를 연결짓고 있어, 그것을 피한 용어·개념으로 ‘모어’가 존재한다.
2. 3. 1.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는 법적으로 보스니아어, 크로아티아어, 세르비아어의 세 가지 공용어를 사용하지만, 사실상 이 세 가지 언어는 하나의 언어인 세르보크로아티아어의 변종이다.[7][8] 이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구성 민족에 따라 세 가지 이름으로 공식적으로 정의되어 있다. 라틴 알파벳과 키릴 문자는 모두 공식적으로 동등한 지위를 갖는다.[7][8]2. 3. 2. 에티오피아
암하라어는 에티오피아 제국의 국어였다. 에티오피아는 최소 80개 이상의 서로 다른 민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80개가 넘는 언어가 사용된다. 암하라어, 오로모어, 티그리냐어, 소말리아어, 아파르어는 에티오피아의 공용어이다. 그러나 법원과 입법부는 암하라어를 사용하며, 헌법 또한 공식적으로 암하라어로 작성되어 있다. 일상적으로도 운전면허 발급 및 세금 보고 등에도 암하라어가 사용되므로, 국어는 아니지만 정부의 공용어로서 기능한다.[14]2. 3. 3. 인도
인도의 헌법 제343조 1항에 따라 힌디어와 영어는 인도의 공용어이다.[18] 구자라트 고등법원은 인도의 대다수 국민이 힌디어를 국어로 받아들이고 있지만, 힌디어를 국가의 국어로 선포한 공식적인 기록이나 명령은 없다고 밝혔다.[19][20]이러한 판단은 최근 수레시 카차디아의 공익소송(PIL)을 기각하면서 S.J. 무코파다야 수석판사와 A.S. 데이브 판사로 구성된 대법원 합의부가 내렸다.[21]
인도 대법원은 심리 과정에서 영어를 사용하며 힌디어 사용에는 반대한다.[22]
연방 정부는 의회 절차와 연방법의 텍스트와 같이 공용어로 힌디어와 영어를 사용한다. 연방 정부와 주 정부 간의 의사소통은 A 지역 및 B 지역 주에서는 힌디어로, C 지역 주에서는 영어로 이루어진다.[23] 주 정부는 공식적인 의사소통에 자체 모국어를 사용한다.[24] 주 정부는 인도 헌법의 제8부에 열거된 22개 언어 중 하나 이상을 채택할 수 있다. — 아삼어, 벵골어, 보도어, 도그리어, 구자라트어, 힌디어, 칸나다어, 카슈미르어, 콘카니어, 마이틸리어, 말라얄람어, 마라티어, 메이테이어, 네팔어, 오디아어, 펀자브어, 산스크리트어, 산탈리어, 신드어, 타밀어, 텔루구어 그리고 우르두어. 인도 대법원은 영어를 유일한 공용어로 사용하며, 일부 주의 고등법원은 영어 외에 주에서 사용되는 다른 언어를 사용한다.[25][26]
2. 3. 4. 이스라엘
2018년 국가-민족법 채택으로 히브리어가 이스라엘 국가의 공식 언어로 지정되었으며, 아랍어는 국가 기관에서 사용되는 "특별한 지위"를 가진 언어로 인정받았다.2. 3. 5. 케냐
영어와 스와힐리어는 공용어이지만, 스와힐리어는 국어로서 특별한 지위를 갖는다.[33] 케냐의 주요 언어들(키쿠유어, 루오어, 캄바어, 칼렌진어 등)은 국가 차원에서 명시적인 법적 지위를 갖고 있지는 않지만, 2010년 헌법은 국가가 "케냐 국민의 언어 다양성을 증진하고 보호할 것"을 명령하고 있다.[33]2. 3. 6. 레바논
