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니 모리토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다니 모리토모는 미노국 출신의 무장으로, 오다 노부나가의 가신에서 도요토미 히데요시를 섬기며 여러 전투에서 공을 세웠다. 1588년 종5위하 데와노카미에 서임되었으며, 임진왜란에도 참전했다. 1600년 세키가하라 전투에서는 도쿠가와 이에야스에게 협력하지 않고, 호소카와 유사이와 내통하여 다나베 성 공격에 소극적으로 참여했다. 이후 오사카 전투에 참전했으며, 1628년 65세로 사망했다. 그의 후손은 에도 시대에 하타모토가 되었으며, 딸은 소노 모토오토에게 시집가 레이겐 천황의 외조부가 되었다. 다니 가문은 시도술(試刀術)에 능했으며, 야마다 아사에몬도 다니류를 따랐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다니씨 - 나이토 마사노리 (1848년)
나이토 마사노리 (1848년)는 유노하타 번의 번주였으며, 보신 전쟁 이후 가독을 이어받아 지번사가 되었고, 폐번치현으로 면관된 후 은거하여 사망했다. - 1628년 사망 - 모리 다카마사
모리 다카마사는 아즈치모모야마 시대부터 에도 시대 초기의 무장, 다이묘로 하시바 히데요시를 섬기다 모리 데루모토의 양자가 되었으며 임진왜란과 정유재란에 참전, 세키가하라 전투 후 분고 사이키 번주가 되어 성 축조와 성하마을 건설을 추진하고 막부의 여러 공사에 참여했다. - 1628년 사망 - 히라노 나가야스
히라노 나가야스는 아즈치모모야마 시대부터 에도 시대 초기에 걸쳐 활약한 무장으로, 도요토미 히데요시와 도쿠가와 이에야스를 섬기며 시즈가타케 전투에서의 공으로 '시즈가타케의 칠본창' 중 한 명으로 이름을 떨쳤고, 그의 자손은 메이지 시대에 다이묘가 되었다.
다니 모리토모 | |
---|---|
기본 정보 | |
![]() | |
씨명 | 다니 씨 |
이름 | 다니 모리토모 |
시대 | 아즈치모모야마 시대 - 에도 시대 전기 |
출생 | 에이로쿠 6년 (1563년) |
사망 | 간에이 4년 12월 23일 (1628년 1월 29일) |
이명 | 진타로 데와노카미 (통칭) |
계명 | 조쇼인덴 신지 아라가네 다이코지 |
묘소 | 센가쿠지 |
관위 | 종5위하 데와노카미 |
막부 | 에도 막부 |
주군 | 오다 노부나가 도요토미 히데요시 도요토미 히데요리 도쿠가와 이에야스 도쿠가와 히데타다 도쿠가와 이에미쓰 |
번 | 단바야마가번 번주 |
가문 | 후쿠다 씨 → 다니 씨 |
부모 | 다니 모리요시 (다이젠노스케) |
형제자매 | 손이치로 민부 모리토모 호키 여자 |
배우자 | 기노시타 사콘노쇼겐의 딸 |
자녀 | 모리나리 요시나가 모리카쓰 모리마사 모리나가 모리후유 도라노스케 헤이자에몬 여자 (소노 모토오토의 부인) 여자 (다니 슈젠의 부인) 여자 (사와세 가헤에의 부인) 여자 (후지에 모토소노의 부인) |
2. 약력
도요토미 히데요시를 섬긴 다니 모리토모는 1583년 다키가와 가즈마스 정벌과 시즈가타케 전투, 1584년 고마키·나가쿠테 전투, 1585년 기슈 정벌, 1587년 규슈 평정 등 주요 전투에 참전하여 공을 세웠다. 특히 규슈 평정에서 부젠국 이와이시 성 공격의 공으로 히데요시에게 칭찬받았다. 1588년 종5위하 데와노카미에 서임되었다.
