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영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권영길은 1941년 일본에서 태어나 서울대학교를 졸업하고 언론인으로 활동하다가,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초대 위원장을 역임하며 노동운동에 헌신했다. 1997년 대통령 선거에 출마했으나 낙선했고, 이후 민주노동당 대표를 맡아 2004년 국회의원에 당선되어 진보 정당의 원내 진입에 기여했다. 그는 2007년, 2008년 국회의원, 2012년 경상남도지사 보궐선거에 출마했으나 모두 낙선했으며, 2013년 정계 은퇴 후 정의당 당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 제16대 대통령 후보 - 이회창
이회창은 대한민국의 정치인이자 법조인으로, 판사, 최연소 대법관, 국회의원, 법무부 장관을 역임하고 세 차례 대통령 선거에 출마했으며, 자유선진당을 창당하여 활동하며 강경한 보수주의적 정치 성향으로 알려졌다. - 대한민국 제16대 대통령 후보 - 장세동
장세동은 대한민국의 군인 출신 정치인으로, 제5공화국 시절 전두환 정권의 핵심 인물로 활동하며 권력 남용과 민주주의 훼손의 상징으로 평가받는다. - 대한민국 제15대 대통령 후보 - 이회창
이회창은 대한민국의 정치인이자 법조인으로, 판사, 최연소 대법관, 국회의원, 법무부 장관을 역임하고 세 차례 대통령 선거에 출마했으며, 자유선진당을 창당하여 활동하며 강경한 보수주의적 정치 성향으로 알려졌다. - 대한민국 제15대 대통령 후보 - 허경영
허경영은 대한민국의 정치인, 가수, 기업가로 여러 차례 대통령 선거와 국회의원 선거 등에 출마했으나 모두 낙선했으며, 기행과 허위 사실 유포, 종교적 활동 등으로 논란이 된 인물이다. -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관련자 - 심상정
심상정은 노동운동가 출신으로 구로동맹파업을 주도하고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결성에 참여했으며, 민주노동당 비례대표로 국회에 입성하여 진보신당, 통합진보당을 거쳐 정의당 창당을 주도하고 고양시 덕양구 갑에서 3선 국회의원을 지냈으며, 대선에 두 번 출마하고 재벌개혁, 경제민주화, 사회적 약자 보호 등의 진보적 의제를 제기해 온 정치인이다. -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관련자 - 이백윤
이백윤은 중앙대 총학생회장 출신 노동운동가이자 정치인으로, 동희오토 비정규직 노동자 해고 후 부당 해고에 맞선 투쟁, 사회혁명노동자당 충남도당 위원장, 노동당 대통령 후보 출마 등의 활동을 했다.
권영길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권영길 |
본명 | 권영길 |
로마자 표기 | Gweon Yeonggil |
한자 표기 | 權永吉 |
출생일 | 1941년 11월 5일 |
출생지 | 일본 제국 야마구치현 |
종교 | 천주교(세례명: 가롤로) |
배우자 | 강지연 |
자녀 | 2남 1녀 |
본관 | 안동 권씨 |
별명 | 부엉이 |
정치 경력 | |
정당 | 정의당 |
기타 정당 | 국민승리21 (1997–2000) 민주노동당 (2000–11) 통합진보당 (2011–12) |
직업 | 서울신문 정치부 기자 서울신문 파리특파원 전국언론노동조합연맹 위원장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위원장 |
소속 정당 | 무소속 |
국회의원 선수 | 2 |
국회의원 대수 | 17·18 |
지역구 | 경남 창원시 을 (17·18) |
민주노동당 대표 | 임기 시작: 2000년 1월 30일 임기 종료: 2004년 7월 12일 |
국회의원 | 임기 시작: 2004년 5월 30일 임기 종료: 2012년 5월 29일 |
정의당 | 제20대 총선 선거대책위원회 상임고문 |
학력 | |
최종 학력 | 서울대학교 |
웹사이트 | |
웹사이트 | Ghil.net |
2. 생애
권영길은 1941년 일본 야마구치현에서 태어나 1945년 광복 후 한국으로 돌아왔다. 서울대학교 잠사학과를 졸업하고 서울신문 기자로 일했으며, 1980년부터 1987년까지 프랑스 파리에서 서울신문 특파원으로 근무했다.[1]
1995년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 초대 위원장을 역임했고, 1996년 말 신한국당의 노동관련법·국가안전기획부법 강행처리에 항의하여 전국적인 총파업 투쟁을 이끌었다.[3] 1997년 대한민국 제15대 대통령 선거에 국민승리21 후보로 출마했으나 1.2%의 득표율로 낙선했다. 2000년 창당된 민주노동당 대표를 맡았으며, 2002년과 2007년 대한민국 대통령 선거에 민주노동당 후보로 출마했으나 낙선했다.