레바논에서는 아랍어가 공용어이다.[34] 공식적인 목적으로는 현대 표준 아랍어가 사용되지만, 일상적인 대화에서는 레바논 아랍어가 사용된다. 프랑스어와 영어도 레바논에서 널리 사용된다.2. 3. 7. 말레이시아
말레이어는 말레이시아 헌법 제152조 1항에 따라 국어이다.2. 3. 8. 나미비아
나미비아에서는 영어가 유일한 공식 언어이지만, 인구의 상당수가 사용하며 나미비아의 문화유산으로 간주되는 20개의 국가 언어가 있다. 모든 국가 언어는 소수 언어의 권리를 가지며 특정 지역에서는 공용어 역할을 할 수도 있다. 나미비아의 국가 언어에는 독일어, 아프리칸스어, 오시밤보어, 헤레로어, 포르투갈어, 힘바어, 나마어, 산족 언어, 카반고어, 다마라어 등이 포함된다.2. 3. 9. 네팔
네팔어는 네팔 연방 정부의 공식 언어이다. 네팔에서는 123개가 넘는 언어가 사용되며, 이 모든 언어는 헌법상 지위를 부여받아 rāṣṭrabhāṣā|라슈트라바샤ne (राष्ट्रभाषाne)로, 공식적으로 '국가의 언어'로 번역된다. rāṣṭrabhāṣā|라슈트라바샤ne는 단순히 '국어'를 의미하기도 한다.[35] 몇몇 언어로는 네팔 바사, 타망어, 셰르파어, 라이어, 마가르어, 구룽어, 마이틸리어, 아와디어, 영어, 림부어, 보즈푸리어 등이 있다.2. 3. 10. 뉴질랜드
뉴질랜드의 인구는 주로 영어를 사용하지만, 폴리네시아 원주민의 언어는 마오리어이다. 이 두 언어는 모두 뉴질랜드에서 공식 언어 지위를 가지고 있으며, 뉴질랜드 수화도 세계에서 몇 안 되는 공식 언어 지위를 가진 수화 중 하나이다.2. 3. 11. 나이지리아
나이지리아는 공용어인 영어(나이지리아 표준 영어) 외에도 세 가지 주요 언어 또는 국어를 인정한다. 하우사어, 이보어, 요루바어가 그것이며, 각각 2천만 명 이상의 화자가 있다.[36]2. 3. 12. 파키스탄
1973년 파키스탄 헌법 제251조 1항(국어)은 "파키스탄의 국어는 우르두어이며, 시행일로부터 15년 이내에 공용어 및 기타 목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조치가 취해져야 한다"라고 명시하고 있다. 우르두어가 공용어로 선포되었지만, 현재까지 모든 정부 문서, 법률, 법적 명령 및 기타 공식 기록은 파키스탄 영어로 작성되고 있다.[37] 대부분의 고등 교육 또한 영어로 이루어진다.[37] 1979년 설립된 국어청은 우르두어의 발전을 위한 조치를 취하는 기관이다.2. 3. 13. 필리핀
필리핀어는 필리핀의 국어이다. 1987년 헌법은 타갈로그어를 기반으로 인정된 모든 필리핀의 언어의 어휘를 포함한 필리핀어를 국어로 지정했다. 또한 필리핀어와 영어를 의사소통과 교육을 위한 공용어로 지정하고, 지역 언어를 해당 지역에서 보조 교육 매체로 사용하기 위한 보조 공용어로 지정했다.[38]필리핀에서는 170개 이상의 필리핀의 언어가 사용되며, 거의 모두 오스트로네시아어족의 필리핀어파에 속한다. 2012년 9월, 라 우니온주는 일로카노어를 공용어로 선포하는 조례를 통과시킨 필리핀 역사상 최초의 주가 되었다. 이 조치는 주 내의 다양한 정부 및 민간 업무에서 일로카노어의 사용을 보호하고 활성화하기 위한 것이다.[38]
필리핀 수화는 "필리핀 청각 장애인의 국가 수화"이자 필리핀 정부 거래의 공식 수화로 지정되어 있다.