1590년 오다와라 정벌에 참전했고, 1592년 임진왜란 때는 조선으로 건너가 국광의 칼을 받았다. 1594년 후시미 성 보수에 참여했고, 1598년 히데요시 사망 시 유물 와키자시를 받았다.
1600년 세키가하라 전투에서는 아이즈 정벌에 종군하려 했으나 기내 경비를 명받았다. 이시다 미쓰나리 거병 후 오사카 교구를 경호했고, 호소카와 유사이가 농성하는 탄고 타나베 성 공격에 서군으로 참여했으나 내통하여 소극적으로 가담, "타니의 헛포" 일화로 전해진다. 전후 영지를 보전받았다.
1614년과 1615년 오사카 전투에서 공을 세워 도쿠가와 히데타다의 오토기슈가 되었다. 1626년 도쿠가와 이에미츠 상경에 종사했고, 1628년 사망했다.
2. 1. 초기 생애와 오다 가문 섬김
에이로쿠 6년(1563년) 타니 모리토모의 셋째 아들로 미노국에서 태어났다. 모리토모는 미노 사이토씨의 가신에서 오다 노부나가의 가신으로 전향한 인물로, 노부나가에 의해 하시바 히데요시의 요리키가 되었다.덴쇼 6년(1578년), 아버지와 함께 히데요시를 섬기며 영지 200석을 받았다.
덴쇼 7년(1579년), 하리마 정벌(주고쿠 공격) 미키 전투에서 가부세 성 주변 전투 중 아버지 모리토모가 전사했다. 첫 출전이었던 17세의 모리토모는 아버지의 원수(무로 코헤이)를 죽이고 유해를 되찾았다. 오다 노부나가는 모리토모의 죽음을 애도하며 9월 27일 서신으로 모리토모에게 본령과 2곳의 영지를 주고 감사장을 수여했다. 모리토모의 본령은 하리마국 히라타 6,000석이었으며, 모리토모는 어린 나이에 합쳐서 6,200석을 다스리게 되었다.
덴쇼 10년(1582년) 경, 히데요시로부터 단바국카도군 야마가 촌으로 이봉되어 1만 6,000석을 영유했다.
2. 2. 도요토미 히데요시 섬김
1582년경, 단바국 가도군 야마가 촌으로 이봉되어 1만 6,000석을 영유했다.[1] 이후,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주요 전투에 거의 대부분 참가했다. 1583년 정월 다키가와 가즈마스 정벌에서 이세・야타산에서 토민을 격파했고,[2] 같은 해 4월 시즈가타케 전투에도 종군했다. 1584년 고마키·나가쿠테 전투에 종군했다.[3] 1585년 기슈 정벌의 센고쿠보리 성・세키젠지 성 공격에서는 수급을 올렸다.[3][2] 1587년 규슈 평정의 부젠국 이와이시 성 공격에서 큰 공을 세워, 히데요시에게 용감함을 칭찬받았다.1588년, 종5위하 데와노카미에 서임되었다.[3][5]
1590년 오다와라 정벌에서 히데요시 본진의 전비중 한 명으로, 230명을 이끌고 종군했으며[4], 이즈국 야마나카 성 공격에서 군공을 세웠다.[3]
1592년 임진왜란(분로쿠·게이초의 역)에 참전하여 조선으로 건너갔다. 전공으로 국광의 칼을 받았다.[3][5] 1594년 후시미 성의 보수를 분담했다.[5]
1598년 히데요시 사망 시 유물 츠리키리의 와키자시를 받았다.[3][5]
2. 3. 도쿠가와 이에야스 섬김과 세키가하라 전투
게이초 5년(1600년), 모리토모는 아이즈 정벌에 참여하여 도쿠가와 이에야스에게 종군하기를 원했다. 그러나 혼다 마사즈미를 통해 기내(교토 및 주변 지역) 경비를 맡으라는 지시를 받아 동행하지 못했다.[5] 이시다 미쓰나리가 거병하자, 모리토모는 오사카 교구의 코바시를 경호했다.[5]서군은 탄바・하리마의 여러 다이묘에게 호소카와 타다오키의 아버지 호소카와 유사이가 농성하는 탄고 타나베 성 공격을 명했다. 모리토모는 서군에 가담하여 공격대에 참여했으나, 몰래 호소카와 측과 내통하여 공격 시 공포를 쏘는 등 소극적으로 가담했다.[5] 이러한 행동은 "'''타니의 헛포'''"라는 일화로 전해진다.