2004년 대한민국 제1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경상남도 창원시 을 선거구에서 당선되어 제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사회대중당이 의석을 확보한 이후 40여 년 만에 진보주의 정당이 의석을 확보하는 결과를 가져왔다. 2008년 대한민국 제18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같은 선거구에서 재선에 성공했다.
2011년 12월 2일 국민참여당과의 합당으로 결성될 통합정당에서 원내대표직을 사실상 거부하는 의도로 해석되는 원내대표직 사퇴를 표명했다.[4] 2012년 대한민국 제19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진보대통합"을 명목으로 불출마를 선택했고,[5] 이후 경상남도지사 보궐선거에 무소속으로 출마했으나 새누리당 홍준표 후보에게 큰 차이로 패했다.[6][7]
2013년 정계 은퇴를 선언했으며, 현재 정의당 일반 당원으로 무상의료, 무상교육 운동을 하고 있다. 2017년 대한민국 제19대 대통령 선거에서는 정의당 심상정 후보를 지지했다.
2. 1. 생애 초반
권영길은 1941년 11월 5일 일본 야마구치현에서 태어나, 1945년 광복 후 가족과 함께 한국으로 돌아왔다.[3] 그의 아버지 권우현은 좌파 민족주의 운동에 참여했다.부산 남부민초등학교, 경남중학교, 경남고등학교를 졸업하고, 1969년 서울대학교 농학부 잠사학과를 졸업했다. 1971년부터 서울신문 기자로 일했으며, 언론노조 활동을 통해 민주노조 운동에 참여했다.[1] 1980년부터 1987년까지는 프랑스 파리에서 서울신문 특파원으로 근무했다.
1995년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 초대 위원장을 역임했고, 1996년 말 당시 여당이었던 신한국당의 노동관련법·국가안전기획부법 강행처리에 항의하여 전국적인 총파업 투쟁을 이끌었다.
2. 1. 1. 출생과 젊은 시절
1941년 11월 5일 일본 야마구치현에서 태어났다.[3] 아버지 권우현은 빨치산 출신으로, 1936년에 일본으로 이주하였다. 1941년 어머니 하영애가 일본으로 건너와 권영길이 출생하였다. 권우현과 하영애는 도쿄에서 막노동을 하며 생활하다가, 1945년 8월 15일 일본이 제2차 세계 대전에서 패망하자 대한민국으로 귀국하였다.이후 권우현은 경상남도 산청군에 정착하여 지역 초등학교를 설립하고 야학을 여는 등의 활동을 하였다. 1948년 여덟 살의 권영길은 아버지가 설립한 입석국민학교(現 폐교)에 입학하였다. 권영길은 당시를 회고하며 "어린 시절을 생각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장면이 일곱 살 때쯤, 아버지와 손을 잡고 신작로를 걷던 모습입니다."라고 하였다.
한국 전쟁이 발발하자 권우현은 빨치산 활동을 위해 지리산으로 들어갔다. 1953년 정전협정이 체결되고 한국군의 대대적인 빨치산 토벌 작전 과정에서 권우현은 사살되었다. 권영길은 자신의 진보적인 정치 활동을 "남몰래 가슴에 새긴 아버지와의 '약속'"이라고 밝히고 있다.
2. 1. 2. 유년기와 소년기
1941년 11월 5일 일본 야마구치현에서 태어났다.[3] 1945년 광복 후 가족과 함께 조선으로 돌아와 경상남도 산청군에서 거주했다. 그 뒤 부산으로 이사하여 유년기를 보냈으며, 1954년 부산 남부민국민학교를 졸업하고 경남중학교로 진학했다. 1957년 경남중학교를 졸업하고 바로 경남고등학교로 진학하여 1961년 경남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농과대학 농잠학과에 진학하였다.1학년을 마친 뒤 휴학하고 육군에 자원해 현역 입대하였으며 1963년 만기 제대했다. 1967년 대한일보에 입사하여 기자로 활동하기도 했다. 1969년에 서울대학교 농잠학과를 졸업했다.