2. 3. 14. 러시아
러시아어는 러시아의 유일한 국가 언어이며 연방 공식 지위를 가지고 있지만, 다른 러시아 연방의 주체에서는 27개의 다른 언어가 공식 언어로 간주된다.[41]2. 3. 15. 남아프리카 공화국
남아프리카 공화국에는 아프리칸스어, 영어, 남부 은데벨레어, 북부 소토어, 소토어, 스와지어, 츠와나어, 츠송가어, 벤다어, 코사어, 줄루어 등 총 11개의 공용어가 있다.[42]남아프리카 공화국 헌법은 코이어, 나마어, 산어 등 토착 언어, 수어, 독일어, 그리스어, 구자라트어, 힌디어, 포르투갈어, 타밀어, 텔루구어, 우르두어 등 지역 언어, 그리고 아랍어, 히브리어, 산스크리트어 등 종교 목적으로 사용되는 언어들의 발전을 명시적으로 지원한다.[42]
2. 3. 16. 대만
대만의 국가 언어는 법적으로 "대만 원주민 집단이 사용하는 자연어와 대만 수화"로 정의된다.[47] 여기에는 포모사 언어, 객가어, 표준중국어, 대만어(민남어) 및 마츠 방언이 포함된다.일제강점기(1895년~1945년) 동안에는 國語運動|kokugo undō일본어을 통해 일본어가 장려되었다. 1949년 중국 국공내전에서 패배한 후 중화민국의 국민당 정권은 대만 섬으로 후퇴하여 당시 섬 주민들 중 소수만이 사용하던 표준 중국어와 영어를 "국어"로 도입했다. 그러나 오늘날 "국가 언어 개발법"은 대만 모든 민족 집단의 언어를 국가 언어로 인정하고 있다.
2. 3. 17. 튀니지
현대 표준 아랍어가 튀니지의 공식 언어이다.[48] 그러나 이는 튀니지 인구의 모국어가 아니며, 튀니지 사람들 사이의 의사소통에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대신 튀니지 아랍어가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며 튀니지의 국어이다.[49] 또한, 공식 지위는 없지만 프랑스어는 인구의 63.6%가 구사하며 행정, 교육 및 사업 환경에서 널리 쓰이고 있다.[50] 남서부와 제르바 섬의 베르베르 소수 민족은 튀니지 셸하어를 사용한다.2. 3. 18. 영국
영어(영국 영어)는 영국의 사실상 공식 언어이며, 약 95%의 영국인이 사용한다. 영국을 제외한 세 개의 본토 국가는 각자 다양한 정도의 인정을 받는 자체 국가 언어를 가지고 있으며, 이는 영어와 공존한다.2. 3. 19. 미국
미국에서는 영어(미국 영어)가 수적으로나 역사적, 현대적 연관성으로 비공식적인 의미에서만 국어이다. 미국 헌법은 어떠한 공용어도 명시적으로 선포하지 않지만, 헌법과 모든 연방 법률은 영어로 작성되어 있다.1973년 이후로 매년 하원의원이나 상원의원이 미국을 영어권 국가로 규정하려는 법안을 미국 의회에 제출했다.[55]
3. 일본의 국어
일본에서 '고쿠고'(国語일본어)는 일본어를 지칭한다.
일본의 국가어(国語)는 일본어이지만, 문부과학성의 학교 교과목 명칭은 "일본어과"가 아닌 "국어과"로 되어 있다. 다른 많은 나라에서는 헌법 또는 법률상 국가어를 정하더라도, 공적으로 "국어"라 부르지 않고 언어 명칭으로 부른다. 영국은 국가어를 영어로 정하고 있지만, 공적인 문맥에서는 "국가어" 또는 "국어"가 아닌 언어 명칭으로 부른다.
학교 교육에서 일본어를 종합적으로 가르치는 교과목인 "국어"는 1900년(메이지 33년) 소학교령 개정에 따라 "독서", "작문", "서예" 3과목을 통합하여 신설되었다.[58] "국어"라는 단어는 메이지 시대에 만들어진 和製漢語이다.[59] 이 단어는 미야케 요네키치, 모즈메 타카미, 우에다 만넨 등 여러 창시자 설이 있지만, 1885년(메이지 18년) 미야케 요네키치가 설립한 '방언 조사 모임' 취지서에 "우리 일본의 국어"라는 표기가 처음 사용되어 정착되었다. 이 "국어"라는 단어는 중화권, 한반도, 베트남 등의 한자권에 역수입되었다.