전후, 유사이・타다오키 부자가 이 사실을 이에야스에게 보고하여, 모리토모는 일찍부터 동군에 내응한 것으로 인정받아 소령을 안정받았다.[5]
2. 4. 에도 시대와 말년
게이초 19년(1614년)과 20년(1615년) 오사카 전투에 참가했다. 겨울 전투에서는 2대 쇼군 도쿠가와 히데타다를 따랐다.[1] 여름 전투에서는 셋째 아들 모리카츠와 넷째 아들 모리마사를 데리고 참전하여, 5월 7일 총공격 때 야마토 구치에서 진격했다. 오사카 측이 돌격하여 아군이 무너지는 난전 속에서 모리토모도 말 표식을 빼앗겼지만, 가신 마쓰다 로쿠자에몬이 되찾았다. 타니 세력은 반격하여 성 안으로 돌입, 9개의 수급을 올렸다. 다음 날 8일, 호소카와 오키모토가 무공을 물었지만, 모리토모는 말 표식을 빼앗긴 것을 부끄럽게 여겨 대답하지 않았다. 그러나 후에 황금을 하사받고 히데타다의 오토기슈가 되었다.[1]간에이 3년(1626년), 도쿠가와 이에미츠의 상경에 종사했다.
간에이 5년(1628년) 12월에 사망했다. 향년 65세.[1]
3. 후손
타니 모리토모의 장남과 삼남은 이미 사망했고, 차남은 도쿠가와 가문의 하타모토가 되었다. 모리토모는 유언으로 막내 모리후유의 상속을 희망했지만, 막부는 이를 받아들이지 않았다. 히고국 번주 호소카와 타다오키·타다토시 부자가 이 상속에 관여했지만, 결국 막부의 명령에 따라 넷째 아들 모리마사가 상속하게 되었다. 호소카와 가문은 모리토모의 유언을 지켜 재산과 저택만이라도 모리후유에게 넘길 것을 요구했지만, 모리마사는 이를 거절했다. 장남과 넷째 아들만이 정실 키노시타 씨의 자식이었던 점이 크게 작용한 것으로 추측된다.
간에이 5년(1628년), 넷째 아들 모리마사가 가독과 야마가 번 1만 석을 상속했다. 나머지 유산은 장남 모리시게의 아들 모리유키에게 2,500석, 삼남 모리카츠의 아들 모리키요에게 2,000석, 막내 모리후유에게 1,500석으로 분할 상속되었으며, 아버지의 유물인 아리아케 다기(茶入)와 우메키 잎차 항아리는 막부에 헌상되었다.
다섯째 아들 모리나가는 호소카와 가문의 가신이 되었다고 한다.[6]
4. 인물
에이로쿠 6년(1563년) 타니 모리토모의 셋째 아들로 미노국에서 태어났다. 덴쇼 6년(1578년) 아버지와 함께 도요토미 히데요시를 섬기며 영지 200석을 받았다. 덴쇼 7년(1579년) 미키 전투에서 아버지 모리토모가 전사하자, 17세의 나이로 아버지의 원수를 갚고 유해를 되찾는 무공을 세웠다. 오다 노부나가는 모리토모의 죽음을 애도하며 모리토모에게 본령과 2곳의 영지를 주고 감사장을 수여했다. 이로써 모리토모는 어린 나이에 6,200석을 다스리게 되었다. 덴쇼 10년(1582년) 경에는 히데요시로부터 단바국 야마가 촌으로 이봉되어 1만 6,000석을 영유했다.[4]
이후 히데요시의 주요 전투에 거의 대부분 참가했다. 시즈가타케 전투, 코마키・나가쿠테 전투, 기슈 정벌, 규슈 평정 등에서 공을 세웠고, 덴쇼 16년(1588년)에는 종5위하 데와노카미에 서임되었다. 덴쇼 18년(1590년) 오다와라 정벌에서는 히데요시 본진의 전비중 한 명으로 참전했고, 야마나카 성 공격에서 군공을 세웠다.[4]
분로쿠 원년(1592년) 임진왜란 때는 450명을 이끌고 조선으로 건너가 전공으로 국광의 칼을 받았다. 게이초 3년(1598년) 히데요시가 사망하자 유물로 츠리키리의 와키자시를 받았다.