2. 1. 3. 박정희 암살 시도 (1960년대 말)
1960년대 말, 권영길은 당시 대통령이었던 박정희를 암살하려는 비밀 조직에 참가했다.[9] 1967년 대한일보를 퇴사한 뒤 신문사 기자, 육군사관학교 출신 군인들과 함께 '박정희 대통령 제거 활동조직'에서 활동했다. 1971년 유신 이후에는 '박정희 암살'이라는 목표를 세웠다. 이 조직은 1974년까지 활동했지만, 이후 "또 하나의 쿠데타 세력이 되는 것 아니냐", "과연 근본적 사회변화를 이뤄낼 수 있는 것이냐"는 내부 토론을 거친 끝에 자진 해산했다.[9]2. 2. 청년기
권영길은 1941년 11월 5일 일본 야마구치 현에서 태어났다.[3] 1945년 8월 15일 일본의 패전 후 가족과 함께 조선반도로 돌아가 경상남도 산청군에 거주했다. 이후 부산광역시로 이주하여 부산 남부민초등학교, 경남중학교, 경남고등학교를 졸업했다. 1969년 서울대학교 농학부 잠사학과를 졸업했다.[3] 그의 아버지 권우현은 좌파 민족주의 운동에 참여했다.2. 2. 1. 언론 활동
서울대학교 잠사학과를 졸업하고 1971년 서울신문사에 입사하여 기자로 활동하였다. 1980년 서울신문사 파리 특파원이 되어 프랑스에서 7년간 체류하였고, 1987년 귀국했다.[1] 1987년 귀국 후 언론노동조합연맹 위원장으로 선출되었고, 1988년 재선되어 2대, 3대 위원장을 연임했다.2. 2. 2. 민주노조 운동
1995년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 창립에 참여하여, 1996년 민주노총 초대 위원장에 선출되었다.[1] 1996년 말 당시 집권여당이던 신한국당의 노동법 날치기 사건에 맞서 전국적인 총파업 투쟁을 이끌었다.[3]민주노총 위원장 시절인 1995년 '제3자 개입금지' 위반 혐의로 2005년 1월 항소심에서 징역 3년을 선고받고, 2006년 2심에서는 1,500만 원의 벌금형을 선고받았다. '3자 개입금지' 조항은 1997년 노동조합법이 개정되면서 없어졌지만, '소급 적용'을 규정한 부칙 조항이 살아있던 탓에 11년 동안 재판에 계류되어 있었다. 2008년 11월 13일 대법원에서 확장 판결되면서 이 사건은 마무리되었다.
2. 2. 3. 정계 입문
1995년 결성된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 초대 위원장을 역임했고, 1996년 말 당시 여당이었던 신한국당의 노동관련법·국가안전기획부법 강행처리에 항의하여 전국적인 총파업 투쟁을 이끌었다.[3] 이후 국민승리 21(민주노동당의 전신)에 입당하여 정계에 입문하였다.[1]1997년 대한민국 제15대 대통령 선거에 국민승리 21 후보로 출마했으며,[3] 이후 민주노동당 창당을 주도했다.
1999년 국민승리 21이 민주노동당으로 당명을 바꾸면서 민주노동당(가칭) 창당준비위원회 상임대표를 맡았다.
2. 3. 정치 활동
권영길은 1969년 서울대학교 농학부 잠사학과를 졸업하고, 1971년부터 서울신문 기자로 활동하며 언론계에 발을 들였다. 이후 언론노조 활동을 통해 민주노조 운동에 참여했고, 1995년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 초대 위원장을 역임했다.[1] 1996년 말 신한국당의 노동관련법 및 국가안전기획부법 강행 처리에 항의하여 전국적인 총파업 투쟁을 이끌었다.1997년 대선에 국민승리21 후보로 출마했으나 1.2%의 득표율로 낙선했다. 2000년 창당된 민주노동당 대표를 맡았으며, 2002년과 2007년 대선에 민주노동당 후보로 출마했으나 낙선했다.
2004년 총선에서 경상남도 창원시 을 선거구에서 당선되어 제17대 국회의원이 되었고, 2008년 총선에서 같은 지역구에서 재선에 성공했다.