일본의 한자 제한 등 국어 시책은 문부과학성, 문화청의 관할이다. 국어 심의회 심의 결과를 반영하여 현대 가나 문자, 당용 한자/상용 한자 등으로 실시되었다. 국어 심의회는 2001년 중앙 정부 개편 때 해산되었고, 현재는 문화 심의회 국어 분과회로서 교육 한자 등 일본어 교육, 한자 제한 방향 등을 검토하고 있다. 국립국어원은 이에 협력하여 각종 자료 등을 작성하고 있다.
3. 1. 메이지 정부의 언어 정책
메이지 시대 일본에는 전국적으로 통용되는 표준어가 없었고, 각 지방의 방언이 다수 존재하는 상태였다. 그 때문에 당시 일본 국민들은 국가에 대한 귀속 의식보다 지역 번에 대한 귀속 의식이 더 강했다. 메이지 정부는 국가 통합을 위해 언어 통일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여, 도쿄(관동) 주변의 언어를 다소 수정한 것을 표준 일본어(표준어)로 정했다. 또한 “일본어”가 아닌 “국어”라는 표현을 자주 사용하게 되었다. “국어”라는 단어는 메이지 시대에 만들어진 和製漢語이다.[59]3. 2. '국어'에서 '일본어'로의 명칭 변경
일본의 국가어(国語)는 일본어이지만, 문부과학성의 학교 교과목 명칭에서는 “국어과”로 되어 있다. 다른 많은 나라에서는 헌법 또는 법률상 그 나라의 국가어를 정하고 있더라도, 그 언어를 공적으로 “국어”라고 부르지 않고 언어 명칭으로 부른다.최근에는 (초등·중등 교육 등을 제외하고) 일반적인 문맥에서는 “국어(国語)”라고 부르지 않고 처음부터 “일본어(日本語)”라고 표기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예를 들어 사전의 제목에서는 『일본어 시소러스 유의어 검색 사전』, 『기초 일본어 사전』, 『일본어 사용법 사전』 등을 들 수 있다. 2004년에는 “국어학회(国語学会)”가 “일본어학회(日本語学会)”로 명칭을 변경했다.[60][61]
일본어 화자가 대부분 일본 국민이었던 시대에는 일본어를 “국어(国語)”라고 불러도 별다른 문제가 없었다. 그러나 외국과의 교류가 일상화되고 일본 국내의 외국인이나 외국 출신자(귀화한 사람 포함)의 일본어 화자가 증가하고 있는 상황을 고려하면, 일본어를 “국어(国語)”라고 부르는 것은 해외로 이주한 일본인(반대로 일본에 거주하는 외국 출신자)에게 어떤 언어를 가리키는지 모호해진다. 일본어를 “국어(国語)”라는 일반 명사로 부르는 것은 어려워지고, 고유 명사로 명확하게 “일본어(日本語)”라고 불러야만 하는 상황이 증가했다.
4. 국어를 둘러싼 주장과 논의
국어라는 용어는 훈민정음 해례본에서 이미 사용되었는데, 당시에는 나랏말이라는 단순한 의미로, 아이들이나 시골 사람들이 쓰는 말과 구별되는 말을 가리켰다고 한다.[62]
이후 국어는 국민이 자연스럽게 형성하여 공통적으로 사용하는 언어라는 의미로, 19세기 근대국가 개념이 형성된 이후에 만들어진 말이라는 설이 있다. 갑오개혁 이후 한국어 말과 글이 국어와 국문으로 불리기 시작했고, 1898년에 나온 책 《국어문법》이나 1908년 국어 연구단체인 〈국어연구학회〉 등의 이름에도 사용되기 시작했다는 점이 그 근거로 제시되기도 한다. 주시경 선생이 "국어"라는 용어 사용을 강조하면서 이러한 경향이 확산되었다고 보기도 한다.[63]
한편, "국어"라는 용어의 확산은 일제강점기와 관련이 있다는 주장도 있다. 일본은 근대 국가를 확립하고 식민지 국가들의 언어를 종속시키기 위해 국어라는 용어를 확산시켰다. 이로 인해 민족-국가-국어로 이어지는 논리가 생겨났고, 식민지 조선에서는 국가가 없는 상황이었기 때문에 민족-국어 수준으로 이어졌다고 주장한다.[64]
스페인어나 아랍어처럼 여러 국가에서 강력한 지위를 가진 언어는 언어 제국주의의 관점에서 각 국가의 국어로 간주될 수 있다.