게이초 5년(1600년) 세키가하라 전투에서는 서군에 가담하여 호소카와 유사이가 농성하는 타나베 성 공격에 참여했지만, 몰래 호소카와 측과 내통하여 공포를 쏘는 데 그쳤다. 이 일화는 "타니의 헛포"로 전해진다. 전투 후, 유사이와 호소카와 타다오키 부자가 이 사실을 도쿠가와 이에야스에게 보고하여 영지를 보전받았다.
게이초 19년(1614년)과 20년(1615년) 오사카 전투에 참가했다. 겨울 전투에서는 도쿠가와 히데타다를 따랐고, 여름 전투에서는 야마토 구치에서 진격하여 수급 9개를 올렸다.
간에이 3년(1626년) 도쿠가와 이에미츠의 상경에 종사했고, 간에이 4년(1628년) 12월에 65세로 사망했다.
5. 시도술(試刀術)
타니 가문은 대대로 칼의 성능을 파악하는 '시도(試刀)' 기술을 전수했다.[10] 타니 가문에서는 베기 시험 기법이 대대로 가문에서 전해져 내려왔으며, 그 문하에서 명수를 배출했다. 초대 '''공의어검어용'''(公儀御様御用) 야마다 아사에몬도 타니류였다.[10]
6. 가계도
항목 | 내용 |
---|---|
아버지 | 다니 모리요시 (1529년 - 1579년) |
어머니 | 불명 |
정실 | 기노시타 사콘노쇼겐의 딸 |
생모 불명의 자녀 |
참조
[1]
인물
木下昌利
[2]
문서
徳川秀忠に仕え2千石。
[3]
문서
内蔵允。肥後熊本藩細川家家臣。
[4]
서적
大日本古文書. 家わけ 三ノ一(伊達家文書之一)
https://dl.ndl.go.jp[...]
東京帝国大学
[5]
문서
畿内で東軍に与したのは、伏見城詰衆を除けば、[[織田長益]]、[[京極高次]]、[[本多俊政]]、[[筒井定次]]、[[有馬則頼]]、[[細川忠興]]、[[木下延俊]](藤孝の娘婿、忠興の義弟)の7大名だけであった。高次は当初西軍に与すると装って東軍に与して[[大津城]]に籠城している。
[6]
문서
衛政の四男ものちに細川家家臣となっている。
[7]
서적
常山紀談
https://dl.ndl.go.jp[...]
博文館
[8]
서적
史籍集覧. 第10冊
https://dl.ndl.go.jp[...]
近藤出版部
[9]
서적
関ケ原の戦い : 勝者の研究・敗者の研究
学研パブリッシング
[10]
문서
「試刀術」(試剣術)と呼ばれるこの刀剣性能測定法は、美意識・美的価値による芸術としての刀剣鑑定・ランク付けではなく、鎧や兜といった武具など、そして実際に人間(通常、死罪人か死体そのもの)を斬ることにより、実際の道具としての刀剣性能を品評し、またはそれに必要な技術そのものであり、経験と知識、なにより錬度の高い技術を要した。
[11]
서적
刀と真剣勝負 -日本刀の虚実
ベストセラーズ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