2011년 12월 2일 국민참여당과의 합당으로 결성될 통합정당에서 원내대표직을 사실상 거부하는 의도로 해석되는 원내대표직 사퇴를 표명했다.[4] 2012년 총선에서는 "진보대통합"을 명목으로 불출마했다.[5]
총선 불출마 이후 2012년 대선과 동시에 치러지는 경상남도지사 보궐선거에 무소속으로 출마, 야권 통합 후보가 되었으나 새누리당 홍준표 후보에게 큰 차이로 패배했다.[6][7]
2013년 정계 은퇴를 선언했으며, 현재는 정의당 일반 당원으로 무상의료, 무상교육 운동을 하고 있다. 2017년 대선에서는 정의당 심상정 후보를 지지했다.
2. 3. 1. 진보정당 운동
2000년 민주노동당 창원시지구당 위원장을 맡았고, 16대 국회의원 총선거에 창원(을) 지역구에서 출마하였으나 낙선하였다. 이후 민주노동당 당대표에 선임되었다.[1]2002년 대통령 선거에 민주노동당 후보로 출마하여 약 100만 표를 얻었다. "국민 여러분 살림살이 많이 나아지셨습니까?"라는 유행어를 만들기도 했다. 그러나 선거 직전 정몽준의 지지 철회로 민주노동당 지지층 일부가 노무현에게로 이동하면서, 기대에 못 미치는 득표를 하였다. 하지만 민주노동당은 대선 과정을 통해 전국적으로 인지도를 높이고, TV토론 등을 통해 당의 노선과 정책을 알리는 데 상당한 성과를 거뒀다.[3]
2004년 4월 15일 1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당선되어 권영길 의원을 비롯한 10명의 국회의원이 배출되었고, 진보주의 정당이 원내에 진입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2008년 재선되어, 진보정당 국회의원으로서는 사상 처음으로 지역구 국회의원으로 재선되었다.[3]
2007년 대통령 선거에서도 민주노동당 후보로 출마했으나 낙선했다.[3]
2. 3. 2. 국회 활동과 한미 FTA 반대
2004년 국회 남북관계발전 특별위원회 위원, 국회 통일외교통상위원회 위원을 역임했다.[1] 2005년 한중 의원 친선협회 부회장을 역임했다.[1]2006년 민주노동당 의원단 대표, 한반도 평화와 통일을 실천하는 의원모임 대표를 역임했다.[1] 노무현 정부의 한미 FTA 추진에 적극 반대하며, 한미 FTA 비상시국회의 공동대표를 역임하고, 한미 FTA 졸속타결 반대 운동에 동참했다.[1]
2. 3. 3. 2010년 이후
18대 국회에서 권영길은 국회 교육과학기술위원회 위원, 2010년 국회 운영위원회 위원을 역임했고, 같은 해 민주노동당 원내대표를 지냈다. 북한대학원대학교 초빙교수, 국회 호민관클럽 공동대표로도 활동했다.[1]2012년 김두관이 대한민국의 대통령 선거 예비 후보로 출마하기 위해 경상남도지사직을 사퇴하자, 권영길은 경상남도지사 보궐선거에 출마했다. 민주통합당이 후보를 내지 않고 야권 후보 단일화를 추진하면서, 권영길은 범 야권 경상남도지사 후보가 되었으나, 12월 19일 선거에서 2위를 기록하며 홍준표에게 패배했다.[6][7]
2013년 9월 10일, 이석기 의원 사건으로 진보 진영이 혼란스러운 상황에서 권영길은 정계 은퇴를 선언했다. 그는 "지금 진보 정당은 사실상의 사망 선고를 받은 것과 다름없다"라고 말하며, 앞으로 정당 정치에 참여하지 않고 시민운동에 전념하겠다고 밝혔다. 같은 날, 권영길은 사단법인 '권영길과 나아지는 살림살이'를 창립하고 이사장을 맡았다.[1]
2016년 대한민국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정의당에 투표할 것을 촉구했고, 2017년 대한민국 대통령 선거에서는 심상정 후보를 적극적으로 지지했다.