4. 1. 용어의 모호성
고시마 토시오(高島俊男)는 “인도 등 민족의 역사와 지역의 역사에 차이가 있는 곳에서는 ‘힌디어(힌두어, हिन्दी)’라는 명칭이 가리키는 범위가 불투명하며, 적어도 학술적인 문맥에서는 사용하지 않는다. 중국어라는 명칭도 마찬가지 문제가 제기될 수 있으며, ‘한어(漢語)’ 또는 ‘지나어(支那語)’라는 기존의 용어를 선호하는 전문가도 있다”고 주장했다.[10]4. 2. 국어와 민족
삼성당(三省堂)의 言語学大辞典|언어학대사전일본어 필자는 “영어, 프랑스어, 일본어 등 국명을 冠(관)하는 언어는 그 국가의 중추를 형성하는 민족의 언어임을 의미한다”고 주장하며, “이들은 진정한 의미에서 ‘국어’라고 할 수 있다”고도 주장했다.[2][3] “이러한 의미에서 아이누어, 로마니어는 국어로 간주되지 않는다”고 言語学大辞典|언어학대사전일본어 필자는 주장하고 있다.[2]5. 참고: 관련 용어 및 개념
참조
[1]
웹사이트
Jacques Leclerc
https://web.archive.[...]
2015-12-15
[2]
논문
The National Language Question: Concepts and Terminology
University of Namibia, Windhoek
1994
[3]
서적
African Languages: An Introduc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0
[4]
웹사이트
20 Year Strategy for the Irish Language
http://www.plean2028[...]
2017-12
[5]
서적
English in Wales: Diversity, Conflict, and Change
https://books.google[...]
Multilingual Matters
[6]
학술지
"A Place Insufficiently Imagined": Language, Belief, and the Pakistan Crisis of 1971
1985-08
[7]
웹사이트
Amendments XXVII-LIV to the Constitution of the Federation of Bosnia and Herzegovina
http://www.ohr.int/o[...]
High Representative for Bosnia and Herzegovina
2018-09-13
[8]
웹사이트
Amendments LXXI-XCII to the Constitution of Republika Srpska
http://www.ohr.int/o[...]
High Representative for Bosnia and Herzegovina
2018-09-13
[9]
웹사이트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Bulgaria, article 3
https://www.parliame[...]
[10]
웹사이트
General Information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PRC): Languages
http://www.chinatoda[...]
chinatoday.com
2008-04-17
[11]
웹사이트
Croatian declared official language 174 years ago
https://www.croatiaw[...]
2021-11-23
[12]
웹사이트
Croatia 1991 (rev. 2010)
https://www.constitu[...]
[13]
서적
Beginner's Czech
Hippocrene Books
2007
[14]
뉴스
One to five: Ethiopia gets four new federal working languages
https://web.archive.[...]
2020-11-30
[15]
웹사이트
Finland – Constitution
http://www.servat.un[...]
[16]
웹사이트
FINLEX ® – Ajantasainen lainsäädäntö: 11.6.1999/731
http://www.finlex.fi[...]
[17]
웹사이트
Decree on the Sami Parliament
http://www.finlex.fi[...]
2000-07-03
[18]
웹사이트
CHAPTER I.—LANGUAGE OF THE UNION
https://www.mea.gov.[...]
[19]
뉴스
Hindi is a foreign language for Gujaratis, says Gujarat high court
https://timesofindia[...]
2012-01-01
[20]
뉴스
Hindi, not a national language: Court
https://www.thehindu[...]
2010-01-25
[21]
뉴스
Hindi, is not the national language of India: Court
https://www.thehindu[...]
2010-01-25
[22]
웹사이트
Supreme Court Objects to Use of Hindi in Proceedings, Reiterates English as Official Language
https://lawtrend.in/[...]
2024-09-16
[23]
웹사이트
Official Language Rules, 1976
https://rajbhasha.go[...]
2021-11-06
[24]
웹사이트
CONSTITUTIONAL PROVISIONS Department of Official Language Ministry of Home Affairs GoI
http://rajbhasha.nic[...]