2. 3. 4. 2014년 이후
2014년 6•4 지방선거 이후 자가면역결핍 질환이 발병하여 5년여 동안 투병 생활을 했으나, 증세가 많이 호전되어 조심스럽게 활동을 재개하고 있다.[1]2016년 4월 20대 총선에서 정의당 선거대책위원회 상임고문을 역임했다. 당시 정의당 선대위 고문직 수락은 법률 검토 결과 무소속으로 직책 수행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어 이루어졌다. 정의당 후보 지원 유세 등으로 인해 많은 사람들이 그를 정의당 당원으로 오해하고 있으나, 본인은 이를 부인하며 민주노동당 초대 대표로 영원히 기록될 것이라고 밝혔다.[1]
2018년 2월 6일 혀 염증 치료를 위해 서울대학교병원에 입원했다. 혀 염증이 심해 한쪽을 도려내는 수술을 받았고, 조직 검사 결과 악성 종양(설암)으로 밝혀졌다. 이후 악성 종양은 어느 정도 치유되어 현재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1]
2019년 1월 이사장을 맡고 있던 사단법인 '권영길과 나아지는 살림살이'가 정관 변경을 통해 '사단법인 평화철도와 나아지는 살림살이'(평화철도)로 법인명을 변경했다. 평화철도는 경원선 복구를 위한 남북철도 연결 침목 기증 운동을 벌이는 단체로, 전 국민 참여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1]
2019년 6월 남북철도 연결•금강산 관광 재개•개성공단 재가동 촉구대회, 2019년 7월 평화철도 토론회(통일부 공모), 2019년 8월 철원 지역 주민 특강, 2019년 9월 연세대학교 학생 대상 특강 등 다양한 강연 활동을 펼치고 있다.[1]
2. 3. 5. 80세 이후 (2021년 이후)
2022년 12월 9일, 민주노총의 두 번째 강령인 '노동자 정치 세력화' 실현을 위해 민주노총 정치위원회부터 강연을 시작했다. 이 강연을 시작으로 민주노총 산하 사업장으로 강연을 다니며 스스로 '노동자 정치세력화'의 전도사(부흥사)임을 자임하고 있다. 2023년 3월 현재 20여 차례의 강연을 기록하고 있으며 강연 시간은 90여 분에 이르고 중간에 5분여의 휴식 시간을 갖는다. 꾸준히 강연을 진행한다면 2023년 연말까지 강연 횟수가 90회를 넘어 100회에 이를 수도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83세의 나이가 무색하게 왕성한 활동을 보이고 있는데, 권영길은 강연이 힘들긴 하나, 청강한 노동자들의 열광하는 반응 속에 오히려 힘을 얻는다고 말했다.3. 의정 행보
권영길은 제17대, 제18대 국회의원을 지내면서 대북 정책, 복수 국적, 재외국민 참정권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의정 활동을 했다. 개성공업지구 지원 법률안에는 찬성했지만, 북한 핵실험 규탄 결의안에는 반대했다.[12] 연평도 포격 사건 관련 결의안에는 기권했다.[13] 탈북자 관련 법안에도 기권했다.[14]
복수 국적 허용 법안에는 반대했고,[16] 재외국민 참정권 회복 법안에는 찬성했다.[17]
3. 1. 대북 정책 관련
2007년 3월 6일, 제17대 국회에서 권영길은 동료 의원들과 함께 개성공업지구 지원에 관한 법률안(의안번호 176199)을 발의하였고, 2007년 4월 27일 수정 가결에 찬성하였다.[10] 2010년 2월 25일, 제18대 국회에서는 북한 지역 영유아 영양 문제 해결 촉구 결의안(의안번호 1806838) 가결에 반대하였다.[11]2006년 10월 12일, 제17대 국회에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2006 핵 실험을 규탄하기 위해 발의된 북한의 핵실험 규탄 및 핵폐기 촉구 결의안(의안번호 175153) 가결에 반대하였다.[12]
3. 2. [[연평도 포격]] 사건 관련
2010년 11월 24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대한민국의 대연평도를 향해 170여 발을 포격하여 대한민국 해병 2명 및 민간인 2명을 사망케 한 연평도 포격을 규탄하기 위한 북한의 무력도발행위 규탄 결의안(의안번호 1810030) 가결에 기권하였다.[13]3. 3. [[북한이탈주민|탈북자]] 관련
제18대 국회에서 2010년 3월 2일 탈북자를 위한 지역 적응 센터, 상담사 제도, 북한이탈주민지원재단 설립 등을 위해 발의된 '북한이탈주민의 보호 및 정착지원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법률안(대안)'(의안번호 1807771) 가결에 기권하였다.[14] 2011년 3월 10일 해외 체류 탈북자의 인권 보장 및 강제 송환 중단 촉구 결의안(의안번호 1809540) 가결에도 기권하였다.[15]3. 4. 복수국적
권영길은 제18대 국회에서 2009년 12월 29일 대한민국 정부가 발의한 국적법 일부개정법률안(의안번호 1807200) 수정가결에 반대하였다.[16] 이 법안은 결혼이민자, 특별귀화자, 해외입양인, 65세 이상 영주 귀국자 등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사람들에게 제한적으로 복수국적을 허용하는 내용을 담고 있었다.3. 5. 재외국민 참정권
2009년 2월 5일, 제18대 국회에서 대한민국 헌법 제24조에도 불구하고 해외에 거주하는 약 240만 명의 대한민국 국민에게 금지되었던 재외국민 참정권을 회복하기 위해 발의된 공직선거법 일부개정법률안(대안) (의안번호 1803725), 주민투표법 일부개정법률안 (의안번호 1803724), 국민투표법 일부개정법률안(의안번호 1800737) 가결에 모두 찬성하였다.[17][18]4. 범죄사실
권영길은 여러 범죄 혐의로 기소되어 유죄 판결을 받았다.
- 1989년 8월 10일, 서울지방검찰청은 전국언론노동조합연맹 기관지 〈언론노보〉를 문화공보부에 등록하지 않고 무단 발행한 혐의(정기간행물등록에관한법률위반)로 권영길을 불구속 기소했다.[19] 1993년 1월 29일, 서울형사지방법원은 벌금 1백만원을 선고했다.[20][21]
- 검찰은 1994년 전국노동조합대표자회의와 1995년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준비위원회 공동대표 등으로 활동한 권영길을 일반교통방해, 노동쟁의조정법위반, 폭력행위등처벌에관한법률위반 혐의로 기소하였다.[22] 권영길은 노동쟁의에 개입하고, 경희대학교와 연세대학교 건조물에 무단 침입하여 집회를 개최하고, 도로를 점거하여 행진하는 등의 혐의를 받았다.
- 2001년 1월 31일, 서울중앙지방법원은 징역 10월, 집행유예 2년을 선고하였다.[22] 2006년 1월 11일, 서울중앙지방법원은 원심을 파기하고 1500만원을 선고하였다.[22][23] 2008년 11월 17일, 대법원은 1500만원을 선고한 원심을 확정했다.[24]
4. 1. 기관지 무단 발행
1989년 8월 10일 서울지방검찰청 형사4부(추유엽 검사)는 정기간행물등록에관한법률위반 혐의로 권영길을 불구속 기소했다.[19] 권영길은 문화공보부에 등록하지 않고 전국언론노동조합연맹의 기관지 〈언론노보〉를 무단 발행하였으며[20], 검찰에 고발되어 조사가 진행 중인데도 발행을 계속하였다.[19] 1993년 1월 29일 서울형사지방법원 1단독(조병현 판사)은 권영길에게 벌금 1백만원을 선고했다.[20][21]4. 2. 불법 집회 주도
검찰은 1994년 전국노동조합대표자회의와 1995년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준비위원회의 공동대표 등으로 활동한 권영길을 일반교통방해, 노동쟁의조정법위반, 폭력행위등처벌에관한법률위반 혐의로 기소하였다.[22]권영길은 1994년 6월경 전국노동조합대표자회의 공동대표로서 각종 대회를 개최하거나 참석하여 대회사를 하거나 결의문 채택, 기자회견, 파업 행동 지침 등을 배포하는 등의 방법으로 전국기관차협의회, 서울지하철공사 노동조합, 대우기전 노동조합의 쟁의행위에 개입하였다. 1994년 6월 10일 현대그룹노동조합총연합이 개최한 임금 및 단체협약 투쟁 승리 결의대회에 전국노동조합대표자회의 공동대표 자격으로 참가하여 격려사를 함으로써 현대중공업 노동조합, 현대정공 울산공장 노동조합, 현대미포조선 노동조합, 한국프랜지 노동조합의 쟁의행위에 개입하였다(노동쟁의조정법위반).[22]
1995년 2월부터 5월까지는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의 공동대표로 활동하면서 임금 투쟁 방법을 정한 후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산하의 각 단위노조에 지시를 내리는 등의 방법으로 1995년 5월 내지 6월에 발생한 서울지하철공사 노동조합, 쌍용자동차 노동조합, 만도기계 노동조합, 아시아자동차 노동조합, 서울대학교병원 노동조합, 이화여자대학교 부속병원 노동조합, 기아자동차 노동조합의 쟁의행위에 개입하였다(노동쟁의조정법위반).[22]
1994년 11월 12일에는 전국노동자대회 개최 장소로 제공할 수 없다는 경희대학교 측의 통지를 받았음에도 전국노동조합대표자회의 간부, 노동자, 학생 등 1만 4천여 명과 함께 대학교 건조물에 침입하여(폭력행위등처벌에관한법률위반) 대회를 개최하였다.[22]
1995년 11월 11일에는 연세대학교 측으로부터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주관 대회의 개최 장소로 제공할 수 없다는 통지를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조합 소속 근로자, 학생 1만 3천여 명과 함께 대학교 건조물에 침입하여(폭력행위등처벌에관한법률위반) 민주노총 창립 대의원 대회, 노동자 문화제 등을 개최하였다. 다음 날인 11월 12일에는 연세대학교에서 개최한 집회를 마친 후 10,000여 명의 참가자들과 연세대학교에서 여의도광장까지 행진하면서 도로 전 차선을 점거하고, 도로를 무단횡단하고, 도로를 점거하여 연좌시위를 하는 등 행진 구간의 자동차 교통을 방해하였다(일반교통방해).[22]