2019-02-08
[25]
뉴스
There's no national language in India: Gujarat High Court
http://timesofindia.[...]
2010-01-25
[26]
웹사이트
The Constitution of India
http://india.gov.in/[...]
National Portal
1949-11-26
[27]
웹사이트
What countries have the most languages?
https://www.ethnolog[...]
SIL International
2019-05-22
[28]
웹사이트
Bunreacht na hÉireann
http://www.taoiseach[...]
[29]
웹사이트
Law 482, 15 December 1999
http://www.camera.it[...]
1999-12-15
[30]
웹사이트
Italian language
http://www.ethnologu[...]
[31]
웹사이트
Lingua nazionale: le ragioni del fiorentino
http://www.accademia[...]
[32]
서적
Storia della lingua italiana
Sansoni
1960
[33]
웹사이트
Constitution of Kenya
http://katiba.mobi/
2010-10-28
[34]
웹사이트
ICL - Lebanon - Constitution
http://www.servat.un[...]
1990-09-21
[35]
웹사이트
The Constitution of Nepal
https://www.lawcommi[...]
2021-10-28
[36]
간행물
Constitution of the Federal Republic of Nigeria : 1999
http://www.nigeria-l[...]
[37]
웹사이트
The Constitution of the Islamic Republic of Pakistan
http://www.pakistani[...]
1973-08-14
[38]
뉴스
Iloko La Union's official language
http://www.philstar.[...]
2012-09-19
[39]
웹사이트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Poland
http://www.sejm.gov.[...]
1997-04-02
[40]
웹사이트
ARTICOLUL 13 – Constitutia României
http://www.cdep.ro/p[...]
[41]
논문
Russian as the National Language: An Overview of Language Planning in the Russian Federation
https://www.jstor.or[...]
Russian Language Journal
2006
[42]
웹사이트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South Africa, 1996 - Chapter 1: Founding Provisions
http://www.gov.za/do[...]
[43]
웹사이트
What Languages Are Spoken In Sri Lanka?
https://www.worldatl[...]
2017-04-25
[44]
웹사이트
The Federal Constitution of the Swiss Confederation, article 4
http://www.admin.ch/[...]
[45]
웹사이트
Diversité des langues et compétences linguistiques en Suisse
http://www.nfp56.ch/[...]
[46]
웹사이트
Switzerland's Four National Languages
http://official-swis[...]
[47]
웹사이트
https://law.moj.gov.[...]
[48]
웹사이트
Tunisia Constitution, Article 1
http://www.anc.tn/si[...]
2014-01-26
[49]
웹사이트
Arabic, Tunisian Spoken
http://www.ethnologu[...]
[50]
웹사이트
Christian Valantin (sous la dir. de), ''La Francophonie dans le monde. 2006-2007'', éd. Nathan, Paris, 2007, p. 16
http://www.francopho[...]
[51]
웹사이트
2011 Census of Scotland
http://www.scotlands[...]
[52]
웹사이트
Gaelic Language (Scotland) Act 2005
http://www.opsi.gov.[...]
Office of Public Sector Information
[53]
웹사이트
2011 Census: Key Statistics for Wales, March 2011
http://ons.gov.uk/on[...]
ONS
[54]
웹사이트
Welsh Language Act 1993
http://www.opsi.gov.[...]
Office of Public Sector Information
[55]
웹사이트
All legislation matching 'H.R.997'
https://www.congress[...]
United States Congress
[56]
웹사이트
Toàn văn Hiến pháp sửa đổi
http://vnexpress.net[...]
[57]
웹사이트
Office of Commissioner of Official Languages, Canada’s official languages and you.
https://www.clo-ocol[...]
[58]
방송
たけしの教科書に載らない日本人の謎2012
2012-01-09
[59]
웹사이트
紀の国の先人たち 三宅 米吉|和歌山県ホームページ
http://www.pref.waka[...]
[60]
뉴스
「日本語学会」に改称へ 「国語」か「日本語」か
2003-02-25
[61]
뉴스
「国語学会」の名称、来年から「日本語学会」に
2003-02-25
[62]
서적
1987/1990
[63]
서적
2004
[64]
서적
1930/198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