2001년 1월 31일 서울중앙지방법원[23]은 권영길에게 징역 10월, 집행유예 2년의 형을 선고하였다.[22]
2006년 1월 11일 서울중앙지방법원 제8형사부(재판장 이성훈, 판사 신신호, 판사 김수영)는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권영길에게 15000000KRW을 선고하였다.[22][23]
2008년 11월 17일 대법원1부(주심 차한성 대법관)는 권영길에게 15000000KRW을 선고한 원심을 확정했다.[24]
5. 상훈 경력
연도 | 상훈 및 경력 |
---|---|
1990년 | 제3회 안종필 자유언론상 수상 |
1997년 | 제1회 천주교들빛회 주최 정의평화상 수상 |
1997년 | 5.18 기념재단 제7회 윤상원상 수상 |
1997년 | 4.19 혁명상(4월혁명연구소) 수상 |
2004년 | 국정감사 NGO 모니터링단 우수국회의원 선정 |
2008년 | 국정감사 NGO 모니터링단 우수국회의원 선정 |
2009년 | 국정감사 NGO 모니터링단 우수국회의원 선정 |
2009년 | 경실련 선정 국정감사 우수국회의원 선정 |
6. 경력
- 1967년: 대한일보 기자
- 1971년: 서울신문 기자
- 1980년~1987년: 서울신문 파리 특파원[1]
- 1988년~1994년: 언론노조 위원장(초대, 2대, 3대)
- 1990년: 전국업종노동조합회의(업종회의) 의장
- 1996년~1997년: 민주노총 초대 위원장[1]
- 1997년: 국민승리21 제15대 대통령 후보 (낙선)
- 1999년: 민주노동당 창당준비위원회 상임대표
- 2000년
- * 1월: 민주노동당 창당. 초대 당 대표
- * 4월: 제16대 국회의원 선거, 창원시을 출마. 근소한 차이로 낙선
- * 민주노동당 창원시을 지역위원장
- 2002년: 민주노동당 제16대 대통령 후보 (낙선)
- 2004년
- * 4월: 민주노동당 제17대 국회의원(창원시 을), 초선
- * 국회 통일외교통상위원회와 남북관계발전특별위원회 위원
- 2006년
- * 민주노동당 의원단 대표
- * “한미FTA 비준 저지 국회의원 비상시국회의”(한미FTA 비상시국회의) 공동대표
- * “한반도 평화와 통일을 위한 의원 모임” 대표
- 2007년: 민주노동당 제17대 대통령 후보 (낙선)
- 2008년
- * 4월: 민주노동당 제18대 국회의원(창원시 을), 재선
- * 국회 교육과학기술위원회 위원
- 2011년
- * 6월 22일: 통합진보당 당직·공직 불출마 선언[8]
- * 12월 2일: 원내대표 사임 표명[4]
- 2013년: 사단법인 권영길과 나아지는 살림살이 이사장
7. 소속 정당
8. 역대 선거 결과
연도 | 선거 종류 | 소속 정당 | 득표수 (득표율) | 순위 | 당락 | 비고 |
---|---|---|---|---|---|---|
1997년 | 대통령 선거 | 건설국민승리21 | 306,026 (1.19%) | 4위 | 낙선 | 보기 |
2000년 | 국회의원 선거 | 민주노동당 | 36,579 (38.68%) | 2위 | 낙선 | 보기 |
2002년 | 대통령 선거 | 민주노동당 | 957,148 (3.89%) | 3위 | 낙선 | 보기 |
2004년 | 국회의원 선거 | 민주노동당 | 52,758 (49.80%) | 1위 | 당선 | 보기, 초선 |
2007년 | 대통령 선거 | 민주노동당 | 712,121 (3.01%) | 5위 | 낙선 | 보기 |
2008년 | 국회의원 선거 | 민주노동당 | 42,809 (48.19%) | 1위 | 당선 | 보기, 재선 |
2012년 | 경상남도지사 보궐선거 | 무소속 | 702,689 (37.08%) | 2위 | 낙선 | 보기 |
참조
[1]
웹사이트
Kwon Young-ghil
http://rki.kbs.co.kr[...]
[2]
웹사이트
대한민국헌정회
https://www.rokps.or[...]
2022-03-13
[3]
뉴스
「大選候補、だれか」権永吉、報道人、労働運動指導者。
http://www.donga.com[...]
동아일보
2007-11-25
[4]
뉴스
권영길, 자유-진보 통합당 원내대표 사실상 거부(権永吉、自由-進歩統合党院内代表事実上拒否)
http://www.newscham.[...]
2011-12-02
[5]
뉴스
경남 '진보의 분열'이 새누리 압승 불렀다(慶南‘進歩の分裂’がセヌリ圧勝招いた)
http://www.yonhapnew[...]
2012-04-12
[6]
뉴스
権永吉が慶南道知事に立候補
http://www.labornetj[...]
2012-11-14
[7]
뉴스
경남도지사 홍준표 후보 압승..62.91% 득표(慶南道知事洪準杓候補圧勝。69.21%得票)
http://www.yonhapnew[...]
2012-12-20
[8]
뉴스
権永吉、進歩新党への統合を訴え不出馬を宣言
http://www.labornetj[...]
2011-06-22
[9]
뉴스
박정희 암살 쿠데타 모의 했었다
http://news.khan.co.[...]
경향신문
2008-02-28
[10]
간행물
제 267회국회-제6차 (임시회) 국회본회의회의록
http://likms.assembl[...]
[11]
간행물
제 287회국회-제7차 (임시회) 국회본회의회의록
http://likms.assembl[...]
[12]
간행물
제 262회국회-제7차 (정기회) 국회본회의회의록
http://likms.assembl[...]
[13]
간행물
제 294회국회-제8차 (정기회) 국회본회의회의록
http://likms.assembl[...]
[14]
간행물
제 287회국회-제12차 (임시회) 국회본회의회의록
http://likms.assembl[...]
[15]
간행물
제 298회국회-제1차 (임시회) 국회본회의회의록
http://likms.assembl[...]
[16]
간행물
제 289회국회-제8차 (임시회) 국회본회의회의록
http://likms.assembl[...]
[17]
뉴스
재외국민 투표 허용 법안 국회 통과
http://www.donga.com[...]
동아일보
2009-05-25
[18]
간행물
제 281회국회-제4차 (임시회) 국회본회의회의록
http://likms.assembl[...]
[19]
뉴스
언론노보등 3개신문 발행인 불구속 기소
https://newslibrary.[...]
네이버뉴스
1989-08-11
[20]
뉴스
言勞報 무단발행혐의 權永吉피고인 벌금형
https://newslibrary.[...]
네이버뉴스
1993-01-30
[21]
뉴스
「언론노보」무등록발행 權永吉씨 벌금 百萬원
https://newslibrary.[...]
네이버뉴스
1993-01-29
[22]
보고서
2001노1474 피고인 권영길 사건 판결의 요지
http://file.scourt.g[...]
서울중앙지방법원
2006-01-11
[23]
보고서
서울중앙지방법원 제8형사부 판결
http://file.scourt.g[...]
서울중앙지방법원
2006-01-11
[24]
뉴스
권영길 의원 13년 만에 벌금형 확정
https://news.naver.c[...]
네이버뉴스
2008-11-17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권영국’이 있었던 대선 [장석준의 그래도 진보정치]
“단 하루만 일하더라도…” 공장으로 돌아가고 싶다 [.txt]
넓어진 왼쪽…권영국은 진보정치를 재구성할 수 있을까
Can Lee Jae-myung beat Park Geun-hye’s record 51% share of the vote?
통계로 보는 6·3 대선 세 가지 관찰 포인트
대선 앞두고 25년 전 ‘민주노동당’으로 이름 바꾸는 정의당
청년부터 원로까지 광화문 농성촌에 뭉쳐…일제히 “윤석열 파면” 총력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